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34471A - A tongs having a supporter - Google Patents

A tongs having a suppor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471A
KR20140134471A KR1020130054395A KR20130054395A KR20140134471A KR 20140134471 A KR20140134471 A KR 20140134471A KR 1020130054395 A KR1020130054395 A KR 1020130054395A KR 20130054395 A KR20130054395 A KR 20130054395A KR 20140134471 A KR20140134471 A KR 20140134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ws
support
claw
support base
suppor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3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표
Original Assignee
김용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표 filed Critical 김용표
Priority to KR1020130054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4471A/en
Publication of KR2014013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471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01G17/08Tools e.g. clips for attaching hops, vines, or boughs to trellis-work; Tying devices
    • A01G17/085Espalier machines; Ty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D06F55/02Clothes-pegs with pivoted independent clamping me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100)는,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과,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 기능을 하는 지지대(130)와,상기 지지대(130)와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일측 집게발(110)과 상대측 집게발(110) 사이에 지지대(130)가 개재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130)를 이용해서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support 100 includes a pair of claws 110 and a support 130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110 and the support 130. The support 130 supports the support 130, And an elastic means 120 interposed between the claw 110 and the claw 110 to apply force to the claw 110 to pick up the object A. [
Therefore, since the support base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one side claw 110 and the other side claw 110,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designs using the support base 130.

Description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A TONGS HAVING A SUPPORTER}{A TONGS HAVING A SUPPORTER}

본 발명은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집게발과 상대측 집게발 사이에 지지대가 개재되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configured to support a clamp, wherein a support is interposed between the clamp on one side and the clamp on the other side, so that various designs can be developed.

배경기술인 선행기술문헌을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prior art document which is background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FIG. 1 as follows.

집게(1)란 옷, 서류, 머리카락, 캐릭터, 농작물(농업용으로 사용됨) 등의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The tongs (1) are configured to pick up objects (A) such as clothes, documents, hair, characters, crops (used for agricultural use).

상기 집게(1)는, 대상(A)을 집도록 구성된 일측 집게발(10)과, 상기 일측 집게발(10)과 협동하여 대상(A)을 집도록 구성된 상대측 집게발(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 집게발(10)과 상대측 집게발(10)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지지기능을 하는 돌기(20)가 구성되고, 상기 각 돌기(20)를 동시에 관통하는 핀(30)이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 집게발(10)과 상대측 집게발(10)에 지지되어 일측 집게발(10)과 상대측 집게발(10)이 대상(A)을 집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40)이 구성된다.The tongue 1 comprises a first claw 10 configured to grip an object A and a second claw 10 configured to grip the object A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law 10. The projections 20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one side claw 10 and the other side claw 10 constitute a pin 30 which passes through the respective projections 20 at the same time. The spring 40 is supported by the one side claw 10 and the other side claw 10 so as to apply force to the one side claw 10 and the counter side claw 10 to grip the target A. [

상기 집게발(10)은 손가락으로 힘을 가하는 파지부(11)가 구성되고, 상기 파지부(11)의 상대측에 형성되어 대상(A)을 집는 선단부(13)가 구성된다. The gripper 10 has a grip portion 11 for applying a force with a finger and is form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grip portion 11 to constitute a tip portion 13 for gripping the object A. [

상기 스프링(40)은 파지부(11)를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선단부(13)가 오므라지도록 힘을 가하도록 양측 집게발(10)에 지지되어 구성된다.The spring 40 is constructed to be supported by the claws 10 on both sides so as to open the grip portion 11 and to force the tip portion 13 to be broken.

따라서, 상기 파지부(11)를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잡고 오므리면 양측 파지부(11)가 좁혀지면서 선단부(13)는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선단부(13) 사이에 대상(A)이 위치하도록 한 후, 파지부(11)에 가한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선단부(13)는 대상(A)을 집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grip portion 11 is gripped with the thumb and forefinger, the tip portion 13 is opened while the both-side grip portion 11 is narrowed. In this state, after the object A is positioned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s 13, the force applied to the grip portion 11 is removed. Then, the distal end portion 13 grips the object A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0.

(문헌 1) 한국 특허 공개 10-2005-0034521 (2005. 04. 14.)(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4521 (Apr. 14, 2005)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집게는, 일측 집게발과 상대측 집게발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 없으므로 모빌 등의 장식품을 걸 수 없었고 아래에 기재한 것처럼,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tong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have no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claws on one side and the claws on the other side, it is not possible to attach ornaments such as mobiles, and it is impossible to design variously as described below.

즉, 하나의 집게로 다수의 대상(A)을 구분하여 집을 수 있도록 디자인할 수 없었다. 또한, 집을 수 있는 대상(A)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서, 대상(A)의 크기에 대응하여 규격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가 용이하도록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디자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길이가 긴 대상을 집을 경우, 집은 지점을 중심으로 대상은 기울어지면서 중력에 의해서 집게로부터 이탈하여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it was not possible to design so that a plurality of objects (A) could be distinguished by a single forceps. Further, since the size of the object A to be picked up is determi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designed so that the size of the object A can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A.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designed so as to reduce the volume for easy carrying. In addition, when a long object is picked u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bject tilts around the point and falls off from the grip by gravity.

또한, 배경기술에 의한 집게는, 양측 돌기가 핀이음되어 구성되므로 상기 돌기들은 상호 대응되어 조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디자인의 연출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대응되는 돌기의 형상과 모양을 상이하게 하여 디자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since the tong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are constructed by joining the two side projections with each other, the projections are mutually correspondingly combined.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designing.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ape and shape of the corresponding projections can not be designed differently.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는,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집게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집게발이 대상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nip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paired claws, a support supported between the claws, and an elastic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claws for applying force to hold the claws .

또한,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대와, 상기 집게발에 장착되어 상기 집게발이 대상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pair of paired claws, a supporter supported between the claws, and an elastic means mounted on the claws for applying a force to hold the claws.

또한,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 기능을 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집게발이 대상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을 구비한 소재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aired claws, and a support interposed between the claws to support the claws, the support claw being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apply force to the claws to hold the object.

또한,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과, 상기 양쪽 집게발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집게발에 연결되어 상기 집게발이 대상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pair of paired claws, a support disposed between the two claws, and an elastic means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claw for applying a force to hold the claw.

또한,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과, 상기 집게발 중 일측 집게발에 고정되고 상대측 집게발에 이격되어 구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상대측 집게발에 연결되어 상기 집게발이 대상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member is fixed to one of the claws of the claw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laws of the other claws. The claw is connected to the claw and the mating claw so that the claw is elastically biased to grip the object. Means.

또한,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집게발 사이로 연장되어 대상을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pedestal extending from the supporter to between the pincers to hold an object.

또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집게발이 협동하여 대상을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base and the claws are configured to cooperate to pick up the object.

또한, 상기 지지대는 양분된 것으로서 힌지연결되어 상기 집게발의 회동방향인 측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divided into two and hinged so as to be rotatable laterally, which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law.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집게발이 포개지도록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support frame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so that the claws are superimposed.

또한, 상기 지지대는 양분되어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s are configured to be mutually detachable.

또한, 상기 지지대는 양분된 것으로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집게발의 회동 방향의 직각 방향인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ers are mutually connected so as to be rotatable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pivoting direction of the pintle.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는,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 사이에 지지대가 개재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에 모빌 등의 장식품을 용이하게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가 구성되므로 다음과 같이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Since the support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claws, the suppor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ornament such as a mobile can be easily hooked to the support member.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is formed, various designs can be produced as follows.

즉, 상기 지지대의 양측 종단부와 양측 집게발은 힌지연결 구성을 상이하게 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일측은 볼조인트, 상대측은 핀이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other words,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and both side claw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hinge connection configuration. For example, one side may be a ball joint, and the other side may be a pin joi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designs.

또한, 상기 지지대에서 받침대가 연장된 구성에 의해서 다수의 대상을 구분하여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objects can be separated and collected b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edestal is extended from the support stand.

또한, 상기 지지대와 집게발이 협동하여 대상을 집도록 구성하므로 각각의 집게발과 지지대 사이에 대상을 집을 수 있으므로 다수의 대상을 구분하여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and the nippers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hold the object, the object can be picked up between the respective nippers and the support, so that a plurality of objects can be separated and picked up.

또한, 상기 지지대가 집게발의 회동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므로 집을 수 있는 대상의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member is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nippers,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converted into various standard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picked up.

또한, 상기 지지대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접었을 경우 부피를 줄여서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the folding of the supporting member reduces the volume of the folding member.

또한, 상기 지지대는 양분된 상태에서 착탈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한 상태에서 양측 집게발을 포개게 되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역시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n a state of being divided, when the two claw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eparated state, the volume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지지대는 전후방으로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길이가 긴 대상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can be pivoted forward and backward, there is an effect that a long object can be easily picked up.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집게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3실시예를 도사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4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5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6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7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8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9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0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의 제13실시예로서 양측 집게발이 어긋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대상(A)을 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tongu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as a clamp having a support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as a clamp having a support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as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a support. Fig.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as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as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as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eventh embodiment as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as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ninth embodiment as a clamp having a support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pport base is constructed.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enth embodiment as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twelfth embodiment as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teenth embodiment as a clamp having a support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A is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claws on both sides are rotated so as to be shifted as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clamp configur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 및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3실시예를 도사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4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5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6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7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8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9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0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로서 제1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의 제13실시예로서 양측 집게발이 어긋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대상을 집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as a clamp having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as a clamp having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upporting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Fig. 10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ighth embodiment of th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lamp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t; RTI ID = 0.0 >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enth embodiment of a tongue in which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and Fig. 1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ongue of the tong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elfth embodiment And Fig. 16 is a thirteenth embodiment of a grip which is constituted by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lso explained a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bject is held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claws are shifted to be shifted.

본 발명에 의한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100)는 양쪽에 집게발(110)이 대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지지대(130)가 개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lamp 100 having a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lamps 11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clamp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clamps 110.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detail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1실시예)(Embodiment 1)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3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as follows.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이 구성되고,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되는 지지대(13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130)와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pair of paired claws 110 are formed and a support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claws 110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130 and the claw 110, (120) for applying force to the object (110) to pick up the object (A).

상기 집게발(110)은 바(BAR) 형상에서부터 다양한 캐릭터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데,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집게발(110)에서 상부 즉,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부분은 파지부(111)라 명명하고, 하단부에서 대상(A)을 집는 부분은 선단부(113)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113)는 대상(A)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내측면(P) 또는 종단부(Q)가 일례로서 해당될 수 있다. The claw 1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bar shape to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plate shape of a character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nippers 110, that is, the portion that can be pressed with the fingers is referred to as a grip portion 111, and the portion of the lower end that grips the object A is referred to as a tip portion 113. The distal end portion 113 may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P or the end portion Q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bject A as an example.

상기 지지대(130)는 굴곡진 형상, V형상 U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바(BAR) 또는 플레이트 형상이 가능한데, 강성을 구비하므로 양측의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The support base 130 may be a BAR or a plate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bent shape and a V shape. The support base 130 may have any rigidity so that it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claws 110 on both sides.

또한, 상기 지지대(130)가 양측의 집게발(110)에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힌지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140)는 일례로서 지지대(130)의 양측 종단부(143)가 볼 모양 또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집게발(110)의 내측면에 상기 종단부(143)를 수용하는 홈(145)이 구성되므로 가능한데, 볼조인트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는, 상기 지지대(130)의 종단부(143)가 집게발(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거나, 관통한 상태에서 핀이 집게발(110)과 지지대(130)를 통과하므로 회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지지대(130)의 양측 종단부의 사이즈가 다르고 힌지 연결 구성이 상이하더라도 양측의 집게발(110)과 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다. 즉, 지지대(130)의 일측 종단부와 일측 집게발(110)은 볼조인트 구성으로 연결하고, 상대측 종단부는 상대측 집게발(110)과 핀이음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hinge part 1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radle 130 so as to rotate on the claws 110 on both sides. The hinge part 140 is formed in a shape of a ball or a cylinder on both side end portions 143 of the support base 130 and has grooves 145 ), Which i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all joint. Alternatively, the end portion 143 of the supporter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law 110, or the pin may pass through the claw 110 and the supporter 130, have. Alternatively, the support base 130 can be rotated in combination with the claws 110 on both sides even if the size of the en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ase 130 is different and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is different. That is, one end of the supporter 130 and one of the claws 1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ball joint configura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claw 110 by a pin.

상기 탄성수단(120)은 일례로서 도 2 및 도 3에서처럼, V형 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 등의 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30)와 양측의 집게발(110) 사이게 개재되어 구성되고, 탄성수단(1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대(130)와 집게발(110)에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120)이 집게발(110)과 지지대(130)에 부착되는 일례로서는 상기 집게발(110)과 지지대(130)에 홈을 형성하여 탄성수단(120)을 삽입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The elastic means 120 may be a spring such as a V-shaped spring or a torsion spring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claws 110 on both sides. 12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claw 110. As an example in which the elastic means 120 is attached to the claw 110 and the support base 130,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law 110 and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elastic means 120 may be inserted.

따라서, 양측의 상기 집게발(110)의 파지부(111)를 잡고서 오므리면 도 3에서처럼, 선단부(113)가 벌어진다. 이때, 대상(A)이 상기 벌어진 선단부(113)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후, 파지부(111)를 놓게 되면 탄성수단(120)의 복원력에 의해 선단부(113)는 오므라지면서 대상(A)을 집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grip 111 of the claw 110 is gripped on both sides, the tip 113 opens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if the gripping portion 111 is placed after the object A is positioned between the opened end portions 113, the tip portion 113 is broke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120, do.

이 경우, 상기 지지대(130)는 양측 종단부에 힌지부(140)가 구성되기 때문에 파지부(111)를 오므리는 힘과 선단부(113)가 대상(A)을 집을 때 발생하는 힘은 양측 힌지부(140)로 분산이 가능하므로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힌지부(140)의 수명이 긴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hinge portions 140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base 130, the force exerted by the grip portion 111 and the force generated when the distal end portion 113 holds the object A,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stress to the supporting portion 140, so that the stress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life of the hinge part 140 is longer than that of the background art.

또한, 지지대(130)가 양측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므로 아래에 기재하는 것처럼 다양한 실시예의 디자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base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claws 110, it is possible to design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below.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4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1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일측 집게발(110)에는 고정되어 구성되고, 상대측 집게발(110)에는 상기 힌지부(140)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120)은 힌지부(140) 쪽에 구성되어 상대측 집게발(110)과 지지대(130)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탄성수단(120)은 상대측 집게발(110)의 선단부(113)가 일측 집게발(110)의 선단부(113)에 밀착되도록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upport base 130 is fixed to one side claw 110 and the other side claw 110 is connected to the hinge side 140 by the hinge unit 140. The elastic means 1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inge part 140 and is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claw 110 and the support base 130. The elastic means 120 is configured to apply a force such that the tip 113 of the claw 110 of the mating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113 of the claw 110 at one side.

따라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양측의 집게발(110)을 벌릴 수 있고, 탄성수단(120)의 복원력에 의해서 오므려지면서 대상(A)을 집을 수 있다.Therefore, the claw 110 on both sides can be opened like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object A can be picked up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120.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를 도 5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이 구성되고,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대(130)가 구성되며, 상기 집게발(110)에 장착되어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 pair of paired claws 110 are formed and a support 130 is supported between the claws 110. The claw 110 is mounted on the claws 110 so that the claws 110 can support the object A, And an elastic means 120 for applying a force to pick up the liquid.

상기 집게발(110)과 지지대(130)에 대한 형상과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집게발(110)과 지지대(130) 사이에 구성되는 힌지부(140)의 구성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claw 110 and the support base 13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hinge unit 140 formed between the claw 110 and the support base 130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탄성수단(120)은 양측 집게발(110)을 관통한 C형상의 스프링으로서 양측 종단부(123)가 선단부(113)의 바깥쪽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The elastic means 120 is a C-shaped spring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laws 110 on both sides and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 portions 123 are supported on the outer side of the tip portion 113.

따라서, 상기 집게발(110)의 파지부(111)를 잡고 오므리면 탄성수단(120)이 벌어지면서 선단부(113)가 벌어지게 된다. 상기 선단부(113)에 대상(A)을 위치시킨 후, 파지부(111)를 놓게 되면 탄성수단(120)의 복원력에 의해 선단부(113)가 오므라지면서 대상(A)을 집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gripper 110 of the claw 110 is gripped, the elastic means 120 is opened and the tip 113 is opened. When the gripping part 111 is placed after the object A is positioned on the distal end part 113, the tip part 113 is broke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120 and the object A is gripped.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Therefore, it has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embodiment.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를 도 6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3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일측 집게발(110)에는 고정되어 구성되고, 상대측 집게발(110)에는 상기 힌지부(140)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 외의 구성과 작동례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support base 130 is fixed to the one side claw 110 and the other side claw 110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cage 110 by the hinge unit 140. Othe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제5실시예) (Fif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 7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이 구성되고,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 기능을 하는 지지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을 구비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다.A pair of paired claws 110 are formed and supported between the claws 110 to support the claws 130. The claws 130 are connected to the claws 110,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apply force to pick up the object A.

상기 집게발(110)은 바(BAR) 형상에서부터 다양한 캐릭터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데,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집게발(110)에서 상부 즉,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부분은 파지부(111)라 명명하고, 하단부에서 대상(A)을 집는 부분은 선단부(113)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113)는 대상(A)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내측면(P) 또는 종단부(Q)가 일례로서 해당될 수 있다. The claw 1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bar shape to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plate shape of a character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nippers 110, that is, the portion that can be pressed with the fingers is referred to as a grip portion 111, and the portion of the lower end that grips the object A is referred to as a tip portion 113. The distal end portion 113 may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P or the end portion Q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bject A as an example.

상기 지지대(130)는 일례로서 U자 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쪽에 집게발(110)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고정되는 예로서는 집게발(110)을 합성수지로 성형할 경우,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지지대(130)가 양측 집게발(110)에 함침되어 구성될 수 있다. U자 형상일 때에는 양측의 절곡부(137)가 양측 집게발(110)에 함침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base 130 is formed in a U-shape or a V-shape, for example, and the claws 110 are fixed on both sides. When the claw 110 is formed of synthetic resin, the cage 110 may be impregnated with the cage 110 by insert injection. In the case of the U-shape, the bent portions 137 on both sides may be impregnated into the claws 110 on both sides.

따라서, 상기 파지부(111)를 잡고서 오므리게 되면, 상기 지지대(130)가 휘어지면서 선단부(113)가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단부(113) 사이에 대상(A)을 위치시킨 후, 파지부(111)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지지대(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선단부(113)는 대상(A)을 압박하여 집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gripper 111 is gripped and tilted, the tip 113 is opened while the support 130 is bent. Therefor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gripper 111 is removed after the object A is positioned between the tip ends 113, the tip 113 presses the object A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upport base 130 It is grasped.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 8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이 구성되고,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1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30)의 양측과 상기 양측 집게발(110)에 연결되어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지지대(130)와 양측 집게발(110)이 힌지 연결되지 않고 탄성수단(120)에 의해서 연결되어 구성된다. A pair of mating claws 110 are constructed and a support 130 disposed between the claws 110 is constructed. The elastic means 12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er 130 and the claws 110 to apply force to the entrapment 110 to pick up the object A. That is,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two side claws 110 are connected by the elastic means 120 without being hinged.

상기 집게발(110)은 바(BAR) 형상에서부터 다양한 캐릭터 모양의 플레이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한데,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집게발(110)에서 상부 즉,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부분은 파지부(111)라 명명하고, 하단부에서 대상(A)을 집는 부분은 선단부(113)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부(113)는 대상(A)과 접하는 부분으로서 내측면(P) 또는 종단부(Q)가 일례로서 해당될 수 있다. The claw 1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bar shape to a variety of shapes such as a plate shape of a character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nippers 110, that is, the portion that can be pressed with the fingers is referred to as a grip portion 111, and the portion of the lower end that grips the object A is referred to as a tip portion 113. The distal end portion 113 may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P or the end portion Q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bject A as an example.

상기 지지대(130)는 일례로 바(BAR)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수단(120)은 직선형, L형, 코일형 등 다양한 모양의 스프링이 가능한데, 일측은 지지대(130)의 양측 종단부에 고정되고 상대측은 상기 집게발(110)에 고정되어 구성된다. 고정되는 예로서는 탄성수단(120)이 지지대(130)와 집게발(110)에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ase 13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for example. The elastic means 120 may be a spring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straight shape, an L shape, a coil shape, etc., and one side is fix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claw 110. The elastic means 120 may be fixedly inserted into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claw 110, for example.

따라서, 상기 집게발(110)의 파지부(111)를 잡고 오므리면, 상기 양측의 탄성수단(120)이 휘어지면서 선단부(113)가 벌어지게 된다. 상기 벌어진 선단부(113) 사이에 대상(A)을 위치시킨 후, 파지부(111)를 놓게 되면 탄성수단(120)의 복원력에 의해서 선단부(113)는 대상(A)을 압박하여 집게 된다.Therefore, when the gripper 110 of the claw 110 is gripped by holding the gripper 111, the elastic means 120 on both sides are bent and the tip 113 is opened. When the gripping portion 111 is placed after the object A is positioned between the opened distal end portions 113, the distal end portion 113 is pressed against the object A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ans 120 to be gripped.

(제7실시예)(Sev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 9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6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일측 종단부는 일측 집게발(110)에 고정되고 상대측 종단부는 상대측 집게발(110)에 상기 탄성수단(120)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제6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the support base 130 is fixed at one end to the one claw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claw 110 by the elastic means 120. Therefore, it works the same as the sixth embodiment.

(제8실시예)(Eigh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 10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1실시예 ∼ 제7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에서 상기 집게발(110) 사이로 연장되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constructions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a pedestal 150 is provided extending from the supporter 130 to between the supporters 110 to pick up the object A.

상기 받침대(150)는 바(BAR) 또는 플레이트 형상 등 양측의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형상이면 가능하다.The pedestal 150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claws 110 on both sides such as a bar or a plate.

따라서, 상기 파지부(111)를 잡고 오므리면 선단부(113)는 받침대(15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받침대(150)와 일측 집게발(110)과 받침대(150)와 상대측 집게발(110) 사이에 상이한 대상(A)을 집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front end 113 of the omni-directional grasping the grasping portion 111 is opened to both sides around the pedestal 150, so that the pedestal 150, the one side pawl 110, the pedestal 150 and the other side pawl 110 The object A can be picked up.

(제9실시예)(Ni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도 11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1실시예 ∼ 제7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와 상기 집게발(110)이 협동하여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claws 110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pick up the object A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상기 구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130)는 도11에서처럼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집게발(110)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선단부(113)가 상기 돌출된 지지대(130)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11, the claw 110 is folded inward so that the tip 113 is closely attached to the protruding support 130. The support 130 may be formed of a metal such as aluminum, .

또는, 상기 지지대(130)는 평행하게 구성되고, 상기 집게발(110)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선단부(113)가 상기 지지대(130)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support base 130 may be configured to be parallel, and the claw 110 may be bent inward so that the tip 113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pport base 130.

또는, 상기 지지대(130)는 하방으로 V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집게발(110)에 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supporter 130 may be bent downward into a V-shape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claw 110.

따라서, 상기 파지부(111)를 잡고 오므리면 선단부(113)는 지지대(130)에서 이탈된다. 상기 지지대(130)와 집게발(110) 사이에 대상(A)을 위치시킨 후, 파지부(111)를 놓게 되면 대상(A)을 압박하여 집게 된다. Therefore, the front end 113 of the convex surface is detached from the supporter 130 while holding the gripper 111. When the object A is placed between the support 130 and the claw 110 and then the grip 111 is placed, the object A is pushed and gripped.

(제10실시예)(T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도 12를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1실시예 ∼ 제7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양분된 것으로서 힌지연결되어 측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방은 집게발(110)의 회동방향을 일컫는다. In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support base 130 is divided into two and hinged to be rotatable sideways. And the lateral direction refers to the pivoting direction of the nippers 110. [

상기 지지대(130)가 양분된 것으로서 힌지연결되는 일례로서는 일측 지지대(130)에 링(R)이 구성되고, 상대측 지지대(130)에는 상기 링(R)에 삽입되는 축(S)이 구성된다. 상기 링(R)은 전후방(상기 측방의 직각되는 방향)으로 관통된 것이고 상기 축(S)은 상대측 지지대(130)의 전면 혹은 후면에 형성된 것이다. One example of the hinge connection of the supporter 130 is a ring R on one side support 130 and a shaft S inserted into the ring R on the other side supporter 130. The ring R is passed throug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shaft S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mating support table 130.

또는, 상기 일측 지지대(130)와 상대측 지지대(130)를 전후방으로 겹친 후 동시에 관통하는 핀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전후방으로 겹쳐진 양측 지지대(130)를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가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one side support 130 and the other side support 130 may be piled forward and backward, and may be formed as a pin. Alternatively, a bolt passing through the both side supports 130 which are overlapped in front and back and a nut fastened to the bolt may be constituted.

상기 지지대(130)는 힌지연결된 부분이 파지부(111)를 잡고 오므릴 때, 지지대(130)가 회동하지 않게 끼워맞춤이 되도록 구성한다. 일례로 상기 볼트와 너트가 조합된 경우에는 지지대(130)의 굽힘 각도를 조정한 후, 볼트와 너트를 죄어서 파지부(111)를 잡고 오므려도 지지대(130)가 회동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upport base 1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 base 130 is fitted so that the support base 130 does not rotate when the hinge- For example, when the bolt and the nut are combined, the support base 13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upport base 130 does not rotate even if the bolt and nut are tightened to hold the holding portion 111 after the bending angle of the support base 130 is adjusted .

따라서, 상기 지지대(130)를 굽히는 각도에 따라서 양측 집게발(110)의 이격 거리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집을 수 있는 대상(A)의 크기에 규격을 변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two claws 110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support base 130 is b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ize can be changed to the size of the object A that can be picked up.

(제11실시예)(Elev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도 1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1실시예 ∼ 제7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집게발(110)이 포개지도록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e structures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supporter 130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so that the claw 110 is superimposed.

일례로서 상기 지지대(130)는 양측으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호 밀착부(M)에서 접히는 쪽(전방 또는 후방)의 일부분만 연결되어 구성된다. For example, the supporter 13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on both sides and connected to only a part of the side (front or rear) folded at the mutual contact portion M.

따라서, 접어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펼쳐서 대상(A)을 집도록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folded and carried easily, and can be used to unfold the object A when used.

(제12실시예)(Twelf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도 14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1실시예 ∼ 제7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양분되어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support base 130 is configured to be mutually detachable.

상기 지지대(130)가 상호 탈착되는 일례로서는 상기 지지대(130)가 양분되어 구성되고, 일측 지지대(130)에는 홈(T)이 구성되고, 상대측 지지대(130)에는 상기 홈(T)에 삽입되는 돌기(U)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30)를 분리하여 상기 집게발(110)을 포개게 되면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물론, 사용 시에는 상기 지지대(130)를 조합하므로 대상(A)을 집도록 사용할 수 있다. One example in which the supporters 130 are mutually separated and separated is that the supporter 130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supporter 130 is formed with a groove T and the supporter 1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T The projection U is formed. Therefore, when the support base 130 is separated and the claw 110 is superimposed, the volume is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carry. Of course, since the support base 130 is assembled in use, the object A can be used to hold it.

(제13실시예)(Thirteen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도 15 및 도 16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FIG.

상기 제1실시에 ∼ 제7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양분된 것으로서 상호 연결되어 전후방(집게발의 회동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constructions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supporter 130 is divided into two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ivoting direction of the pawl).

상기 지지대(130)가 연결되는 일례로서는 핀이음이 가능한데, 일측 지지대(130)와 상대측 지지대(130)의 종단부에 플랜지(F)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F)를 관통하는 핀(P)에 의해서 가능하다. One end of the support base 130 is connected to a pin and a flange F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se 130. A pin P passing through the flange F, .

또는, 일측 지지대(130)의 종단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대측 지지대(130)의 종단부에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므로, 홈과 돌기가 조합된 상태에서 양측 지지대(130)는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lternatively, since the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one side support base 130 and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 the end side of the opposite side support base 130, the both side support base 130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So as to be rotatable.

따라서, 양측 지지대(130)는 전후방으로 벌어질 수도 있고 좁힐 수도 있으므로, 도 16에서처럼, 길이가 긴 대상(A)을 집을 때에는 벌려서 집게 되면 수평상태로 안전하게 집을 수 있다. 만약, 일반 집게로 길이가 긴 대상(A)을 집게 된다면 집은 지점을 중심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집게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Therefore, the two side supports 130 can be opened or cl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when the object A having a long length is picked up as shown in FIG. If the ordinary gripper grips the object A having a long length, the house tilts about the point, and the gripper is detached from the gripper. However, in this embodiment, such a problem is solved.

100: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110: 집게발
111: 파지부 113: 선단부
120: 탄성수단 130: 지지대
137: 절곡부 140: 힌지부 143: 종단부 145: 홈 150: 받침대
100: a tongue 110 having a support structure 110: a claw
111: grip part 113:
120: elastic means 130: support
137: bent portion 140: hinge portion 143: terminal portion 145: groove 150:

Claims (11)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과,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와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A pair of mating claws 110,
A support 130 supported between the claws 110,
And a resilient means (120)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claws (110) to apply force to the claws (110) to pick up the object (A).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과,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지지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집게발(110)에 장착되어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A pair of mating claws 110,
A support 130 supported between the claws 110,
And a resilient means (120) mounted on the claw (110) for applying a force to the claw (110) to pick up the object (A).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과,
상기 집게발(11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 기능을 하는 지지대(1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을 구비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A pair of mating claws 110,
And a support base (130) interposed between the claws (110) and serving as a support,
Wherein the support base (1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at forces the claws (110) to hold the object (A).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과,
상기 양쪽 집게발(11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와 상기 집게발(110)에 연결되어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A pair of mating claws 110,
A support 130 disposed between the claws 110,
And a resilient means (120) connected to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claws (110) to apply force to the claws (110) to pick up the object (A).
한 쌍의 짝을 이루는 양쪽 집게발(110)과,
상기 집게발(110) 중 일측 집게발(110)에 고정되고 상대측 집게발(110)에 이격되어 구성된 지지대(130)와,
상기 지지대(130)와 상기 상대측 집게발(110)에 연결되어 상기 집게발(110)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A pair of mating claws 110,
A support 130 fixed to one of the claws 110 of the claw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claw 110,
And a resilient means 120 connected to the supporter 130 and the supporter 110 for applying force to the supporter 110 to grip the supporter A. [ .
제1항에서 제5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에서 상기 집게발(110) 사이로 연장되어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받침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 pedestal (150) extending from the supporter (130) to between the supporter (110) and adapted to pick up the object (A).
제1항에서 제5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와 상기 집게발(110)이 협동하여 대상(A)을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nippers (110) cooperate to hold the object (A).
제1항에서 제5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양분된 것으로서 힌지연결되어 상기 집게발(110)의 회동방향인 측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upport base (130) is nested and hinged so as to be rotatable laterally, which is a rotation direction of the claws (110).
제1항에서 제5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집게발(110)이 포개지도록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upport base (130)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so that the claws (110) are superimposed.
제1항에서 제5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양분되어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upport base (130) is configured to be mutually detachable.
제1항에서 제5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0)는 양분된 것으로서 상호 연결되어 상기 집게발(110)의 회동 방향의 직각 방향인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가 구성된 집게.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upport base (130) is divided into two parts so that the support base (130) is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laws (110).
KR1020130054395A 2013-05-14 2013-05-14 A tongs having a supporter Ceased KR201401344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95A KR20140134471A (en) 2013-05-14 2013-05-14 A tongs having a suppor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95A KR20140134471A (en) 2013-05-14 2013-05-14 A tongs having a suppor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35874A Division KR20150035953A (en) 2015-03-16 2015-03-16 A tongs having a suppor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471A true KR20140134471A (en) 2014-11-24

Family

ID=5245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395A Ceased KR20140134471A (en) 2013-05-14 2013-05-14 A tongs having a suppor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447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2612B2 (en) Clip
US8827225B2 (en) Suspension device
JP6983245B2 (en) Tether clip
US9958001B2 (en) Elastic press-lock structure
US9468308B2 (en) Springless double ended elastic fabric tensioner
KR20180103196A (en) Wire gripper
KR20150035953A (en) A tongs having a supporter
KR20140134471A (en) A tongs having a supporter
US10035371B2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objects
US717460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ripping articles
US20070215655A1 (en) Garment hanger
CN209659400U (en) rod holder
JP2019063058A (en) Traction tool for carry bag
TWM435346U (en) Easy-clamp-replacement hose clamp pliers
KR101657558B1 (en) Clamp
US20110204615A1 (en) Mickie's book clip
JP2015035846A (en) Clip
KR20100053379A (en) Book holder
KR20130067478A (en) Tong
GB2475046A (en) Multidirectional Snap Ring Pliers
WO2016106967A1 (en) Elastic clamping mechanism
CN206413867U (en) An umbrella handle with a mobile phone clip structure
KR101710778B1 (en) Double clamp
KR101425987B1 (en) clamp
KR20170124698A (en) Multipurpose To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2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31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