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48147A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8147A
KR20140148147A KR20130071687A KR20130071687A KR20140148147A KR 20140148147 A KR20140148147 A KR 20140148147A KR 20130071687 A KR20130071687 A KR 20130071687A KR 20130071687 A KR20130071687 A KR 20130071687A KR 20140148147 A KR20140148147 A KR 2014014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exchange membrane
cathode
anode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택민
김정윤
이호일
고동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8147A/ko
Publication of KR2014014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1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교환막; 및 상기 이온교환막에 접합(bonding)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redox flow energy storage devic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 시스템은 화력 발전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화력 발전은 화석 연료의 연소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이산화 탄소로 인해서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redox flow energy storage device)는 친환경 에너지의 활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는 탱크 용량 및 전지 스택수를 가변하여 출력 및 에너지 밀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대용량 전력 저장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는 가수가 변하는 금속 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충전 및 방전하는 전지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는 이온 교환막(10), 및 상기 이온 교환막(10)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양극(20)과 음극(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금속 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은 상기 이온교환막(10)을 통해서 상기 양극(20) 및 음극(30) 사이에서 일어나며, 이와 같은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서 전기가 생성되게 된다.
상기 양극(20)은 상기 이온교환막(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음극(30)은 상기 이온교환막(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양극(20)과 상기 음극(30)은 각각 상기 이온교환막(1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어 있을 뿐 상기 이온교환막(10)과 접합(bonding)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경우, 상기 양극(20)과 상기 음극(30)이 상기 이온교환막(10)과 접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상기 이온교환막(10)을 통해서 상기 양극(20)과 음극(30) 사이에서 이온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차전지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이온이 이동하는 통로가 확장되어 상기 이온교환막(10)에 부품(Swell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온교환막(10)에 부품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양극(20) 및 음극(30) 사이에서 전해질이 이동하는 크로스 오버(cross over) 현상이 생겨 전지의 전압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막(10)에 부품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이온교환막(10)과 상기 양극(20) 사이 또는 상기 이온교환막(10)과 상기 음극(30) 사이의 접촉 저항이 증가되어 전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온교환막에서 발생하는 부품(Swell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온교환막; 및 상기 이온교환막에 접합(bonding)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교환막에 전극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이 이온교환막의 형태유지를 위한 지지체로서 기능하게 되어, 이온교환막의 부품(swelling)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온교환막의 부품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양극 및 음극 사이의 크로스 오버(cross over) 현상이 방지되고, 이온교환막과 전극 사이의 접촉 저항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전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교환막에 전극이 접합된 상태로 단위셀을 구성하기 때문에, 이차전지 제작을 위한 조립공정이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성하는 단위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는, 이온교환막(100), 전극(200a, 200b),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 집전체(400a, 400b), 탱크(500a, 500b), 및 배관(610a, 610b, 620a, 62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온교환막(100)은 이차 전지의 충전 및 방전시 상기 전극(200a, 200b) 사이에서 이온이 이동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이온교환막(100)은 높은 이온 선택 투과성, 높은 전도도, 높은 내화학성 및 내구성 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교환막(100)으로는 양이온 교환막 또는 음이온 교환막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나피온(Nafion)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200a, 200b)은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양극(200a), 및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음극(200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온교환막(100), 양극(200a) 및 음극(200b)의 조합에 의해서 단위셀이 구성되고, 상기 단위셀에서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즉, 금속 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은 상기 이온교환막(100)을 통해서 상기 양극(200a) 및 음극(200b) 사이에서 일어나며, 이와 같은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서 전기가 생성된다. 또한, 생성된 전기는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 및 집전체(400a, 400b)를 경유하여 인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나듐 이온을 이용하는 바나듐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나듐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는 대용량 전력 저장과 함께 전력 평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차 전지이다. 다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바나듐 이외의 다양한 전해질을 이용한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200a) 및 음극(200b)은 탄소 펠트(carbon fel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소 펠트는 탄화의 정도에 따라 탄소, 흑연, 또는 탄소와 흑연의 혼합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소 펠트는 그 표면에 대해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소 펠트에 대한 수계 전해질에서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탄소 펠트에 대해서 산처리 또는 전기화학적 처리와 같은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양극(200a) 및 음극(200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온교환막(100)에 접합(bonding)되어 있다. 즉, 상기 양극(200a)만이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일측에서 상기 이온교환막(100)에 접합될 수 있고, 상기 음극(200b)만이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타측에서 상기 이온교환막(100)에 접합될 수 있고, 상기 양극(200a) 및 음극(200b) 모두 상기 이온교환막(100)에 접합(bonding)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극(200a) 및 음극(200b)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온교환막(100)에 접합(bonding)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상기 양극(200a) 및 음극(200b)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이온교환막(100)과 분리되지 않고 상기 이온교환막(1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온교환막(100)을 통해서 이온이 이동할 때 상기 이온교환막(100)에서 부품(Swelling) 현상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온교환막(100)에 상기 양극(200a) 및/또는 상기 음극(200b)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양극(200a) 및/또는 음극(200b)이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형태유지를 위한 지지체로서 기능하게 되어, 상기 이온교환막(100)이 부풀어오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온교환막(10) 부품 현상으로 인한 크로스 오버(cross over) 문제 및 접촉저항 증가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200a) 및 상기 음극(200b)을 상기 이온교환막(100)에 접합(bonding)함에 있어서, 상기 양극(200a) 및 상기 음극(200b)을 구성하는 탄소 펠트(carbon felt)가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표면을 뚫고 그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소 펠트가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표면을 뚫고 그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양극(200a)과 상기 이온교환막(100) 사이의 접합력 및 상기 음극(200b)과 상기 이온교환막(100) 사이의 접합력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펠트가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표면을 뚫고 그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이온교환막(100)을 통해서 상기 양극(200a)과 음극(200b) 사이에서의 이온의 이동이 보다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양극(200a) 및 상기 음극(200b)을 구성하는 탄소 펠트(carbon felt) 모두가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표면을 뚫고 그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양극(200a) 및 상기 음극(200b)을 구성하는 탄소 펠트(carbon felt) 중 어느 하나만이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표면을 뚫고 그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양극(200a) 및/또는 음극(200b)이 이온교환막(100)에 접합된 상태의 단위셀은, 상기 이온교환막(100)을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상기 이온교환막(100)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탄소 펠트를 가압하는 공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는 전하를 전달하는 전도체 역할을 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전체(400a, 400b)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전극(200a, 200b)에서 발생된 전하를 상기 집전체(400a, 400b)를 통해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 개의 단위셀이 적층되는 경우 하나의 단위셀의 양극(200a)과 다른 하나의 단위셀의 음극(200b) 사이에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가 위치할 수 있고 그 경우의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는 상기 하나의 단위셀의 양극(200a)과 다른 하나의 단위셀의 음극(200b)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을 통해 발생된 전하를 다른 하나의 전극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는 흑연, 흑연 또는 탄소가 포함된 플라스틱 복합체, 금/백금 코팅된 금속 중 선택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집전체(400a, 400b)는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 특히, 복수 개의 단위셀이 적층된 경우에는 최외곽의 바이폴라 플레이트(300a, 300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복수 개의 단위셀이 적층된 경우, 최외곽이 아닌 하나의 단위셀의 양극과 다른 하나의 단위셀의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집전체를 추가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집전체(400a, 400b)로는 전도성이 좋은 물질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탱크(500a, 500b)는 상기 양극(200a)과 연결된 양극 전해질 탱크(500a) 및 상기 음극(200b)과 연결된 음극 전해질 탱크(50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 전해질 탱크(500a)에는 양극 전해질이 저장되어 있어, 상기 양극 전해질 탱크(500a)와 상기 양극(200a) 사이에서 상기 양극 전해질이 유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극 전해질 탱크(500b)에는 음극 전해질이 저장되어 있어, 상기 음극 전해질 탱크(500b)와 상기 음극(200b) 사이에서 상기 음극 전해질이 유동하게 된다.
상기 양극 전해질은 바나듐 4가 이온 또는 바나듐 5가 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극 전해질은 바나듐 2가 이온 또는 바나듐 3가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나듐 이온을 이용하는 바나듐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바나듐 이외의 다양한 전해질을 이용한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관(610a, 610b, 620a, 620b)은 양극 전해질 유입 배관(610a), 음극 전해질 유입 배관(610b), 양극 전해질 유출 배관(620a), 및 음극 전해질 유출 배관(62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 전해질 유입 배관(610a)은 상기 양극 전해질 탱크(500a)와 양극(200a)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양극 전해질 탱크(500a)에 저장된 양극 전해질을 상기 양극(200a)으로 전달한다. 상기 음극 전해질 유입 배관(610b)은 상기 음극 전해질 탱크(500b)와 음극(200b)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음극 전해질 탱크(500b)에 저장된 음극 전해질을 상기 음극(200b)으로 전달한다.
상기 양극 전해질 유출 배관(620a)은 상기 양극 전해질 탱크(500a)와 양극 (200a)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양극(200a)에서 상기 양극 전해질 탱크(500a)로 양극 전해질을 전달한다. 상기 음극 전해질 유출 배관(620b)은 상기 음극 전해질 탱크(500b)와 음극(200b)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음극(200b)에서 상기 음극 전해질 탱크(500b)로 음극 전해질을 전달한다.
이상 설명한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전술한 양극(200a) 및/또는 음극(200b)이 이온교환막(100)에 접합된 단위셀을 구비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이차전지를 포함한다.
100: 이온교환막
200a: 양극 200b: 음극
300a, 300b: 바이폴라 플레이트 400a, 400b: 집전체
500a, 500b: 탱크 610a, 610b, 620a, 620b: 배관

Claims (6)

  1. 이온교환막; 및
    상기 이온교환막에 접합(bonding)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이온교환막의 일측에 위치하는 양극 또는 상기 이온교환막의 타측에 위치하는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이온교환막의 표면을 뚫고 그 내부까지 침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탄소 펠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 공급되는 바나듐 이온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는 산화환원 유동 에너지 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20130071687A 2013-06-21 2013-06-21 이차전지 Ceased KR20140148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687A KR20140148147A (ko) 2013-06-21 2013-06-21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687A KR20140148147A (ko) 2013-06-21 2013-06-21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147A true KR20140148147A (ko) 2014-12-31

Family

ID=5267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687A Ceased KR20140148147A (ko) 2013-06-21 2013-06-21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81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092A (ko) * 2016-08-05 2018-02-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US11377375B2 (en) 2016-08-05 2022-07-05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energy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092A (ko) * 2016-08-05 2018-02-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US11377375B2 (en) 2016-08-05 2022-07-05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de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aving energy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1093B1 (en) Fuel cell elements with improved water handling capacity
Vincent et al. Solutions to the water flooding problem for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s: status and perspectives
KR101394255B1 (ko) 레독스 흐름전지 및 그 운전 방법
JP5362144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の電解質膜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CN102867978A (zh) 一种液流储能电池结构
CN102024928A (zh) 一种增强型钒电池用全氟磺酸离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CN201956424U (zh) 一种双倍功率的液流电池电堆结构
KR101570700B1 (ko) 레독스 흐름전지용 매니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CN118919790A (zh) 密封型氧化还原电池
US20150072261A1 (en) High power high efficiency flow type battery
KR101945529B1 (ko) 플로우 전지
KR20140134466A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집전체,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집전체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WO2013097595A1 (zh) 一种质子交换膜在铁-铬系液相流体电池中的应用
CN100550500C (zh) 一种燃料电池组
KR20140148147A (ko) 이차전지
CN101459253B (zh) 一种大面积熔融碳酸盐燃料电池
CN111201655B (zh) 隔膜复合体及氧化还原液流电池
KR102003541B1 (ko) 레독스 흐름전지용 복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Jiang et al. Novel strategy for cathode in iron-lead single-flow battery: Electrochemically modified porous graphite plate electrode
CN110326144B (zh) 聚合物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电化学电池和液流电池、用于聚合物电解质膜的组合物
KR20150106041A (ko) 이온교환막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CN106450404A (zh) 液流电池电堆
CN101507029A (zh) 燃料电池
KR102130874B1 (ko)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Hosseiny Vanadium/air redox flow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