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557A -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5557A KR20140145557A KR20140070858A KR20140070858A KR20140145557A KR 20140145557 A KR20140145557 A KR 20140145557A KR 20140070858 A KR20140070858 A KR 20140070858A KR 20140070858 A KR20140070858 A KR 20140070858A KR 20140145557 A KR20140145557 A KR 201401455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frame
- hollow body
- longitudinal beams
- drive unit
- electric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875 Eboni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electric gea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60K5/1216—Resilient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pports relative to the motor or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1—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ne motor mounted on a propulsion axle for rotating right and left wheels of this ax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구동 자동차(10)용 장착 프레임(2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착 프레임(20)은, 자동차(10)의 종방향(18)으로 배향되어 종방향(18)으로 외향 개방된 프레임 장치를 형성하는 2개의 종방향 빔(30, 32)과, 상기 종방향 빔들(30, 32)에 장착된, 자동차(10)의 구동을 위한 전기 구동 유닛(22)과, 종방향 빔들(30, 32)과 별개로 형성되어 장착 프레임(20)에 고정되는 휨 강성 중공 몸체(28)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몸체(28)는 종방향 빔들(20, 32) 사이에 배치되고 종방향 빔들(30, 32)에 기계적으로 고정 연결되어, 폐쇄된 프레임 섹션을 형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frame (20) for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10), the mounting frame (20) comprising a frame (20)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8) An electric drive unit 22 for driving an automobile 10 mounted on the longitudinal beams 30 and 32 and an electric drive unit 22 for driving the longitudinal beams 30 and 32, Rigid hollow body 28 formed separately from the mounting frame 20 and fixed to the mounting frame 20, the hollow body 28 being disposed between the longitudinal beams 20, 30, 32) to form a closed frame s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구동 자동차용 장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착 프레임은, 자동차의 종방향으로 배향되어, 종방향으로 외향 개방된 프레임 장치를 형성하는 2개의 종방향 빔과, 상기 종방향 빔들에 장착된, 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구동 유닛과, 상기 종방향 빔들과 별개로 형성되어 장착 프레임에 고정되는 휨 강성 중공 몸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 powered vehicle, the mounting frame comprising two longitudinal beams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tor vehicle and forming a frame device which opens out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lectric drive unit for driving the vehicle, and a flexural rigid hollow body formed separately from the longitudinal beams and fixed to the mounting frame.
상기 유형의 장착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 자동차의 섀시 또는 지지 프레임에 전기 구동 자동차의 구동 부품들을 고정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This type of mounting frame generally serves to securely mount the driving parts of the electric drive vehicle to the chassis or support frame of the electric drive vehicle.
상기 유형의 장착 프레임은 예컨대 US 2004/0090085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문서에서는 장착 프레임이 자동차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평행한 자유 종방향 빔을 포함하고, 종방향 빔들 상에는 장착 크래들이 배치되며, 장착 크래들 내에서 종방향 빔들 상부에 전기 제어 유닛이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 프레임의 경우, 전기 제어 유닛의 장착을 위한 장착 크래들이 자동차의 충돌 시 변형 에너지를 적게 흡수할 수 있어서, 장착 크래들 및 전기 제어 유닛이 일반적으로 장착 프레임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않음으로써, 수동적 안전(passive safety)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A mounting frame of this type is known, for example from US 2004/0090085 A1, in which the mounting frame comprises two parallel free longitudinal beam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tor vehicle, on which mounting cradles And an electrical control unit is mounted on top of the longitudinal beams within the mounting cradle. In the case of such a mounting frame, the mounting cradle for mounting of the electric control unit can absorb less strain energy at the time of the crash of the vehicle, so that the mounting cradle and the electric control unit do not generally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mounting frame, and does not contribute to passive safety.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를 위한 공지된 자동차 지지 프레임 및 장착 프레임은, 내연기관 및/또는 변속기 유닛의 부품들이 없기 때문에 자동차 지지 프레임의 안정성이 일반적으로 감소하며, 자동차의 충돌 시 탑승자를 위한 수동적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보강 수단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the known automotive support frames and mounting frames for electric vehicles generally have reduced stability of the vehicle support frame because there are no component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 or transmission unit, and passive safety for the occupa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dditional reinforcement means are required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적은 기술 비용으로 탑승자의 수동적 안전을 증가시키는, 전기 구동 자동차용 장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ly driven automobile which increases the passive safety of a passenger with a small technical cost.
상기 과제는, 서두에 언급된 장착 프레임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중공 몸체가 종방향 빔들 사이에 배치되고 종방향 빔들에 기계적으로 고정 연결되어, 폐쇄된 프레임 섹션을 형성함으로써 해결된다. This problem is solved by forming a closed frame section in which, in the case of the mounting frame mentioned at the outset, the hollow body is arranged between the longitudinal beams and mechanically fixedly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beams.
상기 과제는 또한, 지지 프레임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착 프레임을 구비한 전기 구동 자동차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은 자동차의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지지 프레임에 기계적으로 고정 연결된다.The problem is also solved by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having a support frame and a mounting fram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ounting frame being arranged on a support frame of the motor vehicle and mechanically fixed to the support frame.
종방향 빔들이 종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또는 자동차의 일 단부를 향해 개방된 프레임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장착 프레임이 적은 기술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중공 몸체 및 전기 구동 유닛이 각각 상기 두 종방향 빔에 기계적으로 고정 연결되어 폐쇄된 프레임 섹션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두 구성요소가 일반적으로 장착 프레임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종방향 빔들과 중공 몸체와 전기 구동 유닛이 하나의 블록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 프레임의 기계적 강성이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전기 구동 유닛 및 중공 몸체가 종방향 빔들과 함께 하나의 안정된 유닛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착 프레임은 내연기관 구동 트레인의 중실 구성요소들 없이도, 전기 구동 자동차에서도 충돌 시 필요한 수동적 안전 및 통제된 변형 거동을 보장할 수 있다.By forming a frame device in which the longitudinal beams open longitudinally towards the outside or towards one end of the vehicle, the mounting frame can be manufactured with little technical expense, and the hollow body and electric drive unit can be made of the two longitudinal beams The two components can generally serve to reinforce the mounting frame and the longitudinal beams and the hollow body and the electric drive unit form one block , The mechanical stiffness of the mounting frame generally increases. Since the electric drive unit and the hollow body form one stable unit together with the longitudinal beams, the mounting frame provides the passive safety and controlled deformation behavior necessary for crashes in electric powered vehicles without the solid components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train Can be guaranteed.
그 결과, 본 발명의 과제는 완벽하게 해결된다.As a resul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olved completely.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공 몸체는 연결 수단들에 의해 종방향 빔들에 고정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hollow body is secured to the longitudinal beams by means of connecting means.
그럼으로써 장착 프레임에는 적은 기술 비용으로 부품들, 특히 전기 구동 유닛이 장착될 수 있고, 필요한 장착 프레임의 보강은 중공 몸체가 후속 고정됨으로써 달성된다.Thus, the mounting frame can be equipped with parts, in particular an electric drive unit, with little technical cost,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required mounting frame is achieved by subsequent fixing of the hollow body.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공 몸체 및 구동 유닛이 종방향 빔들 상에 종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거나 연달아 장착되고, 이때 중공 몸체는 종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또는 자동차의 일 단부 섹션을 향해 구동 유닛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치된다.Also preferably, the hollow body and the drive unit are offset or juxtaposed to one another longitudinally on the longitudinal beams, wherein the hollow body is offset longitudinally toward the exterior or towards the one end section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이런 방식으로, 폐쇄된 프레임 섹션이 전기 구동 유닛 주위에 형성됨으로써, 전기 구동 유닛이 자동차의 충돌 시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되고, 그에 따라 과전압에 의한 위험이 감소한다.In this manner, the closed frame section is formed around the electric drive unit, so that the electric drive unit is protected from being damag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overvoltage.
아울러, 전기 구동 유닛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가 종방향 빔들에 장착되고, 이때 중공 몸체는 종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축전지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 energy to the electric drive unit is mounted to the longitudinal beams, and the hollow body is arranged so as to be offset with respect to the batter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런 방식으로, 축전지는 충돌 시 기계적으로 보호된다.In this way, the battery is mechanically protecte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중공 몸체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중공 몸체 내에 보강 스트럿들이 형성된다.Also, preferably, reinforcing struts are formed in the hollow body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hollow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런 방식으로, 자동차의 중량을 현저히 증가시키지 않고도 중공 몸체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mechanical stability of the hollow body can be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대안으로, 중공 몸체는 충돌 거동이 양호하고 밀도가 낮은 재료, 예컨대 벌집 구조의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hollow body may be filled with a material having a good collision behavior and a low density, such as a honeycomb structure.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공 몸체가 종방향 빔들 중 하나에 장착되는 장착점에서 보강 스트럿들이 시작되어, 방사상으로 또는 V자형으로 중공 몸체 내로 연장된다.Also, preferably the reinforcing struts are initiated at the point of attachment where the hollow body is mounted to one of the longitudinal beams and extend radially or V-shaped into the hollow body.
이런 방식으로, 충돌 시 상응하는 충돌 에너지가 보강 스트럿들을 통해 종방향 빔들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음으로써 충돌 에너지가 분산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collision energy can be dispersed by the fact that the corresponding collision energy at impact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longitudinal beams through the reinforcing struts.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공 몸체와 전기 구동 유닛 사이에 적응 요소가 배치된다.Further, preferably, an adaptation element is disposed between the hollow body and the electric drive unit.
이런 방식으로, 충돌 시 중공 몸체와 전기 구동 유닛 간에 변형 에너지가 교환될 수 있고, 블록 형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this way, strain energy can be exchanged between the hollow body and the electric drive unit upon impact, and block formation can be improv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응 요소가 구동 유닛을 향하는 오목한 만곡면을 갖는다.Also preferably, the adaptation element has a concave curved surface facing the drive unit.
이런 방식으로, 적응 요소와 구동 유닛 사이에 개선된 기계적 접촉이 형성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중공 몸체와 전기 구동 유닛에 의한 블록 형성이 개선된다.In this way, improved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adaptation element and the drive unit can be established, thereby improving block formation by the hollow body and the electric drive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응 요소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Further, preferably, the adaptation element is formed of plastic.
이런 방식으로, 자동차의 충돌 시 변형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동시에, 적응 요소의 중량이 제한된다.In this way, the strain energy can be effectively absorbed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while the weight of the adaptation element is limi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응 요소가 금속으로 형성된다.Also, preferably, the adaptation element is formed of a metal.
이런 방식으로, 추가 블록 형성이 달성될 수 있으므로, 적응 요소의 질량으로 인해 동시에 수동적 안전성이 증대된다.In this way, since additional block formation can be achieved, the passive safety is simultaneously increased due to the mass of the adaptive element.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응 요소가 벌집 구조를 갖는다.Particularly preferably, the adaptation element has a honeycomb structure.
이런 방식으로, 금속 소재의 저중량 적응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way, a low weight adaptive element of the metal material can be provi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공 몸체 내에 자동차의 전기 부품이 수용된다.Further, preferably, the electric parts of the automobile are housed in the hollow body.
이런 방식으로, 중공 몸체의 구조적 공간이 활용될 수 있고, 아울러 중공 몸체의 휨 강성이 더 증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tructural space of the hollow body can be utilized, and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hollow body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중공 몸체가 폐쇄된 중공 몸체의 형태이다.Also preferably, the hollow body is in the form of a closed hollow body.
이런 방식으로, 중공 몸체의 기계적 강성이 증가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중공 몸체 내에 배치되는 전기 부품이 완전히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mechanical stiffness of the hollow body can be increased, and the electric parts disposed in the hollow body according to circumstances can be completely enclosed and protected.
전술한 그리고 후술될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각각 명시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들로 또는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features described above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the respective specific combinations, but also in other combinations or alo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에 도시되며, 후술하는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전기 구동 기계의 장착을 위한 장착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전기 부품들의 장착을 위한 장착 프레임을 구비한 자동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장착 프레임과 함께 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중공 몸체의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utomobile having a mounting frame for mounting an electric drive machin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th a mounting frame for mounting electrical components.
Figure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a hollow body for forming a block with a mounting frame.
도 1에는, 전기 구동 자동차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다. 자동차(10)는 자동차(10)의 차륜들(14)이 장착된 지지 프레임(12)을 포함한다. 자동차(10)는 일반적으로 종축(16)을 가지며, 화살표(18)로 지시된 것처럼, 실질적으로 종축(16)에 평행한 종방향으로 움직인다.In Figure 1,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indicated generally at 10. The automobile (10) includes a support frame (12) on which the wheels (14) of the automobile (10) are mounted. The
지지 프레임(12)에는, 일반적으로 자동차(10)의 전기 구동 부품들의 장착을 위해, 장착 프레임(20)이 고정된다. 장착 프레임(20)에는 전기 구동 기계(22)가 장착되며, 이 전기 구동 기계(22)의 샤프트(24)는 자동차(10)를 구동하기 위해 변속기(26)를 통해 차륜들에 연결된다. 또한, 장착 프레임(20)에는 중공 몸체(28) 형태의 보강 요소(28)가 장착된다. 한 특수한 실시예에서는, 중공 몸체(28) 내에 전기 구동 자동차(10)의 전기 부품이 수용되어, 보강 요소(28)를 기계적으로 보강하고, 중공 몸체(28) 내에 위치한 구조적 공간을 활용한다. 장착 프레임(20)은, 외부 방향으로, 즉 자동차(10)의 일 단부 섹션을 향해 종축(16)에 평행하게 뻗은 2개의 세장형 종방향 빔들(30, 32)을 포함한다. 종방향 빔들(30, 32)은 자동차의 지지 프레임(12) 또는 횡방향 빔(34)에 장착된다. 종방향 빔들(30, 32)은 종방향(18)으로 외향 개방된 프레임 장치를 형성하며, 자유 빔들로서 자동차(10) 또는 지지 프레임(12)의 일측 단부를 향해 종축(16)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전기 구동 기계(22)는 종방향 빔들(30, 32) 사이에 배치되어 장착된다. 보강 요소(28)는 전기 구동 기계(22)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2개의 종방향 빔(30, 32)에 장착되며, 고정 수단에 의해 종방향 빔들(30, 32)에 고정되거나 기계적으로 단단하게 연결된다. 보강 요소(28)는 견고한 휨 강성 중공 몸체(28)의 형태로, 종방향 빔들(30, 32) 각각의 말단부(38)에 장착되며, 종방향 빔들(30, 32)의 말단부들(38)을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보강 요소(28) 또는 중공 몸체(28)는 자유 종방향 빔들(30, 32)과 함께 폐쇄된 프레임 섹션을 형성하며, 중공 몸체(28)는 종방향 빔들(30, 32)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횡방향 스트럿을 말단부들(38)에 형성한다.In the
또한, 장착 프레임(20)에는 전기 구동 기계(22)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전기 구동 기계(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축전지(40) 또는 배터리(4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전지(40)는 전기 구동 기계(22)와 횡방향 빔(34) 사이에 배치된다.The mounting
보강 요소(28)는 전기 구동 기계(22) 및 축전지(40)에 대해 종방향(18)으로 외향 오프셋되도록 배치되거나 장착되는 반면, 전기 구동 기계(22) 및 축전지(40)는 종방향(18)으로 보강 요소(28)에 대해 내향 오프셋되도록 장착되거나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보강 요소(28)는 자동차의 충돌 방향으로 전기 구동 기계(22)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종방향 빔들(30, 32)과 전기 구동 기계(22)와 보강 요소(28)가 하나의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보강 요소(28)는 종방향(18)으로 전기 부품들에 대해 외부에 배치되거나 장착되어, 자동차(10)의 충돌 시 전기 부품들을 보호하며, 그에 따라 전기 부품의 손상으로 인한 과전압의 위험을 방지한다.The reinforcing
보강 요소(28)는 일반적으로 장착 프레임(20)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며, 전기 구동으로 인해 결여된 자동차(10)의 부품들을 대신하고, 그에 따라 장착 프레임(20)은 보강 요소(28) 및 전기 구동 기계(22)와 함께 자동차(10)의 충돌 시 필요한 안정성 및 상응하는 충격 흡수 구역을 제공하는 중실형 블록을 형성한다. 이런 방식으로, 보통 내연기관을 구비한 자동차를 위해 설계되는 지지 프레임(12) 및 장착 프레임(20)이 전기 구동 차량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내연기관 및 요구된 변속기의 해당 장착점들이 전기 구동 기계(22) 및 보강 요소(28)의 장착에 이용된다. 따라서, 예컨대 내연기관 구동 트레인의 변속기 및 엔진 블록과 같은 결여된 중실형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전기 구동 기계 및 보강 요소(28)로 대체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 요소(28)는 중공 몸체(28)의 형태이며, 바람직하게는 보강 요소(28)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구조적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예컨대 축전지(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또는 전기 구동 기계(22)의 전력 전자 기기와 같은 전기 부품을 수납할 수 있다. 전기 부품들은 보통 중실형 금속 냉각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중공 몸체(28) 내에 전기 부품들을 배치함으로써 블록 형성 및 그에 따른 장착 프레임(20)의 보강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한 대안적 실예에서, 보강 요소(28) 또는 중공 몸체(28)는 그 내부에 보강 요소(28)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한다. 프레임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36) 또는 대응 장착점들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차(10)의 충돌 시 충돌 에너지를 보강 요소(28)로부터 종방향 빔들(30, 32)로 전달한다.In one alternative embodiment, the reinforcing
고정 수단(36)은 보강 요소(28)를 각각의 종방향 빔들(30, 32)의 대응하는 장착점들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리벳, 또는 용접점일 수 있다. 중공 몸체(28)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측면들을 통해 면 접촉 형태로 각각 종방향 빔들(30, 32)과 연결된다.The securing means 36 may be screws, rivets, or welding points for securing the reinforcing
종방향 빔들(30, 32)은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접힘 섹션들을 포함하며, 이들 휨 섹션은 종방향 빔들(30, 32)의 설정 파괴점 또는 접힘부의 역할을 한다. 충돌 시, 지지 프레임 부품들의 통제된 휨이 실현되도록, 접힘 섹션들은 일반적으로 장착 프레임(20)의 미리 정의된 휨 거동을 보장한다. 이런 방식으로, 자동차(10)의 충격 보호 구역이 일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The
보강 요소(28)와 전기 구동 기계(22) 사이에 적응 요소(42)가 배치된다. 적응 요소(42)는 바람직하게는 보강 요소(28)를 지지하며, 전기 구동 기계(22)를 향하는 표면에 전기 구동 기계(22)의 표면에 대응되는 형태 또는 구조물 또는 윤곽을 구비하여, 자동차(10)의 충돌 시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장착 프레임(20)의 변형 시 전체 장착 프레임(20)의 안정화 및 추가 블록 형성에 더욱 기여한다. 이를 위해, 적응 요소(42)는 바람직하게는 보강 요소(28)를 향하는 평탄면, 및 전기 구동 기계(22)를 향하는 오목한 만곡면을 갖는다. 적응 요소(42)는 보강 요소(28)뿐만 아니라 전기 구동 기계(22)에도 면 접촉 방식으로 접할 수 있다.An
적응 요소(42)는 예컨대 경질 고무 소재의 플라스틱 요소, 또는 예컨대 알루미늄 소재의 금속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응 요소(42)가 벌집 구조를 가짐으로써, 저중량이면서도 높은 안정성 및 그에 따른 매우 효과적인 블록 형성을 제공한다.The
도 2에는 지지 프레임(12)을 구비한 자동차(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로 지시되며, 여기서는 특별한 사항만 설명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종방향 빔들(30, 32)은 종축(16)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중량을 줄이기 위해 중공 직사각형 프로파일을 갖는 세장형 직선 로드들로 형성된다. 전기 구동 기계(22) 및 변속기(26)는 종방향 빔들(30, 32) 사이에 장착된다. 종방향 빔들(30, 32)은 횡방향 빔(50)에 의해 중앙 섹션(46)에서 연결되어, 부품들의 장착 성능을 개선하고 상기 영역에서의 안정성을 증대한다. 보강 요소(28)는 종방향 빔들(30, 32)의 말단부들(38)에 장착되어, 종방향 빔들(30, 32)을 서로 기계적으로 고정 연결함으로써 폐쇄된 프레임 섹션을 형성하며, 이는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종방향 빔들(30, 32)에 인접하여 측방향으로 지지 프레임(12)의 각각 하나의 종방향 섹션(54, 56)이 형성되고, 이들 종방향 섹션 각각은 범퍼를 지지 프레임(1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섹션(58, 60)을 갖는다.Each
보강 요소(28)는 종방향 빔들(30, 32)의 말단부들(38) 사이에 배치되며, 고정 수단(36)에 의해 종방향 빔들(30, 32)에 고정 연결된다. 보강 요소(28)는 박스 또는 블록의 형태이며, 한 특수한 실시예에서 전기 부품들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공동을 갖는다. 전기 구동 기계(22)와 보강 요소(28) 사이에 평탄면(62) 및 오목한 만곡면(64)을 갖는 적응 요소(42)가 배치된다. 평탄면(62)은 적응 요소(42)를 보강 요소(28)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오목면은 전기 구동 기계(22)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자동차(10)의 충돌 시 보강 요소(28)와 전기 구동 기계(22) 사이의 기계적 접촉을 개선하고, 보강 요소(28)와 전기 구동 기계(22)에 의한 블록 형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오목면(64)은 전기 구동 기계(22)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고, 전기 구동 기계에 인접할 수도 있다. 적응 요소(42)는 바람직하게는 벌집 구조를 가지며, 예컨대 경질 고무와 같은 플라스틱 또는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다.The reinforcing
적응 요소(42)에 의해, 보강 요소(28)와 전기 구동 기계(22)에 의한 블록 형성이 전체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With the
도 3a에는 보강 요소(28) 또는 중공 몸체(28)의 한 특수한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로 지시되며, 여기서는 특별한 특징만 설명한다.3a, there is shown schematically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reinforc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 요소(28)는 종방향 빔들(30, 32)의 말단부들(38)에 고정된다. 보강 요소(28)는 중량 감소에 기여하는 공동(66)을 가지며, 이 공동 내에는 바람직하게 예컨대 축전지(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유닛 또는 인버터와 같은 전기 구동 기계의 전기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요소(28)는 휨 강성을 지닌 중실형 금속 하우징을 통해 2개의 종방향 빔(30, 32)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형성한다.As noted above, the reinforcing
도 3b에는 보강 요소(28)의 한 대안적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들로 지시되며, 여기서는 특별한 특징만 설명한다.Figure 3b schematically show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보강 요소(28)는 일반적으로 중공 몸체로 형성되며, 이때 중공 몸체 내에는 함께 프레임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의 보강 스트럿(68)이 형성된다. 보강 스트럿들(68)은 장착점(70)에서 시작하여, 보강 요소(28) 내에서 상이한 방향들로 방사상으로 또는 V자 형태로 연장된다. 장착점(70)은 보강 요소(28)와 각각의 종방향 빔(30, 32)의 기계적 연결을 형성하며, 고정 수단들(36) 중 하나에 할당된다. 보강 요소(28)의 공동 내에 보강 스트럿들(68)로 형성된 프레임 구조물에 의해, 보강 요소(28)의 기계적 안정성이 목표한 대로 증대될 수 있고, 자동차(10)의 충돌 시 보강 스트럿들(68)이 충돌 에너지를 장착점들(70)을 통해 장착 프레임(20)에 전달하여, 충돌 에너지를 전달 및 분배한다.The reinforcing
Claims (13)
상기 중공 몸체(28)는 종방향 빔들(30, 3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종방향 빔들(30, 32)에 기계적으로 고정 연결되어, 폐쇄된 프레임 섹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구동 자동차용 장착 프레임(20).A mounting frame (20) for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10) comprising two longitudinal beams (30)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8) of the motor vehicle (10) An electric drive unit 22 for driving the automobile 10 mounted on the longitudinal beams 30 and 32 and an electric drive unit 22 formed separately from the longitudinal beams 30 and 32, A mounting frame (20) for a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comprising a bending rigid hollow body (28) fixed to a mounting frame (20)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body (28) is disposed between the longitudinal beams (30,32) and is mechanically fixedly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beams (30,32) to form a closed frame section Automotive mounting frame (2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3106141.9 | 2013-06-13 | ||
DE102013106141.9A DE102013106141B4 (en) | 2013-06-13 | 2013-06-13 | Bearing frame for an electrically powered mot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5557A true KR20140145557A (en) | 2014-12-23 |
Family
ID=5197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70858A KR20140145557A (en) | 2013-06-13 | 2014-06-11 |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452668B2 (en) |
JP (1) | JP6211996B2 (en) |
KR (1) | KR20140145557A (en) |
CN (1) | CN203974510U (en) |
DE (1) | DE102013106141B4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97514A1 (en) * | 2012-12-21 | 2014-06-2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Motor mounting structure |
JP6145578B2 (en) * | 2015-12-18 | 2017-06-14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Construction machinery |
DE102016219743A1 (en) * | 2016-10-11 | 2018-04-12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Achsträger, in particular front axle, for a vehicle |
DE102017200517B3 (en) * | 2017-01-13 | 2018-05-03 | Zf Friedrichshafen Ag | Subframe for a motor vehicle |
JP6885156B2 (en) * | 2017-03-31 | 2021-06-09 |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High voltage equipment |
US10202028B1 (en) * | 2017-08-09 | 2019-02-1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Traction Battery Sub-Frame Assembly |
EP3444138B1 (en) * | 2017-08-17 | 2024-12-11 | Polestar Performance AB | Vehicle |
EP3444137B1 (en) * | 2017-08-17 | 2020-04-01 | Volvo Car Corporation | Vehicle |
DE102018201805A1 (en) | 2018-02-06 | 2019-08-08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Motor vehicle with electric hybrid drive or electric drive and a crash energy receiving device |
CN109204574B (en) * | 2018-10-16 | 2024-07-12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New energy automobile body structure |
CN109291866B (en) * | 2018-10-18 | 2024-07-12 | 湖南博汇智能科技有限公司 | Mounting rack in new energy automobile electrical control system mounting unit |
FR3095379B1 (en) * | 2019-04-23 | 2022-01-14 | Psa Automobiles Sa | BATTERY WITH CONTROL UNIT INTEGRATED IN A STRUCTURAL BEAM |
CN110154943A (en) * | 2019-06-10 | 2019-08-23 | 天津恒天新能源汽车研究院有限公司 | Electrical installation sectional shelf-unit and the electric car with it |
JP7201630B2 (en) * | 2020-02-20 | 2023-01-10 |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 Valve drive system and emergency condensat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02202A (en) * | 1970-04-30 | 1972-11-07 | Houdaille Industries Inc | Energy storing/absorbing bumper support systems |
DE2918136C2 (en) * | 1979-05-05 | 1981-06-04 |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 Front end for a front control vehicle |
US5390754A (en) * | 1992-01-16 | 1995-02-21 |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 Battery box for an electric vehicle |
JP4150088B2 (en) * | 1997-06-11 | 2008-09-1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Anti-vibration mount |
DE19810864C2 (en) * | 1998-03-13 | 2003-11-06 | Audi Ag | Front module of a vehicle body |
JP2001301649A (en) * | 2000-04-25 | 2001-10-31 | Toyota Motor Corp | Mounting structure of shock absorbing member |
DE10154353B4 (en) * | 2000-11-06 | 2012-10-18 | General Motors Corp. | Modular vehicle construction |
JP4736245B2 (en) * | 2001-06-15 | 2011-07-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Electric vehicle and its assembly method |
DE10297133B4 (en) * | 2001-08-23 | 2013-05-08 | General Motors Corp. | Chassis of a vehicle with systems that respond to non-mechanical control signals |
JP3842204B2 (en) | 2002-11-11 | 2006-11-0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Front body structure |
US20040222030A1 (en) | 2003-05-09 | 2004-11-11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 Vehicle rear suspension support assembly with integrated electric drive |
DE102004022242A1 (en) * | 2003-05-09 | 2005-01-05 |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arborn | Rear independent suspension and support structure |
US7588117B2 (en) * | 2003-09-29 | 2009-09-15 | Nissan Motor Co., Ltd. |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drive motor |
JP4308044B2 (en) * | 2004-03-03 | 2009-08-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Vehicle occupant knee protection device |
DE102005052307A1 (en) * | 2005-11-01 | 2007-05-03 | Otte, Hans Hermann | Vehicle e.g. fuel cell vehicle, has fuel tank, electrical energy storage unit and motor arranged in region at base of vehicle, single-piece chassis module provided with base part, and engine hood module connectable with chassis module |
JP4804969B2 (en) * | 2006-03-16 | 2011-11-02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Front structure of a fuel cell vehicle |
JP4383426B2 (en) * | 2006-05-08 | 2009-12-1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Power unit support device for vehicle |
DE202006008812U1 (en) * | 2006-06-03 | 2006-08-17 | INPRO Innovationsgesellschaft für fortgeschrittene Produktionssysteme in der Fahrzeugindustrie mbH | Reinforced hollow profile suitable for automobile use, includes stiffening wire welded to and lying between opposite surfaces of profile, in analogue of natural structures |
JP4375386B2 (en) * | 2006-11-09 | 2009-12-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Body structure |
JP2009051251A (en) * | 2007-08-23 | 2009-03-12 | Toyota Motor Corp | Vehicle front structure |
WO2009031331A1 (en) * | 2007-09-06 | 2009-03-12 |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 Electric automobile |
JP2009190438A (en) * | 2008-02-12 | 2009-08-27 | Nissan Motor Co Ltd | On-vehicle structure of fuel cell system |
JP2010195134A (en) * | 2009-02-24 | 2010-09-09 | Toyota Motor Corp | Vehicle front part structure |
JP5573196B2 (en) * | 2010-01-27 | 2014-08-20 | マツダ株式会社 |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
US8479858B2 (en) * | 2009-12-03 | 2013-07-09 | Mazda Motor Corporation | Battery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
JP5115543B2 (en) * | 2009-12-03 | 2013-01-09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Installation structure of electric motor for hybrid vehicle |
JP5630613B2 (en) * | 2010-12-28 | 2014-11-26 | スズキ株式会社 | Motor mount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
DE102011012249A1 (en) * | 2011-02-24 | 2012-08-30 | Daimler Ag | motor vehicle |
DE102011078029B3 (en) * | 2011-06-24 | 2012-10-31 | Robert Bosch Gmbh | Device for changing rigidity of cross beam of motor car, has stiffening element movably arranged at cross beam and producing rigidities of cross beam in positions, and actuator moving stiffening element between positions |
DE102012011797A1 (en) * | 2011-07-05 | 2013-01-10 | Ksm Castings Group Gmbh | axle |
DE102011054580A1 (en) | 2011-10-18 | 2013-04-18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Passenger car and passenger car module |
JP5811769B2 (en) * | 2011-10-27 | 2015-11-1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Vehicle front structure |
DE102011118181A1 (en) | 2011-11-10 | 2013-05-16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 Cross member of a motor vehicle body |
JP2013169946A (en) * | 2012-02-22 | 2013-09-02 | Ntn Corp | Electric vehicle |
DE102012016268B4 (en) * | 2012-08-17 | 2017-03-23 | Progress-Werk Oberkirch Ag | Connecting arrangement and cross member with such a connection arrangement. |
DE102012018464A1 (en) * | 2012-09-19 | 2013-03-21 | Daimler Ag | Road vehicle, particularly passenger car, has crash-active transverse support integrated with its longitudinal ends in body shell structure, where crash-active transverse support is tunnel bridge extended in vehicle longitudinal direction |
DE102013106433B4 (en) * | 2013-06-20 | 2024-05-08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Supporting frame for a motor vehicle |
-
2013
- 2013-06-13 DE DE102013106141.9A patent/DE102013106141B4/en active Active
-
2014
- 2014-06-10 CN CN201420306665.0U patent/CN203974510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4-06-11 JP JP2014120207A patent/JP6211996B2/en active Active
- 2014-06-11 KR KR20140070858A patent/KR2014014555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06-12 US US14/302,868 patent/US9452668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000721A (en) | 2015-01-05 |
JP6211996B2 (en) | 2017-10-11 |
US20150360549A1 (en) | 2015-12-17 |
DE102013106141B4 (en) | 2024-05-16 |
CN203974510U (en) | 2014-12-03 |
DE102013106141A1 (en) | 2014-12-18 |
US9452668B2 (en) | 2016-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45557A (en) |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 |
KR101606636B1 (en) |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 |
KR101613014B1 (en) | Supporting frame for a motor vehicle | |
US10632858B2 (en) | Battery enclosure surrounded by internally reinforced cylindrical impact absorbing elements | |
US9821850B2 (en) | Impact load reduction structure | |
JP6816664B2 (en) | Body front structure | |
US8720636B2 (en) | Motor vehicle having an electromotive unit and the power supply module thereof arranged in the vicinity of a running gear of the vehicle | |
US9660234B2 (en) | Battery enclosure with arc-shaped elongated impact absorbing ribs | |
WO2009139229A1 (en) | Power source protection structure | |
US10439183B2 (en) | Impact absorbing element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enclosure | |
US20210078638A1 (en) |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 |
US20190255901A1 (en) | Motor Vehicle Comprising a Chassis and a Passenger Cell | |
CN114667234B (en) | Battery box device | |
KR20140040698A (en) | Vehicle comprising a housing of an electric energy store, said housing being designed as a supporting structural component | |
JP7422518B2 (en) | Support device for vehicle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 |
KR102512997B1 (en) | Vehicle body structure | |
JP6626480B2 (en) | Body structure | |
US20140174840A1 (en) | Subframe for holding an electric energy accumulator in a motor vehicle | |
JP6136986B2 (en) | Vehicle power generation device | |
JP6052206B2 (en) | Rear structure of the vehicle | |
KR102423091B1 (en) | Front body for vehicle | |
CN212149012U (en) | Automobile front auxiliary frame and automobile | |
CN209071466U (en) | Battery pack and vehicle | |
KR20130070358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JP2018108787A (en) | Battery protection device of electric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