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33378A -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 - Google Patents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378A
KR20140133378A KR20130076211A KR20130076211A KR20140133378A KR 20140133378 A KR20140133378 A KR 20140133378A KR 20130076211 A KR20130076211 A KR 20130076211A KR 20130076211 A KR20130076211 A KR 20130076211A KR 20140133378 A KR20140133378 A KR 20140133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ire
winch
guide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승환
Original Assignee
윤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환 filed Critical 윤승환
Publication of KR2014013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378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2Guideways; Guides with a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5End supports, i.e. at top or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aving lives.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manufacturing an elevator (1) having a guide pipe (2); a step of constructing elevator machine room protrusion platforms (12, 16); a step of connecting a guide rope ring (80); and a step of installing a guide rope bottom ring (10) at the bottom (9).

Description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화재 시 인명구조를 대비한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의 외벽과 그 수직 바닥에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for lifesaving in the event of fire in a high-rise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on the oute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and its vertical floor.

그리고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덧붙이면, 고층 건물 화재 시 초기에 화재진압을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In addition, while adding a priority application, It also includes a method for forming an elevator system for fire suppression at the early stage of a high-rise building fire.

지금까지 고층 건물 화재 시 사람이 대피하는 방법은 계단을 타고 걸어서 내려오거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오거나, 옥상에서 헬기를 타고 빠져나오거나, 고층 사다리를 타고 내려와 빠져나오는 방법이 있었는데, 이러한 방법들 모두 위험을 동반한다. 계단을 걸어서 내려오거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올 경우 계단과 엘리베이터의 수직이동 공간 자체가 화염의 통로가 되어 불에 타죽거나 연기에 질식하여 죽을 수 있고, 옥상에서 헬기를 타고 빠져나오려고 해도 화염 때문에 헬기의 접근 자체가 쉽지 않고, 고층 사다리라도 높이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서 초고층 건물의 경우 사다리가 닿지 않는 높은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Until now, there has been a way to evacuate a person in a high-rise building by walking down the stairs, taking the elevator down, taking off the helicopter on the roof, or taking the high-rise ladder down. . If you walk down the stairs or descend with the elevator, the vertical movement space of the stairs and the elevator itself may become a flame path, resulting in a fire or drowning in smoke, and even if you try to get out of the roof by taking off the helicopter, It is not easy itself, and even a high-rise ladder has a limit in height, so in the case of a skyscraper, there are many parts that do not reach the ladder.

동력을 이용하여 고층 건물에 사람이나 짐을 고층 건물로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에는 윈치 , 호이스트 , 엘리베이터 , 곤돌라 방식이 있다. 크레인도 넓은 의미에서 윈치나 호이스트에 포함된다.There are winch , hoist , elevator , and gondola system in the high-rise building using power to move person or luggage to high-rise building. The crane is also included in the winch or hoist in a broad sense.

이 명세서에서 뜻하는 윈치는 원통형의 드럼(감기 통)에 와이어로프를 감아 도르래를 이용해서 중량물을 수직으로 오르내리는 기계 장치이고, 호이스트는 원동기 기어 감속 장치 감기 통(드럼) 등을 한 조로 하고 로프 끝에 훅을 장치하여 화물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이고, 곤돌라는 고층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짐을 실어 오르내리는 데 사용하는 운반 기구이고, 엘리베이터는 동력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짐을 고층 건물의 아래위로 실어 나르는 운반기구이다. Winch meaning in this specification and make the wire to a cylindrical drum (winding tube) by winding a rope by using the pulley to climb a heavy load in the vertical mechanism, hoist motor gear reduction unit winding cylinder (drum), such as a twos and rope The gondola is a transportation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rooftop of a high-rise building to lift and unload goods. The elevator uses a power to transport people and luggage up and down a high-rise building Mechanism.

그런데 이러한 기계장치들이 고층 건물 화재 시 인명구조용으로 사용하기에 효율적이지 못한 이유를 밝히면 다음과 같다.        However, the reason why these mechanical devices are not effective for life rescue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fire is as follows.

윈치와 호이스트는 사람이 탈 수 있는 안전장치(박스)가 없고 수직으로 상하 이동시 로프가 바람에 흔들리거나 회전하여 위험하다. Winches and hoists are dangerous because there is no safety device (box) that people can ride and the rope swings or turns vertically when moving up and down.

곤돌라도 수직으로 상하 이동시 바람에 흔들려서 위험하다. The gondola is also dangerous because it is shaking in the wind when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기존의 엘리베이터 는 건물 내부에서 이나 기둥 을 필요로 하므로 엘리베이터의 내부 이동 통로 자체가 화염의 이동 통로가 되고 만다. Conventional elevators require walls or pillars inside the building, so the internal moving passage of the elevator itself becomes the moving path of the flames.

그리고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본인 윤승환의 이 발명 내용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특허청에 공개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들을 정리하면 다음 6가지 사례들로 정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filing the priority application, the following six cases can be summarized a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s disclosed to the Patent Office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this invention by Mr. Seung Hwan Yoon.

1. 발명자 손기택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467994와 101161716 의 발명 내용은 필연적으로 고층 건물의 외부에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상기 고층건물과 대등한 높이를 갖는 구조물이 설치 되어야 하므로, 이미 지어진 수많은 고층건물에는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어렵고, 새로 짓는 신축건물에도 역시 많은 비용이 들고, 건물 외관 이미지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1. Inventor Son Gee-taek's patent registration numbers 100467994 and 101161716 are inevitably required to have a structure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a high-rise building and having a height equal to that of the high-rise building. Therefore,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realistically realize it, and the new building also costs a lot and has a serious effect on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그런데 본인 윤승환이 출원하는 이 발명 내용은 고층 건물의 외부에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상기 고층건물과 대등한 높이를 갖는 구조물 이 아예 없이도 실현 가능하고, 수십 층 또는 수백 미터 높이 고층건물의 필요한 극히 일부분에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 의 설치만으로 실현이 가능하므로 비용이 적게 들어 기존의 건물에 적용시키기도 쉽고, 신축 건물에 적용시켜 실현한다고 해도 고층 건물의 외부에 일정거리를 이격하여 상기 고층건물과 대등한 높이를 갖는 구조물 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적게 들고 건물의 미관에도 영향을 크게 끼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led by Mr. Seung Hwan Yoon can be realized without any structure having a height equal to that of the high-rise building by being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high-rise building, possible to the outer wall projecting realized with only installation of an elevator landing so contains less expensive and easily sikigido applicable to existing buildings, even if achieved by applying a new building apart from each other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outside of the high-rise buildings having a comparable height as the high-rise building Since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structure ,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less expensive and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2. 발명자 권순태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907005 의 발명 내용 리프트형 완강기 는 수십 층 또는 수백 미터 높이의 고층건물에서 사람을 태우고 하강 시에 리프트가 바람에 회전하거나 건물 외벽에 충돌하는 위험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인 윤승환이 출원하는 이 발명 내용은 리프트(엘리베이터)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 파이프 속으로 가이드 로프가 기둥 역할을 하므로 그러한 위험이 없다. 2. Inventor of KWON Soon-Tae , inventor of patent registration No. 100907005 In a lift-type stiffener , there is a risk that a lift rotates in the wind or collides with an outer wall of a building when people ride on a high-rise building several tens of stories or hundreds of meters high.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iled by Yoon Seung-hwan himself, does not present such a risk because the guide rope acts as a pillar into the guide pipe formed at the edge of the elevator.

3. 발명자 이기성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5220510000 의 발명 내용은 고층건물의 화재 시 창문이나 발코니 등을 통하여 프레임(크레인 붐) ㄱ 자 형태로 와이어 설치하고 그 와이어 끝에서 1줄의 와이어를 타고 사람이 매달려 내려가는 발상 이다. 이 방법은 그 방법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특수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인은 공포심에 질려서 수십 층 내지 수백 미터의 고층에서 실행 자체가 힘들고, 그 방법으로 내려온다고 할지라도 바람과 기류의 영향으로 사람이 건물 외벽과 충돌 위험이 있다. 3.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the inventors of the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05220510000 selfishness is the person riding the wire of the a party to install the wires form the frame (crane boom) through the fire upon the windows or balconies of high-rise buildings, and one line at the end of the wire It is the idea of hanging down . Even if you know how to do this, even if you know how to do it, ordinary people who are not specially trained will be frightened and run on high floors of tens to hundreds of meters, and even if they come down that way,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이에 반하여, 본인 윤승환이 출원하는 이 발명 내용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둥 줄 역할을 하는 가이드 로프와 메인 로프 덕분에 엘리베이터 속에서 사람들이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iled by Yoon Seung-hwan himself, can safely descend in the elevator thanks to the guide rope and the main rope , which are vertically formed and serve as pillar bars .

이기성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5220510000의 발명 내용본인 윤승환의 발명 내용의 가장 큰 차이는, 이기성의 발명은 ㄱ자 형태를 이루는 1줄의 와이어 타고 사람이 곡예를 하면서 위험하게 내려간다는 것이고, 본인 윤승환의 발명은 일체형 복합 윈치에서 수직 형태로 내려오는 4줄의 가이드 로프를 기둥 삼아 1줄의 메인로프에 매달린 엘리베이터 를 타고 사람들이 안전하게 내려간다는 것이다. 즉 이기성의 발명 내용에는 프레임 끝단에 일체형 복합 윈치 를 형성하는 내용이 없기 때문에 1줄의 와이어로 사람이 탈출할 수밖에 없고 소방배관이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형성하여 화재진압을 할 수 있다는 개념이 성립될 수 없는 것이다. Will have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the contents of selfishness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05220510000 and I yunseunghwan, the invention of selfishness will take the wire of the first line forms the angled shape guy goes down dangerously while juggling of my yunseunghwan The invention is that in an integral multi-piece winch, four rows of guide ropes descending in a vertical form are used as pillars to lift people down safely in an elevator suspended from a single main rope . In other words, there is no content to form an integral multi-winch at the end of the frame, so the concept of being able to extinguish a person with a single wire and forming an elevator with a fire pipe is not established will be.

이기성의 발명 내용은 프레임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ㄱ 자 형태로 구동되어 이동 차제가 어려운데 반하여, 본인 윤승환의 발명은 일체형 복합 윈치에서 내려오는 수직으로 내려오는 와이어로프를 거두어 들이면 건물의 옥상에서도 레일을 타고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차이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vention of Yi Sung-sung shows that while the wire connected to the frame is driven in the form of a letter, it is difficult to move the car. On the contrary, Yoon Seung-hwan's invention takes the wire rope descending vertically down from the integral multi- There is a difference in freely travelable ride .

4. 발명자 권혁전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701790 의 발명 내용은 엘리베이터 내부나 외부의 일정한 위치에 자체적인 구동력을 발휘 할 수 있는 엔진이나 밧데리 등의 자체 발생 동력수단 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용이한 주행 이동성을 고려한 미션 , 바퀴, 조향장치로 구성된 주행수단과, 건물의 옥상에서 아래 지면으로 길게 늘어뜨려진 두 가닥의 와이어 타고 상방으로 스스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태클 형태의 와이어풀리와 , 화염의 임시소 등 또는 화재 자체의 진압 들을 목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벽체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 (충전)할 수 있는 물통 과, 상기 물통과 배관 연결된 후 일정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물 분사구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The inventors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0 701 790 Kwon before the mission its power generation means such as an engine or a battery that can exert its own drive power on a certain position of the elevator inside or outside, and the ease of running the elevator Considering portability , wheels, drive means, and tackling the form of a wire pulley that allows you to climb themselves upward riding the wires of the two strands of Jean disappointed hold increases to the ground below from the rooftop of the building, such as the temporary address of flame or fire itself consists of a steering system A water tank capable of fill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into the wall of the elevator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the water in the elevator, and a water jet opening capable of jetting wat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fter the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is provided .

그런데 권혁전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701790의 발명 내용의 도면을 보면 건물의 옥상에서 아래 지면으로 길게 늘어뜨려진 두 가닥의 와이어 를 매개로 오르내리는 엘리베이터 내부나 외부의 일정한 위치에 자체적인 구동력을 발휘 할 수 있는 엔진이나 밧데리 등의 자체 발생 동력수단 이 엘리베이터의 한쪽 면 모서리 가까이에 설치될 수밖에 없어서 공중에 떠 있는 엘리베이터의 무게 중심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옥상에서 아래 지면으로 길게 늘어뜨려진 채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 두 가닥의 와이어는 바람에 흔들려 엘리베이터가 회전하거나 건물 벽에 출동할 위험이 많고, 두 가닥의 와이어가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무게중심이 뒤틀릴 수밖에 없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구륜이 두 줄의 와이어를 벗어나 화재가 난 공중에 매달린 채 고장이 난 상태로 그 속에 들어있는 사람들이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However, looking at the drawing of the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0 701 790 before Kwon to exert its own drive power on a certain position of the elevator inside or outside of the up-and-down the wire to the parameters of the two binary disappointed stretched to the ground below in the roof of a building strand A self-generated power means such as an engine or a battery is inevitably installed close to the edge of one side of the elevator, and serious problems aris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levator floating in the air. The two wires are shaken by the wind and there is a high risk of the elevator rotating or moving to the building wall. Even if the two strands of wires are fixed on the floor, the center of gravity It is very likely that those inside the elevator that are inevitably out of this way are out of the two-wire wire and are hanging in the air, hanging in the fire, and are in danger.

이에 반하여, 본인 윤승환이 출원하는 이 발명 내용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내부나 외부의 일정한 위치에 자체적인 구동력으로 상하 수직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옥상에 설치된 메인 윈치(6) 에 연결된 메인 로프(2) 만으로 비상용 엘리베이터( 1) 를 구동하므로 그 장치가 간단하여 화재 발생 시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고장의 위험이 없고, 보통 엘리베이터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 파이프가 4개의 가이드 로프를 지지하여 기둥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회전이나 충돌의 위험이 없다. On the contrary,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Since the emergency elevator 1 is driven only by the main rope 2 connected to the main winch 6 installed on the roof, rather than vertically moving by a self-driving force at a certain position inside or outside the elevator, There is no risk of breakdown when floating in the air, and the guide pipe formed at the elevator edge normally supports the four guide ropes to form a column, so there is no risk of rotation or collision.

그리고 권혁전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701790의 발명 내용은 화재 자체의 진압 들을 목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벽체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 충진 )할 수 있는 물통을 설치 하는데 반하여, 본인 윤승환의 발명은 옥상 물탱크 소화전엘리베이터에 형성된 소방배관소방호스로 연결하여 사다리차가 도달하지 못하는 초고층 건물의 상부라도 화재진압을 실현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And the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0 701 790 previous Kwon is contrary to installing the water bottle in the amount of water to freshwater (filled) i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in the purpose of fighting the fire itself and the invention of my yunseunghwan the rooftop water tank, fire hydrant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fire suppression can be realized even at the upper part of the skyscraper where the ladder can not reach by connecting the fire pipe formed in the elevator with the fire hose .

5. 발명자 권혁전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7017890000 의 발명 내용은 고층건물 옥상의 일 측에 일정한 길이의 와이어를 좌우방향으로 선회 작동할 수 있는 와 이어 좌우 선회장치와, 그 일 측에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선회장치 와이어의 선회작동에 따라 좌우 일정 간격 이동이 자유롭고 엘리베이터의 리프팅 매개체인 상하 리프팅 안내용 와이어가 권설된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장치에 권설된 상태에서 건물의 하방 지면으로 두 가닥 늘어뜨려져 엘리베이터의 리프팅 매개로 작용하는 엘리베이터 상하 리프팅 안내용 와이어와, 상기 건물 바닥으로 하향 늘어뜨려진 두 줄의 상하 리프팅 안내용 와이어에 선택 장착된 상태에서 그 와이어를 타고 스스로 리프팅 구동하면서 필요한 건물 외벽 위치로 이동하여 인명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리프팅 구동장치를 가지 구조용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5. Kwon inventors prior patent registration number 1007017890000 invention information, high-rise building with roof work and the left and right turning device after the turning operation to the wir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one guide rail of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side of the , The upper and lower lifting inner wire, which is a lifting medium of the elevator, is freely movable at right and left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 to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guide rail and the swivel device wire And gwonseol the elevator drive system, and the elevator should not driving the elevator up and down the lifting, which acts as the lower surface into two strands becomes disappointed increased lifting parameters of the elevator of the building in the gwonseol state to the device information, the wire, the two binary down disappointed increased to bottom of the building And a wire lifting drive device for lifting the wire in a state where the wire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lifting wire of the wire and lifting the wire to move to a required outer wall position of the building to carry out lifesaving operation.

그래서 발명자 권혁전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7017890000 의 발명내용 중에서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레일 고층 건물 옥상 외벽 밖으로 형성 될 수밖에 없어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계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고, 구조물의 낙하 위험이 상존하고, 건물 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그 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기계장치가 비바람에 노출되어 장기간 보존 유지가 힘들다. Therefore, among the inventions of the inventor Kwon Hyuk KIPO registration No. 1007017890000 , the guide rail of a certain length is inevitably formed outside the roof of a high-rise building, so that it is difficult to design and manufacture robustly to withstand a large load, It is not good to look at the building, and the elevator mechanism installed on it is exposed to wind and rain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t for a long time.

이에 반하여 본인 윤승환이 출원하는 이 발명 내용의 레일은 옥상 바닥 위에 설치하므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계 제작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들고, 구조물의 낙하 위험이 없고, 건물 미관상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으며, 옥상 외벽 안쪽으로 엘리베이터 격납고가 형성되어 비바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장기간 보존 유지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ed by Mr. Seung Hwan Yoon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rooftop so that it can be easily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withstand a large load, is low in cost, has no risk of falling down of the structure, ,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serv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y preventing an elevator hangar from being formed inside the roof top wall to be exposed to wind and rain.

6. 발명자 이현달의 특허청 등록번호 1007371970000 의 발명 내용을 요약하면 2대의 원동기(윈치)에서 2줄의 와이어로프를 1대의 탑승기 (엘리베이터) 상부에 연결 결합하여 엘리베이터를 오르내리는 장치이다. 그래서 이현달의 이 발명 내용 또한 엘리베이터를 오르내리게 하는 와이어로프만 있을 뿐 수십 층 또는 수백 미터의 고층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오르내릴 때 흔들림과 회전과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기둥 줄 역할을 하는 가이드 로프 를 발명하지 못하고 있다.
6. Inventor In summary, the patent registration No. 1007371970000 of the inventor Lee Hyun-moon is a device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wo wire ropes from two prime movers (winches) to the upper part of a boarding elevator (elevator) to elevate the elevator . Therefore, the invention of Lee Hyun-moon also invented a guide rope that acts as a pillar that can avoid swinging, rotation and collision when the emergency elevator rises and falls in a tier of several tens or hundreds of meters, I can not.

고층 건물 화재 시 인명피해를 막으려면 열기와 연기를 피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만들어내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발명은 고층 건물 화재 시 열기와 연기를 피하여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f you want to prevent damage to people in high-rise buildings, you can create an elevator system that avoids heat and smok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capable of rescuing life and death by avoiding heat and smoke in a high-rise building fire.

그리고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iority application is added as follows.

사다리차가 도달하지 못하는 고층건물의 상층부에도 옥상 물탱크 소화전 소방호스와 연결되는 소방배관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여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fire suppression by forming an elevator system having a firepipe connected to a roof water tank fire hydrant hose at an upper part of a high-rise building where a ladder can not reach.

고층 건물 화재 시 건물 내부의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통로는 화염의 통로가 되어 건물 내부에 연기가 채워지고 온도와 압력이 올라갈 수밖에 없어서, 본 발명은 고층 건물 화재 시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건물 외부에 형성하는 방법을 택한다.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fire, the stairway or elevator passage inside the building is filled with smoke and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crease due to the passage of the flame,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ethod of forming the emergency elevator outside the building do.

본 발명은 고층 화재 시 화염에 의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서리에 수직으로 가이드 파이프(3) 가 달린 비상용 엘리베이터(1) 를 형성하는 단계, 고층 건물 옥상 외벽이나 상층부 외벽에서 돌출되어 수직으로 비상용 엘리베이터 를 오르내릴 수 있는 메인 윈치(6) 와 엘리베이터가 수직으로 상하운동을 할 때 흔들림이나 회전을 막아주어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는 가이드 로프(5) 를 오르내릴 수 있는 가이드 윈치(7)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1)의 모서리에 부착된 가이드 파이프(3) 속으로 가이드 로프(5) 를 통과시켜 그 가이드 로프 하단에 가이드 로프 고리(8) 를 형성하는 단계, 엘리베이터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 파이프(3)를 통과한 가이드 로프 고리(8)가 수직으로 바닥으로 내려왔을 때 그 고리를 고정할 수 있는 바닥 고정 장치인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사이의 건물 외벽에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통과하거나 멈출 수 있는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damage caused by a flame during a high-level fire,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emergency elevator (1) having a guide pipe (3) perpendicular to a corner; A main winch 6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upper layer and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the emergency elevator and a guide rope 5 capable of acting as a pillar by preventing the swing or rotation when the elevator moves vertically up and down into the guide winch 7, steps for installing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the device is formed, the edge of the guide pipe (3) attached to the elevator (1) that the passed through a guide rope (5) forming a rope guide ring (8) at the bottom of the guide rope, the guide pipe 3 formed in the elevator edge Excessive guide rope ring (8) is vertical when came down to the bottom step of installing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bottom fixture capable of fixing the ring,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and the guide rope floor And installing an outer wall elevator landing platform (17) through which the emergency elevator can pass or stop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etween the rings (10) .

그리고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iority application is added as follows.

옥상 외벽 난간 안쪽 방향으로 기둥(67)을 세우고 그 기둥 위에 옥상 난간(40) 안팎으로 멈춤 벽(68)이 있는 안전벽 기둥 레일(66)을 설치한 다음, 그 안전벽 기둥 레일(66)위에 가이드 윈치(7)메인 윈치(6)전기선 릴(48)이 형성된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을 형성하는 단계, 옥상 난간(40)과 평행하게 옥상 바닥에 레일(63) 을 설치하고 그 레일 이에 레일바퀴 이동 패널(71)을 설치하여 그 레일바퀴 이동 패널(71) 위로 상기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을 설치하여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2) 을 형성하는 단계, 그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2)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 을 형성하는 단계, 그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을 보관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에 설치된 레일의 일부분에 엘리베이터 격납고(70) 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레일바퀴 이동 패널(71) 위로 회전판(87) 회전 기둥(88) 을 설치하고 그 회전 기둥(88) 위로 붐 윈치(93) 와 연결되는 다단 붐(89) 을 형성하는 단계, 그 다단 붐 끝단(90) 가이드 윈치(7)메인 윈치(6)전기선 릴(48)이 설치된 일체형 복합 위치(47) 를 내재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을 형성하는 단계, 그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아래로 소방 파이프(102)소방 관창(103)이 설치된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형성하는 단계, 화재 시 그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에 연결할 수 있는 옥상 물탱크 소화전(107) 소방 호수(106)를 연결할 수 있는 소방 파이프(102) 다단 붐(89)에 설치하여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A pillar 67 is plac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roof top wall rail and a safety wall pillar rail 66 having a stopping wall 68 is installed on the pillar inside and outside the roof railing 40 and then mounted on the safety wall pillar rail 66 Guide winch 7 and the main winch 6 and the electric wire reel (48) on the ground is formed, the roof pillar above the rail wheel moving-panel-integrated composite winch forming a lift system 69, in parallel with the roof rails (40), the roof rail 63 is installed to, and the rail the rail wheels move panel 71 by installing the rail wheel moving panels 71 onto the roof pillar above the rail wheel moving-panel-integrated composite winch to install the elevator system 69, the rail wheels moving the composite panel-integrated winch to form a lift system 72, the rail wheel moving-panel-integrated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72 the safety railing rail wheel moving-panel-integrated clothing for on board Forming a winch elevator system 81 step, the elevator silo 70 to a portion of the board for the safety railing rail wheel moving-panel-integrated composite winch rail installed on the roof floor to reserve the elevator system (81) to form a, forming a multi-stage boom (89) is above the rail wheel moving panel 71 installed on the spindle 87 and the rotation pole 88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column (88) over the boom winch 93, the multi-stage boom forming a hem (90) guide the winch 7 and the main winch 6 and the electrical cord reel 48, the elevator machine room 13, which is inherent in an integral composite position 47 is installed on, the elevator machine room (13) forming a fire protection pipe 102 and the fire gwanchang fire pipe elevator 105, 103 is installed down, and smoke when the fire pipe roof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levator 105, a tank water hydrant 107 And a firepipe 102 capable of connecting the fire- fighting lake 106 to the multi-stage boom 89 to form a multi-stag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7 .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옥상이나 상층부 외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에서 메인 로프(2) 메인 윈치(6) 에 매달려 있는 엘리베이터(1) 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그 엘리베이 터(1)의 모서리에 형성된 가이드 파이프(3 ) 속으로 가이드 로프(5) 를 바닥 가까이 먼저 내려서 가이드 로프 고리(8)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에 고정한 다음, 가이드 윈치(7) 가이드 로프(5) 를 끌어당겨 팽팽히 하면 가이드 로프(5) 기둥 역할을 하게 된다. 그래서 팽팽히 고정된 가이드 로프(5) 가 기둥 역할을 하게 되면 메인 윈치(6) 를 풀어서 메인 로프(2) 비상용 엘리베이터(1) 를 내리면 바람에 의한 회전이나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바닥까지 수직 하강시킬 수 있다. The invention the elevator in a high rise-based elevator (1) of the building on the roof or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that is formed to the upper part projecting from the outer wall hanging on ropes 2 and the main winch 6 is exactly as (1) guide the guide tube (3) in the guide rope (5) formed on the edge of the next, the guide winch (7) fixed on the floor near the first and lowering the guide rope ring (8) to guide the rope bottom ring (10) rope The guide rope 5 serves as a pillar when the guide rope 5 is pulled and tightened. Thus, when the guide rope 5, which is tightly fixed, acts as a pillar, the main winch 6 is unfastened and the emergency elevator 1 is lowered with the main rope 2, so that it can be vertically lowered to the floor safely without wind or rotation .

이와 같은 방법은, 기둥이나 벽을 설치해야 하는 기존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는 달리, 위에서 수직으로 내리는 와이어로프만으로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둥 줄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의 상하 수직 이동을 안전하고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고층 건물의 옥상과 바닥 사이를 오르내릴 수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Unlike conventional elevator systems where pillars or walls need to be installed, this method can form a pillar that acts as a pillar only by vertically lowering the wire rope from above, allowing the elevator to move up and down vertically and safely It is possible to form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etween the roof and the floor of a high-rise building at a low cost.

그리고 고층 건물 화재 시 인명 구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사이의 수직 외벽에 돌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인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을 형성해놓으면 사람들이 옥상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가까운 그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1) 를 타고 빨리 바닥까지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ifesaving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an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platform 17, which is an elevator platform projected from a vertical outer wall between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and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mergency elevator 1 can be safely lowered to the floor quickly by riding on the emergency elevator landing platform 17 near the outer wall .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고층 건물 화재 시에 엘리베이터가 밀폐된 이동 통로를 통하여 상하 수직 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외벽의 가이드 로프를 타고 상하이동을 하므로 열기에 타죽거나 연기에 질식할 위험이 사실상 없어지거나 현저히 줄어든다.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ove up and down vertically through a closed passageway when a high-rise building is in a fire, but moves up and down on a guide rope of an outer wall of a building, Or significantly reduced.

현대의 건축기술은 이미 세계 각처의 도시에 수십 층 수백 미터 높이의 고층 건물들이 즐비하고 앞으로도 계속 늘어만 가는 추세인데 반하여, 고층 건물 화재 시 사다리차가 닿지 않는 고층의 경우 인명구조에 무방비 상태나 다름없는데, 이 발명을 이용하면 적은 비용으로 기존의 고층 건물에도 화재 시 인명 구조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고, 새로 건축 되는 고층 건물에도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면 화재 등 비상 시 고귀한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odern building technology has already been on the rise in the cities of several tens of floors and hundreds of meters tall in the cities around the worl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high-rise buildings that do not reach ladder- With this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an elevator system for emergency rescue in case of fire even in a conventional high-rise building at a low cost and to form an elevator system of the invention in a newly built high-rise building, There is an effect.

그리고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덧붙이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iority application is added as follows.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2) 을 형성하면 레일바퀴 이동 패널(71) 위에 장착되어 있는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이 평상시에는 옥상 외벽 안쪽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비바람에 의한 시스템 유지가 가능하고,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 을 이용하면 옥상 바닥에 깔린 레일(63) 을 타고 건물 사방의 벽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화재의 발원지와 바람의 방향에 따라 인명구조가 가능하고,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을 이용하면 고가 사다리가 도달하지 못하여 그동안 불가능하였던 고층 건물 상층부의 화재진압도 가능하게 된다. Rail wheel moving-panel-integrated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72 to when the rail wheels move panel 71 is mounted on the roof pillar above the rail wheel moving-panel-integrated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69, which forms the normal times to go to the inside roof outer wall The system can be maintained by the windlass because it is housed in the elevator hangar 70 and the elevator system 81 of the integral winch railing moving platform integrated railway railing can be used to ride the rails 63 on the roof floor,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wall, so that the lifesaving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e fire and the direction of the wind, and when th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7 is used, the elevated ladder can not reach the upper ladder, .

그리고 이 발명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원리가 단순하여 제작비용과 시공비용이 적게 들고, 견고하고, 안전하고, 사용방법이 편리하고, 반영구적으로 관리 유지가 쉽다는 것이다.
The principle of the emergency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construction cost are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is robust, safe, easy to use, and semi-permanently maintained.

도 1a는 모서리에 가이드 파이프(3) 가 형성되어 있고 메인 로프(2) 에 연결되어있는 위아래 부분이 뾰족한 비상용 엘리베이터(1)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1b는 도 1a의 내부구조를 알 수 있는 상세도 다.
도 1c는 도 1a에 있어서 가이드 파이프(3) 사이를 관통하는 가이드 로프(5) 를 따라 엘리베이터(1)가 상하로 수직 이동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이 부분 도 1c 에 대해서 도 1d 도 1의 설명을 덧붙인다.
도 1d는 도 1c에 있어서, 가이드 파이프(3)엘리베이터(1) 본체 사이에 파이프 날개(25) 를 형성한 일례다.
도 1e는 도 1d에 있어서 가이드 파이프(3) 바깥 쪽에 점점 커지는 마찰 방지 충격 흡수 바퀴(26) 를 형성해놓은 일례다.
도 2a는 메인 로프(2) 메인 윈치(6) 에 연결되어 있고 가이드 로프(5) 가이드 윈치(7) 에 연결된 상태에서, 메인 로프(2) 에 매달려있는 엘리베이터(1) 가이드 파이프(3) 를 통과한 가이드 로프(5) 하단에 가이드 로프 고리(8) 가 달려있는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2b는 도 2a에 대한 상세도 다.
도 2c는 도 2a에 있어서, 가이드 로프 고리(8) 들을 연결하여 모아놓은 일례다.
도 2d는 도 2c에 있어서, 메인 로프(2)에 매달린 엘리베이터(11)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먼저 가이드 로프 고리(8)만 바닥 가까이 내린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2e는 도 2d에 있어서, 가이드 로프 고리(8)들을 풀어놓자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바닥(9)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들과 맞닿기 직전의 모습이다.
도 2f는 가이드 로프 고리(8) 들을 바닥(9)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에 고정한 후 가이드 윈치(6)가이드 로프(5)들을 팽팽할 정도로 끌어당겨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둥 줄 을 만들어놓은 상태이고,
도 2g는 메인 윈치(6)메인 로프(2)를 풀어서 엘리베이터(1)가 기둥 역할을 하는 가이드 로프(5)를 타고 바닥(9) 가까이 내려온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3a는 바닥(9)에 형성된 비상용 바닥 엘리베이터 승강장(11)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3b는 도 3a의 상세도 이다.
도 3c는 도 3a에 있어서, 고층 건물 비상용 엘리베이터(11)바닥(9)비상용 바닥 엘리베이터 승강장(11)으로 내려오는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4a는 고층 건물의 옥상 외벽이나 상단 외벽에 형성하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4b는 도 4a에 대한 상세도 다.
도 4c는 도 4a의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을 여러 개 합쳐서 형성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복합 승강장(16)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5a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바닥(9) 사이의 고층 건물 외벽에 형성하는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5b는 도 5a의 상세도 이다.
도 5c는 도 5a를 위에서 내려다보는 평면도 이다.
도 5d는 도 5a의 실내를 들여다볼 수 있는 내부도 다.
도 5e는 도 5a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을 통과하는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5f는 도 5e에 있어서, 상하로 수직 이동하는 엘리베이터(1)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5g는 도 5f를 고층 건물의 외벽에 형성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5h는 도 5a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을 여러 개 합쳐서 형성한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4) 을 나타내는 일례의 사시도 다.
도 5i는 도 5h에 대한 평면도 이다.
도 5j는 도 5h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4)을 통과하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5k는 도 5d와 도 5e에 있어서, 화재 시 사람들이 외벽 돌출 승강장(17)으로 피신하여 있는 내부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 다.
도 5l은 도 5k와 도 5g에 있어서, 화재 시 사람들이 외벽 돌출 승강장(17)에 피신하여 있는 상태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상하로 운행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 이 부분에 대하여 5m 도 5n 도 5o 도 5p 도 5q 도 5r 도 5s 도 5t 도 5u 의 설명을 덧붙인다.
도 5m은 도 5a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에 있어서 건물 상부에 다수의 층을 계단으로 연결해놓은 수직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7) 이다.
도 5n은 도 5m의 내부구조를 알 수 있는 상세도 다.
도 5o는 도 5m에 있어서 다수의 층들이 계단으로 연결되는 내부도 다.
도 5p는 도 5h와 도 5m을 응용하여 결합한 ㅜ 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8) 이다.
도 5q는 도 5h와 도 5m을 응용하여 결합한 十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9) 이다.
도 5r은 고층 건물 상부에 어떤 층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로써 하단 외벽과 우측 외벽에는 중앙 복도 옆으로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통하는 방화벽(21) 이 형성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5s는 도 5r 건물의 사시도 다. 방화벽과 외벽에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으로 통하는 방화 기능을 겸한 출입문(22) 이 형성된 모습이다.
도 5t는 도 5s에 있어서 출입문(22) 앞으로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ㅜ 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8) 이 형성되어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가동 중인 상황도 다.
도 5u는 도 5s에 있어서 출입문 앞으로 수직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7) 十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9) 이 형성되어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가동 중인 상황도 다.
도 6a, 도 6b, 도 6c, 도 6d는 이 발명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고층 건물에 적용시킨 여러 가지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다.
이하 모든 도면에 대한 설명은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추가되는 내용들이다.
도 7a는 이 발명의 바닥(9) 비상용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 수직 바닥이나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수직 하강할 약속된 자리의 바닥 철골(30) 위에 고리가 달린 쇠말뚝(31) 을 고정한 다음,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아래까지 레미콘(32) 을 부어 넣은 다음, 바닥 고리(10) 둘레에 주변 지면 높이에 맞추어 돌 판이나 금속판으로 엘리베이터 바닥 승강장임을 알 수 있는 경계석(9) 을 표시하는 형틀 을 만든 다음, 뚜껑이 있는 작은 홀(33) 바닥 고리에 씌운 다음, 패널 경계석작은 홀(33) 사이에 다시 레미콘을 부어 넣어 응결시키는 작업공정도 이다.
도 7b는 도 7a에 이어지는 작업공정으로 레미콘을 응결시킨 다음, 그 콘크리트 바닥에 비상용 엘리베이터 승강장 자리임을 표시하는 글씨를 새겨 넣어서, 이 발명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완성한 사시도 다.
도 7c는 도 7b에 있어서, 작은 홀(33) 뚜껑(34) 을 연 다음, 옥상에서 내려온 가이드 로프(5) 아래 달려있는 가이드 고리(8) 바닥 고리(10) 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황도 다.
도 7d는 도 7b에 있어서, 수직으로 위에 있는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4)에 맞추어 그 바닥에 3개의 복합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나란히 형성된 사시도 다.
도 7e는 도 7d에 있어서, 옥상에서 3대의 엘리베이터 가이드 로프들이 그 수직 아래 있는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4) 사이를 통과하여 내려와 가이드 로프 고리(8) 들이 바닥 고리(10) 에 고정되어 있는 사시도 다.
도 8a는 30센티미터에서 100센티미터 정도 길이의 위에 고리가 달린 나선형 금속 말뚝(35) 에 맞추어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내려올 약속된 바닥에 드릴(36) 로 수직 구멍을 뚫은 다음, 그 구멍 안으로 자갈이 섞이지 않은 레미콘이나 시멘트 풀(32) 을 조금 부어 넣은 다음, 시멘트 풀이 들어찬 그 구멍 속으로 위에 고리가 달린 나선형 금속말뚝(35) 을 집어넣어 고리(10) 부분만 위로 솟아있도록 고정한 작업공정도 다.
도 8b는 도 8a에 이어지는 다음 공정으로, 바닥 고리 둘레에 주변 지면 높이에 맞추어 엘리베이터 바닥 승강장임을 알 수 있는 경계석(9) 을 표시하는 형틀을 만든 다음, 뚜껑이 있는 작은 홀(33) 바닥 고리(10) 에 씌운 다음, 형틀 경계석작은 홀(33) 사이에 다시 레미콘을 부어 넣고 형틀 밖으로도 레미콘을 부어서 평탄작업을 하여 응결시킨 다음, 엘리베이터 비상용 승강장 을 알리는 글씨를 새겨 넣은 작업공정도 다.
도 9a는 20센티미터에서 50센티미터 정도 길이의 윗부분에 고리가 달리고 아랫부분은 나선으로 이루어진 앵커 볼트(37) 에 맞추어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내려올 약속된 바닥에 드릴(36) 로 수직 구멍을 뚫은 다음, 그 앵커 볼트(37) 를 수직 구멍에 심고 너트(38) 를 돌려서 단단히 고정한 다음, 앵커 볼트와 구멍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으로 묽은 액체 접착제(39) 를 넘치도록 주입한 다음, 그 주위에 경계선을 표시하고 바닥마감재의 색깔을 달리하고 엘리베이터 비상용 승강장 자리임을 표시하는 글씨를 새겨 넣어서, 이 발명의 바닥 비상용 엘리베이터 (9)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작업공정도 다.
도 9b는 도 9a에 있어서, 옥상에서 내려온 가이드 로프(5) 아래 달려있는 가이드 고리(8) 바닥 고리(10) 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황도 다.
도 10a는 옥상 난간(40) 옆 바닥에 철근(41) 을 깔고, 그 철근에 고리가 달린 볼트(42) 를 고정한 다음, H빔(43) 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들을 이용하여 H빔을 그 볼트에 끼워 넣어 고정한 다음, 옥상 난간 밖으로 돌출된 H빔의 위로 쇠기둥(44) 을 세우는 작업공정도 다.
도 10b 도 10a에 있어서, 볼트(42) 너트 를 단단히 조여서 H빔 바닥 철골 에 단단히 고정한 작업공정도 다.
도 10c는 도 10b에 있어서, 철골 위로 상하 통로(45) 가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 바닥(46) 형틀 로 만든 다음, 레미콘(32) 을 부어 넣어 응결시키는 작업공정도 다.
도 10d는 도 10c에 있어서, 메인 윈치(6) 가이드 윈치(7) 가 설치되어 있고 수직으로 로프가 통과할 수 있는 상하 통로(45) 가 형성된 일체형 복합 윈치(47) 쇠기둥(44) 위로 고정한 작업공정도 다.
도 10e는 도 10d에 있어서, 일체형 복합 윈치(47)에 설치된 메인 위치(6) 전기선 릴(48) 을 연결하여 연동 시키는 작업공정도 다.
도 10f는 도 10e에 있어서, 일체형 복합 윈치(47) 아래로 비상용 엘리베이터(1) 를 연결한 다음, 가이드 윈치(7)들을 전기선(49) 으로 연결하여 연동시킨 다음, 가이드 윈치(7)메인 윈치(6)전기선 릴(48)을 전력이 공급되는 동력 전선(50) 에 연결한 다음, 가이드 윈치의 상하 수직 운동을 조절하는 가이드 윈치 전원 스위치(53) 전기선 릴(48)에 연결하여 엘리베이터 안에 설치한 다음, 옥상에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에는 메인 윈치(6)전기선 릴(48)을 연동하여 상하 수직 운동을 조절하는 메인 윈치와 전기선 릴 전원 스위치(52) 스위치 전기선(51) 을 형성한 작업공정도 다. 이때 옥상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에 설치된 메인 윈치와 전기선 릴 전원 스위치(52) 에는 가이드 윈치 전원 스위치(53)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도 10g는 도 10f에 있어서,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행하는 개요도 다. 이때 엘리베이터 안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전원 스위치(53) 전기선 릴(48) 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적인 신호로 연동 되는 메인 윈치(6) 를 컨트롤하여 상하 수직 운동을 수행한다.
도 10h는 도 10f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기계실(13) 방화벽(14) 과 옆으로 통할 수 있는 출입문(22) 을 형성한 작업공정도 다.
도 10i는 도 10h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사시도 다. 도 4a의 보정 도면 이기도 하다.
도 10j는 도 10i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상세도 다.
도 10k는 도 10i에 있어서, 병렬하여 형성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복합 승강장(16) 이다. 도 4c의 보정 도면 이기도 하다.
도 10l은 도 10i에 있어서, 옥상 바닥과 옥상 외벽 난간(40) 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의 일례다.
도 10m은 상기 내용들을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한 고층 건물에서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행하는 상황도 다. 고층건물에 불이 나자 옥상 외벽 난간에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복합 승강장(16) 에서 가이드 윈치가이드 로프를 먼저 내려서 바닥(9) 에 형성되어 있는 바닥 고리가이드 고리를 걸어서 팽팽히 한 다음, 메인 윈치 비상용 엘리베이터 를 상하 수직 운동시키면서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 十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9) 에 피신하여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바닥으로 실어 나르는 모습이다.
도 11a는 두꺼운 철판(54) 상하 통로(45) 를 형성한 다음, 윈치들을 고정한 윈치 홈(55) 을 형성한 다음, 중앙의 윈치 홈에는 메인 윈치(6) 를 고정하고 그 주변 윈치 홈에는 가이드 윈치(7) 들을 고정한 다음, 가이드 윈치들을 전기선(49) 으로 연결하여 연동시킨 다음, 메인 윈치 옆에는 전기선 릴(48) 을 고정시켜 메인 윈치와 연결하여 메인 윈치 전기선 릴 을 하나로 연동 시킨 작업공정도 다.
도 11b는 도 11a의 일체형 복합 윈치(47) 를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시킨 개요도(사시도) 다.
도 11c는 도 11b에 있어서 일체형 복합 윈치(47)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을 형성한 상세도 다.
도 12a는 수직으로 상하 통로(45) 가 형성된 두꺼운 철판(54) 에 대형 와이 어 릴(56) 이 장착된 대형 가이드 윈치(7) 를 고정한 다음, 그 중앙에는 대형 메인 윈치(6) 를 고정한 다음, 전기선 릴(48) 을 고정하고 메인 윈치 와 연동시키는 작업공정도 다.
도 12b는 도 12a의 일체형 복합 윈치(47) 를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시킨 개요도 다.
도 13a는 로프가 내려갈 수 있는 상하 통로(45)가 형성된 두꺼운 철판(54)에 2대의 대형 가이드 윈치(7) 도르래 와이어(58) 가 장착된 1대의 메인 호이스 트( 57) 를 고정한 다음, 전기선 릴(48) 을 고정시켜 메인 호이스트(57) 와 연동시켜서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를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13b는 도 13a의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도르래 와이어(58) 파이프 날개(25) 가 2개 달린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연결한 다음, 가이드 로프 고리 2개를 바닥(9)바닥 고리에 연결하여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시킨 개요도 다.
도 14a는 4대의 가이드 윈치(7) 와 1대의 메인 호이스트(57) 와 1대의 전기선 릴(48) 상하 통로(45) 가 형성된 두꺼운 철판(54) 에 고정시켜서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를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14b는 도 14a의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도르래 와이어(58) 파이프 날개(25) 가 4개 달린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연결한 다음, 가이드 로프 고리 4개를 바닥(9) 바닥 고리에 각각 연결하여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시스템에 적용시킨 개요도 다.
도 15a는 양쪽에 사각 돌출부(60) 가 형성된 4대의 가이드 윈치(7) 들을 같은 사각 형태의 상하 통로(61) 가 형성된 두꺼운 철판(54) 에 고정한 다음, 메인 이스트(57) 를 고정한 다음, 전기선 릴(48) 을 고정하고 메인 호이스트에 연동하여,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를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15b는 도 15a의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도르래 와이어(58) 파이프 날개(25) 가 4개 달린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연결한 다음, 가이드 로프 고리 4개를 바닥(9) 바닥 고리에 각각 연결하여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시킨 개요도 다.
도 16a는 상하 통로가 없는 두꺼운 철판(62) 의 아랫부분에 가이드 윈치(7) 들과 메인 윈치(6) 전기선 릴(48) 을 고정한 다음, 일체형 복합 윈치(47) 를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16b는 도 16a의 일체형 복합 윈치(47) 를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시킨 개요도 다.
도 17a는 레일(63) 위로 레일바퀴(64) 가 달려 있는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를 장착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17b는 도 17a의 레일(63)에 있어서 안전 벽이 있는 안전 벽 기둥 레일(66) 을 형성한 사시도 다.
도 17c는 도 17b의 상세도 다.
도 17d는 옥상 기둥(67) 에 앞뒤로 멈춤 벽(68) 이 형성된 안전 벽 기둥 레일(66) 위로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를 장착한 다음, 그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에서 메인 로프 엘리베이터 를 연결한 다음, 가이드 로프 가이드 파이프 속으로 통과시킨 다음, 가이드 로프 하단에 가이드 고리(8) 를 연결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17e는 도 17d의 다음 공정으로 완성된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사시도 다.
도 17f는 도 17e에 있어서,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가 옥상 외벽과 수직으로 설치된 안전 벽 기둥 레일(66) 위를 앞뒤로 이동하는 상황도 다.
도 17g는 고층 건물 화재 발생 시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에서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가 옥상 외벽 밖으로 이동하는 상황도 다.
도 17h는 도 17g의 다음 작업으로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이 운행되어 인명을 구조하는 상황도 다.
도 17i는 도 17h의 다음 작업으로 화재가 진압된 다음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가 옥상 외벽 안쪽으로 다시 이동하는 상황도 다.
도 17j는 도 17i에 있어서, 옥상 안쪽에 비바람을 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으로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가 들어가 있는 상황도 다.
도 17k는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이 건물 옥상을 가로질러 형성되어 1대 또는 2대의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가 건물의 앞뒤로 이동하면서 운영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상황도 다.
도 17l은 도 17k에 있어서 그 중앙에 엘리베이터 격납고(70) 가 형성되어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그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에 들어가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 다.
도 18a는 옥상 바닥에 옥상 외벽과 수평으로 형성된 레일(63) 위로 레일 바퀴(64)가 달린 레일바퀴 이동 패널(71)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을 결합한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2) 사시도 다.
도 18b는 도 18a의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2)레일바퀴 이동 패널(71) 위로 콘크리트 균형 패널( concrete balance panel, 73) 을 적재시킨 레일바퀴 이동 패널 균형추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4) 사시도 다.
도 19는 도 18a에 있어서, 레일바퀴 이동 패널(71)의 건물 안쪽으로 레일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76) 를 형성한 다음, 그 레일바퀴 이동패널 돌출부 아래 세 번째 레일(75) 과 맞물리는 자리에 레일바퀴(64) 를 형성한 다음, 레일바퀴 이동패널 돌출부 위로 콘크리트 균형 패널(73) 을 쌓아올려 레일바퀴 돌출부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7) 을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0a는 도 18a의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72)에 있어서, 레일바퀴 이동 패널(71)콘크리트 균형 패널(73) 자체로 계단(78) 을 형성한 다음, 그 계단 위에 난간 바닥(79) 을 깔고 안전 난간(80) 을 설치하여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 을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0b는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 이 옥상 위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에 들어 있다가 옥상 외벽과 평형하게 형성된 레일(63)을 타고 나와서 좌우로 움직이는 상황도 다.
도 20c는 고층 건물 화재 시 옥상 엘리베이터 격납고(70)에 들어있던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 레일(63)을 타고 밖으로 나온 다음, 바닥(9) 에 형성된 비상용 엘리베이터 승강장 자리에 멈춰선 다음, 가이드 로프(5)를 내려서 가이드 고리바닥 고리에 고정시키고 팽팽히 한 다음, 메인 로프엘리베이터를 수직 상하운행하면서, 이 발명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가동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상황도 다.
도 20d는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 이 옥상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에 들어 있다가 옥상 외벽 둘레로 형성된 레일(63) 을 타고 원형 으로 회전하는 상황도 다.
도 21a는 도 18a에 있어서, 레일바퀴 이동 패널(71)의 건물 안쪽으로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를 형성한 다음, 레일바퀴 이동패널 돌출부(71) 위로 콘크리트 균형 패널(73)을 쌓아올린 다음, 누름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83) 을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1b는 옥상바닥에 철근(41) 을 깔고 그 철근에 고리가 형성된 ㄱ 자 철골(84) 을 결속한 다음, 그 ㄱ 자 철골 ㄱ 자 형틀(85) 을 설치한 다음, 그 ㄱ 자 형틀 안팎으로 레미콘(32) 을 부어 넣어 응결시킨 다음, ㄱ 자 누름 패널(86) 을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1c는 누름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3) 레일(63)을 타고 움직이면서,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ㄱ 자 누름 패널(86)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하는 상황도 다.
도 21d는 레일(63) 뒤로 ㄱ 자 누름 패널(86) 이 형성된 옥상에서 누름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3) 엘리베이터 격납고(70)를 빠져나와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ㄱ 자 누름 패널(86) 속에 들어있는 상태에서 정지한 다음, 이 발명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가동 중에 있는 상황도 다.
도 22a는 레일바퀴 이동패널(71) 위로 회전판(87) 회전 기둥(88) 을 설치한 다음, 그 회전 기둥(88) 위로 다단 붐(89) 을 설치한 다음, 그 다단 붐 끝단(90) 일체형 복합 윈치가 내재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을 설치한 다음, 레일바퀴 이동 패널(71)의 건물 안쪽으로 바퀴(91) 가 달린 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92) 를 형성한 다음, 그 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92) 위로 콘크리트 균형 패널(73)을 적재한 다음, 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92) 뒤편에 붐 윈치(93) 를 설치한 다음, 도르래(94) 를 통하여 붐 윈치(93)다단 붐 끝단(90) 와이어(95) 로 연결한 다음, 붐 윈치(93)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전기선(96) 이 통하는 전기선 릴(48) 을 설치한 다음,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을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2b는 도 22a의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97) 다단 붐을 뽑지 않은 채 옥상 외벽 둘레로 설치된 레일(63) 을 따라 회전하다가 필요한 위치에 멈추어서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시스템을 가동하는 상황도 다.
도 22c는 레일 위를 움직이던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이 정지하여 다단 붐(89)을 편 다음, 회전판(87) 을 회전하여 회전판 위의 회전 기둥(88) 을 회전시키는 상황도 다.
도 22d는 옥상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에 들어있던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레일(63)을 타고 빠져나와 다단 붐(89)을 뽑은 상태와, 회전판(87)을 이용하여 회전 기둥(88) 을 회전시켜 다단 붐 끝단(90)에 설치된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건물의 옆 벽 아래로도 내려갈 수 있다는 상황을 나타내는 상황도 다.
도 23a는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의 뒤쪽에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를 형성한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지지대 발판(98) 을 들어올려 레일(63)을 타고 움직이다가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ㄱ 자 누름 패널(86)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하여 지지대 발판(98)을 내리는 상황도 다.
도 23b는 도 23a의 상태에서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다단 붐 을 밀어내서 뽑는 상황도 다.
도 23c는 옥상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에 들어있던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이 레일을 타고 밖으로 나와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 ㄱ 자 누름 패널(86)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다단 붐(89) 을 뽑고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가동하는 상황도 다.
도 24a는 벽이 열린 비상용 엘리베이터(100) 를 형성한 다음, 소방호스 커플링(101) 으로 연결되는 소방 파이프(102) 소방 관창(103)) 이 설치된 소방 배관(104) 을 형성한 다음, 벽이 열린 비상용 엘리베이터(100) 안에 소방 배관(104)을 설치하여,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4b는 다단 붐(89)커플링(101)으로 소방 파이프(102)를 연결한 다음, 다단 붐 끝단(90)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를 설치한 다음, 소방 파이프(102) 끝에 커플링(101)으로 소방 호수(106) 를 연결한 다음,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를 필요한 위치로 내린 상태에서 소방 호수(106) 끝을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의 윗부분 소방 파이프 커플링(101) 으로 연결하는 작업공정도다.
도 24c는 도 24b를 부분 확대한 모습으로, 다단 붐(89) 붐 윈치 와이어(95) 로 끌어들인다는 것을 보여주고,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안의 일체형 복합 윈치 동력 전선(96) 으로 작동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다.
도 24d는 고층 건물 화재 시 옥상 엘리베이터 격납고(70)에 들어있던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레일(63)을 타고 밖으로 나와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 ㄱ 자 누름 패널(86)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한 다음, 다단 붐(89) 을 뽑은 다음, 다단 붐 끝단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에서 가이드 로프 바닥(9) 에 내리고 가이드 고리바닥 고리에 고정시켜 가이드 로프를 팽팽히 한 다음, 메인 로프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화재 발생 지점 층보다 2층 3층 정도 아래까지 내린 다음, 옥상 물탱크 소화전(107) 소방호스(106) 를 연결한 다음, 바람을 등진 상태에서 소방배관 엘리베이터 (105) 에 설치된 소방 관창 (103) 에서 뿜어져 나오는 물로 불을 끄고 있는 상황도 다.
도 25a는 다단 붐 끝단(90)일체형 복합 위치(47)가 들어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을 설치한 다음,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아래로 소방배관 엘리베이 터(105) 를 설치한 다음, 다단 붐(89)엘리베이터 기계실(13) 사이에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가 형성되어 있는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110) 를 설치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5b는 도 25a의 다음 공정으로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110) 속으로 물이 들어있지 않고 비어있는 소방 호수(106) 를 통과시켜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밖으로 빼내는 작업공정도 다. 이때 소방 호수(106) 외경(바깥지름) 은 호수 속으로 물이 가득 찰 경우 그물망 원통 파이프 (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안지름 보다 약간 더 크게 한다.
도 25c는 도 25b의 다음 공정으로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밖으로 빠져나온 소방 호수(106) 끝에 커플링(101) 을 연결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5d는 도 25c의 다음 공정으로 소방 호수(106)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커플링(101) 으로 결합한 다음, 동력 전선(96)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에서 메인 윈치를 작동시켜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필요한 위치로 하강시키는 작업공정도다.
도 25e는 도 25d의 다음 공정으로 가이드 로프를 기둥 삼아 메인 로프로 필요한 위치만큼 하강시킨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가 정지한 상태에서 커플링(101) 으로 연결된 소방 호수(106) 를 타고 내려온 물이 소방 관창(103) 을 통하여 분사되는 상황도 다. 이때 비어있는 소방 호수(106) 속으로 물이 가득 차면서 호수 속의 수압 때문에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안지름보다 외경(바깥지름)이 더 큰 소방 호수(106) 가 팽팽하게 부풀어 오르면서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사이로 파고들어 그 마찰력 때문에 소방 호수(106)가 아래로 끌려 내려가지 않아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110) 의 꺾인 부분에서도 호수 속의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의 세로 방향을 적당히 조밀하게 형성하면 마찰력이 커진다.
도 25f는 고층 건물 화재 시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99) 이 옥상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에 들어 있는 상태에서 다단 붐(89) 을 뽑지 않고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가동하여 인명 구조를 할 수 있는 상황을 보여주기도 하고,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레일(63)을 타고 밖으로 나와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 ㄱ 자 누름 패널(86)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화재진압을 할 수도 있다는 상황을 보여주는 상황도 다.
도 26a는 2장의 석면 포(111) 사이에 케블라 ( kevlar ) 고리(112) 를 놓은 다음, 2장의 석면 포를 겹쳐서 케블라 고리의 줄 부분에 박음질(113) 을 한 다음, 박음질 부분에 액체 상태의 순간접착제(39) 를 뿌려서 2장의 석면 포케블라 고리 줄을 완전히 결속시킨 다음, 1장의 고리 달린 석면 포(114) 를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6b는 도 25e에 있어서,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를 통과하여 빠져나온 소방 호수(106) 의 표면에 고리 달린 석면 포(114) 를 휘감아 붙인 다음, 리달린 석면 포(114) 순간접착제(39) 를 뿌려서 소방 호수(106) 고리 달린 석면 포(114) 를 완전히 결속시킨 다음,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고리(115) 에 부착되어 있는 줄 고리(116) 고리 달린 석면 포(114) 고리 에 연결하여 팽팽히 한 다음, 소방호스(106)가 아래로 끌려 내려가지 못하게 한 상황도 다.
도 27a는 내부 고무호스(120) 호스 날개(118) 금속 구멍(117) 이 형성된 외부 질긴 호스(119) 속으로 삽입한 다음 접착제(39) 로 결합하여 날개에 구멍이 있는 소방호스(121) 를 형성하는 작업공정도 다.
도 27b는 도 25e에 있어서 날개에 구멍이 있는 소방 호스(121)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를 통과하여 빠져나오게 한 다음, ㄱ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고리(115) 에 부착되어 있는 줄 고리(116) 호스 날개(118) 구멍(117) 속으로 끼워 넣은 다음, 줄 고리(116) 를 팽팽히 하여 날개에 구멍이 있는 소방 호스 (121) 가 아래로 끌려 내려가지 못하게 한 상황도 다.
1A,  At the corner Guide pipes (3) Is formed Main Rope (2)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re pointed The elevator (1) Representing an example of Perspective All.
         Fig.  ≪ RTI ID = 0.0 > Details All.
         Figure 1c  1A,Guide pipes (3) Pierce Guide rope (5) AlongThe elevator (1)Is vertically moved upward and downward Perspective All.
         While applying for a priority This part 1C about 1d Wow 1, Add it.
Figure 1d  1C,Guide pipes (3)WowThe elevator (1) Between the body Pipe Fittings (25) .
         ≪ RTI ID =  In Figure 1dGuide pipes (3) Growing outward Anti-friction shafts (26) .
         2a,   Main Rope (2) The Main winch (6) ≪ / RTI > Guide rope (5) The Winches for guide (7)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Main Rope (2) Hanging on The elevator (1) of Guide pipes (3) Passed through Guide rope (5)  At the bottom Guide rope rings (8) Indicative of an example of Perspective All.
         Fig.  2a, Details All.
         Figure 2c  2A, Guide rope rings (8) It is an example of connecting together.
         Figure 2d  2C,Main Rope (2)Hanging onThe elevator (11)Leave it as is.Guide rope rings (8)Representing only one example Perspective All.
         Figure 2e  In Figure 2d,Guide rope rings (8)Let's untie them. Floor (9) of Guide rope bottom ring (10) It is the state just befor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ield.
         Figure 2f   Guide rope rings (8) They Floor (9) of Guide rope bottom ring (10) After fixingGuide winches (6)inGuide rope (5)Pulling them tightCan serve as pillars Pillars In this case,
         Figure 2g  Main winch (6)inMain Rope (2)To releaseThe elevator (1)PillarGuide rope (5)RideFloor (9) An example of a descending descent Perspective All.
         3A,  Floor (9)Formed in Lift platforms for emergency floors (11) Representing an example of Perspective All.
         Figure 3b  3A, Details to be.
         Figure 3c  In Fig. 3A,The elevator (11)endFloor (9)ofLift platforms for emergency floors (11)Example of Perspective All.
         4A is a cross-  It is formed on the roof outer wall or the upper oute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Elevators for elevators (12) Representing an example of Perspective All.
         Figure 4b  4A Details All.
         Figure 4c  4A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platform (12) Multiple 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Compound Platform (16) Representing an example of Perspective All.
         Figure 5a  Elevators for elevators (12)andFloor (9)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s of the high-rise buildings 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17) Representing an example of Perspective All.
         Figure 5b  5A Details to be.
         Figure 5c  5a from above Floor plan to be.
         Figure 5d  5A, Interior view All.
         Figure 5e  5A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17)ThroughEmergency elevatorIndicating Perspective All.
         Figure 5f  In Fig. 5E,The elevator (1)Indicating Perspective All.
         FIG.  5F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high-rise building Perspective All.
         Figure 5h  5A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17)Formed by combining several Exterior wall elevation combined platform (24) Example of Perspective All.
         5I,  5H Floor plan to be.
         5J shows  5hExterior wall elevator combined platform (24) Representing an elevator passing Perspective All.
         5k,  In Figures 5d and 5e,Outer wall protruding platform (17)Showing the internal situation of escaping to Perspective All.
         Figure 51  In Figures 5K and 5G,Outer wall protruding platform (17)And the emergency elevator is operated up and down Perspective All.
         While applying for a priority , This part about Degree 5m 5n 5O 5P 5q 5R 5S 5t Figure 5u .
5M,  5A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17)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Vertical Exterior Wall Extension Multi-platform platform (27) to be.
         5n,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 Details All.
5O  In Figure 5m, multiple layers are connected in steps Interior view All.
FIG.  5H and 5M are combined and applied ⇒ Extruded exterior wall elevator combined platform (28) to be.
Figure 5q  5H and 5M are combined and applied Cross-shaped extruded elevator combined platform (29) to be.
Figure 5r  The upper part of a high-rise building Floor plan The lower outer wall and the right outer wall are adjacent to the central corridor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Through Firewall (21) Is formed.
5 (S)  Figure 5r Building Perspective All. On firewalls and outer walls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17)As well as fire protection The door (22) .
Figure 5t  In Fig.The door (22) Forward 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17) and ⇒ Extruded exterior wall elevator combined platform (28) So that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Situation diagram All.
Figure 5u  In Fig.Door Forward Vertical Exterior Wall Extension Multi-platform platform (27) and Cross-shaped extruded elevator combined platform (29) So that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operation Situation diagram All.
6A, 6B, 6C, Figure 6d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the emergency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high-rise building Perspective All.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all drawings is added while applying for priority.
         Figure 7a  This invention Floor (9) Emergency elevator platformA method according to claim 1,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Vertical floor or emergency elevator is located at the appointed place to vertically descend Floor and ceiling (30) on A pile of stones with rings on it (31) And then, Guide rope bottom ring (10)  Down Ready mixers (32) Lt; / RTI > Bottom rings (10)  Surrounded by a stone plate or metal plate (9) that the floor of the elevator floor can be recognized as a platform, To indicate Mold Then, Small halls with lid (33) ofBottom ringThen,Panel boundariesandSmall Hall (33) BetweenRemiconPour Work process diagram to be.
Fig.  After the ready-mix concrete is condensed in the work process following FIG. 7A, Emergency elevator platform  And the completion of the emergency elevator platform of this invention Perspective All.
Figure 7c  7B, Small Hall (33) of The lid (34) , Then descend from the roof Guide rope (5)  Underneath Guide ring (8) To Bottom rings (10) Indicating a fixed state Situation diagram All.
Figure 7d  In Figure 7b,Exterior wall elevation combined platform (24)There are threeMultiple elevator platformSide by side Perspective All.
Figure 7E  In Fig. 7D, three elevatorsGuide ropeAre vertically belowExterior wall elevation combined platform (24) It goes down through Guide rope rings (8) They Bottom rings (10) Fixed to Perspective All.
Figure 8a  From about 30 centimeters to about 100 centimeters long Spiral metal peg with ring on top (35) On the promised floor where the emergency elevator will come down Drills (36) A vertical hole is drilled in the hole, and then a concrete mixer Cement plaster (32) Into a hole filled with cement paste. Spiral metal peg with ring on top (35) Put in The ring (10)  Fixed so that only part of the top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In the next step following Figure 8A,Bottom ring To the perimeter of the ground around the height (9) that the floor of the elevator floor can be recognized as a platform, And then, Small halls with lid (33) of Bottom rings (10) Then,Mold bordersandSmall Hall (33) BetweenRemiconAnd then poured a concrete mixer out of the mold to perform a flattening operation, Elevator emergency platform Engraved Work process diagram All.
9A is a cross-  20 centimeters to 50 centimeters long Anchor bolts (37) with rings on the top and spirals on the bottom, In accordance withEmergency elevatorOn the floor promised to come down Drills (36) After drilling a vertical hole with Anchor bolts (37) In a vertical hole Nuts (38) And then fix it firmly,Anchor boltInto an empty space between Adhesive for liquids (39) And then the boundary is marked around it, the color of the flooring finish is changed Elevator emergency platform  By inscribing the letter indicating the seat, Elevators, floor, emergency (9) Indicating how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ure 9b  In Fig. 9A, Guide rope (5)  Underneath Guide ring (8) To Bottom rings (10) Indicating a fixed state Situation diagram All.
10A,   Roof railing (40)  On the next floor Reinforcing steel (41) To the reinforcement Bolts with ring (42) And then, H beam 43, The H beams are inserted and fixed in the bolts using the holes formed in the roof rails,H beamTop The iron column (44) Erect Work process diagram All.
10B The 10A, Bolts (42) on nut Tightly H beam of Bottom steel frame Firmly attached to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In Fig. 10B, The upper and lower passages (45) With Elevator machine room overhang platform floor (46) of Mold Then, Ready mixers (32) Pour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In Fig. 10C, Main winch (6) Wow Winches for guide (7) Is installed and the rope can pass vertically The upper and lower passages (45) Formed Multipurpose multi-purpose winch (47) ToThe iron column (44) Fixed up Work process diagram All.
≪ RTI ID =  In Fig. 10D,Multipurpose multi-purpose winch (47)Installed in Main location (6) on Electric Wire Reels (48) By connecting peristalsis Let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In Fig. 10E, Multipurpose multi-purpose winch (47)  Under Emergency lifts (1) And then,Winches for guide (7)They Electricity supply lines (49) And then,Winches for guide (7)WowMain winch (6)WowElectric Wire Reels (48)Powered Power cables (50) And then,Guide winchTo control the vertical up and down movement of Guide winch power switch (53) ToElectric Wire Reels (48)To the elevator, and then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platformThereMain winch (6)WowElectric Wire Reels (48)To adjust the up and down vertical motion Switches power push-twi ... (52) Wow Switching cable (51) Gt; Work process diagram All. At this time,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platformInstalled in Switches power push-twi ... (52) There Guide winch power switch (53)  Function is also included.
10g,  In Fig. 10F,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line map All. At this time, Elevator power switch (53) The Electric Wire Reels (48) AndAs an electronic signal peristalsis felled Main winch (6) To perform up-and-down vertical motion.
Figure 10h  In Fig. 10F, Elevator Machine Room (13) and Firewall (14) And sideways The door (22) Gt; Work process diagram All.
Figure 10i  In Fig. 10H, Elevators for elevators (12) of Perspective All. 4A, It is also.
10J,  The inside of Fig. 10i can be seen Details All.
10k,  In Fig. 10I, 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Compound Platform (16) to be. 4C, It is also.
≪ RTI ID =  In Fig. 10I, Roof railing (40) Formed in Elevators for elevators (12) .
10m,  Using the above contents,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high- Situation diagram All. When the high-rise building was lit.Roof railingThe formed Elevators for elevators (12) and 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Compound Platform (16) inGuide winchinGuide ropeFirst Floor (9) The formedBottom ringonGuide ringAnd then,Main winchin Emergency elevator Vertically and vertically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and Cross-shaped extruded elevator combined platform (29) It is a way of safely carrying people who are on the run to the floor.
11A is a cross-   Thick sheet steel (54) on The upper and lower passages (45) And then the winches are fixed Winch grooves (55) , And then the centralWinch homeThere Main winch (6) And the vicinity thereofWinch homeThere Winches for guide (7) And then,Guide winchThey Electricity supply lines (49) ToperistalsisThen, Main winch  Beside Electric Wire Reels (48) To fixMain winchIn conjunction with Main winch Wow Electric wire reel In one peristalsis Let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11A Multipurpose multi-purpose winch (47) Is applied to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view (perspective) All.
Fig.  11B, Multipurpose multi-purpose winch (47) on Elevator Machine Room (13) Gt; Details All.
12A is a cross-  Vertically The upper and lower passages (45) Formed Thick sheet steel (54) Large on Why All relays (56) Large equipped with Winches for guide (7) And then, at the center thereof, Main winch (6) And then, Electric Wire Reels (48) And Main winch Interlocking with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12A Multipurpose multi-purpose winch (47) Is applied to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line map All.
Figure 13a  The rope can go downThe upper and lower passages (45)FormedThick sheet steel (54)Two large Winches for guide (7) Wow Pulley Wires (58) One equipped with main Hoi ( 57) And then, Electric Wire Reels (48) To fix main Hoists (57) In conjunction with Integrated guide winch and main Hoists (59)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13A Integrated guide winch and main Hoists (59) of Pulley Wires (58) on Pipe Fittings (25) With twoEmergency elevatorAnd then,Guide rope ring TwoFloor (9)ofBottom ringWhich is applied to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line map All.
14A is a cross-  Four Winches for guide (7) And one main Hoists (57) And one Electric Wire Reels (48) of The upper and lower passages (45) Formed Thick sheet steel (54) Tighten the Integrated guide winch and main Hoists (59)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14B is a cross-  14A, Integrated guide winch and main Hoists (59) of Pulley Wires (58) on Pipe Fittings (25) With fourEmergency elevatorAnd then,Guide rope ring Four Floor (9) ofBottom ringTo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line map All.
15A is a cross-  On both sides The rectangular protrusion 60, Four Winches for guide (7) Like them The upper and lower passages (61) Formed Thick sheet steel (54) And then, main number East (57) And then, Electric Wire Reels (48) Andmain HoistIn conjunction with this, Integrated guide winch and main Hoists (59)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15A Integrated guide winch and main Hoists (59) of Pulley Wires (58) on Pipe Fittings (25) With fourEmergency elevatorAnd then,Guide rope ring Four Floor (9) ofBottom ringTo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line map All.
16A,   Thick steel plate without upper and lower passageways (62) At the bottom of Winches for guide (7) With Main winch (6) Wow Electric Wire Reels (48) And then, Multipurpose multi-purpose winch (47)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16 (b)  16A, Multipurpose multi-purpose winch (47) Is applied to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line map All.
Figure 17a   The rail (63)  up Railway wheels (64) With Multiple winches for integrated ... (65) To mount Work process diagram All.
17 (b)  17AThe rail (63)With a safety wall in Safety Wall Pillar Rails (66) Gt; Perspective All.
17 (c)  17B Details All.
FIG.   Roof Tops (67) Back and forth to The stop wall (68) Formed Safety Wall Pillar Rails (66)  up Multiple winches for integrated ... (65) And then, Combined winch with integrated rail wheel in Main rope in elevator And then, Guide rope To Guide pipe  And then,Guide rope At the bottom Guide ring (8) To connect Work process diagram All.
17 (e)  After completion of the next step of Fig. Roof rails integrated on roof tops Integrated winch Elevator system (69) of Perspective All.
Figure 17f  17E, Multiple winches for integrated ... (65)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roof outer wall Safety Wall Pillar Rails (66)  Moving up and down Situation diagram All.
17g,  In case of fire in a high-rise building Roof rails integrated on roof tops Integrated winch Elevator system (69) in Multiple winches for integrated ... (65) Move out of the roof top wall Situation diagram All.
Figure 17h  In the next task of Figure 17g Rail-mounted rails integrated on a pillar-type multi-winch elevator system (69) To run the rescue Situation diagram All.
Figure 17i  After the fire is extinguished by the next operation of Figure 17h Multiple winches for integrated ... (65) Move back inside the rooftop wall Situation diagram All.
17J,  In Fig. 17 (i), the roof Elevator hangars (70)  Inward Multiple winches for integrated ... (65) In Situation diagram All.
17 (k)   Rail-mounted rails integrated on a pillar-type multi-winch elevator system (69) It is formed across the roof of the building and has one or two Multiple winches for integrated ... (65) Is an example of how the Situation diagram All.
Figure 17l  In Fig. 17K, Elevator hangars (70) Is formedEmergency elevatorTheElevator hangars (70) Indicative of the situation in Perspective All.
Figure 18a  It is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rooftop outer wall on the roof top floor. The rail (63)  upRailway wheels (64)With Panels for moving rails (71) onRail-mounted rails integrated on a pillar-type multi-winch elevator system (69)Combined Rail-mounted traveling-trolleys, multifunctional Winch elevator systems (72) of Perspective All.
Fig.  18ARail-mounted traveling-trolleys, multifunctional Winch elevator systems (72)ofPanels for moving rails (71) up Concrete Balance Panel ( concrete balance panel, 73) Loaded Rails Wheel transport panels Balance with integral multi-winch Elevators systems (74) of Perspective All.
19 is a cross-  In Fig. 18A,Panels for moving rails (71)Inside of the building Rail wheel moving panel protrusion (76) And then,Rail wheel moving panel protrusion bottom The third rail (75) In place Railway wheels (64) Lt; / RTI >Rail wheel moving panel protrusion up Concrete balance panels (73) Build up Rail wheel protrusion Movable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77)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18ARail-mounted traveling-trolleys, multifunctional Winch elevator systems (72)In this case,Panels for moving rails (71)andConcrete balance panels (73) By itself Stairs (78) And then on the step Floor balusters (79) Lay Safety rails (80) By installing Safety rails for boarding rails Integrated wheel-mounted elevator system (79)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Safety rails for boarding rails Integrated wheel-mounted elevator system (79) Formed on this rooftop Elevator hangars (70)  And is formed in equilibrium with the outer wall of the roof.The rail (63)Move out of Situation diagram All.
Fig.  High-rise building fire rooftopElevator hangars (70)In Safety rails for boarding rails Integrated wheel-mounted elevator system (79) thisThe rail (63)To get out, Floor (9) Formed inEmergency elevator platformThen,Guide rope (5)DownGuide ringToBottom ringAnd then tightened,Main ropeinelevatorWhile operating the emergency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scue people Situation diagram All.
FIG.   Safety rails for boarding rails Integrated wheel-mounted elevator system (79) Formed on this rooftopElevator hangars (70) And is formed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roof. The rail (63) Ride circle Rotated by Situation diagram All.
FIG.  In Fig. 18A,Panels for moving rails (71)Inside of the building The pushing mobile panel protrusion 82, Lt; / RTI >Rail wheel moving panel protrusion (71) Back ConeClearance Balance Panel (73)And then, Movable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83)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21 (b)  On the roof top Reinforcing steel (41) AndrebarRing formed in Steel framework (84) And then,A.on The a- And thenA form Inside and out Ready mixers (32) After pouring, The sub-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Movable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83) thisThe rail (63)As you ride, The pushing mobile panel protrusion 82, end The sub- Stopping in the inside Situation diagram All.
Fig.  The rail (63) backwards The sub- On the formed roof Movable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83) thisElevator hangars (70)Exit The pushing mobile panel protrusion 82, end The sub-  And then the emergency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Situation diagram All.
22A is a cross-  Panels for moving rails (71) up The rotating plate (87) and Pillars (88) And thenPillars (88) up Multi-stage boom (89) And then The multi-stage boom end (90) onIntegrated multiple winchIntrinsic Elevator Machine Room (13) Then,Panels for moving rails (71)Inside of the building Wheels (91) With The wheel-moving panel protrusions (92) And then,The wheel-moving panel protrusions (92) upConcrete balance panels (73)Then,The wheel-moving panel protrusions (92) Behind Winches for boom (93) Then, Pulley (94) throughWinches for boom (93)WowThe multi-stage boom end (90)of Boom Wires (95) And then, Winches for boom (93) onElevator Machine Room (13)in Electric cables (96) Through Electric Wire Reels (48) Then,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stage winch elevator system (97)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22B is a cross-  22A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stage winch elevator system (97) thisMulti-stage boomInstalled around the outer wall of the roof without unplugging The rail (63) And then stops at the required position to start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tuation diagram All.
Figure 22c  Moving on the rail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stage winch elevator system (97) This stopsMulti-stage boom (89)Then, The rotating plate (87) On the rotating plate Pillars (88) Rotate Situation diagram All.
Fig.  rooftopElevator hangars (70) Insid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stage winch elevator system (97) thisThe rail (63)Get out ofMulti-stage boom (89)And,The rotating plate (87)Using Pillars (88) To rotateThe multi-stage boom end (90)Installed inEmergency elevatorIndicating that the building can be moved down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Situation diagram All.
23A,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stage winch elevator system (97)On the back of The pushing mobile panel protrusion 82, Gt; Pushing Mobile panel Projection Rotary plat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9) this Supporting platforms (98) Lift up.The rail (63)Moving on The pushing mobile panel protrusion 82, end The sub- Stop while in the insideSupporting platforms (98)Down Situation diagram All.
Fig.  In the state of FIG. 23A Pushing Mobile panel Projection Rotary plat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9) this Multi-stage boom Push out Situation diagram All.
Fig.  rooftopElevator hangars (70) Inside Pushing Mobile panel Projection Rotary plat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9) Get out on this rail The push moving panel projection end The sub- In the inside Multi-stage boom (89) And operates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tuation diagram All.
24A is a cross-   Emergency elevator with open wall (100) Lt; / RTI >Fire hoseWow Coupling (101) Connected to Pipes for water, gas (102) Wow Fire department (103)) Installed Fire-fighting piping (104) Lt; / RTI >Emergency elevator with open wall (100) inFire-fighting piping (104)Respectively, Fire-fighting elevators (105)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Multi-stage boom (89)onCoupling (101)toPipes for water, gas (102)And then,The multi-stage boom end (90)onFire-fighting elevators (105)Then,Pipes for water, gas (102) At the endCoupling (101)to Fire-fighting lakes (106) And then,Fire-fighting elevators (105)To the required positionFire-fighting lakes (106) EndFire-fighting elevators (105)Upper part ofFire pipeon Coupling (101) To the work process.
Figure 24c  FIG. 24B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Multi-stage boom (89) silver Boom winch Wires (95) As well as the fact that it ' Elevator Machine Room (13)  in Integrated multiple winch The Power leads (96) To show that Perspective All.
FIG.  High-rise building fire rooftopElevator hangars (70)In Pushing Mobile panel Projection Rotary plat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9) thisThe rail (63)Come out with The push moving panel projection end The sub- After stopping in the inside, Multi-stage boom (89) Then,Multi-stage boom endInstalled in Elevator Machine Room (13) inGuide ropeTo Floor (9) DownGuide ringToBottom ringTo fixGuide ropeAfter tightening,Main ropein Fire-fighting elevators (105) Is lowered to about two to three stories below the fire point layer, Roof water tank fire hydrant (107) on Fire hoses (106) After connecting the wind, Fire-fighting elevators (105) Installed in Fire Protection (103) With the water coming out of Situation diagram All.
25A,  The multi-stage boom end (90)onIn one embodiment,Containing Elevator Machine Room (13) Then,Elevator Machine Room (13) Under Fire pipe Eleven (105) Then,Multi-stage boom (89)andElevator Machine Room (13) Between Mesh cylindrical pipes (108) Wow Cylindrical pipes of the net (109) Is formed Pipe Fittings (1) To install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25A, Mesh cylindrical pipes (108) Wow Pipe Fittings (1)  If there is no water inside, Fire-fighting lakes (106) Through Cylindrical pipes of the net (109)  Pull out Work process diagram All. At this time Fire-fighting lakes (106) of Outer diameter (outer diameter) Is full of water in the lake Mesh cylindrical pipes (108) Wow Cylindrical pipes of the net (109) of Inside diameter .
Fig.  In the next step of Fig. Cylindrical pipes of the net (109)  Out Fire-fighting lakes (106)  At the end Coupling (101) To connect Work process diagram All.
Figure 25d  In the next step of Fig. Fire-fighting lakes (106) Wow Fire-fighting elevators (105) To Coupling (101) ≪ / RTI >Power leads (96)Connected to Elevator Machine Room (13) inMain winchTo operate Fire-fighting elevators (105) To the required positionWork process diagramAll.
Figure 25E  In the next step of FIG.Guide ropeAs a poleMain ropeTo the required position Fire-fighting elevators (105) In the stopped state Coupling (101) Connected by Fire-fighting lakes (106) Water coming down Fire Protection (103) Injected through Situation diagram All. At this time, Fire-fighting lakes (106)  Because of the water in the lake, Mesh cylindrical pipes (108) Wow Cylindrical pipes of the net (109) ofInside diameterseeOuter diameter (outer diameter)This larger Fire-fighting lakes (106) As the bulge swellsMesh cylindrical pipes (108) Because of the frictional forceFire-fighting lakes (106)Is not pulled down Pipe Fittings (1) The water in the lake is supplied smoothly even at the broken part of the lake. Cylindrical pipes of the net (109) The frictional force is increased.
Figure 25f  High-rise building fire Pushing mobile panel protrusion Rotating plat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9) This rooftop Elevator hangars (70) In the state of Multi-stage boom (89)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to unlock the life-saving structure, Pushing Mobile panel Projection Rotary plat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9) thisThe rail (63)Come out with The push moving panel projection end The sub- Showing the situation that it is possible to stop by entering into the inside and to extinguish the fire by the above method Situation diagram All.
26A, Two Asbestos Foil (111)  Between Kevlar ( kevlar ) Ring (112) And then the twoAsbestosOverlayKevlar ringIn the line of Stuffing (113) , And then a liquid state Instant adhesives (39) 2AsbestosWowKevlar ring Once the ropes are fully bonded, one Asbestos cufflinks (114)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In Fig. 25E, Cylindrical pipes of the net (109) Exiting through Fire-fighting lakes (106) On the surface of Asbestos cufflinks (114) And then, The Asphaltene (114) on Instant adhesives (39) By spraying Fire-fighting lakes (106) Wow Asbestos cufflinks (114) Lt; RTI ID = 0.0 > ㄱ network cylindrical fire pipe ring (115) Attached to The chain link (116) To Asbestos cufflinks (114) of ring And then,Fire hoses (106)Not let down Situation diagram All.
FIG. Internal Rubber Hose (120) To Hose wing (118) on The metal (117) Formed External Hose (119)  And then insert Adhesive materials (39) In combination with Fire hoses with the w ... (121) To form Work process diagram All.
Fig. In Fig. 25E Fire hoses with the w ... (121) end Cylindrical pipes of the net (109) And then, The Mesh Cylindrical Fire Fighting Pipe Rings (115) Attached to The chain link (116) To Hose wing (118) of The hole (117)  And then, The chain link (116) By tightening Fire hoses with the w ... (121) Not let down Situation diagram All.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와 같이 메인 로프(2)로 상하 수직이동이 가능한 엘리베이터(1)의 모서리에 가이드 파이프(3)를 형성하면 도 1c와 같이 가이드 로프(5)가이드 파이프(3) 속으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The guide rope 5 can pass through the guide pipe 3 as shown in Fig. 1C when the guide pipe 3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elevator 1 which is vertically movable up and down by the main rope 2 as shown in Fig. .

이때 가이드 로프(5)는 1줄도 가능하고, 2줄 이상이면 엘리베이터의 상하 이동 시 회전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4줄을 내리면 사방으로 기둥 줄이 생겨서 보다 안전하고, 가이드 파이프(3) 내부에는 베어링(bearing, 쇠구슬) 을 배열해 놓으면 가이드 로프(5)와 마찰을 줄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rope 5 can be one row, and if the elevator is two or more lines, rotation and shaking can be prevented when the elevator is moved up and down . If the bearings are arranged in the inside, friction with the guide rope 5 can be reduced.

도 2a와 같이 가이드 로프(5)의 아래 끝 부분에 가이드 로프 고리(8)를 형성하면 바닥(9)에 고정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도 2c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끌어올려 가이드 로프 고리(8)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모아놓을 수도 있고, 화재 발생 등 비상시에는 도 2d와 같이 가이드 윈치(7)를 이용하여 가이드 로프 고리(8)들을 하나로 연결시켜 놓은 상태 그대로 바닥(9) 가까이 내린 다음, 도 2e와 같이 가이드 로프 고리(8)들을 풀어서, 도 2f와 같이 가이드 로프 고리들(8)바닥(9)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에 고정한 후에 가이드 윈치(7)가이드 로프( 5)를 약간 잡아당겨 기둥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팽팽히 해놓은 상태에서, 메인 윈치(6)를 이용하여 메인 로프(2)를 풀어주면 엘리베이터(1)를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바닥(9)까지 내릴 수 있고, 메인 윈치(6)메인 로프(2)를 감으면 엘리베이터를 다시 위로 끌어올릴 수 있다. When forming the guide rope ring (8) on the bottom edge of the guide rope (5) as shown in Figure 2a may be fixed to the bottom (9) Normally, the pulled up the elevator guide rope ring 8 as shown in Figure 2c one may put together by connecting, fire, etc. in case of emergency, made near the guide winch to one 9 conditions as floor sewn connects the guide rope ring 8 using 7 as shown in Figure 2d and then, as shown in Fig. 2e guide rope releasing the ring (8), the guide rope (5) to guide the rope ring (8) to the bottom (9) guides the winch (7) after fixing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is installed in as shown in Fig. 2f The elevator 1 can be safely lowered to the floor 9 without loosening by releasing the main rope 2 by using the main winch 6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1 is pulled slightly to be able to serve as a pillar, When the main rope (2) is wound around the main winch (6) , the elevator can be lifted up again.

이때, 메인 로프(2) 는 엘리베이터를 들었다 올렸다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가이드 로프(5) 는 엘리베이터의 회전이나 흔들림을 막아주는 기둥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고, 윈치(winch) 호이스트(hoist) 로 대신할 수 있고, 로프(rope) 는 강철 철사를 여러 겹으로 합쳐 꼬아 만든 와이어(wire) 가 적당하고, 가이드 로프 고리(8) 를 크고 무겁게 만들수록 내릴 때 바람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In this case, the main rope 2 plays the role of lifting up and lifting the elevator, the guide rope 5 serves as a pillar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r shaking of the elevator, and the winch is replaced by a hoist can, rope (rope) is a wire (wire) made of steel wire twisted together with several layers of fitness, and more to create a guide rope ring (8) is less large, heavily affected by the wind when making.

그리고 바닥(9)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도 3a와 같이 비상용 바닥 엘리베이터 승강장(11)을 형성해놓으면, 도 3c에서와 같이 고층 건물 화재 시 사람들이 비상용 엘리베이터(1)를 타고 내려온 다음 엘리베이터에서 내려서 건물 안이나 지하 통로로 빠져나가면 위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의 피해도 예방할 수 있고, 소방관이나 구조대도 비상용 바닥 엘리베이터 승강장(11)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쉽게 위로 올라갈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floor elevator landing platform 11 is formed on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of the floor 9 as shown in FIG. 3A, when a high-rise building is fired as shown in FIG. 3C, people ride down the emergency elevator 1, The firefighter or the rescue team can easily ascend from the emergency floor elevator platform (11) by taking the elevator.

이상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면 고층 건물 화재 시에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는데, 도 4a와 같이 건물의 옥상 외벽이나 상단 외벽에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을 설치해놓으면 보다 효과적이고, 도 4c와 같이 엘리베이터 기계실 복합 승강장(16)을 형성해 놓으면 많은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으므로 빨리 사람들을 구할 수 있게 된다. Using the same principle above the elevator, such as high-rise buildings may prevent casualties in the event of a fire, even on the roof external wall or upper outer wall of the building, such as 4a release to install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more effective, 4c If the machine room complex platform 16 is formed, many emergency elevators can be operated, and people can be quickly obtained.

도 5a와 같이 옥상뿐만 아니라 고층 건물 외벽의 필요한 층마다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을 설치해 놓으면 화재 등 비상시에 사람들이 옥상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가까운 곳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11)를 타고 내려올 수 있는데,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도 5d와 같이 환풍구(19)방화벽(20, 21)을 형성해놓으면 사람들이 대피해 있는 동안 보다 안전할 수 있고, 도 5e와 같이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에 도착하면 도 5f 도 5g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타고 아래로 내려오면 되는 것이다. 도 5h와 같이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4)을 만들어놓으면 도 5j와 같이 사람들이 빨리 아래로 내려올 수 있다. As well as the roof, as 5a-rise release to install the curtain wall projects the elevator platform (17) for each layer necessary for building exterior walls even reach the people roof in case of an emergency or fire may come down riding the emergency elevator (11) in close proximity, exterior projects The elevator platform 17 can be safer while the people are evacuated by forming the ventilation holes 19 and the fire walls 20 and 21 as shown in FIG. 5D , and the emergency elevator can be secured to the 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17, 5F, As shown in FIG. 5G, the elevator can be lowered down. As shown in FIG. 5H, when the outside wall projecting elevator complex platform 24 is made, people can quickly come down as shown in FIG. 5J .

도 5k와 도 5l은 고층 건물 화재 시 사람들이 외벽 돌출 승강장에 대피하여 환풍구(19)방어벽(20,21) 덕분에 안전하게 대피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5K and 5L show situations in which people are waiting for an elevator in a state of being evacuated safely by virtue of the ventilation holes 19 and the barrier walls 20,

이상을 종합하여 고층 건물에 적용시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ollowing will be applied to a high-rise building.

도 6a는 고층 건물의 옥상 외벽에 엘리베이터 외벽 돌출 승강장(16) 을 설치하고, 그 수직 아래 바닥 (9) 에는 고정 장치인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를 설치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외벽 돌출 승강장(12, 16)에서 가이드 윈치(7) 가이드 로프(5) 바닥(9) 까지 내려서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에 고정한 후에 가이드 윈치(7)가이드 로프(5)를 약간 끌어당겨 가이드 로프들이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팽팽하게 만들어놓은 상태에서, 메인 윈치(6) 를 이용하여 메인 로프(2) 에 연결되어 있는 엘리베이터(1) 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켜서 이 발명의 화재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행하는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다. 6A shows an elevator exterior wall landing platform 16 installed on the roof top wall of a high-rise building and a guide rope bottom ring 10 serving as a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floor 9 below the vertical wall. , 16) in the guide winch (7) to guide the rope (5) the bottom (9) to get off the guide rope, after fixed to the bottom ring (10) guide the winch (7) slightly pull the guide rope (5) to pull the guide ropes are The elevator 1 connected to the main rope 2 is moved up and down vertically by using the main winch 6 in a state in which it is stretched so as to serve as a pillar to operate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situation.

도 6a의 방법을 이용하면, 초고층 건물 화재 시 사람들이 옥상이나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16)이 있는 곳으로 피신하면 비상용 엘리베이터(1)를 타고 바닥으로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다. 위에서 가이드 로프 고리(8)를 내려주면 바닥(9)에 있는 사람들이 가이드 로프 고리(8)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에 고정한 후, 위에서 가이드 윈치(7)가이드 로프(6)를 약간 끌어당겨서 팽팽하게 하면 기둥 줄이 형성되어, 바로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타고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는 덕분이다. When the method of FIG. 6A is used, when a person fires into a roof or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s 12, 16 in a fire of a skyscraper , the emergency elevator 1 can safely descend to the floor. After the above main surface down the guide rope ring (8) of people in the bottom (9) is fixed to a guide rope ring (8) on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some of the guide rope (6) to guide the winch (7) on the Pulling and pulling it up tightens the pillar, which can safely be taken down the emergency elevator.

고층 건물의 화재 시 열기와 연기가 건물 내부를 채우면서 계단과 내부 엘리베이터 이동 통로를 따라 급속히 위로 올라오는 이유 때문에 고층 건물의 윗부분에 있는 사람들은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갈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옥상으로 피신할 수밖에 없는데, 고층 건물 옥상의 경우 고가 사다리차가 닿지 않고 화재 시에는 건물 위로 치솟는 화염 때문에 헬기도 접근 자체가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옥상으로 대피한 사람들도 연기에 질식하여 죽거나 열기에 타죽지 않기 위해서는 최대한 빨리 옥상에서 땅으로 내려와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초고층 건물의 화재 시 초고층 건물의 윗부분에 있는 사람들의 생명은 무방비 상태나 마찬가지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초고층 건물 화재 시에도 도 6a의 방법을 이용하면 건물 윗부분에 있는 사람들의 목숨도 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ecause of the rapid rise in the stairs and the elevator passageways that fill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people on the top of the high-rise buildings can no longer go down and escape to the roof In the case of the roof of a high-rise building, an elevated ladder car can not reach it, and when it is a fire, the helicopter also becomes difficult to approach because of the flames rising on the building. So people who have evacuated to the rooftops have to descend from the rooftops as fast as possible in order to avoid suffocation by smoke or burning in the heat. Until now, the life of people on the top of a skyscraper in the fire of a skyscraper has been defenseless . For this reason, even in the case of a fire in a skyscraper, it is possible to save the lives of people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by using the method of FIG. 6A .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16)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또는 비상용 바닥 엘리베이터 승강장(11) 사이의 건물 외벽에 화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환풍구(19) 와 화염을 막아주는 방화벽(20, 21) 이 있는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을 형성한 상태에서, 이 발명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행하는 상황의 일례를 나타낸다.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ntilation hole 19 through which the flame can escap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etween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s 12 and 16 and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or the emergency floor elevator platform 11, In which the exterior wall elevator landing platform 17 having the firewalls 20 and 21 for blocking the emergency elevator installation platform 17 is formed.

고층 건물 화재 시, 건물 윗부분의 실내는 급속도로 계단과 내부 엘리베이터 이동 통로를 타고 올라온 연기와 열기로 가득 차고 그 이후에 높은 열기에 의하여 불이 발생하거나 아래에서부터 불길이 따라 올라오게 되는데, 먼저 연기와 열기에 질식되어 죽지 않기 위해서는 건물 실내와 독립된 대피소로 피하는 것이 급선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도 6b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24) 은 고층 건물 화재 시 임시 대피소로의 조건도 갖추고 있는 것이다. In the case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the interior of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is rapidly filled with smoke and heat from the stairway and the elevator passages inside, and then there is a fire due to high heat or fire from below. To avoid being suffocated by heat, it is urgent to avoid evacuation to an independent shelter inside the building. In this respect, The exterior wall elevator landing platforms 17 and 24 of FIG. 6B also have conditions as a temporary shelter for a high-rise building fire.

도 6b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24) 은 건물 내부를 벗어나 전후 좌우 상하 6면 중에서 한쪽 면만 건물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5면은 외부 공기와 맞닿아 있으면서 독립적인 공간을 갖추고 있으므로, 뜨거워진 건물 내부 공간보다 열의 전도에너지나 복사에너지가 적고, 신선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여 질식사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밀폐된 채 열기와 연기로 가득 찬 고층 건물의 내부 상황과 비교하면, 이 발명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24)이 고층 건물 화재 시 긴급 대피소로써도 얼마나 안전한 장소인지 알 수 있는 것이다. 6B, the exterior elevating platforms 17 and 24 of the exterior walls are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only one side of the top, bottom, left, top and bottom sides of the building is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t has less heat conduction energy and radiation energy than internal space,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fresh air and escape choking danger. This situation is compared with the internal situation in full to open a sealed without smoke and tall buildings, exterior projecting elevator platform of the invention (17, 24) is that you can see how safe place emergency shelters rosseodo City high-rise building fire.

그래서 고층 건물 화재 시, 일단 먼저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24) 에 대피하고 있다가, 건물 상부에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16)에서 가이드 로프 고리(5)바닥(9)으로 내려가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에 고정되어 팽팽히 기둥 줄을 만든 다음에 메인 로프(2)에 연결된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내려와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24)에 멈추면, 그 비상용 엘리베이터 (1)를 타고 바닥으로 내려오면 화염으로부터 사람들의 목숨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Thus, when a high-rise building is in a fire, the elevator cabs are first evacuated to the elevator elevator platforms 17 and 24, and then the guide rope rings 5 are lowered to the floor 9 in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s 12 and 16 the guide is fixed to the rope the bottom ring (10) tensely create a pole line, and then to come down the emergency elevator connected to the main rope (2) stops at the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platform (17, 24), riding on the emergency lift (1) bottom , You can save people's lives from flames.

도 6c는 도 6b의 원리를 응용하여 복층 구조의 초고층 건물에서 이 발명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행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6C shows an example of operating the emergency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kyscraper-structure high-rise building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FIG. 6B.

도 6d는 도 6c에 있어서, 복층 구조 고층 건물의 아랫부분은 가이드 로프(5)엘리베이터(1)를 위로 거두어들인 상황을 나타내고, 복층 구조 고층 건물의 윗부분은 가이드 로프 고리(8)바닥(9)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에 고정시켜 가이드 로프(5) 팽팽하게 하여 기둥 줄을 만든 상태에서 이 발명의 화재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행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In Figure 6d the Figure 6c, a multi-layer structure the bottom of the high-rise building is shown the situation which are taken up on the guide rope 5 and the elevator (1), a multi-layer structure high rise floors to the guide rope ring (8) the upper part of a building ( 9 is fixed to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so that the guide rope 5 is tightened to form a pillar string. In this example,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도 6d는 이 발명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평상시에도 그대로 설치되어 있는 상황에서 운행될 수 있고, 평상시에는 위로 거두어 들였다가 화재 등 비상시에만 가이드 로프(5)를 바닥(9)으로 내려 기둥 줄을 형성하여 운행할 수 있다는 것을 동시에 보여준다. 6D can be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emergency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ill installed as it is, and the guide rope 5 is lowered to the floor 9 only at the tim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t the same time.

그래서 이 발명의 이용 가능 범위를 고층 건물 화재 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목적보다 더 넓혀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일례들을 들 수 있다.         Thus,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broader than the purpose of an emergency elevator in the case of a high-rise building fire, for example:

일례를 들면, 도 6b에서 보는 것처럼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24)이 없는 경우는 건물 옥상에 레일을 깔아놓고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이 그 레일 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위치에 멈추어 가이드 로프 고리(8)를 지면(땅바닥)으로 내린 다음, 가이드 로프 고리(8)가 수직으로 내려앉아 맞닿는 자리에 앵커(고정 장치)를 박아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를 설치한 후에 기둥 줄을 만들면, 그 자리에서 메인 윈치(6)를 감았다 풀었다 하여 엘리베이터 (1)를 수직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층 아파트 이삿짐 운반도 가능하게 된다. Example example, the outer wall protrudes as shown in Figure 6b the elevator platform (17, 24) if it has to place laid a rail on the building roof so that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is movable over the rails, stops in the required position guide The rope loop 8 is lowered to the ground surface and then the guide rope loop 8 is vertically lowered so as to straddle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with an anchor , The main winch 6 is wound on the floor , and the elevator 1 can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고층 아파트의 경우 대부분 구조가 같으므로 큰 짐을 들이고 내보낼 수 있는 창문 앞에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에서 내려오는 가이드 로프 고리(8)가 내려와 맞닿는 지면(땅바닥)에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를 줄줄이 형성하여 놓으면, 30층 아파트의 경우 1층을 제외한 29세대가 하나의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를 이용하여 이삿짐을 오르내릴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structure of the high-rise apartments is almost the same, the guide rope loop 8 coming down from the lift platform 12 of the elevator machine roo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es down on the floor ( floor ) ) , The 29th generation except for the first floor can move up and down the floor by using one guide rope bottom ring (10) in the case of the 30th floor apartment.

그렇게 하면, 옥상에서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이 레일을 따라 움직이면서 필요한 위치에 멈추어, 가이드 로프 고리(8)를 내려서 미리 형성하여 놓은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에 고정시켜 가이드 로프(5)를 팽팽히 하여 기둥 줄을 만들면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아래의 모든 세대는 아파트 내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나 위험한 곤돌라를 이용하지 않고도 이삿짐을 쉽게 오르내릴 수 있는 것이다. Then, the roof in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is stopped in the required position by moving along the rail, and lowering the guide rope ring (8) is secured to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sewn to form in advance the guide rope (5) If you build up the pillars, all the generations under the lift machine platform (12) can easily move up and down without using elevators or dangerous gondolas installed inside the apartments.

일례를 더 들면, 도 6d의 원리를 이용하면 조립식으로 공사현장에서 물건이나 사람을 실어 나를 수도 있고, 119 구조대에서 고층 건물 화재 시 조립식으로도 인명 구조가 사용가능하다. By way of example, using the principle of FIG. 6d , lifting objects or people in a construction site can be carried out.

그리고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추가된 도면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while the application for priority is made, the following drawings are added.

도 1d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3)엘리베이터(1) 외벽 사이에 파이프 날개(25) 를 형성하면 엘리베이터가 상하 이동시 엘리베이터(1) 본체와 외벽 돌출 엘 리베이 터 승강장(17) 내벽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줄일 수 있고, 도 1e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3) 바깥 쪽에 점점 커지는 마찰 방지 충격 흡수 바퀴(26) 를 형성하면 가이드 파이프(3)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내벽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Guide pipe 3 as shown in Figure 1d and the elevator (1) by forming a pipe with wings (25)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impact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moving the elevator (1) body and the protruding collision El ribeyi foundation platform 17, the inner wall outer wall a can be reduced, it can also be formed to guide the pipe (3) gradually increase anti-friction shock absorbing wheel 26 on the outside, such as 1e reduces the friction of the guide pipe 3 and the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platform 17 inside wall.

도 5m 도 5n 도 5o와 같이 고층 건물 상층부 외벽에 계단으로 연결 되는 수직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7) 을 형성해 놓으면 화재 시 사람들이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강 위아래 층에서도 보다 쉽게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대피하여 비상용 엘리베이터(1)를 타고 지상으로 내려갈 수 있다. Figure 5m Fig. 5n be release to form a vertical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composite platform (27) which is connected in a step in the high-rise building with upper outer wall, such as 5o fire people easily than in the top and bottom layer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lifting steel evacuated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platform The user can ride down the emergency elevator 1 and descend to the ground.

도 5p 도 5q와 같이 고층 건물 상층부 외벽에 ㅜ 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8) 이나 十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9) 을 형성해 놓고 그 벽들 사이에 옆문 을 형성해 놓으면 도 5r 도 5s 도 5t 도 5u와 같이 화재 시 사람들이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접근도 쉽고 오르내리는 여러 대의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많은 사람들이 분산 탑승하여 안전하고 빠르게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다. Figure 5p FIG TT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upper outer wall 5q-shaped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landing complex (28) or outer wall十shaped protrusion placed to form a composite elevator platform 29 to form a side door release Meanwhile walls also 5r Figs. As shown in FIG. 5U , many people can be scattered on several emergency elevators in which people can easily approach the elevated platform of the outer wall and ascend and descend, and can safely and quickly come down to the ground.

도 7a 도 7b 도 7c 와 같이 옥상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1)가 수직으로 내려올 약속된 지면을 파서 바닥 철골(30) 콘크리트(32) 위에 고리가 달린 쇠말뚝 (31) 으로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를 형성하고, 그 주위에 패널 경계석(9) 으로 형틀 을 만든 다음, 뚜껑이 있는 작은 홀(33)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에 씌우고 패널 경계석작은 홀(33) 사이에 주변 지면과 같은 높이로 다시 레미콘을 부어 넣어 응결시켜 놓으면, 사람들이 평상시에도 걸려 넘어지지 않고 보통의 건물 주변 바닥처럼 사용할 수 있어 불편함이 없다. 그리고 그 자리에 엘리베이터 비상 승강장 을 글씨로 새겨놓고 사람들에게 알리면 그 자리가 화재 시에는 옥상에서 수직으로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내려오는 자리라고 인지하게 되어, 화재 시에는 고층건물의 상층부에 있다가도 옥상에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이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으로 피신하여 비상용 엘리베이터(1)를 타고 땅으로 내려올 수 있게 된다. 7A , 7B and 7C , the emergency elevator 1 is lowered vertically down from the rooftop, and the guide rope bottom ring (not shown ) is pierced by the bottom steel frame 30, the concrete 32 and the hooked pile 31 10) formed and made of a mold, the panel boundary stone (9) on its periphery, and then, putting the small hole 33 with a lid on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When the peripheral between the panel boundary stone with small holes (33) When you release the ready-mixed concrete was poured into condensation back into the heights, people are not uncomfortable it can be used like a normal building close to the ground without being tripped in the usual like. And informs those who put inscribed with lettering elevator emergency landing on the spot becomes aware that the place is spot fire has come an emergency lift off vertically from the roof, fire, the elevators in the waiting.And rooftop on the upper floors of high-rise buildings It can escape to the machine room protruding platform 12 or the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platform 17 and can come down to the ground in the emergency elevator 1 .

도 7d 도 7e와 같이, 도 7a의 방법으로 수직 상부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의 숫자에 맞추어 그 바닥에 복합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형성해 놓아도 평상시에 불편하지 않고 화재 시에 원활하게 인명구조를 할 수 있게 된다. 생활에 불편함이 없고 미관을 저해하지 않게 형성된 바닥(9) 엘리베이터 비상용 승강장 에 대한 주민들의 평상시의 인식이 화재 등 비상시에 옥상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이나 고층건물 상층부에 형성된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7d and FIG. 7e, even if a composite elevator landing platform is formed on the floor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combined wall- mounted elevator elevator complex platform in the vertical upper part , as shown in FIG. 7a, . (9) The residents' normal perception of the elevator emergency platform is that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formed on the roof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r an outer wall protruding elevator 12 formed at the upper layer of the high- So that the platform 17 can be used naturally.

도 8a 도 8b 와 같이 화재 시에 수직 상부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1)가 내려올 정확한 자리에 드릴(36)로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시멘트 풀을 부어 넣고 위에 고리가 달린 나선형 금속 말뚝(35) 을 심은 다음, 도 7a 도 7b와 같은 방법으로 뚜껑이 있는 작은 홀(33) 을 씌우고 레미콘(32) 으로 평탄작업을 하여 바닥(9) 베이터 비상용 승강장을 형성하면 작업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든다. 8A , 8A and 8B , at the time of a fire, a drill 36 is pierced at a correct position where the emergency elevator 1 is to be lowered from a vertical upper portion, a cement paste is poured into the hole, and a spiral metal pile 35 next, Fig. 7a also putting the small hole 33 with a lid in the same way as 7b to the working plane with ready-mix concrete (32) forming an elevator emergency landing of the bottom (9) costs less easily and the operation cost.

도 9a 도 9b 윗부분에 고리가 달리고 아랫부분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앵커볼트 (37) 를 이용하여 임기응변으로 바닥(9) 비상용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빠르고 쉽다. 9A and 9B show a quick and easy method of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landing floor of the floor 9 by using an anchor bolt 37 having a ring on the upper part and a spiral on the lower part .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0d 도 10e 도 10f 도 10g 도 10h 도 10i 도 10j 와 같이 옥상 외벽 난간 안팎으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을 형성해 놓으면 튼튼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보관 유지도 쉽고, 화재 시 가이드 로프(5)를 기둥 삼아 허공에 떠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1) 안에서도 엘리베이터 전원 스위치(53) 를 이용하여 보통의 엘리베이터처럼 상승 하강 멈춤 운동 을 작동시킬 수 있고, 옥상에서도 엘리베이터 윈치 전원 스위치(53) 기능이 포함된 메인윈치와 전기선 릴 전원 스위치(52) 를 이용하여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상승 하강 멈춤 운동을 작동시킬 수 있고 가이드 로프를 오르내릴 수 있다. 10a , 10b , 10c , 10d , 10e , 10f , 10g , 10h and 10i Also release form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into and out of the roof exterior wall railings as 10j durable, easily and hold the elevator system, fire guide even in emergency elevators (1) Sanya floating in the air pole rope (5) By a lift power switch 53, the main winch and the electrical cord reel, the power switch 52 a can be operated to rise and fall the stop motion, in the roof comprises a lift winch power switch 53 functions as an ordinary elevator using the emergency It is possible to actuate the elevator stopping motion of the elevator and raise or lower the guide rope .

그리고 엘리베이터 안에서 엘리베이터 전원 스위치(53) 의 기능을 휴대용 리모컨 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비상용 엘리베이터가 장애물이 없는 건물 외벽에서 수직 거리 수백 미터 이내를 움직이므로 엘리베이터 안에서 휴대용 리모컨을 이용하여 옥상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에 들어있는 메인 윈치(6) 를 전자적인 신호로 제어하여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상승 하강 멈춤 운동을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And the function of the elevator power switch 53 in the elevator can be replaced with a portable remote controller . Since the emergency elevator moves within a few hundred meters of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ithout obstacle, the main winch (6) in the elevator platform (12) protruding from the rooftop elevator machine room is controlled by an electronic signal using a portable remote control in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top motion .

엘리베이터의 전원 스위치(53) 리모컨 상승 하강 멈춤 은 특정한 층을 미리 입력시켜놓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이나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4) 이 형성된 층에 맞추어놓고 비상용 엘리베이터( 1) 상승 하강 멈춤 을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ower switch 53 of the elevator or the rising and falling stop of the remote control can be used by inputting a specific layer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rising and falling stop of the emergency elevator 1 by aligning it with the layer on which the exterior wall elevator lift platform 17 or the outside wall project elevator composite platform 24 is formed, for example.

도 10k 와 같이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복합 승강장(16) 을 형성하면 여러 대의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동시에 가동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K , when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complex platform 16 is formed, several emergency elevator systems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도 10l 도 10m 과 같이 고층건물 화재 발생 시 실제 상황에서도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복합 승강장(16) 을 이용하여 사람들을 안전하게 지상으로 내려보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0L and 10M , when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occurs,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truding platform 12 and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truding complex platform 16 can be used to safely down the ground even in a real situation.

도 11a 도 11b 도 11c 와 같이 일체형 복합 윈치(47) 를 형성하여, 가이드 윈치들(7) 을 전기선으로 연동시키면 여러 대의 가이드 윈치(7)에서 동시에 여러 개 (보통 4줄)의 가이드 로프를 오르내릴 수 있고, 메인 윈치(6) 전기선 릴(48) 을 연동시키고 그 전기선 릴전기선을 엘리베이터 내부로 연결하면 옥상의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은 물론이고 비상용 엘리베이터(1) 내부에서도 메인 윈치(6) 의 동력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상승 하강 멈춤 운동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전원 스위치(53) 를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한 번 더 상세히 보여준다. 11A , 11B and 11C , an integral multiple winch 47 is formed and the guide winches 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lectric wire to elevate several (usually four) guide ropes at the same time from the plurality of guide winches 7 and to make a main winch 6 and the electric wire reel (48) for interlocking and that by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of the electrical cord reel into the elevator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truding platform 12 of the roof, as well as the main winch even within the emergency lift (1) An elevator power switch 53 can be provided which is capable of operating the elevator down-stop motion of the elevator using the power of the elevator 6 .

그리고 일체형 복합 윈치(47)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을 형성하면 시스템의 유지 관리가 쉬어지는데, 화재 발생 확률은 대단히 낮으므로 비상 시를 대비하여 그 시스템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If the elevator machine room 13 is formed in the integral multi-purpose winch 47,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is facilitated. Sinc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he fire is very low, the importance of the method of maintaining the system in case of an emergency can not be overlooked Can not be done.

도 12a 도 12b 도 12c 와 같이 대형 윈치들을 이용하면 보다 큰 하중을 오르내릴 수 있는 일체형 복합 윈치(47) 를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2A , 12B , 12C, and 12C , the integral multiple winch 47 can be formed by using larger winches.

도 13a 도 13b 와 같이 2대의 가이드 윈치(7) 1대의 메인 호이스트(57)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를 형성하여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행할 수도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elevat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integrated guide winch and a main hoist 59 from two guide winches 7 and one main hoist 57 as shown in FIG . 13A and FIG. 13B .

도 14a 도 14b 와 같이 4대의 가이드 윈치(7) 1대의 메인 호이스트(57)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발명에서 메인 윈치(6) 메인 호이스트(57) 는 같은 역할이고 같은 개념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밝힌다.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integral guide winch and the main hoist 59 from the four guide winches 7 and one main hoist 57 as shown in FIGS . 14A and 14B . In this invention, it is once again revealed that the main winch 6 and the main hoist 57 are the same role and the same concept.

도 15a 도 15b 와 같이 사각 돌출부(60) 가 형성된 4대의 가이드 윈치(7) 들을 같은 사각 형태의 상하 통로(61) 가 형성된 두꺼운 철판(54) 에 간결하고 견고하게 결합시켜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체형 복합 윈치(47) 도 마찬가지다. The four guide winches 7 formed with the rectangular projections 60 are connected to the thick steel plate 54 having the same rectangular upper and lower passages 61 as shown in FIGS . 15A and 15B so that the integral guide winch and the main hoist (59) may be formed. The integral multi-winch 47 is also the same.

도 16a 도 16b 와 같이 두꺼운 철판(62) 의 아래 면에도 윈치 들을 설치하여 일체형 복합 윈치(47) 를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6A , 16B , the integrated steel winch 47 can be formed by installing winche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ick steel plate 62 as well.

도 17a 도 17b 도 17c 도 17d 도 17e 도 17f 와 같이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을 형성하면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안전 벽 기둥 레일(66) 을 타고 이동이 가능하여 평상시에는 옥상 외벽 안쪽으로 안전하게 들어가 있을 수 있다. 17A , 17B , 17C , 17D , 17E, and 17F , when the railway wheel-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69 with a roof-top pillar is formed, the multi-winch integrated winch 65 moves on the safety wall pillar rails 66 It is possible to safely enter the inside of the rooftop wall in normal times.

도 17g 도 17h 도 17i 도 17j 와 같이 옥상 외벽 안팎으로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을 형성하고 그 안쪽에 엘리베이터 격납고(70) 를 형성해놓으면 화재 시에는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안전벽 기둥 레일(66) 을 타고 옥상 외벽 밖으로 이동하여 임무를 수행한 다음, 화재 진압 후에는 다시 안전 벽 기둥 레일(66) 을 타고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으로 들어가 비바람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Figure 17g Figure 17h Figure 17i also into and out of the roof outer wall, such as 17j wheel roof pillar above the rails form an integral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69, and release to form a lift flats 70 on its inner fire has rail wheels integral composite winch ( 65 are moved out of the roof outer wall on the safety wall pillar rail 66 to perform the task and then again ride on the safety wall pillar rail 66 after the fire suppression to enter the elevator hangar 70 to be protected from wind and rain have.

도 17k 도 17l 과 같이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이 옥상을 가로지르고 그 가운데 엘리베이터 격납고(70) 가 형성되어 있으면 1대나 2대의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와 거기에 연결된 비상용 엘리베이터(1) 만으로도 화재의 발원지와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건물 양쪽에서 인명구조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임무 수행 후에는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속으로 다시 들어가 시스템의 유지 관리가 쉬어진다. As shown in FIG . 17K and FIG . 17L , when the railway wheel integral multi-winch elevator system 69 on the roof top crosses the roof and the elevator hangar 70 is formed thereon, one or two rail-wheel multi- The connected emergency elevator 1 can perform the rescue mission on both sides of the building in consideration of the origin of the fire and the influence of the wind and after the execution of the mission it enters the elevator hangar 70 and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becomes easy.

도 18a 도 18b 와 같이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72) 을 형성하면 레일바퀴 이동 패널(71) 위의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이 옥상 외벽을 따라 형성된 레일(63) 을 따라 좌우로 평행 이동이 가능하고, 그 레일바퀴 이동 패널(71) 위로 콘크리트 균형 패널(73) 을 적재하면 무게 중심을 옥상 바닥으로 이동시켜 사람이 타는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들어서 오르내릴 수 있다. 18A and 18B , when the railway wheel moving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72 is formed, the pillar-integrated railway wheel-integrated multiple winch elevator system 69 on the rail wheel moving panel 71 is mounted on a rail 63, and the concrete balance panel 73 is loaded on the rail-wheel moving panel 71,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moved to the floor of the roof so as to safely lift and lift the person-wearing elevator.

도 19 와 같이 옥상 바닥에 세 번째 레일(75) 을 깔고 레일바퀴 돌출부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7) 을 형성하면 무게 중심이 건물 안쪽으로 더 많이 이동하여 더 안전하게 엘리베이터의 상하 수직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9 , when the third rail 75 is laid on the roof top and the rail wheel protrusion moving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77 is formed, the center of gravity moves further toward the inside of the building, can do.

도 20a 와 같이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 을 형성, 도 20b 와 같이 옥상 외벽과 평행하게 설치된 레일(63) 의 한쪽 엘리베이터 격납고(70) 에 보관하고 있으면 필요시에 레일(63)을 타고 이동이 가능하고, 도 20c 와 같이 고층 건물 화재 시에는 신속하게 인명구조를 수행할 수 있고, 도 20d 와 같이 옥상 외곽 둘레로 설치된 레일(63) 을 따라 이동하면서 고층건물 4방의 외벽에서 인명구조가 가능하다. 20A , when the elevator system 81 is mounted on one of the elevator hangers 70 of the rail 63, which is parallel to the roof top wall, as shown in FIG. 20B , the possible travels with the rail 63,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 high-rise building fire, the rapid life saving when as shown in Figure 20c, while moving along the rail 63 provided in the roof outer circumference as shown in Figure 20d tall buildings It is possible to survive on the outer walls of four rooms.

도 21a와 같이 누름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3) 을 형성하고 거기에 맞춰서 도 21b 와 같이 ㄱ 자 누름 패널(86) 을 형성하면 도 21c 와 같이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ㄱ 자 누름 패널(86) 속으로 들어간 상태가 되어서 도 21d 와 같이 무거운 하중을 오르내려도 옥상에 있는 엘리베이터시스템이 옥상 외벽 아래로 끌려 내려가 낙하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Moving press, as shown in FIG. 21a-panel-integrated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83) is formed and there is also party b as 21b press the panel 86 a there is shown 21c and push the mobile panel, the protrusion 82 is the a character press as formed according to th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that the elevator system on the roof drops down and falls down to the roof outer wall even when the heavy load rises as shown in FIG.

도 22a 와 같이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을 형성하면 도 22b 와 같이 다단 붐(89) 을 뽑지 않은 채 옥상 외벽을 따라 설치된 레일(63) 을 타고 이동하면서 인명 구조가 가능하고, 도 22c 와 같이 다단 붐(89) 을 뽑아서 회전판(87) 회전 기둥(88) 을 이용하여 회전하면 도 22d 와 같이 건물의 옆 벽면에도 화재 진압 임무도 가능하게 된다. Fig while rotating plate moves the multi-stage boom aboard the one-piece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rails installed along the holding roof outer wall that disconnect the multi-stage boom (89) as shown in Figure 22b by forming a (97, 63), such as 22a, and the life-saving is possible, When the multi-stage boom 89 is pulled out and rotated using the rotary plate 87 and the rotary column 88 as shown in FIG. 22C , a fire suppression mission is also possible on the side wall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22D .

도 23a 와 같이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을 형성한 후 지지대 발판(98) 을 들어올려 레일(63) 을 타고 이동이다가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ㄱ 자 누름 패널(86)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하여 지지대 발판(98) 을 내린 후 도 23b 와 같이 다단 붐을 뽑아도 안전하고, 도 23c 와 같이 화재 진압 을 준비할 수 있다. Pressing mobile panel projection spindle multi-stage booms integrally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99), and then supporting the foot plate (98) contains riding rails 63 move is a push movement the panel projection (82) up to the formation of as shown in Fig 23a is the a character It is safe to pull out the multi-stage boom as shown in FIG. 23B after the support pedestal 98 is stopped after stopping while entering the pushing panel 86, and fire suppression can be prepared as shown in FIG. 23C .

도 24a 와 같이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형성하고, 도 24b 도 24c 와 같이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다단 붐(89) 커플링(101) 으로 소방 파이프(102) 를 연결하고, 다단 붐 끝단(90)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설치하고, 소방 파이프(102 ) 끝에 커플링(101) 으로 소방 호수(106) 를 연결하고,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필요한 위치로 내린 상태에서 소방 호수(106 ) 끝을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의 윗부분 소방 파이프(102) 커플링(101) 으로 연결하면, 도 24d 와 같이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가 바람을 등지고 화재 발생지점 가까이 도착한 후 옥상 물탱크 소화전(107) 소방 호수(106) 를 연결하여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에 설치된 소방 관창 (103) 에서 분사되는 물로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Fire pipe to the coupling 101 to the multi-stage boom (89) of the pressing movement panel projection spindle multi-stage booms integrally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99) as to form a fire fighting pipe elevator 105, and Figs. 24b 24c as shown in Fig. 24a connect 102, and installation for fire fighting pipe elevator 105, and connect the fire pipe (102) at the end of the coupling Fire lake 106 to 101 in the multi-stage boom end 90 and fire pipe elevator (105 ), the Linking Fire lake 106 ends in a state down to a position required by the coupling 101 on the upper fire pipe 102 of the fire pipe elevator 105 and also fire fighting pipe elevator (105 as shown in 24d) that winds The fire- fighting lake 106 can be connected to the rooftop water tank fire hydrant 107 to quickly fire the fire with the water sprayed from the fire-fighting pipe 103 installed in the fire- fighting pipe elevator 105 .

도 25a 와 같이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다단 붐(89)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가 형성되어 있는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110) 를 설치하고, 다단 붐 끝단(90) 일체형 복합 위치(47)가 들어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을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아래로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설치하고, 25b 와 같이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110) 속으로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의 안지름보다 외경(바깥지름)이 더 큰 비어 있는 소방 호수(106) 를 통과시킨 후, 도 25c 와 같이 소방 호수(106) 끝에 커플링(101) 을 체결하고, 도 25d 와 같이 소방 호수(106) 소방 배관 엘리베이터(105) 커플링(101) 으로 결합한 다음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에서 인 윈치(6) 를 작동시켜 메인 로프(2)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필요한 위치로 하강시킨 후, 도 25e 와 같이 옥상 물탱크 소화전(107) 소방 호수(106) 를 연결하면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안지름보다 더 큰 소방 호수(106) 의 외경(바깥지름) 때문에 호수 속의 수압으로 호수가 팽팽하게 부풀어 오르면서 호수의 표면이 그물망 원통 파이프 (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속으로 파고들어 그 마찰력으로 호수가 아래로 끌려 내려가는 것을 잡아주어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110) 의 꺾인 부분에서도 호수 속의 물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도 25f 와 같이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9) 을 가동하여 고층 화재 상층부에 발생한 화재지점 가까이 다가가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소방 관창 (103) 에서 분사되는 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The a character mesh cylinder fire pipe with a pressing movement panel projection spindle multi-stage booms integrally composite winch multi-stage boom 89 mesh cylindrical pipe 108 and the edge mesh cylindrical pipe 109 in the elevator system (99) is formed as shown in Fig. 25a installing (110), and installing the elevator machine room 13 containing a one-piece composite position 47 in the multi-stage boom end (90), and installing the fire pipe elevator 105 below the elevator machine room 13, and FIG. 25b mesh cylindrical pipe 108 and the a character mesh cylinder fire pipe 110 in the mesh cylindrical pipe 108 and the edge mesh cylinder Fire lake that the outer diameter (outer diameter) than the inside diameter of the pipe 109, the larger blank, such as Fire lake 106 and the fire pipe elevator 105 as entered into a coupling 101 at the end of fire lake 106, Fig. 25d as shown in, Fig 25c and then passed through the 106 in the coupling 101 texture The combined fire the next elevator machine room (13) Main by operating the winch (6) main rope (2), also penthouse hydrant 107, as shown in 25e after lowering the fire pipe elevator (105) to the required position as in When the lake 106 is connected, due to the outer diameter (outside diameter) of the fire-fighting lake 106, which is larger than the insid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net pipe 108 and the cylindrical net 109 of the net , the lake is inflated with water pressure in the lake, The surfac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esh pipe (108) and the end mesh pipe (109) So that the water in the lake can be supplied smoothly even at the bent portion of the ㄱ-shaped cylindrical fire-fighting pipe (110) by grasping that the lake is dragged downward by the frictional force. As shown in FIG. 25F , the multi-stage multi-stage boom integrated winch elevator system 99 of the pushing mobile panel projecting part is operated to approach the fire point gener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high-level fire, and the fire is emitted from the fire pipe 103 of the firepipe elevator 105 .

도 24d 도 25f 에 있어서, 옥상 물탱크 소화전(107) 에서만 직접 물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화재 발생지점 가까이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가 내려가 정지한 위치에서 그보다 몇 층 정도 높은 건물 안의 소화전 소방호스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에 직접 연결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24D and 25F , not only the water is supplied directly from the rooftop water tank fire hydrant 107 but the fire hydrant hose inside the building, which is several stories higher than the fire pipeline elevator 105 ,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ire pipeline elevator 105 directly.

도 26a 와 같이 고리 달린 석면 포(114) 를 형성하여, 도 26b와 같이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를 통과한 소방 호수(106) 의 둘레에 휘감고 고리 달린 석면 포(114) 순간접착제(39) 를 뿌려서 소방 호수(106) 고리 달린 석면 포(114) 를 완전히 결속시킨 다음,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고리(115) 에 부착되어 있는 줄 고리(116) 고리 달린 석면 포(114) 고리 에 연결하여 팽팽히 하면 길게 늘어진 소방 호수(106) 속의 물의 무게 때문에 소방 호수(106)가 아래로 끌려 내려가면서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110) 의 꺾인 부분에서 호수가 납작하게 막히면서 물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nd FIG form a ring with asbestos fabric 114 as shown in 26a, Fig. 26b and as end mesh cylindrical pipe 109, a round the wound around the ring with asbestos fabric 114 instant adhesive (39 in the fire lake 106 passes through the ) a sprinkling of fire lake 106 and the ring with asbestos fabric a is completely bound 114. next, the a-party mesh cylinder the line attached to the fire pipe ring 115, ring 116 with ring asbestos fabric 114 As a result of the weight of the water in the long firefighting lake 106, when the firefighting lake 106 is pulled downward, the lake is flattened in the bent part of the cylindrical firefighting pipe 110 and water is not supplied The situation can certainly be avoided.

도 27a 와 같이 날개에 구멍이 있는 소방호스(121) 를 형성하여, 도 27b 와 같이 호스 날개(118) 구멍(117) 속으로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고리(115) 에 부착되어 있는 줄 고리(116) 를 체결하여 그 줄 고리를 팽팽히 하는 방법으로도 기다랗게 늘어진 호스 속의 물의 무게 때문에 ㄱ 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110) 의 꺾인 부분에서 호스가 납작하게 막히면서 물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To form a fire hose 121 with a hole in the wing as shown in Figure 27a, line, which is the a chair attached to the mesh cylinder fire pipe ring 115 into a hole 117 of the hose wings 118, as shown in Fig 27b the ring (116) to tighten the string hooks . Due to the weight of the water in the long ho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tuation where the hose is flattened and the water can not be suppli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ㄱ network cylindrical fire pipe (110) have.

1. 비상용 엘리베이터(The emergency elevator)
2. 메인 로프(main rope)
3.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
4. 엘리베이터 출입문
5. 가이드 로프(guide rope)
6. 메인 윈치(main winch) 또는 메인 호이스트(main hoist)
7. 가이드 윈치(guide winch) 또는 가이드 호이스트(guide hoist)
8. 가이드 로프 고리
9. 바닥(비상용 엘리베이터 바닥 승강장)
10.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
11. 비상용 바닥 엘리베이터 승강장
12.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
13. 엘리베이터 기계실
14.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 방화벽
15.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 출입구
16.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복합 승강장
17.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
18. 외벽 돌출 승강장 출입구
19. 외벽 돌출 승강장 환풍구
20. 외벽 돌출 승강장 1차 방화벽
21. 외벽 돌출 승강장 2차 방화벽
22. 외벽 돌출 승강장 출입문
23. 외벽 돌출 승강장 바닥
24.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
25. 파이프 날개
26. 마찰 방지 충격 흡수 바퀴
27. 수직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
28. ㅜ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
29. 十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
30. 바닥 철골
31. 위에 고리가 달린 쇠말뚝
32. 레미콘(시멘트 풀)
33. 뚜껑이 있는 작은 홀
34. 뚜껑
35. 위에 고리가 달린 나선형 금속 말뚝
36. 드릴
37. 윗부분에 고리가 달리고 아랫부분은 나선으로 이루어진 앵커볼트
38. 너트
39. 묽은 액체 접착제(순간접착제)
40. 옥상 난간(옥상 외벽)
41. 철근
42. 고리가 달린 볼트
43. H빔
44. 쇠기둥
45. 상하 통로
46.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 바닥
47. 일체형 복합 윈치
48. 전기선 릴
49. 전기선
50. 동력 전선
51. 스위치 전기선
52. 메인 윈치와 전기선 릴 전원 스위치
53. 엘리베이터 전원 스위치
54. 두꺼운 철판
55. 윈치 홈
56. 와이어 릴
57. 메인 호이스트
58. 도르래 와이어
59.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
60. 사각 돌출부
61. 사각 형태의 상하 통로
62. 상하 통로가 없는 두꺼운 철판
63. 레일
64. 레일바퀴
65.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66. 안전벽 기둥 레일
67. 옥상 기둥
68. 멈춤 벽
69.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70. 엘리베이터 격납고
71. 레일바퀴 이동 패널
72.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73. 콘크리트 균형 패널(concrete balance panel)
74. 레일바퀴 이동 패널 균형추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75. 세 번째 레일
76. 레일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
77. 레일바퀴 돌출부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78. 계단
79. 난간 바닥
80. 안전 난간
81.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82.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
83. 누름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84. ㄱ자 철골
85. ㄱ자 형틀
86. ㄱ자 누름 패널
87. 회전판
88. 회전 기둥
89. 다단 붐
90. 다단 붐 끝단
91. 바퀴
92. 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
93. 붐 윈치
94. 도르래
95. 붐 와이어
96. 전기선
97.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98. 지지대 발판
99. 누름 이동패널 돌출부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
100. 벽이 열린 비상용 엘리베이터
101. 커플링
102. 소방 파이프
103. 소방 관창
104. 소방 배관
105. 소방배관 엘리베이터
106. 소방 호스
107. 옥상 물탱크 소화전
108. 그물망 원통 파이프
109.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
110. ㄱ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111. 석면 포
112. 케블라(kevlar) 고리
113. 박음질
114. 고리달린 석면 포
115. ㄱ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고리
116. 줄 고리
117. 금속 구멍
118. 호수 날개
119. 외부 질긴 호스
120. 내부 고무호스
121. 날개에 구멍이 있는 소방호스
1. The emergency elevator
2. Main rope
3. Guide pipe
4. Elevator door
5. Guide rope
6. Main winch (main winch) or main hoist (main hoist)
7. Guide winch or guide hoist.
8. Guide rope ring
9. Floor (Emergency elevator floor platform)
10. Guide rope bottom ring
11. Emergency floor elevator platform
12. 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platform
13. Elevator machine room
14. 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platform firewall
15. Elevator machine room extrusion platform entrance
16.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compound platform
17. Exterior wall elevator platform
18. Outer wall protrusion platform entrance
19. Outer wall protrusion platform ventilation hole
20. Outer wall protrusion platform primary firewall
21. Outer wall protrusion platform secondary firewall
22. Outer wall protrusion platform entrance
23. Outside wall protruding platform floor
24. Exterior wall extrusion elevator composite platform
25. Pipe wing
26. Anti-friction shock absorber wheels
27. Vertical Exterior Wall Extension Elevator Compound Platform
28. 자 shaped exterior wall protrusion elevator composite platform
29. Cross-shaped extruded elevator combined platform
30. Floor Steel Frame
31. Hooks with a hook on top
32. Remicon (cement paste)
33. Small hole with lid
34. Lid
35. Spiral metal pile with ring on top
36. Drills
37. Anchor bolt with a hook on the upper part and a spiral on the lower part.
38. Nuts
39. Thin Liquid Adhesive (Instant Adhesive)
40. Roof railing (roof top wall)
41. Reinforcement
42. Bolt with ring
43. H beam
44. Ironwood
45. Up and down passage
46. Elevator machine room overhang platform floor
47. Integrated multiple winch
48. Electrical Reel
49. Electricity
50. Power cable
51. Switch wire
52. Main winch and electric wire reel power switch
53. Elevator power switch
54. Thick steel plate
55. Winch Home
56. Wire reel
57. Main hoist
58. Pulley wire
59. Integral guide winch and main hoist
60. Square protrusion
61. The upper and lower passages of rectangular shape
62. Thick steel plate without vertical passageway
63. Rails
64. Rail wheels
65. Combined winch with integrated rail wheel
66. Safety wall pole rails
67. Roof Top
68. Stopping wall
69. All-wheel-type multi-winch elevator system
70. Elevator hangar
71. Rail wheel movement panel
72. Rail wheel moving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73. Concrete balance panel
74. Rail wheel movement panel balance integral all-in-one winch elevator system
75. The third rail
76. Rail wheel moving panel protrusion
77. Rail wheel protrusion moving panel integrated multiple winch elevator system
78. Stairs
79. Railing floor
80. Safety railings
81. Safe railing for berths Rail-wheel moving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82. Pushing mobile panel protrusion
83. Movable panel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84. Reinforced steel frame
85. Letterhead
86. Lens pushing panel
87. Spindle
88. Pillar of rotation
89. Multi-stage boom
90. Multi-stage Boom End
91. Wheels
92. Wheel movement panel projection
93. Boom winch
94. Pulley
95. Boom wire
96. Electricity
97.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98. Supporting footrest
99. Push Moving panel Projecting spindle Rotary plate Multi-stage boom Integrated multi-winch elevator system
100. Emergency elevator with wall open
101. Coupling
102. Fire Fighting Pipes
103. Fire Fighting
104. Fire-fighting piping
105. Fire piping elevator
106. Fire hose
107. Rooftop water tank fire hydrant
108. Mesh Cylindrical Pipe
109. End mesh cylindrical pipe
110. Cylindrical Fire Fighting Pipe
111. Asbestos Foam
112. Kevlar ring
113. Staples
114. Ringed asbestos cannabis
115. Cylindrical Fire Fighting Pipe Ring
116. Strap
117. Metal hole
118. Lake wings
119. External Tough Hose
120. Inner rubber hose
121. Fire hose with a hole in the wing

Claims (11)

고층 건물 화재 시 인명 구조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서리에 가이드 파이프(2) 가 수직으로 부착된 위아래가 뾰족한 엘리베이터(1) 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1) 메인 로프(2) 에 연결하여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메인 윈치(6) 와 상하 이동 시 바람에 의한 엘리베이터(1)의 회전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둥 역할을 하는 가이드 로프(5) 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이드 윈치(7) 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 (12, 16) 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1)가이드 파이프(3) 속으로 가이드 로프(5)를 통과시켜 가이드 로프 고리(8) 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로프 고리(8)를 수직으로 하강 시 닿는 바닥(9)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를 설치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A method for forming an emergency rescue elevator system in a high-rise building fire,
Further comprising: a guide pipe (2) on the top and bottom edges with vertical making a sharp elevator (1),
A main winch 6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the elevator 1 to the main rope 2 and a guide rope 6 serving as a pillar for preventing rotation or shaking of the elevator 1 caused by winds during up- ( 12, 16) in which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s (12, 16) provided with a guide winch (7) capable of vertically moving the elevator machine room (5)
Passing the guide rope (5) through the guide pipe (3 ) of the elevator (1 ) to connect the guide rope loop (8)
Wherein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is installed on the floor (9) when the guide rope loop (8) is vertically lowe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9)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자리에 화재 시 낙하물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화재 비상용 바닥 엘리베이터 승강장(11) 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9) and the bottom of the guide loop bottom ring (10) are capable of preventing the fall of a falling object during a fire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16)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사이의 고층 건물 외벽에 화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환풍구(19) 방화벽(20, 21) 이 갖추어진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승강장(17, 24) 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16) and a guide rope bottom ring (10) is a flame in a high-rise building outer wall vents (19) which can pass through between the firewall (20, 21) is equipped outside wall A method for forming a raised elevator landing (17, 24)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치(6) 가이드 윈치(7) 가 포함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을 조립식이나 이동식으로 하여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그리고 우선권 출원을 하면서 청구항을 추가하면, 청구항 5,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8, 청구항 9, 청구항 10, 청구항 11과 같다.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including the main winch (6) and the guide winch (7) is assembled or movable.
And claims are added while filing a priority application, it is same as claims 5, 6, 7, 8, 9,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도1d 의 일례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3) 엘리베이터(1) 외벽 사이에 파이프 날개(25) 가 있는 비상용 엘리베이터(1) 를 형성하는 단계,
도11a 도11b 도11c 도12a 도12b 도12c 도13a 도13b 도14a 도14b 도15a 도15b 도16a 도16b 의 일례들과 같이 가이드 윈치(7) 들을 연동하고 메인 윈치(6) 메인 호이스트(57) 전기선 릴(48) 과 연동시켜
전원 스위치(52, 53) 리모컨 으로 작동이 가능한 일체형 복합 윈치(47) 또는 일체형 가이드 윈치와 메인 호이스트(59) 를 형성하는 단계,
도10a 도10b 도10c 도10d 도10e 도10f 도10g 도10h 도10i 도10j 의 일례들과 같이 옥상 외벽(40) 안팎으로 일체형 복합 윈치(47) 가 내재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16) 을 형성하는 단계,
도7a 도7b 도7c 도7d 도7e 도8a 도8b 도9a 도9b 의 일례들과 같이 옥상에서 비상용 엘리베이터(1)가 수직으로 내려올 약속된 지면에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를 형성하고, 그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주위에 패널 경계석(9) 으로 형틀 을 만든 다음, 뚜껑이 있는 작은 홀(33)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에 씌우고 패널 경계석작은 홀(33) 사이에 주변 지면과 같은 높이로 다시 레미콘을 부어넣고 글씨를 새겨 넣어 바닥 엘리베이터 비상용 승강장(9) 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의 방법들로, 비상용 엘리베이터(1)를 옥상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16) 에 내재된 일체형 복합 윈치 메인 로프(2) 에 연결하고 가이드 로프(5) 를 엘리베이터 모서리의 가이드 파이프(3) 속으로 통과시킨 다음, 가이드 로프(5) 끝에 가이드 로프 고리(8) 를 연결하여 수직으로 바닥(9) 까지 내린 다음, 가이드 로프 고리(8) 바닥 엘리베이터 비상용 승강장(9) 가이드 로프 바닥 고리(10) 에 연결한 다음, 가이드 로프(5) 기둥 줄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팽팽히 하여, 도10m 의 일례와 같이 이 발명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1 having a pipe wing 25 between the guide pipe 3 and the outer wall of the elevator 1 as shown in Fig. 1D ,
11A , 11B , 11C , 12A , 12B , 12C , 13A , 13B , 14A , 14B 15A and 15B The guide winch 7 is interlocked and the main winch 6 and the main hoist 57 are interlocked with the electric wire reel 48 as in the examples of Figs.
Forming a single integral type winch (47) or integral guide winch and a main hoist (59) which can be operated by power switches (52, 53) or a remote control ,
10a , 10b , 10c , 10d , 10e , 10f , 10g , 10h and 10i The steps of forming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s 12 and 16 in which an integral multiple winch 47 is embedded in and out of the roof outer wall 40 as in the example of Fig. 10J ,
7A , 7B , 7C, 7C 7d, Fig. 7e 8A , 8B 9A, 9A and 9B , a guide rope bottom ring 10 is formed on a promised ground to which the emergency elevator 1 will vertically descend from the roof, and a panel boundary 9 is formed around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 put made of a mold, then put putting the small hole 33 with a lid on the guide rope bottom ring (10) pour ready-mixed concrete flush with the surrounding ground again between the panel boundary stone with small holes (33) inscribed with letters floor Forming an elevator emergency landing 9 ,
With the above methods, the emergency elevator 1 is connected to the main rope 2 of the integrated composite winch embedded in the rooftop elevator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s 12 and 16 and the guide rope 5 is connected to the guide pipe 3 The guide rope loop 8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uide rope 5 vertically down to the bottom 9 and then the guide rope loop 8 is guided to the guide rope bottom 9 of the floor elevator emergency landing 9, The method of forming a high-rise building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 m ) , wherein the guide rope 5 is connected to the ring 10 and then tightened so that the guide rope 5 can serve as a pillar .
청구항 3에 있어서,
옥상 외벽 난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기계실 돌출 승강장(12, 16) 바닥 엘리베이터 비상용 승강장(9) 사이 수직 허공의 고층건물 상층부 외벽 극히 일부분의 층에, 도 5m 도 5n 도 5o 도 5p 도 5q 의 일례들과 같이 상하가 계단 으로 연결되고 좌우가 벽의 옆문 으로 통하는 수직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7) ㅜ 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8) 十자형 외벽 돌출 엘리베이터 복합 승강장(29) 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법들로 도 5r 도 5s 도 5t 도 5u 의 일례들과 같이 이 발명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roof outer wall ledge high rise elevator floor of a building outer wall upper small portion of the vertical air between the machine room projecting platform (12, 16) and the bottom elevator emergency platform (9)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Fig. 5m 5n Figure 5o Figure 5p also vertically is connected to the stairs and vertical outer wall projecting right and left leading to the side door of the wall elevator complex platform 27 as shown in the example of 5q and TT-shaped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composite platform 28 and 十shaped outer wall projecting elevator composite platform (29)
By the above methods also 5r 5S 5t As shown in Fig. 5U , a method for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청구항 4에 있어서,
도17a 의 일례와 같이 레일(63) 위로 레일바퀴(64) 가 달려 있는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를 형성한 다음, 도17b 도17c 의 일례와 같이 안전벽 기둥 레일(66) 을 형성한 다음, 도17d 의 일례와 같이 옥상 기둥(67) 에 앞뒤로 멈춤 벽(68) 이 형성된 안전벽 기둥 레일(66) 위로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를 장착하여 그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에서 메인 로프(2) 엘리베이터(1) 를 연결하고 가이드 로프(5) 를 그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파이프(3) 속으로 통과시켜 가이드 로프(5) 하단에 가이드 고리(8) 를 연결한 다음, 도17f 와 같이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65) 가 옥상 외벽과 수직으로 설치된 안전벽 기둥 레일(66) 위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도17e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을 형성하는 단계,
도17g 도17h 도17i 도17j 도17l 의 일례들과 같이 옥상 외벽(40) 안팎으로 옥상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을 형성하고 옥상 외벽(40) 안쪽으로 엘리베이터 격납고(70) 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법들로 도17k 의 일례와 같이 이 발명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top rail 63, as shown in an example of Figure 17a rail wheel 64 is formed a rail wheel integral composite winch 65 which depend next, to form a safety wall pillar rail 66, as shown in an example of Figure 17b Figure 17c 17 (d) , a rail-wheel-integrated multiple winch 65 is mounted on a safety wall pillar rail 66 on which a stop wall 68 is formed on the roof column 67 , in Connecting a lift (1) as a main rope (2) and connected to the guide ring 8 guides the rope (5) at the bottom passing into the guide pipe (3) of the elevator guide rope 5 Next, Fig. 17f and the rail wheels integral composite winch 65 is the roof outer wall, and vertically installed safety wall pillar rail 66 to form the mobile over the forward or backward, above the roof pillars of Figure 17e rail wheel integral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69) as step,
Figure 17g Figure 17h Figure 17i Figure 17j also elevator silo 70 to the roof inside the outer wall (40) and out of the roof pillars form the upper rail wheel integral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69) and the roof outer wall 40, as shown in the example of 17l , ≪ / RTI >
The method of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example of FIG .
청구항 4와 청구항 7에 있어서,
도 18a 의 일례와 같이 옥상 외벽과 평행하게 옥상 바닥에 레일(63) 을 설치하고, 레일바퀴 이동 패널(71) 위에 상기 기둥 위 레일바퀴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69) 을 결합하여 옥상 바닥에 깔린 레일(63)을 타고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레일바퀴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2) 을 형성하는 단계,
도 18b 의 일례와 같이 레일바퀴 이동 패널(71) 위로 콘크리트 균형 패널(73) 을 적재하여 무게중심이 안전한 레일바퀴 이동 패널 균형추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4) 을 형성하거나, 도 19 의 일례와 같이 옥상 바닥에 세 번째 레일(75) 을 깔고 레일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76) 위에 콘크리트 균형 패널(73) 을 적재하여 레일바퀴 돌출부 이동 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77) 을 형성하는 단계,
도 20a 일례와 같이 레일바퀴 이동 패널(71)콘크리트 균형 패널(73) 자체로 계단(78) 을 형성한 다음, 그 계단 위에 난간 바닥(79) 을 깔고 안전 난간(80) 을 설치하여 탑승용 안전난간 레일바퀴 이동패 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1) 을 형성하는 단계,
도 20b 의 일례와 같이 옥상 외벽(40) 과 평행하게 설치된 옥상 바닥 레일(60) 의 한쪽에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들 (72, 74, 77, 81)을 보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격납고(70) 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법들로 도 20c 도 20d 의 일례들과 같이 옥상 외벽을 따라 옥상 바닥에 형성된 레일(63) 을 타고 이동하면서 인명구조를 할 수 있는 이 발명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rail 63 is provided on the roof bottom in parallel with the roof top wall and a rail winch integrated railway wheel integrated type winch elevator system 69 is mounted on the rail wheel moving panel 71, Forming a railway wheel-moving panel integral multiple winch elevator system (72) capable of moving left and right on the rail (63)
As in the example of Figure 18b the rail wheel moving panel 71 to the top to form a concrete balance panel 73 is loaded with the center of gravity safety rail wheels move the panel balance weight piece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74, or, as in the example of FIG. 19 The third rail 75 is laid on the roof top and the concrete balancing panel 73 is mounted on the rail wheel moving panel projection 76 to form a rail wheel protrusion moving panel integrated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77 ,
Forming a rail wheel moves panel 71 and the concrete balance panel 73 steps 78 by itself, as an example in Fig. 20a, and then, over the stair laying railing floor 79 on board by installing a safety railing (80)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safety railing rail wheel moving panel integral multi-winch elevator system (81)
Forming an elevator hangar 70 capable of storing the elevator systems 72, 74, 77, and 81 on one side of a roof top rail 60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roof top wall 40 as in the example of FIG. ,
The method of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against fi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one example of FIG . 20C , FIG . 20D , can carry out lifesaving while moving on a rail 63 formed on a roof top floor along a roof top wall .
청구항 4와 청구항 8에 있어서,
도21a 의 일례와 같이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가 있는 누름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3) 을 형성하는 단계,
도21b 와 같이 상기 누름 이동패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83)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에 맞추어 ㄱ자 누름 패널(86) 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의 방법들로 도21c 도21d 의 일례들과 같이 누름 이동 패널 돌출부(82) ㄱ자 누름 패널(86) 속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안전하게 인명구조를 할 수 있는 이 발명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forming a push-to-move panel integral multiple winch elevator system 83 with a pushing mobile panel projection 82 as in the example of FIG. 21A ,
As shown in FIG. 21B , a step of forming a pivoting pushing panel 86 in accordance with the pushed mobile panel projecting portion 82 of the push- pull panel integrated winch elevator system 83 ,
As shown in FIGS . 21C , 21D, the emergency elevator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n which the lifting mobile panel projecting portion 82 can be safely lifted into the lance pressing panel 86, ≪ / RTI >
청구항 4와 청구항 9에 있어서,
도 22a 의 일례와 같이 레일바퀴 이동패널(71) 위로 회전판(87) 회전 기둥(88) 을 설치한 다음, 그 회전 기둥(88) 위로 다단 붐(89) 을 설치한 다음, 그 다단 붐 끝단(90) 일체형 복합 윈치가 내재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을 설치한 다음, 레일바퀴 이동 패널(71)의 건물 안쪽으로 바퀴(91) 가 달려 있는 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92) 를 형성한 다음, 그 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92) 위로 콘크리트 균형 패널(73)을 적재한 다음, 바퀴 이동 패널 돌출부(92) 뒤편에 붐 윈치(93) 를 설치한 다음, 도르래(94) 를 통하여 붐 윈치(93)다단 붐 끝단(90) 와이어(95) 로 연결한 다음, 붐 윈치(93) 엘리베이터 기계실(13) 전기선(96) 이 통하는 전기선 릴(48) 을 설치하여,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을 형성하는 단계,
도 24a 의 일례와 같이 벽이 열린 비상용 엘리베이터(100) 를 형성한 다음, 소방호스 커플링(101) 으로 연결되는 소방 파이프(102) 소방 관창(103)) 이 설치된 소방 배관(104) 을 형성한 다음, 벽이 열린 비상용 엘리베이터(100) 안에 소방 배관(104)을 설치하여,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형성하는 단계,
도 24b 도 24c 의 일례와 같이 상기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다단 붐(89)커플링(101)으로 소방 파이프(102)를 연결한 다음, 다단 붐 끝단(90)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 를 설치한 다음, 소방 파이프(102) 끝에 커플링(101)으로 소방 호수(106) 를 연결한 다음, 소방배관 엘리베이 터(105)를 필요한 위치로 내린 상태에서 소방 호수(106) 끝을 소방배관 엘리베이터(105)의 윗부분 소방 파이프 커플링(101) 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한 방법들로 도 22b 도 22c 도 22d 도 23a 도 23b 도 23c 도 24d 의 일례들과 같이 고층건물 화재 발생 시 상층부의 인명구조 는 물론이고 화재진압 까지 수행할 수 있는 이 발명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d 9,
One is installed, then the rotation column 88 to the top multi-stage boom 89. Figure 22a install the rail wheels move panel 71 over the spindle 87 and the rotating column 88 as shown in an example in the following, the multi-stage boom end The elevator machine room 13 in which the integral multiple winch is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rail 90 and the wheel moving panel protrusion 92 having the wheel 91 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of the rail wheel moving panel 71 is formed , the wheels move the panel projection (92) over the concrete balance panel 73, and then, the wheels move the panel projection (92) provided for the boom winch (93) at the back, and then, a pulley 94, the boom hoist (93 through a load ) and by installing a multi-stage boom end 90 by the connection to the boom wire 95, then, the boom winch 93 electric wire (electric wire reel 48, 96) are leading to the elevator machine room 13, the rotating plate multi-stage boom-one Forming a composite winch elevator system 97 ,
FIG form the emergency elevator 100, an open wall, as an example of 24a and then the fire hose and the coupling 101 fire pipe 102 and the fire gwanchang 103) installed fire pipe 104 that is connected to A step of forming a fire-fighting pipe elevator 105 by providing a fire-fighting pipe 104 in the emergency elevator 100 with a wall opened ,
24B As in the example of Figure 24c the rotation plate multi-stage booms integrally composite winch elevator connecting the fire pipe 102 in the coupling 101 to the multi-stage boom (89) of the system (97), and then fire pipe to the multi-stage boom end 90 installing an elevator 105, and then fire the pipe 102 at the end of coupling 101 to a next, fire lake 106 from the down position to the location necessary for fire fighting pipe elevator (105) connected to the fire lake 106 Forming an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the end to the upper fire pipe of the fire pipe elevator 105 with the coupling 101 ,
Also with the method described above 22b 22C 22D 23A 23B 23C The method of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against fi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perform fire suppression as well as lifesaving of an upper floor when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occurs .
청구항 4와 청구항 9에 있어서,
도25a 의 일례와 같이 상기 회전판 다단 붐 일체형 복합 윈치 엘리베이터 시스템(97) 다단 붐(89)엘리베이터 기계실(13) 사이에 조립식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가 형성되어 있는 ㄱ자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110) 를 설치할 수 있는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
도27a 의 일례와 같이 내부 고무호스(120) 호스 날개(118) 금속 구멍(117) 이 형성된 외부 질긴 호스(119) 속으로 삽입한 다음 접착제(39) 로 결합하여 그물망 원통 파이프(108)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의 외경(바깥지름)보다 지름이 큰 날개에 구멍이 있는 소방호스(121) 를 형성하는 단계,
도27b 의 일례와 같이 소방 호스(106, 121) 가 빠져나오는 끝단 그물망 원통 파이프(109) 끝부분 외부에 날개에 구멍이 있는 소방호스(121) 금속 구멍(117) 을 이용하여 아래로 길게 늘어뜨려진 물이 가득 찬 무거운 소방호스를 잡아줄 수 있는 그물망 원통 소방 파이프 고리(115) 줄 고리(116) 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의 방법들로 도25b 도25c 도25d 도25e 도25f 의 일례들과 같이 초고층 건물 상층부의 화재진압 까지 할 수 있는 이 발명의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d 9,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25A , a prefabricated cylindrical metal pipe 108 and an end cylindrical metal pipe 109 are formed between the multi-stage boom 89 and the elevator machine room 13 of the multi- stage boom integrated multi-stage winch elevator system 97 Forming a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a refractory fire pipe 110 ,
27A , The inner rubber hose 120 is connected to the hose vane 118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ular hose 119 in which the metal hole 117 is formed and then joined by the adhesive 39 to form a blad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ut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metal pipe 108 and the end cylindrical metal pipe 109 Forming a fire hose 121 having a hole therein,
FIG fire hose (106, 121) as in the example of 27b are using a metal hole 117 of the end mesh cylindrical pipe 109 at the end of the wing to an external fire hose 121 with a hole exiting stretched down A step of forming a mesh fire pipe ring 115 and a string hook 116 capable of catching a heavy fire hose filled with knocked water ,
With the method of FIG. 25b Figure 25c Figure 25d 25E The method for forming an emergency elevator system for a high-rise building fire as claimed in claim 25, wherein the elevated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capable of suppressing fire in an upper layer of a skyscraper.
KR20130076211A 2013-05-10 2013-07-01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 Ceased KR2014013337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066 2013-05-10
KR20130053066 2013-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378A true KR20140133378A (en) 2014-11-19

Family

ID=5245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211A Ceased KR20140133378A (en) 2013-05-10 2013-07-01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337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437A (en) * 2016-05-31 2017-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he elevator for jacking leg
KR20180016133A (en) 2016-08-05 2018-02-14 이복상 Fire elevator fixed cable by the electromagnet
KR20210094739A (en) * 2020-01-22 2021-07-30 김동환 Fire fighting Apparatus for build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5437A (en) * 2016-05-31 2017-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he elevator for jacking leg
KR20180016133A (en) 2016-08-05 2018-02-14 이복상 Fire elevator fixed cable by the electromagnet
KR20210094739A (en) * 2020-01-22 2021-07-30 김동환 Fire fighting Apparatus for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86107A (en) Firefighting and lifesaving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CN202236923U (en) Fire-fighting life saving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KR100701790B1 (en) Fire suppression and rescue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s
CN102166394B (en) High-altitude fire prevention rescu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CN103007453B (en) High building fire fighting rescue system
KR20140133378A (en)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e emergency elevator system in a high rise building
CN202036717U (en) Upper airspace fire-fighting rescuing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WO2012039643A1 (en) Fire and rescue system with a hoist for use on the outside of tall buildings
WO2015180629A1 (en) Rope releasing device with fire-fighting and rescuing functions
CN104225813A (en) Descent control device
CN203075490U (en) High-rise building fire rescue system
CN111731969A (en) Escape platform and escape platform system
RU2651656C1 (en) Device for people emergency evacuation from the high-rise buildings
CN105056410A (en) System with fire-fighting and rescue function
CN104906701A (en) Building with fire-fighting and rescue function
CN105498103A (en) Building having fire extinguishing and rescue functions
CN204193331U (en) A kind of building with fire fighting and rescue function
CN205031781U (en) Building with fire -fighting and rescuing function
CN204193333U (en) A kind of building with fire fighting and rescue function
CN204193334U (en) A kind of for build there is fire fighting and rescue function put rope equipment
CN204121627U (en) A kind of system with fire fighting and rescue function
IT202100015215A1 (en) Emergency lift system for skyscrapers that runs vertically and translates horizontally, or sub-vertically, always remaining parallel to the facade of the building
CN105056412A (en) Building having extinguishment rescue function
CN205031792U (en) Rope releasing equipment for building with extinguishment and rescue functions
CN204193332U (en) A kind of building with fire fighting and rescu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