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752A - Vibratory hot wind dryer - Google Patents
Vibratory hot wind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5752A KR20140145752A KR1020130068273A KR20130068273A KR20140145752A KR 20140145752 A KR20140145752 A KR 20140145752A KR 1020130068273 A KR1020130068273 A KR 1020130068273A KR 20130068273 A KR20130068273 A KR 20130068273A KR 20140145752 A KR20140145752 A KR 201401457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 conveying
- hot air
- dried
- elev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9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gitating the fluidised bed, e.g. by vibrating or puls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helical pat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53—Resistance heating, e.g. us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as an electrical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식 열풍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진동식 열풍 건조기는 진동 모터, 이송엘리베이터 및 발열 코일을 포함한다. 진동 모터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송엘리베이터는 측면에 복수의 원통홀이 형성된 중앙원통부와,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진동 모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이 진동 모터의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다. 발열 코일은 이송엘리베이터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열하여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이송엘리베이터에 의해 건조 대상물을 수직으로 형성된 나선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설치면적에 비해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고, 이송엘리베이터에서 배출되는 열풍뿐만 아니라, 발열 코일에서 발열되는 열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 대상물의 건조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ng hot air dryer, wherein the vibrating hot air dryer includes a vibrating motor, a conveying elevator and a heat generating coil. The vibration motor generates vibration. The conveying elevator includes a central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hole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 conveying portion formed in a spiral shape on a side surface of the central cylindrical portion. The conveying elevato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ibration motor, And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 dries the object to be dried. The heat generating coil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elevator, and generates heat to transfer heat to the object to be dried, which is fed into the conveying part.
As a result, the drying object is conveyed in a spiral direction formed vertically by the conveying elevator which is vibrated by the vibration motor, so that th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an the installation area. In addition to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nveying elevator, Since the object to be dried is dried, it is possible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more efficiently.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수산물 및 가공제품과 같은 건조대상물을 진동을 통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나선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열풍을 통하여 건조할 수 있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ory hot air drying apparatus capable of drying a drying object such as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through hot air while conveying the object in a spiral direction formed vertically through vibration.
일반적으로 수분이 포함된 농수산물을 오래 보관하거나 유통 중 변질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건조가 필수적이다. 또한, 우드펠릿(wood pellet) 등의 가공제품이나 파우더(powder) 형태의 제품 등은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는 건조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는 많은 양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 건조를 한다.In general, drying is essential to keep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that contain moisture or keep them free from degeneration during distribution. Drying is also essential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processed products such as wood pellets and powdered products. For example, cereals such as rice and barley harvested from the mountains contain a large amount of moisture, so they are dried for storage and transport until they reach the consumer.
따라서, 농수산물 또는 우드펠릿(wood pellet) 등의 가공제품과 같이 수분이 포함된 입자 형태의 매체(이하에서, 건조 대상물이라 한다)를 건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건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drying apparatuses of various types have been used to dry a medi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ying object) in the form of particles containing water, such as agricultural products or processed products such as wood pellets.
다양한 방식의 건조장치 중 하나인 터널방식의 건조장치는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을 터널 안으로 이송시키면서 가스 열풍이나 히터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터널방식의 건조장치는 건조 대상물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완전한 건조를 위해서는 컨베이어벨트의 속도가 서행을 유지해야 하고, 이로 인해 건조처리속도가 느리고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건조되기 때문에 생산설비에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므로 공간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A tunnel type drying apparatus, which is one of various drying apparatuses, uses a conveyor belt to convey a drying object into a tunnel, and is dried by gas hot wind or a heater. The tunnel type drying apparatus is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while moving horizontally. For complete drying, the speed of the conveyor belt must be kept low, which slows the drying process and lowers productivity. In addition, because it is dried while being moved horizontally, it takes a lot of installation area in the production equipment, and thus efficiency in space is reduced.
또 다른 건조장치 중 하나인 드럼방식의 건조장치는 드럼을 회전시켜 건조 대상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드럼 내부로 투입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 대상물이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드럼방식의 건조장치도 수평방향으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시키면서 건조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건조 효율성이 떨어지고 긴 길이의 드럼을 가지기 때문에 생산설비에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므로 공간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The drum-type drying apparatus, which is one of the other drying apparatuses, causes the drum to be rotated so that the object to be dried is dried by the hot air introduced into the drum in the course of the drying object being conveyed. Since the drum-type drying apparatus also dries the drying obje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ry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drum has a long length.
결과적으로, 터널방식의 건조장치 및 드럼방식의 건조장치는 건조를 하기위한 건조 대상물의 이송거리가 길고,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거나 처리량의 한계 및 처리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 tunnel type drying apparatus and the drum type drying apparatus have a problem that the conveying distance of the drying object for drying is long, the installation area is large, the processing amount is limited, and the processing time is long.
이 뿐만 아니라, 건조 대상물이 놓여진 상태 그대로 이송되거나 가만히 놓아 둔 상태에서 건조 처리되기 때문에 건조 대상물 가진 습기가 제대로 빠져 나가지 못하므로서 건조시간을 오래 가져야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n inefficiency in that the drying time is long because the drying object is not dried because the drying object is transported in the state where the drying object is placed or dri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대상물이 진동을 통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나선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열풍 및 발열 코일에서 발열된 열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ory hot air drying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drying a hot object through heat generated from hot wind and heat generating coil while being conveyed in a spiral direction formed vertically through vib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 측면에 복수의 원통홀이 형성된 중앙원통부와,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진동 모터의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열하여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motor comprising: a vibrating motor for generating vibration; a central cylindrical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ylindrical holes formed on a side thereof; and a transfer portion formed in a spiral shape on a side surface of the central cylindrical portion, A conveying elevator installed at the upper part and being conveyed along the spiral direction by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motor and dried by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 And a heat generating coil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 generating coil and adapted to transmit heat to the object to be dried, the heat being generated and supplied to the convey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 코일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의 둘레에 이격되어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선되고, 발열하여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ory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ing coil is wound around the conveying elevator and spirally wound around the conveying elevator, and heat is transferred to the drying object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veying unit, .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 코일은 굴곡 형성되고,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ory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ing coils are bent and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nveying elevator, and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coils are radially installed around the conveying elevator.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 코일은 인코넬(inconel)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ing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ing coil is made of at least one of inconel or stainless steel.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 상부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이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ing hot air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a side surface of the central cylindrical part and conveying the dried object put on the upper part along the spiral direction, And a wall.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열 코일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의 1/2 내지 2/3의 위치에서 발열하여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oscillatory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ing coil generates heat at a position of ½ to ⅔ of the conveying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elevator, and provides heat to the drying object conveyed from the conveying unit .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통홀은 상기 중앙원통부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고, 상기 발열 코일은 상기 복수의 원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발열하여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ory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holes are formed to a half to 2/3 position on the side of the center cylindric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cylindrical portion, And the heat generating coil generates hea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holes and provides heat to the object to be dried conveyed from the convey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통홀이 배출하는 열풍 및 발열 코일이 발열하는 열의 온도는 3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ory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hot air and the heat generating coil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 is 30 to 400 ° C.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진동 모터, 발열 코일을 감싸고, 단열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 및 발열 코일이 발열하는 열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단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ion type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insulating case that surrounds the conveying elevator, the vibration motor, and the heat generating coil and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hot air and the heat generating coils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단열 케이스 상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단열 케이스 하부 측면에 연통되어 상기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 및 발열 코일이 발열하는 열을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ing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ommunicat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heat insulating case, and the other end is communicat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heat insulating case so as to circulat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 and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coil.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는 스테인레스강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vibrating hot air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elevator is made of stainless steel.
본 발명의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에 따르면,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이송엘리베이터에 의해 건조 대상물을 수직으로 형성된 나선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설치면적에 비해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oscillatory hot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object is conveyed in the spiral direction formed vertically by the conveying elevator which is vibrated by the vibration motor, so that th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an the installation area.
또한, 이송엘리베이터에서 배출되는 열풍뿐만 아니라, 발열 코일에서 발열되는 열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 대상물의 건조가 가능하다.Further, since the object to be dried is dried not only by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onveyance elevator but also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 generating coil,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dried more effic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원통홀에서 열풍이 배출되고 발열 코일에서 열이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ng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vibration type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hot air is discharged from a cylindrical hole to a drying object conveyed in a conveyan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at is provided from the heating coil.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ng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op view of a vibrating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ibrating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건조 대상물은 수분이 포함된 입자 형태의 매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수분이 포함된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곡물류나 씨앗, 우드펠릿(wood pellet), 식품류, 화학약품, 목재가공 부산물인 톱밥 등이 건조 대상물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입자 형태의 매체들이 건조 대상물이 될 수 있다.The object to be drie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medium in the form of particles containing moisture. For example, grains or seeds such as rice, barley, and the like, harvested from a mountain containing water, wood pellets, foodstuffs, chemicals, sawdust as a by-product of wood processing, and the like can be dried object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particle type media containing water may be dried objec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ibration type hot air b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는 이송엘리베이터(10), 진동 모터(20), 발열 코일(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vibration type hot
이송엘리베이터(10)는 중앙원통부(12) 및 이송부(15)를 포함한다.The conveying
이송엘리베이터(10)는 열풍 공급장치(50)가 연결될 수 있는데, 열풍 공급장치(50)는 열풍을 생산하는 장치로 보일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열풍 공급장치(50)는 관을 통해 중앙원통부(12) 하부 또는 측면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열풍 공급장치(50)에서 열풍을 생산하면, 생성된 열풍은 중앙원통부(12) 하부 또는 측면 하단과 연결된 관을 통해 중앙원통부(12) 내부로 이동한다. 열풍은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중앙원통부(12) 하부로 이동된 열풍은 중앙원통부(12) 상부로 이동한다.The hot
중앙원통부(12)는 측면에 복수의 원통홀(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중앙원통부(12) 내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던 열풍은 원통홀(13)을 통해 중앙원통부(1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원통홀(13)을 통해 배출된 열풍은 이송부(15)에서 이동 중인 건조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건조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원통홀(13)은 바닥면(14) 상부를 향해서 형성되어 바닥면(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central
이송부(15)는 중앙원통부(12)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이송부(15)는 중앙원통부(12)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바닥면(도3의 14)과, 바닥면(도3의 14) 일단에 돌출 형성된 이송벽(도3의 16)으로 구성된다.The transfer section (15)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side of the central cylindrical section (12). In other words, the
바닥면(도3의 14)은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 부분이다.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는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7)가 설치되어 있고, 투입부(17)를 통해 건조 대상물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다.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은 진동 모터(20)를 통해 전달된 진동에 의해 이송되게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바닥면(도3의 14)은 중앙원통부(12)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은 수직으로 형성된 중앙원통부(12)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된 바닥면(도3의 14)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바닥면(도3의 14)의 하부까지 이송된 건조 대상물은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 설치된 배출부(18)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14 in Fig. 3) is a portion for conveying the dried object put on the bottom surface (14 in Fig. 3). An upper part of the conveying
바닥면(도3의 14) 상부 일단에는 이송벽(도3의 16)이 돌출 형성된다. 돌출 형성된 이송벽(도3의 16)을 통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서 이송중인 건조 대상물이 이송될 때, 바닥면(도3의 14) 외부로 건조 대상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transfer wall (16 in Fig. 3) is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14 in Fig. 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ying object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14 in Fig. 3) when the drying object being conveyed is conveyed from above the floor surface (14 in Fig. 3) through the projecting formed transfer wall have.
바닥면(도3의 14)에 형성된 나선은 3 내지 8도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는데, 바닥면(도3의 14)의 나선이 3도 미만으로 형성되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대상물의 이송이 느려지게 되어 건조 효율성이 떨어지고, 바닥면(도3의 14)의 나선이 8도 초과하여 형성되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이 빠른 속도로 이송되어 충분히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spiral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4 in Fig. 3) can be formed by tilting 3 to 8 degrees. When the spiral of the bottom surface (14 in Fig. 3) 3). When the spiral of the bottom surface (14 in FIG. 3) is formed by more than 8 degrees, the drying object put on the bottom surface (14 in FIG. 3) is transported at a high speed So that a problem of not being sufficiently dried occurs.
앞서 언급했듯이, 복수의 원통홀(13)은 바닥면(도3의 14) 상부를 향해서 형성되어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한다. 복수의 원통홀(13)은 중앙원통부(12) 하부를 기준으로 중앙원통부(12)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복수의 원통홀(13)에서 배출하는 열풍은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상승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송풍팬(blower pan)(45)에 의해 상승하기 때문이다. 즉, 복수의 원통홀(13)이 중앙원통부(12) 하부를 기준으로 중앙원통부(12)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어도, 상승되는 열풍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형성된 이송부(15)에서 이송되고 있는 건조 대상물에도 열풍이 전달되어 건조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lurality of
이송엘리베이터(10)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엘리베이터(1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강은 내식성이 강하고, 내열성이 뛰어난 SUS310S, SUS30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식성이 강하고, 내열성이 뛰어난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대표적으로 SS400(cabon steel)도 사용될 수 있다.The conveying
진동 모터(2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달리 말하면,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를 진동시켜 바닥면(도3의 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시킨다. 즉, 진동 모터(20)가 작동하여 진동함에 따라 이송엘리베이터(10)도 같이 진동하게 되고, 이송부(15)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이 이송부(15) 하부로 이송하게될 뿐만 아니라, 건조 대상물 자체가 진동하게 되어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된다.The
진동 모터(20)는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15 내지 40도 기울어져 설치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진동 모터(20)가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15 내지 40도의 기울어져 설치되는 이유는 이송엘리베이터(10)에 전달되는 진동에 방향성을 주기 위한 것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송엘리베이터(10)는 진동 모터(20)에서 전달받은 진동에 의해 이송부(15) 상부에서 하부로 건조 대상물을 이송하는데 진동 모터(20)가 15 내지 40도 기울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건조 대상물이 방향성을 가지고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케이스(100)는 투입부(17)가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설치되고, 배출부(18)가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입부(17)를 통해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진동 모터(20)에서 전달받은 진동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로 이송하여 배출부(18)를 배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만일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7)가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 설치되고, 건조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부(18)가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면, 진동 모터(20)의 설치각을 조절하여 건조 대상물이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진동 모터(20)는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140 내지 165도 기울어져 설치되면 건조 대상물이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될 수 있다.The oscillating
이처럼, 진동 모터(20)는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설치각에 따라 이송엘리베이터(10)에 전달되는 진동에 방향성을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열하여 이송부(15)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한다. The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의 둘레에 이격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선될 수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vibration type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도 2를 참조하면, 발열 코일(30)은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할 수 있는 장치로서, 발열을 통해 공기 중에 열을 제공하여 이송부(15)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한다. 달리 말하면, 발열 코일(30)은 발열하여 공기 중으로 열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이송엘리베이터(10)의 둘레에 이격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있어, 이송부(15)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결과적으로, 건조 대상물은 앞서 언급했던 중앙원통부(12)의 원통홀(13)에서 배출되는 열풍 뿐만 아니라 발열 코일(30)에서 발열을 통해 제공된 열을 통해서 건조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object to be dried can be dried not only by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발열 코일은 인코넬(inconel)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발열 코일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이 사용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내열성이 좋은 스테인레스강 또는 내열성이 좋은 니켈을 주체로 하여 15%의 크로뮴, 6~7%의 철, 2.5%의 타이타늄, 1% 이하의 알류미늄, 망가니즈, 규소를 첨가한 내열합금인 인코넬이 사용될 수 있다.The heating coil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conel and stainless steel. In other words, a met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can be used as the heat generating coil. The above-mentioned heat resistant stainless steel or nicke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is mainly composed of 15% of chromium, 6 to 7% of iron, 2.5% of titanium, % Or less of aluminum, manganese or silicon can be used.
발열 코일(34)은 복수의 원통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heat generating coil 34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원통홀에서 열풍이 배출되고 발열 코일에서 열이 제공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hot air is discharged from a cylindrical hole to a drying object conveyed in a conveyan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at is provided from the heating coil.
도 3을 참조하면,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를 기준으로 이송엘리베이터(10)의 1/2 내지 2/3의 위치에서 발열하여 이송부(15), 즉, 바닥면(14) 상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60)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3, the
앞서 언급했듯이, 복수의 원통홀(13)은 중앙원통부(12) 하부를 기준으로 중앙원통부(12)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는데, 발열 코일(30)이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원통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서, 이송부(15)에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60)은 원통홀(13) 뿐만 아니라 발열 코일(30)에서 발열되는 열로 인해 더욱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발열 코일(30)이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를 기준으로 이송엘리베이터(10)의 1/2 내지 2/3의 위치에서 발열하여 열을 제공하고 있어도, 발열 코일(30)에서 발열되는 열은 공기 보다 가벼울 뿐만 아니라, 후술할 송풍팬(45)에 의해 상승하기 때문에, 상승하는 열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형성된 이송부(15)에서 이송되고 있는 건조 대상물(60)에도 열이 전달되어 건조될 수 있다.Even if the
앞서 언급했듯이, 이송부(15)의 나선 형태는 3 내지 8도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대응되게 발열 코일(30)의 나선형은 3 내지 8도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의 둘레, 즉, 바닥면(14)의 둘레에 이격되어 권선되는데 이송부(15)의 나선 형태가 5도 기울어져 형성되면, 발열 코일(30)의 나선형도 4도 내지 6도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닥면(14) 상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60)에 원통홀(13)을 통해 배출되는 열풍과 발열 코일(30)에서 발열되는 열이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piral shape of the
중앙원통부(12)의 원통홀(13)에서 배출되는 열풍과 발열 코일(30)이 발열하는 열의 온도는 30 내지 400℃일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건조 대상물(60)에 제공되는 열풍 및 열의 온도는 건조 대상물(60)의 종류 및 크기, 무게 등에 따라 30 내지 400℃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는 단열 케이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type hot
단열 케이스(40)는 이송엘리베이터(10), 진동 모터(20), 발열 코일(30)을 감싼다. 달리 말하면, 단열 케이스(40)는 단열 재질로 구성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의 원통홀(13)에서 배출하는 열풍 및 발열 코일(30)에서 발산하는 열이 단열 케이스(4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단열 케이스(40)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의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단열 케이스(40)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열 재질로 그라스 울(glass wool), 세라크 울(cerak wool), 미네랄 울(mineral wool)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a glass wool, a cerak wool, and a mineral wool may be used as an insulating material which can be used in the
단열 케이스(40)는 하부 측면에 송풍팬(45)이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45)은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로서, 단열 케이스(40) 하부 측면에 설치된 송풍팬(45)을 통해 생성된 바람은 단열 케이스(40) 내부에 발생된 열풍을 상승시킨다. The heat insulating case (40) may b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45) on the lower side. The blowing
단열 케이스(40)는 일단은 단열 케이스(40) 상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단열 케이스(40) 하부 측면에 연통되어 원통홀(13)에서 배출되는 열풍 및 발열 코일(30)이 발열하는 열을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로(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e end of the
앞서 언급했듯이, 열풍은 송풍팬(45)에 의해 상승되기 때문에 이송엘리베이터(10)의 원통홀(13)에서 배출되는 열풍과 발열 코일(30)이 발열하는 열은 상승하여 단열 케이스(40) 상부에 맞닿게 된다. 단열 케이스(40) 상부로 옮겨진 열풍 및 열은 단열 케이스 상부에 연통된 공기 순환로(42)로 흡입되게 되고 공기 순환로(42)에 흡입된 열풍 및 열은 공기 순환로(42) 내측에 설치된 공기 순환팬에 의하여 단열 케이스(40) 하부 측면에 연통된 공기 순환로(42)로 배출되게 된다. 단열 케이스(40) 하부 측면에 연통된 공기 순환로(42)로 배출된 열풍 및 열은 다시 상승하여 단열 케이스(40) 상부로 옮겨져 단열 케이스(40) 내부에서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 관정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진동장치(100)는 내부 전체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단열 케이스(40) 상부와 연통된 공기 순환로(42)의 일단에는 팬(fan)이 설치될 수 있는데, 팬이 작동하므로서 상승된 열풍 및 열을 하강, 즉 열풍 및 열을 와류시킬 수 있다.A fan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물(60)이 건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a drying process of the drying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가 작동을 시작하게 되면 진동 모터(20)가 진동하게 된다. 진동 모터(20)의 진동에 의해 하부가 진동 모터(20)와 맞닿아 연결된 이송엘리베이터(10)도 같이 진동하게 된다.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에 설치된 진동 모터(20)는 15 내지 40도 기울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진동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이송엘리베이터(10)가 진동 모터(20)에 의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진동하고 있을 때,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 설치된 투입부(17)를 통해 이송부(15), 즉, 이송부(15)의 바닥면(14) 상부에 건조 대상물(60)이 투입된다. 투입된 건조 대상물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진동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게 된다. 이 때, 중앙원통부(12)에 형성된 복수의 원통홀(13)을 통해 열풍이 배출되고, 열풍은 이송엘리베이터(10)에서 이송 중인 건조 대상물(60)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건조시킨다.First, when the vibration type hot
이송엘리베이터(10)의 둘레에는 이격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선된 발열 코일(30)이 설치되어 있다. 발열 코일(30)은 발열하여 열을 제공하는데, 발열된 열은 이송부(15)의 바닥면(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60)에 전달되어 건조 대상물(60)을 건조시킨다.A
결과적으로, 이송엘리베이터(10)에서 이송 중인 건조 대상물(60)은 중앙원통부(12)에 형성된 복수의 원통홀(13)에서 배출하는 열풍 뿐만 아니라, 발열 코일(30)에서 발열되는 열을 통해서도 건조되기 때문에 중앙원통부(12)에 형성된 복수의 원통홀(13)에서만 열풍이 배출되는 것 보다 더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As a result, not only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일정 시간이 흐른 후, 바닥부(14) 상부에서 이송 중인 건조 대상물(60)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는 진동에 의해 이송엘리베이터(10) 하부로 이송되어 이송엘리베이터(10)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부(18)를 통해 배출되어 건조가 끝나게 된다.The dry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는 단열 케이스(40)를 통해 건조 대상물(60)이 배출부(18)로 배출될 때 까지 열풍에서 발생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단열 케이스(40)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 재질로 구성되고, 일단은 상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하부 측면에 연통된 관형의 공기 순환로(42)가 설치되어 이를 통해, 열풍이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0) 내부를 순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The vibratory hot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ng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200)는 진동 모터(20), 이송엘리베이터(10), 발열 코일(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vibration type hot
진동 모터(20) 및 이송엘리베이터(10)는 도 1 내지 도 3의 진동 모터(20) 및 이송엘리베이터(1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발열 코일(30)을 위주로 설명한다.The
발열 코일(30)은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할 수 있는 장치로서, 발열을 통해 공기 중에 열을 제공하여 이송부(15)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한다. 달리 말하면, 발열 코일(30)은 굴곡 형성되고,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이송부(15)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The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coils 3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veying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top view of a vibrating hot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 측면에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복수개의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발열 코일(30)이 2 개가 설치되면,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양측의 180도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발열 코일(30)이 3 개가 설치되면, 발열 코일(30)은 이송엘리베이터(10)를 중심으로 측면에 이격되어 120도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5,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coils 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conveying
이로써, 복수의 발열 코일(30)이 방사형으로 설치되므로서 바닥면(14)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에 발열 코일(30)이 발열하는 열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Thus, since the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coils 30 are radially installed, the heat generated by the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이송엘리베이터
12 : 중앙원통부
13 : 원통홀
14 : 바닥면
15 : 이송부
16 : 이송벽
17 : 투입부
18 : 배출부
20 : 진동 모터
30 : 발열 코일
40 : 단열 케이스
42 : 공기 순환로
45 : 송풍팬
50 : 열풍 공급장치
60 : 건조 대상물
100, 200 :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 Feed elevator
12: central cylinder part
13: Cylindrical hole
14: bottom surface
15:
16:
17:
18:
20: Vibration motor
30: Heating coil
40: Insulation case
42: air circulation path
45: blowing fan
50: Hot air supply device
60: object to be dried
100, 200: oscillating hot air drying device
Claims (11)
측면에 복수의 원통홀이 형성된 중앙원통부와,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모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진동 모터의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되고, 상기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상기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이송엘리베이터;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발열하여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하는 발열 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A vibration motor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a conveyance unit formed in a spiral shape on a side surface of the central cylindrical part, wherein a drying object installed on the vibration motor and input to the conveyance unit is moved by the vibration motor A conveying elevator which is conveyed along a spiral direction by a generated vibration and which allows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 to dry the object to be dried;
A heating coil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elevator and transmitting heat to the object to be dried,
And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drying unit.
상기 발열 코일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의 둘레에 이격되어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선되고, 발열하여 상기 이송부에 투입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coil is spaced around the conveying elevator and wound spirally around the conveying elevator and transfers heat to the object to be dried, which is heated and externally supplied to the conveying unit.
상기 발열 코일은 굴곡 형성되고,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coil is bent and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veying elevator, and the plurality of heating coils are radially installed around the conveying elevator.
상기 발열 코일은 인코넬(inconel) 또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generating coil is made of at least one of inconel or stainless steel.
상기 이송부는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을 나선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 상부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이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portion
A bottom surface formed in a spiral shape on a side surface of the central cylindrical part and conveying the dried object put on the upper part along the spiral direction;
A transfer wall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And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drying unit.
상기 발열 코일은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엘리베이터의 1/2 내지 2/3의 위치에서 발열하여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generating coil generates heat at 1/2 to 2/3 of the conveying elevator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elevator and provides heat to the object to be dried conveyed from the conveying portion.
상기 복수의 원통홀은 상기 중앙원통부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원통부 측면에 1/2 내지 2/3 위치까지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에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풍을 배출하고,
상기 발열 코일은 상기 복수의 원통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발열하여 상기 이송부에서 이송되는 건조 대상물에 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holes are formed to a position 1/2 to 2/3 of the central cylindrical portion side with respect 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ral cylindrical portion to discharge hot air to a drying object to be conveyed to the conveying portion,
Wherein the heat generating coil generates hea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holes, and provides heat to the object to be dried conveyed from the conveying unit.
상기 원통홀이 배출하는 열풍 및 발열 코일이 발열하는 열의 온도는 30 내지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s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coils is 30 to 400 ° C.
상기 이송엘리베이터, 진동 모터, 발열 코일을 감싸고, 단열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 및 발열 코일이 발열하는 열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단열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at insulating case which surrounds the conveying elevator, the vibration motor and the heat generating coil, and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ed by the hot air and the heat generating coil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
Furth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heat to the drying unit;
일단은 상기 단열 케이스 상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단열 케이스 하부 측면에 연통되어 상기 원통홀에서 배출되는 열풍 및 발열 코일이 발열하는 열을 순환시키는 공기 순환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An air circulation path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heat insulating case at one end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case to circulate the heat generated by the hot air and the heat generating coil discharged from the cylindrical hole;
Furth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heat to the drying unit;
상기 이송엘리베이터는 스테인레스강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식 열풍 건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elevator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273A KR20140145752A (en) | 2013-06-14 | 2013-06-14 | Vibratory hot wind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8273A KR20140145752A (en) | 2013-06-14 | 2013-06-14 | Vibratory hot wind dry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5752A true KR20140145752A (en) | 2014-12-24 |
Family
ID=5267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8273A Ceased KR20140145752A (en) | 2013-06-14 | 2013-06-14 | Vibratory hot wind dr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4575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44116A (en) * | 2017-06-14 | 2017-09-08 | 江苏富邦电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lithium battery cap production drying unit |
US20220299265A1 (en) * | 2019-07-12 | 2022-09-22 | Rösler Holding Gmbh | Vibrating round device |
-
2013
- 2013-06-14 KR KR1020130068273A patent/KR2014014575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144116A (en) * | 2017-06-14 | 2017-09-08 | 江苏富邦电子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lithium battery cap production drying unit |
US20220299265A1 (en) * | 2019-07-12 | 2022-09-22 | Rösler Holding Gmbh | Vibrating round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96073B1 (en) | Drying processing equipment | |
CN204313610U (en) | A kind of raw material processing Drying | |
CN102345974B (en) | Drying and grading machine for processed object and drying and grading method | |
CN106766814A (en) | A kind of rice processing drying unit | |
KR20140145752A (en) | Vibratory hot wind dryer | |
KR101433219B1 (en) | Vibratory hot wind dryer | |
JP2007085634A (en) | Grain dryer | |
JP2012188702A (en) | Drying device of agglome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ried agglomerate | |
CN207456119U (en) | Drying unit | |
RU84520U1 (en) | INSTALLATION FOR DRYING GRAIN MATERIAL | |
CN101726160B (en) | Airflow drying device for dispersed material | |
KR101408198B1 (en) | Multistage rotary type hot wind dryer | |
JP5946076B1 (en) | Drying method and drying system using horizontal rotary dryer | |
CN207019432U (en) | Infrared dryer | |
CN203719350U (en) | Continuous pelleting drying device | |
JP6054650B2 (en) | Vibrating feeder | |
JP4480157B2 (en) | Grain drying method and apparatus | |
CN204263401U (en) | Barrel is dried in a kind of engineering plastics processing | |
RU2282117C1 (en) | Seed and grain drying method | |
JP6275498B2 (en) | Dry rice production method and rice dryer | |
CN210569785U (en) | Heat exchange device of drying and conveying equipment | |
RU105011U1 (en) | MULTI-SECTION VIBRATION DRYER FOR BULK MATERIALS | |
RU2168911C1 (en) | Cereal product microprocessing apparatus | |
KR100211282B1 (en) | Drying and Cooling Equipment for Particle Media | |
CN104034144B (en) | Controlled hot blast is arranged device and adopts its grain dry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