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8139A -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cassett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 Google Patents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cassett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8139A KR20140148139A KR1020130071671A KR20130071671A KR20140148139A KR 20140148139 A KR20140148139 A KR 20140148139A KR 1020130071671 A KR1020130071671 A KR 1020130071671A KR 20130071671 A KR20130071671 A KR 20130071671A KR 20140148139 A KR20140148139 A KR 201401481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cassette
- check
- upper cover
- lo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잠금장치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카세트의 잠금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카세트의 잠금 및 해정 동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카세트 잠금장치의 조립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카세트 잠금장치가 내장된 카세트를 단품 단위로 제작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카세트 프레임(100)에 수납되는 수표 카세트(200)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300)를 잠금 또는 해정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체(412)를 구비한 키 조작부(410); 상기 카세트 프레임(10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진되는 제1브라켓(420); 상기 회전체(412)에 링크부재(4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카세트 프레임(100)의 후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진되며,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2브라켓(440); 상기 제1브라켓(420)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승하강되는 제3브라켓(450); 및 상기 제3브라켓(450)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고, 일측에는 승강 또는 하강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에 구비된 걸림부(230)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4브라켓(46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perform a locking operation of a plurality of cassettes by the operation of one locking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cassette, simplifying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cassette locking device, And to provide a cassette locking device for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capable of manufacturing a built-in cassette by a single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sette locking device for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for locking or unlocking a check cassette 200 and a plurality of banknote cassettes 300 housed in a cassette frame 100, A key operation unit 410 having a whole 412; A first bracket 420 horizontally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sette frame 100 and moving back and forth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412;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412 through a link member 430 and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sette frame 100 and is moved back and forth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412, A second bracket 440 which is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upper cover 210 of the check cassette 200 and the upper cover 310 of the banknote cassette 300 when the check cassette 200 is moved; A third bracket 450 raised and lowered in conjunction wi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bracket 420;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50 and 450.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50 and 45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50 and 450, And a fourth bracket 460 formed on the first bracket 460.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잠금장치의 조작에 의해 다수개의 카세트의 잠금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잠금 동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로서, 고객이 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지폐나 수표를 출금하거나, 입금 등의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is an automation device that can assist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ing or withdrawing without any banking staff,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It is structured to be able to withdraw a check or make a transaction such as a deposit.
도 1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sette lock device of a conventional automated teller machine.
종래 수표와 지폐를 취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는, 입금될 매체(수표 및/또는 지폐)를 투입받거나 출금된 매체를 방출하는 입출금부(1), 입금 또는 출금되는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2), 입금 또는 출금되는 매체의 권종 및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감별부(3), 입금된 수표가 일시 저장되는 수표 일시저장부(4), 입금된 지폐가 일시 저장되는 지폐 일시저장부(5), 입금되는 수표가 저장되는 수표 입금 카세트(6), 출금되는 매체 중 이상이 있는 매체가 회수되는 리젝트 카세트(7) 및 카세트 프레임(10)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표 카세트(20)와 지폐 카세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표 카세트(20)에는 출금될 수표가 저장되고, 상기 지폐 카세트(30)는 입금된 지폐와 출금될 지폐가 저장되는 복수의 카세트로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 프레임(1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가이드레일(11)이 상하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금융자동화기기의 본체(미도시됨)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출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수표 카세트(20)의 전면 중간부에는 측면 도어(21)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지폐 카세트(30)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31)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표 카세트(20)의 측면 도어(21)와 지폐 카세트(30)의 상부 커버(31)에는 잠금장치(22,32)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 conventional automated teller machine for handling checks and bills includes an input /
이와 같은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에서는 수표 카세트(20)와 지폐 카세트(30)를 잠금 또는 해정하기 위해서는 수표 카세트(20)의 측면 도어(21)에 구비된 잠금장치(22)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30)의 상부 커버(31)에 구비된 잠금장치(32)를 일일이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수표 카세트(20)와 지폐 카세트(30)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이 불편하고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lock or unlock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잠금장치의 조작에 의해 다수개의 카세트의 잠금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카세트의 잠금 및 해정 동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and unlocking a cassette by performing a locking operation of a plurality of cassettes by operating one locking device, And the cassett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세트 잠금장치의 조립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카세트 잠금장치가 내장된 카세트를 단품 단위로 제작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ssette locking device for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that can simplify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cassette locking device and manufacture the cassette with the cassette locking device incorporated therei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는, 카세트 프레임(100)에 수납되는 수표 카세트(200)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300)를 잠금 또는 해정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에 있어서, 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체(412)를 구비한 키 조작부(410); 상기 카세트 프레임(10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진되는 제1브라켓(420); 상기 회전체(412)에 링크부재(4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카세트 프레임(100)의 후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진되며,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2브라켓(440); 상기 제1브라켓(420)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승하강되는 제3브라켓(450); 및 상기 제3브라켓(450)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고, 일측에는 승강 또는 하강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에 구비된 걸림부(230)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4브라켓(46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sette locking apparatus for a banking automation apparatus which is provided with a
이 경우 상기 제1브라켓(420)의 측면에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제1가이드홀(42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브라켓(450)의 상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홀(42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브라켓(420)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승하강되는 연결핀(451)이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또한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 일측에는 제1걸림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440)에는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제1걸림부(21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어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의 개폐를 단속하는 제1걸림편(441)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first
또한 상기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의 일측에는 제2걸림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440)에는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제2걸림부(31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어 상기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의 개폐를 단속하는 제2걸림편(442)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또한 상기 제1브라켓(420)과 제2브라켓(430) 및 제3브라켓(450)은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4브라켓(460)은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브라켓(450)의 하단에는 상기 제4브라켓(460)의 하단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4브라켓(46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452)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4브라켓(460)의 하단은 상기 제3브라켓(450)의 지지부(452)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4브라켓(460)은 상기 지지부(452) 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지지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또한 상기 제4브라켓(460)의 상부 일측에는 잠금핀(46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는 일측의 힌지부(2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고, 상기 측면 도어(220)에 구비된 걸림부(230)는, 상기 잠금핀(463)의 승강 또는 하강 이동에 따라 걸림해제 또는 걸림되는 후크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또한 상기 후크부(232)는 상기 잠금핀(463)과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잠금핀(463)과 대향되는 상기 후크부(232)의 일측면은 경사면(232a)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에 의하면, 키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표 카세트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를 동시에 잠금 또는 해정할 수 있게 되므로 다수로 구비된 카세트의 잠금 및 해정 동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assett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heck cassette and the plurality of banknote cassettes can be locked or unlocked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the convenience of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cassettes .
또한 키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전후진되어 수표 카세트의 상부 커버와 지폐 카세트의 상부 커버가 잠금 또는 해정되고, 제1브라켓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제3브라켓과 제4브라켓이 함께 승하강되어 제4브라켓의 상단에 구비된 잠금핀과 수표 카세트의 측면 도어에 구비된 걸림부가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세트 잠금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moved back and forth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to lock or unlock the upper cover of the check cassette and the upper cover of the banknote cassette, and the third bracket and the fourth The bracket is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ock pi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ourth bracket and the latch provided on the side door of the check cassette is engaged or released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cassette locking device can be simplified.
또한 카세트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키 조작부, 제1브라켓, 제2브라켓 및 제3브라켓은 수표 카세트의 외부에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제4브라켓은 수표 카세트에 내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세트 잠금장치의 부품을 포함한 수표 카세트를 단품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카세트 잠금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key operating portion, the first bracket, the second bracket, and the third bracket constituting the cassette lock device are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the outside of the check cassette, and the fourth bracket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the check cassett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heck cassette including a single cassette, so that the assembling performance of the cassette locking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잠금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키 조작부와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키 조작부와 측면 도어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수표 카세트의 상부 커버와 지폐 카세트의 상부 커버가 잠금된 경우의 상태도,
도 8은 수표 카세트의 상부 커버와 지폐 카세트의 상부 커버가 해정된 경우의 상태도,
도 9는 수표 카세트의 측면 도어가 잠금된 경우의 상태도,
도 10은 수표 카세트의 측면 도어가 해정된 경우의 상태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sette locking device of a conventional banking automation apparatus,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sette locking device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cassett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key operation unit and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6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key operation part and a side door,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of the check cassette and the upper cover of the paper currency cassette are locked,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of the check cassette and the upper cover of the paper currency cassette are uncovere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door of the check cassette is locked;
Fig. 10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side door of the check cassette is unseated;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잠금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키 조작부와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키 조작부와 측면 도어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sette locking device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cassett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key operation part and a side door. Fig.
도 3을 참조하면, 카세트 프레임(100)은 그 내부에 수표 카세트(200)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300)을 탈착 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 프레임(110)과 후면 프레임(120)이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전면 프레임(110)과 후면 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구획판(130)에 의해 구획되어 그 내측에 수표 카세트(200)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300)가 수납된다. 3, the
상기 전면 프레임(110)과 후면 프레임(120)에는 가이드레일(140)이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금융자동화기기의 본체(미도시됨)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출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수표 카세트(200)와 지폐 카세트(300)를 인출하는 경우,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의 본체로부터 상기 카세트 프레임(100)을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에, 상기 구획판(130) 사이에 수납된 수표 카세트(200)와 지폐 카세트(30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인출하게 된다.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에는 상하로 회동되어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310)가 구비되고,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중간부에는 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을 개폐하는 측면 도어(220)가 구비된다. 상기 지폐 카세트(200)는 현금이 수납되는 공간으로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권종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 복수로 구비되어 있고,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에는 상하로 회동되어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310)가 구비되어 있다.An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표 카세트(200)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300)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을 하나의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세트 잠금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세트 잠금장치는, 키 조작부(410)와, 상기 키 조작부(410)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전진(도면상 우측 방향) 또는 후진(도면상 좌측 방향)되는 제1브라켓(420)과 링크부재(430)를 통해 연결되어 전진 또는 후진됨에 따라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를 동시에 잠금 또는 해정하는 제2브라켓(440), 상기 제1브라켓(420)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승하강되는 제3브라켓(450), 상기 제3브라켓(450)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어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를 잠금 또는 해정하는 제4브라켓(4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cassette l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키 조작부(410)는, 전면 프레임(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키(열쇠)가 삽입되는 키 삽입부(411)와, 키 삽입부(411)에 삽입된 키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체(412)와, 상기 회전체(412)와 제1브라켓(420)에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력을 상기 제1브라켓(420)에 전달하는 제1회전링크(4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and 5, the
상기 제1브라켓(420)은, 상기 키 조작부(410)의 회전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면 프레임(110)의 내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브라켓(420)의 측면에는, 후술되는 제3브라켓(450)의 승하강 이동을 위한 동력 전달의 역할을 하는 제1가이드홀(421)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제1가이드홀(421)의 일측으로 상기 제1브라켓(420)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제2가이드홀(4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홀(422)의 내측에는 전면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돌출된 가이드부(미도시됨)가 삽입되어 제1브라켓(420)이 수평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 일측에는 수표 카세트(200)를 카세트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상부 커버 지지대(212)가 결합되어 있다.A
상기 링크부재(430)는,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력을 제2브라켓(4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링크부재(430)의 일측단은 회전체(412)에 연결되고, 링크부재(430)의 타측단은 제2회전링크(43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력은 제1회전링크(413)를 통하여 제1브라켓(420)에 전달되는 동시에 상기 링크부재(430)와 제2회전링크(431)를 통하여 제2브라켓(440)에 전달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시 상기 제1브라켓(420)과 제2브라켓(440)은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회전체(412)에 연결되는 제1회전링크(413)와 제2회전링크(431)의 연결구조를 달리 구성할 경우 상기 제1브라켓(420)과 제2브라켓(440)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제2브라켓(440)은, 상기 키 조작부(410)의 회전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후면 프레임(120)의 내측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후면 프레임(120)의 내측면과 제2브라켓(440)의 외측면 사이에는 제2브라켓(44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부재(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획판(130)에는 제2브라켓(400)이 관통되는 가이드홀(131)이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상기 제2브라켓(440)의 내측면에는 제1걸림편(411)과 복수의 제2걸림편(412)이 소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수표 카세트(200)이 상부 커버(210)에는 제2브라켓(44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제1걸림편(41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1걸림부(211)가 형성되고, 복수의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에는 제2브라켓(44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제2걸림편(412)에 각각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2걸림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A
따라서, 상기 제2브라켓(440)이 후진 이동되어 상기 제1걸림편(411)과 제2걸림편(412)이 상기 제1걸림부(211)와 제2걸림부(311)의 직상방에 위치하게 되면,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1)는 상방향으로의 회동이 억제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2브라켓(440)이 전진 이동되어 상기 제1걸림편(411)과 제2걸림편(412)이 상기 제1걸림부(211)와 제2걸림부(311)의 상측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1)는 상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한 해정 상태가 된다. The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3브라켓(450)과 제4브라켓(460)은 제1브라켓(420)의 전후진 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승하강되어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를 잠금 또는 해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3브라켓(450)은 수표 카세트(200)의 외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4브라켓(460)은 수표 카세트(30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수표 카세트(300)의 제조시 제4브라켓(460)이 내장된 수표 카세트(300)를 단품으로 제작 가능하게 되며, 단품으로 제작된 수표 카세트(300)의 외부에 제1브라켓(420)과 제2브라켓(430) 및 제3브라켓(440)을 조립함으로써 카세트 잠금장치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4 and 5, the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는 제3브라켓(45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고, 수표 카세트(200)의 내부에는 제4브라켓(460)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제3브라켓(450)의 상단에는 제1브라켓(420)의 제1가이드홀(421)에 삽입되어 제1브라켓(420)의 전후진 이동에 연동하여 제1가이드홀(421)을 따라 승하강되는 연결핀(451)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브라켓(420)이 전진 이동되면 상기 연결핀(451)은 제1가이드홀(421)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3브라켓(450)은 하강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제1브라켓(420)이 후진 이동되면 상기 연결핀(451)은 제1가이드홀(421)의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3브라켓(450)은 승강하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또한, 상기 제3브라켓(450)의 하단부에는 수표 카세트(2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제4브라켓(46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45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A
상기 제4브라켓(460)의 하단부에는 연결부재(461)의 일측단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461)의 타측단은 제3브라켓(450)의 지지부(45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연결부재(461)는 탄성부재(462)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462)의 상단은 연결부재(461)에 지지되고, 탄성부재(462)의 하단은 카세트 프레임(10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연결부재(461)를 아래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제3브라켓(450)의 지지부(452) 상에 연결부재(461)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3브라켓(450)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제4브라켓(460) 또한 함께 승하강하게 된다. One end of the connecting
상기 제4브라켓(460)의 상부 일측에는 후술되는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에 구비되는 걸림부(230)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잠금핀(463)이 결합되어 있다. A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는 일측의 힌지부(2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중간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도어(220)의 내측면 상부 일측에는 상기 제4브라켓(460)의 잠금핀(463)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걸림부(230)가 구비된다.6, the
상기 걸림부(230)는, 측면 도어(22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23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잠금핀(463)에 걸림되는 후크부(232)와, 상기 후크부(232)의 하측에 구비되어 후크부(232)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4)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232)의 상면은 상기 잠금핀(463)이 수용되어 걸림될 수 있도록 홈 형상으로 절곡되고, 후크부(232)의 선단부에는 측면 도어(2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잠금핀(463)을 타고 이동되는 경사면(23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232)는 상기 힌지부(231)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고정돌기(233)에 그 중심부가 결합되고, 그 양단은 후크부(232)의 하단과 단턱(235)에 각각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ocking
따라서, 측면 도어(220)가 닫힌 상태에서, 제4브라켓(460)이 하강되면, 측면 도어(220)의 후크부(232)에 제4브라켓(460)의 잠금핀(463)이 걸림되어, 측면 도어(220)는 잠금 상태가 된다. 그리고, 측면 도어(220)가 닫힌 상태에서, 제4브라켓(460)이 승강되면, 잠금핀(463)은 후크부(232)의 상측으로 이동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되므로 측면 도어(220)는 해정 상태가 된다. When the
또한, 측면 도어(220)가 열린 상태에서, 제4브라켓(460)이 하강된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측면 도어(220)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잠금핀(463)에 후크부(232)의 경사면(232a)이 접촉되면서 미끄러짐과 동시에 탄성부재(234)가 아래방향으로 가압되면서 후크부(232)가 하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측면 도어(220)를 완전히 닫게 되면 후크부(232)의 경사면(232a)이 잠금핀(463)을 타고 넘어가 후크부(232)의 내측에 잠금핀(463)이 걸림됨과 동시에 탄성부재(234)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부(232)는 잠금핀(463) 측으로 가압되어 잠금핀(463)과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When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세트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assette loc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7은 수표 카세트의 상부 커버와 지폐 카세트의 상부 커버가 잠금된 경우의 상태도, 도 8은 수표 카세트의 상부 커버와 지폐 카세트의 상부 커버가 해정된 경우의 상태도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of the check cassette and the upper cover of the bill cassette are locked, and Fig. 8 is a state view in the case where the upper cover of the check cassette and the upper cover of the paper currency cassette are uncovered.
도 7을 참조하면, 키 조작부(410)의 키 삽입부(411)에 키를 삽입하고 일방향으로 키를 회전시키면, 제1브라켓(420)이 전진 이동되는 동시에 제2브라켓(440)은 후진 이동하게 되며, 제2브라켓(440)에 형성된 제1걸림편(441)과 제2걸림편(442)이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1)에 형성된 제1걸림부(211)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에 형성된 제2걸림부(311)가 각각 상하로 위치되어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는 상방향으로 회동이 억제되는 잠금 상태가 된다. 7,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도 8을 참조하면, 키 조작부(410)의 키 삽입부(411)에 키를 삽입하고 상기 잠금 동작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키를 회전시키면, 제1브라켓(420)이 후진 이동되는 동시에 제2브라켓(440)은 전진 이동하게 되며, 제2브라켓(440)에 형성된 제1걸림편(441)과 제2걸림편(442)이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1)에 형성된 제1걸림부(211)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에 형성된 제2걸림부(311)가 각각 상측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는 상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해정 상태가 된다.8,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도 9는 수표 카세트의 측면 도어가 잠금된 경우의 상태도, 도 10은 수표 카세트의 측면 도어가 해정된 경우의 상태도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ide door of the check cassette is locked, and Fig. 10 is a state diagram in the case where the side door of the check cassette is unlocked.
도 9을 참조하면, 키 조작부(410)의 키 삽입부(411)에 키를 삽입하고 일방향으로 키를 회전시키면, 제1브라켓(420)이 전진 이동되어 제1브라켓(420)의 제1가이드홀(421)에 삽입된 연결핀(451)과 이에 결합된 제3브라켓(450)은 하강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제4브라켓(460) 또한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제4브라켓(460)의 잠금핀(463)은 측면 도어(220)의 걸림부(230)에 구비된 후크부(232)에 걸림되어 측면 도어(220)의 잠금 상태가 된다.9,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도 10을 참조하면, 키 조작부(410)의 키 삽입부(411)에 키를 삽입하고 상기 잠금 동작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키를 회전시키면, 제1브라켓(420)이 후진 이동되어 제1브라켓(420)의 제1가이드홀(421)에 삽입된 연결핀(451)과 이에 결합된 제3브라켓(450)은 승강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제4브라켓(460) 또한 승강하게 된다. 이 경우 제4브라켓(460)의 잠금핀(463)은 측면 도어(220)의 걸림부(230)에 구비된 후크부(232)의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잠금핀(463)과 후크부(232) 간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측면 도어(220)의 잠금 상태가 해정된다.10, w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동일한 키 조작부(410)를 이용하여 수표 카세트(200)와 복수의 지폐 카세트(300)를 동시에 잠금 또는 해정할 수 있게 되므로 다수개의 카세트의 잠금 또는 해정 동작이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카세트의 잠금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1 : 입출금부 2 : 반송로
3 : 감별부 4 : 수표 일시저장부
5 : 지폐 일시저장부 6 : 수표 입금 카세트
7 : 지폐 카세트 10 : 카세트 프레임
11 : 가이드레일 20 : 수표 카세트
21 : 측면 도어 22 : 잠금장치
30 : 지폐 카세트 31 : 상부 커버
32 : 잠금장치 100 : 카세트 프레임
110 : 전면 프레임 120 : 배면 프레임
130 : 구획판 131 : 가이드홀
140 : 가이드레일 200 : 수표 카세트
210 : 상부 커버 211 : 제1걸림부
212 : 상부 커버 지지대 220 : 측면 도어
221 : 힌지부 230 : 걸림부
231 : 힌지부 232 : 후크부
232a : 경사면 233 : 고정돌기
234 : 탄성부재 235 : 단턱
300 : 지폐 카세트 310 : 상부 커버
311 : 제2걸림부 400 : 카세트 잠금장치
410 : 키 조작부 411 : 키 삽입부
412 : 회전체 413 : 제1회전링크
420 : 제1브라켓 421 : 제1가이드홀
422 : 제2가이드홀 430 : 링크부재
431 : 제2회전링크 440 : 제2브라켓
441 : 제1걸림편 442 : 제2걸림편
450 : 제3브라켓 451 : 연결핀
452 : 지지부 460 : 제4브라켓
461 : 연결부재 462 : 탄성부재
463 : 잠금핀 1: depositing and withdrawing portion 2: conveying route
3: discrimination unit 4: check temporary storage unit
5: Temporary storage of bill 6: Check deposit cassette
7: Paper currency cassette 10: Cassette frame
11: guide rail 20: check cassette
21: side door 22: locking device
30: paper currency cassette 31: upper cover
32: Locking device 100: Cassette frame
110: front frame 120: rear frame
130: partition plate 131: guide hole
140: guide rail 200: check cassette
210: upper cover 211: first engaging portion
212: upper cover support 220: side door
221: hinge part 230:
231: hinge portion 232: hook portion
232a: Slope 233: Fixing projection
234: elastic member 235:
300: Paper currency cassette 310: Upper cover
311: second latching part 400: cassette locking device
410: key operation unit 411: key insertion unit
412: rotating body 413: first rotating link
420: first bracket 421: first guide hole
422: second guide hole 430: link member
431: second rotation link 440: second bracket
441: first latching piece 442: second latching piece
450: third bracket 451: connecting pin
452: Support part 460: Fourth bracket
461: connecting member 462: elastic member
463: Lock pin
Claims (8)
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체(412)를 구비한 키 조작부(410);
상기 카세트 프레임(100)의 전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진되는 제1브라켓(420);
상기 회전체(412)에 링크부재(43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카세트 프레임(100)의 후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체(4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진되며,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와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2브라켓(440);
상기 제1브라켓(420)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승하강되는 제3브라켓(450); 및
상기 제3브라켓(450)에 연결되어 함께 승하강되고, 일측에는 승강 또는 하강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에 구비된 걸림부(230)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는 제4브라켓(460);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CLAIMS 1. A cassette locking device for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for locking or unlocking a check cassette (200) and a plurality of banknote cassettes (300) stored in a cassette frame (100)
A key operation unit 410 having a rotating body 412 rotate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a key;
A first bracket 420 horizontally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sette frame 100 and moving back and forth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412;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412 through a link member 430 and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sette frame 100 and is moved back and forth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412, A second bracket 440 which is engaged or disengaged from the upper cover 210 of the check cassette 200 and the upper cover 310 of the banknote cassette 300 when the check cassette 200 is moved;
A third bracket 450 raised and lowered in conjunction wi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bracket 420; And
And is coupled to the third bracket 450 so as to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third bracket 450.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450 and 450 are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450 and the second bracket 450, And a fourth bracket (460).
상기 제1브라켓(420)의 측면에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제1가이드홀(421)이 형성되고,
상기 제3브라켓(450)의 상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홀(42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브라켓(420)의 전후진에 연동하여 승하강되는 연결핀(45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guide hole 421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420 so as to be inclined upwards at one sid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The upper end of the third bracket 4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421 a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n 451 which is raised and lowered in conjunction wi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bracket 420. Cassette lock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 일측에는 제1걸림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440)에는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제1걸림부(21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어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상부 커버(210)의 개폐를 단속하는 제1걸림편(4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latching part 2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cover 210 of the check cassette 200 and a latching part 211 is formed on the first latching part 211 when the second bracket 44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nd a first latching piece (441) for interrup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cover (210) of the check cassette (200) is formed.
상기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의 일측에는 제2걸림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440)에는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제2걸림부(311)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어 상기 지폐 카세트(300)의 상부 커버(310)의 개폐를 단속하는 제2걸림편(4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latching portion 3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cover 310 of the banknote cassette 300 and the second latching portion 311 is hooked or jammed when the second bracket 44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nd a second latching part (442) for relea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cover (310) of the banknote cassette (300).
상기 제1브라켓(420)과 제2브라켓(430) 및 제3브라켓(450)은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4브라켓(460)은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브라켓(450)의 하단에는 상기 제4브라켓(460)의 하단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4브라켓(46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4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cket 420, the second bracket 430, and the third bracket 450 are located outside the check cassette 200,
The fourth bracket 460 is located inside the check cassette 200,
And a support portion 452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ourth bracket 460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fourth bracket 460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third bracket 450. [ Device.
상기 제4브라켓(460)의 하단은 상기 제3브라켓(450)의 지지부(452) 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4브라켓(460)은 상기 지지부(452) 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end of the fourth bracket 460 is seated on the support portion 452 of the third bracket 450 and the fourth bracket 460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be pressed toward the support portion 452 Cassette lock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상기 제4브라켓(460)의 상부 일측에는 잠금핀(46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표 카세트(200)의 측면 도어(220)는 일측의 힌지부(2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고, 상기 측면 도어(220)에 구비된 걸림부(230)는, 상기 잠금핀(463)의 승강 또는 하강 이동에 따라 걸림해제 또는 걸림되는 후크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ocking pin 463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bracket 460,
The side door 220 of the check cassette 200 is rotated around a hinge part 221 of the check cassette 200 to open and close the latching part 230 of the side door 220, And a hook portion (232) for releasing or engaging with the lifting or lowering movement of the cassette locking device.
상기 후크부(232)는 상기 잠금핀(463)과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잠금핀(463)과 대향되는 상기 후크부(232)의 일측면은 경사면(232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카세트 잠금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ok portion 232 is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of engagement with the lock pin 463 and one side of the hook portion 232 facing the lock pin 463 is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232a Cassette locks of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1671A KR102106864B1 (en) | 2013-06-21 | 2013-06-21 |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cassett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1671A KR102106864B1 (en) | 2013-06-21 | 2013-06-21 |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cassett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8139A true KR20140148139A (en) | 2014-12-31 |
KR102106864B1 KR102106864B1 (en) | 2020-05-06 |
Family
ID=5267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1671A Active KR102106864B1 (en) | 2013-06-21 | 2013-06-21 |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cassett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686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370B1 (en) * | 2015-05-28 | 2016-11-0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Automatic teller machine |
KR20180079839A (en) * | 2017-01-03 | 2018-07-11 |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 Financial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7404A (en) * | 2005-05-10 | 2006-11-1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Banknote cassette lock |
KR100726008B1 (en) * | 2006-05-26 | 2007-06-0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Locking device for door |
KR101094562B1 (en) * | 2005-06-24 | 2011-12-19 | 엘지엔시스(주) | Door lock of media dispenser |
JP2013025768A (en) * | 2011-07-26 | 2013-02-04 | Oki Electric Ind Co Ltd | Lock devic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
-
2013
- 2013-06-21 KR KR1020130071671A patent/KR1021068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7404A (en) * | 2005-05-10 | 2006-11-1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Banknote cassette lock |
KR101094562B1 (en) * | 2005-06-24 | 2011-12-19 | 엘지엔시스(주) | Door lock of media dispenser |
KR100726008B1 (en) * | 2006-05-26 | 2007-06-0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Locking device for door |
JP2013025768A (en) * | 2011-07-26 | 2013-02-04 | Oki Electric Ind Co Ltd | Lock devic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3370B1 (en) * | 2015-05-28 | 2016-11-0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Automatic teller machine |
KR20180079839A (en) * | 2017-01-03 | 2018-07-11 |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 Financi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6864B1 (en) | 2020-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32506B1 (en) | Teller cash recycler | |
US6843409B2 (en) | Media container module | |
KR101590714B1 (en) | Financial device | |
KR101171460B1 (en) | Push plate up and down structure in bill stacking box | |
KR101114634B1 (en) | Door locking apparatus in a cassette | |
KR102165828B1 (en) | Apparatus for locking cover of cassette | |
KR101046821B1 (en) | Push plate lock of cassette | |
KR20140148139A (en) | Locking and unlocking device of cassette in automated teller machine | |
JP6012501B2 (en) | Cash management equipment | |
KR101035189B1 (en) | Cassette of automatic teller machine | |
KR101181587B1 (en) | Locking device for bill stacking box | |
KR101310466B1 (en) | Cassette locking apparatus of automated teller machine | |
KR101159484B1 (en) | Locking apparatus of cassette | |
JP6891924B2 (en) | Media processing equipment | |
KR101170559B1 (en) | Locking device of bill withdrawal box | |
KR101868151B1 (en) |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ash dispense apparatus | |
KR20220044051A (en) | Bill storage device for easy maintenance | |
KR101310422B1 (en) | Cassette locking apparatus of automated teller machine | |
KR20110078203A (en) | Bundled Money Loading Detection Device of Bundled Money Teller Machine | |
KR101001689B1 (en) | Banknote cassette power interrupter and method | |
WO2024185597A1 (en) | Money storage device and money processing device | |
KR101527576B1 (en) | External shutter opening / closing device of bundled bill dispenser | |
KR101628204B1 (en) | Teller cash recycler | |
CN221485939U (en) | Cash box and cash circulation treatment equipment | |
JP2000202147A (en) | Door mount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6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