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2605U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605U
KR20150002605U KR2020140009501U KR20140009501U KR20150002605U KR 20150002605 U KR20150002605 U KR 20150002605U KR 2020140009501 U KR2020140009501 U KR 2020140009501U KR 20140009501 U KR20140009501 U KR 20140009501U KR 20150002605 U KR20150002605 U KR 201500026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ressing member
card
locking spring
tr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5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츠키 와타나베
카츠히코 고바야시
준야 츠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07332U external-priority patent/JP3189346U/en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02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605U/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하우징에 삽입된 삽입체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기구와, 삽입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 스프링을 구비한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록킹 스프링의 유지력을 향상시킨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의 이젝트 기구를 구성하는 프레싱 부재에는 록킹 스프링을 향해 돌출하는 제1철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록킹 스프링의 고정단과 자유단과의 사이에는 프레싱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제2철부가 설치된다. 록킹부에 의한 삽입체의 피록킹부에 대한 록킹 시에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이 프레싱 부재에 닿음과 동시에 록킹 스프링의 제2철부가 프레싱 부재의 제1철부에 닿는다.
A connector having a locking mechanism including an ejection mechanism for ejecting an insertion bod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locking spring for locking the insertion body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o provide.
The pressing member constituting the eject mechanism of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first convex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locking spring and a second convex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pressing member between the fixed end and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locking spring touches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at the time of locking the locked portion of the insert by the locking portion.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고안은 하우징에 삽입된 삽입체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기구와, 삽입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 스프링을 갖는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n ejection mechanism for ejecting an insertion member inserted into a housing and a locking mechanism having a locking spring for locking the insertion member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종래부터 메모리 카드나 SIM(가입자 식별모듈)카드 등과 같은 삽입체가 삽입되는 커넥터는 삽입체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기구와, 하우징에 삽입된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 스프링을 갖는 록킹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Conventionally, a connector in which an insertion member such as a memory card or a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is inserted includes a locking mechanism having an ejection mechanism for ejecting the insertion body and a locking spring for locking the insertion body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re are many.

종래의 상기와 같은 종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connector of the above-described kind, for example, a connector shown in Patent Document 1 has been proposed.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커넥터는 하우징에 삽입된 삽입체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기구와, 삽입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The connector shown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n ejection mechanism for ejecting an insertion bod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locking spring for locking the insertion body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이젝트 기구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 이젝트 아암과 외부로부터 프레싱(押壓)됨으로써 일단에서 이젝트 아암을 구동하는 프레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The eject mechanism includes an eject arm that is rotatably pivoted to the housing and a pressing member that is pressed from the outside to drive the eject arm at one end.

여기서 록킹 스프링은 이젝트 기구의 프레싱 부재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판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자유단 근방에 록킹부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록킹부는 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이 삽입체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하우징의 폭 방향을 향하도록, 폭 방향 내측에 만곡하여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부는 삽입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체의 측면에 설치된 요부에 파고들어 삽입체의 배출을 방지한다. 그리고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은 스토퍼에 록킹되어 있다.Here, the locking spring is formed in a leaf spring shape which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o as to extend in a cantilevered form in the pressing member of the ejection mechanism, and a lock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ree end thereof. The locking portion is curved and protrud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such that the normal direction of the main surface of the plate is directe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body. The lock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to prevent the insertion body from being discharged.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is locked to the stopper.

특개2013-5113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51134

그러나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nect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삽입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록킹부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면, 삽입체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다시 말하면, 삽입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커넥터가 떨어지거나 심하게 진동하면, 록킹부에 과대한 하중이 걸린다. That is, if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lock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insertion body may fall off the housing. In other words, if the connector is dropped or severely vibrated, for example, while th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locking portion.

록킹부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면 록킹부가 찌그러지는 방향으로 변형한다.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 즉 록킹부의 자유단은 스토퍼에 록킹되어 록킹부의 자유단의 변위는 방지된다. 그러나 록킹 스프링의 고정단에서 록킹부의 자유단까지의 사이는 어떤 부재에 의해서도 지지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록킹 스프링의 고정단에서 록킹부의 자유단까지의 사이는 용이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과대한 하중이 걸린 때에 록킹부는 찌그러지는 방향으로 변형한다.If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locking portion, the locking portion deforms in a direction of collapsing.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that is, the free end of the locking portion, is locked to the stopper to prevent displacement of the free end of the locking portion. However, the space between the fixed end of the locking spring and the free end of the locking portion is not supported by any member.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end of the locking spring and the free end of the locking portion can be easily deformed, and when the excessive load is applied, the locking portion is deformed in the collapsing direc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우징에 삽입된 삽입체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기구와, 삽입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 스프링을 갖는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록킹 스프링의 유지력을 향상시킨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ing mechanism having an ejection mechanism for ejecting an insertion body inserted into a housing and a locking spring for locking the insertion body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body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 connector with improved retaining force of a locking spring in one conne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형태에 관련하는 커넥터는, 삽입체가 삽입되는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에 고정된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삽입체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기구와, 상기 삽입체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 스프링을 갖는 록킹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삽입체를 배출하는 이젝트 아암과, 외부로부터 프레싱됨으로써 일단에서 상기 이젝트 아암을 구동하는 프레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 기구의 록킹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자유단 근방에 상기 삽입체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에 설치된 피록킹부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고, 상기 프레싱 부재에는 상기 록킹 스프링을 향해 돌출하는 제1철부(凸部)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 스프링의 고정단과 자유단과의 사이에는 상기 프레싱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제2철부가 설치되고, 상기 록킹부에 의한 상기 피록킹부의 록킹 시에 상기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이 상기 프레싱 부재에 닿음과 동시에, 상기 록킹 스프링의 제2철부가 상기 프레싱 부재의 제1철부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including a housing into which an insert is inserted, a plurality of contacts fixed to the housing, an eject mechanism for ejecting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locking mechanism having a locking spring for locking the insertion body in the inserted state of the insertion body, wherein the eject mechanism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ousing, and the insertion bod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pressed from the outside to drive the eject arm at one end thereof, wherein the locking spring of the locking mechanism is fixed to the housing and extends in a cantilevered manner, With a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unlocked portion provided on the insert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body is completed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convex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locking spring and a second convex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end and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abuts on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locking spring contacts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when the locked portion is locked by the locking portion.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부재에는 상기 삽입체의 삽입 및 배출 시에서의 상기 록킹부가 상기 피록킹부를 록킹하지 않는 때에, 상기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llowing passage of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when the locking portion does not lock the locked portion when inserting and ejecting the insert Do.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철부는 상기 록킹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자유단과 반대측 록킹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nector, the second convex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locking portion opposite to the free end with the lock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nnec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 is a card tray on which a card is mounted.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 단일체라도 좋다.In the connector, the insert may be a single card.

더욱이 상기 삽입체는 카드용 트레이 단일체라도 좋다.Furthermore, the insert may be a single tray for a car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에 의하면, 프레싱 부재에는 록킹 스프링을 향해 돌출하는 제1철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록킹 스프링의 고정단과 자유단과의 사이에는 프레싱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제2철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록킹부에 의한 삽입체의 피록킹부에 대한 록킹 시에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이 프레싱 부재에 닿음과 동시에, 록킹 스프링의 제2철부가 프레싱 부재의 제1철부에 닿는다. 이 때문에 록킹 스프링의 록킹부가 삽입체의 피록킹부를 록킹한 때에 록킹 스프링은 자유단 및 상기 제2철부의 2점에 의해 프레싱 부재에 지지된다. 이때문에 록킹 스프링의 고정단에서 자유단까지의 사이는 1점에서 지지되는 것보다 변형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록킹부에 과대한 하중이 걸린 때에 록킹부가 찌그러지는 방향으로 변형할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어, 록킹 스프링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locking spring, and a second convex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end and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 When the locking member is locked to the locked portion of the insert by the locking portion,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locking spring contacts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Therefore, when the locking portion of the locking spring locks the portion to be locked of the insertion body, the locking spring is supported by the pressing member by two points of the free end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Therefore, the distance from the fixed end to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is less deformable than that supported at one point. Accordingly, when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locking portion, the possibility that the locking portion is deformed in the collapsing direction can be reduced,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locking spring can be improved.

또한 록킹부에 의한 삽입체의 피록킹부에 대한 록킹 시에는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이 프레싱 부재에 닿음과 동시에, 록킹 스프링의 제2철부가 프레싱 부재의 제1철부에 닿는다. 이 때문에 프레싱 부재의 록킹 스프링에 대한 접촉은 프레싱 부재와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 프레싱 부재의 제1철부와 록킹 스프링의 제2철부와의 철부들로 달성된다. 이에 따라 프레싱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때에 그들의 접촉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프레싱 부재를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When the locking member is locked to the locked po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locking spring contacts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Therefore, the contact of the pressing member with the locking spring is achieved by the free ends of the pressing member and the locking spring, and the convex portions of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locking spring. As a result, when the pressing member slides, the contact state thereof can be easily released, and the pressing member can be easily sli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를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 및 핀과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와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와 핀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우측 경사 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와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와 핀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좌측 경사 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카드와 카드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 상태의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에서 셸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A)에서의 5B-5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셸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A)에서의 6B-6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만 도 6에 있어서는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7은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이젝트 아암의 타단에 닿은 상태에서 셸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A)에서의 화살표7B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이젝트 아암의 타단에 닿은 상태에서 셸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B)에서의 화살표8C로 나타내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셸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핀이 프레싱 부재의 타단에 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핀의 프레싱이 진행되고,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의 배출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design together with a card tray and a pin on which a card is mount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tray and the card, on which the connector and the card shown in Fig. 1 are mounted, as viewed from the right obliquely forward.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and the card tray on which the card and the connector shown in Fig. 1 are disassembled as viewed from the left oblique fro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d and a card tray.
5B is a plan view,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5B-5B (A) in FIG. 5A,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hell is removed from the connector shown in FIG. 1 before the card- Fig.
Fig. 6 is a plan view of the shell with the card inserted thereinto, and Fig. 6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6B-6B in Fig. In Fig. 6, the card tray on which the card is mounted is not shown.
7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7B in FIG. 7A;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rd, As shown in FIG.
Fig. 8 is a plan view, Fig. 8 (B) is a right side view, Fig. 8 (C) is a side view of the cartridge,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8C in Fig.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ell is removed in a state where insertion of a card tray on which a card is mounted is completed, and Fig. 9 (A) is a plan view and Fig. 9 (B) is a right side view.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pin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insertion of the card tray with the card mounted thereon is completed, and Fig. 10 (A) is a plan view and Fig. 10 (B) is a right side view.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of the pin proceeds in the state shown in Fig. 10 and the discharging of the card tray on which the card is mounted is completed. Fig. 11A is a plan view and Fig.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1)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다. 그리고 커넥터(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 SIM카드 등과 같은 카드(C)를 탑재한 삽입체로서의 카드용 트레이(60)가 삽입 및 배출된다. 상기 카드용 트레이(60)는 도 1,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화살표X로 나타내는 트레이 삽입 방향(앞에서 뒤로 향하는 방향)으로 커넥터(1)에 삽입된다. 또한 카드용 트레이(60)는 도 1, 도 5, 도 6,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화살표Y로 나타내는 트레이 배출 방향(뒤에서 앞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핀(70)을 이용하여 커넥터(1)에서 배출된다. 카드용 트레이(60)에 탑재된 카드(C)가 커넥터(1)에 삽입됨으로써 카드(C)와 회로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달성된다.The connector 1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not shown). As shown in Fig. 1, a card tray 60 as an insert having a card C such as a memory card, a SIM card or the like mounted thereon is inserted into and ejected from the connector 1. Fig. The card tray 6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 in the tray inserting direction (front-to-back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X in Figs. 1, 5, 6, 7, 8 and 9. Further, the card tray 60 is also connected to the connector 1 using the pin 70 in the tray discharge direction (the direction from the back to the front) indicated by the arrow Y in Figs. 1, 5, 6, 10 and 11 . The card C mounted on the card tray 6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 to achie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ard C and the circuit board.

여기서 카드용 트레이(6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도 2에서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도 2에서의 하방을 전방, 상방을 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카드 유지체(61)를 구비하고 있다. 카드 유지체(61)에는 카드(C)를 수용하는 요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Here, as shown in Figs. 2 to 4, the card tray 6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2) and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the lower side in Fig. 2, And a card retention member 61. [ The card retainer 61 is provided with a recess 61a for receiving the card C. [

카드 유지체(61)의 전부(前部)에는 카드 유지체(61)보다 폭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는 전단벽(6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단벽(62)의 후면이며 카드 유지체(61)보다도 폭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에는 통상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부(63)에는 전단벽(62)의 전면에서 통상부(63)의 후단면을 관통하는 핀용 관통공(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드 유지체(61)의 요부(61a)의 저벽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직사각형상의 개구(6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61b)는 후술하는 커넥터(1)의 복수의 콘택트(20)가 카드(C)의 뒷면에 형성된 복수의 접촉 패드(미도시)에 접촉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A front end wall 62 extending from the card retention body 61 so as to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rd retention body 61. A cylindrical portion 63 is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wall 62 and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card retention body 61. The tubular portion 63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64 for the pin passing through the rear end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63 at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end wall 62. 4, a large rectangular opening 61b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of the concave portion 61a of the card retention housing 61. As shown in Fig. The opening 61b makes it possible for a plurality of contacts 20 of the connector 1 described below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tact pads (not shown) formed on the back face of the card C. [

또한 카드용 트레이(60)의 카드 유지체(61)의 폭 방향 우측면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에 위치하는 제1요부(65a)와, 전후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피록킹부로서의 제2요부(65b)가 설치되어 있다. 4,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card holder 61 of the card tray 60, a first recessed portion 65a which is located at the rear portion and a second recessed portion 65b which is located at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A recess 65b is provided.

한편 카드용 트레이(60)의 카드 유지체(61)의 폭 방향 좌측면에는 도 3 및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요부(65a)와 폭 방향에서 대칭으로 위치하는 제3요부(66a)와, 제2요부(65b)와 폭 방향에 대칭으로 위치하는 제4요부(66b)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 and 8 (A), on the left side surfa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d holding body 61 of the card tray 60, a third recessed portion And a fourth recessed portion 66b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the second recessed portion 65b in the width direction.

다음으로 커넥터(1)는 도 1 내지 도 3, 도 5(A), (B) 및 도 6(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하우징(10)과, 금속제의 복수의 콘택트(20)와, 금속제의 셸(30)과, 이젝트 기구(40), 록킹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Next, as shown in Figs. 1 to 3, Figs. 5A and 5B and Figs. 6A and 6B, the connector 1 includes a housing 10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plurality of contacts A metal shell 30, an ejection mechanism 40,

여기서 하우징(10)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도 5(A)에서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도 5(A)에서의 하방을 전방, 상방을 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저벽(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벽(11)의 폭 방향 좌측 둘레에는 좌측벽(12)이 설치되고, 저벽(11)의 폭 방향 우측 둘레에는 우측벽(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벽(11)의 후측 둘레에는 후벽(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저벽(11) 상에는 전측이 개방되어 있는 트레이 삽입 공간(15)이 형성되어 있다.5 (A), the housing 10 is extended in the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5 (A)) and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downward in Fig. And a bottom wall 11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 left side wall 12 is provided around the lef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11 and a right side wall 13 is provided around the righ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11. A rear wall 14 is provided around the rear side of the bottom wall 11. On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10, there is formed a tray inserting space 15 whose front side is opened.

카드(C)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6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전측에서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삽입되어, 화살표X로 나타내는 트레이 삽입 방향으로 진행한다. 또한 카드(C)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60)는 트레이 삽입 공간(15)에서 화살표Y로 나타내는 트레이 배출 방향으로 핀(70)을 이용하여 배출된다.1, the card tray 60 on which the card C is mounted is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from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 and proceeds in the tray inserting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X. The card tray 60 on which the card C is mounted is discharged using the pin 70 in the tray discharging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Y in the tray inserting space 15. [

또한 저벽(11)의 트레이 삽입 공간(15)의 폭 방향 우측에는 후술하는 록킹 기구(50)의 제1록킹 스프링(51)을 고정하는 고정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벽(11)의 트레이 삽입 공간(15)의 폭 방향 우측이며 고정부(16)의 전방에는 후술하는 프레싱 부재(41)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하는 돌기부(17)가 설치되어 있다. A fixing portion 16 for fixing the first locking spring 51 of the locking mechanism 5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insertion space 15 of the bottom wall 11. A projecting portion 17 for guiding a sliding operation of a pressing member 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insertion space 15 of the bottom wall 11 and in front of the fixing portion 16.

또한 복수의 콘택트(20)는 도 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폭 방향을 따라 저벽(11)에 전후 2열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콘택트(20)는 트레이 삽입 공간(15)에 삽입된 카드(C)의 뒷면에 설치된 접촉 패드에 접촉함과 동시에, 회로 기판에 접속된다. 각 콘택트(20)는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5A and 5B, the plurality of contacts 20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two rows on the bottom wall 11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Each contact 20 is in contact with a contact pad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card C inserted in the tray insertion space 15 and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Each of the contacts 20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conductive metal plate.

또한 셸(3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측에 장착된다. 셸(3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면을 덮는 평면부(31)와, 하우징(10)의 폭 방향 양 측면을 덮는 한 쌍의 측면부(32)와, 하우징(10)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33)를 구비하고 있다. The shell 3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s. 1, the shell 30 includes a flat surface portion 31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32 covering both side surfac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a rear face portion 33 covering the rear face of the rear face.

평면부(31)는 하우징(10)의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측면부(32)는 평면부(31)의 폭 방향 각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후면부(33)는 평면부(31)의 후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셸(30)은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The flat surface portion 3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10. Each of the side portions 32 extends downward on each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at portion 31. Further, the rear face portion 33 extends downward from the rear face of the flat face portion 31. The shell 30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conductive metal plate.

더욱이 이젝트 기구(40)는 트레이 삽입 공간(15)에 삽입된 카드(C)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60)를 배출하는 것이며, 도 5(A) 및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아암(42)과 프레싱 부재(41)를 구비하고 있다.5A and 6A, the eject mechanism 40 ejects the card tray 60 on which the card C inserted in the tray insertion space 15 is mounted. As shown in FIGS. 5A and 6A, And includes an arm 42 and a pressing member 41.

이젝트 아암(42)은 하우징(10)의 저벽(11)의 후단부 근방에 설치된 회전축(4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이젝트 아암(42)은 금속제의 평판상 부재로, 이젝트 아암(42)의 일단(42a)은 하우징(10)의 폭 방향 우단 근방에 위치하고, 타단(42b)은 카드용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젝트 아암(42)은 도 10(A) 및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타단(42b)에서 트레이 삽입 공간(15)에 삽입된 카드용 트레이(60)의 후측 둘레를 프레싱하여 카드용 트레이(60)를 배출한다.The eject arm 42 is rotatably supported by a rotary shaft 43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10. One end 42a of the eject arm 42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right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is located in the card tray insertion space 15 Is located. The eject arm 42 presses the rear edge of the card tray 60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at the other end 42b as shown in Figs. 10 (A) and 11 (A) And the tray 60 is discharged.

또한 프레싱 부재(41)는 하우징(10)의 폭 방향 우단 근방에 배치되고, 후방향(트레이 삽입 방향X) 및 전방향(트레이 배출 방향Y)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프레싱 부재(41)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싱 부재(41)는 일단(41a)이 있는 후측이 하우징(10)에 설치된 고정부(16)의 폭 방향 우측면(16a)과 우측벽(13)의 폭 방향 좌측면(13a)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Further, the pressing member 41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right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slides in the backward direction (tray inserting direction X) and forward (tray ejecting direction Y). The pressing member 41 is made of a metal plate member. The pressing member 41 has a rear side where one end 41a is located between the right side surface 16a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16 provided on the housing 10 and the left side surface 13a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ight side wall 13 .

또한 프레싱 부재(41)는 타단(41b)이 있는 전측이 돌기부(17)와 우측벽(13)의 폭 방향 좌측면(13a)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싱 부재(41)는 판의 주면의 법선 방향이 하우징(10)의 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프레싱 부재(41)의 슬라이딩 동작은 고정부(16)의 폭방향 우측면(16a)과 우측벽(13)의 폭 방향 좌측면(13a) 및 돌기부(17)와 우측벽(13)의 폭방향 좌측면(13a)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프레싱 부재(41)의 일단(41a)은 폭 방향 내측으로 꺽어져 그 후면에서 이젝트 아암(42)의 일단(42a)에 닿는다. 또한 프레싱 부재(41)의 타단(41b)은 폭 방향 내측으로 꺽어져 그 전면을 핀(70)이 프레싱한다(도 10(A), (B) 참조).The pressing member 41 is dispos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17 and the left lateral side 13a of the right side wall 13 with the other end 41b. The pressing member 41 is arranged so that the normal direction of the main surface of the plate coincides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member 41 is performed in the widthwise left side surface 13a of the right side wall 16a and the right side wall 13 of the fixing portion 16 and in the widthwise left side 13b of the protrusion 17 and the right side wall 13 And guided by the surface 13a. The one end 41a of the pressing member 41 is bent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contacts the one end 42a of the eject arm 42 from the rear surface thereof. The other end 41b of the pressing member 41 is bent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pin 70 presses the entire surface thereof (see Figs. 10 (A) and (B)).

그리고 프레싱 부재(41)의 타단(41b)이 핀(70)에 의해 후방향으로 프레싱되면, 프레싱 부재(41)는 후방향(X)으로 슬라이딩 동작한다. 그러면 프레싱 부재(41)의 일단(41a)이 이젝트 아암(42)의 일단(42a)을 후방향으로 프레싱하고, 이젝트 아암(42)이 회전축(43)을 중심으로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이 전방향(트레이 배출 방향)으로 카드용 트레이(6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And the other end 41b of the pressing member 41 is pressed in the backward direction by the pin 70, the pressing member 41 slides in the backward direction X. [ The one end 41a of the pressing member 41 presses one end 42a of the eject arm 42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the eject arm 42 rotates counterclockwise do.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moves the card tray 60 in the forward direction (tray ejection direction).

또한 록킹 기구(50)는 카드용 트레이(60)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해당 카드용 트레이(60)를 록킹하는 것이다. 상기 록킹 기구(50)는 도 5(A) 및 도 6(A)에 나타내는 록킹 스프링으로서의 제1록킹 스프링(51)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제2록킹 스프링(52)을 구비하고 있다.Further, the locking mechanism 50 locks the card tray 60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of the card tray 60 is completed. The locking mechanism 50 includes a first locking spring 51 as a locking spring shown in Figs. 5A and 6A and a second locking spring 52 shown in Figs. 2 and 3 .

제1록킹 스프링(51)은 하우징(10)에 설치된 고정부(16)에 압입 고정되는 금속제의 판 스프링 부재이다. 제1록킹 스프링(51)은 그 후단부에 있는 압입고정부(51a)에서 고정부(16)에 압입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록킹 스프링(51)은 프레싱 부재(41)의 폭 방향 내측(폭 방향 좌측)에 있어서 판 주면의 법선 방향이 하우징(10)의 폭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록킹 스프링(51)의 전단부 근방, 즉 자유단(51d)의 근방에는 록킹부(51b)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부(51b)는 하우징(10)의 폭 방향 내측(폭 방향 좌측)에 만곡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제1록킹 스프링(51)은 탄력성을 갖는 금속판을 펀칭 및 휨 가공하여 형성된다.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a metal leaf spring member press-fitted into the fixing portion 16 provided on the housing 10.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press-fitted into the fixing portion 16 at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51a and extends forward in a cantilevered manner.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disposed so that the normal direction of the plate peripheral surface is coincident with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on the inn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lef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41. A locking portion 51b is provided near the front en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that is, in the vicinity of the free end 51d. The locking portion 51b protrud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lef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n a curved state.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formed by punching and bending a metal plate having elasticity.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용 트레이(60)가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카드용 트레이(60)가 트레이 삽입 공간(15)에 삽입되는 도중에 카드용 트레이(60)의 제1요부(65a)에 파고든다. 그리고 카드용 트레이(60)의 트레이 삽입 공간(15)으로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부(51b)는 제1요부(65a)에서 빠져나와 제2요부(65b)에 파고들어 카드용 트레이(60)를 록킹한다.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when the card tray 60 is not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Respectively.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fits into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of the card tray 60 while the card tray 60 is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 When the insertion of the card tray 60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A, the locking portion 51b comes out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and comes out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65b so as to lock the card tray 60.

여기서 프레싱 부재(41)의 일단(41a)과 타단(41b)과의 사이이며 고정부(16)와 돌기부(17)와의 사이에는 제1록킹 스프링(51)을 향해 돌출하는 제1철부(41c)가 설치되어 있다. 제1철부(41c)는 폭 방향 내측(폭 방향 좌측)에 만곡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록킹 스프링(51)의 고정단(51c)과 자유단(51d)과의 사이이며 록킹부(51b)를 사이에 두고 자유단(51d)과 반대측에는 프레싱 부재(41)를 향해 돌출하는 제2철부(51e)가 설치되어 있다. 제2철부(51e)는 폭 방향 외측(폭 방향 우측)에 만곡 상태로 돌출되어 있다.A first convex portion 41c protruding toward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provided between the one end 41a and the other end 41b of the pressing member 41 and between the fixing portion 16 and the protrusion 17, Respectively. The first convex portion 41c protrude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lef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a curved state. And protrudes toward the pressing member 41 between the fixed end 51c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and the free end 51d 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ee end 51d with the locking portion 51b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second convex portion 51e is provided. The second convex portion 51e protrud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right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n a curved state.

그리고 록킹부(51b)에 의한 제2요부(65b)에 대한 록킹 시에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이 프레싱 부재(41)에 닿는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록킹 스프링(51b)의 제2철부(51e)가 프레싱 부재(41)의 제1철부(41c)에 닿는다.9 (A),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41 when locking the second recessed portion 65b by the locking portion 51b.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vex portion 51e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vex portion 41c of the pressing member 41.

또한 제2록킹 스프링(5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 셸(30)의 좌측 측면부(32)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스프링 아암부(52a)와, 스프링 아암부(52a)의 전단에 설치된 록킹부(52b)를 구비하고 있다. 3,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includes a spring arm portion 52a extending forward in a cantilevered manner from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32 of the metal shell 30, a spring arm portion 52a extending forward, And a locking part 52b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locking part 52b.

록킹부(52b)는 카드용 트레이(60)가 카드 삽입 공간(15) 내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부(52b)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카드용 트레이(60)가 하우징(10)에 삽입되는 도중에 카드용 트레이(60)의 제3요부(66a)에 파고든다. 그리고 카드용 트레이(60)의 삽입이 완료되면 록킹부(52b)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요부(66a)에서 빠져나와 제4요부(66b)에 파고든다. 이로 인해 카드용 트레이(60)가 록킹된다.The locking portion 52b protrudes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in a state in which the card tray 60 is not inserted into the card insertion space 15. [ The locking portion 52b fits into the third recessed portion 66a of the card tray 60 while the card tray 6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though not shown. When the insertion of the card tray 60 is completed, the locking portion 52b is pulled out of the third recess 66a (not shown) and fits into the fourth recess 66b. As a result, the card tray 60 is locked.

또한 프레싱 부재(41)의 타단(41b)의 근방에는 도 7,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싱 부재(41)의 하측 둘레에서 상방을 향해 노치되어 있는 개구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41d)는 카드용 트레이(60)의 삽입 및 배출 시의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가 제2요부(65b)를 록킹하지 않은 때에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의 통과를 허용한다.7, 8 and 11, an opening 41d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end 41b of the pressing member 41 so as to be notched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41 . The opening 41d is formed in the first locking spring 51 when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does not lock the second recess 65b at the time of insertion and ejection of the card tray 60, To pass through the free end 51d.

다음으로 도 5, 도 8(A), (B),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이젝트 기구(40)의 동작, 록킹 기구(5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jecting mechanism 40 and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echanism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8 (A), 8 (B), 9, 10 and 11.

우선 하우징(10)에 카드(C)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6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기구(40)의 프레싱 부재(41)는 최후방에 위치하고,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은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위치하고 있다.5 (A), the pressing member 41 of the ejection mechanism 40 is moved to the leftmost position in the state where the card tray 60 on which the card C is mounted is not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is positioned in the tray inserting space 15.

또한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용 트레이(60)가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돌출되어 있다. 제2록킹 스프링(52)의 록킹부(52b)는 카드용 트레이(60)가 카드 삽입 공간(15)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돌출되어 있다.5A, when the card tray 60 is not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 The locking portion 52b of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protrudes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in a state where the card tray 60 is not inserted into the card insertion space 15. [

그리고 도 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C)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60)가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삽입되면, 카드용 트레이(60)의 선단이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에 닿는다. 카드용 트레이(60)가 트레이 삽입 공간(15) 내에 삽입된 당초에는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카드용 트레이(60)의 우측 둘레를 따라 폭 방향 외측으로 일단 변위한다. 또한 제2록킹 스프링(52)의 록킹부(52b)도 카드용 트레이(60)의 좌측 둘레를 따라 폭 방향 외측으로 일단 변위한다. 8 (A) and 8 (B), when the card tray 60 on which the card C is mounted is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the tip of the card tray 60 is inserted into the eject arm And touches the other end 42b.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once dis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 along the right edge of the card tray 60 once the card tray 60 is inserted into the tray insertion space 15 . The locking portion 52b of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is also displaced once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left periphery of the card tray 60. [

그리고 카드용 트레이(60)가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에 닿기 전에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카드용 트레이(60)의 우측 둘레를 따라 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하여 카드용 트레이(60)의 제1요부(65a)에 파고든다. 또한 제2록킹 스프링(52)의 록킹부(52b)도 카드용 트레이(60)의 좌측 둘레를 따라 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하여 카드용 트레이(60)의 제3요부(66a)에 파고든다. 그리고 카드용 트레이(60)의 삽입이 진행하여 카드용 트레이(60)가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에 닿은 상태에서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제1요부(65a)의 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에 의해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다. 또한 제2록킹 스프링(52)의 록킹부(52b)는 제3요부(66a)의 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에 의해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다.Before the card tray 60 touches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mov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right edge of the card tray 60 And fits to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of the card tray 60. The locking portion 52b of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is also displac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left periphery of the card tray 60 and fits into the third recessed portion 66a of the card tray 60. [ When the insertion of the card tray 60 is continued and the card tray 6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And is displac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y an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65a. The locking portion 52b of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is displac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third recessed portion 66a.

여기서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가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 상태에서는 도 7 및 도 8(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은 프레싱 부재(41)에 형성된 개구부(41d)를 통과한다.7 and 8 (A) and 8 (B), when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displac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ree en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51d pass through the opening 41d formed in the pressing member 41. [

더욱 카드용 트레이(60)의 삽입이 진행되면,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더욱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하여 제1요부(65a)를 빠져나간다. 또한 제2록킹 스프링(52)의 록킹부(52b)도 더욱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하여 제3요부(66a)를 빠져나간다. When the insertion of the card tray 60 further proceeds,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further displac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 exit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The locking portion 52b of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is further displac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its the third recessed portion 66a.

록킹부(51b)가 제1요부(65a)를 빠져나가는 때에 제1요부(65a)의 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 위를 이동하기 때문에, 록킹부(51b)는 제1요부(65a)를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또한 록킹부(52b)가 제3요부(66a)를 빠져나가는 때에, 제3요부(66a)의 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 위를 이동하기 때문에, 록킹부(52b)도 제3요부(66a)를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이때에도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은 프레싱 부재(41)에 형성된 개구부(41d)를 통과한다. 또한 이때 카드용 트레이(60)의 선단이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을 프레싱하여 이젝트 아암(4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젝트 아암(42)의 일단(42a)에 프레싱되어 프레싱 부재(41)가 전방향(트레이 배출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The locking portion 51b moves on the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when the locking portion 51b exits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I can go out. Since the locking portion 52b moves on the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third recessed portion 66a when the locking portion 52b exits the third recessed portion 66a, You can escape. At this time,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passes through the opening 41d formed in the pressing member 41. At this time, the tip of the card tray 60 presses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and the eject arm 42 rotates clockwise. The pressing member 41 is pressed in one end 42a of the eject arm 42 to slide in the forward direction (tray ejection direction).

그리고 카드용 트레이(6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제2요부(65b)에 파고든다. 이로 인해 카드용 트레이(60)를 록킹한다. 또한 제2록킹 스프링(52)의 록킹부(52b)도 제4요부(66b)에 파고들어 카드용 트레이(60)를 록킹한다.When the insertion of the card tray 60 is completed,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displac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9 (A) (65b). Thereby locking the card tray (60). The locking portion 52b of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also penetrates into the fourth recess 66b to lock the card tray 60. [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용 트레이(60)의 삽입이 완료된 때에는 카드용 트레이(60)의 선단이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을 프레싱하고, 이젝트 아암(42)이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젝트 아암(42)의 일단(42a)에 프레싱되어 프레싱 부재(41)가 더욱 전방향(트레이 배출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이 프레싱 부재(41)의 측면에 닿는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1록킹 스프링(51)의 제2철부(51e)가 프레싱 부재(41)의 제1철부(41c)에 닿는다.9, when the insertion of the card tray 60 is completed, the tip of the card tray 60 presses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and the eject arm 42 is further clockwise . The pressing member 41 is pressed against the one end 42a of the eject arm 42 to further slide in the forward direction (tray ejection direction). And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touches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41. [ At the same time, the second convex portion 51e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vex portion 41c of the pressing member 41.

이와 같이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가 카드용 트레이(60)의 제2요부(65b)를 록킹한 때에는 제1록킹 스프링(51)은 자유단(51d) 및 제2철부(51e)의 2점에 의해 프레싱 부재(41)에 지지된다. 이 때문에 제1록킹 스프링(51)의 고정단(51c)에서 자유단(51d)까지의 사이는 1점에서 지지되는 것보다 변형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록킹부(51b)에 과대한 하중이 걸린 때에 록킹부(51b)가 찌그러지는 방향으로 변형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록킹 스프링(51)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locks the second recessed portion 65b of the card tray 60 in this way,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free from the free end 51d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1b, Is supported by the pressing member 41 by two points of the pressing member 51e.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end 51c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and the free end 51d is less deformed than that supported at one point. Thus, the possibility that the locking portion 51b is deformed in the collapsing direction when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locking portion 51b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holding force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can be improved.

또한 제1록킹 스프링(51)의 제2철부(51e)는 록킹부(51b)를 사이에 두고 자유단(51d)과 반대측이며 록킹부(51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록킹부(51b)는 제2철부(51e)로 지지되기 때문에 록킹부(51b)가 찌그러지는 방향으로 변형할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The second convex portion 51e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ee end 51d with the locking portion 51b therebetween and in the vicinity of the locking portion 51b. Therefore, since the locking portion 51b is supported by the second convex portion 51e, the possibility that the locking portion 51b is deformed in the collapsing direction can be reduced.

다음으로 카드용 트레이(60)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카드용 트레이(60)를 배출하는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70)을 이용하여 카드용 트레이(60)를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핀(70)을 카드용 트레이(60)의 핀용 관통공(64)을 삽입 통과시켜 하우징(10)의 전방에서 프레싱 부재(41)의 타단(41b)에 닿게 한다. 그리고 핀(70)이 프레싱 부재(41)의 타단(41b)에 닿은 상태에서 핀(70)을 후방향(화살표X로 나타내는 트레이 삽입 방향)으로 프레싱한다. 그러면 프레싱 부재(41)가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프레싱 부재(41)의 일단(41a)이 이젝트 아암(42)의 일단(42a)을 프레싱하고, 이젝트 아암(42)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에 프레싱되어 카드용 트레이(60)가 전방향(화살표Y로 나타내는 트레이 배출 방향)으로 이동한다. Next, as shown in Fig. 10, the card tray 60 is ejected using the pin 70 when the card tray 60 is ejected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of the card tray 60 is completed. Specifically, the pin 7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64 for a pin of the card tray 60 so as to touch the other end 41b of the pressing member 41 at the front of the housing 10. The pin 70 is pressed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tray insertion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X) in a state where the pin 7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41b of the pressing member 41. Then the pressing member 41 slides rearward and one end 41a of the pressing member 41 presses one end 42a of the eject arm 42 and the eject arm 42 rotates counterclockwise . The card tray 60 is pressed in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to move in the forward direction (tray ejection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Y).

여기서 프레싱 부재(41)가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전에는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이 프레싱 부재(41)의 측면에 닿고, 또한 제1록킹 스프링(51)의 제2철부(51e)가 프레싱 부재(41)의 제1철부(41c)에 닿아 있다. 이 때문에 프레싱 부재(41)의 제1록킹 스프링(51)에 대한 접촉은 프레싱 부재(41)의 측면과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 프레싱 부재(41)의 제1철부(41c)와 제1록킹 스프링(51)의 제2철부(51e)와의 철부끼리 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프레싱 부재(41)가 후방향 슬라이딩하는 때에 그들 접촉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프레싱 부재(41)를 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레싱 부재(41)가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은 프레싱 부재(41)의 개구부(41d)의 측부에 위치한다.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41 before the pressing member 41 slides rearward and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41, 51e contact the first convex portion 41c of the pressing member 4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ontact of the pressing member 41 with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preven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41 and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The convex portion between the first locking portion 41c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51e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achieved. As a result, when the pressing member 41 slides rearward, the contact state thereof can be easily released, and the pressing member 41 can be easily slid rearward.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41d of the pressing member 41 when the pressing member 41 slides rearward.

그리고 카드용 트레이(60)가 전방향(화살표Y로 나타내는 트레이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카드용 트레이(60)의 제2요부(65b)에서 나온다. 또한 제2록킹 스프링(52)의 록킹부(52b)도 카드용 트레이(60)의 제4요부(66b)에서 나온다. 이에 따라 록킹 기구(50)에 의한 카드용 트레이(60)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카드용 트레이(60)의 우측 둘레를 따라 폭 방향 외측으로 변위한다. 이 때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은 프레싱 부재(41)의 개구부(41d)를 통과한다.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engaged with the second recessed portion 65b of the card tray 60. When the card tray 6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 And the locking portion 52b of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also comes out of the fourth recess 66b of the card tray 60. [ The locking of the card tray 60 by the locking mechanism 50 is released.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displac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right edge of the card tray 60. At this time,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passes through the opening 41d of the pressing member 41.

이와 같이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은 프레싱 부재(41)의 개구부(41d)를 통과하므로 프레싱 부재(41)의 슬라이딩 동작 시에 제1록킹 스프링(51)의 자유단(51d)은 방해가 되지 않는다.Since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passes through the opening 41d of the pressing member 41 as described above, the free end 51d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prevented from sliding in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pressing member 41 51d do not interfere.

더욱이 핀(70)을 후방향으로 프레싱하면 프레싱 부재(41)가 더욱 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프레싱 부재(41)의 일단(41a)이 이젝트 아암(42)의 일단(42a)을 프레싱하며, 이젝트 아암(42)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더욱 회전한다. 이에 따라 이젝트 아암(42)의 타단(42b)에 프레싱되어 카드용 트레이(60)가 더욱 전방향(트레이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드용 트레이(60)의 배출이 완료된다. 이 때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카드용 트레이(60)의 제1요부(65a)의 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에 위치하고, 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한다. 또한 제2록킹 스프링(52)의 록킹부(52b)도 카드용 트레이(60)의 제3요부(66a)의 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에 위치하고, 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 때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의 자유단(51d)은 프레싱 부재(41)의 개구부(41d)에서 통과한 그대로이다.Further, when the pin 70 is pressed in the backward direction, the pressing member 41 further slides rearward, and one end 41a of the pressing member 41 presses one end 42a of the eject arm 42, The arm 42 further rotates counterclockwise. As a result, the card tray 60 is further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ray ejection direction) by being pressed on the other end 42b of the eject arm 42, and the ejection of the card tray 60 is completed do.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of the card tray 60, and is displac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locking portion 52b of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is also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third recessed portion 66a of the card tray 60 and displac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he free end 51d of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remains at the opening 41d of the pressing member 41 as it is.

그리고 작업자는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카드(C)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60)를 당기면 된다. 카드용 트레이(60)가 인출되면 제1록킹 스프링(51)은 도 5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2록킹 스프링(52)도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는 제1요부(65a)에서 빠져나오지만 제1요부(65a)의 후측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통과하기 때문에 록킹부(51)는 제1요부(65a)에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Then, the operator can pull the card tray 60 on which the card C is mounted in the state shown in Fig. When the card tray 60 is pulled out, the first locking spring 51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shown in FIG. Likewise, the second locking spring 52 also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t this time,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exits from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but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65a, It is possible to easily escape from the opening 65a.

이상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예를 들면 커넥터(1)에 삽입되는 삽입체로서 카드(C)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6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카드(C) 단일체도 좋고, 혹은 카드용 트레이(60) 단일체도 좋다. 카드(C) 단일체를 삽입체로 하는 경우에는 제1록킹 스프링(51)의 록킹부(51b)가 록킹하는 피록킹부를 카드(C)의 측 둘레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For example, the card tray 60 on which the card C is mounted as an insert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a single card C may be used, or a single card tray 60 may be used . It is necessary to form a locked portion to which the locking portion 51b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locked on the side of the card C when the single card C is used as an insert.

또한 제1록킹 스프링(51)의 제2철부(51e)는 고정단(51c)과 자유단(51d)과의 사이이면 록킹부(51b)를 사이에 두고 반드시 자유단(51d)과 반대측 록킹부(51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The second convex portion 51e of the first locking spring 5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end 51c and the free end 51d with the locking portion 51b interposed between the free end 51d and the free end 51d, It is not necessary to b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opening 51b.

더욱이 제1철부(41c) 및 제2철부(51e)의 적어도 일방은 만곡상태로 돌출하는 대신에 금속판에 돌출 형성된 엠보스 등이라도 좋다.Further,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41c and 51e may be an emboss or the like protruding from the metal plate instead of protruding in a curved state.

1 커넥터
10 하우징
20 콘택트
40 이젝트 기구
41 프레싱 부재
41a 프레싱 부재의 일단
41b 프레싱 부재의 타단
41c 제1철부
41d 개구부
42 이젝트 아암
50 록킹 기구
51 제1록킹 스프링(록킹 스프링)
51b 록킹부
51c 고정단
51d 자유단
51e 제2철부
52 제2록킹 스프링
60 카드용 트레이(삽입체)
65b 제2요부(피록킹부)
C 카드
1 connector
10 Housing
20 contacts
40 Eject mechanism
41 pressing member
41a One end of the pressing member
41b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41c first convex portion
41d opening
42 Eject arm
50 Locking mechanism
51 1st locking spring (locking spring)
51b,
51c fixed end
51d free end
51e second convex portion
52 Second locking spring
60 Card tray (insert)
65b Second recessed portion (locked portion)
C card

Claims (6)

삽입체가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복수의 콘택트;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삽입체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기구; 및
상기 삽입체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 스프링을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삽입체를 배출하는 이젝트 아암과, 외부로부터 프레싱됨으로써 일단에서 상기 이젝트 아암을 구동하는 프레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 기구의 록킹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그 자유단 근방에 상기 삽입체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상기 삽입체에 설치된 피록킹부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고,
상기 프레싱 부재에는 상기 록킹 스프링을 향해 돌출하는 제1철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 스프링의 고정단과 자유단과의 사이에는 상기 프레싱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제2철부가 설치되고,
상기 록킹부에 의한 상기 피록킹부의 록킹 시에 상기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이 상기 프레싱 부재에 닿음과 동시에, 상기 록킹 스프링의 제2철부가 상기 프레싱 부재의 제1철부에 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housing into which an insert is inserted;
A plurality of contacts fixed to the housing;
An ejecting mechanism for ejecting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nd a locking spring for locking the insert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insert is completed,
Wherein the eject mechanism includes an eject arm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eject the insert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a pressing member that is pressed from the outside to drive the eject arm at one end,
Wherein the locking spring of the locking mechanism is fixed to the housing and extends in a cantilevered manner and has a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ree end thereof for locking the portion to be locked provided on the insertion body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of the insertion body is completed,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convex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locking spring and a second convex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end and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Wherein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contacts the pressing member when the locking portion is locked by the lock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of the locking spring contacts the first convex portion of the press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부재에는 상기 삽입체의 삽입 및 배출 시에서의 상기 록킹부가 상기 피록킹부를 록킹하지 않는 때에, 상기 록킹 스프링의 자유단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at allows passage of the free end of the locking spring when the locking portion does not lock the locked portion when inserting and ejecting the insert.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철부는 상기 록킹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자유단과 반대측 록킹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locking portion opposite to the free end with the lock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를 탑재한 카드용 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said insert is a card tray on which a card is mounted.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 단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said insert is a single piece of card.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용 트레이 단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said insert is a monolithic tray for a card
KR2020140009501U 2013-12-25 2014-12-23 Connector Withdrawn KR20150002605U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3-007332 2013-12-25
JP2013007332U JP3189346U (en) 2013-12-25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605U true KR20150002605U (en) 2015-07-03

Family

ID=5360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501U Withdrawn KR20150002605U (en) 2013-12-25 2014-12-23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50002605U (en)
CN (1) CN204441605U (en)
TW (1) TWM504368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096A (en) * 2018-05-22 2019-12-0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096A (en) * 2018-05-22 2019-12-0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C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04368U (en) 2015-07-01
CN204441605U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7781B1 (en) A car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ntact used therein
KR101444041B1 (en) Card Connector
EP2821939B1 (en) SIM card connector
JP6295159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JP5013278B2 (en) IC card connector
TWI530032B (en) Connector
JP4741018B2 (en) Card connector
JP5749589B2 (en) Card connector
US7611056B2 (en) IC card connector
JP5824357B2 (en) connector
US20110250772A1 (en) Small sized stacked card connector with ejector facilitating ejection of a sim card
US20140342601A1 (en) Holder and connector device
JP4527675B2 (en) IC card connector
TWI705627B (en) Card connector
JP4783313B2 (en) Eject mechanism and card connector
KR20130029338A (en) Card connector
US8303321B1 (en) Card connector anti-misinserting a micro SD card
JP2006210017A (en) Card connector
KR20150002605U (en) Connector
CN101447614B (en) Connector
CN204720686U (en) Connector
JP3836979B2 (en) Card ejector
JP3189346U (en) connector
JP3189345U (en) connector
JP4676525B2 (en) Car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122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