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1117U - 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 Google Patents

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117U
KR20150001117U KR2020130007473U KR20130007473U KR20150001117U KR 20150001117 U KR20150001117 U KR 20150001117U KR 2020130007473 U KR2020130007473 U KR 2020130007473U KR 20130007473 U KR20130007473 U KR 20130007473U KR 20150001117 U KR20150001117 U KR 201500011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ag body
lid
storage space
fo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47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태성
Original Assignee
정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성 filed Critical 정태성
Priority to KR2020130007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117U/en
Publication of KR201500011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117U/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7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other hand or travelling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생들이 등하교 길에 어깨에 메고 다니는 가방이나 등산 시 필요한 의복이나 식품 등을 넣어 다닐 수 있는 등산용 가방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간이 테이블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음식 및 식품 용기 등을 가방에서 쉽게 꺼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테이블에 간편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청결하고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은, 소지품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로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가방 몸체부와 상기 가방 몸체부 전방에서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와 상호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방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방이 상방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가방 덮개부가 열린 경우 상부로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방 덮개부 내측에 일체로 결합된 연장 테이블과, 상기 연장 테이블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 및 상기 가방 덮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힌지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able which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where a student can carry a bag carrying shoulder to shoulder and a climbing bag to carry clothes or food necessary for climbing, So that food and food containers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bag,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easily placed on a table, so that a simple table for a bag combined with a bag,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able for a bag combination, comprising: a bag body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personal belongings and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portion; The bag body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g cover so as to form a flat surface when the bag cove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bag body is laid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eg members each of which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bag body part and the bag cover 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ag body part so as to be kept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

Description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본 고안은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생들이 등하교 길에 어깨에 메고 다니는 가방이나 등산 시 필요한 의복이나 식품 등을 넣어 다닐 수 있는 등산용 가방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간이 테이블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음식 및 식품 용기 등을 가방에서 쉽게 꺼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테이블에 간편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청결하고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e table which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where a student can carry a bag carrying shoulder to shoulder and a climbing bag to carry clothes or food necessary for climbing, So that food and food containers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bag,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easily placed on a table, so that a simple table for a bag combined with a bag, will be.

최근, 웰빙 문화의 보급으로 등산인구가 증가하게 되면서 다양한 등산용품 등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인데, 등산을 즐기기 위해서는 어깨끈이 구비되어 장시간 어깨에 걸쳐 멜 수 있는 등산용 가방 또는 베낭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던 것이다.In recent years, with the spread of the well-being culture, the demand for various kinds of mountaineering product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mountain climbing population. In order to enjoy the mountain climbing, the shoulder strap is provided so that a climbing bag or a backpack It was done.

일반적으로, 등산 중 정상에 도달하거나 산중에서 휴식을 취하게 되는 경우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맨 땅에 매트를 깔고 가방에서 음식물을 꺼내어 매트 위에 올려놓고 음식물을 섭취하게 되는데, 땅의 표면이 울퉁불퉁하면 음식물이 쏟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고른 표면이 형성되어 있는 넓은 장소에 자리를 잡고 앉아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등산 중간에라도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일정 공간에 자리를 잡고 가방 바닥면의 오염을 감안하여 베낭 또는 가방을 맨땅에 내려놓은 다음 가방에서 음식물을 꺼내어 평평한 돌이나 바위 등에 올려놓고 섭취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다.In general, when you reach the peak during mountain climbing or rest in the mountains, if you want to eat food, first put a mat on top of the ground, take the food out of the bag and put it on the mat and eat the food. In the middle of climbing, it is necessary to take a place in a certain space, and to sit on a large space where the surface is formed. Considering the contamination of cotton, it was used to put the bag or bag on the ground, then remove the food from the bag and place it on a flat stone or rock.

한편, 종래의 실용신안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0-0010405호 "휴대용 등산 식탁"에서는 다수의 상판이 연결구멍에 퍼즐식으로 일렬로 결합되어 식탁을 형성하고, 식탁의 모서리 부분에는 지지대 다리가 결합되는 휴대용 등산 식탁 등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utility model Korea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0-0010405 entitled "portable mountain climbing table ", a plurality of upper plates are puzzle-like joined in a line to the connection holes to form a dining table, A portable climbing table and the like.

하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용 등산 식탁은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고, 설치가 번거럽기 때문에 잠깐 동안의 휴식 시간 동안에는 사용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portable mountaineering table has inconveniences such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nd store, and installation is troublesome, so that it is very inconvenient to use during a short break period.

또한, 종래의 특허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01272호 "가방 겸용 간이탁자"는 여행 및 출장 시에 기본적으로 들고 다니는 가방에 간이탁자를 내장하여 일체를 형성함으로써 이 간이탁자에 음식을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에서 식사를 하거나 사무용 탁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1272 "bag and double-sided simple table"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a simple table is built in a bag that is basically carried at the time of traveling and traveling, So that it can be eaten in a comfortable posture or used as an office tabl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방 겸용 간이탁자는 학생들의 등교나 일반인들의 등산 시에는 사용이 어려운 여행용 가방 용도로 구성되어 있어 장시간 들고 이동하는 것이 어렵고, 간이탁자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방 전체를 열고 내부 수납공간의 내용물을 모두 꺼낸 후 가방을 뒤집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상다리가 내부공간에서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수납공간이 협소해짐은 물론 내용물이 상다리에 걸릴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bag-type double-sided table is composed of a travel bag which is difficult to use for students' schooling or general climbing, and is difficult to move for a long time. In order to use the table as a simple table, Since the bag needs to be turned over after all the contents have been taken out,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use but also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aple is foldable in the inner space, resulting in a narrow storage space, It can b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가방에 담긴 소지품을 빼내지 않은 상태로 가방을 눕힌 후 가방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다리부재를 통해 가방이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고, 가방의 전면에 내부 수납공간부의 출입구와는 별도로 형성된 개구를 갖는 가방 덮개부가 구성되어 개폐 가능하게 됨으로써 가방에서 음식 및 식품 용기의 인출이 편리함과 동시에 상기 가방 덮개부 내측과 상기 개구 부분에 평평하게 설치된 테이블에 곧바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청결하고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able bag for a bag, which is folded in a state without taking out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bag and is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through a plurality of legs, The bag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front of the bag by having a bag lid having an opening formed separately from an entrance of the inside lid space, thereby facilitating the withdrawal of food and food containers from the bag and being installed flat on the inside of the bag li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table for a bag which can be placed directly on a table so that food can be taken in a clean and convenient manner regardless of a pl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은, 소지품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로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가방 몸체부와 상기 가방 몸체부 전방에서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와 상호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방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방이 상방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가방 덮개부가 열린 경우 상부로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방 덮개부 내측에 일체로 결합된 연장 테이블과, 상기 연장 테이블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 및 상기 가방 덮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힌지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and easy-to-use briefcase for a bag, comprising: a bag body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personal belongings and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portion; And a bag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bag body in a mutually expandable manner, and a bag body which is formed by lining the ba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bag body is laid in an upward direction, And an extension table integr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g lid part, wherein each one side of the extension table is hingedly connec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dges of the bag body part and the bag lid part so as to be foldable And a plurality of leg members joined together.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은, 상기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가방 몸체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내측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ggage simpl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ner table foldably coupled to the bag body so that the opening can be opened and clos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은, 상기 내측 테이블은, 각각의 일측이 상기 개구부의 양측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각의 타측이 여닫이로 개폐되는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은 각각의 타측이 서로 연접한 부분에서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게 절개 형성된 각각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implified table for carrying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table is composed of a first table and a second table, each one side of which is foldably coupled to each of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each of the other side is opened and closed by a casement And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are provided with respective grip portions formed by cutting the fingers so that the fingers can be inserted at the portions where the other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은, 학생들이 등하교 길에 어깨에 메고 다니는 가방이나 등산 시 필요한 의복이나 식품 등을 넣어 다닐 수 있는 등산용 가방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간이 테이블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음식 및 식품 용기 등을 가방에서 쉽게 꺼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테이블에 간편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청결하고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ag-operated simpl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imple and easy-to-carry bag that can be installed even in a narrow space where bags for climbing on the shoulder, students' clothes, So that food and food containers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bag and can be easily placed on the table. Thus, the food and the food container can be cleanly and conveniently consumed regardless of the pla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이 간이 테이블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의 내측 테이블 개폐 방법을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mple table for 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mple bag combinat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imple table; FIG.
3 is a use state view showing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an inner table of a combined bag simpl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implified table for combining ba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이 간이 테이블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의 내측 테이블 개폐 방법을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imple-bag simpl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imple tab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3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ner table of a combined bag simpl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1)은, 가방 본체(10), 연장 테이블(110), 내측 테이블(120), 다수개의 다리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briefcase 1 together with 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g body 10, an extension table 110, an inner table 120, and a plurality of leg members 130 .

상기 가방 본체(10)는 학생들의 등하교나 일반인들이 등산을 즐기기 위해 메고 다닐 수 있도록 지퍼구조로 개폐 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되어 소지품을 넣고 다닐 수 있는 통상의 베낭 또는 가방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bag body 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normal bag or bag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structure so that the bag can be carried to and from school for the students to enjoy.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방 본체(10)가 가방 몸체부(11)와 가방 덮개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g body 10 includes a bag body 11 and a bag cover 12.

상기 가방 몸체부(11)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 멜 수 있도록 후방으로 길게 늘어진 어깨끈(11a)이 구비되고, 소지품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부(10a)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수납공간부(10a)로 통하는 개구부(10b)가 형성된다.The bag body 11 is provided with a shoulder strap 11a extending rearward so as to be hung on the shoulder of the user, a storage space part 10a is formed in the bag body part 10a so as to accommodate the belongings, An opening portion 10b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portion 10a is formed.

또한, 상기 가방 몸체부(11)는 상기 개구부(10b)와 별도로 내부 수납공간부(10a)로 통하는 출입구(11b)가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11b)를 개폐할 수 있도록 지퍼(11c)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g body 11 is formed with an entrance 11b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storage space 10a separately from the opening 10b and a zipper 11c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trance 11b .

상기 가방 덮개부(12)는 상기 가방 본체(10)의 전면 부분을 이루도록 상기 가방 몸체부(12)의 전방에서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11)와 상호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전방 외측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부(12a)와 물병이나 음료병을 거치할 수 있는 메쉬망(12b)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bag lid part 12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bag body part 12 from the front of the bag body part 12 is mutually expandably connected to the bag body part 11 so as to form a front part of the bag body 10, A separate storage portion 12a for storing the product and a mesh net 12b for storing a water bottle or a beverage bottle.

상기 가방 덮개부(12)는 길이방향의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11)의 전방 길이방향의 일측과 유연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방 몸체부(11)와 상호 열림 및 닫힘이 가능하게 된다.One side of the bag lid part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g body part 11 in the front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mutually opened and closed with the bag body part 11. [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방 덮개부(12)는 상기 가방 몸체부(11)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소정 폭을 갖고 길게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13a)에 의해 서로 유연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 연장부(13a)는 상기 가방 몸체부(11) 및 가방 덮개부(12)와 일체감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가방을 제작할 때 상기 가방 몸체부(11) 및 가방 덮개부(12)와 동일한 재질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2, the bag lid unit 12 may be connected to the bag body 11 by a first extended portion 13a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body 11,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feeling of integration with the bag body portion 11 and the bag lid portion 12. That is, when the bag is manufactured, it can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bag body part 11 and the bag lid part 12.

또한, 상기 가방 덮개부(12)는 상기 가방 몸체부(11)와 상호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열리고 닫히는 방향으로 체결되는 고정수단(14)이 구비될 수 있다.The bag lid part 12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14 for fastening the bag lid part 12 in the direction of opening and closing so that the bag lid part 12 is kept closed with the bag body part 11. [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14)은 상기 가방 몸체부(11)로부터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신속하게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14)은 상호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한 쌍의 암 버클(14a) 및 수 버클(14b)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astening means 14 is provided so that the bag lid part 12 can be quickly opened from the bag body part 11, and the fastening means 14 are fitted to each other A pair of female buckles 14a and a male buckle 14b.

이에, 상기 가방 본체(10)는 상기 고정수단(14)을 통해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상기 가방 몸체부(11)로부터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부(10a)와 바로 연결되는 상기 개구부(10b)를 통해 상기 가방 본체(10)의 전방에서 상기 수납공간부(10a) 내부에 담긴 소지품을 편리하게 넣고 꺼낼 수 있게 된다.The bag body 1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bag body 11 through the fixing means 14 so that the bag body 12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storage space 10a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ut and take out the belonging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part 10a at the front of the bag body 10 through the opening 10b.

상기 연장 테이블(110)은 본 고안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1)이 간이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방 덮개부(12) 내측에 일체로 결합된 구성이다.The extension table 11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bag lid unit 12 so that the present simple baggage table 1 can be used as a simple table.

이에, 상기 연장 테이블(110)은 평탄면을 형성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방 덮개부(12)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the extension table 1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at forms a flat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bag lid portion 12.

이와 같은 상기 연장 테이블(110)은 상기 가방 본체(10)의 전방 즉, 상기 가방 덮개부(12) 부분이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열린 경우 상부로 평탄면을 형성하게 되고, 그 평탄면에 식품이나 용기 등을 받칠 수 있게 된다.When the bag lid unit 12 is opened in a state that the extension table 110 is laid down in front of the bag body 10, that is, the bag lid unit 12 is directed upward, So that food, containers, and the like can be supported on the flat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1)은 상기 개구부(10b)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가방 몸체부(11)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내측 테이블(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mple table 1 for carrying 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table 120 foldably coupled to the bag body 11 so that the opening 10b can be opened and closed .

상기 내측 테이블(120)은 상기 연장 테이블(110)과 같은 간이 테이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10b)의 출입문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이다.The inner table 120 functions as a simple table as the extension table 110 and forms a door for the opening 10b.

상기 내측 테이블(120)은 각각의 일측이 상기 개구부(10b)의 양측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각의 타측이 여닫이로 개폐되는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ner table 120 may include a first table 121 and a second table 122, each having one side foldably coupled to each side of the opening 10b and the other side opened and closed by a casement hav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 테이블(120) 즉,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은 상기 가방 본체(10)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상기 가방 몸체부(11)로부터 열린 경우 상기 수납공간부(10a)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소지품이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10b)를 막는 가림막과 같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여닫이로 개폐될 수 있는 출입문 역할을 하게 된다.2 and 3, the inner table 120, that is,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can be attached to the bag lid unit 12 in a state where the bag body 10 is laid down, Since the storage space part 10a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belongings can be removed from the bag body part 11, the storage space part 10a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hinges, It will serve as a doorway.

이에,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은 각각의 일측이 상기 개구부(10b)의 양측 각각을 따라 소정 폭만큼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13b)를 통해 유연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10b)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cond extended portion 13b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each side of the opening 10b, The opening 10b can be opened and closed.

이때, 상기 제2 연장부(13b)는 상기 가방 몸체부(11) 및 가방 덮개부(12)와 일체감을 이루는 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연장부(13a)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연장부(13a) 및 제2 연장부(13b)는 통상 가방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직물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b is preferab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a so as to form a beauty pipe that is integrated with the bag body portion 11 and the bag lid portion 12 will be.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b may be used as a fabric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a bag.

또한, 상기 제1 연장부(13a) 및 제2 연장부(13b)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이 회전 작동되도록 힌지축을 갖는 힌지로 구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The first extension portion 13a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b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may be formed of a hinge shaft having a hinge axis for rotating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It will be possible to configure it anyway.

한편,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은 각각의 타측이 서로 연접하게 맞닿는 부분에서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게 절개 형성된 각각의 손잡이부(121a,122a)가 구비되어 개폐가 용이하게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re provided with respective knobs 121a and 122a, each of which is formed by cutting the fingers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상기 손잡이부(121a,122a)는 상기 개구부(10b) 전체 부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 각각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열리도록 형성된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tables 121 and 122 are formed so that the tabs 121a and 122a are open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so that the entire portion of the opening 10b can be opened and closed.

또한, 상기 손잡이부(121a,122a)는 상부로 음식 용기 등이 안착된 경우 간섭되지 않도록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고, 상기 수납공간부(10a) 내부에 담긴 소지품이 쉽게 통과되지 않는 소정 폭의 크기를 갖도록 서로 대칭되게 절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잡이부(121a,122a)는 절개된 형상이 아닌 돌출된 형태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fingers can be inserted so that the fingers 121a and 122a do not interfere when the food container or the like is sea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fingers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part 10a,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abs 121a and 122a are formed in a protruded annular shape rather than an incised shape.

한편,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은 개폐 시 상기 수납공간부(10a)에 담긴 내용물이 간섭되지 않도록 외부 방향을 향하여 여닫이로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상기 개구부(10b) 부분에는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의 가장자리면이 안착될 수 있는 플랜지면(120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r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d door toward the outside so that contents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part 10a are not interfered with when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re opened and closed.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re provided with a flange surface on which the edge surfaces of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can be seated, (120a) may be formed.

또 한편으로, 상기 내측 테이블(120) 즉,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은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상기 가방 몸체부(11)로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14)에 의해 체결된 경우 상기 연장 테이블(110)이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이 열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것이지만, 가방이 움직이면서 발생되는 유격에 의해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이 열릴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수단(도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g body 12 in a state where the bag body 12 is closed by the bag body 11,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can be fixed so that the extension table 110 does not open when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re fastened together.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may be opened, separate support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상기와 같은 지지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의 가장자리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개구부(10b)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면(120a)에 자성체(도면미도시)가 내설되어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이 상기 가방 몸체부(11)에 안정적으로 부착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The supporting means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supporting means may be a flange surface formed at an edge of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nd at an edge of the opening 10b corresponding thereto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may be stably attached to and supported by the bag body 11 by inserting a magnetic body (not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tables 120a and 120a.

상기 다수개의 다리부재(130)는 상기 연장 테이블(110)이 열리도록 상기 가방 본체(10)를 눕힌 경우, 상기 연장 테이블(110)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소지품이 담긴 상기 수납공간부(10a)가 지면과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When the bag body 10 is laid down so that the extension table 110 is opened, the plurality of leg members 130 may keep the extension table 110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ground, And the storage space portion 10a is kept apart from the ground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즉, 상기 다수개의 다리부재(130)는 상기 가방 본체(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눕혀진 경우,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상기 가방 몸체부(11)로부터 안정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leg members 13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ag lid unit 12 can be stably unfolded from the bag body part 11 when the bag body 10 is laid down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serves as a support.

상기 다수개의 다리부재(130)는 몸체부 다리(131) 및 덮개부 다리(132)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eg members 130 may include a body leg 131 and a lid leg 132.

상기 몸체부 다리(131)는 상기 가방 몸체부(1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즉, 상기 가방 몸체부(11)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body part leg 131 is for supporting the bag body part 11 from the ground and one side of the body part leg part 131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ag body part 11, that is, at four corners of the bag body part 11 And are respectively hingedly coupled and foldably coupled.

상기 덮개부 다리(132)는 상기 가방 덮개부(12)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방 덮개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The lid leg 132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bag lid unit 12 from the ground and may be provided along at least one edge of the bag lid unit 12.

이에, 상기 덮개부 다리(13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방 덮개부(12)의 내측 공간 부분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되,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상기 가방 몸체부(11)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가방 덮개부(12)의 가장자리 부분 중앙 부분에 힌지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다.1 and 2, the lid leg portion 132 is provided so as not to be exposed in an inner space portion of the bag lid portion 12, and the bag lid portion 12 is provided in the bag body portion 12, And one side is hingedly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bag lid part 12 in a folded state.

이때, 상기 덮개부 다리(132)는 상기 가방 덮개부(12) 내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덮개부 다리(132)가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가방 덮개부(12)의 일부분을 절개한 절개부(134)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 다리(132)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 시 상기 절개부(134) 내부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덮개부 다리(132)를 꺼내어 펼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lid leg 132 is provided inside the bag lid unit 12, the lid leg unit 132 may be provided with a cut-out part 134 So that the lid leg 13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lid 134 when necessary so that the lid leg 132 can be taken out and opened.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 다리(131) 및 상기 덮개부 다리(132)는 본 고안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1)이 일상 생활에서 가방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가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며, 가방이 간이 테이블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 다리(131) 및 상기 덮개부 다리(132)가 펼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가방 본체(10)를 눕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The body part leg 131 and the lid part leg 132 are fixed in a folded st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when the present combination bag table 1 is used for bag use in daily life When the bag is used as a simple table, the main body leg 131 and the lid leg 132 may be opened so that the bag body 10 is laid down and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urface.

또한, 본 고안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1)이 가방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 다리(131) 및 덮개부 다리(132)가 가방에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몸체부 다리(131) 및 덮개부 다리(132)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가림부(133)가 구비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body part leg 131 and the lid part leg 132 are folded in the bag, the body part leg 131 and the lid part legs 132, A blocking portion 133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opening 132 from being exposed to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상기 가림부(133)는 상기 몸체부 다리(131) 및 상기 덮개부 다리(132)가 접혀진 상태에서 그 외측을 가리도록 상기 가방 덮개부(12)의 외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covering portion 133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inward direction along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bag lid portion 12 so as to cover the outside of the body leg 131 and the lid leg portion 132 in a folded state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and extend.

따라서, 상기 가방 몸체부(11)와 상기 가방 덮개부(12)가 상호간에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가림부(133)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다리부재(130)가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ag body 11 and the bag lid 12 are closed, the leg portions 130 are not exposed from the outside by the blocking portion 133. [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다리부재(130) 각각은 펼쳐지면서 일정 반경 이상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31a,132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131a,132a)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다리부재(130) 즉, 상기 몸체부 다리(131) 및 상기 덮개부 다리(132)는 일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 가방의 움직임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each of the plurality of leg members 130 may be provided with stoppers 131a and 132a for preventing the leg members 130 from being bent beyond a predetermined radius while being unfolded. The plurality of leg members 130, that is, the body leg 131 and the lid leg 13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bag in a state of being spread at a predetermined angle, .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1)은 가방이 간이 테이블로 사용되는 경우 지면으로부터 소정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가방 본체(10)의 전방이 상방을 향하도록 눕혀지게 설치된 후, 상기 가방 덮개부(12)를 상기 가방 몸체부(11)로부터 열게 되면 평탄면을 이루는 상기 연장 테이블(110) 및 내측 테이블(120)이 상방을 향하도록 노출되어 간단한 간이 테이블이 마련된다.When the bag is used as a simple table, the present invention bag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of the bag body 10 is laid down so as to be upwardly spaced from the ground, When the lid part 12 is opened from the bag body part 11, the extension table 110 and the inner table 120 forming a flat surface are exposed upward to provide a simple table.

이에, 사용자는 상기 제1 테이블(121) 및 제2 테이블(122)을 통해 상기 가방 본체(10)의 수납공간부(10a)에 수용된 음식 및 용기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 연장 테이블(110) 및 내측 테이블(120)의 상부에 간편하게 올려놓을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청결하고 편리하게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food and container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portion 10a of the bag body 10 through the first table 121 and the second table 122,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it can be easily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table 110 and the inner table 120, so that it is possible to eat food cleanly and conveniently without being at any plac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baggage simple tabl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below, and embodiments modified or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10 가방 본체 10a 수납공간부
10b 개구부 11 가방 몸체부
12 가방 덮개부 110 연장 테이블
120 내측 테이블 110a 플랜지면
121 제1 테이블 122 제2 테이블
121a,122a 손잡이부 130 다수개의 다리부재
131 몸체부 다리 132 덮개부 다리
133 가림부
10 bag body 10a storage space portion
10b opening portion 11 bag body portion
12 Bag cover part 110 Extension table
120 inner table 110a flange surface
121 first table 122 second table
121a, 122a Handle 130 A plurality of leg members
131 body part bridge 132 cover part bridge
133 blocking portion

Claims (3)

소지품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부로 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가방 몸체부와, 상기 가방 몸체부 전방에서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와 상호 펼침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방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방 본체와;
상기 가방 본체의 전방이 상방을 향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가방 덮개부가 열린 경우 상부로 평탄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방 덮개부 내측에 일체로 결합된 연장 테이블과;
상기 연장 테이블이 지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일측이 상기 가방 몸체부 및 상기 가방 덮개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힌지 연결되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
A bag body portion having an interior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personal belongings and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portion; and a bag lid portion having one side of the bag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bag body portion in a mutually expandable manner A bag body configured;
An extension table integr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g lid to form a flat surface when the bag lid is opened when the front of the bag body is laid down so as to face upward;
A plurality of leg members each of which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bag body part and the bag lid 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foldable so as to keep the extension table horizontal with the groun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abl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가방 몸체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내측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ner table foldably coupled to the bag body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은, 각각의 일측이 상기 개구부의 양측 각각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각의 타측이 여닫이로 개폐되는 제1 테이블 및 제2 테이블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테이블 및 상기 제2 테이블은 각각의 타측이 서로 연접한 부분에서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게 절개 형성된 각각의 손잡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겸용 간이 테이블.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table is composed of a first table and a second table each having one side foldably coupled to each of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each of the other side being opened and closed by a casement,
Wherein the first table and the second table are provided with respective knobs, each of which is formed by cutting the fingers in such a manner th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tables and the second tab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KR2020130007473U 2013-09-05 2013-09-05 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Abandoned KR2015000111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73U KR20150001117U (en) 2013-09-05 2013-09-05 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73U KR20150001117U (en) 2013-09-05 2013-09-05 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17U true KR20150001117U (en) 2015-03-13

Family

ID=5303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473U Abandoned KR20150001117U (en) 2013-09-05 2013-09-05 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117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5945A (en) * 2015-12-16 2016-04-20 浙江卡拉扬集团有限公司 Convenient draw-bar box
CN110313699A (en) * 2019-07-04 2019-10-11 深圳市微笑地球控股有限公司 Kettle packet
KR102633787B1 (en) * 2022-10-27 2024-02-0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 backpacking bag for chairs
KR102655978B1 (en) * 2023-10-23 2024-04-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Table-type Tool backpac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5945A (en) * 2015-12-16 2016-04-20 浙江卡拉扬集团有限公司 Convenient draw-bar box
CN110313699A (en) * 2019-07-04 2019-10-11 深圳市微笑地球控股有限公司 Kettle packet
KR102633787B1 (en) * 2022-10-27 2024-02-02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A backpacking bag for chairs
KR102655978B1 (en) * 2023-10-23 2024-04-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Table-type Tool back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072B2 (en) Knapsack-type sleeping bag
WO2019060155A1 (en) Diaper bag backpack
US8973757B2 (en) Accessory container and changing table
EP2986105A1 (en) Device for pets
US20030209462A1 (en) Cosmetic and utility kit
AU2012229382A1 (en) Rigid collapsible liner for insulated container
KR20150001117U (en) Bag which can be used portable table
US20220386787A1 (en) Combination backpack and convertible infant changing station
CA3012474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y placement of a living object on a seat
US6481576B1 (en) Portable/hanging feminine sanitary napkin bag
KR200453450Y1 (en) Portable diaper mat combined use bag
JPH11285407A (en) Portable tool such as rucksack with chair
AU4417900A (en) Foldable toiletry bag
KR200382024Y1 (en) A bag having footwear charge space
KR20080000550U (en) Bath bag
KR101383771B1 (en) Portable toilets
US201401020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Resealable Opening
KR102421148B1 (en) Mobilephone Strap for reduction of Disposable Vinyl
US20150272408A1 (en) Portable toilet seat for children
US20190053594A1 (en) Customizable Storage Bag
CZ27797U1 (en) Rucksack type variable luggage
US12185825B2 (en) Collapsible shot glass
KR200480065Y1 (en) The storage adjustable bag for campers
CN213698041U (en) Portable sterilization box
US11510468B1 (en) Phone strap for reducing disposable viny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9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7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