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666A -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 Google Patents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2666A KR20140142666A KR1020140067046A KR20140067046A KR20140142666A KR 20140142666 A KR20140142666 A KR 20140142666A KR 1020140067046 A KR1020140067046 A KR 1020140067046A KR 20140067046 A KR20140067046 A KR 20140067046A KR 20140142666 A KR20140142666 A KR 201401426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structure
- joint
- pressed
- stretchable
- pr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ewag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과제] 가요성재인 신축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해서 유효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밀폐성이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1)는, 콘크리트 구조물(1) 사이의 접합부(3)를 걸쳐 배치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되는 압착부(4)를 양측에 갖는 가요성재인 신축부(5)와, 압착부에 길이방향으로 걸쳐 씌워지는 단면 ㄷ자형의 맞댐부(6)와, 압착부에 씌워진 맞댐부를, 맞댐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유닛(10)을 구비하며, 고정 유닛은, 접합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구석부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단각(11b)과 접합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구석부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장각(11d)을 가지며, 장각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촉하는 단면 변형 ㄷ자 형상의 맞댐부에 씌워지는 당압부(11)와, 압착부에 씌워진 맞댐부에 당압부를 씌운 상태로 당압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눌러 부착해서 압착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하기 위한 볼트(12)와 너트(13)로 이루어지는 앵커 볼트 너트(14)를 갖고, 압착부에 씌워진 맞댐부는, 단면으로 볼 때 볼트에 대해 접합부측에 위치한다.[PROBLEMS] To provide a stretch j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which can effectively tighten a stretchable portion, which is a flexible material, against a concrete structure.
An expansion joint (1) for a concrete structure comprises a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1) which is a flexible material having compression portions (4) disposed on both sides of a joint portion (3) between concrete structures 5), an abutting portion (6)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which is put on the press contac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abutting portion which is put on the press contact portion are pressed and fixed to the concrete structure at a plurality of places with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utting portion Wherein the fixed unit has a folded short angle 11b folded downward from the inner corner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abutment portion and a folded leg angle 11d downward from the outer corner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butment portion, (11) which is placed on an abutted portion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structure, and a pressure-receiving portion which is pressed against the concrete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abutted portion abutted on the press- And an anchor bolt nut 14 made up of a bolt 12 and a nut 13 for attaching the pressed portion to the concrete structure. The butted portion covered by the pressed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join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l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간의 간극을 밀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수로나 공동구(共同溝) 등 지중에 구축되는 지하 배수로 등의 이음부인 접합부에는, 내외를 지수(止水)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 경우, 양측 콘크리트 구조물이 불균일하게 침하하거나 혹은 지진 등의 영향에 의해, 접합부를 사이에 둔 양측의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간격이 어긋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어긋남을 허용하도록, 가요성(可撓性) 신축 이음매를 설치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가 채용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 알려져 있다.Inside and outside joints are made to stop at joints such as underground drainage which are constructed in the ground such as a waterway or a joint groove which is a concrete structure constructed by concrete. In this case, the spacing between the concrete structures on both sides of the joint portion is shifted due to unevenly sinking of the two-side concrete structures or an effect of an earthquake or the like. In order to allow such a displacement, A stretch j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with joints is adopted. As an expansion joint for such a concrete structure, for example,
그렇지만,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한번, 앵커 볼트 너트로 접합부에 걸친 가요부재의 양측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 고정한 후에는, 충격 등으로 느슨해져도, 가요부재를 더욱 압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앵커 볼트 너트를 추가로 죌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for example, in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에 있어서는, 가요부재의 내측으로부터 높은 내압이 걸린 경우에, 가요부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에 대해서 밀폐성이 약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exible member is increased, the flexibility of the flexible member is lower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이에, 본원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소하고, 가요성재인 신축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해서 유효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밀폐성이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lescopic j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which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can effectively tighten a stretchable portion, which is a flexible material, against a concrete structur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는,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의 접합부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되는 압착부를 양측에 갖는 가요성재인 신축부와, 상기 압착부에 길이방향에 걸쳐 씌워지는 단면 ㄷ자 형상의 맞댐부와, 상기 압착부에 씌워진 상기 맞댐부를, 상기 맞댐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접합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구석부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단각(短脚)과 상기 접합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구석부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장각(長脚)을 구비하고, 상기 장각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촉하는 단면 변형 ㄷ자 형상의 상기 맞댐부에 씌워지는 당압부와, 상기 압착부에 씌워진 상기 맞댐부에 상기 당압부를 씌운 상태로 상기 당압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눌러 부착하여 상기 압착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시키기 위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앵커 볼트 너트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에 씌워진 상기 맞댐부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볼트에 대해 상기 접합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expansion j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retchable portion, which is a flexible material disposed on both sides of a joint between concrete structures and having a compression portion to be pressed on the concret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fixing units for pressing and fixing the buttress portion covered by the crimping portion to the concrete structure at a plurality of places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tt portion, , The fixed unit has a short leg bent downward from an inner corner located on the side of the joint and a long leg folded downward from an outer corn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joint, A pressure-receiving portion that covers the butt-shaped butted portion in cross-section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structure, And an anchor bolt nut made of a bolt and a nut for press-fitting the pressure-receiving portion to the concrete structure and pressing the press-bonding portion to the concrete structure with the pressure-receiving portion covered by the abutting portion covered by the press- Wherein the abutment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abut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lt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또한, 상기 신축부는 양측의 상기 압착부 사이에 파상 유닛이 반복되는 파상부를 갖고, 상기 압착부에 최인접하는 상기 파상 유닛은, 상기 압착부의 내측 하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면을 따라 뻗은 다음 파상으로 일어선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has wave-shaped portions repeatedly provided between the crimped portions on both sides thereof. The wave-shaped unit contacting the crimped portion has a wave-shap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crimped por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to the next wave- .
또한, 상기 압착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rimping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신축부의 상측에 커버 고무가 씌워지며, 상기 커버 고무의 단부(端部)는 상기 압착부와 상기 맞댐부와의 사이에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cover rubber is put on the upper side of th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cover rubber is wound between the crimp portion and the butt portion.
또한, 상기 당압부는, 1매의 철강재판의 4개의 구석부를 절단하고, 양측부를 상기 단각과 상기 장각으로서 하방으로 접어 구부리며, 전후부를 상방으로 절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sure-recei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ur corner portions of one steel plate are cut, both side portions are folded downward as the single angle and the long angle, a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re bent upward.
본원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압착부에 씌워진 맞댐부는, 단면으로 볼 때 볼트에 대해 접합부측에 위치하여, 장각의 하단부가 지지점으로 작용하므로, 앵커 볼트 너트에 의한 체결력을 유효하게 압착부에 작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utting portion which is put on the press-contact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join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lt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ress-fit portion acts as a support point, so that the fastening force by the anchor bolt- .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압착부만을 압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추가로 죔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Further, since it is possible to press only the pressed portion on the concrete structure, further fastening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신축부는 내압을 받는 경우에, 압착부는 접합부측으로 끌어당겨지도록 힘을 받음에 의해 접합부측으로 압축 변형하므로, 자체 밀폐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is subjected to internal pressure, the pressed portion is compressively deformed toward the joining portion side by receiving a force to pull it toward the joining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xhibit its own hermeticity.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접합부로부터 신축부의 내측으로 높은 내압이 작용하지 않는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접합부로부터 신축부의 내측으로 높은 내압이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1매의 철강재판으로부터 제조되는 당압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조립전의 것을 나타내고, (b)는 조립후의 것을 나타낸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xpansion j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normal state in which a high withstand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from the joint por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 internal pressure acts on the inside of th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from the joint por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telescopic j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pressure-sensitive portion produced from a piece of steel plate, in which (a) shows a state before assembly, and Fig. 6 (b) shows a state after assembly.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1)는, 콘크리트 구조물(2) 사이의 접합부(3)에 걸쳐 배치되며, 콘크리트 구조물(2)에 압착되는 압착부(4)를 양측에 갖는 가요성재의 신축부(5)와, 압착부(4)에 길이방향에 걸쳐 씌워지는 단면 ㄷ자 형상의 맞댐부(6)와, 압착부(4)에 씌워진 맞댐부(6)를, 맞댐부(6)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콘크리트 구조물(4)에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유닛(10)을 구비하고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xpansion joint for a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
고정 유닛(10)은, 접합부(3)측에 위치하는 내측 구석부(11a)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단각(11b)과 접합부(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구석부(11c)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장각(11d)를 가지며, 장각(11d)이 콘크리트 구조물(2)에 접촉하는 단면 변형 ㄷ자 형상의 맞댐부(6)에 씌워지는 당압부(11)와, 압착부(4)에 씌워진 맞댐부(6)에 당압부(11)를 씌운 상태로 당압부(11)를 콘크리트 구조물(2)에 눌러 부착하여 압착부(4)를 콘크리트 구조물(2)에 압착시키기 위한 볼트(12)와 너트(13)로 이루어지는 앵커 볼트 너트(14)를 갖는다.The
압착부(4)에 씌워진 맞댐부(6)는, 단면으로 볼 때 볼트(12)에 대하여 접합부(3)측에 위치한다. 즉, 도 1에 있어서, 우측의 맞댐부(6)는 우측의 볼트(12)에 대하여 접합부(3)측에 위치하며, 왼쪽의 맞댐부(6)는 좌측의 볼트(12)에 대하여 접합부(3)측에 위치한다.The
신축부는 양측의 압착부(4) 사이에 파상 유닛이 반복되는 파상부(16)을 갖고, 압착부(4)에 최인접하는 파상 유닛(17)은, 압착부(4)의 내측 하부(4a)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2a)을 따라 뻗은 다음 파상으로 일어서 있는 상승부(17a)를 갖는다.The stretchable and contractible portion has a
압착부(4)의 하면에는, 돌출한 돌기(4a)가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4)가 콘크리트 구조물(2)의 면(2a)에 압착됨에 의해 돌기(4a)가 압축 변형되어, 밀폐성이 더 확실해진다.A projecting
신축부(5)의 상측에 커버 고무(19)가 씌워지고, 커버 고무(19)의 단부(19a) 는 압착부(4)와 맞댐부(6)의 사이에 감겨져 있다.The
신축부(5)는 지수(止水) 가능하도록 고무재로 되어 있으며, 도 1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4)는 단면이 거의 사방체(四方體)로서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면 ㄷ자 형상의 맞댐부(6)는 금속재로 되어 있으며, 도 1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단위길이의 것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stretchable and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댐부(6)는 압착부(4)의 상반부에 위로부터 씌워져 놓인 것으로 배치되어 있다. 당압부(11)의 단각(11b)은, 맞댐부(6)의 내측 각부(脚部, 6a)를 넘어서 하방으로 나오지 않는 길이를 갖는다. 압착부(4)에 최인접하는 파상 유닛(17)의 상승부(17a)는, 압착부(4)의 내측 하부(4a)로부터 뻗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2a)과 맞댐부(6)의 각부(6a)의 단부와의 사이로부터 접합부(3)측으로 상승한다.As shown in Fig. 1, the
볼트(12)는 콘크리트 구조물(2)에 박아 넣어지고, 너트(13)는 당압부(11) 위에 놓여진 와셔(18)를 통해 볼트(12)의 꼭대기측으로부터 볼트(12)에 체결된다.The
도 4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 유닛(10)이 간격을 두고 맞댐부(6)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압착부(4)에 씌워진 맞댐부(6)를 앵커 볼트 너트(14)에 의해서 콘크리트 구조물(4)에 압착시켜 고정한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1매의 철강재판으로부터 간이하게 제조되는 당압부(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1매의 철강재판으로부터 4개의 구석을 절단한 조립전의 당압부(11)를 나타낸다. 도 6(b)는 조립 후의 당압부(11)를 나타낸다. 당압부(11)는, 내측 구석부(11a)로부터 하방으로 접히는 단각(11b)과, 외측 구석부(11c)로부터 하방으로 접히는 장각(11d)과, 전측과 후측에서 상방으로 접히는 동등한 높이의 기립부(11e, 11f)와, 중앙부의 기부(基部, 11g)와, 기부(11g)에 형성된 앵커 볼트 너트(1)용 구멍부(11h)를 구비하고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6,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essure-
당압부(11)는 1매의 철강재판을 재료로 하므로, 간이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당압부(11)에 있어서는, 좌우로 대향하는 단각(11b)과 장각(11d)이 하방을 향하고, 전후로 대향하는 기립부(11e, 11f)가 상방을 향하고 있으므로, 높은 내왜곡성(耐歪曲性)을 가지며, 1매의 철강재판으로부터 간이하게 제조했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강도를 갖는다.Since the pressure-receiving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1)에 있어서는, 앵커 볼트 너트(14)를 이용하여, 신축부(5)의 압착부(4)를 콘크리트 구조물(2)에 대하여 매우 유효하게 압착시킬 수 있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부(4)에 씌워진 맞댐부(6)는, 단면으로 볼 때 볼트 (12)에 대해 접합부(3)측에 위치한다. 또한, 당압부(11)의 장각(11d)만이 콘크리트 구조물(2)에 접촉하고, 단각(11b)은 콘크리트 구조물(2)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맞댐부(6)의 하단부도 콘크리트 구조물(2)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 결과, 앵커 볼트 너트(14)의 볼트(12)를 너트(13)로 체결하여 당압부(11)를 압착하는 경우에, 장각(11d)의 하단부가 지지점으로서 작용하고, 압착부(4)에 씌워진 맞댐부(6)는 볼트(12)에 대하여 접합부(3)측에 위치하므로, 앵커 볼트 너트(14)에 부가되는 힘에 의한 토르크는 확대되어, 볼트(12)에 대하여 접합부(3)측에 위치하는 압착부(4)를 유효하게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볼트(12)를 너트(13)로 체결하는 경우에, 압착부(4)만이 콘크리트 구조물(2)에 압착되고 맞댐부(6)의 하단부 등이 콘크리트 구조물(2)에 압착되는 경우는 없다. 이 결과, 앵커 볼트 너트(14)로 압착부(4)를 콘크리트 구조물(2)에 고정한 후에 충격 등으로 체결이 느슨해진다고 해도, 볼트(12)를 너트(13)로 더 조여서 앵커 볼트 너트(14)를 추가로 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1)에 있어서는, 접합부(3)로부터 신축부(5)의 내측으로 높은 내압이 걸린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하게 자체 밀폐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in the
도 2는 통상시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접합부(3)로부터 신축부(5)의 내측으로 높은 내압이 작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앵커 볼트 너트(14)의 작용에 의해 압착부(11)에 압력(P1)이 작용하고, 압착부(11)는 압력 P2로 콘크리트 구조물(2)의 면에 압착되어 있다.Fig. 2 shows a state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a high internal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joining
상술한 바와 같이, 압착부(4)에 최인접하는 파상 유닛(17)은, 압착부(4)의 내측 하부(4a)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2a)을 따라 뻗은 다음 파상으로 일어서 있는 상승부(17a)를 갖는데, 상승부(17a)는, 압착부(4)의 내측 하부(4a)로부터 뻗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2a)과 맞댐부(6)의 내측 각부(6a)의 단부와의 사이에서 접합부(3)측으로 상승해 있다. 이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부(3)로부터 신축부(5)의 내측으로 높은 내압이 작용하면, 상승부(17a)는 더 높이 상승하도록 내압을 받으며, 압착부(4)는 접합부(3)측으로 끌어당겨지도록 힘을 받는다. 압착부(4)는 상반부가 맞댐부(6)에 수용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는 변형될 수 없기 때문에, 압착부(4)는, 접합부(3)측으로 끌어당겨지도록 힘을 받음에 의해 접합부(3)측으로 압축 변형된다. 맞댐부(6)의 외측각부(6b) 및 커버 고무(19)의 단부(19a)와 압착부(11)의 외측 단면과의 사이에는 간극(4c)이 생긴다. 압착부(4)가 접합부(3)측으로 압축 변형됨에 의한 결과, 압착부(4)는 도 3에서 부호 P3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하방을 향하는 탄성력을 발생시켜, 압력 P2는 도 2에 있어서의 경우에 비하여 증대한다. 압력 P2가 증대함에 의해, 압착부(4)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면(2a)에 의해 강하게 압착되어, 자체 밀폐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1)의 구성에 의하면, 장각(11d)의 하단부가 지지점으로서 작용하고, 압착부(11)는 볼트(12)에 대하여 접합부(3)측에 위치하므로, 앵커 볼트 너트(14)에 의한 체결력을 유효하게 압착부(4)에 작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2)에는 압착부(11)만을 압착시킬 수 있으므로, 추가로 죔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Further, since only the crimping
또한, 신축부(5)는 내압을 받는 경우에, 압착부(4)는 접합부(3)측으로 끌어당겨지도록 힘을 받음에 의해 접합부(3)측으로 압축 변형되므로, 자체 밀폐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1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
2 콘크리트 구조물
3 접합부
4 압착부
5 신축부
6 맞댐부
10 고정 유닛
11 당압부
11b 단각
11d 장각
12 볼트
13 너트
14 앵커 볼트 너트
16 파상부
17 압착부에 최인접하는 파상 유닛
19 커버 고무1 Expansion Joints for Concrete Structures
2 Concrete constructions
3 junction
4 crimping portion
5 stretching part
6 abutment part
10 fixed unit
11 pressure-
11b single angle
11d Shaft
12 volts
13 Nut
14 Anchor bolt nut
16 wave top
17 Wave unit touching the crimp part
19 Cover rubber
Claims (5)
상기 압착부에 길이방향에 걸쳐 씌워지는 단면 ㄷ자 형상의 맞댐부와,
상기 압착부에 씌워진 상기 맞댐부를, 상기 맞댐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접합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구석부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단각(短脚)과 상기 접합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 구석부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장각(長脚)을 갖고, 상기 장각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촉하는 단면 변형 ㄷ자 형상의 상기 맞댐부에 씌워지는 당압부와,
상기 압착부에 씌워진 상기 맞댐부에 상기 당압부를 씌운 상태로 상기 당압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눌러 부착해서 상기 압착부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압착시키기 위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앵커 볼트 너트를 가지며,
상기 압착부에 씌워진 상기 맞댐부는, 단면으로 볼 때 상기 볼트에 대해 상기 접합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 이음매.A stretchable portion that is a flexible material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between the concrete structures and has a compression portion to be pressed on the concrete structure;
An abutting portion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nd cover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xing units for pressing and fixing the butted portions covered by the crimping portion to the concrete structure at a plurality of pl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tted portion,
The fixed unit includes:
A short leg bent downward from an inner corner located on the joint side and a long leg folded downward from an outer corn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joint, A press-contact portion which is put on the abutted portion of the U-shaped cross section,
And an anchor bolt nut made of a bolt and a nut for pressing the pressure-receiving part against the concrete structure and pressing the pressed part to the concrete structure with the pressure-receiving part covered by the abutting part covered by the press-
Wherein the abutting portion that is overlaid on the press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abutt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lt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117445 | 2013-06-04 | ||
JP2013117445A JP6054253B2 (en) | 2013-06-04 | 2013-06-04 | Expansion joints for concrete structur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2666A true KR20140142666A (en) | 2014-12-12 |
KR102159841B1 KR102159841B1 (en) | 2020-09-24 |
Family
ID=5209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7046A Active KR102159841B1 (en) | 2013-06-04 | 2014-06-02 |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54253B2 (en) |
KR (1) | KR102159841B1 (en) |
CN (1) | CN104213539B (en) |
TW (1) | TWI59514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44601B2 (en) * | 2016-03-28 | 2020-02-12 |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 Fixing member for flexible water blocking member |
CN118326766A (en) * | 2024-04-03 | 2024-07-12 | 山东岱天工程材料有限公司 | Roadbed water stop copper sheet protective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93638B2 (en) * | 1990-11-19 | 1997-12-24 |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 Box culvert |
JPH11158984A (en) * | 1997-12-01 | 1999-06-15 | Seibu Polymer Corp |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
JP2010150807A (en) | 2008-12-25 | 2010-07-08 | Seibu Polymer Corp | Structure, method and member for fixing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
JP2013079543A (en) * | 2011-10-05 | 2013-05-02 | Sumitomo Rubber Ind Ltd | Cutoff rubber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67299U (en) * | 1979-11-19 | 1980-05-09 | ||
JPH0726411B2 (en) * | 1989-01-30 | 1995-03-22 | 等 前山 |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using waterproof frame |
GB2278623B (en) * | 1993-06-02 | 1996-09-11 | Raswill Representative Pte Ltd | An interlocking joint |
JP2721472B2 (en) * | 1993-06-25 | 1998-03-04 | 早川ゴム株式会社 | Concrete structure joint structure |
JPH08165700A (en) * | 1994-12-12 | 1996-06-25 | Seibu Polymer Corp | Joint for closed conduit |
JP2002021166A (en) * | 2000-07-11 | 2002-01-23 | Sumitomo Rubber Ind Ltd | Fitting method for flexible joint |
CN100507165C (en) * | 2005-08-05 | 2009-07-01 |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 Inner sticker installation method of waterstop |
JP4970133B2 (en) * | 2007-05-10 | 2012-07-04 |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 Flexible water stop structure |
JP5143539B2 (en) * | 2007-12-14 | 2013-02-13 | 日本ヴィクトリック株式会社 | Joint water stop flexible joint |
-
2013
- 2013-06-04 JP JP2013117445A patent/JP6054253B2/en active Active
-
2014
- 2014-05-12 TW TW103116694A patent/TWI595141B/en active
- 2014-06-02 KR KR1020140067046A patent/KR102159841B1/en active Active
- 2014-06-04 CN CN201410246029.8A patent/CN104213539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93638B2 (en) * | 1990-11-19 | 1997-12-24 |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 Box culvert |
JPH11158984A (en) * | 1997-12-01 | 1999-06-15 | Seibu Polymer Corp |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
JP2010150807A (en) | 2008-12-25 | 2010-07-08 | Seibu Polymer Corp | Structure, method and member for fixing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
JP2013079543A (en) * | 2011-10-05 | 2013-05-02 | Sumitomo Rubber Ind Ltd | Cutoff rubb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510328A (en) | 2015-03-16 |
CN104213539A (en) | 2014-12-17 |
JP2014234652A (en) | 2014-12-15 |
TWI595141B (en) | 2017-08-11 |
CN104213539B (en) | 2017-08-29 |
KR102159841B1 (en) | 2020-09-24 |
JP6054253B2 (en) | 2016-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3694B1 (en) | A plastic greenhouse frames and framing integrated pad fixed device | |
KR20140001247A (en) | Grommet | |
KR20140142666A (en) |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 |
EP2929225B1 (en) | Pressure element for a coupling device for a tube | |
JP2013100654A (en) | Raising bolt fitting | |
JP4404254B2 (en) | Flange joining device | |
JP6209342B2 (en) | Wall panel mounting device | |
JP5912800B2 (en) | Building fixture | |
JP2016196745A (en) | Extensible flexible joint | |
KR101649684B1 (en) | Elastic coupling device for preventing rockslide | |
JP7231217B2 (en) | Fixing structure of anchoring part of flexible joint | |
JP6555794B2 (en) | Stopper rubber holding plate | |
JP6177041B2 (en) | Connector | |
JP2014136937A (en) | Device for fitting sheet for shielding temporary building | |
CN216519563U (en) | Plane sealing structure | |
JP2013002198A (en) | Panel fitting | |
KR102402346B1 (en) | Waterproof protecting plate and waterproof structure having the same plate | |
CN214302291U (en) | Structure seam water-stopping and seepage-proofing structure | |
JP6481077B1 (en) | Steel bar parallel connection bracket | |
JP7251039B2 (en) | Column-beam connection structure | |
JP6998105B2 (en) |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extruded cement board and the nut for the extruded cement board used for this mounting structure. | |
JP4996884B2 (en) | Enclosure mounting bracket and enclosure | |
JP2017078249A (en) | Exterior material of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roof or wall using the exterior material | |
CN106764086A (en) | A kind of pipe clamp | |
CN109307074B (en) | Sealing structure and high-pressure connector us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6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8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7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