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31075A - 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075A
KR20140131075A KR20130049939A KR20130049939A KR20140131075A KR 20140131075 A KR20140131075 A KR 20140131075A KR 20130049939 A KR20130049939 A KR 20130049939A KR 20130049939 A KR20130049939 A KR 20130049939A KR 20140131075 A KR20140131075 A KR 20140131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m
film member
nut
caulking
pam n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49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5600B1 (en
Inventor
전의종
Original Assignee
삼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600B1/en
Publication of KR2014013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0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60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23P19/12Alignment of parts for insertion into b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팸너트의 정렬, 이송 및 코킹 작업을 자동화 구현 가능하고, 다양한 팸너트의 사이즈 및 형상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팸너트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팸너트 공급장치는 팸너트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형성된 필름 부재와, 팸너트가 삽입된 필름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 부재로부터 팸너트를 이탈시키고 이탈된 팸너트를 일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탈 이송부와, 상기 이탈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팸너트를 코킹하는 코킹부와, 팸너트가 이탈된 필름 부재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필름 부재를 감은 상태에서 상기 필름 부재를 풀어 공급시키는 제1 롤러를 구비한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의 팸너트를 롤러의 교체만으로 변경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면에서 큰 이점을 갖고,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팸너트의 정렬, 이송 및 코킹 작업을 모두 자동화 구현 가능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Disclosed is a Pam nut feeder capable of automating alignment, feeding and caulking operations of a Pam nut whil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efficiently applying the size and shape of various Pam nuts. The Pam nut feeder includes a film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sertion holes for inserting the Pam nu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eeding part for feeding the film member with the Pam nut inserted therein, and a feeding part for releasing the Pam nut from the feeding part And a collecting section for collecting the film member from which the Pam nuts are removed, wherein the supplying section includes a film member for collecting the film member, And a first roller for releasing and feeding the film member in a wound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nge various sizes and shapes of Pam nuts by replacing the rollers, thereby having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time and cost,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e alignment, feeding and caulking operations of a Pam nut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팸너트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0001] 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 [0002]

본 발명은 팸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팸너트를 이송하고 기판에 코킹하여 일련의 자동화 공정을 수행하는 팸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m nut fee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m nut feeder that feeds a Pam nut and carries it on a substrate to perform a series of automated processes.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 기기의 기판 등에 조립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행하기 위해 기판에 팸너트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팸너트를 인서트하게 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Generally, in order to easily and firmly assemble a substrate on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a through hole into which a pam nut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a pam nu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1013호(2004.12.13)에는 사출물 인서트 장치의 팸너트 공급기구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출물 인서트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물 인서트 장치(100)는 발열부(1)와, 가압부(2) 및 상기 발열부(1)에 장착하여 다수의 팸너트를 동시에 발열핀(12)에 공급 안착시킬 수 있게 하는 팸너트 공급기구(3)를 구비한다.In the Utility Model No. 20-0371013 (Dec. 13, 2004) fil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Pam nut supply mechanism of the injection insert device has been disclosed. 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injection molding insert device. 1, a conventional injection insert device 100 includes a heat generating part 1, a pressing part 2, and a plurality of Pam nuts mounted on the heat generating part 1, (Not shown).

발열부(1)는 동체(100)의 기대(100') 위에 장착되어 팸너트를 가열하는 지그로서, 베이스 판넬(11)의 상부에 다수의 발열핀(12)을 수직으로 세워 장착한 발열핀 고정판(13)과, 상기 발열핀(12)의 상부에 위치하여 발열핀(12)이 통과하는 구멍을 가진 고정판(13')과, 상면에 사출물 받침대(15)가 장착된 승강판(16)과, 상기 승강판(16)을 지지 및 승강 안내하는 에어실린더(10)를 포함한다. 가압부(2)는 가이드 포스트를 타고 승강하는 승강판(23)과, 상기 승강판(23)의 저면에 장착된 사출물 가압패드(24)로 구성된다.The heat generating unit 1 is a jig mounted on the base 100 'of the body 100 and heating the pam nut. The heat generating unit 1 includes a base plate 11,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fins 12 vertically mounted on the base plate 11, A fixed plate 13 and a lifting plate 16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12 and having an aperture through which the heating pin 12 passes, And an air cylinder 10 for supporting and lifting and guiding the lifting plate 16. The pressing portion 2 is constituted by a lifting plate 23 which ascends and descends by the guide post and an ejecting material pressing pad 24 which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fting plate 23.

팸너트 공급기구(3)는 프레임과, 전방으로 이송 인출 가능하고 다수의 팸너트를 정렬 공급시킬 수 있으며 발열부(1) 위로 복귀시 정렬된 팸너트를 발열핀(12)에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팸너트 공급판(30)과, 팸너트 공급판(30)에 정렬된 팸너트가 발열핀(12) 위에 공급될 때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승강용 에어실린더(37)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부(1)는 고정블럭(18) 및 위치결정핀(19)에 의해 기대(100')에 탈착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된 부호 4는 컨트롤 박스이고, 5는 사출물이다.The Pam nut supply mechanism 3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upplying a Pam nut to the heat generating pin 12, which can be transported and drawn out forward and aligned and supplied with a plurality of Pam nuts, And a lift air cylinder 37 for stably supplying the Pam nut when the Pam nuts arranged on the Pam nut supply plate 30 are supplied onto the heating fins 12. The heating portion 1 is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base 100 'by the fixing block 18 and the positioning pin 19. The reference numeral 4 is a control box, and 5 is an injection molding.

또한, 선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97628(2005.10.10)에는 팸너트 코킹프레스의 팸너트자동공급설비가 개시된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팸너트자동공급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팸너트자동공급설비는 팸너트정렬장치(500)와, 팸너트이송장치(600)와, 분배장치(300)와, 팸너트세팅장치(400)로 구성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97628 (Oct. 10, 2005), which is a prior application, discloses a Pam nut automatic feeding system of a Pam nut caulking press.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atic feeding device of Pam nuts. 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Pam nuts includes a Pam nut sorting device 500, a Pam nut feeding device 600, a dispensing device 300, and a Pam nut setting device 400 do.

팸너트정렬장치(500)는 팸너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는 파츠 피더(Parts feeder)로서 작용한다. 팸너트이송장치(600)는 팸너트정렬장치(500)에서 정렬되는 팸너트의 종류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정렬된 각 팸너트를 분배장치(300)에 이송한다. 분배장치(300)는 팸너트이송장치(60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팸너트를 개별적으로 구분 분리하여 정렬한다. 팸너트세팅장치(400)는 분배장치(300)에 의해 정렬된 각종 팸너트를 진공 흡착하여 코킹프레스(410)에 구비된 다이(411)의 팸너트세팅홀(411h)에 삽입시킨다.The Pam nut alignment device 500 acts as a parts feeder that aligns the Pam nuts in a certain direction. The Pam nut transferring apparatus 600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Pam nuts aligned in the Pam nut aligning apparatus 500 and transfers each ordered Pam nut to the dispensing apparatus 300. The distributing device 300 individually separates and arranges a plurality of Pam nuts supplied from the Pam nut transferring device 600. The Pam nut setting apparatus 400 vacuum-sucks various Pam nuts sorted by the dispensing apparatus 300 and inserts them into the Pam nut setting hole 411h of the die 411 provided in the caulking press 410.

상기 팸너트정렬장치(500)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팸너트가 투입되고 공급로(510)를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공급이 이루어진다. 팸너트이송장치(600)는 팸너트정렬장치(500)의 공급로(510)의 끝단에 연설되어 공급된 팸너트를 분배장치(300)에 이송 공급하며, 팸너트공급관(520)을 구비한다. 분배장치(300)는 상부측의 리시버블록(310)과, 하부측의 도너블록(320)을 구비한다. 팸너트세팅장치(400)는 지지프레임의 수평면 위에서 전후 왕복운동으로 도너블록(320)에서 흡착한 팸너트를 다이(411)에 공급하는 팸너트흡착기(420)와, 흡착기이송기(430)를 구비한다. 팸너트흡착기(420)는 흡착베이스(422)와, 흡착베이스(422)를 상하 왕복운동시키는 실린더(423)를 구비한다. 흡착기이송기(430)는 단부에 팸너트흡착기(420)가 연결되기 위한 피스톤로드(430r)를 구비한다.The Pam nut aligning apparatus 5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Pam nuts are inserted and aligned in a line along the feed path 510 to be supplied. The Pam nut transferring apparatus 600 transfers the supplied Pam nuts to the dispensing apparatus 300 at the end of the supply path 510 of the Pam nut aligning apparatus 500 and has a Pam nut supply pipe 520 . The dispensing apparatus 300 includes a receiver block 310 on the upper side and a donor block 320 on the lower side. The Pam nut setting apparatus 400 includes a Pam nut absorber 420 for supplying a Pam nut adsorbed by the donor block 320 to the die 411 in a back and forth reciprocating motion on a horizontal plane of the support frame, do. The Pam nut absorber 420 has an adsorption base 422 and a cylinder 423 for reciprocating the adsorption base 422 up and down. The adsorptive transfer device 430 has a piston rod 430r for connecting the Pam nut adsorber 420 to the end thereof.

하지만, 종래의 팸너트 공급장치는 팸너트의 정렬, 이송 및 코킹의 일련의 공정을 완전 자동화 구현하기 어려웠고, 팸너트의 형상, 사이즈 등이 변경되는 경우 팸너트를 정렬 및 이송하는 모듈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팸너트 공급장치는 부품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am nut feeder has difficulty in fully automating a series of processes of sorting, feeding and caulking of the Pam nuts, and replacing the entire module for sorting and transporting the Pam nuts when the shape and size of the Pam nuts are chan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must be don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m nut supply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due to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and a complicated configuration.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1013호(2004.12.13)Patent Document 1: Utility Model No. 20-0371013 (Dec. 13, 2004)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97628(2005.10.10)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97628 (Oct. 10, 2005)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팸너트의 정렬, 이송 및 코킹 작업을 자동화 구현 가능하고, 다양한 팸너트의 사이즈 및 형상에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팸너트 공급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m nut feeding device that can be automated for alignment, feeding, and corking operations of a Pam nut whil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and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various sizes and shapes of Pam nuts.

본 발명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는 팸너트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형성된 필름 부재와, 팸너트가 삽입된 필름 부재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필름 부재로부터 팸너트를 이탈시키고 이탈된 팸너트를 일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탈 이송부와, 상기 이탈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팸너트를 코킹하는 코킹부와, 팸너트가 이탈된 필름 부재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는 필름 부재를 감은 상태에서 상기 필름 부재를 풀어 공급시키는 제1 롤러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m nut feeding apparatus comprising: a film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 inserting a Pam nu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lm member into which the Pam nut is inserted; A releasing part for releasing the Pam nut and for releasing the released Pam nut to one side, a caulking part for caulking the Pam nut transferred from the releasing conveyance part, and a recovering part for recovering the film member from which the Pam nut is removed, And a first roller for releasing and feeding the film member while the film member is wound.

상기에서, 필름 부재의 삽입공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 이송부는 필름 부재에 삽입된 팸너트를 가압하여 상기 팸너트를 필름 부재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부재와, 상기 이탈 부재에 의해 이탈된 팸너트를 수용하여 상기 코킹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at least one cut portion is formed along the insertion hole of the film member. The release feed portion includes a releasing member for releasing the Pam nut from the film member by pressing the Pam nut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And a feeding member for receiving the Pam nuts separated by the feeding unit and feeding the received Pam nuts to the caulking unit side.

상기에서, 코킹부는 팸너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코킹부재와, 상기 하부 코킹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팸너트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부 코킹부재와, 상기 상부 코킹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aulking portion includes a lower caulking member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pummet nut, an upper caulking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ulking member to press the pum nut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bove, 1 drive unit.

상기에서, 이탈 이송부는 상기 이탈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이송 부재를 상기 코킹부 측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3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escape portion includes a second driving portion for vertically moving the releasing member, and a third driving portion for reciprocating the conveying member toward the caulking portion.

상기에서, 이송 부재는 상기 이탈 부재에 의해 필름 부재로부터 낙하하는 팸너트를 삽입시키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회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은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일 측이 피봇 연결되며, 상기 수용홈의 상부에는 팸너트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회전판이 벌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onvey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air of rotary plates which are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receiving grooves for inserting the Pam nuts falling from the film member by the releasing member, and the pair of rotary plates are flared And a sloped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rotating plate is opened as the Pam nut is pressed downward.

상기에서, 회수부는 회전 작동에 의해 필름 부재를 감아 회수시키는 제2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필름 부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안내공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의 사이에는 외주면에 상기 안내공에 끼워지는 안내 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 롤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송되는 필름 부재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텐셔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recovery unit may include a second roller for winding and recovering the film member by a rotation operation,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member, and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nd at least one of the guide rollers is provided with a tensioner for tensioning and tensioning the film member to be transferred to the guide rollers.

본 발명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는 다양한 사이즈 및 형상의 팸너트를 롤러의 교체만으로 변경 가능하여 시간과 비용면에서 큰 이점을 갖고,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팸너트의 정렬, 이송 및 코킹 작업을 모두 자동화 구현 가능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The Pam nu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various sizes and shapes of the Pam nuts only by replacing the rollers, thereby having a great advantage in terms of time and cost.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realize automation and greatly improve productivity.

도 1은 종래의 사출물 인서트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팸너트자동공급설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제1 롤러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필름 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4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이송 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injection molding insert devic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tomatic feeding system of Parmnut,
3 is a front view of the Pam nut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Pam nut fee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a first roller of a Pam nut fee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film member of the Pam nut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
9 is a view showing a feeding member of the Pam nut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팸너트 공급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am nut feed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제1 롤러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필름 부재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도 4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의 이송 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Pam nut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a Pam nut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6 shows a film member of a Pam nut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ure 3, Figure 8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feeding member of the Pam nut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팸너트 공급장치(7)는 필름 부재(9)와, 공급부(73)와, 회수부(74)와, 본체(72)와, 이탈 이송부(77)와, 코킹부(75)를 포함한다.3 to 10, the Pam nut feeder 7 includes a film member 9, a feeding portion 73, a collecting portion 74, a main body 72, a separating feed portion 77, And a caulking portion 75.

필름 부재(9)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박막으로 이루어져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6(a)는 팸너트가 분리된 필름 부재(9)를 도시한 것으로서, 필름 부재(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삽입공(93)이 일정 간격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93)은 팸너트(99)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며, 팸너트(99)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팸너트(99)는 팸볼트, 스터드(Stud)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팸너트로 용어를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필름 부재(9)에는 폭 방향으로 삽입공(93)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안내공(91)이 이격 형성된다. 안내공(91)은 후술할 롤러들에 형성된 안내 돌기를 끼우기 위한 것이다.The film member 9 is formed of a thin film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s a strip shape having a length. 6 (a) shows a separated film member 9,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9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member 9. The insertion hole 93 is for insertion of the pam nut 99 and the pam nut 99 may be form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s shown in Fig. 6 (c). Pam Nut (99) can include all of Pambolt, Stud, etc., and will be described as a unified term with Pam Nut. A plurality of guide holes 91 are formed on the film member 9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hole 93 in the width direction. The guide hole 91 is for fitting a guide projection formed on the roller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필름 부재(9)에는 절개부(95)가 형성되며, 절개부(95)는 삽입공(93)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팸너트(99)가 필름 부재(9)의 삽입공(93)에 삽입된 상태에서 팸너트(99)의 머리 부위는 삽입공(93)의 직경보다 큰 단면적을 갖기 때문에, 팸너트(99)는 필름 부재(9)에 걸려 하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팸너트(99)의 상면을 소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면, 절개부(95)가 벌어지면서 팸너트(99)의 머리 부위가 삽입공(93)으로부터 빠져 팸너트(99)가 필름 부재(9)로부터 하부로 이탈하게 된다.A cutout portion 95 is formed in the film member 9 and a plurality of cutouts 95 are radially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93. The head portion of the Pam nut 99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93 in a state where the Pam nut 99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93 of the film member 9, Sectional area, the Pam nuts 99 are caught by the film member 9 and are not released to the bottom.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Pam nut 99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the cut portion 95 is opened so that the head part of the Pam nut 99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hole 93,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member 9 downward.

공급부(73)는 팸너트(99)가 삽입된 필름 부재(9)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제1 롤러(732)를 구비한다. 제1 롤러(732)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의 롤러 형태로 이루어져 필름 부재(9)가 감겨지며, 중앙에 회전축 삽입공(7322)이 형성된다. 삽입공(7322)은 회전축(731)이 삽입되어 제1 롤러(732)가 회전축(7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롤러(732)는 회전축(7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이하게 교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롤러(732)에는 투시용 창공(7321)이 형성되어 필름 부재(9)의 교체 여부 및 사용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팸너트(99)가 삽입된 필름 부재(9)는 제1 롤러(732)에 감겨진 상태에서 후술할 제2 롤러(741)의 회전에 의해 풀려져 공급된다. 상기 제1 롤러(732)는 삽입공(7322)이 형성된 단면이 원형인 허브와, 상기 허브의 축방향 양측으로 구비되며 허브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플랜지로 이루어져, 허브에 필름 부재(9)가 감기고 양측에서 플랜지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플랜지에 투시용 창공(7321)이 형성된다. 상기 허브의 외면에는 필름 부재(9)의 끝단이 삽입되는 홈에 형성된다.The supply unit 73 supplies the film member 9 with the Pam nut 99 inserted thereinto and has a first roller 732. The first roller 732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roller as shown in FIG. 5, and the film member 9 is wound, and a rotary shaft insertion hole 7322 is formed at the center. The insertion hole 7322 is installed such that the first roller 732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731 with the rotation axis 731 inserted therein. The first roller 73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731 so that the first roller 732 can be easily replaced. The first roller 732 may be provided with a see-through window 7321 to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film member 9 is replaced or not. The film member 9 having the Pam nut 99 inserted therein is unwound and suppli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ller 7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732. The first roller 732 is composed of a hub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7322 and a plate flang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ub and having a cross 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hub, Is wound and supported by flanges on both sides. A penetrating opening 7321 is formed in the flan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is formed a groove into which the end of the film member 9 is inserted.

회수부(74)는 팸너트(99)가 이탈된 필름 부재(9)가 회수되는 것으로서, 제2 롤러(741)를 구비한다. 제2 롤러(741)는 회전 작동에 의해 필름 부재(9)를 감아 회수시킨다. 제2 롤러(741)는 제1 체인(7423)에 의해 모터(742)의 구동축(7421)에 연결되어, 모터(742)의 구동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 롤러(732)는 언코일러의 작용을 하며, 제2 롤러(741)는 리코일러의 작용을 하게 된다. 제2 롤러(741)의 외주면에는 필름 부재(9)에 형성된 안내공(91)에 끼워지는 안내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covery unit 74 is provided with a second roller 741 as the film member 9 from which the Pam nut 99 is removed is recovered. The second roller 741 is wound around the film member 9 by rotating operation. The second roller 741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7421 of the motor 742 by the first chain 7423 and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742. The first roller 732 acts as an uncoiler and the second roller 741 acts as a recoil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741, a guide protrusion that fits in the guide hole 91 formed in the film member 9 may be formed.

상기 제1 롤러(732)와 제2 롤러(741)의 사이에는 순차로 제1 안내 롤러(734), 제2 안내 롤러(735) 및 제3 안내 롤러(74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2, 3 안내 롤러(734, 735, 743)의 외주면에는 필름 부재(9)에 형성된 안내공(91)에 끼워지는 안내 돌기(7351)가 형성된다. 제1 안내 롤러(734)에는 텐셔너(733)가 구비된다. 텐셔너(733)는 일측이 제1 롤러(732)의 회전축(7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안내 롤러(734)에 연결되어, 제1 안내 롤러(734)를 제2 안내 롤러(735)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이송되는 필름 부재(9)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3 안내 롤러(743)는 제2 체인(7422)에 의해 모터(742)의 구동축(74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742)의 회전에 의해 제2 롤러(741)와 더불어 제3 안내 롤러(743)가 회전된다.A first guide roller 734, a second guide roller 735 and a third guide roller 743 are sequenti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ller 732 and the second roller 741. Guide protrusions 735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 rollers 734, 735 and 743 so as to be fitted into the guide holes 91 formed in the film member 9. The first guide roller 734 is provided with a tensioner 733. One end of the tensioner 73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731 of the first roller 73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oller 734 so as to connect the first guide roller 734 to the second guide roller 734 735, thereby tensioning the film member 9 to be transported. The third guide roller 743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7421 of the motor 742 by the second chain 7422. The third guide roller 743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roller 741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742. [

본체(72)는 하부에 메인 프레임(71)에 의해 지지되어 몸체를 이룬다. 상기 제1 롤러(732), 제2 롤러(741), 제1, 2, 3 안내 롤러(734, 735, 743), 모터(742) 및 후술할 이탈 이송부(77), 코킹부(75)는 본체(72)에 설치된다.The main body 72 is supported by a main frame 71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form a body. The first roller 732, the second roller 741,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 rollers 734, 735 and 743, the motor 742 and the release transferring portion 77 and the caulking portion 75 And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72.

이탈 이송부(77)는 공급부(73)로부터 공급되는 필름 부재(9)로부터 팸너트(99)를 이탈시킴과 아울러, 필름 부재(9)로부터 이탈된 팸너트(99)를 코킹부(75) 측으로 이송시킨다.The release conveyance portion 77 separates the pam nut 99 from the film member 9 supplied from the supply portion 73 and removes the pam nut 99 separated from the film member 9 toward the caulking portion 75 .

코킹부(75)는 이탈 이송부(77)의 전방에 위치하여 이탈 이송부(77)로부터 이송된 팸너트(99)를 코킹(Caulking)하는 것으로서, 하부 코킹부재(753)와, 상부 코킹부재(752) 및 제1 구동부(751)를 구비한다. 하부 코킹부재(753)는 본체(72)에 결합되어, 팸너트(99)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부 코킹부재(752)는 하부 코킹부재(753)의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부 코킹부재(753)와 상부 코킹부재(752)의 사이로 후술할 이송 부재(776)가 전진 및 후진되고, 이송 부재(776)의 하부에는 팸너트(99)가 조립될 기판(98)이 위치한다. 상기 기판(98)은 로봇과 같은 자동 공정을 통하여 이송 부재(776)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수작업으로 기판(98)을 파지하여 이송 부재(776)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The caulking portion 75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lease conveying portion 77 and caulking the pam nut 99 transferred from the release conveying portion 77 and includes a lower caulking member 753 and an upper caulking member 752 And a first driving unit 751. The lower caulking member 753 is coupled to the main body 72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am nut 99. The upper caulking member 752 is dispos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ulking member 753, and is moved up and down. A transfer member 776 to be described later is advanced and retracted between the lower caulking member 753 and the upper caulking member 752 and a substrate 98 to be assembled with the Pam nuts 99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ring member 776 do. The substrate 98 may be positioned below the transfer member 776 through an automatic process such as a robot or may be manually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transfer member 776 by grasping the substrate 98.

상부 코킹부재(752)는 팸너트(99)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코킹을 수행한다. 제1 구동부(751)는 상부 코킹부재(752)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유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부(751)에 상부 코킹부재(752)가 결합되어 제1 구동부(751)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구동된다.The upper caulking member 752 presses the Pam nut 99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to perform caulking. The first driving unit 751 moves the upper caulking member 752 up and down, and may be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An upper caulking member 752 is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unit 751 and is driven to move up and down by a first driving unit 751.

상기 이탈 이송부(77)는 본체(72)에 설치된 지지 몸체(774)와, 이탈 부재(777)와, 이송 부재(776)와, 제2 구동부(772) 및 제3 구동부(771)로 구성된다. 지지 몸체(774)는 결합 부재(773)에 의해 본체(72)에 체결되며, 지지 몸체(774)의 일 측에 브라켓(775)이 결합된다. 제2 구동부(772)는 브라켓(775)에 결합되어 이탈 부재(777)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유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탈 부재(777)는 제2 구동부(772)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브라켓(775)에 체결된 가이드 부재(778)에 의해 상하 방향 슬라이딩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778)는 제2 구동부(772)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 부재(777)는 봉상으로써 가이드 부재(778)에 형성된 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슬라이딩 안내된다.The release conveyance portion 77 includes a support body 774 provided in the main body 72, a releasing member 777, a conveying member 776, a second driving portion 772 and a third driving portion 771 . The support body 774 is fastened to the body 72 by a fastening member 773 and the bracket 775 is fasten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774. The second driving portion 772 is coupled to the bracket 775 to move the releasing member 777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of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The releasing member 777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portion 772 and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sliding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778 fastened to the bracket 775. The guide member 778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driving portion 772 and has a hole penetra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releasing member 777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guide member 778, Inserted and slidably guided.

이탈 부재(777)의 하부에는 공급부(73)로부터 이송된 팸너트(99)가 장착된 필름 부재(9)가 위치하며, 필름 부재(9)의 하부에는 지지 부재(725)가 구비된다. 지지 부재(725)는 이탈 부재(777)가 상부에서 팸너트(99)를 가압시 필름 부재(9)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체(72), 지지 몸체(774), 브라켓(775)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725)는 필름 부재(9)의 하면 중 가장자리 부위를 지지하고 팸너트(99)가 하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필름 부재(9) 중 팸너트(99)가 장착된 부위는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 부재(777)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필름 부재(9)에 삽입된 팸너트(99)를 가압하여, 팸너트(99)를 필름 부재(9)로부터 이탈시킨다.A film member 9 on which a pam nut 99 transferred from the supply unit 73 is mounted is disposed below the releasing member 777 and a supporting member 725 is provided below the film member 9. The support member 725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film member 9 when the releasing member 777 presses the Pam nut 99 at the upper portion and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72, the support body 774, the bracket 775 It can be installed in any one of them. The support member 725 supports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lm member 9 and a portion of the film member 9 on which the Pam nut 99 is mounted is disposed in an empty space . As the releasing member 777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m nut 99 inserted in the film member 9 is pressed to release the Pam nut 99 from the film member 9.

제3 구동부(771)는 지지 몸체(774)에 결합되어 이송 부재(776)를 전후 방향인 코킹부(75) 측으로 왕복 이동시키며, 유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송 부재(776)는 제3 구동부(771)에 결합되어 코킹부(75) 측으로 왕복 이동된다. 이송 부재(776)는 이탈 부재(777)에 의해 필름 부재(9)로부터 이탈된 팸너트(99)를 수용하여, 코킹부(75) 측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행한다. 이송 부재(776)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부재(7761)와, 이송 몸체(7762)와, 회전판(7763)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 부재(7761)는 제3 구동부(771)에 연결되어 코킹부(75)를 향해 전, 후진하며, 이송 몸체(7762)는 슬라이딩 부재(7761)와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된다.The third driving portion 771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body 774 and reciprocates the conveying member 776 toward the caulking portion 75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comprises a hydraulic cylinder or the like. The conveying member 776 is coupled to the third driving portion 771 and reciprocally moved toward the caulking portion 75 side. The transfer member 776 functions to accommodate the pummet 99 detached from the film member 9 by the releasing member 777 and transfer it to the caulking portion 75 side. The conveying member 776 is constituted by a sliding member 7761, a conveying body 7762 and a rotary plate 7763 as shown in Figs. The sliding member 7761 is connected to the third driving unit 771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ward the caulking unit 75 and the transporting body 7762 is combined with the sliding member 7761 to move integrally.

회전판(7763)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전방으로 연장되며, 각각의 후방 일 측이 이송 몸체(7762)에 힌지축(7765)으로 피봇 연결된다. 한 쌍의 회전판(7763)은 수평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여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7763)에는 수용홈(7767)이 형성된다. 수용홈(7767)은 한 쌍의 회전판(7763)의 서로 대면하는 부위에 원호 형상으로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한 쌍의 회전판(7763)이 서로 오므라지도록 서로 대면하고 있을 때 서로 마주하게 된다. 수용홈(7767)에는 이탈 부재(777)에 의해 필름 부재(9)로부터 이탈된 팸너트(99)가 삽입된다. 상기 수용홈(7767)의 상부에는 경사면(7769)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7769)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rotary plates 7763 are paired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extend forward, and each rear side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transfer body 7762 by a hinge shaft 7765. The pair of rotary plates 7763 are freely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 receiving groove 7767 is formed in the rotating plate 7763. The receiving groove 7767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on the facing portions of the pair of rotating plates 7763 so that the pair of rotating plates 7763 face each other when the pair of rotating plates 7763 face each other. In the receiving groove 7767, a Pam nut 99 detached from the film member 9 by a releasing member 777 is inserted. An inclined surface 7769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groove 7767. The inclined surfaces 7769 ar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ends facing each other.

이탈 부재(777)가 팸너트(99)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할 때, 팸너트(99)가 경사면(7769)을 따라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회전판(7763)은 서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힌지축(7765)에는 스프링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팸너트(99)가 하부로 이탈하고 이탈 부재(777)의 상승 시 한 쌍의 회전판(7763)은 다시 원상태로 오므라진다.When the releasing member 777 presses the Pam nut 99 downward, the pair of the rotary plates 7763 spread apart as the Pam nut 99 move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7769. A spring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hinge shaft 7765 so that when the Pam nut 99 is lowered and the releasing member 777 rises, the pair of rotary plates 7763 are undone.

팸너트 공급장치(7)는 컨트롤부(79)를 구비한다. 컨트롤부(79)는 운전 모드의 자동/수동을 선택적으로 채택하고, 코킹압을 설정하며, 전원의 On/Off 조작 및 알람 경보 등을 표시하는 등 장비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Pam nut feeder 7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79. The control unit 79 can selectivel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aratus, such as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ing the operation mode, setting the caulking pressure, and displaying the power on / off operation and alarms.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7)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An operation example of the Pam nut feeding device 7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3 안내롤러(743)가 회전 구동되면 제1 롤러(732)에 감겨 있는 필름 부재(9)는 안내 롤러들을 따라 제2 롤러(741) 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되는 필름 부재(9)는 이탈 이송부(77)를 통과하며, 이탈 부재(777)의 하강에 의해 팸너트(99)는 필름 부재(9)로부터 이탈하여 이송 부재(776)에 삽입된다. 이후에, 이송 부재(776)는 제3 구동부(771)에 의해 코킹부(75) 측으로 전진 이동되며, 상부 코킹부재(753)가 제1 구동부(751)에 의해 하강하여 팸너트(99)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팸너트(99)의 가압에 의해, 팸너트(99)가 이송 부재(776)의 회전판(7763)에 형성된 경사면(7769)을 따라 이동하여 한 쌍의 회전판(7763)이 벌어진다. 팸너트(99)는 회전판(7763)으로부터 이탈하여 필름 부재(9)의 하부에 위치한 기판(98)에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 코킹부재(753)와 상부 코킹부재(752)에 의해 코킹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송 부재(776)는 다시 원위치로 후진 이동되어, 다시 그 다음 팸너트를 수용 및 이송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팸너트(99)가 이탈된 필름 부재(9)는 제2 롤러(741)에 감기게 된다. 제2 롤러(741)에는 필름 부재(9)의 끝단이 삽입되는 When the third guide roller 743 is rotationally driven, the film member 9 wound on the first roller 732 is conveyed along the guide rollers to the second roller 741 side. The film member 9 to be conveyed passes through the release conveying portion 77 and the lowering of the releasing member 777 releases the pam nut 99 from the film member 9 and is inserted into the conveying member 776. Thereafter, the conveying member 776 is advanced to the caulking portion 75 side by the third driving portion 771, and the upper caulking member 753 is lowered by the first driving portion 751 to move the Pam nut 99 Down direction. The Pam nut 99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7769 formed on the rotary plate 7763 of the transfer member 776 by the pushing of the Pam nut 99 and the pair of rotary plates 7763 is opened. The Pam nut 99 is detached from the rotary plate 7763 and inserted into the substrate 98 located below the film member 9 and caulked by the lower caulking member 753 and the upper caulking member 752. Further, the conveying member 776 is move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and then the next Pam nut is received and conveyed, an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The film member 9 from which the Pam nut 99 is detached is wound on the second roller 741. [ The end of the film member 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ller 741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팸너트 공급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am nut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7 : 팸너트 공급장치 72 : 본체
73 : 공급부 732 : 제1 롤러
74 : 회수부 741 : 제2 롤러
734 : 제1 안내 롤러 735 : 제2 안내 롤러
743 : 제3 안내 롤러 733 : 텐셔너
75 : 코킹부 751 : 제1 구동부
752 : 상부 코킹부재 753 : 하부 코킹부재
77 : 이탈 이송부 771 : 제3 구동부
772 : 제2 구동부 776 : 이송 부재
777 : 이탈 부재 7763 : 회전판
7767 : 수용홈 7769 : 경사면
9: 필름 부재 99 : 팸너트
98 : 기판
7: Pam nut feeder 72: Body
73: Supply part 732: First roller
74: Recovery section 741: Second roller
734: first guide roller 735: second guide roller
743: third guide roller 733: tensioner
75: caulking portion 751: first driving portion
752: upper caulking member 753: lower caulking member
77: release transfer portion 771: third drive portion
772: second driving part 776:
777: releasing member 7763: rotating plate
7767: receiving groove 7769: inclined surface
9: Film member 99: Pam nut
98: substrate

Claims (6)

팸너트(99)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93)이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형성된 필름 부재(9)와, 팸너트(99)가 삽입된 필름 부재(9)를 공급하는 공급부(73)와, 상기 공급부(73)로부터 공급되는 필름 부재(9)로부터 팸너트(99)를 이탈시키고 이탈된 팸너트(99)를 일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탈 이송부(77)와, 상기 이탈 이송부(77)로부터 이송된 팸너트(99)를 코킹하는 코킹부(75)와, 팸너트(99)가 이탈된 필름 부재(9)를 회수하는 회수부(74)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73)는 필름 부재(9)를 감은 상태에서 상기 필름 부재(9)를 풀어 공급시키는 제1 롤러(7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너트 공급장치.A film member 9 having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93 for inserting the Pam nuts 99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ly unit 73 for supplying the film member 9 with the Pam nuts 99 inserted therein, A release conveying portion 77 for releasing the Pam nut 99 from the film member 9 supplied from the supply portion 73 and for transferring the separated Pam nut 99 to one side, A caulking portion 75 for caulking the transferred Pam nuts 99 and a recovering portion 74 for recovering the film member 9 from which the Pam nuts 99 are removed; Wherein the supply unit (73) comprises a first roller (732) for releasing and feeding the film member (9) while the film member (9) is woun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부재(9)의 삽입공(93)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95)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 이송부(77)는 필름 부재(9)에 삽입된 팸너트(99)를 가압하여 상기 팸너트(99)를 필름 부재(9)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부재(777)와, 상기 이탈 부재(777)에 의해 이탈된 팸너트(99)를 수용하여 상기 코킹부(75)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77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너트 공급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cutout (95) is formed along an insertion hole (93) of the film member (9); The release transfer unit 77 includes a release member 777 for pressing the Pam nut 99 inserted into the film member 9 to release the Pam nut 99 from the film member 9, And a feeding member (776) for receiving the Pam nut (99) separated by the feeding member (77) and feeding the Pam nut (99) to the caulking part (75) sid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75)는 팸너트(99)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코킹부재(753)와, 상기 하부 코킹부재(753)의 상부에 배치되며 팸너트(99)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부 코킹부재(752)와, 상기 상부 코킹부재(752)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7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너트 공급장치.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ulking part (75) comprises a lower caulking member (753)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pummet nut (99) An upper caulking member 752 for pressing the upper caulking member 752 in the lower direction and a first driving unit 751 for moving the upper caulking member 752 up and dow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이송부(77)는 상기 이탈 부재(777)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772)와, 상기 이송 부재(776)를 상기 코킹부(75) 측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3 구동부(77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너트 공급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lease convey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driving portion for moving the releasing memb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driving portion for moving the conveying member in a reciprocating manner toward the caulking portion And a third drive unit (77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부재(776)는 상기 이탈 부재(777)에 의해 필름 부재(9)로부터 낙하하는 팸너트(99)를 삽입시키는 수용홈(7767)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회전판(7763)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판(7763)은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일 측이 피봇 연결되며, 상기 수용홈(7767)의 상부에는 팸너트(99)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회전판(7763)이 벌어지도록 경사면(776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너트 공급장치.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eeding member (776) is formed with receiving grooves (7767) for inserting the Pam nuts (99) falling from the film member (9) by the releasing member (777) A pair of rotary plates 7763; The pair of rotation plates 7763 are pivotally connected to one side so as to be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rotation plate 7763 is opened as the Pam nut 99 is pressed downward in the receiving groove 7767 And an inclined surface (7769) is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74)는 회전 작동에 의해 필름 부재(9)를 감아 회수시키는 제2 롤러(741)를 구비하고; 상기 필름 부재(9)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안내공(91)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 롤러(732)와 제2 롤러(741)의 사이에는 외주면에 상기 안내공(91)에 끼워지는 안내 돌기(7351)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 롤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송되는 필름 부재(9)를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텐셔너(73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팸너트 공급장치.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unit (74) has a second roller (741) for winding and recovering the film member (9) by a rotation operation; A plurality of guide holes 91 are formed in the film member 9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roller 732 and the second roller 74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member 91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guide roller on which the guide rollers (7351) are formed is provided and at least one of the guide rollers is provided with a tensioner (733) for tensioning the film member (9) Device.
KR1020130049939A 2013-05-03 2013-05-03 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 Active KR101475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39A KR101475600B1 (en) 2013-05-03 2013-05-03 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939A KR101475600B1 (en) 2013-05-03 2013-05-03 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075A true KR20140131075A (en) 2014-11-12
KR101475600B1 KR101475600B1 (en) 2014-12-22

Family

ID=5245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939A Active KR101475600B1 (en) 2013-05-03 2013-05-03 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6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8728A (en) * 2022-10-26 2024-05-03 김보경 Fastening apparatus for pop nut
KR20240095773A (en) * 2022-12-19 2024-06-26 김보경 Fastening apparatus for pop n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894B1 (en) 2015-05-12 2017-09-19 (주)한일포밍 Method for manufacturing pem nu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778U (en) * 1992-10-16 1994-05-17 マックス株式会社 Screw holding mechanism of screw tightener
JPH0636779U (en) * 1992-10-16 1994-05-17 マックス株式会社 Hand tool type screw tightener
JP2004338072A (en) * 2003-05-19 2004-12-02 Makita Corp Screw housing magazine and continuous screw fastening device
JP2010284705A (en) * 2009-06-15 2010-12-24 Shinjo Mfg Co Ltd Nut supply apparatus to bond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8728A (en) * 2022-10-26 2024-05-03 김보경 Fastening apparatus for pop nut
KR20240095773A (en) * 2022-12-19 2024-06-26 김보경 Fastening apparatus for pop n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600B1 (en)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07629B (en) Automatic assembly machine for hinge damper assembly
CN104259660B (en) Lithium battery welding equipment
KR101668318B1 (en) Snap ring automatic assembly equipment
KR101382970B1 (en) A tube cutting device
KR101475600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em nut
CN113455853A (en) Spring mattress production line
JP4868956B2 (en) Blister packing machine
KR101428379B1 (en) Upper open type box manufacturing unit
KR20110101925A (en) Automatic supply and retrieval device for semiconductor package lead frame magazine
TWM492029U (en) Retracting plate of clamp frame fixture and its return conveying device
CN106990705A (en) A kind of wrist-watch button arbor assembles automatic feed mechanism
KR101508347B1 (en) Linear type wire supplementary device
KR100564244B1 (en) Battery cell automatic taping device
CN111805191B (en) Island-type product assembling equipment
CN111774858B (en) Two-section force hinge assembling equipment
CN110369631B (en) A five-station equipment for processing file boxes
JP2012111078A (en) Device for supplying and attaching rubber member and method of molding tire member using the same
CN106736439A (en) Multistation isolator star-wheel flexible roller assembly machine
CN114700720B (en) Roller assembly equipment
JPS6328531A (en) Door hinge assembling device for automobile
CN110238341B (en) Spin riveting mechanism and heat seal riveting machine
CN110091172B (en) Assembly mechanism and heat seal riveting machine
CN212398715U (en) Automatic pin feeding machine for continuous stamping die
KR101562858B1 (en)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of Brush set and the Brush set for a dust collector made by the same
CN209174765U (en) A kind of automatic punching machine feed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