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543A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based emr system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based emr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7543A KR20140127543A KR1020130046004A KR20130046004A KR20140127543A KR 20140127543 A KR20140127543 A KR 20140127543A KR 1020130046004 A KR1020130046004 A KR 1020130046004A KR 20130046004 A KR20130046004 A KR 20130046004A KR 20140127543 A KR20140127543 A KR 201401275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data
- displayed
- screen
- medical care
- view m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환자별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진료 경과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EMR 화면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릴레이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EMR 화면 내 특정 아이템 화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항목화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기 모드를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data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in which when a medical care progress data service mode for supporting the medical care progress monitoring is performed, Displaying the relay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et area, calling the pre-registered image data for each of the relayed medical treatment forms, and itemizing the called image data in response to a specific item screen request signal in the EMR screen, And displaying the selected image data on the itemized screen by adaptively selecting a view mode according to a user interrup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별 특정 상태 정보만을 추출하여 단일 화면 내에서 환자의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통한 비교/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for extracting only specific state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and performing comparison / And a system.
종래에 종이 챠트로 관리하던 의무 기록 방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료 정보를 일체의 수정 없이 모두 전산화하는 방식을 전자의무기록(Electroic Medical Record, EMR) 방식이라 한다. 이러한 EMR방식은 환자를 진료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의료 정보 예를 들어 환자별 건강 상태, 환자별 병력, 환자별 검사 결과, 환자별 처방 결과, 환자별 약물 반응, 환자별 입원/퇴원 기록 등을 일정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방식을 말한다.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is a method of computerizing all the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hospital by integrating the IT technology into the medical record system that was conventionally managed by the paper chart without any modification. This type of EMR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medical information that occur while treating a patient, such as health status, patient history, patient test results, patient-specific prescription results, patient response, and hospital admission / It refers to the method of recording in a certain database.
상기 EMR 방식은 병원 경쟁력 강화 차원, 의료 환경 개선 차원 및 임상 연구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즉,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으로 병원 경영 상태 파악 및 인적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개인의 병력을 추적하여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임상 데이터를 축적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의 효율성 개선, 의료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향상, 의료사고 방지에 효과가 있다.The EMR method is preferable for enhancing hospital competitiveness, improving the medical environment, and securing clinical research data.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the automation system enables the identification of the hospital management status and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It can provide customized medical services by tracking the individual's medical history, and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by accumulating clinical data. It i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work efficiency, improving communication among medical staff, and preventing medical accidents.
그런데 이러한 EMR 시스템에서 의료진이 환자의 특정 데이터에 대한 검사결과를 조회하고자 할 때, EMR 상의 메인 화면을 통해 각 진료지원 파트(검체검사, 영상검사, 기능검사, 병리검사 등)의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여 환자번호와 검색기간을 입력 후 검색을 조회해야만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의료진이 자신이 원하는 특정 검사의 결과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해당 검사파트의 화면으로 이동 후 각각의 화면에서 검색을 실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파트의 검사결과를 한 화면에서 비교 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하지 않는 상황이다.However, in this EMR system, when a medical staff wants to inquire a test result of specific data of a patient, it goes to the main screen of each medical care support part (sample test, image test, functional test, pathological test, etc.) After entering the patient number and the search period, the search result can be confirmed only by searching the search. That is, in order for the medical staff to inquire the result of the specific examination desired by the medical staff,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search on each screen after moving to the screen of the inspection part. It also does not support the ability to compare the results of several parts on one screen.
따라서 본 발명은 의료진이 환자별 검사 결과 조회 혹은 환자의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통한 비교/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EMR 상의 메인 화면에서 다수의 검사 결과별 개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검사 파트별 메인 화면으로 화면 이동하여 해당 화면에서 검색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the comparison / analysis through the inspection of the patient-specific test results or the monitoring of the patient's progress, the medical staff moves on the main screen of the EMR screen to the main screen for each inspection part for providing individual data by a plurality of test results And to provide a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inconvenience of performing a search on the corresponding screen.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환자별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진료 경과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EMR 화면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릴레이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EMR 화면 내 특정 아이템 화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항목화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기 모드를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data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wherein when the medical care progress data service mode for supporting the medical care progress monitoring is executed, Displaying the relationally displayed medical image data in response to a specific item screen request signal in the EMR screen, displaying the relationally displayed image data in the EMR screen, Generating and displaying an itemized screen according to a reference; and selectively displaying a view mode for a plurality of image data displayed on the itemized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terrupt, and displaying the selected mode .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의료 서비스 타입별 진료 서식 내 이미지 데이터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환자별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진료 경과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EMR 화면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릴레이 표시하고,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EMR 화면 내 특정 아이템 화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항목화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기 모드를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EMR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등록된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제공받아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분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displaying image data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the system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searching image data in a medical care type service type according to a user input value and a user selection input; When the medical care progress data service mode for supporting the medical care progress monitoring by the patient is execu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medical care form for each medical care service type is relay-displayed according to preset areas in the EMR screen, And displays the itemized image data in response to a specific item screen request signal in the EMR screen, and displays the itemized screen in accordance with a preset reference, and displays the itemized image data on the itemized screen A beam for a plurality of image data And an EMR service server for receiving a medical service form issued in association with the medical service type registered in association with the EMR service server and classify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And an image data service server.
본 발명은 의료진이 환자별 특정 상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EMR 상의 메인 화면에서 진료 파트별 메인 화면으로 화면 이동하여 해당 화면에서 검색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프레임화된 개별 윈도우룰 통해 차별화하여 표시하여 단일 화면 내에서 데이터 항목별 조회 및 검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inconvenience of the medical staff from performing a search on the corresponding screen by moving to the main screen for each medical treatment part on the main screen of the EMR in order to inquire specific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patient, It is possible to display and search for each data item in a single screen by differentiating and displaying it through individual window rules.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정렬/분류되는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대로 디스플레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 타입별로 발생되는 각종 진료 서식에 분산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통합하여 표시함으로써 환자별 진료 경과에 대한 추이적인 특성 파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ata are sorted / classified in a batch manner, and displayed in a manner that the user desires, as well as displaying image data dispersed in various medical care forms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trend of the progress of medical treatment by pat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에서 모드별 동작에 관한 흐름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이 적용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1 is an overall flowchart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FIG. 3 through FIG. 5 are diagrams illustrating screen examples to whic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observe that certain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통한 비교/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EMR 화면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릴레이 표시하고,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에 별도로 표시하고 이미지 데이터 정렬 시 유형별로 모드가 전환되는 보기 모드를 통해 적응적인 사용자별 이미지 데이터 보기 모드 선택을 통해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다수의 진료 서식 내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동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함으로써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정렬/분류되는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대로 디스플레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 타입별로 발생되는 각종 진료 서식에 분산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를 통합하여 표시함으로써 환자별 진료 경과에 대한 추이적인 특성 파악이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n order to perform comparison / analysis by monitoring the progress of a patient, By calling the pre-registered image data for each type of medical care and displaying it separately on the itemized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t criteria and switching the mode for each type when sorting the image data, Image data in a plurality of types of medical care form issued per service type are extracted and displayed dynamically according to user interrupts to display a plurality of image data in a desired manner Not by the type of medical service Integrated image data is distributed to the kind of care to provide a template to identify the trends characteristic ease of technology for patient-specific care by displaying elapsed.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럽트는 윈도우가 표시된 화면을 통해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의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마우스 혹은 터치 펜 혹은 손가락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목적물 즉,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 혹은 활성화하는 포인팅을 의미하고, 사용자 제스처(gesture)라는 용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활성화시키기 위한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한 지점을 누르고 떼지 않은 채로 다른 위치까지 끄는 동작의 드래그(drag) 등을 포함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rupt described below means an intention that a user intends to input through a screen on which a window is displayed. The user interrupt may be an object The term " user gesture " refers to a pointing operation for selecting or activating image data. The term " gesture " A drag of an operation,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image data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1 is an overall flowchart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0 과정에서는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EMR 화면 상에서 환자별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진료 경과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112 과정에서는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EMR 화면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릴레이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 in
여기서, 상기 EMR 화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이 적용된 화면 예시도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EMR 화면(300)은 EMR 서비스 시스템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전체 데이터 서비스(메뉴, 편집, 설정 등)항목이 기설정된 메뉴 바 영역(38)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영역별로 분류되어 표시되고, 상기 메뉴바를 중심으로 일측(35)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특정 데이터 항목에 대응하는 기간별 이벤트 타임라인이 표시된다. The EMR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to whic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EMR 화면(300)은 복수의 분할된 영역(30, 31, 32, 33, 34, 35)을 갖고, 상기 분할된 제1 영역(34)에 이미지 데이터 기반 하에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특정 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 타입별 정보 관련 검색/조회를 지원하는 데이터 항목으로 특화된 복수의 아이콘(36)이 해당 환자의 인증 이미지(37)와 함께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36)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출력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30, 31, 32)별 윈도우를 통해 표시된다.The
114 과정에서는 상기 112 과정에서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116 과정에서는 진료 서식별 호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상기 EMR 화면 내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아이템 화면 요청신호를 발생한 후, 118 과정에서는 상기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을 생성하여 진료 서식별로 분산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In
예컨대, EMR 시스템에서 소정 환자의 진료 정보를 수행되는 의료 서비스 유형별로 전자적인 기록을 위한 의료 서비스 타입(진료 기록, 진료 처방 관련 오더, 검사 결과 등)별 생성된 개별 진료 서식 내 작성된 데이터에서 이미지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상기 EMR 화면 내 특정 아이템 화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생성된 화면에 진료 서식별로 분산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합하여 해당 환자로부터 소정의 진료 목적에 따라 획득된 전체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For example, in the EMR system, data created in individual medical care forms generated for each medical service type (medical record, medical treatment prescription related order, inspection result, etc.) And integrates the image data distributed and distributed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care format on the screen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pecific item screen request signal in the EMR screen to display the entir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pati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cribed medical care purpose.
이때, 상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EMR 화면으로부터 화면 전환되거나 혹은 기설정된 영역에 진료 서식별 윈도우가 표시된 EMR 화면 일측에 별도의 팝업 창 형태로 생성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12 과정에서 릴레이되어 표시된 복수의 진료 서식 혹은 환자 식별 정보 입력 창에 입력된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진료 서식 내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일자 기준으로 수진 카테고리(외래, 응급, 수술장, 관심, 입원)이미지 데이터의 기설정된 메타 데이터(수진 카테고리, 수진/작성 일자, 기록 개수를 포함하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상태정보)가 리스팅되어 표시되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제2 위치(41) 및 상기 제2 위치에 리스팅된 메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보기 모드 타입(43, 요약보기, 연속보기, 색인보기, 상세보기)별로 적응적으로 표시되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제1 위치(42) 영역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screen itemiz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riteria is changed into a screen from the EMR screen or a separate pop-up window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MR screen in which a window for each medical treatment format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medical forms displayed in
상기 보기 모드(43)는, 요약보기, 연속보기, 색인보기 및 상세보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각 모드별 동작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220 과정에서는 요약보기 모드 선택 여부를 확인하고, 선택된 보기 모드가 요약보기인 경우, 222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 내 제1 위치에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가 기설정된 메타 데이터와 함께 썸네일(thumb nail) 형태로 표시된다.The
한편, 220 과정 동작 결과, 요약보기 모드가 아닌 경우, 224 과정으로 이동하여 연속보기 모드 선택 여부를 확인하고, 선택된 보기 모드가 도 4의 제1위치(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보기인 경우, 226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요약보기 모드로부터 전환되어 제1 위치에 썸네일된 각 이미지 데이터가 44, 45와 같이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되고, 228 과정에서는 기설정된 조회 항목 설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릴레이 표시되어 230 과정에서는 일측에 구비된 스크롤바(46)의 스크롤링 인터럽트에 따라 상기 제1 위치(32)에서 노출된다.If it is determined in
또 다른 한편, 224 과정 동작 결과, 연속보기 모드가 아닌 경우, 232 과정으로 이동하여 색인보기 모드 선택 여부를 확인하고, 선택된 보기 모드가 색인보기 모드인 경우, 234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tag)를 부여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이때, 상기 태그 부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각 이미지 데이터 상에 필기 표시 입력되어 부여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알파벳 대문자의 고유 배열순서인 A, B, C, D..., 알파벳 소문자의 고유 배열순서인 a, b, c, d..., 한글의 고유 배열순서인 가, 나, 다, 라..., 숫자 정수의 오름차순 배열인 1, 2, 3, 4...중 어느 하나를 선별적으로 취하여 필기 표시 입력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tag assignment is handwritten and displayed on each image data through user input means. For example, A, B, C, and D. 1, 2, 3, and 4, which are ascending arrays of numeric constants, such as a, b, c, d ..., 4 ... are selectively taken and a handwritten display is input.
236 과정에서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 부여를 통해 해당 이미지 데이터별 정렬 우선순위를 입력받는다. 이는, 다수의 이미지 데이터별 필기 표시 입력되어 부여된 태그가 알파벳 혹은 한글 혹은 숫자 중 어느 하나의 고유 배열 순서에 기반한 입력을 의미한다.In
이후, 238 과정에서는 상기 태그가 부여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로 캡쳐링(capturing)을 수행하여 240 과정에서는 캡쳐링된 각 이미지 데이터에 부여된 태그를 식별(한글 혹은 알파벳 대/소문자 혹은 숫자)한다. Thereafter, in
여기서, 상기 태그 식별은 사용자가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동작 초기화 시 자신의 필체를 직접 입력하여 태그 타입을 알파벳 대/소문자, 한글, 숫자 항목별로 이미지로 캡쳐링하여 미리 저장해두거나 디폴트(default)된 태그 타입 항목별 캡쳐링된 이미지 관련 DB를 구비하여 소정 이미지 데이터에 사요자의 필기 표시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표시된 태그와의 비교, 대조 동작을 통해 수행된다.Here, the tag ident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capturing the tag type as an image by alphabet / small letter, Korean, or numerical item and storing it in advance ) Tag type item-by-item captured image related DB, and when a handwritten display of a user is input to predetermined image data, comparison with the displayed tag and verification operation are performed.
242 과정에서 상기 EMR 화면에서 제공되는 새로 고침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에 부여된 태그의 고유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캡처링된 이미지 데이터가 재정렬되어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 혹은 관리 순서에 관계없이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부여된 태그별로 이미지 데이터를 선별하여 해당 태그의 고유 배열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 가능하다.In
그리고 한편, 232 과정 동작 결과, 색인보기 모드가 아닌 경우, 244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세보기 모드 여부를 확인하고, 선택된 모드가 상세보기 모드인 경우 246 과정으로 이동하여 사기 제1 위치에 표시된 각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제1 위치에 기설정된 항목별로 리스팅(listing)되어 표시된다.
If the selected mode is not the index view mode, the process proceeds to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In the foregoing,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시스템(6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 제어부(612), 이미지 데이터 서비스 서버(616) 및 EMR 서비스 서버(6180을 포함한다.6,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은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의료 서비스 타입별 진료 서식 내 이미지 데이터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상기 제어부(6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를 통해 환자별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진료 경과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EMR 화면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릴레이 표시하고,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EMR 화면 내 특정 아이템 화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항목화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기 모드를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When the medical care progress data service mode for supporting the medical care progress monitoring is performed through the
상기 제어부(612)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 내 제1 위치에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가 기설정된 메타 데이터와 함께 썸네일(thumb nail) 형태로 표시되는 요약보기 모드와, 상기 요약보기 모드로부터 전환되어 제1 위치에 썸네일된 각 이미지 데이터가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기설정된 조회 항목 설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릴레이되어 스크롤링 인터럽트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노출되는 연속보기 모드와,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tag) 부여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정렬 우선순위를 입력받고, 상기 태그가 부여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로 캡쳐링(capturing)을 수행하여 각 이미지 데이터에 부여된 태그를 식별하고, 상기 태그의 고유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캡처링된 이미지 데이터가 재정렬되는 색인보기 모드와,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각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제1 위치에 기설정된 항목별로 리스팅(listing)되어 표시되는 상세보기 모드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한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는, 태그 식별부(614)를 통해 색인보기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가 부여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부여된 태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태그의 고유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이미지 캡처링된 이미지를 정렬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may identify a tag attached to the image data when at least one image data is tagged through a user interrupt in the index view mode through the
여기서, 태그 식별부(614)는 사용자 인터럽트에 의해 필기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형성된 태그를 미리 지정된 태그 하위 태그 항목의 이미지를 근거하여 추정하여 태그 식별을 수행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612)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의 제2 위치에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 혹은 환자 식별 정보 입력 창에 입력된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서식 내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일자 기준으로 수진 카테고리별 이미지 데이터의 기설정된 메타 데이터가 리스팅되어 표시되는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위치에 리스팅된 메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보기 모드 타입별로 적응적으로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1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이미지 데이터 서비스 서버(616)은 EMR 서비스 서버(618)와 연동되어 등록된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제공받아 상기 제어부(612)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분류하여 출력한다.
The imag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the claims.
6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12: 제어부
614: 태그 식별부 616: 이미지 데이터 서비스 서버
618: EMR 서비스 서버610: user interface unit 612:
614: tag identification unit 616: image data service server
618: EMR service server
Claims (11)
환자별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진료 경과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EMR 화면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릴레이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EMR 화면 내 특정 아이템 화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항목화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기 모드를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based image data display method,
Displaying the medical care form previously issued for each medical service type in the EMR screen according to predetermined areas when the medical care progress data service mode for supporting the medical care progress monitoring for each patient is executed,
Calling the pre-registered image data for each of the relayed and displayed forms of medical care, generating the itemized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response to the specific item screen request signal in the EMR screen,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itemized image data; ,
And selecting and displaying a view mode for a plurality of image data displayed on the itemized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terruption.
상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 내 제1 위치에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가 기설정된 메타 데이터와 함께 썸네일(thumb nail) 형태로 표시되는 요약보기 모드와,
상기 요약보기 모드로부터 전환되어 제1 위치에 썸네일된 각 이미지 데이터가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기설정된 조회 항목 설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릴레이되어 스크롤링 인터럽트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노출되는 연속보기 모드와,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tag) 부여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정렬 우선순위를 입력받고, 상기 태그가 부여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로 캡쳐링(capturing)을 수행하여 각 이미지 데이터에 부여된 태그를 식별하고, 상기 태그의 고유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캡처링된 이미지 데이터가 재정렬되는 색인보기 모드와,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각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제1 위치에 기설정된 항목별로 리스팅(listing)되어 표시되는 상세보기 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A summary view mode in which pre-registered image data for each medical care format is displayed in a thumb nail form together with preset metadata at a first position in the screen,
A continuous view mode in which each image data, which is switched from the summary view mode and is thumbnailed at a first position, is sequentially enlarg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sequentially re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quiry item setting and is exposed at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a scrolling interrup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orting unit operable to receive a sorting priority of the image data through tag assignment to the image data displayed at the first position, to capture the tagged image data into an image, An index view mode in which the captured image data is reordered according to a unique priority of the tag,
And a detailed view mode in which the metadata for each image data displayed at the first location is listed and displayed for each item set in the first location.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각 이미지 데이터 상에 필기 표시 입력되어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handwriting display input is given to each image data through a user input means.
사용자 인터럽트에 의해 필기 표시되는 고유 순서가 부여된 문자 혹은 숫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The RFID tag according to claim 2,
And a character or a number assigned a unique sequence of handwritten display by a user interrupt.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 혹은 환자 식별 정보 입력 창에 입력된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서식 내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일자 기준으로 수진 카테고리별 이미지 데이터의 기설정된 메타 데이터가 리스팅되어 표시되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제2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리스팅된 메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보기 모드 타입별로 적응적으로 표시되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제1 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itemized according to the preset criteria comprises:
A window in which predetermined metadata of the image data of the subject category is listed and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registered image data creation date in the medical care format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in the relayed medical care format or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window A second position for displaying,
And displaying a window in which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metadata listed at the second location is adaptively displayed for each viewing mode type.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상기 분할된 제1 영역에
이미지 데이터 기반 하에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특정 환자에 대한 의료 서비스 타입별 정보 관련 검색/조회를 지원하는 데이터 항목으로 특화된 복수의 아이콘이 해당 환자의 인증 이미지와 함께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출력 데이터가 기설정된 영역별 윈도우를 통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nd the divided first areas
A plurality of icons specialized for a data item supporting a search / inquiry related to information on a medical service type for a specific patient who wishes to perform a medical care progress monitoring based on image data are displayed together with an authentication image of the patient, Wherein the outpu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is displayed through the predetermined window for each region.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의료 서비스 타입별 진료 서식 내 이미지 데이터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환자별 진료 경과 모니터링을 지원하기 위한 진료 경과 데이터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EMR 화면 내 기설정된 영역별로 릴레이 표시하고,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EMR 화면 내 특정 아이템 화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항목화된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보기 모드를 사용자 인터럽트에 따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EMR 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등록된 의료 서비스 타입별 기발행된 진료 서식을 제공받아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분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based image data display system,
A user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retrieving image data in a medical care form according to a medical service type according to a user input value and a user selection input;
When the medical care progress data service mode for supporting the medical care progress monitoring by the patient is execut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medical care form for each medical care service type is relay-displayed according to preset areas in the EMR screen, And displays the itemized image data in response to a specific item screen request signal in the EMR screen, and displays the itemized screen in accordance with a preset reference, and displays the itemized image data on the itemized screen A control unit for adaptively selecting and displaying a view mode for a plurality of image data according to a user interrupt;
And an image data service server for interrogating the EMR service server and receiving the previously issued medical care form for each registered medical service type and classifying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part. Data display system.
상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 내 제1 위치에 진료 서식별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가 기설정된 메타 데이터와 함께 썸네일(thumb nail) 형태로 표시되는 요약보기 모드와,
상기 요약보기 모드로부터 전환되어 제1 위치에 썸네일된 각 이미지 데이터가 기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기설정된 조회 항목 설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릴레이되어 스크롤링 인터럽트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에서 노출되는 연속보기 모드와,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tag) 부여를 통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정렬 우선순위를 입력받고, 상기 태그가 부여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로 캡쳐링(capturing)을 수행하여 각 이미지 데이터에 부여된 태그를 식별하고, 상기 태그의 고유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캡처링된 이미지 데이터가 재정렬되는 색인보기 모드와,
상기 제1 위치에 표시된 각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제1 위치에 기설정된 항목별로 리스팅(listing)되어 표시되는 상세보기 모드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8. The apparatus of claim 7,
A summary view mode in which pre-registered image data for each medical care format is displayed in a thumb nail form together with preset metadata at a first position in the screen,
A continuous view mode in which each image data, which is switched from the summary view mode and is thumbnailed at a first position, is sequentially enlarg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sequentially re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quiry item setting and is exposed at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a scrolling interrup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orting unit operable to receive a sorting priority of the image data through tag assignment to the image data displayed at the first position, to capture the tagged image data into an image, An index view mode in which the captured image data is reordered according to a unique priority of the tag,
And selectively providing the detailed view mode in which the metadata for each image data displayed at the first location is listed and displayed for each predetermined item in the first loc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ystem based image data display system.
태그 식별부를 통해 색인보기 모드에서 사용자 인터럽트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에 태그가 부여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부여된 태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태그의 고유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이미지 캡처링된 이미지를 정렬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8. The apparatus of claim 7,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tag assigned to the image data if at least one image data is tagged via a user interrupt in an index view mode via a tag identific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mage data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상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항목화된 화면의 제2 위치에 상기 릴레이되어 표시된 진료 서식 혹은 환자 식별 정보 입력 창에 입력된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진료 서식 내 기등록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일자 기준으로 수진 카테고리별 이미지 데이터의 기설정된 메타 데이터가 리스팅되어 표시되는 윈도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위치에 리스팅된 메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보기 모드 타입별로 적응적으로 표시되는 윈도우를 제1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8. The apparatus of claim 7,
The medical care form or the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ntered in the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window displayed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itemized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t reference, A window in which preset metadata of the star image data is displayed and displayed and a window in which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metadata listed at the second position is adaptively displayed for each viewing mode type is displayed at a first position And a control box for displaying the image data.
사용자 인터럽트에 의해 필기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형성된 태그를 미리 지정된 태그 하위 태그 항목의 이미지를 근거하여 추정함으로써 태그 식별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 이미지 데이터 표시 시스템.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tag identification is performed by estimating a tag formed on image data handwritten and displayed by a user interrupt based on an image of a predetermined tag lower tag i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6004A KR101458555B1 (en) | 2013-04-25 | 2013-04-25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based emr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6004A KR101458555B1 (en) | 2013-04-25 | 2013-04-25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based emr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7543A true KR20140127543A (en) | 2014-11-04 |
KR101458555B1 KR101458555B1 (en) | 2014-11-07 |
Family
ID=5228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6004A Active KR101458555B1 (en) | 2013-04-25 | 2013-04-25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based emr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855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4561A (en) * | 2015-08-25 | 2017-03-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KR20190004244A (en) * | 2015-08-25 | 2019-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KR20190131281A (en) * | 2018-05-16 | 2019-11-26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tient's disease state display screen |
US10716523B2 (en) | 2013-06-13 | 2020-07-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81512A (en) * | 2009-10-05 | 2011-04-21 | Toshiba Corp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method, program, and medical information system |
KR101288167B1 (en) * | 2011-10-11 | 2013-07-18 | (주)지씨에스그룹 |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cal image of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
-
2013
- 2013-04-25 KR KR1020130046004A patent/KR101458555B1/en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16523B2 (en) | 2013-06-13 | 2020-07-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1229416B2 (en) | 2013-06-13 | 2022-01-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1957495B2 (en) | 2013-06-13 | 2024-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20170024561A (en) * | 2015-08-25 | 2017-03-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KR20190004244A (en) * | 2015-08-25 | 2019-0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X-ray image apparatus na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KR20190131281A (en) * | 2018-05-16 | 2019-11-26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tient's disease state display scre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8555B1 (en) | 2014-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165049A1 (en) | Configurable system and method for results review | |
CN104240171B (en) | Electronic health record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 |
AU201421056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on basis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 |
JP659405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KR10145855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based emr system | |
CN112740159A (en) | Help information display system, help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help information display program | |
US1006189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output window | |
JP4645143B2 (en) |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medic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 |
JP5678229B1 (en) | Recor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recording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and recor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 |
JP5649027B2 (en) | Medical diagnostic report system, program for causing the system to function, and medical diagnostic report creation support method | |
KR101511956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st result based emr system | |
JP2016212603A (en) | Bar code recognition device and bar code recognition method | |
KR10148042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data object based emr system | |
JP2017194808A (en) | Behavioral characteristic analyzer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analysis system | |
CN106030576A (en) |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unit included in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evice included in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JP2015022438A (en) | Report creation support device, method thereof, and program | |
EP3133146B1 (en) |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unit provided in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device provided in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JP7075855B2 (en) | Material development support system, material development support method | |
JP2001297080A (en) | Read assisting device | |
JP6886111B2 (en) | Data analysis support program, data analysis support device and data analysis support method | |
JP6393053B2 (en) |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ing unit provided in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evice provided in cell obser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US20090327348A1 (en) | Job support system and its method | |
KR20140108949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output datas resize based emr system | |
CN117743622B (en) | Picture tag gener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
JP2007094616A (en) | Medical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medic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