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486A - Head reforcement apparatus of pipe piles for foundation work - Google Patents
Head reforcement apparatus of pipe piles for foundation 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5486A KR20140135486A KR20130055823A KR20130055823A KR20140135486A KR 20140135486 A KR20140135486 A KR 20140135486A KR 20130055823 A KR20130055823 A KR 20130055823A KR 20130055823 A KR20130055823 A KR 20130055823A KR 20140135486 A KR20140135486 A KR 201401354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reinforcing
- head
- fixed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6—Protecting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걸이봉과 철근지지홀더를 구비함으로써 건물이나 교량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말뚝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부 보강구조에서 다수의 수직연결철근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단독의 작업자만으로도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설치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말뚝 상에 걸침 고정되는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공기 및 빗물 등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는 콘크리트 말뚝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말뚝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어 상기 말뚝의 일정 깊이 내부를 막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수 개로 배열 설치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연결철근이 구성되어 건물이나 교량의 건축물 및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상기 말뚝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막음판의 둘레부분에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결합너트로 고정되며, 상단부가 다단으로 외향절곡되어 외측 단이 상기 말뚝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거치홈 상에 걸림 고정되는 걸이봉; 상기 걸이봉의 외향절곡된 상단부에 하측과 외측이 밀착되어 상기 막음판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걸이봉과 직교하여 연결되는 수평고정근; 및 상기 수평고정근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외면 일측이 연결고정되며, 중공의 원기둥 상으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의 중앙부분이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되는 철근지지홀더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for a ground pile, which comprises a hanger rod and a reinforcing support holder, The vertical connection reinforcing bar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fixed individually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for reinforcing the head of the pile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single worker alone, and also, after the concrete is inserted for reinforcing the head of the pile,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caused by contact with outside air and rainwater.
The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cking plat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pile and corresponding to an internal shape of the concrete pile to cover a certain depth of the pile,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vertical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hile vertically standing upright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and a reinforced pile head is reinforced to reinforce the head of the pile buried in the grou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or structures of bridges Wherein the lower end is fixed by a coupling nut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and the upper end is bent outwardly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outer end is spaced at a certain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e, A hook bar which is hooked and fixed on the depression formed groove; A horizontal fixed ba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wardly curved upper end portion of the hooking rod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and the outer sid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hooking bar at regular intervals above the blocking plate; And a reinforcing support holder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on reinforcing bar is selectively coupled and fixed through the opening, .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걸이봉과 철근지지홀더를 구비함으로써 건물이나 교량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말뚝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부 보강구조에서 다수의 수직연결철근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단독의 작업자만으로도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설치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말뚝 상에 걸침 고정되는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공기 및 빗물 등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for a pile he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for a pile head, which comprises a hanger and a reinforcing support holder,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for reinforcing the head of the pile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single worker, and at the same time, even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to reinforce the head of the p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for a stationary pile head, which is capable of minimizing corrosion due to contact with outside air and rainwater 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bar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교량을 축조할 때는 지면에 해머 등으로 강관 말뚝이나 콘크리트 말뚝을 수직으로 매설한 후 각 말뚝의 상부에 수직연결철근을 설치하여 확대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하단부가 지하에 매설 지지되는 말뚝의 상단부인 두부에는 말뚝의 상단부 및 외주면에 작용하는 수직 하중 및 측토압에 의해 말뚝의 상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관 또는 말뚝 두부 보강구조를 설치하게 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or a bridge, a steel pipe pile or a concrete pile is buried vertically with a hammer or the like on the ground, and then a vertical connection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each pile to pour the expanded foundation concrete.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ile due to the vertical load and sideways pressure acting on the upper and outer surfaces of the pile, a steel pipe or a pile head reinforcing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top portion of the pile supported by the pile.
다음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의 두부 보강구조를 보인 것으로, 말뚝은 콘크리트 말뚝의 두부 보강구조를 그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head reinforcing structure of a pi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hown, and a pile reinforcing structure of a head of a concrete pi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Fig.
도 1 내지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10)는 콘크리트 말뚝(또는 강관 말뚝 : 20)의 상단면인 두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볼트 결합수단, 말뚝(20)의 내경 일정 깊이에 설치되어지되 외주연에 상하로 다수의 결합공(11a)이 천공되는 받침판(11), 받침판(11)의 결합공(11a) 각각에 그 하단이 결합되어지되 상단에는 걸고리(12a)가 일체로 형성된 걸이봉(12), 볼트 결합수단 각각에 걸어지되 걸이봉(12)의 걸고리(12a)를 걸어 받침판(11)을 지지하는 다수의 걸이용 볼트부재(13), 걸이용 볼트부재(13)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걸고리(12a)의 빠짐을 방지하는 한편 말뚝(20)의 거치홈(22) 각각에 걸이용 볼트부재(13)를 고정시키는 너트부재(14), 걸이용 볼트부재(13) 상에 안착되어지되 그 외주연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통공(15a)이 형성되는 철근지지용 스페이서(15) 및 철근지지용 스페이서(15)의 통공(15a)에 체결되어 그 중심을 관통하는 수직연결철근(17)을 지지하는 철근지지부재(16)로 구성된다.The pile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10)의 구성에서 걸이용 볼트부재(13)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결합수단은 말뚝(20) 상단면에 동일간격으로 형성되어지되 역삼각형 형태의 V자 홈으로 형성되는 거치홈(22)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볼트 결합수단으로써의 거치홈(22)을 역삼각형 형태의 V자 홈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거치홈(22) 상에 걸이용 볼트부재(13)를 거치시키는 경우 거치홈(22)의 하부 꼭지점 상에 걸이용 볼트부재(13)가 끼어 너트부재(14)의 체결 조임시 걸이용 볼트부재(13)의 볼트머리와 너트부재(14)가 꼭지점 부분의 거치홈(22) 내외측면 상에 걸림이 이루어져 거치홈(22)의 꼭지점 상에 걸이용 볼트부재(13)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il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10)의 구성에서 말뚝(20)의 거치홈(22)과 받침판(11)의 결합공(11a)은 동일 위치상에 동일 개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홈(22) 상에 거치 고정되는 걸이용 볼트부재(13)에 걸이봉(12)을 거는 경우 걸이봉(12)은 틀어짐없이 걸이용 볼트부재(13)로부터 상하로 늘어지게 된다.In the structure of the pile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는 말뚝 두부 보강구조를 강관 말뚝 또는 콘크리트 말뚝의 두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경우 말뚝의 거치홈, 걸이봉, 걸이용 볼트부재 및 회전판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시공성은 매우 양호하다 할 수 있다.The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pile mounting groove, a hooking bar, a hanging bolt member, and a rotating plate when the pile head reinforcing structure is supported on the head of a steel pipe pile or a concrete pile Workability and workability can be very goo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는 말뚝의 거치홈, 걸이봉, 걸이용 볼트부재 및 회전판 등의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여 가격 경쟁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requires many parts such as a mounting groove of a pile, a hooking rod, a bolt member for a hanging bolt, and a rotary plat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는 말뚝의 거치홈, 걸이봉, 걸이용 볼트부재 및 회전판 등의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여 시공성은 양호하다지만 시공에 따른 준비 작업에 시간이 걸려 공기를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어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requires many parts such as a mounting groove of a pile, a hanger rod, a bolt member for hanging, and a rotary plate, so that the workability is good. However, There is a problem of delaying the air flow and increasing the construction cost.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개선된 다른 종래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특허문헌 1)가 공개되어 있는 실정이다.[0006]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solved, a stationary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patent document 1)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disclosed.
이러한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는 말뚝(강관 말뚝 또는 콘크리트 말뚝)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말뚝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어 말뚝의 일정 깊이 내부를 막는 막음판, 막음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다수 배열 설치되어지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연결철근 및 수직연결철근의 상부측에 절곡 형성되어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가 말뚝의 두부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a pile (steel pipe pile or concrete pile), and is installed at a certain depth of the pile,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reinforcing bars arranged vertically at upper portions of the vertical connecting steel bars and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being formed by bend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connecting steel bars and vertical connecting steel bars so that the placing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is mounted on the head of the pile.
다시 말해서,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는 말뚝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말뚝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어 말뚝의 일정 깊이 내부를 막는 막음판과 막음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다수 배열 설치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연결철근이 구성되어 건물이나 교량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말뚝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에 수직연결철근 중에서 2∼5개의 수직연결철근 상부 일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시켜 말뚝의 두부에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ther words, the prior art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pile,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pile, and is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for blocking a certain depth of the pile, Vertically connected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arranged in a row. Vertical connecting bars are used to reinforce the head of piles buried in the grou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or structures of buildings or bridges. And a mounting part for bending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to be mounted on the head of the pile.
상기와 같이, 수직연결철근에 거치부를 형성하여 2점 지지 내지 5점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의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거치식 두부 보강구조의 시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거치식 두부 보강구조의 부품 수를 대폭적으로 줄여 시공에 따른 조립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er head reinforc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a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 so that two-point support and five-point support can be performe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passiv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number of parts of the head-typ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thereby facilitating the assembly work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연결철근에 거치부를 형성한 구조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시공성과 조립에 따른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켜 공기를 단축할 수가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 and to improve the workability due to the workability and assembly, thereby shortening the air.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는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거치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부 산소 및 빗물과의 접촉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unt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even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to reinforce the head of the pile, the problem of the corrosion due to the contact with the external oxygen and the rainwater there was.
더욱이, 막음판과 다수의 수직연결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말뚝 두부 상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중량이 크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다룰 수 없어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함께 작업하거나 중장비를 사용하여 작업할 수밖에 없으며, 즉 말뚝 두부의 보강에 대한 시공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since the construction in which the barrier plate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ly-connecting reinforcing bars are integrally formed is placed on the pile head, the worker can not easily deal with the heavy weight of the pile head and the worker must work together or use heavy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for reinforcing the pile head is remarkably lowered.
그러므로,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말뚝 상에 걸침 고정되는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공기 및 빗물 등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을 최소화하는 한편, 단독의 작업자만으로도 용이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도록 한 말뚝 두부 보강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rrosion caused by the contact of outside air and rainwater 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bars, which are fixed on the pi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even after the concrete is pushed for reinforcing the head of the pil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ile head reinforcement device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걸이봉과 철근지지홀더를 구비함으로써 건물이나 교량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말뚝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부 보강구조에서 다수의 수직연결철근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단독의 작업자만으로도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설치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which is provided on a concrete pile embedded in a building or a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for a pile head which can easily be installed and fixed individually by a single operator so that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for pile head reinforcement can be performed easily.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걸이봉과 철근지지홀더를 구비함으로써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말뚝 상에 걸침 고정되는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공기 및 빗물 등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ndulum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reinforcing bars, which are fixed on the pi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even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to reinforce the head of the pile, To be minimiz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수직연결철근의 중앙부분 외면이 선택적으로 결착 고정되는 철근지지홀더 및 상면에 수직연결철근의 하단과 대응되어 안착홈이 형성된 막음판을 구비함으로써 다수 개의 수직연결철근을 개별적으로 설치고정할 수 있으며, 수직연결철근의 하단을 안착고정시킴과 동시에 중앙부를 결착고정시켜 수직연결철근에 대한 직립상태의 설치고정이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inforcing bar comprising: a reinforcing support holder having an outer surface at a center portion of a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 selectively coupled thereto and a blocking plate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a lower end of the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ably and easily mount and fix an upright state of a vertical connection reinforcing bar by fix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a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는 콘크리트 말뚝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말뚝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어 상기 말뚝의 일정 깊이 내부를 막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수 개로 배열 설치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연결철근이 구성되어 건물이나 교량의 건축물 및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상기 말뚝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막음판의 둘레부분에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결합너트로 고정되며, 상단부가 다단으로 외향절곡되어 외측 단이 상기 말뚝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거치홈 상에 걸림 고정되는 걸이봉; 상기 걸이봉의 외향절곡된 상단부에 하측과 외측이 밀착되어 상기 막음판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걸이봉과 직교하여 연결되는 수평고정근; 및 상기 수평고정근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외면 일측이 연결고정되며, 중공의 원기둥 상으로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의 중앙부분이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되는 철근지지홀더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s is as follow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inforcing a pile head of a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blocking plat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pile and corresponding to an internal shape of the pile,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reinforcing ba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while being vertically erected and constructed so as to reinforce the head of the pile buried in the grou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nd structures of buildings or bridges, The lower end is fixed by a coupling nut through an engag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and the upper end is bent outwardly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outer e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le A hook bar which is hooked on the mounting groove; A horizontal fixed ba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wardly curved upper end portion of the hooking rod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and the outer sid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hooking bar at regular intervals above the blocking plate; And a reinforcing support holder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on reinforcing bar is selectively coupled and fixed through the opening, .
여기서, 상기 걸이봉은 상단부가 다단으로 외향절곡되어 외측 단이 상기 말뚝의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거치홈 상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부로부터 1차적으로 외향 절곡되고 다시 수직방향으로 2차 절곡 연장되어 상기 수평고정근의 하측과 외측이 밀착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상단으로부터 3차적으로 외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말뚝의 거치홈 상에 선택적으로 거치고정되는 거치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hanging bar is bent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so as to be fixed on the mount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periphery of the pil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hooking rod is folded outward in a multi- And a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the lower and outer sides of the horizontal fixed rope to each other is formed and a mounting part which is bent and extended thirdly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and fixed selectively on the mounting groove of the pile is formed.
또한, 상기 철근지지홀더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의 중앙부분이 걸림감 있게 안내되어 결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 양측에 외향 라운드지게 만곡된 걸림부가 형성되며, 양측 상기 걸림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의 중앙부분이 걸림감 있게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됨이 양호하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 holder is formed with an outwardly curved engag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ng reinforcing bar can be guided and fixedly guided by the opening through the open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vertically-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selectively fastened and fixed in a latching manner.
더욱이, 상기 막음판은 상기 수직연결철근의 하단이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기 수직연결철근의 하면과 대응되어 일정깊이 하향 함몰된 안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locking plate may have a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a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connection steel and sink down to a certain depth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on steel can be seated and fixed.
아울러, 상기 수평고정근과 상기 걸이봉 및 상기 수평고정근과 상기 철근지지홀더는 각각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됨이 양호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fixed rods, the hook rods, the horizontal fixed rods, and the reinforcing bar holders are fixed to each other by welding.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intermittent pile head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첫째, 걸이봉과 철근지지홀더를 구비함으로써 건물이나 교량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말뚝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부 보강구조에서 다수의 수직연결철근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단독의 작업자만으로도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설치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irst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fix a plurality of vertical connection bars individually in a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provided on a concrete pile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case of a building or a building such as a bridge or the like by having a hook rod and a reinforcing support holder.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for reinforcing the head of the pile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single worker.
둘째, 걸이봉과 철근지지홀더를 구비함으로써 말뚝의 두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말뚝 상에 걸침 고정되는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공기 및 빗물 등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Second, by providing the hooking rods and the reinforcing support hold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rrosion caused by the contact of outside air and rainwater 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bars, which are fixed on the pi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even after the concrete is pushed for reinforcing the head of the pile.
셋째, 수직연결철근의 중앙부분 외면이 선택적으로 결착 고정되는 철근지지홀더 및 상면에 수직연결철근의 하단과 대응되어 안착홈이 형성된 막음판을 구비함으로써 다수 개의 수직연결철근을 개별적으로 설치고정할 수 있으며, 수직연결철근의 하단을 안착고정시킴과 동시에 중앙부를 결착고정시켜 수직연결철근에 대한 직립상태의 설치고정이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ird, a plurality of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can be individually installed and fixed by providing a reinforcing support holder having a central portio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selectively fixedly coupled thereto and a blocking plate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 is seated and fixed, and the central portion is fastened and fixed, so that the upright fixing state of the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 can be stably and easily performed.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부분절개 사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ior art.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related ar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parated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ier headed pile head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ly incised canopy in an installed state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pile-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구성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devic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부분절개 사시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구성도이다.FIG. 7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ed state of the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300)는 콘크리트 말뚝(10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말뚝(100)의 일정 깊이에 설치되어 상기 말뚝(100)의 일정 깊이 내부를 막는 막음판(310)과, 상기 막음판(310)의 상부에 수직으로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수 개로 배열 설치되되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연결철근(330)이 구성되어 건물이나 교량의 건축물 및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상기 말뚝(100)의 두부를 보강하기 위한 장치이다.4 to 8, the interposed pile
이러한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300)는 상기 막음판(310)과 상기 수직연결철근(330)과 함께, 걸이봉(350), 수평고정근(370) 및 철근지지홀더(3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lacing pile
여기서, 상기 걸이봉(350)은 하단이 상기 막음판(310)의 둘레부분에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313)을 통하여 결합너트(320)로 고정된다.The lower end of the
즉, 상기와 같은 걸이봉(350)은 상단부가 다단으로 외향절곡되어 외측 단이 상기 말뚝(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거치홈(110) 상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더욱이, 상기 걸이봉(350)은 상단부가 다단으로 외향절곡되어 외측 단이 상기 말뚝(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거치홈(110) 상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부로부터 1차적으로 외향 절곡되고 다시 수직방향으로 2차 절곡 연장되어 상기 수평고정근(370)의 하측과 외측이 밀착 연결되는 연결부(35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51) 상단으로부터 3차적으로 외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말뚝(100)의 거치홈(110) 상에 선택적으로 거치고정되는 거치부(353)가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수평고정근(370)은 상기 걸이봉(350)의 외향절곡된 상단부에 하측과 외측이 밀착되어 상기 막음판(310)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걸이봉(350)과 직교하여 연결된다.The horizontal fixed
이러한 수평고정근(370)은 원형의 링 타입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수평고정근(370)과 상기 걸이봉(350)은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fixed
또한, 상기 철근지지홀더(390)는 상기 수평고정근(37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외면 일측이 연결고정된다.Further, the reinforcing
더욱이, 상기 철근지지홀더(390)는 중공의 원기둥 상으로 일측에 개방부(351)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351)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중앙부분이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다시 말하면, 상기 철근지지홀더(390)는 상기 개방부(391)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중앙부분이 걸림감 있게 안내되어 결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391) 양측에 외향 라운드지게 만곡된 걸림부(393)가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einforcing
따라서, 상기 철근지지홀더(390)는 상기 개방부(391)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기 걸림부(393)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중앙부분이 걸림감 있게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inforcing
아울러, 상술한 철근지지홀더(390)와 상기 수평고정근(370)도 상기 수평고정근(370)과 상기 걸이봉(350)이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The reinforcing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300)에서 특히, 상기 막음판(310)은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하단이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하면과 대응되어 일정깊이 하향 함몰된 안착홈(3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intermittent pile
상기와 같이, 상면에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하단과 대응되어 상기 안착홈(311)이 형성된 상기 막음판(310)이 구비됨과 동시에, 전술한 수직연결철근(330)의 중앙부분 외면이 선택적으로 결착 고정되는 상기 철근지지홀더(39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하단을 안착고정시킴과 동시에 중앙부를 결착고정시켜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에 대한 직립상태의 설치고정이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300)에 의하면, 상기 걸이봉(350)과 상기 철근지지홀더(390)를 구비함으로써 건물이나 교량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시 지면에 매설된 콘크리트 말뚝(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두부 보강구조에서 다수의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을 개별적으로 용이하게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단독의 작업자만으로도 말뚝(100)의 두부 보강을 위한 설치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ationary pile
또한, 상기 걸이봉(350)과 상기 철근지지홀더(390)를 구비함으로써 말뚝(100)의 두부 보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말뚝(100) 상에 걸침 고정되는 철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 공기 및 빗물 등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oking
더욱이,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중앙부분 외면이 선택적으로 결착 고정되는 상기 철근지지홀더(390) 및 상면에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하단과 대응되어 상기 안착홈(311)이 형성된 상기 막음판(310)을 구비함으로써 다수 개의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을 개별적으로 설치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하단을 안착고정시킴과 동시에 중앙부를 결착고정시켜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에 대한 직립상태의 설치고정이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말뚝 110: 거치홈
300: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310: 막음판 311: 안착홈
313: 결합공 320: 결합너트
330: 수직연결철근
350: 걸이봉 351: 연결부
353: 거치부
370: 수평고정근
390: 철근지지홀더 391: 개방부
393: 걸림부100: pile 110: mounting groove
300: Reinforced pile head reinforcement device
310: blocking plate 311: seating groove
313: Coupling ball 320: Coupling nut
330: vertical connection reinforcing bar
350: hook rod 351: connection part
353:
370:
390: reinforcing support holder 391: opening
393:
Claims (5)
하단이 상기 막음판(310)의 둘레부분에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313)을 통하여 결합너트(320)로 고정되며, 상단부가 다단으로 외향절곡되어 외측 단이 상기 말뚝(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거치홈(110) 상에 걸림 고정되는 걸이봉(350);
상기 걸이봉(350)의 외향절곡된 상단부에 하측과 외측이 밀착되어 상기 막음판(310) 상측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걸이봉(350)과 직교하여 연결되는 수평고정근(370); 및
상기 수평고정근(37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외면 일측이 연결고정되며, 중공의 원기둥 상으로 일측에 개방부(351)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351)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중앙부분이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되는 철근지지홀더(3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A blocking plate 310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concrete pile 100 and installed at a certain depth of the pile 100 to cover a certain depth of the pile 100; A plurality of vertically arranged reinforcing bars 33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le 100. The vertically connecting reinforcing bars 33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the head of the pile 100 embedded in the building or the structure of the bridge, In a pile head reinforcing apparatus (300) for reinforcing a pile head,
And the lower end is fixed by a coupling nut 320 through a coupling hole 313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locking plate 310. The upper end is bent outwardly in multiple stages, A hook rod 350 which is fixed on the mounting groove 110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mounting groove 110;
A horizontal fixed bar (37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wardly bent upper end portion of the hook bar (35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ook bar (350) at regular intervals above the blocking plate (310); And
An open part 35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vertical connection reinforcing bar 330 is formed through the opening part 351, And a reinforcing support holder (390) for selectively fix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pile head reinforcement (390).
상기 걸이봉(350)은 상단부가 다단으로 외향절곡되어 외측 단이 상기 말뚝(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 거치홈(110) 상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상단부로부터 1차적으로 외향 절곡되고 다시 수직방향으로 2차 절곡 연장되어 상기 수평고정근(370)의 하측과 외측이 밀착 연결되는 연결부(351)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51) 상단으로부터 3차적으로 외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말뚝(100)의 거치홈(110) 상에 선택적으로 거치고정되는 거치부(3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ing rod 350 is bent so that its upper end is bent outward in multiple stages so that its outer end is caught and fixed on the mounting groove 110 formed at a certain depth along the periphery of the pile 100,
A connection portion 351 is formed which is first bent outwardly from the upper end and secondarily bent and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horizontal fixed rope 370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Wherein a mounting portion (353) is formed on the mounting groove (110) of the pile (100) by being bent and fixed.
상기 철근지지홀더(390)는 상기 개방부(391)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중앙부분이 걸림감 있게 안내되어 결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391) 양측에 외향 라운드지게 만곡된 걸림부(393)가 형성되며, 양측 상기 걸림부(393)를 통하여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중앙부분이 걸림감 있게 선택적으로 결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bar holder 390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ar holder 39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s 330 can be guided by the opening portion 391,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vertical connection reinforcing bar 330 is fixedly and selectively fastened in a latching manner through both of the engaging portions 393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391. [ Characterized by a pile head reinforcing device.
상기 막음판(310)은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하단이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기 수직연결철근(330)의 하면과 대응되어 일정깊이 하향 함몰된 안착홈(3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plate 310 has a seating groove 3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connecting bar 330 and sink down to a certain depth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ng bar 330 can be seated and fixed Characterized by a pile head reinforcing device.
상기 수평고정근(370)과 상기 걸이봉(350) 및 상기 수평고정근(370)과 상기 철근지지홀더(390)는 각각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horizontal fixed rope (370), the hook rod (350), the horizontal fixed rope (370), and the reinforcing bar holder (390) are fixed to each other by we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5823A KR20140135486A (en) | 2013-05-16 | 2013-05-16 | Head reforcement apparatus of pipe piles for foundation 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55823A KR20140135486A (en) | 2013-05-16 | 2013-05-16 | Head reforcement apparatus of pipe piles for foundation 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5486A true KR20140135486A (en) | 2014-11-26 |
Family
ID=5245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55823A Abandoned KR20140135486A (en) | 2013-05-16 | 2013-05-16 | Head reforcement apparatus of pipe piles for foundation 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3548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8589B1 (en) * | 2019-02-01 | 2020-06-03 | 이상현 | Reinforcing device of pile head part and method of pil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CN115750930A (en) * | 2022-10-12 | 2023-03-07 | 南通荣鑫管业有限公司 | A new type of prestressed steel cylinder concrete pipe and its production method |
-
2013
- 2013-05-16 KR KR20130055823A patent/KR20140135486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8589B1 (en) * | 2019-02-01 | 2020-06-03 | 이상현 | Reinforcing device of pile head part and method of pil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CN115750930A (en) * | 2022-10-12 | 2023-03-07 | 南通荣鑫管业有限公司 | A new type of prestressed steel cylinder concrete pipe and its produc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030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steel tube columns and brackets | |
KR100955788B1 (en) | A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precastconcrete pile | |
KR100912700B1 (en) | Leveling and Leveling Device for Road Nameplate Hangers | |
KR20190048500A (en) | Hybrid pile combined steel tubular pile and PHC pile with bolting type connecting member | |
KR101281067B1 (en) | Head reforcement apparatus of pipe piles for foundation work | |
KR20140135486A (en) | Head reforcement apparatus of pipe piles for foundation work | |
JP3144708U (en) | Reinforcing bar temporary fixing device | |
KR101336732B1 (en) | Soundproofing wall | |
KR101515348B1 (en) | Reinforcing structure for pile head | |
KR100819521B1 (en) | Head reinforcement device of concrete pipe pile for basic construction | |
KR20190002728U (en) | Structures for support | |
KR200472026Y1 (en) | Rebar spacer | |
JP3201471U (en) | Work bracket scaffold | |
JP534523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base-isolated base structure and base-isolated base structure | |
KR20230014578A (en) | Insirt Anchor System for the reduction of the upper floor's life noises and upper re-bar supporter with levelling function | |
KR101803767B1 (en) | Assembly for reinforcing head part of steel tube pile and steel tubepi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KR200290315Y1 (en) | Reinforcing bar support structure of steel pipe for base construction | |
KR101310749B1 (en) | Structure for reinforcing head of steel pile | |
KR101068891B1 (en) | Well Support | |
JP2016217126A (en) | Ground surface engagement type support device for construction | |
JP6562544B2 (en) | Cylindrical caisson scaffolding | |
KR20100004125U (en) | Head reinforcement assembly of concrete pile for foundation work | |
KR100815602B1 (en) | Head reinforcement device of steel pipe pile for basic construction | |
JP5099544B2 (en) | Ready-made concrete pile lifting equipment | |
KR20060050476A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upper part of steel pipe for basic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0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