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089U -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1089U KR20150001089U KR2020130007227U KR20130007227U KR20150001089U KR 20150001089 U KR20150001089 U KR 20150001089U KR 2020130007227 U KR2020130007227 U KR 2020130007227U KR 20130007227 U KR20130007227 U KR 20130007227U KR 20150001089 U KR20150001089 U KR 2015000108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device
- ladder
- support
- coupled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6 musculoskeletal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06C1/06—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in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발판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발판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 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발판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며 지지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고정부로 이루어진 안전장치 를 포함한다. 따라서, 점접촉만 가능한 지지대에 사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사다리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큰 어려움 없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접촉만 가능한 지지대에 사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사다리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큰 어려움 없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용 사다리는 일정한 길이를 구비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다단계의 발판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높은 곳의 작업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사다리는 상기와 같이 단순히 일정한 높이를 구비함과 동시에 다단계의 발판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일정한 높이의 작업 위치에 오르내리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사다리는 일정한 면에 상부가 닿아서 지지되는 경우 안정감이 확보되고 작업자가 사다리의 발판을 통해 위로 올라가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핀 모양(원통형)의 지지대를 통해 사다리를 지지시켜야 하는 경우 사다리의 발판이 핀 모양(원통형)의 지지대에 점접촉 되므로, 사다리의 발판을 딛고 작업자가 위로 올라갈 때에도 사다리가 핀 모양(원통형)의 지지대를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경우 사다리가 좌우로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중에 사다리의 흔들림에 신경을 써야 할 뿐만 아니라 온몸을 힘을 주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피로감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근골계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172237호는 사다리의 안전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사다리의 양 지주의 외측에 고정부위를 중심으로 절첩이 가능한 한 쌍의 좌우버팀대를 구비시킴과 아울러 양 지주의 하단에 바닥면과의 자동 접면이 가능하고 조절 노브에 의해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받침구를 구비시킴으로써 사다리의 사용시 별도의 보조원이 없더라도 안전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소작업에 안전성을 기할 수 있으며 사다리의 유동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점접촉만 가능한 지지대에 사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사다리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큰 어려움 없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다리의 발판에 안전장치가 결합되면 발판에 밀착 결합되는 고정유지부재를 구비시켜 안전장치가 사다리 발판에 결합되는 좀 더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핀 모양(원통형)의 지지대에 안정장치의 일면이 곡면을 이루고 이 곡면에 지지대의 몸체의 일부가 결합되어 핀 모양(원통형) 지지대에 사다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다수의 발판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발판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 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발판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며 지지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고정부로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장치의 제 1 고정부의 하단 양측 면에 형성된 제 1, 제 2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물리적 힘이 제거되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안전장치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 지지부는 통공을 통해 제 1 고정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전지지부는 일단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통공의 하단에 결합되고, 말단은 내측으로 턱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통공을 통해 제 1 고정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에 물리적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는 점접촉만 가능한 지지대에 사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사다리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큰 어려움 없이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는 사다리의 발판에 안전장치가 결합되면 발판에 밀착 결합되는 고정유지부재를 구비시켜 안전장치가 사다리 발판에 결합되는 좀 더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는 핀 모양(원통형)의 지지대에 안정장치의 일면이 곡면을 이루고 이 곡면에 지지대의 몸체의 일부가 결합되어 핀 모양(원통형) 지지대에 사다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안전장치가 사다리 발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이 적용된 사다리가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안전장치가 사다리 발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안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이 적용된 사다리가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100)는 발판부(140), 메인 프레임(110), 안전장치(120)로 이루어진다.
메인 프레임(110)은 발판부(140)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프레임(111)과, 발판부(140)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 2 프레임(112)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발판부(140)는 제 1 프레임(111)과 제 2 프레임(11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 고정, 결합된다.
안전장치(120)는 제 1 고정부(121), 제 2 고정부(122) 및 안전장치 지지부(123)로 이루어진다. 제 2 고정부(121)는 발판부(140)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 2 고정부(122)는 제 1 고정부(121)에 고정 결합되며 지지대(130)에 끼워져 결합된다. 1, 제 2 통공(127)(128)은 안전장치(120)의 제 1 고정부(121)의 하단 양측 면에 형성된다. 지지대(130)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 2 고정부(122)의 양 측단부는 지지대(130)를 고정부(122) 내측으로 완전히 들어올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안전장치 지지부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물리적 힘이 제거되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안전장치 지지부는 통공(127)(128)을 통해 제 1 고정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의 안전장치 지지부는 일단은 접착부재에 의해 통공(127)(128)의 하단에 결합되고, 말단은 내측으로 턱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3), 지지부(123)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부(126), 탄성부(126)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통공(127)을 통해 제 1 고정부(12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바(124), 지지바(124)의 말단에 결합되어, 지지바(124)에 물리적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손잡이부(125)로 이루어진다. 탄성부(126)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이 적용된 사다리가 지지대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사다리(110)의 제일 상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발판부(140)에 안전장치(120)를 결합시킨다. 즉 안전장치(120)의 제 1 고정부(121)의 홈을 발판부(140)에 위치시킨 후 발판부(140)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 1 고정부(121)의 홈에 발판부(140)가 끼워져 결합된다.
제 1 고정부(121)의 홈에 발판부(140)를 끼울 때 손잡이부(125)를 하측방향으로 당겨주면 지지부(123) 내측에 마련된 스프링(126)이 당겨져 지지바(124)가 지지부(123) 내로 인입되어 수월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이후 손잡이부(125)를 놓으면 지지부(123) 내측에 있는 스프링(126)이 복원되어 지지부(123) 내측으로 인입되었던 지지바(124)가 상측방향으로 도출되어 발판부(140)의 일부 위치까지 도출되어 사다리(110)에 안전장치(120)가 좀 더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사다리(110)에 안전장치(120)를 결합시킨 후 사다리(110)를 움직여 지지대(120)의 일측면에서 안전장치(120)의 제 2 고정부(122)가 맞닿도록 한다. 제 2 고정부(122)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함몰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함몰부의 형상은 지지대(130)의 결합면을 감싸고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지지대(130)가 핀 모양(원통형상)일 경우 함몰 형상은 라운드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지지대(120)의 결합면은 제 2 고정부(122)의 함몰된 부분에 밀착, 결합되고 사다리(110)는 지지대(1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작업자가 사다리(110)의 발판부(140)를 이용하여 작업 위치까지 올라가고 작업을 하는 도중에도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다리(110)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작업자는 안정적이고 안전한 작업 환경 속에서 작업하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만약에 지지대(130)가 사각형상을 이룬다면 제 2 고정부(112)의 함몰부의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제 2 고정부(112)와 지지대(130)가 요철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120)는 설명한 바와 같이 사다리(110)의 발판부(140)에 장탈착 가능하여, 필요한 경에만 장착시켜 이용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해야 하거나 보관 중일 때는 떼어내어 별도로 보관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120)를 발판부(140)에 완전히 고정시켜 늘 사다리(110)에 부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런 방식으로 사다리(120)에 안전장치(120)를 고정시키는 경우 안전장치 지지부(123~125)는 제거해도 무방한다.
꽉 끼워 고정하는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 1 고정부(121)의 홈부 높이가 발판부(14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홈부의 높이와 발판부(140)의 높이가 동일하므로, 홈부에 발판부(140)를 끼울 때 큰 힘으로 가압해야 하고, 큰 힘을 가하는 경우 발판부(140)가 제 1 고정부(121)의 홈부에 꽉 끼워지게 되고 사다리(110)에 안전장치(120)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110 : 사다리
111 : 제 1 프레임
112 : 제 2 프레임
120 : 안전장치
121 : 제 1 고정부
122 : 제 2 고정부
123 : 지지부
124 : 지지바
125 : 손잡이부
126 : 스프링
127, 128 : 통공
130 : 지지대
110 : 사다리
111 : 제 1 프레임
112 : 제 2 프레임
120 : 안전장치
121 : 제 1 고정부
122 : 제 2 고정부
123 : 지지부
124 : 지지바
125 : 손잡이부
126 : 스프링
127, 128 : 통공
130 : 지지대
Claims (5)
- 다수의 발판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발판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 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발판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며 지지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2 고정부로 이루어진 안전장치;
를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의 제 1 고정부의 하단 양측 면에 형성된 제 1, 제 2 통공을 더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물리적 힘이 제거되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안전장치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장치 지지부는 통공을 통해 제 1 고정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지부는
일단은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통공의 하단에 결합되고, 말단은 내측으로 턱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내측에 위치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통공을 통해 제 1 고정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에 물리적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내 업무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227U KR20150001089U (ko) | 2013-08-28 | 2013-08-28 |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7227U KR20150001089U (ko) | 2013-08-28 | 2013-08-28 |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089U true KR20150001089U (ko) | 2015-03-12 |
Family
ID=5303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7227U Withdrawn KR20150001089U (ko) | 2013-08-28 | 2013-08-28 |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1089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459B1 (ko) * | 2016-08-12 | 2016-11-16 | 영남강철 주식회사 | 이층침대 |
KR20210080957A (ko) | 2019-12-23 | 2021-07-01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다리 고정 안전 장치 |
-
2013
- 2013-08-28 KR KR2020130007227U patent/KR20150001089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459B1 (ko) * | 2016-08-12 | 2016-11-16 | 영남강철 주식회사 | 이층침대 |
KR20210080957A (ko) | 2019-12-23 | 2021-07-01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사다리 고정 안전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188857A (zh) | 锻炼装置、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 |
US20140080674A1 (en) | Trampoline Swingset Suspension | |
KR20150001089U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사다리 | |
US9637930B2 (en) | Removable reversible handrail assistance device | |
JP6088110B1 (ja) | ストレッチ用具及びストレッチ方法 | |
KR101929234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 |
US20120169097A1 (en) | Frame assembly & connector apparatus | |
US9834988B1 (en) | Ladder platform attachment | |
JP4733224B1 (ja) | 運動用踏み台 | |
JP2010000357A (ja) | 歩行系統の筋肉を増強するためのトレーニング装置 | |
KR101914996B1 (ko) | 안전 사다리 | |
US8925155B2 (en) | Removable handrail assistance device | |
KR20190000341U (ko) | 작업대의 실족 방지용 발판 | |
KR20170001302U (ko) | 사다리에 탈부착되는 공구함 | |
KR200483372Y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 |
KR101603494B1 (ko) | 발판교정기 | |
JP3183272U (ja) | 松葉杖 | |
JP2003180485A (ja) | 前傾姿勢支持用膝当て具 | |
US20170298692A1 (en) | Mid-step ladder attachment | |
KR20240086063A (ko) | 추락방지용 경고음 발생장치 | |
JP2015506803A (ja) | 保持部を有する身体の支援装置 | |
KR101738331B1 (ko) | 가변형 아웃트리거가 장착된 접철식 사다리 | |
KR200437759Y1 (ko) | 지압용 뜀뛰기 운동기구 | |
GB2504938A (en) | A portable stand to lift a child | |
JP2006046057A (ja) | 簡易型作業足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82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