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46253A - 선박 선수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 선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253A
KR20140146253A KR20130068218A KR20130068218A KR20140146253A KR 20140146253 A KR20140146253 A KR 20140146253A KR 20130068218 A KR20130068218 A KR 20130068218A KR 20130068218 A KR20130068218 A KR 20130068218A KR 20140146253 A KR20140146253 A KR 20140146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
ship
fore
deckhouse
fore pea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기수
권오창
이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253A/ko
Publication of KR2014014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25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6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6Shape of f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선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화물창과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선수부의 끝 단에 형성되는 갑판장 창고, 상기 갑판장 창고의 하단에 결합되는 공창 및 상기 선수부의 끝 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화물창과 상기 공창 사이에 형성되는 선수부 평형수창을 포함한다. 따라서 선수부 평형수창에 적재되는 평형수(Water Ballast)의 양을 줄여 국제 선급협회에서 요구하는 최대 종굽힘 모멘트에 따른 종부재 치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선각 강재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선수 구조{HULL FORE END STRUCTURE}
본 발명은 선박 선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수부 평형수창(Fore Peak Water Ballast Tank)을 선수 끝단으로부터 분리하고 용적을 줄임으로써 선수부 평형수창에 요구되는 추가 도장 작업 및 선박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선박 선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수부에는 선수부 평형수창(Fore Peak Water Ballast Tank)이 배치되어 선박의 적하 상태에 따라 평형수를 채우거나 비움으로써 선박의 평형(Trim)이나 흘수(Draft)를 조절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2079호는 선종의 크기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선박의 Fore Peak Tank 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선박의 구조는 일반 항해중 선수부의 충돌시 전부의 Fore Peak Tank의 Void Space로 선체를 보호할 수 있고, 황천시(비상 항해시)에는 Ballast(해수)용 Cargo Tank와 함께 Ballast Space로 이용하여 보다 깊은 흘수를 유지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9250호는 선종 및 선박의 크기에 관계없이 광범위 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선박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선수 탱크가 구비된 선박을 개시한다. 이러한 선박은 건조 중에는 도장 작업 환경을 개선하여 도장의 품질을 향상함으로 부식 문제를 건조 단계에서부터 줄여줄 수 있고, 선박의 인도 후에는 선수 탱크로 사용되는 상부 후방 탱크부 내부의 부식 및 구조 결함에 대한 정밀한 검사와 유지 보수 작업에 용이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여 선박의 안전성과 운항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수 끝 단의 협소한 부분까지 평형수창으로 사용하여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국제해사기구)에서 요구하는 선박의 부식 방지를 위한 추가 도장 작업으로 인해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든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20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99250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박의 선수부 평형수창(Fore Peak Water Ballast Tank)을 선수 끝단으로부터 분리하고 용적을 줄임으로써 선수부 평형수창에 요구되는 추가 도장 작업 및 선박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선박 선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박의 선수 끝단에서 선수부 평형수창을 분리하여 공창 구역(Void Tank Space)화 함으로써 선수부 평형수창에 요구되는 추가 도장 작업을 회피하여 동일 크기의 다른 선박보다 현장 건조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 선수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선수부 평형수창에 적재되는 평형수(Water Ballast)의 양을 줄여 국제 선급협회에서 요구하는 최대 종굽힘 모멘트에 따른 종부재 치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선각 강재를 줄일 수 있는 선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들 중에서, 선박 선수 구조는 선박의 화물창과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선수부의 끝 단에 형성되는 갑판장 창고, 상기 갑판장 창고의 하단에 결합되는 공창 및 상기 선수부의 끝 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화물창과 상기 공창 사이에 형성되는 선수부 평형수창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창은 상기 선수부의 끝 단 및 상기 선수부 평형수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갑판장 창고와 상기 선수부 평형수창 사이에 수평 격벽 또는 수직 격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여 상기 갑판장 창고와 상기 선수부 평형수창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선수부의 끝 단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수직 격벽을 설치하여 상기 선수부 평형수창과 상기 선수부의 끝 단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선수 구조는 선박의 선수부 평형수창(Fore Peak Water Ballast Tank)을 선수 끝단으로부터 분리하고 용적을 줄임으로써 선수부 평형수창에 요구되는 추가 도장 작업 및 선박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선수 구조는 선박의 선수 끝단에서 선수부 평형수창을 분리하여 공창 구역(Void Tank Space)화 함으로써 선수부 평형수창에 요구되는 추가 도장 작업을 회피하여 동일 크기의 다른 선박보다 현장 건조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선수 구조는 평형수창에 적재되는 평형수(Ballast Water)를 조절하여 선박의 흘수 및 드림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선수 구조는 선수부 평형수창에 적재되는 평형수(Water Ballast)의 양을 줄여 국제 선급협회에서 요구하는 최대 종굽힘 모멘트에 따른 종부재 치수를 최적화함으로써 선각 강재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선수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선수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선박 선수 구조의 평형수창을 다르게 배치한 것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선수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선박 선수 구조는 갑판장 창고(110), 공창(120) 및 선수부 평형수창(130)을 포함한다.
갑판장 창고(110)는 선박의 선수 부분에 형성되어 닻이 보관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닻은 선박이 떠내려가지 않도록 물 속에 내리는 갈고리가 달린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갑판장 창고(110)는 선박의 화물창(140)에 대한 격벽을 설치하고 사이에 공창(120)을 위치시킴으로써 화물창(140)과 분리될 수 있다.
공창(120)은 선박 화물구역의 최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창(120)은 선박의 선수부에서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상태에 있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공창(120)은 갑판장 창고(110)와 선수부 평형수창(1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선수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박 선수 구조(100)는 갑판장 창고(110), 공창(120) 및 선수부 평형수창(130)을 포함한다.
갑판장 창고(110)는 선박의 화물창(140)과 이격 거리(a)를 가지도록 선수부의 끝 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갑판장 창고(110)는 선박의 화물창(140)과 이격 거리(a)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수직 격벽(152) 및 수직 격벽(152)과 선수의 끝 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수평 격벽(151)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공창(120)은 갑판장 창고(110)의 하단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공창(120)은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창(120)은 선수부의 끝 단 및 선수부 평형수창(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21)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창(120)은 수직 격벽(152) 및 수평 격벽(151)을 통해 갑판장 창고(110)와 분리될 수 있고 수직 격벽(153) 및 수평 격벽(154)을 통해 선수부 평형수창(130)과 분리될 수 있다.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선수부의 끝 단으로부터 이격(b)되도록 화물창(140)과 공창(120) 사이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선박의 선수 끝 단과 갑판장 창고(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선수부의 끝 단으로부터 이격(b)된 부분에 설치되는 수직 격벽(153) 및 화물창(140)과 수직 격벽(153)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수평 격벽(154)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선수 끝 단의 협소한 공간에서 요구되는 추가 도장 작업을 회피할 수 있고, 용적을 줄여 동일한 크기의 다른 선박보다 건조비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평형수를 적재하여 선박의 최대 종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평형수의 양이 증가되면 종굽힘 모멘트가 커지고 평형수의 양이 감소되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최대 종굽힘 모멘트에 따라 선각 강재도 증감되므로, 용적 감소에 따른 최대 종굽힘 모멘트가 종부재 치수를 결정지어 선각 강재를 줄일 수 있다.
도 3에서,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수평 격벽(156, 157)과 수직 격벽(158, 159)을 통해 화물창(14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선수부 평형수창(130)은 도 2와 같이 갑판장 창고(110) 및 선수부의 끝 단과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도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선박 선수 구조
110: 갑판장 창고
120, 121: 공창
130: 선수부 평형수창
140: 화물창
151, 154, 156, 157: 수평 격벽
152, 153, 158, 159: 수직 격벽

Claims (4)

  1. 선박의 화물창과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선수부의 끝 단에 형성되는 갑판장 창고;
    상기 갑판장 창고의 하단에 결합되는 공창; 및
    상기 선수부의 끝 단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화물창과 상기 공창 사이에 형성되는 선수부 평형수창을 포함하는 선박 선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창은
    상기 선수부의 끝 단 및 상기 선수부 평형수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선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장 창고와 상기 선수부 평형수창 사이에 수평 격벽 또는 수직 격벽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여 상기 갑판장 창고와 상기 선수부 평형수창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선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의 끝 단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수직 격벽을 설치하여 상기 선수부 평형수창과 상기 선수부의 끝 단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선수 구조.
KR20130068218A 2013-06-14 2013-06-14 선박 선수 구조 Ceased KR20140146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218A KR20140146253A (ko) 2013-06-14 2013-06-14 선박 선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218A KR20140146253A (ko) 2013-06-14 2013-06-14 선박 선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253A true KR20140146253A (ko) 2014-12-26

Family

ID=5267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218A Ceased KR20140146253A (ko) 2013-06-14 2013-06-14 선박 선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2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1615A (zh) * 2017-08-23 2017-12-29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一种高操控性和耐波性的船首及高性能船舶
CN111959679A (zh) * 2020-08-26 2020-11-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首尖舱布局结构及船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1615A (zh) * 2017-08-23 2017-12-29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一种高操控性和耐波性的船首及高性能船舶
CN111959679A (zh) * 2020-08-26 2020-11-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首尖舱布局结构及船舶
CN111959679B (zh) * 2020-08-26 2021-10-2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用首尖舱布局结构及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02961A (ja) 高速船
JP7193250B2 (ja) 船舶
EP3395667B1 (en) Stabilized hull for a keeled monohull sailboat or sail and motor boat
KR20140014975A (ko) 선박
US8701580B2 (en) Boat and method of designing same
JP5878179B2 (ja) 浮遊貨物運搬船及び積み荷及び荷下ろし方法
KR20140146253A (ko) 선박 선수 구조
JP2015199489A (ja) 船底空気循環槽を有する船舶
EP3495256B1 (en) Ballast water-free ship using bottom surface depth differences of bow and stern parts and central par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964836B1 (ko) 횡동요 저감장치
KR20130099553A (ko) 복원성이 향상된 선박
KR20160003657U (ko) 선박
US11597474B2 (en) Full beam superstructure lower deck
KR20100049150A (ko) 발라스트수의 사용을 감소시킨 대형 운반선
AU2015351153B2 (en) Planing bo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11862B1 (ko) 컨테이너선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CA2568309A1 (en) Lightweight marine buoy and method of handling the same
KR20110012040U (ko) 부력보충용 팽창튜브를 갖는 선박
KR102299206B1 (ko) 생산 선박 상의 거주 구역의 구성
CN105644716A (zh) 集装箱船
JP5858898B2 (ja) チップ船の船首形状
NO793572L (no) Delvis neddykket katamaran.
AU2006292867A1 (en) Vessel with movable float
US1008008A (en) Construction of s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