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220A - helmet in kit form - Google Patents
helmet in kit fo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7220A KR20140147220A KR20130070064A KR20130070064A KR20140147220A KR 20140147220 A KR20140147220 A KR 20140147220A KR 20130070064 A KR20130070064 A KR 20130070064A KR 20130070064 A KR20130070064 A KR 20130070064A KR 20140147220 A KR20140147220 A KR 201401472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ghtening
- body portion
- assembled
- opening
- sea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197 gene knockdown Methods 0.000 abstract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8—Hats; Caps; Hoods made from a flat sheet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9—Hats; Caps; Hood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9—Hats; Caps; Hood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42B1/0192—Paper; Cardboard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자는 전개된 상태에서 양측면 단부를 연결하여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조립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일측에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도록 절개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개방부 상부와 상기 개방부의 반대측 몸체부 내주면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두부가 안착되도록 곡면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전방측에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챙부가 형성되고, 상기 챙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개방부의 폭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외부 양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착부를 비접착식으로 고정시키는 확장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자는 투구의 몸체부와 머리 안착부가 간단한 절차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아동 등의 경우에도 손 쉽게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두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의 전단과 몸체부를 비접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비 사용시에 최대한 2차원적인 형상에 가깝도록 분리 및 해체가 가능함으로써 보관이 비교적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ck-down cap, and more specifically, a knock-down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by connecting both side ends thereof in an unfolded state, A body formed with an addition; And a seating part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opening part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 seating the user's head part, the seating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pening part on the front side And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laterally so as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oulder portion so as to fix the seat portion non-adhesively by being hooked to both outer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
The assembled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rest portion of the helmet can be assembled by a simple proced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even in the case of a child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disassemble as close to a two-dimensional shape as possible at the time of non-use, so that the storage is relatively easy.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과정에 의하여 조립이 가능한 투구 등의 모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ckdown 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 such as a helmet which can be assembled by a simple process.
종래의 완구용 투구와 같은 모자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것이라 하더라도 일일이 해당 모자의 부품들을 사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하고 미리 조립하여 제품으로서 출시된다.Conventional toys such as toy helmets have a simple structure, but parts of the hats are manufactured using the injection method and assembled in advance and released as a product.
이러한 투구는 제조 공정이 비교적 복잡하고, 재료가 많이 투입됨으로써 제품의 최종 단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Such pitching is relatively complic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 large amount of material is added, which causes a rise in the final unit price of the product.
한편, 종래의 종이 등을 이용하여 폴딩식 또는 조립식으로 제안된 모자들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어 제품으로서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복잡한 구조를 갖는 제품의 경우에는 이를 다시 분리하여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hats proposed as folding type or assembled type using conventional paper have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tend to be less complete as a product. In the case of a product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there was.
본 발명은 종이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간단한 절차로 조립이 가능하고, 비사용시에는 2차원적으로 분리하여 보관이 용이한 모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 which can be assembled by a simple procedure using paper or synthetic resin, and is easily separated in two dimensions when not in use.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캡 부분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는 모자를 제공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p capable of deforming the shape of the cap portion by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자는 전개된 상태에서 일 측변에 형성된 제1 접착부와 타측의 측변을 접착하여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조립되고, 조립된 상태에서 일측에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도록 절개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개방부 상부와 상기 개방부의 반대측 몸체부 내주면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두부가 안착되도록 곡면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전방측에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챙부가 형성되고, 상기 챙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개방부의 폭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외부 양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착부를 비접착식으로 고정시키는 확장부가 형성된다.The assembled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by adhering the first adhesive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the side of the other side in the unfolded state to form an open portion that is opened so that the face of the user is exposed on one side A body portion; And a seating part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par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opening part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 seating the user's head part, the seating par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pening part on the front side And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laterally so as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oulder portion so as to fix the seat portion non-adhesively by being hooked to both outer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
또한 상기 안착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일 단부가 각각 상기 챙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 방향으로 각각 분기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나머지 하나의 연장부의 단부가 접착되는 제2 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at portion includes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ach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in a state where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in a deployed state, A second adhesive portion to which the end of the negative portion is adhered can be formed.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단부로부터 더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방부의 반대측에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may have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ixing hole penetrating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such that the fix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fixing por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
또한 상기 몸체부 내에서의 상기 안착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부의 길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eat part in the body pa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xing par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xing hole.
또한 상기 몸체부는 조립 시 상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when assembled
또한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청음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ound waves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art by being radially cut out and being bent outwardly.
또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안착부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may be formed of any on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적어도 1방향 이상으로 조임으로써 상기 몸체부 상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tightening part for deforming the shap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by tighten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in at least one direction.
나아가 상기 조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조립 시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조임구; 및 상기 대향하는 조임구를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변형시키는 제1 조임끈을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tigh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tighten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assembled; And a first tightening strap for deforming the body by tightening the opposed tightening tool therethrough.
또한 상기 조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조립 시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벨크로 쌍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velcro fasteners dispos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assembled.
또한 상기 조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일주하며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조임구; 및 상기 조임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외측으로 번갈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조임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를 변형시키는 제2 조임끈을 구비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tightening means form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tightening boss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tightening opening alternately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nd deform the body portion by tightening.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조임구의 사이에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개된 상단 절개부에 의하여 구분되는 복수의 지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조임끈은 상기 복수의 지엽부 중 장식용으로 이용될 지엽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엽부들에 형성된 제2 조임구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body may include a plurality of sheets divided by an upper incision part cut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downwardly between the second tightening tools. At this time, the second tightening string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tightening means formed in the remaining side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side portions except for the side portion to be used for decora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모자는 투구의 몸체부와 머리 안착부가 간단한 절차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아동 등의 경우에도 손 쉽게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assembled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rest portion of the helmet can be assembled by a simple proced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even a child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두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의 전단과 몸체부를 비접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비 사용시에 최대한 2차원적인 형상에 가깝도록 분리 및 해체가 가능함으로써 보관이 비교적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seat portion on which the user's head is seated is fixed to the body part in a non-adhesive manner, so that the seat can be separated and disassembled as close to a two-dimensional shape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된 투구의 상부를 끈 또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변형시킴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open helmet is deformed by using a string or a velcro,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shapes by a simpl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펼친 모습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및 안착부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안착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음구가 형성된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제1 변형 상태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제2 변형 상태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opened state of a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evelopment view showing a state of a sea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seat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body and th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dy part and a seat part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efabricated hat having a sound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able h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eformed into the first deformed state.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ca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eformed into the second deformed stat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assembled ca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assembled ca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3;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ca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5 is de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펼친 모습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and 2,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a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몸체부(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부이다. 몸체부(100)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평면적인 구조를 갖는다.The
구체적으로 몸체부(100)는 측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몸체부(100)의 중앙에는 하측으로부터 상향 절개된 개방부(140)가 형성된다. 개방부(140)는 사용자의 안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절개된다.Specifically, the
개방부(140)의 양 측면 하단에는 장식부(150)가 형성된다. 장식부(150)는 투구 등 모자의 측면으로부터 하향 형성되는 투구장식 등이 될 수 있다.The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 조임구(120)가 형성된다. 제1 조임구(120)는 후술할 조임끈이 관통되도록 구비되어 몸체부(100)의 상부를 변형시키는 데에 이용된다.At least two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개의 통풍구(110)가 형성된다. 통풍구(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조립식 모자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사용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몸체부(100)의 일 측에는 제1 접착부(160)가 형성된다. 제1 접착부(160)는 타측의 측변(E1)과 접착되어 몸체부(100)가 도 2에 도시된 형상으로 조립된다. 이 때 제1 접착부(160)측과 타측의 측변(E1)에는 고정공(130)이 형성된다. 제1 접착부(160)측과 타측의 측변(E1)에 형성된 고정공(130)들은 제1 접착부(160)와 타측의 측변(E1)이 접착되는 경우 하나의 관통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한다. 고정공(130)에는 후술할 안착부(230; 도 3 참조)가 삽입되어 고정된다.A first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조립된 몸체부(100)의 하부로부터 사용자의 두부가 삽입되면, 몸체부(100)의 전면에는 개방부(140)가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도록 한다. 조립된 몸체부(100)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user's head is inser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assembl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and 4, a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of a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안착부(200)는 상술한 몸체부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사용자의 두부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착부(200)는 챙부(210), 연장부(220) 및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챙부(210)는 모자의 챙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반원형 혹은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챙부(210)의 양측면에는 각각 측면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확장부(211)가 형성된다. 연장부(22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챙부(210)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형상으로 연장된다. 연장부(22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2 접착부(221)가 형성된다. 제2 접착부(221)는 타 연장부(220)의 단부와 접착됨으로써 한 쌍의 연장부(2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고정시킨다.Referring to FIG. 3, the
연장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정부(230)가 형성된다. 고정부(230)는 연장부(22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더 연장형성된다. 고정부(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에 형성된 고정공(130; 도 1 참조)에 삽입된다. 고정부(230)는 고정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에 접착된다. 고정부(230)는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안착부(200)가 몸체부 내에 구비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30)가 몸체부의 고정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길어 질수록 몸체부 내에서 안착부(200)가 구비되는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외부로 노출된 고정부(230)를 몸체부의 외측에 접착함으로써 안착부(200)의 높이 및 위치가 고정된다.The fixing
한편, 연장부(200)는 앞서 설명한 몸체부와 마찬가지로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다른 조립식 모자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 및 안착부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와 안착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assembled ha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FIG.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ing process of the body part and the seat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dy part and a seat part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와 안착부(200)가 각각 입체적인 형상으로 조립된 후에 안착부(200)는 몸체부(100)의 하부로부터 삽입된다. 이 때 챙부(210)는 몸체부(100)의 개방부(140)를 향하고, 고정부(230)는 몸체부(100)의 후면을 향하도록 삽입된다. 연장부(220)는 볼록한 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삽입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후방의 고정부(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에 접착 고정된다. 반면, 챙부(200)는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확장부(211)를 포함하는 챙부(210)의 폭이 개방부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면, 확장부(211)가 몸체부(100)에 걸리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조립식 모자를 착용하여 사용자의 두부에 안착부(200)가 안착되더라도 챙부(210)가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밀려 올라가지 않게 된다.The
즉, 본 실시예에서의 안착부(200)는 이와 같이 챙부(210)에 접착면을 형성하지 않는 다는 점에 일 특징이 있다. 즉,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챙부를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2차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조립식 모자를 변형시킬 수 있다. 챙부(210)가 몸체부(100)에 접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몸체부(100)를 상하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는 경우 안착부(200)까지 접히게 됨으로써 안착부(200)의 곡면이 변형되거나 재질의 특성 상 안착부(200)가 파손될 수 있다.
That is, the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의 전체적인 구성 및 변형 상태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청음구가 형성된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제1 변형 상태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제2 변형 상태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to 10,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modified state of the assembled ca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t having a sound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able 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eformed into a first deformed state,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able h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eformed into a second deformed stat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와 안착부(200)가 조립될 수 있으며, 몸체부(100)에는 조임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조임부(300)는 제1 조임끈(320)과 걸이부재(31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제1 조임구(120)가 형성된다. 이 때 제1 조임구(120)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 이상 형성된다. 제1 조임끈(320)은 제1 조임구(120)를 통과하도록 구비되고 제1 조임끈(320)을 조임으로써 몸체부(100)의 상부가 납작한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이 때 제1 조임끈(320)은 양측에서 잡아당기는 방식이나, 일측에서 잡아당기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걸이부재(310)는 제1 조임끈(320)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며 제1 조임구(120)의 직경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1 조임끈(320)이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양측면에는 청음구(172)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양 측면의 일부를 방사상으로 절개 및 절곡시킨 형상의 방사형 절개부(171)를 형성함으로써 몸체부(100)에 청음구(172)를 형성한다. 청음구(172)는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 외부의 소리를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기능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a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몸체부(100)의 양측면에 구비된 제1 조임끈(320)을 당기게 되면, 몸체부(100)의 상부는 전후방으로 길고 양측면 방향으로는 납작한 형상으로 변형된다.Referring to FIG. 9, when the first tightening
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후면에 구비된 제1 조임끈(320)을 당기게 되면, 몸체부(100)의 상부는 양측면 방향으로 길고 전후방으로 납작한 형상으로 변형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when the first tightening straps 32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부 형상을 변형시키는 경우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는 몸체부(100)와는 다른 연출이 가능하다.
When the upper part of th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설명한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The assembl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한편, 조임부로는 다양한 방식의 부재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각각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의 벨크로(410, 420)를 구비할 수 있다. 마주보는 한 쌍의 벨크로(410, 420)들은 각각 접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몸체부(100)의 상부를 납작하게 변형시키거나 원형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members can be used as the tightening por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pair of Velcro strips 410 and 4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예를 들어 양 측면의 벨크로를 접착시키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부는 앞뒤로 길고 양 측면방향으로는 납작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For example, when the Velcro on both sides is adhered, the upper part of the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설명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3 and 14,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한편, 조임끈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단을 일주하는 제2 조임구(120a)들을 다수 형성시킨 후 제2 조임끈(300a)을 제2 조임구(120a)들을 통하여 몸체부(100)의 내외측으로 번갈아 관통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ll string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13, after a plurality of
제2 조임끈(300a)은 이러한 방식으로 몸체부(100)의 상부를 일주하여 제자리로 회귀한 후 함께 고정된다. 제2 조임끈(300a)을 당기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상부가 우그러들게 된다.The
이 때 몸체부(100)의 상부가 일정한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미리 몸체부(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접힘선(미도시)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힘선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2 조임끈(300a)이 조여지는 경우 몸체부(100)가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파단이 발생하거나 몸체부(100)의 원형이 비정상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folding line (not sh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설명한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5 and 16, an assembl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prefabricated h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앞서 설명한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모자(10c)는 절개부(16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절개부(160)는 몸체부(10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절개부(160)가 형성됨에 따라 몸체부(100)의 상부는 다수의 지엽부(165)들로 구분된다. 지엽부(165)들은 타 지엽부(165)들에 대하여 상단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지엽부(165)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조임구(120a)들이 형성된다.Compared with the embodiments of FIGS. 13 and 14 described above, the assembled
제2 조임끈(300a)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조임구(120a)들에 관통되도록 삽입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조임근(300a)들이 적어도 일부의 지엽부(165a)들에 구비된 제2 조임구(120a)에는 관통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임끈(300a)에 의하여 조여지지 않은 지엽부(165a)들은 상단부가 내외측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제2 조임끈(300a)에 의하여 조여지지 않은 지엽부(165a)들을 조립식 투구(10c)의 장식등을 위하여 상향으로 세우거나 외측으로 굽히는 등 일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the upper and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조립식 모자로 구현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10: 조립식 모자 100: 몸체부
110: 통풍구 120: 관통구
130: 고정공 140: 개방부
150: 측면부 160: 제1 접착부
200: 안착부 210: 챙부
220: 연장부 221: 제2 접착부
230: 고정부 300: 조임부
310: 걸림부 320: 조임끈
410, 420: 벨크로10: Prefabricated hat 100: Body part
110: Ventilation hole 120: Through hole
130: Fixing hole 140: Opening part
150: side portion 160: first adhesive portion
200: seat part 210:
220: extension part 221: second adhesive part
230: Fixing portion 300:
310: fastening part 320: drawstring
410, 420: Velcro
Claims (12)
상기 개방부 상부와 상기 개방부의 반대측 몸체부 내주면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두부가 안착되도록 곡면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전방측에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챙부가 형성되고, 상기 챙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개방부의 폭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외부 양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안착부를 비접착식으로 고정시키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조립식 모자.A body portion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by adhering a first adhesive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a side of the other side in a deployed state and assembled into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n open portion formed on one side so as to expose the face of the user; And
And a seating part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part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opening part and having a curved surface for seating the user's head,
The seat portion is formed with a shoulder portion extending to the front side so as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opening portion. The seat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oulder portion so as to extend laterally so as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for fixing the seat portion non-adhesively is formed.
상기 안착부는 전개된 상태에서 일 단부가 각각 상기 챙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 방향으로 각각 분기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나머지 하나의 연장부의 단부가 접착되는 제2 접착부가 형성되는 조립식 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portion includes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ach of which is branched and extended in the other direction in a state where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in a deployed state,
And a second adhesive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air of extensions to which the end of the other extension is bonded.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단부로부터 더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개방부의 반대측에 상기 고정부가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는 조립식 모자.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is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portion,
Wherein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fastening hole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몸체부 내에서의 상기 안착부의 높이는 상기 고정공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부의 길이에 따라 조절되는 조립식 모자.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ight of the seat part in the body par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xing part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xing hole.
상기 몸체부는 조립 시 상부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형성되는 조립식 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an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when assembled.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외부로 절곡됨으로써 형성되는 청음구가 형성되는 조립식 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absorbing member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by being radially cut and bent outwardly.
상기 몸체부 및 상기 안착부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조립식 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are made of one of paper or synthetic resin.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적어도 1방향 이상으로 조임으로써 상기 몸체부 상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모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ightening portion for tighte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by at least one direction to deform the shap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조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조립 시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조임구; 및 상기 대향하는 제1 조임구를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몸체부를 변형시키는 제1 조임끈을 구비하는 조립식 모자.9. The method of claim 8,
The tigh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ightening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assembled; And a first drawstring for deforming the body by tightening the first tightening tool through the opposed first tightening tool.
상기 조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조립 시 상기 몸체부의 상부 중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벨크로 쌍을 포함하는 조립식 모자.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comprises a pair of velcro fasteners dispos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en assembling the body portion.
상기 조임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일주하며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조임구; 및 상기 제2 조임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외측으로 번갈아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조임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를 변형시키는 제2 조임끈을 구비하는 조립식 모자.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ighten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tightening means formed a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tightening boss which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tightening opening alternately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nd deforms the body portion by tightening.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2 조임구의 사이에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개된 상단 절개부에 의하여 구분되는 복수의 지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조임끈은 상기 복수의 지엽부 중 장식용으로 이용될 지엽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엽부들에 형성된 제2 조임구들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조립식 모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heet leaves separated by an upper cutout portion cut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downwardly between the second tightening openings,
Wherein the second tightening string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second tightening openings formed in the remaining sheets of the plurality of sheets of paper, except for the sheets to be used for deco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0064A KR20140147220A (en) | 2013-06-19 | 2013-06-19 | helmet in kit fo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70064A KR20140147220A (en) | 2013-06-19 | 2013-06-19 | helmet in kit for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7220A true KR20140147220A (en) | 2014-12-30 |
Family
ID=5267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70064A Abandoned KR20140147220A (en) | 2013-06-19 | 2013-06-19 | helmet in kit fo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47220A (en) |
-
2013
- 2013-06-19 KR KR20130070064A patent/KR20140147220A/en not_active Abandon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893813S1 (en) | Animal harness | |
US8740379B2 (en) | Eyeglasses retention system | |
USD941991S1 (en) | Mask assembly | |
USD888406S1 (en) | Sheet mask | |
USD561893S1 (en) | Portion of a right side headgear strap and yoke | |
TW201343094A (en) | Folding helmet | |
USD931440S1 (en) | Diaper | |
US20160270461A1 (en) | Hand Covering With Improved Utility | |
USD986641S1 (en) | Child seat protector | |
US8220585B2 (en) | Non-electronic hearing aid | |
KR20140147220A (en) | helmet in kit form | |
JP3181161U (en) | Assembled simple helmet | |
JP3213145U (en) | hat | |
USD865081S1 (en) | Foldable toy ape | |
KR200491237Y1 (en) | Paper solid mask mounted on user's head | |
KR101823775B1 (en) | A Folding Type of Paper Toy Having a Structure of Coupling a Plural of Part Shapes | |
JP3205753U (en) | Wig stand | |
KR101866914B1 (en) | Cap with plastic model kit | |
JP2007162179A (en) | Folding type cap | |
JP3213577U (en) | Versatile hat | |
JP5989149B2 (en) | End part for end shaping processing of umbilical cord, insertion structure of nasal cord using the end part, and insertion method of the same | |
JP3001360U (en) | Folded paper hat | |
JP3192470U (en) | Folding fan combined folding hat | |
JPS6315308Y2 (en) | ||
KR200418527Y1 (en) | Front cutout of h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