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307A -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 Google Patents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7307A KR20140137307A KR20140059563A KR20140059563A KR20140137307A KR 20140137307 A KR20140137307 A KR 20140137307A KR 20140059563 A KR20140059563 A KR 20140059563A KR 20140059563 A KR20140059563 A KR 20140059563A KR 20140137307 A KR20140137307 A KR 201401373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carbon atoms
- alkyl group
- atom
- coloring com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0 CCCCCCCC(CNC*)*C Chemical compound CCCCCCCC(CNC*)*C 0.000 description 2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2—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inorganic or organometallic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organic resis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10—Metal complexes of organic compounds not being dyes in uncomplexed form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71—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ehydrating agents; Dispersing agents; Dustfree compositions
- C09B67/0083—Solutions of dy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착색 경화막의 형성에 적합한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A) 착색제, (B) 결합제 수지 및 (C)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이며,
상기 착색제가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 또는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과, 금속 착체의 음이온과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착체를 구성하는 금속이 철,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착색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A) 착색제, (B) 결합제 수지 및 (C)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이며,
상기 착색제가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 또는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과, 금속 착체의 음이온과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착체를 구성하는 금속이 철,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착색 조성물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투과형 또는 반사형의 컬러 액정 표시 소자, 고체 촬상 소자, 유기 EL 표시 소자, 전자 페이퍼 등에 사용되는 착색 경화막의 형성에 사용되는 착색 조성물, 상기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착색 경화막, 및 상기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착색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컬러 필터를 제조할 때에는, 기판 상에 안료 분산형의 착색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건조 도막을 원하는 패턴 형상으로 방사선을 조사(이하, 「노광」이라 함)하고, 현상함으로써 각 색의 화소를 얻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2 참조)이 알려져 있다. 또한, 카본 블랙을 분산시킨 광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도 알려져 있다. 또한, 안료 분산형의 착색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잉크젯 방식에 의해 각 색의 화소를 얻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표시 소자의 고휘도화와 고색순도화, 또는 고체 촬상 소자의 고정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착색제로서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크산텐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이나 폴리메틴 화합물(예를 들면, 특허문헌 6 참조)의 사용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크산텐 화합물이나 폴리메틴 화합물은 형광을 발하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이들을 착색제로서 사용하면 콘트라스트가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크산텐 화합물이나 폴리메틴 화합물 등의 염료를 착색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콘트라스트가 높은 착색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는 착색 조성물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착색 경화막의 형성에 적합한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착색 경화막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 소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한 구조를 갖는 착색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A) 착색제, (B) 결합제 수지 및 (C)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이며,
상기 착색제가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 또는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과, 금속 착체의 음이온과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착체를 구성하는 금속이 철,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착색 경화막 및 상기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표시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착색 경화막」이란, 표시 소자나 고체 촬상 소자에 사용되는 각 색 화소, 블랙 매트릭스, 블랙 스페이서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면,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착색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컬러 액정 표시 소자, 유기 EL 표시 소자, 전자 페이퍼 등의 표시 소자,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의 제작에 매우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착색 조성물
이하,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착색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A) 착색제로서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 또는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과, 금속 착체의 음이온과의 염을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금속 착체를 구성하는 금속은 철,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염을 「본 착색제」라고도 칭한다.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으로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R8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되, 단 해당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R8, -OH, -OR8, -SO3H, -SO3M, -CO2H, -CO2R8, -SO3R8, -SO2NHR9 또는 -SO2NR9R10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SO3H, -SO3M, -CO2H, -CO2R8, -SO3R8, -SO2NHR9 또는 -SO2NR9R10을 나타내고,
r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이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개의 R7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R8은 탄소수 1 내지 20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되, 단 해당 포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포화 탄화수소기의 C-C 결합 사이에 산소 원자, 카르보닐기 또는 -NR8-을 가질 수도 있고,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쇄상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3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Z를 나타내거나, 또는 R9 및 R10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복소환기를 나타내되, 단 해당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수산기, 할로겐 원자, -Z, -CH=CH2 또는 -CH=CHR8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해당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의 C-C 결합 사이에 산소 원자, 카르보닐기 또는 -NR8-을 갖고 있을 수도 있고, 해당 복소환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R8, -OH 또는 -Z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M은 나트륨 원자 또는 칼륨 원자를 나타내고,
Z는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되, 단 해당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방향족 복소환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OH, -R8, -OR8, -NO2, -CH=CH2, -CH=CHR8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
R8에 있어서의 포화 탄화수소기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이면 직쇄상, 분지쇄상 및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가교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포화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1-메틸데실기, 도데실기, 1-메틸운데실기, 1-에틸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tert-도데실기, 펜타데실기, 1-헵틸옥틸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포화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t-부틸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트리시클로데카닐기, 데카히드로-2-나프틸기, 아다만틸기 등의 축합 다환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포화 탄화수소기의 C-C 결합 사이에 산소 원자를 갖는 기로서, 예를 들면 메톡시프로필기, 에톡시프로필기, 2-에틸헥실옥시프로필기, 메톡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R8에 있어서의 포화 탄화수소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9 및 R10에 있어서의 탄소수 1 내지 20의 쇄상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30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상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R9 및 R10으로서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가 바람직하다.
R9 및 R10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복소환기로서는, 단환식 복소환기일 수도 다환식 복소환기일 수도 있으며, 불포화 환일 수도 포화 환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피롤릴기, 피리딜기, 인돌릴기, 이소인돌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카르바졸릴기, 페난트리디닐기, 아크리디닐기, 푸라닐기, 피라닐기, 이소벤조푸라닐기, 이소크로메닐기, 크산테닐기, 티오페닐기, 티안트레닐기, 페녹사티이닐기, 페노티아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기, 수산기, 알콕시기, 아미노기,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Z에 있어서의 탄소수 4 내지 10의 방향족 복소환기로서는, 푸릴기, 티에닐기, 피리딜기, 피롤릴기, 옥사졸릴기, 이소옥사졸기, 티아졸릴기, 이소티아졸릴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피리미딜기 등을 들 수 있다.
R1, R2, R3, R4 및 Z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R1, R2, R3 및 R4에 있어서의 -OR8로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sec-부톡시기, n-펜틸옥시기, iso-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등의 알콕시기, 메톡시메톡시기, 에톡시에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R1, R2, R3, R4 및 R7에 있어서의 -SO3R8로서는, 메탄술포닐기, 에탄술포닐기, 헥산술포닐기, 데칸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O2R8로서는 메틸옥시카르보닐기, 에틸옥시카르보닐기, 프로필옥시카르보닐기, 이소프로필옥시카르보닐기, 부틸옥시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기, 메톡시프로필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SO2NHR9, -SO2NR9R10에 있어서의 R9, R10으로서는, 탄소수 6 내지 8의 분지쇄상의 알킬기, 탄소수 5 내지 7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알릴기, 탄소수 8 내지 10의 아르알킬기, 탄소수 2 내지 8의 수산기 치환 알킬기, C-C 결합 사이에 산소 원자를 갖는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가 바람직하다.
R5 및 R6에 있어서의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알킬기는 직쇄일 수도 분지쇄일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대표예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으로서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양이온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에 있어서,
R21 내지 R2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환 Z1 및 Z2는 서로 독립적으로 방향환을 나타내고, 해당 방향환이 갖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불화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g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냄〕
〔화학식 (3)에 있어서,
R27 내지 R3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환 Z3 및 Z4는 서로 독립적으로 방향환을 나타내고, 해당 방향환이 갖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불화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Q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h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냄〕
R21 내지 R30에 있어서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환 Z1 내지 Z4에 있어서의 방향환으로서는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환이 바람직하고, 벤젠환, 나프탈렌환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환은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불화알킬기 및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로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8의 불화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4의 불화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예로서는 상술한 알킬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불소 원자로 치환한 것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퍼플루오로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환은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알킬카르보닐기로서는 탄소수 2 내지 5의 알킬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발레릴기 등을 들 수 있다.
g 및 h는 1 또는 2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대표예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양이온의 대표예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이어서, 금속 착체의 음이온에 대하여 설명한다.
금속 착체의 음이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조 화합물을 배위자에 갖는 금속 착체의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조 화합물이란, 아조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 갖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이러한 배위자로서는,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배위자를 들 수 있다.
〔화학식 (a)에 있어서,
환 Z5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환 Z6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t1 및 t2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냄〕
본 발명에 있어서, 아조 화합물을 배위자에 갖는 금속 착체의 음이온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음이온을 들 수 있다.
〔화학식 (4)에 있어서,
환 Z5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환 Z6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1은 철, 니켈,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나타내고,
t1 및 t2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냄〕
환 Z5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단환식 복소환기일 수도 다환식 복소환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복소환기로서는 탄소수 3 내지 10의 1가의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피롤리디닐기, 이미다졸리디닐기, 피라졸리디닐기, 모르폴리닐기, 티오모르폴리닐기, 피페리딜기, 피페리디노기, 피페라지닐기, 호모피페라지닐기 등의 질소 함유 지환식 복소환기, 1,3-디옥솔란-2-일기 등의 기타 지환식 복소환기, 피리딜기, 피라지닐기, 피리미디닐기, 피리다지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프탈라지닐기, 나프틸리디닐기, 퀴녹살리닐기, 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트리아조일기, 테트라졸릴기, 티아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옥사졸릴기, 인돌릴기, 인다졸릴기, 벤조이미다졸릴기, 프탈이미드기 등의 질소 함유 방향족 복소환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라닐기, 푸리닐기 등의 기타 방향족 복소환기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질소 함유 방향족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피리딜기, 피라졸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소환기는,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기를 더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치환기의 위치 및 개수는 임의이며, 치환기를 2개 이상 갖는 경우, 상기 치환기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디알킬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알킬티오기, 아릴티오기, 트리알킬실릴기, 머캅토기, 알릴기, 알킬술포닐기, 알킬술파모일기, 지방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치환기는 치환기를 더 가질 수도 있다. 이 중에서도, 복소환기의 치환기로서는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지방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화학식 (1)에 있어서 설명한 탄소수 1 내지 20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이외에, 알케닐기, 알키닐기 등의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서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알케닐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테닐기, 1-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1,3-부타디에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1-헥세닐기, 2-에틸-2-부테닐기, 2-옥테닐기, (4-에테닐)-5-헥세닐기, 2-데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키닐기로서는 탄소수 2 내지 12의 알키닐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티닐기, 1-프로피닐기, 1-부티닐기, 1-펜티닐기, 3-펜티닐기, 1-헥시닐기, 2-에틸-2-부티닐기, 2-옥티닐기, (4-에티닐)-5-헥시닐기, 2-데시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탄소수가 6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6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아줄레닐기, 9-플루오레닐기 등의 단환 내지 3환식의 탄소수 6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환 Z6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탄소수가 6 내지 20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치환기로서는, 환 Z5에 있어서의 복소환기의 설명에 있어서 예시한 것 이외에, 술포기, 술파모일기, 알킬아미드기, 2개의 알킬아미드기가 결합한 기로서 한쪽 알킬아미드기의 알킬기에 다른쪽 알킬아미드기의 아미드기가 결합한 기(이하, 간단히 「2개의 알킬아미드기가 결합한 기」라 함)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알콕시기, 술포기, 알킬술포닐기, 술파모일기, 알킬술파모일기, 알킬아미드기, 2개의 알킬아미드기가 결합한 기,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알킬술포닐기, 술파모일기 및 알킬술파모일기의 알킬 부분,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치환기를 더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음이온으로서는, 하기 화학식 (4-1) 또는 (4-2)로 표시되는 음이온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1)에 있어서,
R41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SO3H, -SO2R44, -SO2NH2, -SO2NHR45 또는 -NHCO-R46-NHCOR47을 나타내고,
R43은 서로 독립적으로 니트로기, -SO3H, -SO2NH2 또는 -SO2NHR48을 나타내고,
R44, R45, R47 및 R48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46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M2는 철, 니켈,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나타내고,
p 및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내고,
t2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냄〕
〔화학식 (4-2)에 있어서,
R51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5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수산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술포기, -SO2NHR54 또는 -NHCOR55를 나타내고,
R53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R54 및 R5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3은 철, 니켈,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나타내고,
x 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내고,
t2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냄〕
R41, R42, R44, R45, R47, R48, R51, R52, R53, R54 및 R55에 있어서의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는 직쇄일 수도 분지쇄일 수도 있고, 그의 구체예로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41에 있어서의 알킬기의 치환기로서는, 수산기, -COOR49를 들 수 있다. R49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이고, 직쇄일 수도 분지쇄일 수도 있다.
또한, R44, R45, R47 및 R48에 있어서의 알킬기의 치환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51에 있어서의 알킬기의 치환기로서는, 수산기, -COOR56, -OCOR56, -CO-R57-OH, -COR56, -CONHR58을 들 수 있다. R56 및 R58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고, 상기 알킬기는 직쇄일 수도 분지쇄일 수도 있다. R57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칸디일기이고, 직쇄일 수도 분지쇄일 수도 있다. 탄소수 1 내지 6의 알칸디일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에탄-1,1-디일기, 프로판-1,1-디일기, 프로판-1,2-디일기, 프로판-1,3-디일기, 프로판-2,2-디일기, 부탄-1,2-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1,4-디일기, 펜탄-1,4-디일기, 펜탄-1,5-디일기, 헥산-1,5-디일기, 헥산-1,6-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46에 있어서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칸디일기는 직쇄일 수도 분지쇄일 수도 있다.
M2 및 M3으로서는 철, 니켈, 구리가 바람직하고, 철, 니켈이 보다 바람직하고, 철이 더욱 바람직하다.
p는 0 또는 1이 바람직하다.
q는 1 또는 2가 바람직하다.
x는 0 또는 1이 바람직하다.
y는 2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 복소환 상의 2개의 R53은 동일할 수도 있지만,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착색제는,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 또는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과, 금속 착체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과의 염 교환 반응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공지된 크산텐계 염기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I.베이직 바이올렛 11, 로다민 6G 등의 크산텐계 염기성 염료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로다민 6G가 바람직하다.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공지된 폴리메틴계 염기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I.베이직 레드 12, C.I.베이직 레드 13, C.I.베이직 레드 14, C.I.베이직 바이올렛 7, C.I.베이직 바이올렛 16, C.I.베이직 옐로우 1, C.I.베이직 옐로우 11, C.I.베이직 옐로우 13, C.I.베이직 옐로우 21, C.I.베이직 옐로우 28, C.I.베이직 옐로우 51 등의 폴리메틴계 염기성 염료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C.I.베이직 레드 12, C.I.베이직 레드 13, C.I.베이직 레드 14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염기성 염료」란 양이온부가 발색단이 되는 이온성 염료를 의미하고, 해당 양이온부와 염을 형성하고 있는 이온성 염료도 염기성 염료로 한다.
금속 착체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 중 아조 화합물을 배위자에 갖는 금속 착체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899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한 아조 화합물과, 철, 니켈,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본 착색제 이외의 다른 착색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착색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 색채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본 착색제 이외의 안료, 염료 및 천연 색소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휘도 및 색 순도가 높은 화소를 얻는다는 의미에 있어서는 유기 안료, 유기 염료가 바람직하고, 유기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컬러 인덱스(C.I.; 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사 발행)에 있어서 피그먼트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1-0813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263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913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738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375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066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5346호 공보 등에 기재된 레이크 안료, C.I.피그먼트 레드 166, C.I.피그먼트 레드 177, C.I.피그먼트 레드 224, C.I.피그먼트 레드 242, C.I.피그먼트 레드 254, C.I.피그먼트 그린 7, C.I.피그먼트 그린 36, C.I.피그먼트 그린 58, C.I.피그먼트 블루 15:6, C.I.피그먼트 블루 80, C.I.피그먼트 옐로우 83, C.I.피그먼트 옐로우 138, C.I.피그먼트 옐로우 139, C.I.피그먼트 옐로우 150, C.I.피그먼트 옐로우 180, C.I.피그먼트 옐로우 211, C.I.피그먼트 오렌지 38, C.I.피그먼트 바이올렛 23 등의 레이크 안료 이외의 유기 안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크 안료 중에서는 트리아릴메탄계 레이크 안료, 크산텐계 레이크 안료, 아조계 레이크 안료가 바람직하고, 트리아릴메탄계 레이크 안료 및 크산텐계 레이크 안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염료로서는 크산텐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메틴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아조계 염료 등이 바람직하고, 금속 착체의 음이온을 갖지 않는 크산텐계 염료, 금속 착체의 음이온을 갖지 않는 메틴계 염료가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0-329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549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38094호 공보, 국제 공개 제10/1230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168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1799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338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74987호 공보 등에 기재된 유기 염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료 및 염료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착색제로서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 안료를 재결정법, 재침전법, 용제 세정법, 승화법, 진공 가열법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안료는 필요에 따라 그의 입자 표면을 수지로 개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안료의 입자 표면을 개질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08817호 공보에 기재된 비히클 수지, 또는 시판되어 있는 각종 안료 분산용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카본 블랙 표면의 수지 피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9-717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956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24969호 공보 등에 기재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안료는 소위 솔트 밀링(salt milling)에 의해 1차 입자를 미세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솔트 밀링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08-17911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의로 혼합하는 다른 착색제와 함께 공지된 분산제 및 분산 보조제를 더 함유시킬 수도 있다. 공지된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분산제, 폴리에틸렌이민계 분산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계 분산제, 폴리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계 분산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계 분산제,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 아크릴계 분산제 등을 들 수 있고, 분산 보조제로서는 안료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분산제로서 디스퍼빅(Disperbyk)-2000, 디스퍼빅-2001, BYK-LPN6919, BYK-LPN21116, BYK-LPN21324(이상, 빅케미(BYK)사 제조) 등, 우레탄계 분산제로서 디스퍼빅-161, 디스퍼빅-162, 디스퍼빅-165, 디스퍼빅-167, 디스퍼빅-170, 디스퍼빅-182(이상, 빅케미(BYK)사 제조), 솔스퍼스 76500(루브리졸(주)사 제조) 등, 폴리에틸렌이민계 분산제로서 솔스퍼스 24000(루브리졸(주)사 제조) 등, 폴리에스테르계 분산제로서 아지스퍼 PB821, 아지스퍼 PB822, 아지스퍼 PB880, 아지스퍼 PB881(이상, 아지노모또 파인테크노(주)사 제조)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 구리 프탈로시아닌, 디케토피롤로피롤, 퀴노프탈론의 술폰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착색제를 사용하는 경우, 본 착색제의 함유량은 착색제의 합계 함유량에 대하여 1 내지 8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5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3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5 내지 20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A) 착색제의 함유 비율은 내열성 및 휘도가 높고 색 순도가 우수한 화소,또는 차광성이 우수한 블랙 매트릭스, 블랙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점에서 통상 착색 조성물의 고형분 중에 5 내지 70질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질량%이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후술하는 용매 이외의 성분이다.
-(B) 결합제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B) 결합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카르복실기, 페놀성 수산기 등의 산성 관능기를 갖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카르복실기를 갖는 중합체(이하, 「카르복실기 함유 중합체」라고도 함)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이하, 「불포화 단량체 (b1)」이라고도 함)와 다른 공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이하, 「불포화 단량체 (b2)」라고도 함)와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단량체 (b1)로서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p-비닐벤조산 등을 들 수 있다.
이 불포화 단량체 (b1)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 단량체 (b2)로서는, 예를 들면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와 같은 N-위치 치환 말레이미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히드록시스티렌, p-히드록시-α-메틸스티렌, 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아세나프틸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2 내지 10) 메틸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2 내지 10) 메틸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중합도 2 내지 10)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2 내지 10)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5.2.1.02,6]데칸-8-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파라쿠밀페놀의 에틸렌옥시드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3-〔(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3-에틸옥세탄과 같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이소보르닐비닐에테르, 트리시클로[5.2.1.02,6]데칸-8-일비닐에테르, 펜타시클로펜타데카닐비닐에테르, 3-(비닐옥시메틸)-3-에틸옥세탄과 같은 비닐에테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과 같은 중합체 분자쇄의 말단에 모노(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거대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불포화 단량체 (b2)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불포화 단량체 (b1)과 불포화 단량체 (b2)의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중의 불포화 단량체 (b1)의 공중합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질량%이다. 이러한 범위에서 불포화 단량체 (b1)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알칼리 현상성 및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착색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불포화 단량체 (b1)과 불포화 단량체 (b2)의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7-14065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2598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313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30092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17422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584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561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0172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5-194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302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2072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32549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1401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81095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쇄에 (메트)아크릴로일기 등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카르복실기 함유 중합체를 결합제 수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합제 수지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이하, GPC라 약기함)(용출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통상 1,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50,000이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피막의 잔막률, 패턴 형상, 내열성, 전기 특성, 해상도가 한층 더 높아지며, 도포시의 건조 이물질의 발생을 높은 수준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합제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Mn은 GPC(용출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 평균 분자량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합제 수지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227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59680호 공보, 국제 공개 제07/029871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그의 구조나 Mw, Mw/Mn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제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제 수지의 함유량은 (A) 착색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10 내지 1,0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질량부이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알칼리 현상성, 착색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색도 특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C) 중합성 화합물-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성 화합물이란, 2개 이상의 중합 가능한 기를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중합 가능한 기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성 불포화기, 옥시라닐 기, 옥세타닐기, N-알콕시메틸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2개 이상의N-알콕시메틸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지방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렌옥시드 변성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지방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2가의 지방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산 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 숙신산, 무수 말레산, 무수 글루타르산, 무수 이타콘산, 무수 프탈산, 헥사히드로 무수 프탈산과 같은 2염기산의 무수물, 무수 피로멜리트산,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과 같은 4염기산 2무수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카프로락톤 변성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1-44955호 공보의 단락 〔0015〕 내지 〔0018〕에 기재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렌옥시드 변성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의해 변성된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의해 변성된 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의해 변성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의해 변성된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의해 변성된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의해 변성된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및 프로필렌옥시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 의해 변성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N-알콕시메틸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 구조, 벤조구아나민 구조, 우레아 구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멜라민 구조, 벤조구아나민 구조란, 1개 이상의 트리아진환 또는 페닐 치환 트리아진환을 기본 골격으로서 갖는 화학 구조를 말하며, 멜라민, 벤조구아나민 또는 이들의 축합물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2개 이상의 N-알콕시메틸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N,N,N',N',N'',N''-헥사(알콕시메틸)멜라민, N,N,N',N'-테트라(알콕시메틸)벤조구아나민, N,N,N',N'-테트라(알콕시메틸)글리콜우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합성 화합물 중,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된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N,N,N',N',N'',N''-헥사(알콕시메틸)멜라민, N,N,N',N'-테트라(알콕시메틸)벤조구아나민이 바람직하다. 3가 이상의 지방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과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가, 카르복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는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와 무수 숙신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와 무수 숙신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이 착색층의 강도가 높고, 착색층의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며, 미노광부의 기판 상 및 차광층 상에 바탕 오염, 막 잔사 등을 발생시키기 어렵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C) 중합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C) 중합성 화합물의 함유량은, (A) 착색제 100질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7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경화성, 알칼리 현상성이 한층 더 높아지고, 미노광부의 기판 상 또는 차광층 상에 바탕 오염, 막 잔사 등의 발생을 높은 수준으로 억제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에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색 조성물에 감방사선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광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원자외선, 전자선, X선 등의 방사선의 노광에 의해, 상기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활성종을 발생하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크산톤 화합물, 아세토페논 화합물, 비이미다졸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O-아실옥심 화합물, 오늄염 화합물,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α-디케톤 화합물, 다핵 퀴논 화합물, 디아조 화합물, 이미드술포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티오크산톤 화합물, 아세토페논 화합물, 비이미다졸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O-아실옥심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광중합 개시제 중, 티오크산톤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세토페논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4-메틸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미다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6-트리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로서 비이미다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수소 공여체를 병용하는 것이 감도를 개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수소 공여체」란, 노광에 의해 비이미다졸 화합물로부터 발생한 라디칼에 대하여 수소 원자를 공여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수소 공여체로서는, 예를 들면 2-머캅토벤조티아졸, 2-머캅토벤조옥사졸 등의 머캅탄 수소 공여체,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아민 수소 공여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 공여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1종 이상의 머캅탄 수소 공여체와 1종 이상의 아민 수소 공여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감도를 더욱 개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리아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4,6-트리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메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5-메틸푸란-2-일)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푸란-2-일)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에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n-부톡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등의 할로메틸기를 갖는 트리아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O-아실옥심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1,2-옥탄디온,1-〔4-(페닐티오)페닐〕-,2-(O-벤조일옥심), 에타논,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에타논,1-〔9-에틸-6-(2-메틸-4-테트라히드로푸라닐메톡시벤조일)-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에타논,1-〔9-에틸-6-{2-메틸-4-(2,2-디메틸-1,3-디옥솔라닐)메톡시벤조일}-9H-카르바졸-3-일〕-,1-(O-아세틸옥심) 등을 들 수 있다. O-아실옥심 화합물의 시판품으로서는, NCI-831, NCI-930(이상, 가부시끼가이샤 아데카(ADEKA)사 제조), DFI-020, DFI-091(이상, 다이토케믹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세토페논 화합물 등의 비이미다졸 화합물 이외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증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증감제로서는, 예를 들면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디에틸아미노아세토페논, 4-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 2-에틸헥실, 2,5-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시클로헥사논, 7-디에틸아미노-3-(4-디에틸아미노벤조일)쿠마린, 4-(디에틸아미노)칼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C) 중합성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2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1 내지 100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경화성, 피막 특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용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상기 (A) 내지 (C) 성분 및 임의적으로 가해지는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인데, 통상 용매를 배합하여 액상 조성물로서 제조된다.
상기 용매로서는, 착색 조성물을 구성하는 (A) 내지 (C) 성분이나 다른 성분을 분산 또는 용해시키며, 이들 성분과 반응하지 않고, 적절한 휘발성을 갖는 것인 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 중,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n-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등의 락트산알킬에스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옥탄올, 2-에틸헥산올, 시클로헥산올 등의 (시클로)알킬알코올류;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토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다른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3-헵타논 등의 케톤류;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1,6-헥산디올디아세테이트 등의 디아세테이트류;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3-메틸-3-메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알콕시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n-프로필, 아세트산 i-프로필, 아세트산 n-부틸, 아세트산 i-부틸, 포름산 n-아밀, 아세트산 i-아밀, 프로피온산 n-부틸,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 n-프로필, 부티르산 i-프로필, 부티르산 n-부틸, 피루브산메틸, 피루브산에틸, 피루브산 n-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2-옥소부탄산에틸 등의 다른 에스테르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 또는 락탐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 중, 용해성, 안료 분산성, 도포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락트산알킬에스테르류,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다른 에테르류, 케톤류, 디아세테이트류, 알콕시카르복실산에스테르류, 다른 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고, 특히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3-헵타논, 1,3-부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1,6-헥산디올디아세테이트, 락트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틸-3-메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아세트산 n-부틸, 아세트산 i-부틸, 포름산 n-아밀, 아세트산 i-아밀, 프로피온산 n-부틸,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 i-프로필, 부티르산 n-부틸, 피루브산에틸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착색 조성물의 용매를 제외한 각 성분의 합계 농도가 5 내지 50질량%가 되는 양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질량%가 되는 양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분산성, 안정성이 양호한 착색제 분산액, 및 도포성, 안정성이 양호한 착색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알루미나 등의 충전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플루오로알킬아크릴레이트)류 등의 고분자 화합물; 불소 계면활성제, 실리콘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밀착 촉진제;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2,6-디-t-부틸페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ㆍ5]운데칸, 티오디에틸렌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산화 방지제;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알콕시벤조페논류 등의 자외선 흡수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응집 방지제; 말론산, 아디프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2-아미노에탄올, 3-아미노-1-프로판올, 5-아미노-1-펜탄올, 3-아미노-1,2-프로판디올, 2-아미노-1,3-프로판디올, 4-아미노-1,2-부탄디올 등의 잔사 개선제; 숙신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현상성 개선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적당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586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32874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 염료와 안료의 양쪽을 사용하는 경우,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3287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염료 용액을 제1 필터에 통과시킨 후, 제1 필터를 통과한 염료 용액을 별도 제조한 안료 분산액 등과 혼합하고, 얻어진 착색 조성물을 제2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염료와, 상기 (B) 내지 (C)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다른 성분을 용매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제1 필터에 통과시킨 후, 제1 필터를 통과한 용액을 별도 제조한 안료 분산액과 혼합하고, 얻어진 착색 조성물을 제2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염료 용액을 제1 필터에 통과시킨 후, 제1 필터를 통과한 염료 용액과, 상기 (B) 내지 (C)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다른 성분을 혼합ㆍ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제2 필터에 통과시키고, 나아가 제2 필터를 통과시킨 용액을 별도 제조한 안료 분산액과 혼합하고, 얻어진 착색 조성물을 제3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착색
경화막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착색 경화막은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표시 소자나 고체 촬상 소자에 사용되는 각 색 화소, 블랙 매트릭스, 블랙 스페이서 등을 의미한다.
이하,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착색 경화막 및 그의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첫째로 다음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기판의 표면 상에 필요에 따라 화소를 형성하는 부분을 구획하도록 차광층(블랙 매트릭스)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 기판 상에, 예를 들면 적색의 본 발명 감방사선성 착색 조성물의 액상 조성물을 도포한 후, 프리베이킹을 행하여 용매를 증발시켜 도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이 도막에 포토마스크를 통해 노광한 후, 알칼리 현상액을 사용하여 현상하여, 도막의 미노광부를 용해 제거한다. 그 후, 포스트베이킹 함으로써, 적색의 화소 패턴(착색 경화막)이 소정의 배열로 배치된 화소 어레이를 형성한다.
이어서, 녹색 또는 청색의 각 감방사선성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각 감방사선성 착색 조성물의 도포, 프리베이킹, 노광, 현상 및 포스트베이킹을 행하고, 녹색의 화소 어레이 및 청색의 화소 어레이를 동일 기판 상에 순차 형성한다. 이에 따라, 청색, 녹색 및 적색의 3원색의 화소 어레이가 기판 상에 배치된 컬러 필터가 얻어진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 색의 화소를 형성하는 순서는 상기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는 스퍼터링이나 증착에 의해 성막한 크롬 등의 금속 박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패턴으로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데, 흑색의 안료가 분산된 감방사선성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화소의 형성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컬러 필터를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기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실리콘,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기판에는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등에 의한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이온 플레이팅, 스퍼터링, 기상 반응법, 진공 증착 등의 적절한 전처리를 실시하여 둘 수도 있다.
감방사선성 착색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할 때에는, 스프레이법, 롤 코팅법, 회전 도포법(스핀 코팅법), 슬릿 다이 도포법(슬릿 도포법), 바 도포법 등의 적절한 도포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특히 스핀 코팅법, 슬릿 다이 도포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베이킹은 통상 감압 건조와 가열 건조를 조합하여 행해진다. 감압 건조는 통상 50 내지 200Pa에 도달할 때까지 행한다. 또한, 가열 건조의 조건은 통상 70 내지 110℃에서 1 내지 10분 정도이다.
도포 두께는 건조 후의 막 두께로서 통상 0.6 내지 8㎛,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5㎛이다.
화소 및 블랙 매트릭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방사선의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텅스텐 램프,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중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등의 램프광원이나 아르곤 이온 레이저, YAG 레이저, XeCl 엑시머 레이저, 질소 레이저 등의 레이저 광원 등을 들 수 있다. 노광 광원으로서, 자외선 L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파장은 190 내지 450nm의 범위에 있는 방사선이 바람직하다.
방사선의 노광량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00J/m2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칼리 현상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콜린,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1,5-디아자비시클로-[4.3.0]-5-노넨 등의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현상액에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수용성 유기 용제나 계면활성제 등을 적당량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알칼리 현상 후에는 통상 수세한다.
현상 처리법으로서는, 샤워 현상법, 스프레이 현상법, 디핑(침지) 현상법, 퍼들(액고임) 현상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현상 조건은 상온에서 5 내지 300초가 바람직하다.
포스트베이킹의 조건은 통상 180 내지 280℃에서 10 내지 60분 정도이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화소의 막 두께는 통상 0.5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이다.
또한,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 제2 방법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7-3187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10706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잉크젯 방식에 의해 각 색의 화소를 얻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기판의 표면 상에 차광 기능도 겸한 격벽을 형성한다. 이어서 형성된 격벽 내에, 예를 들면 청색의 본 발명 열경화성 착색 조성물의 액상 조성물을 잉크젯 장치에 의해 토출시킨 후, 프리베이킹을 행하여 용매를 증발시킨다. 이어서, 이 도막을 필요에 따라 노광한 후, 포스트베이킹 함으로써 경화시켜 청색의 화소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녹색 또는 적색의 각 열경화성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녹색의 화소 패턴 및 적색의 화소 패턴을 동일 기판 상에 순차 형성한다. 이에 따라, 청색, 녹색 및 적색의 3원색 화소 패턴이 기판 상에 배치된 컬러 필터가 얻어진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색의 화소를 형성하는 순서는 상기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격벽은 차광 기능 뿐만 아니라 구획 내에 토출된 각 색의 열경화성 착색 조성물이 혼색되지 않기 위한 기능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제1 방법에서 사용되는 블랙 매트릭스에 비해 막 두께가 두껍다. 따라서, 격벽은 통상 흑색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컬러 필터를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기판이나 방사선의 광원, 또한 프리베이킹이나 포스트베이킹의 방법이나 조건은 상기한 제1 방법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여, 잉크젯 방식에 의해 형성된 화소의 막 두께는 격벽의 높이와 동일한 정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화소 패턴 상에 필요에 따라 보호막을 형성한 후, 투명 도전막을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한다.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후, 스페이서를 더 형성하여 컬러 필터로 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는 통상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지만, 차광성을 갖는 스페이서(블랙 스페이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흑색의 착색제가 분산된 착색 감방사선성 조성물이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이러한 블랙 스페이서의 형성에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은 상기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각 색 화소, 블랙 매트릭스, 블랙 스페이서 등의 어느 착색 경화막의 형성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착색 경화막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는 휘도 및 착색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컬러 액정 표시 소자, 컬러 촬상관 소자, 컬러 센서, 유기 EL 표시 소자, 전자 페이퍼 등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후술하는 표시 소자는, 본 발명의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착색 경화막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소자
본 발명의 표시 소자는 본 발명의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것이다. 표시 소자로서는, 컬러 액정 표시 소자, 유기 EL 표시 소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컬러 액정 표시 소자는 투과형일 수도 반사형일 수도 있으며, 적절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 필터를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된 구동용 기판과는 다른 기판 상에 형성하고, 구동용 기판과 컬러 필터를 형성한 기판이 액정층을 통해 대향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된 구동용 기판의 표면 상에 컬러 필터를 형성한 기판과, ITO(주석을 도핑한 산화인듐) 전극 또는 IZO(산화인듐과 산화아연의 혼합물) 전극을 형성한 기판이 액정층을 통해 대향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구조는 개구율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밝고 고정밀도의 액정 표시 소자가 얻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후자의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블랙 매트릭스나 블랙 스페이서는 컬러 필터를 형성한 기판측, 및 ITO 전극 또는 IZO 전극을 형성한 기판측 중 어느 쪽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컬러 액정 표시 소자는 냉음극 형광관(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외에 백색 LED를 광원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백색 LED로서는, 예를 들면 적색 LED와 녹색 LED와 청색 LED를 조합하여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청색 LED와 적색 LED와 녹색 형광체를 조합하여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청색 LED와 적색 발광 형광체와 녹색 발광 형광체를 조합하여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청색 LED와 YAG 형광체의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청색 LED와 주황색 발광 형광체와 녹색 발광 형광체를 조합하여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자외선 LED와 적색 발광 형광체와 녹색 발광 형광체와 청색 발광 형광체를 조합하여 혼색에 의해 백색광을 얻는 백색 LED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컬러 액정 표시 소자에는,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IPS(In-Planes Switching)형, VA(Vertical Alignment)형,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형 등의 적절한 액정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 소자는 적당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1-30724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전자 페이퍼는 적당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4116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구조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착색제의 합성)
합성예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48994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합성한 하기 화학식 (a-1)로 표시되는 화합물 0.28질량부를 디메틸포름아미드 5질량부에 용해시키고,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토)철(III) 0.092질량부 및 아세트산나트륨 0.16질량부를 가하고, 135℃에서 24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30질량부의 20%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주입하고, 석출된 고체를 여과하여 소량의 순수(純水)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 60℃에서 건조시켜 하기 화학식 (a-2)로 표시되는 화합물 0.27질량부를 얻었다.
화학식 (a-2)로 표시되는 화합물 0.12질량부와 크산텐계 염기성 염료인 로다민 6G 0.052질량부를 N-메틸피롤리돈 1질량부에 가하여 용해시키고,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 20질량부에 주입하고, 여과하여 얻어진 고체를 감압하에 60℃에서 건조시켜 하기 화학식 (A2)로 표시되는 화합물 0.13질량부를 얻었다. 이것을 착색제 (A2)로 한다.
합성예 2 내지 5
합성예 1에 있어서, 원료로서 사용하는 금속 착체 및/또는 염기성 염료의 종류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색제 (A3) 내지 (A6)을 합성하였다.
또한, C.I.베이직 레드 12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착색제 용액의 제조>
제조예 1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베이직 바이올렛 11:1 5질량부와, 용매로서 시클로헥사논 95질량부를 혼합하여 착색제 용액 (A1)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착색제 (A2) 5질량부와, 용매로서 시클로헥사논 95질량부를 혼합하여 착색제 용액 (A2)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내지 6
제조예 2에 있어서, 착색제 (A2) 대신에 착색제 (A3) 내지 (A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착색제 용액 (A3) 내지 (A6)을 제조하였다.
<결합제 수지의 합성>
합성예 6
냉각관과 교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0질량부를 투입하여 질소 치환하였다. 80℃로 가열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100질량부, 메타크릴산 20질량부, 스티렌 10질량부, 벤질메타크릴레이트 5질량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5질량부,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23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 12질량부, 숙신산모노(2-아크릴로일옥시에틸) 15질량부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6질량부의 혼합 용액을 1시간에 걸쳐서 적하하고, 이 온도를 유지하여 2시간 중합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의 온도를 100℃로 승온시키고, 1시간 더 중합함으로써 결합제 수지 용액(고형분 농도 33질량%)을 얻었다. 얻어진 결합제 수지는 Mw가 12,200, Mn이 6,500이었다. 이 결합제 수지를 「결합제 수지 (B1)」이라 한다.
<착색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
착색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A) 착색제로서 착색제 용액 (A1) 40.5질량부, 착색제 용액 (A2) 3.0질량부, (B) 결합제 수지로서 결합제 수지 (B1) 용액 26.3질량부, (C) 중합성 화합물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닛본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상품명 KAYARAD DPHA) 9.9질량부, 광중합 개시제로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상품명 이르가큐어 369,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1.8질량부 및 NCI-930(가부시끼가이샤 아데카사 제조) 0.1질량부, 불소계 계면활성제로서 메가페이스 F-554(DIC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0.05질량부 및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 20질량%의 착색 조성물 (S-1)을 제조하였다.
콘트라스트의 평가
얻어진 착색 조성물을 유리 기판 상에 스핀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80℃의 핫 플레이트에서 10분간 프리베이킹을 행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스핀 코터의 회전수를 바꿔서 동일한 조작에 의해 막 두께가 상이한 3매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기판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고압 수은 램프를 사용하여 포토마스크를 통하지 않고 각 도막에 365nm, 405nm 및 436nm의 각 파장을 포함하는 방사선을 2,000J/m2의 노광량으로 노광하였다. 그 후, 이들 기판에 대하여 23℃의 0.04질량%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포함하는 현상액을 현상압 1kgf/cm2(노즐 직경 1mm)로 토출시킴으로써, 90초간 샤워 현상을 행하였다. 그 후, 이 기판을 초순수로 세정하고, 풍건시킨 후, 200℃의 클린 오븐 내에서 30분간 포스트베이킹을 행함으로써, 평가용 경화막을 형성하였다.
경화막이 형성된 기판을 2매의 편향판에 끼우고, 배면측으로부터 형광등(파장 범위 380 내지 780nm)으로 조사하면서 전방면측의 편향판을 회전시켜, 휘도계LS-100(미놀타(주) 제조)에 의해 투과되는 광 강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경화막에 대하여 최대값을 최소값으로 나눈 값을 콘트라스트비로 하였다. 측정 결과로부터, 색도 좌표값 y=0.080에서의 콘트라스트비를 구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콘트라스트비는 수치가 클수록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 내지 5
실시예 1에 있어서, 착색제 용액 (A2) 대신에 표 2에 나타내는 착색제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조성물 (S-2) 내지 (S-5)를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착색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착색제 용액 (A2)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착색 조성물 (S-6)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착색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Claims (7)
- (A) 착색제, (B) 결합제 수지 및 (C)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조성물이며,
상기 착색제가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 또는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과, 금속 착체의 음이온과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착체를 구성하는 금속이 철, 니켈, 구리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착색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착체의 음이온이 아조 화합물을 배위자에 갖는 것인 착색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산텐 골격을 갖는 양이온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인 착색 조성물.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R8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되, 단 해당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R8, -OH, -OR8, -SO3H, -SO3M, -CO2H, -CO2R8, -SO3R8, -SO2NHR9 또는 -SO2NR9R10으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은 -SO3H, -SO3M, -CO2H, -CO2R8, -SO3R8, -SO2NHR9 또는 -SO2NR9R10을 나타내고,
r은 0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이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개의 R7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R8은 탄소수 1 내지 20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되, 단 해당 포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포화 탄화수소기의 C-C 결합 사이에 산소 원자, 카르보닐기 또는 -NR8-을 가질 수도 있고,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쇄상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3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Z를 나타내거나, 또는 R9 및 R10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복소환기를 나타내되, 단 해당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수산기, 할로겐 원자, -Z, -CH=CH2 또는 -CH=CHR8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해당 알킬기 및 시클로알킬기의 C-C 결합 사이에 산소 원자, 카르보닐기 또는 -NR8-을 갖고 있을 수도 있고, 해당 복소환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R8, -OH 또는 -Z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M은 나트륨 원자 또는 칼륨 원자를 나타내고,
Z는 탄소수 6 내지 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나타내되, 단 해당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방향족 복소환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OH, -R8, -OR8, -NO2, -CH=CH2, -CH=CHR8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음〕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틴 골격을 갖는 양이온이 하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양이온인 착색 조성물.
〔화학식 (2)에 있어서,
R21 내지 R2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환 Z1 및 Z2는 서로 독립적으로 방향환을 나타내고, 해당 방향환이 갖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불화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g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냄〕
〔화학식 (3)에 있어서,
R27 내지 R3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환 Z3 및 Z4는 서로 독립적으로 방향환을 나타내고, 해당 방향환이 갖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8의 불화알킬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카르보닐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고,
Q는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h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냄〕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색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착색 경화막.
- 제6항에 기재된 착색 경화막을 구비하는 표시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107571 | 2013-05-22 | ||
JP2013107571 | 2013-05-2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7307A true KR20140137307A (ko) | 2014-12-02 |
Family
ID=5230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059563A Withdrawn KR20140137307A (ko) | 2013-05-22 | 2014-05-19 |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5004968A (ko) |
KR (1) | KR20140137307A (ko) |
TW (1) | TW20150270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7302A (ko) * | 2018-01-16 | 2019-07-24 |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크산텐계 카티온 염료와 아니온 염료로 이루어지는 조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용 착색제 및 컬러 필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37224A1 (ja) * | 2014-03-11 | 2015-09-17 | 日本化薬株式会社 | キサンテン化合物及び該キサンテン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 |
KR101897040B1 (ko) | 2016-02-26 | 2018-09-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신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착색제,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필터 |
JP7219754B2 (ja) * | 2018-03-27 | 2023-02-08 |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 錯塩化合物、染料組成物、陽極酸化アルミニウム用着色剤および着色方法、ならびに該化合物の製造方法 |
JP7307653B2 (ja) * | 2018-11-26 | 2023-07-12 |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 キサンテン系色素、該色素を含有する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剤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
JP2024129723A (ja) * | 2023-03-13 | 2024-09-27 | 住友化学株式会社 |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固体撮像素子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13607B1 (en) * | 1999-04-13 | 2002-07-02 |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 Cyanine dyes |
TW572969B (en) * | 2000-02-10 | 2004-01-21 | Hayashibara Biochem Lab | Trimethine cyanine dye, light absorbent, light-resistant improver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
JP4303030B2 (ja) * | 2002-10-17 | 2009-07-29 | 住友精化株式会社 | 光吸収色素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吸収材 |
JP4924813B2 (ja) * | 2004-10-29 | 2012-04-25 |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 光酸発生剤を含む染料含有レジスト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カラーフィルター |
TWI518143B (zh) * | 2011-03-31 | 2016-01-21 | Sumitomo Chemical Co | Dye with salt |
TWI524143B (zh) * | 2011-04-18 | 2016-03-01 | Sumitomo Chemical Co | Coloring hardening resin composition |
TWI624726B (zh) * | 2011-05-23 | 2018-05-21 | Sumitomo Chemical Co | Colored curable resin composition |
-
2014
- 2014-05-15 JP JP2014101074A patent/JP2015004968A/ja active Pending
- 2014-05-19 KR KR20140059563A patent/KR2014013730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4-05-21 TW TW103117711A patent/TW201502700A/zh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7302A (ko) * | 2018-01-16 | 2019-07-24 |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크산텐계 카티온 염료와 아니온 염료로 이루어지는 조염 화합물을 함유하는 착색 조성물, 컬러 필터용 착색제 및 컬러 필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004968A (ja) | 2015-01-08 |
TW201502700A (zh) | 2015-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72263B2 (ja) |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 |
JP6197684B2 (ja) |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 |
KR102170466B1 (ko) |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 |
JP5924241B2 (ja) | 着色剤、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 |
JP6686657B2 (ja) |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表示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 | |
JP6572990B2 (ja) | 着色剤 | |
JP6327173B2 (ja) |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 |
JP6028478B2 (ja) | 着色剤、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 |
JP6350335B2 (ja) |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 |
JP6459477B2 (ja) |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 |
KR20140137307A (ko) |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 |
JP2018127641A (ja) |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 |
JP5842463B2 (ja) | 塩基性着色剤、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 |
KR20150123167A (ko) | 착색제, 경화성 조성물, 경화막, 및 표시 소자 및 고체 촬상 소자 | |
JP6326994B2 (ja) |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硬化膜、表示素子及び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剤分散液 | |
JP6390614B2 (ja) |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 |
JP2017066377A (ja) |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並びに表示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 | |
KR20140127759A (ko) | 착색 조성물, 착색 경화막 및 표시 소자 | |
JP6123509B2 (ja) |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 |
JP2013076006A (ja) | 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素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