[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2963U - 헬멧 탈착 브래킷 - Google Patents

헬멧 탈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963U
KR20150002963U KR2020140000532U KR20140000532U KR20150002963U KR 20150002963 U KR20150002963 U KR 20150002963U KR 2020140000532 U KR2020140000532 U KR 2020140000532U KR 20140000532 U KR20140000532 U KR 20140000532U KR 20150002963 U KR20150002963 U KR 201500029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hinge
optical device
angle
camer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210Y1 (ko
Inventor
엄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폰
Priority to KR2020140000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1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1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7/00Fastening means for head coverings; Elastic cords; Ladies' hat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Landscapes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멧에 카메라 등의 광학 기구를 용이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으면서 앵글 각도 조정이 자유로운 헬멧 탈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탈부착 볼트의 조임으로 헬멧 단부에 압착 결합되고, 겉면에 힌지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자유 회전 되도록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고 광학 기구의 배면이 상기 힌지부를 향하는 광학기구 조립부가 구비되며 조립되는 광학 기구의 광축이 헬멧 단부의 방사 방향을 향하게 되어 광학기구의 앵글 각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자유로운 앵글 각 조절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헬멧에 반복하여 탈부착 하여도 헬멧 표면에 상처나 흔적이 남지 않는 헬멧 탈착 브래킷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헬멧 탈착 브래킷{Removable helmet bracket}
본 고안은 헬멧 탈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헬멧에 광학 기구를 탈착 가능하게 하는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헬멧의 착용은 주위의 위험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위험이 수반되는 스포츠일 경우에 착용하거나 작업장에서 머리 보호를 위하여 착용할 수도 있고, 혹은 군인이나 경찰이 외부의 폭력에 대비하여 착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헬멧의 이러한 용도에 비추어 카메라의 장착이 요긴한 경우가 많다. 군인이나 경찰의 경우에는 숨가쁘게 돌아가는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헬멧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송신하면 구두 보고보다 훨씬 효율적인 현장 상황 파악이 원거리에서도 가능하게 되며 여러 현장의 동시 다발적인 지휘 체계의 구축도 가능하게 된다.
또다른 카메라 장착의 필요성으로는 영화에서 위험한 상황이나 위험한 다큐멘터리 제작의 경우일 수도 있다.
그리고, 화재 진압이나 범죄 현장 조사 혹은 이와 유사한 경우처럼 현장의 정확한 상황 보존 및 향후 평가가 필요한 경우에 손쉽게 현장의 기록을 남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영상 송신 기술의 발달과 카메라 기술의 발달로 카메라는 소형화 되면서도 영상 품질은 더욱 우수하게 되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에서 앞서의 필요성에 의하여 헬멧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하게 되며, 이에 대한 많은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55149호(등록일자 : 2011.08.12)에서는 통공의 외측으로 후드(112)가 부착되어 머리의 안전을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110)과 후드(112) 내측에 렌즈(122)가 위치하면서 헬멧(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0)와; 헬멧(110) 내부에서 후드(112)에 밀착되도록 카메라(120)를 수납, 장착시키면서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정을 위한 고정스크류(132)와 틸트스크류(134)를 구비한 하우징(130)으로 구성되어 헬멧 내부에 설치되어 카메라 장착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의 종래기술은 헬멧 내부에 카메라가 안정되게 장착되고 세 군데의 스크류에 의하여 카메라 초점의 상하, 좌우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카메라 초점 기울기 조절이 직접 카메라 앵글을 조절하는 방식이 아니어서 기울기 조절의 폭이 상당히 제한되며, 장착되는 카메라의 모양과 크기에 제한이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에는 휴대용 무선 카메라의 장착장치인 등록특허공보 제10-1200006호(등록일자 : 2012.11.05)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종래기술은 휴대용 무선 카메라(11)에 나사(133)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각도조절부(120) 및 각도조절부(120)와 연결되며, 장착대상에 결합되는 결합부(130)를 포함하며, 영상신호를 전송가능한 안테나(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 카메라용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의 종래기술에 따르면 카메라의 탈부착이 편리하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상하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다만, 도 2의 종래기술에서는 화이바에 장착 과정에서 화이바 표면에 상처가 날 수 있다. 이는 경찰이나 군인 처럼 형식과 통일성을 강조하는 단체에서의 사용에서 특히 문제가 되며, 그렇지 않더라도 흔히 도료에 의하여 외장마감이 되는 헬멧에 상처가 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메라의 촬영 각도 조절이 상하 방향만 가능하여 정면 앵글 각도 조절은 안되게 되며, 상하 조절 또한 정해진 각도만 가능하여 다양한 필요에 부응하긴 힘든 문제가 있다.
따라서, 카메라를 헬멧에 쉽게 탈부착 할 수 있으면서 헬멧 표면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또한 정면 앵글 각도 조절이 제한없이 가능할 수 있는 카메라 장착 도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인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5149호(등록일자 : 2011.08.12)
등록특허공보 제10-1200006호(등록일자 : 2012.11.05)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카메라를 헬멧에 극히 용이하게 탈부착 되게 할 수 있으면서 헬멧 표면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또한 정면 앵글 각도 조절이 제한 없이 가능하게 되는 헬멧 탈착 브래킷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은,
탈부착 볼트의 조임으로 헬멧 단부에 압착 결합되고, 겉면에 힌지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자유 회전 되도록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고 광학 기구의 배면이 상기 힌지부를 향하는 광학기구 조립부가 구비되며 조립되는 광학 기구의 광축이 헬멧 단부의 방사 방향을 향하게 되어 광학기구의 앵글 각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은 특히, 상기 힌지부에 토크 조절 부재가 더 구비되어 광학 기구의 회전으로 선택되는 앵글 각도가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헬멧 외면을 압착하는 외부압착부재 및 상기 힌지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헬멧 내면을 압착하는 내부압착부재 및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내부압착부재의 상부 끝단은 헬멧 내면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되어 헬멧 탈착 브래킷이 헬멧 단부의 인접부 보다는 헬멧 안쪽에 단단히 결합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에는 수평방향의 탈부착 볼트 공이 형성되며, 베이스부에는 상기 탈부착 볼트 공과 간격을 두고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탈부착 볼트 공에 결합되는 탈부착 볼트의 조임과 풀림에 의하여 헬멧의 단부에 탈착되도록 된다. 따라서 탈부착 볼트는 고정부와 베이스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탈부착 볼트 자체가 헬멧과 직접 닿지는 않게 되어 탈부착 볼트의 조임과 풀림이 반복되더라도 헬멧 표면에 상처가 전혀 없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공과 탈부착 볼트 공에 결합되는 탈부착 볼트를 조이는 공구 및 상기 공구가 수납되는 공구수납부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본 고안에 의한 헬멧 탈착 브래킷을 헬멧에 탈착 할 때마다 별도의 공구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카메라가 부착된 상태에서 카메라의 앵글 각도가 제한 없이 변경 및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헬멧에의 탈착이 극히 용이하게 되며 헬멧에 별도의 천공을 하는 등 브래킷 결합을 위하여 헬멧에 별도의 가공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셋째, 탈착이 반복되더라도 헬멧 표면에 상처를 남기지 않아 헬멧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무선 카메라의 장착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의 조립을 위하여 탈부착 볼트를 조이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이 헬멧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의 회전 프레임의 회전 방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 탈착 브래킷의 광학기구 조립부에 벨크로 밴드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헬멧 탈착 브래킷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과 도2는 종래기술에 관한 도면이며 앞서서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 편에서 자세히 살펴 보았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헬멧 탈착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전체적인 구성 및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먼저,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은 탈부착볼트(55) 조임으로 헬멧(1) 단부에 압착 결합되고, 겉면에 힌지부(60)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에 대하여 자유 회전 되도록 상기 힌지부(60)에 결합되고, 광학 기구의 배면이 상기 힌지부(60)를 향하는 광학기구 조립부(24)가 구비되며, 조립되는 광학 기구의 광축이 헬멧(1) 단부의 방사 방향을 향하게 되어 광학기구의 앵글 각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회전 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0)은 다시 헬멧(1) 외면을 압착하는 외부압착부재(51) 및 힌지부(6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30)와, 헬멧(1) 내면을 압착하는 내부압착부재(41) 및 베이스부(30)와 결합되는 결합부(42)가 일체로 고정부(40)를 이루게 된다.
즉, 전체 구성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 가장 크게는 베이스 프레임(10)과 회전 프레임(20)으로 나뉘며, 베이스 프레임(10)은 다시 베이스부(30)와 고정부(40)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베이스부(30)는 외부압착부재(50) 및 힌지부(60)로 이루어지며, 고정부(40)는 내부압착부재(41) 및 결합부(4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들은 모두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의 면을 갖추어 서로 대면되면서 나란히 결합되며 이때, 헬멧(1)의 단부는 외부압착부재(50)와 내부압착부재(41)사이로 결합되게 된다.
헬멧 탈착 브래킷에서 가장 안쪽에 위치되는 고정부(40)부터 살펴보면, 고정부는 헬멧(1)의 내면을 압착시키는 내부압착부재(41)와, 베이스부(30)에 결합되는 결합부(42)가 연결부(43)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즉, 헬멧(1)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압착부재(41)와 헬멧(1)의 외부에 위치되는 결합부(42)가 연결부(43)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형태이다. 이때, 결합부(42)에는, 후술하겠지만 헬멧(1)과의 결합을 위하여 헬멧(1) 단부의 안과 밖이 동시에 압착되게 해 주는 탈부착볼트(55)가 결합하게 되는 탈부착 볼트공(44)이 형성되게 된다.
베이스부(30)를 살펴보면, 도 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위의 고정부(40)의 결합부(42)와 결합되는 외부압착부재(50) 및 힌지부(60)로 이루어진다. 외부압착부재(50)와 힌지부(60)는 도 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처럼 결합나사(63)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금형 제작의 간편함을 위해서는 결합나사(63)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압착부재(50)는 헬멧(1)에 접촉되는 면에 쿠션(53)이 부착된 압착판(51)과 힌지부(60)에 결합되는 조절판(52)이 일체로 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부(40)에서의 결합부(42)가 압착판(51)과 조절판(52)의 사이에 결합되게 된다. 조절판(52)에는 조절판(52)이 포함되는 외부압착부재(50)와 힌지부(60)가 나사조립 될 수 있도록 결합나사(63)의 관통을 위한 나사공이 형성되는 한편, 고정부(40)에서 결합부(42)에 형성되는 탈부착 볼트공(44)과 연통되는 관통공(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후술하겠지만, 압착판(51)과 조절판(52)사이의 간격은 결합부(42)의 두께보다 크도록 하여 탈부착볼트(55)를 조임에 따라 고정부(40)전체가 위치 이동이 될 수 있게 되도록 한다. 헬멧(1)의 단부가 압착판(51)과 내부압착부재(41) 사이에 결합되므로 탈부착볼트(55)를 조일 때 결합부(42)가 압착판(51)에서 조절판(52)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결합부(42)와 일체를 이루는 내부압착부재(41)도 함께 이동하게 되어 내부압착부재(41)와 압착판(51)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게 되므로 그 사이에 헬멧(1)의 단부가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탈부착볼트(55)의 결합 순서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베이스부(30)에서 압착판(51)과 조절판(52)에 결합되는 힌지부(60)는 조절판(52)에서 압착판(51)이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순서대로 압착판(51)과 조절판(52)과 힌지부(60)가 나란히 위치되어 조립되게 된다.
힌지부(60)에는 먼저, 탈부착 볼트공(44) 및 관통공(54)과 연통되는 관통창(64)이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부(60)에서 조절판(52)이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힌지축(61)이 위치되며 힌지 축 방향은 헬멧(1)의 단부 외주면에 대하여 방사방향 이므로 힌지부(60)와 조절판(52) 및 압착판(51)에 대하여 수직방향이 된다. 힌지축은 힌지부(6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며, 힌지축(61)의 외주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역시 힌지부(60)에 대해서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한편 힌지축(61)과는 연동되어 회전되는 마찰회전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61)과 마찰회전부(62)에는 회전프레임(20)의 배면이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데, 회전프레임(20)의 배면에 마찰회전부(62)와 대응되는 마찰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어 회전프레임(20)이 힌지축(61)과 연동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된다. 회전프레임(20)은 프레임 전체가 회전되어야 하므로 마찰고정부(미도시)는 회전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마찰회전부(62)의 표면과 마찰고정부(미도시)의 표면은 서로 함께 맞물릴 수 있는 치형 구조가 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회전 프레임(20)에서 힌지축 수용부(21)가 힌지축(61)과 돌기 결합등의 방법으로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별도의 치형 구조의 마찰회전부(62)는 필요 없을 수도 있다.
회전프레임(20)은 배면에 힌지부(60)와 결합되는 수직판과 상면에 광학 기기가 조립되는 수평판이 일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광학기구, 특히 카메라의 경우에는 카메라의 저면에 통상적으로 삼각대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결합이 가능한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수평판에도 카메라의 저면이 나사 결합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결합 나사공(22)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수평판의 저면에서부터 고정볼트(23)가 결합 나사공(22)을 관통하여 카메라의 저면에 형성되는 나사홈(미도시)에 결합되도록 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카메라는 저면이 수평판에 안착되며 배면은 힌지부(60)와 결합되는 상기 수직판과 대면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카메라가 본 고안에 의한 헬멧 탈착 브래킷에 결합될 때 카메라의 광축이 헬멧 단부를 이루는 원의 방사방향을 향하게 되어 힌지축(61)에 의하여 회전 프레임(20)이 회전하게 되면 카메라의 앵글 각이 그에 맞춰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프레임(20)의 상기 수직판에서 힌지부(60)의 관통창(64)과 대면하게 되는 부위에는 공구 삽입공(27)을 형성시켜서 탈부착볼트(55)의 헤드를 공구(80)로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의한 헬멧 탈착 브래킷에는 탈부착볼트(55)를 헬멧에 결합 시킬 때 필요한 공구(80)와 공구(8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구 수납부(8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공구(80)와 공구 수납부(81)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공구가 늘 함께 휴대될 수 있도록 하면, 바쁜 와중에서도 별도로 공구를 찾아야 하는 수고 없이도 헬멧 탈착 브래킷을 상황에 맞게 부착시키거나 탈착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헬멧 탈착 브래킷의 각 구성들이 서로 작용하는 국면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여 본 고안의 효과인 카메라 앵글의 자유로운 조절 및 헬멧에 상처 없는 브래킷의 탈부착이 어떻게 가능하게 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탈부착볼트(55)가 결합되는 구체적 위치를 알아보기로 하겠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고안에 의한 헬멧 탈착 브래킷은 헬멧의 단부에 결합될 때 볼트 조임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탈부착볼트(55)가 결합되는 순서를 차례대로 설명하면, 제일 먼저 힌지부(60)에 형성되는 관통창(64)으로 탈부착볼트(55)의 몸체가 관통되고 탈부착볼트(55)의 헤드는 관통창(64)에 걸리게 된다. 관통창(64)을 통과한 탈부착볼트(55)의 몸체는 그 다음으로 조절판(52)에 형성되는 관통공(54)을 통과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고정부(40)의 결합부(42)에 형성되는 탈부착 볼트공(44)에 삽입 되게 된다.
이때, 탈부착 볼트공(44)에는 탈부착볼트(55)의 규격에 맞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야 하며, 관통창(64)과 관통공(54)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앞서도 설명하였듯이 조절판(52)과 압착판(51) 사이에 결합부(42)가 조립되게 되며 조절판(52)과 압착판(51)사이의 간격은 결합부(42)의 두께보다 더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탈부착볼트(55)의 조임에 따라 결합부(42)의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42)는 내부압착부재(41)와 일체로 고정부(40)를 이루게 되며, 헬멧(1)의 단부는 외부압착부재(50)와 내부압착부재(41)사이에 결합하게 되므로, 탈부착볼트(55)의 조임에 따라 결합부(42)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결합부(42)와 일체가 되는 내부압착부재(41)도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어 정지 상태의 외부압착부재(50)와 내부압착부재(41)의 거리가 조절되게 되므로 헬멧(1)의 단부를 헬멧(1)의 안과 밖에서 압착하여 결합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구(8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될 때, 고정부(40) 전체가 방향 P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내부압착부재(41)와 외부압착부재(50)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그 사이에 헬멧(1)의 단부가 양면 압착 결합이 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외부압착부재(50)에서 헬멧(1)의 외면에 접촉하게 되는 부위, 즉 압착판(51)에서 헬멧(1)의 외면에 접촉되는 부위에는 쿠션(53)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헬멧(1) 표면에 상처가 나지 않게 하면서도 헬멧(1)과 압착판(51)이 접촉되는 면적이 더 넓어지게 되어 헬멧(1)에 본 고안에 의한 헬멧 탈착 브래킷이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헬멧(1)의 내면에 접촉되는 내부압착부재(41)의 상부 끝단을 헬멧 내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헬멧 단부의 끝이 아닌 헬멧 안쪽 깊숙한 부위에 내부압착부재(41)가 압착되도록 하여 헬멧(1)과 본 고안에 의한 헬멧 탈착 브래킷이 더 안정적으로 부착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회전 프레임(20)에 조립되는 광학기구(카메라)의 광축이 헬멧 단부의 방사 방향을 향하게 되어 광학기구(카메라)의 앵글 각도 조절이 자유롭게 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도면기호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학기구(카메라)가 조립되는 회전 프레임(20)은 힌지부(60)에 결합되는 수직판과 광학기구(카메라)의 저면이 안착 결합되는 수평판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수직판의 정면에는 광학기구(카메라)의 배면이 위치하게 되고 수직판의 배면에는 힌지부(6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힌지부(60)의 힌지축(61)은 수직판에 형성되는 힌지축 수용부(2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런데, 이때 도 3의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 중의 하나에 불과하며, 도 3과 달리 힌지축 수용부(21)가 오히려 힌지축(61)의 내주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 될 수도 있다.
힌지축 수용부(21)는 회전 프레임(20)에 대해서는 고정되며 힌지축(61)은 힌지부(6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므로 힌지축(61)과 결합되는 회전 프레임(20)은 힌지부(6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는 광학기구(카메라)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 프레임(20)에 의하여 앵글각도가 조절될 수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조절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앵글 각도의 조절 방향은 양쪽 방향 모두 가능할 수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광학기구(카메라)는 그 광축이 헬멧(1)의 단부 외주면의 방사방향을 향하게 되어 회전 프레임(20)의 회전에 따라 앵글 각 조정이 자유롭게 된다. 다만, 회전이 너무 자유로우면 필요한 앵글 각으로 조정하여도 광학기구(카메라)의 무게중심에 따라 광학기구(카메라)의 하중에 의하여 다시 원래 앵글각으로 복귀 될 수가 있다. 따라서, 힌지축(61)의 회전 토크를 크게 하여 한번 조정되는 앵글각이 광학기구의 하중에 의하여 원래 앵글각으로 복귀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힌지부(60)의 힌지축(61)에는 토크 조절 부재(65)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토크 조절 부재(65)는 토크 조절이 가능하기만 하면 그 종류에는 상관없으며, 따라서 힌지 스프링 혹은 와샤 등이 올 수 있다. 도 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힌지 스프링을 적용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간혹 광학기구(카메라)의 저면에 나사홈이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광학기구(카메라)가 아닌 다른 기구를 본 고안에 의한 헬멧 탈착 브래킷에 조립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회전 프레임(20)의 수평판에 필요한 기구를 결합시킬 때 나사 결합은 적용할 수 없으므로 밸크로 밴드등의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밖에 없다.
도 8에서는 저면에 나사홈이 없는 기구를 조립시킬 때 사용되도록 밸크로 밴드(2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헬멧 10 : 베이스 프레임
20 : 회전 프레임 30 : 베이스부
40 : 고정부 50 : 외부압착부재
60 : 힌지부 21 : 힌지축 수용부
22 : 결합 나사공 23 : 고정볼트
24 : 안착면 25 : 고정볼트 이탈방지 링
26 : 벨크로 테이프 27 : 공구 삽입공
41 : 내부압착부재 42 : 결합부
43 : 연결부 44 : 탈부착 볼트공
51 : 압착판 52 : 조절판
53 : 쿠션 54 : 관통공
55 : 탈부착볼트 61 : 힌지축
62 : 힌지접합면 63 : 결합나사
64 : 관통창 65 : 토크 조절 부재
66 : 이탈방지부재 67 : 이탈방지나사
80 : 공구 81 : 공구수납부

Claims (6)

  1. 탈부착볼트의 조임으로 헬멧 단부에 압착 결합되고, 겉면에 힌지부가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자유 회전 되도록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고, 광학 기구의 배면이 상기 힌지부를 향하는 광학기구 조립부가 구비되며, 조립되는 광학 기구의 광축이 헬멧 단부의 방사 방향을 향하게 되어 광학기구의 앵글 각이 자유롭게 조절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는 헬멧 탈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는 토크 조절 부재가 더 구비되어 광학 기구의 회전으로 선택되는 앵글 각도가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탈착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헬멧 외면을 압착하는 외부압착부재 및 상기 힌지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와, 헬멧 내면을 압착하는 내부압착부재 및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고정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탈착 브래킷.
  4. 제3항에 있어서,
    내부압착부재의 상부 끝단은 헬멧 내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탈착 브래킷.
  5. 제3항에 있어서,
    고정부에는 수평방향의 탈부착 볼트공이 형성되며,
    베이스부에는 상기 볼트 공과 간격을 두고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탈부착 볼트공에 결합되는 탈부착볼트의 조임과 풀림에 의하여 헬멧의 단부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탈착 브래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탈부착 볼트공에 결합되는 탈부착볼트를 조이는 공구 및 상기 공구가 수납되는 공구수납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탈착 브래킷.
KR2020140000532U 2014-01-23 2014-01-23 헬멧 탈착 브래킷 Expired - Fee Related KR200479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532U KR200479210Y1 (ko) 2014-01-23 2014-01-23 헬멧 탈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532U KR200479210Y1 (ko) 2014-01-23 2014-01-23 헬멧 탈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63U true KR20150002963U (ko) 2015-07-31
KR200479210Y1 KR200479210Y1 (ko) 2016-01-05

Family

ID=5387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53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9210Y1 (ko) 2014-01-23 2014-01-23 헬멧 탈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635A (zh) * 2019-08-29 2019-10-25 东莞市源冠塑胶模具有限公司 头盔用360度骑行记录
KR20210026218A (ko) * 2019-08-29 2021-03-1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무선 영상 전송 장치
KR20220041374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제윤메디컬 소방용 스마트 글라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6442U (ko) * 1979-04-10 1980-10-21
JP2004311188A (ja) * 2003-04-07 2004-11-04 Abc Twenty One:Kk 照明具
KR100949653B1 (ko) * 2008-03-20 2010-03-26 기 연 김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의 접이식 프레임과 제어 장치
KR200455149Y1 (ko) 2009-02-12 2011-08-22 주식회사 아이디폰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KR101200006B1 (ko) 2012-05-25 2012-11-12 정의성 휴대용 무선 카메라의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6442U (ko) * 1979-04-10 1980-10-21
JP2004311188A (ja) * 2003-04-07 2004-11-04 Abc Twenty One:Kk 照明具
KR100949653B1 (ko) * 2008-03-20 2010-03-26 기 연 김 모자 부착형 선글라스의 접이식 프레임과 제어 장치
KR200455149Y1 (ko) 2009-02-12 2011-08-22 주식회사 아이디폰 헬멧 내부에 카메라 장착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징
KR101200006B1 (ko) 2012-05-25 2012-11-12 정의성 휴대용 무선 카메라의 장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7635A (zh) * 2019-08-29 2019-10-25 东莞市源冠塑胶模具有限公司 头盔用360度骑行记录
KR20210026218A (ko) * 2019-08-29 2021-03-10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무선 영상 전송 장치
KR20220041374A (ko)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제윤메디컬 소방용 스마트 글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210Y1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5843B2 (en) Image orientation control for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US20080056709A1 (en) Locating structure for eyeball-shaped camera
WO2017071185A1 (zh) 一种全景拼接摄像机
KR101495496B1 (ko) 차량용 폐쇄회로 텔레비전 카메라장치
KR101722621B1 (ko) 회전식 거치대
KR200479210Y1 (ko) 헬멧 탈착 브래킷
CN108869974B (zh) 一种基于多摄像头图像分析处理的智能云台
US6860654B1 (en) Lens holding structure for wall-mounted surveillance camera
JP7584818B2 (ja) 取付け補助具及び撮像装置ユニット
US7480455B2 (en) Surveillance camera assembly with external adjusting rings
TWI767854B (zh) 相機固定架
KR101543770B1 (ko) 헬멧 부착형 카메라 마운트
WO2019119906A1 (zh) 滤镜组件以及云台相机
EP2183910B1 (en) Components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KR101463192B1 (ko) 3축 회전 감시카메라
JPH09200586A (ja) 監視用カメラ
JP6531291B2 (ja) 取付け補助具及び撮像装置ユニット
WO2019127409A1 (zh) 行车记录仪
AU2014240254B2 (en) Components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WO2019127411A1 (zh) 行车记录仪
WO2019127421A1 (zh) 行车记录仪
WO2019127410A1 (zh) 行车记录仪
AU2016201707A1 (en) Components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TW201507471A (zh) 監視器模組
TWM486579U (zh) 行車紀錄器之固定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1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51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12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100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