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43702A -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및 환기구 - Google Patents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및 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702A
KR20140143702A KR1020140065755A KR20140065755A KR20140143702A KR 20140143702 A KR20140143702 A KR 20140143702A KR 1020140065755 A KR1020140065755 A KR 1020140065755A KR 20140065755 A KR20140065755 A KR 20140065755A KR 20140143702 A KR20140143702 A KR 2014014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ane
operating
actuating
lever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랄트 노이흘
프랑크 무쯔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4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70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선회 베인(14)을 포함하는 환기구(12)용 작동 디바이스(10)로서, 상기 작동 디바이스는 제1 레버 아암(30), 제2 레버 아암(34) 및 이들 레버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재(38)를 구비하는 제1 작동 레버(22)를 포함하고, 제1 작동 레버(22)는 선회 핀(24)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베어링 부재(38) 둘레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 디바이스는 제1 레버 아암(32), 제2 레버 아암(36) 및 이들 레버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재(40)를 포함하고, 제2 작동 레버(26)는 선회 핀(28)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베어링 부재(40) 둘레에 장착되며, 제2 작동 레버(26)의 제1 레버 아암(32)은 제1 작동 레버(22)의 제2 레버 아암(34)에 연결되고, 제2 작동 레버(26)의 제2 레버 아암(36)은 선회 동작을 위해 베인(14)에 연결되도록 된 것인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및 환기구{OPERATING DEVICE FOR AN AIR VENT AND AIR VEN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선회 베인을 포함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기류를 편향시키는 베인을 구비하는 환기구는, 예컨대 베인을 선회시키는 중앙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단지 베인이 서로 평행하고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베인 그룹만이 마련되는 경우, 작동 부재는 베인들 중 하나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베인은 작동 부재가 선회되는 방향으로 직접 선회될 수 있다.
앞뒤로, 예컨대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2개의 베인 그룹이 마련되는 경우, 차량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후방에 위치 설정되는 베인을 직접 작동시키기란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후방 베인이 전방 베인에 의해 덮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작동 부재를 사용하여 2개의 베인 그룹 모두를 선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베인을 작동시키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작동 부재 상에 레버가 마련되는데, 레버는 후방측 상에서 돌출하고 후방 베인 그룹의 베인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레버는 작동 부재의 일부이거나 작동 부재와 연결되며, 작동 부재에 의해 전방 베인에서 또는 환기구에서 관절식으로 공동 장착된다. 작동 부재가 선회될 때, 후방 베인은 레버에 의해 양방향으로 선회된다.
이들 작동 디바이스는, 후방 베인이 작동 부재의 선회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선회되는 반면에 전방 베인의 선회 방향은 작동 부재의 선회 방향에 상응한다는 결점을 갖는다. 이것은 승객에 대한 빈번한 재고를 요구하여, 차량 운전자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구의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작동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환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선회 베인을 포함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로서,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는 제1 레버 아암, 제2 레버 아암 및 이들 레버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재를 구비하는 제1 작동 레버를 포함하고, 제1 작동 레버는 선회 핀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베어링 부재 둘레에 장착되며,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는 제1 레버 아암, 제2 레버 아암 및 이들 레버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재를 구비하는 제2 작동 레버를 포함하며, 제2 작동 레버는 선회 핀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베어링 부재 둘레에 장착되는 것인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제2 작동 레버의 제1 레버 아암은 제1 작동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에 연결되고, 제2 작동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은 선회 동작을 위해 베인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2개의 작동 레버 모두는 베어링 부재를 사용하여, 차량 내부에서 보았을 때 전방 베인에서 환기구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작동 레버의 기능 모드는 작동 요소에 확실하게 연결되고 작동 요소와 함께 공동으로 선회될 수 있는 종래 기술로부터의 환기구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레버의 기능 모두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작동 레버는 이러한 제1 작동 레버와 베인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선회 동작을 위해 환기구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작동 레버는 선회 동작을 위해 제1 작동 레버 및 베인 모두와 연결되며, 베어링 부재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제2 작동 레버는 제1 작동 레버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환기구의 베인과의 유사성에 의해 제1 작동 레버와는 반대측으로 선회된다. 제2 작동 레버에 연결되는 베인은 이에 따라 제2 작동 레버와는 반대측, 즉 제1 작동 레버와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된다. 이것은 베인이 매번 제1 작동 레버 또는 제1 작동 레버 상에 마련되는 작동 부재의 선회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그 결과, 이것은 상기한 작동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환기구의 더욱 사용하기 쉬운 작동을 허용하는데, 그 이유는 베인의 선회 그리고 이에 따라 공기의 편향이 항시 작동 부재가 선회되는 방향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특히, 서로 수직한 2쌍의 베인을 구비하는 환기구에서는 훨신 더 간단한 작동이 가능하다. 작동 디바이스는, 예컨대 차량 내부에서 보았을 때에 전방 베인 상에 장착되고, 제1 작동 레버는 차량 내부로부터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전방 베인은 제1 작동 레버 그리고 이에 따라 전체 작동 디바이스를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전방 베인 평면에서 제1 작동 레버를 선회시킴으로써, 후방 베인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되고, 후방 베인도 이와 마찬가지로 매번 제1 작동 레버의 선회 방향으로 조정된다. 이것은 2개의 베인 쌍 모두가 매번 작동 디바이스의 활성화 방향으로 선회되어, 사용하기 쉬운 작동을 허용함을 의미한다.
베인이 정확히 제1 작동 레버의 반대측으로 선회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의 선회 핀들이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특히, 제2 작동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에 연결되는 베인의 선회 핀도 또한 이들 선회 핀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작동 레버는 환기구의 하우징 내에 또는 차량 내부에서 보았을 때에 전방 베인 상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의 베어링 부재를 위한 베어링 시트를 포함하는 별개의 하우징 부분을 마련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작동 디바이스가 하우징 부분의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로 이루어지닌 유닛으로서 예조립되도록 한다. 그 후, 이 유닛은 환기구 내에서, 예컨대 베인에 장착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한 작동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환기구의 훨씬 더 간단하고 더 신속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환기구에 대하여 작동 레버를 위한 추가의 베어링 시트가 불필요하다.
베어링 시트는 각각, 예컨대 베어링 부재를 위한 삽입 섹션과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작동 레버는 베어링 시트에서 제위치에 로킹될 때까지 삽입 섹션 내로 간단히 압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베어링 부재는 공구를 요하는 일 없이 간단히 조립될 수 있다.
하우징 부분을 환기구에서 제위치에, 예컨대 베인 상에 고정하기 위해서, 하우징 부분은 특히 그 외측 둘레 상에 하우징 부분을 환기구에 끼워넣도록 된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지 부재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킹 부재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 부분은 환기구 내에 간단히 삽입될 수 있고, 환기구 내에서 제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제1 작동 레버를 제2 작동 레버에 연결하는 것과 제2 작동 레버를 베인에 연결하는 것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길이에 있어서의 변화는 작동 레버들 간의 각도 및 2개의 작동 레버와 베인 간의 각도에서의 변화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작동 레버의 종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보상을 갖는 커플링이 유익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 레버의 제1 레버 아암 또는 제1 작동 레버의 제2 레버 아암은 그 상부에 포크 형상 시트가 마련되고, 제1 작동 레버의 제2 레버 아암 또는 제2 작동 레버의 제1 레버 아암에는 그 상부에 포크 형상 시트 내로 돌출하고 회전 및 시트의 길이 방향으로의 변위를 위해 포크 형상 시트 내부에 장착되는 피봇부가 마련된다. 작동 레버는 이에 따라 선회 동작을 위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길이 보상은 포크 형상 시트에서 피봇부를 종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타입의 연결은 작동 레버를, 예컨대 하우징 부분의 양측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압입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 레버가 간단하게 서로에 장착될 수 있다는 장점을 더 갖는다.
베인에의 제2 작동 레버의 연결도 또한, 예컨대 포크 형상 시트 및 포크 형상 시트 내로 돌출하는 피봇부에 의해 실시된다. 포크 형상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제2 작동 레버 상에 마련된다. 이것은 제2 작동 레버의 제2 레버 아암도 또한 그 상부에, 베인 상에 마련되는 피봇부를 수용하는 포크 형상 시트가 마련될 수도 있고, 그 상부에 베인 상에 마련된 포크 형상 시트에 맞물리는 피봇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어링 부재는, 예컨대 선회 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핀일 수 있다.
제1 작동 레버 및 제2 작동 레버의 선회 핀과 베인의 선회 핀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평면 내에 놓인다. 차량 내부를 향하는 환기구의 흐름 방향으로, 작동 레버의 선회 핀은 바람직하게는 베인의 상류에 배치되고, 이 경우 제1 작동 레버의 선회 핀이 차량 내부에 가장 근접하며, 이에 따라 제1 작동 레버는 차량 내부로부터 조정된다.
그러한 환기구는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선회 베인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선회 베인의 선회 핀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선회 베인의 선회 핀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선회 베인은 환기구의 흐름 방향으로 제1 베인 하류에 배치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베어링 부재를 위한 베어링 시트가, 예컨대 제2 선회 베인 상에 마련된다. 즉, 작동 레버는 제2 베인 상에 선회 장착된다. 그 결과, 제1 작동 레버를 제2 선회 베인의 평면 또는 제2 선회 베인의 선회 핀에 대해 수직한 제1 활성화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선회 베인의 직접적인 선회가 가능하다. 제1 선회 베인은 제1 활성화 방향에 수직한 제2 활성화 방향으로, 즉 제2 선회 베인의 평면 내에서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 선회된다. 이러한 작동 디바이스는 이에 따라 2개의 베인이 서로 별개로 선회되도록 하며, 베인의 선회 방향은 각각 제1 작동 레버의 선회 방향에 상응한다.
베어링 시트는 제2 베인 상에 직접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베인이 그 상부 상에 제1 작동 레버와 제2 작동 레버의 베어링 부재를 위한 베어링 시트를 구비하는 하우징 부분이 마련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작동 디바이스가 예조립되고 후속하여 제2 선회 베인에 적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기구의 간단하고 사용하기 쉬운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른 이점 및 피쳐(feature)는 첨부 도면과 함께 제시되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로부터의 작동 디바이스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 디바이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구의 평면도.
도 4는 작동 디바이스가 선회 상태인 도 3의 환기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환기구의 작동 디바이스의 분해도.
도 6은 조립 상태의 도 5의 작동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1 및 도 2에는 여기에서는 단지 일부만이 예시된 환기구(12')에 있는 종래 기술로부터의 작동 디바이스(10')가 도시되어 있다. 환기구(12')는 차량 내부에서 보았을 때에 제1 후방 베인(14') 및 차량 내부에서 보았을 때에 제2 전방 베인(16')을 구비한다. 2개의 베인은 각각 선회 핀(18', 20')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되어 있다.
환기구(12')는 여기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베인(14') 및 제2 베인(16')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른 베인을 포함한다. 평행한 베인들은 각각 제1 베인(14') 또는 제2 베인(16')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제1 베인(14') 또는 제2 베인(16')과 공동으로 선회될 수 있다.
작동 디바이스(10')는 선회 핀(24')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제2 베인(16') 상에 장착되는 작동 레버(2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2')는 선회 동작을 위해 제1 베인(14')에 연결된다.
작동 레버(22')가 도 1에 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선회될 때, 작동 레버(22')에 연결되는 제2 베인(16')은 작동 레버(22')와 함께 선회 핀(20')을 중심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베인(16')의 선회 방향은 이에 따라 작동 레버(22')의 선회 방향에 상응한다.
제2 베인(16') 뒤에 배치되는 제1 베인(14')을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 레버(22')는 제2 베인(16') 상에서, 즉 제2 베인(16')의 평면에서 그 선회 핀(24')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그러나, 도 2에서 볼 수 있다시피, 작동 레버(22')가 선회될 때, 제1 베인(14')은 선회 핀(18')을 중심으로 작동 레버(22')와는 반대로 선회된다.
따라서, 제1 베인(14')의 선회 방향 그리고 이에 따라 기류의 편향 방향은 각각 작동 레버(22')의 선회 방향과 반대인 반면, 제1 베인(16')이 작동될 때, 작동 레버(22')의 선회 방향은 제2 베인(16')의 선회 방향에 상응한다. 이에 따라, 승객에 의해 어느 베인(14', 16'), 즉 제1 베인(14') 또는 제2 베인(16')이 작동되는지에 따라, 승객은 작동 레버를 기류의 소망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켜야 할지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예시한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는 이러한 결점을 제거한다.
그 일부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환기구(12)도 또한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공동으로 선회될 수 있는 평행한 베인들을 지닌 2개의 베인 그룹을 포함한다. 명확성을 위해, 여기에서는 작동 디바이스(10)에 연결된 단지 제1 베인(14)과 제2 베인(16)만을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디바이스(10)는 제1 작동 레버(22) 및 제2 작동 레버(26)를 포함한다. 각각의 작동 레버는 제1 레버 아암(30, 32) 및 제2 레버 아암(34, 36)을 포함한다. 각각의 베어링 부재(38, 40)가 제1 레버 아암(30, 32)과 제2 레버 아암(34, 36) 사이에 마련되며, 특히 도 5에서 볼 수 있다시피 베어링 핀(39, 41)을 포함한다. 이들 베어링 부재(38, 40)는 각각의 선회 핀(24, 28)을 중심으로 한 선회 동작을 위해 제1 작동 레버(22)와 제2 작동 레버(26)를 각각 장착하는 데 기여한다(도 3 및 도 4).
본 실시예에서, 선회 핀(24, 28)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2 베인의 중립 위치에서는 제1 베인(14)의 선회 핀(18)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특히 도 3에서 볼 수 있다시피, 3개의 선회 핀(24, 28, 18) 모두는 하나의 평면에 배치되고, 제1 베인의 선회 핀은 흐름 방향(S)으로 상류에 배치되고, 제1 작동 레버(22)의 선회 핀(24)은 흐름 방향(S)으로 하류에 배치된다. 제2 작동 레버(26)의 선회 핀(28)은 선회 핀(18, 24)들 사이에 배치된다.
작동 디바이스(10)는, 내부에 작동 레버(22, 26)의 베어링 부재(38, 40)를 위한 베어링 시트(44, 46)가 마련되는 하우징 부분(42)을 더 포함한다. 이 하우징 부분(42)은 흐름 방향(S)과 반대로, 즉 차량 내부에서 보았을 때에 전방으로부터 제2 베인(16) 상의 리세스(48)에 삽입되고, 리세스 내에서 제위치에 고정된다.
제1 작동 레버(22)의 제1 레버 아암(30) 상에는 작동 노브(50)가 더 마련된다.
작동 디바이스(10)가 유지되는 제2 베인(1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로부터의 환기구(12')와 유사하게 작동된다.
제1 작동 레버(22) 또는 작동 노브(50)는 도 5 및 도 6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선회되어, 제2 베인(16)이 제1 작동 레버(22)와 함께 공동으로 그 선회 핀(20)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제2 베인(16) 상의 작동 노브가 제2 베인(16)의 평면 내에서 선회 방향으로 선회되어 제1 베인(14)을 선회시킬 때, 제2 작동 레버는 선회 방향(S)과 반대로 선회된다(도 4). 제2 작동 레버(26)에 연결되는 베인(14)은 제2 작동 레버(26)와 한대로, 즉 제1 작동 레버(22)와 동일한 선회 방향으로 선회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종래 기술과는 대조적으로, 베인의 선회 방향은 이에 따라 제2 작동 레버(26)에 의해 역전되는데, 제2 작동 레버는 어느 정도는 이동 레버 또는 전환 레버로서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이 선회 방향은 제1 작동 레버(22) 및 작동 노브(50)의 선회 방향과 동일하다.
이는 환기구(12)의 훨씬 더 사용하기 쉽고 보다 신속한 작동을 허용하는데, 그 이유는 2개의 베인(14, 16) 모두에 있어서 제1 작동 레버(22)와 작동 노브(50)의 선회 방향이 베인(14, 16)의 선회 방향에 상응하기 때문이다.
레버 아암(30, 32, 34, 36)의 길이와, 작동 레버(22, 26)에서의 베어링 부재(38, 40)의 위치는 작동 노브(50)의 선회와 베인(14)의 선회 간의 소망하는 전달비를 얻기 위해 소망하는 바와 같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적절한 전달비로 베인(14)은 작동 노브(50)와 동일한 선회 각도로 선회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 노브(50)의 작은 선회 각도가 베인(14)의 매우 큰 선회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작동 레버(22), 제2 작동 레버(26), 하우징 부분(42) 및 작동 노브(50)로 이루어진 작동 디바이스(10)는 예조립될 수 있다. 그 후, 작동 디바이스를 흐름 방향(S)과 반대로, 즉 차량 내부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부터 제2 베인(16) 상의 리세스(28)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작동 디바이스(10)만이 제1 베인(16)에 장착되고 베인(14)에 연결된다.
간단한 작동 디바이스(10)의 조립을 위해, 베어링 시트(44, 46) 각각은 그 상부에 작동 레버(22, 26) 또는 작동 레버(22, 26)의 베어링 부재(38, 40)를 위한 삽입 경사부(52, 54)를 갖는다. 베어링 부재(38, 40)는 각각 로킹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로킹 메커니즘(56, 58)에 의해 하우징 부분(42)에서 제위치에 고정되어, 작동 레버(22, 26)가 공구 없이 하우징 부분(42)에 장착되도록 한다.
더욱이, 로킹 부재(60)는 제2 베인(16) 상의 리세스(48)에 하우징 부분(42)을 끼워넣기 위해 하우징 부분(42)의 외측 둘레 상에 마련된다.
제1 작동 레버와 제2 작동 레버의 연결은, 여기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2 작동 레버(26)의 제1 레버 아암(32) 상에 마련되는 포크 형상 시트(62)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3 및 도 4). 제1 작동 레버(22)의 제2 레버 아암(34) 상에는, 포크 형상 시트(62)에 선회 장착되고 또한 포크 형상 시트(62)의 종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장착되는 피봇부(64)가 마련된다. 이러한 장착은 작동 레버(22, 26)의 선회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포크 형상 시트(62)도 또한, 제1 작동 레버(22) 및 제2 작동 레버(26)가 선회될 때 길이 보상을 허용한다(도 4 참고). 그러나, 포크 형상 시트(62)는 또한 제1 작동 레버의 제2 레버 아암 상에 마련될 수도 있고, 피봇부(64)는 제2 작동 레버(26)의 제1 레버 아암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피봇부(64)를 포크 형상 시트 내로 종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추가로 제공한다. 작동 레버(22, 26)는, 예컨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하우징 부분(42)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작동 레버(26)에의 베인(14)의 연결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작동 레버(22, 26)들의 연결과의 유사성에 의해, 제2 작동 레버는, 하우징 부분(42)이 리세스(48)에 압입될 때에 베인(14)과 간단히 맞물릴 수 있다.
여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와는 달리, 작동 레버(22, 26)는 또한 하우징 부분(42) 없이 제2 베인(16)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기구(12)가 단지 하나의 베인 그룹만을 포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작동 디바이스(10)는 환기구에 부착될 수 있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선회 베인(14)을 포함하는 환기구(12)용 작동 디바이스(10)로서, 상기 작동 디바이스는 제1 레버 아암(30), 제2 레버 아암(34) 및 이들 레버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재(38)를 구비하는 제1 작동 레버(22)를 포함하고, 제1 작동 레버(22)는 선회 핀(24)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베어링 부재(38) 둘레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 디바이스는 제1 레버 아암(32), 제2 레버 아암(36) 및 이들 레버 아암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재(40)를 포함하고, 제2 작동 레버(26)는 선회 핀(28)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베어링 부재(40) 둘레에 장착되며, 제2 작동 레버(26)의 제1 레버 아암(32)은 제1 작동 레버(22)의 제2 레버 아암(34)에 연결되고, 제2 작동 레버(26)의 제2 레버 아암(36)은 선회 동작을 위해 베인(14)에 연결되도록 된 것인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레버(22)와 제2 작동 레버(26)의 선회 핀(24, 28)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작동 레버(22, 26)의 베어링 부재(38, 40)를 위한 베어링 시트(44, 46)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분(4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베어링 시트(44, 46)는 각각 베어링 부재(38, 40)를 위한 삽입 섹션(52, 54)과 로킹 메커니즘(56, 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하부징 부분(42) 상에, 특히 하우징 부분의 외측 둘레 상에, 하우징 부분(42)을 환기구에 끼워넣기 위한 유지 부재, 특히 로킹 부재(6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작동 레버(26)의 제1 레버 아암(32) 또는 제1 작동 레버(22)의 제2 레버 아암(34)은 그 상부에 포크 형상 시트(62)가 마련되고, 제1 작동 레버(22)의 제2 레버 아암(34) 또는 제2 작동 레버(26)의 제1 레버 아암(32)은 그 상부에, 포크 형상 시트(62) 내로 돌출하고 회전을 위해 그리고 포크 형상 시트(62)의 종방향에서의 변위를 위해 포크 형상 시트 내부에 장착되는 피봇부(6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 부재(38, 40)는 베어링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작동 레버(22)의 제1 레버 아암(30)은 상부에 작동 노브(5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디바이스.
  9. 환기구(12), 특히 차량용 환기구로서, 적어도 하나의 선회 베인(14)과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작동 디바이스(10)를 포함하고, 작동 디바이스(10)에 있는 제2 작동 레버(26)의 제2 레버 아암(36)은 선회 동작을 위해 베인(14)에 연결되는 것인 환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작동 레버(22, 26)의 선회 핀(24, 28)과 베인(14)의 선회 핀(18)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특히 하나의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선회 베인(16)이 마련되고, 제2 베인(16)의 선회 핀(20)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베인(14)의 선회 핀(18)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베인(16)은 제1 베인(14)의 하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베인(16)은 그 상부에 제1 및 제2 작동 레버(22, 26)의 베어링 부재(38, 40)를 위한 베어링 시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베인(16)은 그 상부에, 제1 및 제2 작동 레버(22, 26)의 베어링 부재(38, 40)를 위한 베어링 시트(44, 46)를 구비하는 하우징 부분(4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구.
KR1020140065755A 2013-06-07 2014-05-30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및 환기구 Ceased KR201401437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5927.9 2013-06-07
DE102013105927.9A DE102013105927B3 (de) 2013-06-07 2013-06-07 Bedieneinrichtung für einen Luftausströmer und Luftausströ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702A true KR20140143702A (ko) 2014-12-17

Family

ID=5088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755A Ceased KR20140143702A (ko) 2013-06-07 2014-05-30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및 환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19585B2 (ko)
EP (1) EP2810801B1 (ko)
KR (1) KR20140143702A (ko)
CN (1) CN104228527B (ko)
DE (1) DE102013105927B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362A (ko) * 2015-11-05 2018-07-10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금속 시트에 파형을 성형하기 위한 밴딩 머신 및 이러한 밴딩 머신을 이용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1386B2 (en) * 2012-10-23 2016-05-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ular airflow outlet
KR101535039B1 (ko) * 2014-09-24 2015-07-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DE102015118548B4 (de) * 2015-05-28 2017-05-0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ausströmer mit einer Steuereinrichtung
KR101683508B1 (ko) * 2015-06-26 2016-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벤트 장치
JP6579002B2 (ja) * 2016-03-10 2019-09-25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レジスタ
DE102016107640B3 (de) * 2016-04-25 2017-07-13 Stephan Augustin Skateboard-Achsbaugruppe und Skateboard
CN107512147B (zh) 2016-06-16 2022-05-31 福特环球技术公司 叶片调节装置及车辆出风口总成
DE102017007461B3 (de) 2017-08-08 2018-08-23 Audi Ag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Luftstroms sowie 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DE102017126563A1 (de) * 2017-11-13 2019-05-16 Illinois Tool Works Inc. Luftausströmer für ein Fahrzeug
FR3086585B1 (fr) * 2018-09-27 2020-09-04 Valeo Systemes Thermiques Aerateur de vehicule automobile, dispositif et procede de gestion thermique utilisant un tel aerateur de vehicule automobile
US11235643B2 (en) * 2018-11-27 2022-02-01 Scott Bradley Baker Air vent assembly and control system
DE102019122061B4 (de) * 2019-08-16 2023-10-19 Illinois Tool Works Inc. Bremsvorrichtung und 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Bremsvorrichtung
GB2590403B (en) * 2019-12-16 2022-03-30 Bentley Motors Ltd HVAC vent improvement
US11338649B2 (en) * 2020-04-14 2022-05-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ir vent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95073A (ko) * 1969-03-21 1972-11-01
EP0337382B1 (de) * 1988-04-15 1993-01-20 Behr GmbH & Co. Belüft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US5036753A (en) * 1990-10-01 1991-08-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mode air outlet for air conditioning system
US5364303A (en) * 1993-07-09 1994-11-15 Summit Polymers, Inc. Air vent adjustable vanes for controlling air flow direction
DE4327266C1 (de) 1993-08-13 1994-08-25 Daimler Benz Ag Luftdüse
DE4433698C1 (de) * 1994-09-21 1995-12-14 Siemens Ag Luftverteilungsvorrichtung
US5690550A (en) * 1996-04-24 1997-11-25 Manchester Plastics, Inc. Diffuser outlet assembly
DE10104428C2 (de) * 2001-02-01 2003-09-11 Schneider Franz Kunststoffwerk Frischluftdüsen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FR2844484B1 (fr) * 2002-09-13 2006-01-20 Bourbon Automobile Sa Aerateur, notamment pour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JP4327150B2 (ja) * 2005-11-14 2009-09-09 豊和化成株式会社 空気吹出調整用レジスタ
DE102007036532B4 (de) 2007-08-02 2011-04-21 Johann Teichrieb Ausströmeinrichtung
DE102009013256A1 (de) * 2009-03-14 2009-10-29 Daimler Ag Luftleitvorrichtung
DE102011050435B4 (de) 2011-05-17 2014-08-21 Weber Gmbh & Co. Kg Kunststofftechnik Und Formenbau Stellmittel für eine Luftdüse
DE102011115178B4 (de) * 2011-09-28 2014-10-09 Audi Ag Luftausströmer eines Lüftungs- und Heizungsmoduls für Kraftfahrzeuge mit einer Umschaltung zwischen einer Spotstellung und einer Diffusstellung
CN102416844A (zh) 2011-11-02 2012-04-18 江苏新泉汽车饰件有限公司 汽车仪表板中间出风口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362A (ko) * 2015-11-05 2018-07-10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금속 시트에 파형을 성형하기 위한 밴딩 머신 및 이러한 밴딩 머신을 이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8527A (zh) 2014-12-24
US20140364045A1 (en) 2014-12-11
EP2810801B1 (de) 2017-09-27
US10647180B2 (en) 2020-05-12
CN104228527B (zh) 2018-10-12
US20180162200A1 (en) 2018-06-14
DE102013105927B3 (de) 2014-10-09
US9919585B2 (en) 2018-03-20
EP2810801A1 (de)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3702A (ko) 환기구용 작동 디바이스 및 환기구
US9370986B2 (en) Air outlet for a vehicle
CN103124647B (zh) 在点式姿态与扩散姿态之间转换的用于机动车的通风和加热模块的空气排出器
US6800023B2 (en) Air vent, especially for vehicle air-conditioning
US6974377B2 (en) Air duct outlets for inclined surfaces
EP1375217A2 (en) An air vent
CN107428225A (zh) 用于控制空气流的装置
CN107000547B (zh) 车辆的通风装置
CN112659854B (zh) 空调用吹出口装置
KR20190084342A (ko) 공기 통풍구 제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JP2017159876A (ja) レジスタ
JP2017206068A (ja) レジスタ
CN113602060A (zh) 车辆通风口手动控制组件
CN106166935B (zh) 尤其用于机动车辆的出口装置
JP5614878B2 (ja) 風向調整装置
KR102007895B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JP2009154783A (ja) 車両用空調装置における風向制御機構
US6036593A (en) Closure device with locally deflected spring wire for a closure flap
US11752840B2 (en) Air vent for a vehicle with external actuating element
CN210116359U (zh) 车辆驾驶室的通风装置和车辆驾驶室的饰件
JP4986526B2 (ja) 車両用風向調整装置
KR10069355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JP2002228246A (ja) 車内の換気装置用の通気口
CN215284284U (zh) 通气装置
JP6958501B2 (ja) 空調用レジ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5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7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