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850A -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fo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0850A KR20140140850A KR20130061767A KR20130061767A KR20140140850A KR 20140140850 A KR20140140850 A KR 20140140850A KR 20130061767 A KR20130061767 A KR 20130061767A KR 20130061767 A KR20130061767 A KR 20130061767A KR 20140140850 A KR20140140850 A KR 201401408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compressor
- heat exchanger
- indoor heat
-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냉방 운전 요청이 발생되면,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압축기 기동 후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 및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를 기초로 밸브의 1차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밸브의 1차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easuring a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when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compressor;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firstly clogged based o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nd stopp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when the first clogging of the valve is determined.
Description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인 에어컨 장치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간에 냉매를 순환시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액화할 때에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해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통상의 에어컨 장치는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의 실내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 general air conditioner is a device used for indoor cooling or heating purposes, and circulates refrigerant between indoor and outdoor units to absorb ambient heat when a refrigerant in a liquid state is vaporized, and emits heat when liquefied To perform a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In an ordinary air conditioner, one indoor unit is installed in one outdoor unit.
한편, 에어컨에 적용되는 압축기는 에어컨의 핵심 부품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고장 발생 시, 제품 운전이 불가하며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한 폭발 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mpressor applied to an air conditioner is a core component of an air conditioner. If a compressor malfunctions, it can not operate the product and there is a risk of an explosion accident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은 밸브의 막힘을 진단하여 냉매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압축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One aspect of the air conditioner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diagnosing clogging of a valve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smoothly to protect the compressor.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컨 제어방법은, 냉방 운전 요청이 발생되면,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 기동 후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상기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 및 상기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를 기초로 밸브의 1차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밸브의 1차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measuring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a compressor and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a compressor when a cooling operation request is generated; Measuring a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when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compressor;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firstly blocked based o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ve is firstly clogged.
또한, 밸브의 1차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1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 각각의 차가 제1 온도 기준값과 상기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밸브의 1차 막힘으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st clogging of the valv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clogging of the valve is establish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with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comparing the difference of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with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valve is first clogged.
또한,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 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밸브의 1차 막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 이전에, 밸브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하는 단계; 상기 밸브 개방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하면, 밸브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 제1 테스트 시간 동안 연속으로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 및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밸브의 1차 막힘으로 최종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starts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starts and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Opening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t value, before the step of stopp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afte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valve is first clogged; Returning to a state before opening the val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a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valve is ope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just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continuously for the first test time are set as a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temperature Comparing with a reference val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just before the compressor starts and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s the second temperature And finally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first clogged if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또한,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 이후에,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압축기를 재기동하는 단계; 압축기 재기동 후 기 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면,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 및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의 2차 막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밸브의 2차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sur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fter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Restarting the compressor; Measuring a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when a predetermined third time has elapsed after restarting the compress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ing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just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re compared with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blocked or not;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ve is secondly clogged.
또한, 상기 밸브의 2차 막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이전에, 밸브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하는 단계; 제2 테스트 시간 동안 연속으로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 및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밸브의 2차 막힘으로 최종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secondly clogged, opening the val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before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continuously during the second test tim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re set to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mparing with a reference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s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s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becomes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if it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final clogging of the valve may be finally determined.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은, 압축기; 실내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 온도센서;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및 상기 실내 공기 온도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공기온도와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열교환기온도를 밸브 막힘 판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밸브의 막힘을 판단하여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An indoor ai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n indoor air temperature; An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by compar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door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with the valve clogging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clogging of the valve, ; ≪ / RTI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기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공기온도와 실내열교환기온도를 밸브 막힘 판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의 막힘여부를 판단하는 밸브 막힘 체크부; 상기 밸브 막힘 체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밸브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및 압축기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밸브 막힘 체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압축기 구동을 정지시키는 압축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valve clog check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clogged by compar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door air temperature sensor,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with a valve clogging reference value; A val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valv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valve clogging check unit; And a compressor controller for driving the compressor or stopping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valve clogging checker.
또한, 밸브 막힘 체크부는,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후의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1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후의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 각각의 차가 제1 온도 기준값과 상기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밸브의 막힘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valve clogging check unit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after the compressor is started with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just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s compared with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if the difference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alve is clogged.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실내공기온도와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측정 및 분석을 통해 밸브의 막힘을 추정하고, 추정결과에 따라 밸브의 테스트를 수행하여 밸브 막힘을 판단하고 압축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때문에, 비정상 냉매 흐름 상태에서 압축기 연속 운전에 의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the clogging of the valve is estimated and measur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he valve is tested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 to determine the clogging of the valve,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that a failure due to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ompresso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the abnormal refrigerant flow state.
도 1은 에어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에어컨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테스트 수행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first test procedure of FIG. 4 in detail.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에어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장치(1)는 실외기(10) 및 실내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10)와 실내기(20)는 서로 간에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먼저, 실외기(10)는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1),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 기체냉매의 흐름방향을 조절하는 사방밸브(12), 압축기(11)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전달받아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13), 실외 열교환기(13)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외 팬모터(15)에 의해 실외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실외팬(14), 냉매 유량을 조절하면서 열교환된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전자 팽창 밸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팽창 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17)는 그 개도에 따라 냉매의 과열도 및 과냉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의 흡입측에는 압축기(11)에 유입되는 냉매를 완전 기체상태의 가스로 변환시키는 어큐뮬레이터(16)를 설치할 수 있다.The
또한, 실내기(20)는 냉매를 전달받아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21), 실내 열교환기(21)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실내 팬모터(23)에 의해 실내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실내팬(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21)에 연결된 배관 중에서 냉방운전 시 냉매가 흡입되는 입구측 배관에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 팽창 밸브(24), 실내 열교환기(21)의 입구측 배관온도를 감지하는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2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21)에 연결된 배관 중에서 냉방운전 시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측 배관에는 냉매 흐름을 조절하는 냉매조절밸브(25)가 설치될 수 있다.
The
도 2는 에어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는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Referring to FIG.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시스템(100)은 실내 공기 온도센서(110),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120), 압축기(130), 밸브(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내 공기 온도센서(110),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120) 및 제어부(150)는 실내기측에 구비될 수 있다.2,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내 공기 온도센서(110)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door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120)는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를 측정한다는 것은 실내 열교환기를 비롯하여 실내 열교환기와 관련된 주변 구성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indoor heat
압축기(130)는 냉매를 압축하거나 압송하는 구성이다. 이때, 압축기(130)는 폴리 V-벨트 또는 다중 V 벨트를 통해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증발기에서 유입되는 냉매가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기 내에 흡인되고, 이후 냉매는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에 전송될 수 있다.The
밸브(Valve)(140)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유체를 통하게 하거나 차단 또는 제어하기 위해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가동 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The
이때, 밸브(140)는 실내기측에 구비된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컨 장치에 적용되는 온(On) 또는 오프(Off) 가능한 밸브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형태의 밸브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는 실외기(도 1의 10)로부터 토출된 중온 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로 감압시킬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는 온도가 내려갔을 때, 액화냉매가 증발기에 의하여 냉각기 또는 방열기에 냉수 또는 온수가 나가는 것을 중단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제어부(150)는 실내 공기 온도센서(110)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공기온도와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120)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열교환기온도를 밸브 막힘 판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140)의 막힘을 판단하여 압축기(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밸브 막힘 판단 기준값은 에어컨 시스템(100)에 구비된 밸브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 기준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The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밸브 막힘 체크부(151), 밸브 제어부(153) 및 압축기 제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밸브 막힘 체크부(151)는 실내 공기 온도센서(110)와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120)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공기온도와 실내열교환기온도를 밸브 막힘 판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140)의 막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valve
또한, 밸브 막힘 체크부(151)는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후의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1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후의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 각각의 차가 제1 온도 기준값과 상기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밸브의 막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밸브 막힘 체크부(151)는 압축기(130) 기동 전의 실내공기온도 및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압축기(130) 기동 후 실내열교환기온도를 비교하여, 서로 간의 차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차이가 나지 않으면 밸브가 막혔다고 판단하는 것이다.The valve
밸브 제어부(153)는 밸브 막힘 체크부(151)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밸브(140)의 개방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제어부(153)는 밸브의 막힘이 추정되는 경우, 밸브(140)를 최대로 개방시켜 구동하면서 여러 단계의 테스트를 진행하여 밸브의 막힘을 최종 판단하는 것이다.The
압축기 제어부(155)는 압축기(130)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밸브 막힘 체크부(15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압축기(130)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e
도 4은 에어컨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테스트 수행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first test procedure of FIG.
먼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시스템(100)은 냉방 운전 요청이 발생되면(S101),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를 측정할 수 있다(S103).4, the
다음,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 기동 후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를 측정할 수 있다(S105, S107). 이때, 제1 시간은 압축기 구동 후 밸브 막힘을 체크하기 위한 경과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압축기 구동 후 3분일 수 있다. 또한,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는 압축기 구동 후 제1 시간이 경과한 시점의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Next, the
다음,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 및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를 기초로 밸브(140)의 1차 막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를 제1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를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S109).More specifically, the
비교 결과, 각각의 차가 제1 온도 기준값과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밸브(140)의 1차 막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밸브(140)는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컨 시스템에 적용되는 온(On) 또는 오프(Off) 가능한 밸브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컨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형태의 밸브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differe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the first clogging of the
이후, 에어컨 시스템(100)은 밸브(140)의 1차 막힘을 최종 판단하기 이전에 1차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1차 테스트 수행 후 제1 테스트 시간 동안 연속으로 단계 S109를 재수행하여 밸브(140)의 1차 막힘여부를 최종 판단할 수 있다(S111, S113).Thereafter,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계 S109의 비교 결과,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 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컨 시스템(100)은 밸브(140)(예를 들어, 전자 팽창 밸브)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할 수 있다(S201). 이때, 밸브(140)의 개방 정도는 운용자에 의해서 설정되는 값으로, 제1 테스트 이전 밸브(140)의 개방정도 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밸브(140)를 최대로 개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109,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Tr1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2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5, the
다음, 에어컨 시스템(100)은 밸브(140) 개방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하면, 밸브(140)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S203, S205). Next, the
다음, 제1 테스트 시간 동안 연속으로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 및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Next, during the first test tim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mediately-before-compressor-immediately-opened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1 and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2, the indoor air temperature Tr1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starts and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2) can be compared with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respectively.
비교 결과,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밸브(140)의 1차 막힘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S113).As a result of comparis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Tr1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operation and the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the indoor air temperature Tr1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starts, If the difference in the heat exchange air temperature Te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t is possible to make a final judgment on the first clogging of the valve 140 (S113).
밸브(140)의 1차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130)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S115). 이때, 에어컨 시스템(100)은 제어부(150)(예를 들어, 마이컴)를 리셋시킬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즉, 에어컨 시스템(100)은 단계 S109를 통해 실내공기온도와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체크하여 밸브(140)의 막힘이 추정되는 경우, 밸브(140)를 최대로 개방한 후 다시 복귀한 상태에서 실내공기온도와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체크하여 밸브의 막힘을 판단하는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계 S111 및 단계 S113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clogging of the
다음,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l')와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를 측정할 수 있다(S117).Next, the
다음,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130)를 재기동할 수 있다(S119). 이때,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 구동 정지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압축기(130)를 재기동할 수 있다.Next, the
다음, 압축기(130) 재기동 후 기 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면, 에어컨 시스템(100)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를 측정할 수 있다(S121).Next, when a third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다음,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 및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140)의 2차 막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3).Next, the
단계 S123의 확인 결과,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가 제1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에어컨 시스템(100)은 밸브(140)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할 수 있다(S125).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123, it is determin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1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ing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2'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indoor air temperature Tr1 '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 air temperature Te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the
다음, 에어컨 시스템(100)은 제2 테스트 시간 동안 연속으로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 및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S127).Next, the
비교 결과,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Te1')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Tr1')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Te2')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밸브(140)의 2차 막힘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comparis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1 ')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Te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nd the indoor air temperature (Tr1 ' 2 When the difference in the present indoor heat exchange air temperature Te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t can be finally determined that the
이때, 제1 테스트 시간은 제2 테스트 시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제2 테스트는 제1 테스트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로 제1 테스트 시점에 비해 압축기(130)가 장시간 구동된 상태로 테스트 시간이 길어 압축기(130)에 무리가 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st test time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test time. This is because the second test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test, which prevents the
다음, 밸브(140)의 2차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S129). 이때, 에어컨 시스템(100)은 압축기 동작을 정지시킴과 함께 에러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29의 압축기 동작 정지는 압축기의 동작을 완전히 정지하는 것을 의미하며, 단계 S115의 압축기 동작 정지는 압축기 재 기동 전에 임시 정지를 의미할 수 있다.
Nex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상술한 에어컨 제어방법을 통해 에어컨의 밸브 막힘을 자가 검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비정상 냉동 사이클 연속 운전에 의한 압축기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냉방 부하 대응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속적인 체감 불량을 초기에 검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The valve clogging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self-det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compressor due to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abnormal refrigeration cycle. Further,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respond to a continuous bodily sensation failure that may occur due to a lack of response to a cooling load at an early stag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에어컨 장치 10 : 실외기
11, 130 : 압축기 12 : 사방밸브
13 : 실외 열교환기 14 : 실외팬
15 : 실외 팬모터 16 : 어큐뮬레이터
17, 24 : 전자 팽창 밸브 20 : 실내기
21 : 실내 열교환기 22 : 실내팬
23 : 실내 팬모터 25 : 냉매조절밸브
26 :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 100 : 에어컨 시스템
110 : 실내 공기 온도센서 120 :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
140 : 밸브 150 : 제어부
151 : 밸브 막힘 체크부 153 : 밸브 제어부
155 : 압축기 제어부1: air conditioner 10: outdoor unit
11, 130: compressor 12: four-way valve
13: outdoor heat exchanger 14: outdoor fan
15: outdoor fan motor 16: accumulator
17, 24: electronic expansion valve 20: indoor unit
21: indoor heat exchanger 22: indoor fan
23: indoor fan motor 25: refrigerant control valve
26: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100: air conditioning system
110: indoor air temperature sensor 120: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140: valve 150:
151: Valve clogging check unit 153: Valve control unit
155: compressor control section
Claims (11)
상기 압축기 기동 후 기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상기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 및 상기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를 기초로 밸브의 1차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밸브의 1차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Measur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when the cooling operation request is generated;
Measuring a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when a first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starting the compressor;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firstly blocked based o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en the first clogging of the valve is determined;
Lt; / RTI >
상기 밸브의 1차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1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 각각의 차가 제1 온도 기준값과 상기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밸브의 1차 막힘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에어컨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first clogged compri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is compared with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just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is compared with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that the valve is first clogged i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상기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 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밸브의 1차 막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 이전에,
밸브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하는 단계;
상기 밸브 개방 후 기 설정된 제2 시간이 경과하면, 밸브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단계;
제1 테스트 시간 동안 연속으로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 및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1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밸브의 1차 막힘으로 최종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indoor heat exchanger is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n the same case,
After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valve is first clogged, before the step of stopp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Opening the valve according to a preset value;
Returning to a state before opening the val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a second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valve is ope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just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continuously for the first test time are set as a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temperature Comparing with a reference value;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just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first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becomes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The final clogging of the valve;
Lt; / RTI >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 이후에,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압축기를 재기동하는 단계;
압축기 재기동 후 기 설정된 제3 시간이 경과하면,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 및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의 2차 막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밸브의 2차 막힘으로 판단되는 경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Measur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just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Restarting the compressor;
Measuring a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when a predetermined third time has elapsed after restarting the compress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ing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just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re compared with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blocked or not;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alve is secondly clogged;
Lt; / RTI >
상기 밸브의 2차 막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이전에,
밸브를 기 설정치에 따라 개방하는 단계;
제2 테스트 시간 동안 연속으로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 및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각각 제1 온도 기준값 및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1 기준 온도값보다 작거나 같고, 압축기 재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제2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가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밸브의 2차 막힘으로 최종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에어컨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secondly clogged,
Opening the valve according to a preset val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continuously during the second test tim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re set to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mparing with a reference value; A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s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restarts and the second curr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becomes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If the pressu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pressure, final clogging of the valve;
Lt; / RTI >
상기 제1 테스트 시간은 상기 제2 테스트 시간 보다 긴 에어컨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test time is longer than the second test time.
상기 밸브는,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또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인 에어컨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ve is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or a solenoid valve.
실내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공기 온도센서;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 및
상기 실내 공기 온도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공기온도와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열교환기온도를 밸브 막힘 판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밸브의 막힘을 판단하여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
compressor;
An indoor ai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n indoor air temperature;
An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A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And
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door ai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with a valve clogging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clogging of the valv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공기 온도센서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실내공기온도와 실내열교환기온도를 밸브 막힘 판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밸브의 막힘여부를 판단하는 밸브 막힘 체크부;
상기 밸브 막힘 체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밸브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밸브 제어부; 및
압축기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밸브 막힘 체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압축기 구동을 정지시키는 압축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valve clogging check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valve is clogged by comparing the indoor air temperature measured by the indoor air temperature sensor,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with a valve clogging reference value;
A val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valv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valve clogging check unit; And
A compressor controller for driving the compressor or stopping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valve clogging checker;
.
상기 밸브 막힘 체크부는,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열교환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후의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1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고, 압축기 기동 직전 실내공기온도와 압축기 기동 후의 현재 실내열교환기온도의 차를 제2 온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 각각의 차가 제1 온도 기준값과 상기 제2 온도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밸브의 막힘으로 판단하는 에어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valve clo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mmediately before starting the compress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after the compressor is started is compared with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the compressor starts and the present indoor heat exchanger temperature after the compressor is started is compared with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valve is clogged if the differe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ference value.
상기 밸브는, 전자 팽창 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또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인 에어컨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valve is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or a solenoid valv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1767A KR102160036B1 (en) | 2013-05-30 | 2013-05-30 |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1767A KR102160036B1 (en) | 2013-05-30 | 2013-05-30 |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f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0850A true KR20140140850A (en) | 2014-12-10 |
KR102160036B1 KR102160036B1 (en) | 2020-09-25 |
Family
ID=5245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1767A Active KR102160036B1 (en) | 2013-05-30 | 2013-05-30 |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003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23787A (en) * | 2023-02-15 | 2023-03-21 | 江苏拓米洛高端装备股份有限公司 | Rapid and stable control method for room temperature of refrigerating system |
WO2024222002A1 (en) * | 2023-04-25 | 2024-10-31 |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ir conditioner and nonvolatile storage medium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4014Y1 (en) * | 2000-09-25 | 2001-02-15 | 주식회사에절 | Regeneration-compound cooling and heating system by one cycle |
JP2002243240A (en) * | 2001-02-14 | 2002-08-28 | Daikin Ind Ltd | Refrigeration equipment |
JP2003254587A (en) * | 2002-02-28 | 2003-09-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ir conditioner |
JP2006132813A (en) * | 2004-11-04 | 2006-05-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
JP2010091127A (en) * | 2008-10-03 | 2010-04-22 | Daikin Ind Ltd | Air conditioner |
JP2010107058A (en) * | 2008-10-28 | 2010-05-13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
2013
- 2013-05-30 KR KR1020130061767A patent/KR1021600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4014Y1 (en) * | 2000-09-25 | 2001-02-15 | 주식회사에절 | Regeneration-compound cooling and heating system by one cycle |
JP2002243240A (en) * | 2001-02-14 | 2002-08-28 | Daikin Ind Ltd | Refrigeration equipment |
JP2003254587A (en) * | 2002-02-28 | 2003-09-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ir conditioner |
JP2006132813A (en) * | 2004-11-04 | 2006-05-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
JP2010091127A (en) * | 2008-10-03 | 2010-04-22 | Daikin Ind Ltd | Air conditioner |
JP2010107058A (en) * | 2008-10-28 | 2010-05-13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823787A (en) * | 2023-02-15 | 2023-03-21 | 江苏拓米洛高端装备股份有限公司 | Rapid and stable control method for room temperature of refrigerating system |
CN115823787B (en) * | 2023-02-15 | 2023-06-09 | 江苏拓米洛高端装备股份有限公司 | Rapid and stable control method for room temperature between refrigeration systems |
WO2024222002A1 (en) * | 2023-04-25 | 2024-10-31 |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ir conditioner and nonvolatile storage medi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0036B1 (en) | 2020-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940055B (en) | An air conditioner heating and defrost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air conditioner | |
KR100857598B1 (en) | Refrigerant leak detection method of air conditioner | |
US8151583B2 (en) | Expansion valv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101917941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1340000B2 (en) | Method for handling fault mitigation in a vapour compression system | |
US20100070082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operating in free cooling mode | |
JP5976333B2 (en) | Air conditioner and four-way valve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 |
US20100036531A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s having a cooling mode and a free-cooling mode | |
EP1942307A2 (en) |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determining refrigerant quantity | |
US10533783B2 (en) | Air conditioner having compressor bypass and evaluation of volume of connecting pipe | |
JP201050613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op operation of air conditioner | |
CN110836519B (en) | Air conditioner refrigerant leakage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system | |
CN105299841A (en) | Multi-split air conditioning system and fault detection method of heat exchange valve bodies of outdoor heat exchanger of multi-split air conditioning system | |
CN101231016A (en) | Pipe connection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 |
WO2020008625A1 (en) |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CN105299840A (en) |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system and fault detecting method of bypass valve of multi-connected air conditioner system | |
CN110848874B (en) | Air conditioner refrigerant leakag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 |
JP2008082654A (en) | Refrigeration apparatus failure diagnosis method and refrigeration apparatus | |
EP3591311B1 (en) | Refrigeration cycle device | |
AU2013275605B2 (en) | Refrigerating Device | |
KR102160036B1 (en) |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for | |
KR20100079405A (en) |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GB2549897A (en) | Air conditioning device | |
KR20110003770A (en) | How to determine fault of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 |
KR20170087752A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5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