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00403U -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403U
KR20150000403U KR2020130005942U KR20130005942U KR20150000403U KR 20150000403 U KR20150000403 U KR 20150000403U KR 2020130005942 U KR2020130005942 U KR 2020130005942U KR 20130005942 U KR20130005942 U KR 20130005942U KR 20150000403 U KR20150000403 U KR 201500004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ortable terminal
case
touch pen
cas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9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6664Y1 (en
Inventor
이종린
Original Assignee
이종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린 filed Critical 이종린
Priority to KR2020130005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64Y1/en
Publication of KR20150000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40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64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에 경성재질의 하부 케이스를 부착하여, 외부 충격을 적절하게 방지하면서도, 이미지나 색채의 자유로운 삽입을 통해 심미감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보호 케이스 내부에 카드 및 터치펜을 수납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연성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며, 경성소재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bod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lower case of a hard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ase body to prevent external impacts appropriately. And a protection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rd and a touch pen inside the protection cas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is disclosed. The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ase body made of a soft material and having one surface opened to expose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ortable terminal inside, And a lower cas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made of a hard material.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에 경성재질의 하부 케이스를 부착하여 구성된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onstructed by attaching a lower case of a hard material to a case body made of a soft material.

현대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대중화로 인해서 휴대단말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최근 휴대단말기는 전화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게임, DMB, MP3, 카메라 등의 기능이 내장되어, 하나의 기기로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have become popular due to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have built in functions such as internet, games, DMB, MP3, It is implemented so that functions can be used.

특히, 휴대단말기로 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 smart phone, which is mainly used as a portable terminal, can install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 programs), add or delete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 programs) as desired, and implement an interface suitable for the user, unlike an existing mobile phone. And it is widely used in that it can share applications among smart phones having the same operating system (OS).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는 주로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충격에 민감하여 사용자가 자칫 부주의로 땅에 떨어뜨릴 경우에는 치명적인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는 케이스가 사용된다.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is often expensive and is susceptible to shock, so that when a user accidentally drops it on the grou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 fatal failure or damage, so that a case capable of protecting the mobile terminal is used do.

이러한 보호 케이스는 외부 충격에 대한 보호 기능은 물론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 경질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통상의 케이스에서부터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 합성 수지재로 제조되는 케이스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Such a protective case protects against external impact as well as functions to prevent scratches and enhance aesthetic appearance. The protective case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or silicone, from a normal case made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case is very diverse from the case to the case.

그러나 종래의 보호 케이스는 전체가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라스틱 등 경성소재의 보호케이스의 경우, 고정된 형체를 가지므로 휴대단말기에 제대로 고정되고 이미지의 삽입이나 색감의 표현이 자유롭다는 장점은 있으나, 충격의 흡수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실리콘 등 연성소재로 만든 보호 케이스의 경우 충격의 흡수는 가능하지만 휴대단말과의 밀착이 불완전하여 먼지 등의 유입이 잦으며, 케이스 표면에 이미지 삽입이나, 색감을 표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ase is made of a single material, the protective cas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has a fixed shape, so it is firmly fixed to a portable terminal, However, it can not absorb shocks properly. In the case of a protective cas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shock can be absorbed. However, since adhesion with a mobile terminal is incomplete, dust and the like are infused frequently. , It is difficult to express color.

한편, 최근의 휴대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자 사용자의 입력장치로 터치스크린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입력은 보통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해서 이루어지지만, 보다 정확한 터치입력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터치펜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치펜은 휴대단말기와 함께 휴대하지 않을 경우,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고, 분실의 위험도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touch screen is widely applied as a display means and a user's input device in recent portable terminals. Although touch input using a touch screen is usually performed using the user's finger, various types of touch pen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more accurate touch input. If the touch pen is not carried alo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 of the touch pen is reduced and the risk of loss is increased.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에 비연성재질의 하부 케이스를 부착하여, 외부 충격을 적절하게 방지하면서도, 이미지나 색채의 자유로운 삽입을 통해 심미감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케이스 내부에 카드 및 터치펜을 수납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e body made of a soft material by attaching a lower case of a non-combustible material to prevent external impact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rd and a touch pen inside the cas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개시된다. 상기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연성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며, 경성소재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is disclosed. The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ase body made of a soft material and having one surface opened to expose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inner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ortable terminal inside, And a lower cas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made of a hard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se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heat dissipation unit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outsid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열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에 함몰된 오목부로 형성되거나, 상기 케이스 본체를 관통하는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eat dissipation unit may be formed as a recess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or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rough the case bod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카드를 수납하는 카드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rd case further includes a card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card inserted into one side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면에 삽입되는 터치펜을 수납하는 터치펜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ouch pen housing part for housing the touch pen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ase bod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수납부는, 상기 수납된 카드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카드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된 소정의 크기의 카드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rd accommodating portion may include a card extract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so as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the card by exposing a part of the accommodated card to the outsid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 수납부는, 상기 카드 수납부의 내면에, 상기 수납된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카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ard compartment may include a card fixing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 compartment for preventing the stored cards from escap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펜 수납부는, 상기 터치펜 수납부의 내면에, 상기 수납된 터치펜의 이탈을 방지하는 터치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ouch pen housing part may include a touch pen fixing par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uch pen housing part to prevent the stored touch pen from escaping.

본 고안에 따르면, 연성재질의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비연성재질의 하부 케이스를 결합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단말기를 적절히 보호하면서도, 이미지 및 색감의 자유로운 삽입을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the lower case made of non-conductive material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made of a soft materi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through free insertion of images and colors while appropriately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from external impacts.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내부에 카드 및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설치하여, 카드를 지갑 등의 별도의 보관 수단 없이도 소지가능하고, 터치펜을 휴대단말기와 분리하여 보관함에 기인하는 분실 위험을 줄임으로써, 사용자 편의가 증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and the touch pen can be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card can be held without a separate storage means such as a wallet, By reducing the risk of loss caused by the user,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방열부를 통해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신속하게 외부로 발산되게 하여, 휴대단말기의 고장을 줄이고, 발열에 기인한 사용자의 불쾌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quickly radi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adiating portion formed in the case body, thereby reducing the mal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educing the unpleasantness of the user due to heat generation.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카드 수납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터치펜 수납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llustrates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state of use of the card compartment i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state of use of the touch pen storage unit i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를 도시한다. FIG. 1 illustrates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에 부착되는 하부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body 110 and a lower case 120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

케이스 본체(110)는,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휴대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휴대단말기의 외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휴대단말기의 측면 또는 후면에 구비된, 다수의 실행버튼에 대응되는 형상의 버튼입력부와 카메라렌즈, 스피커, 충전 단자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se body 110 may be opened at one side to expose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display unit and may have an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case body 1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includes a button input uni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execution button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r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opening for exposing a terminal or the like to the outside.

이때, 케이스 본체(110)는 휴대단말기의 측면 및 후면에 밀착되어, 흠집 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단말기를 적절히 보호하기 위해 연성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연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se body 11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soft rubber, urethane, silicone, or the like in order to closely adhere to the sid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uitably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from scratches or external impacts.

하부 케이스(120)는,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에 부착되며, 경성재질로 구성되어 케이스 본체(1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부 케이스(120)는 이미지의 삽입과 색감의 변경이 자유롭도록 플라스틱이나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12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nd is made of a hard material to support the case body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ower case 120 may be made of plastic or polycarbonate so that the insertion of images and the change of color tone are free.

또한, 하부 케이스(120)는 케이스 본체(110)에 구비되는 카메라렌즈, 스피커, 충전 단자 등을 위한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case 120 may include openings of the same shap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for the camera lens, speaker, charging terminal,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case body 110.

케이스 본체(110)와 하부 케이스(120)의 재질은 상기 언급된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연성재료 및 경성재료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The materials of the case body 110 and the lower case 12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but may be modified and applied to various soft materials and hard materials available in the art.

케이스 본체(11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112)는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보호 케이스(1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되게 하여, 발열로 인한 휴대단말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시 사용자가 열기로 인해 느끼는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0)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ase body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heat radiating portion 112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he heat dissipation unit 112 allow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be easily divert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se 100 to prevent damage to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heat generation and to reduce the discomfort felt by the user during long- And the overall weight of the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can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portability of the user.

방열부(112)는, 케이스 본체(110)의 내면에 함몰된 오목부로 형성되거나, 케이스 본체(110)를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120)의 내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unit 112 may be formed as a recess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or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rough the case body 110 to expose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 Accordingly, it can be formed into a polygonal shape such as a hexagon.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MP3 등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다양한 휴대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ortable devices having a display unit on the front surface of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a PMP, an MP3, and the like.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카드 수납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다.FIG. 2 illustrates a state of use of the card compartment i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카드(10)를 수납하는 카드 수납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d housing part 130 for housing a card 10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

카드 수납부(13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케이스 본체(110) 내측으로, 카드 수용공간(134)을 형성하고, 카드 수용공간(134)에 삽입되는 카드(10)를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카드 수용공간(134)은 삽입되는 카드(10)의 두께와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ard accommodating portion 130 forms a card accommodating space 134 from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110 and accommodates the card 10 inserted into the card accommodating space 134 . At this time, the card accommodation space 134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card 10 to be inserted.

또한, 카드 수용공간(134)은 삽입되는 카드(10)가 보호 케이스(100)에 수용된 휴대단말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삽입되는 카드(10)가 케이스 본체(110) 전면과 수용된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이에 밀착되어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ard accommodation space 134 may be located inside the case body 110 so that the inserted card 10 is not interfer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protective cas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rd 10 to be inserted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ly hel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body 1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사용자는 카드 수납부(130)에 카드(10)를 수납, 보관함으로써, 별도의 지갑 등의 보관 수단 없이도 카드(10)를 항상 휴대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10)는, 교통카드, 신용카드 및 신용카드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각종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can store the card 10 in the card storage unit 130 and store the card 10 in the card storage unit 130 so that the card 10 can be carried at all times without a separate storage means such as a wallet. Here, the card 10 may include various cards having the same size as a transportation card, a credit card, and a credit card.

특히, 도 2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카드 수납부(13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된 소정의 크기의 카드 추출부(132)을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추출부(132)는 수납된 카드(10)의 일부를 카드 수납부(130)의 카드 수납공간(134) 외부로 노출시켜, 카드 수납부(130)에 수납된 카드(10) 추출 시, 사용자가 노출된 카드(10)의 일부를 손가락으로 집어 꺼냄으로써 용이하게 카드(10)를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카드 추출부(132)는 오목하게 형성된 반구 형상, 육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as shown in FIG. 2 (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ard housing part 130 includes a card extracting part 13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n one side face of the case body 110 can do. The card extracting unit 132 exposes a part of the accommodated card 10 to the outside of the card accommodating space 134 of the card accommodating unit 130. When the card 10 accommodated in the card accommodating unit 130 is extrac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xtract the card 10 by picking up and removing a part of the exposed card 10 with a finger. Here, the card extracting unit 13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mispherical shape or a hexahedron shape formed concavely.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카드 수납부(130)의 내면에는, 수납된 카드(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카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드 고정부는 걸림돌기 및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 receiving portion 130 may include a card fix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tored card 10 from coming off. At this time, the card fixing part may be constituted by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elastic member.

걸림돌기는 카드(10)의 표면과 마찰력을 발생시켜, 카드(10)가 카드 수납부(130)로부터 의도치 않게 빠지지 않도록 카드(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는 케이스 본체(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는 카드 수납부(130) 내측면에 구비되어, 삽입된 카드(10)의 한쪽 측면을 밀어내어, 카드(10)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 수납부(130)의 내면에 보다 밀착 고정되게 할 수 있다. The engaging protrusion generates frictional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card 10 so that the card 10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inadvertently fall out of the card compartment 130. [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case body 110.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ard compartment 130 to push out one side of the inserted card 10 so that the card 1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 compartment 13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it can be more tightly fixed.

걸림돌기 및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수납된 카드(10)가 보호 케이스(100)로부터 이탈하여 분실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awl and the elastic member, the risk that the stored card 10 is detached from the protective case 100 and lost is reduced.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터치펜 수납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다.FIG. 3 illustrates a state of use of the touch pen storage unit in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터치펜(20)를 수납하는 터치펜 수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pen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a touch pen 20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As shown in FIG.

터치펜 수납부(140)는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케이스 본체(110) 내측으로, 터치펜 수용공간(142)을 형성하고, 터치펜 수용공간(142)에 삽입되는 터치펜(20)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펜 수용공간(142)은 삽입되는 터치펜(20)의 두께와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되는 터치펜(20)이 보호 케이스(100)에 수용된 휴대단말기에 간섭되지 않도록, 터치펜 수용공간(142)은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touch pen housing part 140 forms the touch pen accommodation space 142 from one side of the case body 110 to the inside of the case body 110 and forms the touch pen accommodation space 142, Can be accommodated. Here, the touch pen accommodation space 142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touch pen 20 to be inserted. The touch pen accommodation space 142 may be located inside the case body 110 so that the inserted touch pen 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ortable terminal housed in the protective case 100.

여기서, 터치펜(20)은 감압 방식의 터치펜, 저항막 방식의 터치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펜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터치펜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ouch pen 20 includes a pressure sensitive type touch pen, a resistive film type touch pen, a capacitive type touch pe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ouch pen 20 may include various touch pens available in the related art.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터치펜 수납부(140)의 내면에는, 수납된 터치펜(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터치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펜 고정부는 걸림돌기, 탄성부재 및 걸림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touch pen housing part 140 may include a touch pen fixing part for preventing the stored touch pen 20 from coming off. At this time, the touch pen fixing part may be constituted by at least one of a locking protrusion, an elastic member, and a locking protrusion.

걸림턱은, 터치펜(20)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위의 위치에 대응한 지점에 형성되며, 터치펜(20) 삽입 시, 터치펜(20) 외면의 돌출부위와 맞물려 걸리게 함으로써, 터치펜(20)이 의도치 않게 빠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터치펜 수납부(140) 내면의 걸림돌기 및 탄성부재는 상기 카드 수납부(130) 내면의 걸림돌기 및 탄성부재와 작용이 거의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engaging jaw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ouch pen 20 and engag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ouch pen 20 when the touch pen 20 is inserted, Can be supported so as not to fall off unintentionally. The locking pawl and the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uch pen storage portion 140 are almost similar to the locking pawl and the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 compartment 130,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걸림돌기, 탄성부재 및 걸림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수납된 터치펜(20)이 보호 케이스(100)로부터 이탈하여 분실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 the elastic member, and the locking protrus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that the stored touch pen 20 is detached from the protective case 100 and is lost.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While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or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is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100 보호 케이스 110 케이스 본체
112 방열부 120 하부 케이스
130 카드 수납부 132 카드 추출부
134 카드 수용공간 140 터치펜 수납부
142 터치펜 수용공간 10 카드
20 터치펜
100 Protective case 110 Case body
112 Radiator 120 Lower case
130 card storage part 132 card extraction part
134 card accommodating space 140 touch pen compartment
142 Touch Pen Capacity 10 Cards
20 touch pen

Claims (8)

휴대단말기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연성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며, 경성소재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1.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se body made of a soft material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to expose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inner space capable of receiving the portable terminal therein; And
And a lower cas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body and made of a hard material
And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2.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heat dissipating unit for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out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면에 함몰된 오목부로 형성되거나, 상기 케이스 본체를 관통하는 개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The heat sink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se is formed as a recess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body, or is formed as an opening passing through the case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삽입되는 카드를 수납하는 카드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ard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card inserted into one side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일측면에 삽입되는 터치펜을 수납하는 터치펜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ouch pen housing part for housing a touch pen inserted into one side surface of the case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납부는,
상기 수납된 카드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카드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된 소정의 크기의 카드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5. The card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And a card extracting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so as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the card by exposing a part of the received card to the out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납부는,
상기 카드 수납부의 내면에, 상기 수납된 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카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5. The card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And a card fix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tored car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rd receiv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 수납부는,
상기 터치펜 수납부의 내면에, 상기 수납된 터치펜의 이탈을 방지하는 터치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The touch pen according to claim 4,
And a touch pen fixing part for preventing the stored touch pe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ouch pen storage part.
KR2020130005942U 2013-07-17 2013-07-17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Expired - Lifetime KR2004766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42U KR200476664Y1 (en) 2013-07-17 2013-07-17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42U KR200476664Y1 (en) 2013-07-17 2013-07-17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403U true KR20150000403U (en) 2015-01-27
KR200476664Y1 KR200476664Y1 (en) 2015-03-18

Family

ID=5248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942U Expired - Lifetime KR200476664Y1 (en) 2013-07-17 2013-07-17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6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89A1 (en) * 2014-11-24 2016-06-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80001455U (en) * 2016-11-08 2018-05-16 허홍만 smart-phone case with sliding open and shut type credit card keeping part
WO2022177127A1 (en) * 2021-02-16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icrophone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098B1 (en) * 2017-06-05 2017-12-06 주식회사 네오팩토리 Mobile phone case capable of retaining car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959B1 (en) * 2001-04-16 2003-06-09 주식회사 알파텔레콤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ving a display cover with pen taken into PDA body easily
KR200460930Y1 (en) * 2009-09-22 2012-06-14 주식회사 뉴빛 Protecting cover for a mobile phone
KR200467372Y1 (en) * 2011-09-01 2013-06-14 김용식 Case for protecting cellphone
KR101288042B1 (en) * 2011-12-01 2013-07-19 주식회사 탱그램디자인연구소 Protector Case For Cell Phone Capable Of Retaining Car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89A1 (en) * 2014-11-24 2016-06-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116777B2 (en) 2014-11-24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80001455U (en) * 2016-11-08 2018-05-16 허홍만 smart-phone case with sliding open and shut type credit card keeping part
WO2022177127A1 (en) * 2021-02-16 2022-08-2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icrophon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64Y1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en) Connecting device opening and shutting front cov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se thereof
EP3136900B1 (en) Protective case for a device
KR100934120B1 (en) Cell phone case
US11184989B2 (en)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10036876A1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US20120305422A1 (en) Portable device protector case
JP2016537902A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tele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devices
US20120285847A1 (en) Protective case for interconnected electronic devices
KR200476664Y1 (en)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KR200467372Y1 (en) Case for protecting cellphone
KR101461004B1 (en) Side-touch enabled smartphone case
KR101229079B1 (en) Bumper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72146Y1 (en) Protecting Case with Application which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KR101109319B1 (en) Removable terminal plug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rotective cases containing them
KR101404024B1 (en) Smart phone cover
KR20110011234U (en) Carrying terminal case
KR20140042030A (en) Pouch for a mobile terminal
KR200476665Y1 (en) Diary-type case for protecting portable terminal
KR20110109668A (en) Cell phone case with connector cover
KR101480872B1 (en) Mobile Phone Case With Folding Type Cover
KR101465024B1 (en) A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50129089A (en) A protection cover for slot and window of portable terminal
KR101340346B1 (en) Mobile phone case for receiving a traffic card
KR20190044462A (en) Card Phone Case with OTS USB Memory
KR101422196B1 (en)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07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7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3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