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394A - Electric fires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breaking standby power - Google Patents
Electric fires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breaking standby p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7394A KR20140127394A KR1020130045216A KR20130045216A KR20140127394A KR 20140127394 A KR20140127394 A KR 20140127394A KR 1020130045216 A KR1020130045216 A KR 1020130045216A KR 20130045216 A KR20130045216 A KR 20130045216A KR 20140127394 A KR20140127394 A KR 20140127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ower
- auxiliary
- auxiliary device
- por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making use of a thermal sensor, e.g. thermistor, heated by the excess curr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포트에 연결된 전자 기기가 전력 공급 초기에 소비하는 부하 전력을 검출하여 기준 대기 전력으로 저장하고, 이후, 복수개의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이 기준 대기 전력 이하이면, 대응하는 포트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며, 복수개의 포트로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및 복수개의 포트에 연결되는 전선의 온도 및 아크 및 스파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포트로 인가되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경고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로부터 전압 및 전류, 전선의 온도 및 아크 및 스파크 발생 여부에 대한 측정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의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경고를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중지 신호를 전송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가 경고 발생을 중지하도록 하는 메인 장치를 포함한다.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i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rts detects load power consumed at the initial stage of power supply and stores the load power as a reference standby power. If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rts is less than the reference standby power, The power supply is shut off, the voltage and curren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ports,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rts, and the occurrence of arcs and sparks are detected to interrupt th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port, Receiving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nd status data on the status of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nd measurement data of voltage and current, temperature of the electric wire, and arc and spark occurrence from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nd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bnormally generates a warning If it is determined, by sending an alert signal to stop it comprises a main device for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to stop the ale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선로상에 발생되는 아크, 스파크, 과부하, 누전, 발열 등을 자동으로 예측 발견하여 이를 감지하고 관리자에게 SMS, ARS, 벨 또는 싸이렌, 화재징후 지역 출력 등에 통해 예측 경보하여 줌으로 화재를 발생전에 발견하여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and detecting an arc, a spark, an overload, a short circu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including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function so as to prevent a fire from being detected before a fire occurs due to a predictive alarm through output or the like.
전기 화재란 전기에 의한 발열체가 발화원(점화원)으로 된 화재를 총칭하며, 발화원별 화재 발생 비율을 보면 이동 가능한 전열기 35%, 전등, 전화 등의 배선 27%, 전기기기 14%, 전기 장치 9%, 배선 기구5%, 고정된 전열기 5% 정도의 비율로 발생되고 있고 발생별로 보면 스파크 24%, 누전 15%, 접촉부의 과열 12%, 절연 열화에 의한 발열 11%, 과전류 8% 정도의 비율로 원인이 되고 있다.Electric fires are a total of 35% of movable electric heaters, 27% of electric wires and telephone wires, 14% of electric appliances and 9% of electric appliances. , 5% of wiring equipment, 5% of fixed electric heaters, and the occurrence rate of spark 24%, leakage 15%, contact 12%, insulation 11% and overcurrent 8% It is becoming a cause.
현재 시골가정집 및 축사의 전기시설을 살펴보면 10년 이상 노후화된 전기설비 상태로 방치된 돈사/계사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축사시설 노후화에 따른 가연성 건축자재(비닐, 보온덮개, 우레탄 등)를 사용하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며 양계장의 경우 보온덮개 및 윈치형 계사가 전체 계사의 68%를 차지하고 있어 화재발생 원인이 항상 대기하고 있다. 또한 관리인의 화재위험 인지도도 부족하다. 전기용량을 고려하지 않은 전기시설의 무리한 확장으로 인한 과부하 및 합선 노출이 전기화재의 또 다른 큰 문제점이다. 기존 전기 시설에 장비(온풍기, 보온등, 환풍기)추가 설치로 인한 전기 사용량 초과로 과부하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며, 전기 콘센트의 문어발식 연결로 인한 과부하 발생으로 화재가 발생한다. Looking at the electrical facilities of rural households and housing complexes, it is close to half of the pensioners / householders who have been left in the condition of aged electrical equipment for more than 10 years. Most of them use flammable building materials (vinyl, insulating cover, urethane, etc.) due to deterioration of housing facilities. In the case of poultry houses, the heat cover and winch type houses account for 68% have. There is also a lack of awareness of the manager's fire hazard. Overload and short-circuit exposure due to unreasonable expansion of electrical facilities that do not take account of electrical capacity are another major problem of electric fires. Excessive electricity usage due to the installation of equipment (hot air fan, warming lamp, ventilator) in the existing electric facility causes fire due to overload, and fire occurs due to overload caused by the artificial connection of the electric outlet.
현재 전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많은 발전을 하고 있다. 전기 화재 감지 시스템의 설치 목적은 화재를 자동으로 예측발견 경보하여 줌으로 전기화재 발생 전 초기대응과 예방을 하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되면 소실에 의한 직접적인 1차적 피해는 물론이며 화재 진압 시 방수에 의한 2차적 손실, 화염에 의한 건축물의 강도저하 등 매우 커다란 물적 피해를 입히며 때로는 귀중한 인명을 빼앗아 갈 수도 있다. 화재에 의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예측발견이 중요하다.Currently,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s are making a lot of progress. The purpose of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 is to detect and warn fire automatically, and to respond earl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lectric fire. In case of a fire, not only the direct primary damage by the loss but also the secondary damage by the waterproofing in the fire suppression and the strength of the building by the flame cause very great property damage and sometimes it may take away valuable person. Predictive discovery is important to alleviate fire damage.
한편 최근에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와 같은 기기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기전력은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음에도, 전자 기기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시적으로 소비하는 전력으로 전력난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대기전력에 대해서는 감지 또는 차단의 대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이는 전기화재 감시 시스템이 일부 몇 개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멀티 콘센트와 달리 대규모로 다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임의로 전기를 차단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전기 화재 감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조차도 차단된 전력을 다시 공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직접 조작이 필요하다. 특히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 주변에 배치되는 멀티 콘센트와 달리 전기 화재 감지 시스템은 전자 기기의 위치와 무관하게 건물 구조에 따라 배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이 어려우므로 화재와 같은 위험 요소가 감지됨에 따른 전력 차단 이외에 대기 전력에 대한 차단 기능을 부가하는 경우는 전무하다. 따라서 대기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전자 기기 각각을 대기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였으며, 이 경우에도 차단된 전력을 재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직접 조작을 필요로 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devices such as a multi-outlet which can interrupt the power supply have been actively studied for a method of blocking the standby power. Standby power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power shortage due to the power that the electronic device consumes so that the user can sense the input even though the user does not use the electronic device. However, the existing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 did not consider standby power as a subject of detection or interception.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cut off the electricity arbitrarily because electric fire monitoring system supplies electric power to a large number of electronic devices in contrast to a multi-outlet for controlling some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 even a multi-outlet that can block the standby power requires direct manipulation of the user in order to supply the interrupted power again. Especially, unlike the multi-outlet which is placed around the electronic equipment used by the user, the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 is often arr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re is no case in which a shutdown function for standby power is added in addition to the power cutoff. Therefore, in order to cut off standby power, each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ust be connected to a multi-outlet having a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re-supply the cut-off power,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선로상에 발생되는 아크, 스파크, 과부하, 누전, 발열 등을 자동으로 예측 발견하여 이를 감지하고 관리자에게 SMS, ARS, 벨 또는 싸이렌, 화재징후 지역 출력 등에 통해 예측 경보하여 줌으로 화재를 발생 전에 발견하여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대기 전력을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predict and detect an arc, a spark, an overload, a short circuit, and a heat generated on an electric wire line and to detect and alarm the manager through SMS, ARS, bell or sir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blocking standby power as well as preventing a fire from being detected before a fire occu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은 복수개의 포트에 연결된 전자 기기가 전력 공급 초기에 소비하는 부하 전력을 검출하여 기준 대기 전력으로 저장하고, 이후, 상기 복수개의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이 상기 기준 대기 전력 이하이면, 대응하는 포트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며, 복수개의 포트로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 및 복수개의 포트에 연결되는 전선의 온도 및 아크 및 스파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대응하는 포트로 인가되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경고를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전압 및 전류, 전선의 온도 및 아크 및 스파크 발생 여부에 대한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의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경고를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중지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가 경고 발생을 중지하도록 하는 메인 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comprising: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rts for detecting load power consumed at the initial stage of power supply and storing the detected load power as a reference standby power; Th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port is interrupted and the voltage and curren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ports and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rts and whether arc and spark are generated are detected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for interrupting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port and generating a warning; And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for receiving the measurement data of the voltage and current, the temperature of the wire, the arc and spark occurrence and the status data of the status of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nd if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determines that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has abnormally generated a warning, the main device transmits a warning stop signal to cause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to stop generating the alert.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개의 릴레이를 구비하는 릴레이부; 전압 전류 감지 센서, 아크 및 스파트 감지 센서, 전선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센싱값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싱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에 연결된 상기 전자 기기가 초기에 소비하는 부하 전력을 기준 대기 전력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여, 정전, 과전류, 전선 온도 과도 상승, 아크 및 스파크 발생 또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이 상기 기준 대기 전력 이하이면 상기 복수개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대응하는 포트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전력 공급이 차단된 포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부하 저항값이 기설정된 기준 부하 저항값 이상이면, 전력 공급이 차단된 포트로 전력을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상기 보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출력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센싱 값을 상기 측정 데이터로서 상기 메인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보조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장치로 전송하는 보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comprises: a relay unit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s and having a plurality of relays for supplying or blocking power to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ports; A sensor unit for outputting a sensing value including a voltage current sensing sensor, an arc and spat sensing sensor, and a wire temperature sensing sensor; A memory unit receiving and storing the sensing value from the sensor unit and storing load power initially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rts as a reference standby power; Wherein the sensing unit analyzes the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relays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lays if a power failure, an overcurrent, a rise in a wire temperature transient, an arc and a spark or a power a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rt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standby power And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when the load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rt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oad resistance value, An auxilia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lay; An alarm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And an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the main unit as the measurement data and receiving status data of the auxiliary unit from the auxiliary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status data to the main un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는 상기 보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경고 발생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경고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transmits an alert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when the alert is generated through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는 상기 전력 공급이 차단된 포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부하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보조 전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measuring a load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rt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메인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판별부; 음향 또는 영상으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송출부; 및 상기 메인 통신부와 상기 보조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을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 판별부가 화재 발생 가능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판별부의 판별 결과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경고 송출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거나, 상기 보조 장치로 상기 경고 중지 신호를 상기 메인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ain device comprises: a main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tatus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 data discrimination unit for analyzing the measurement data and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fire from the analyzed measurement data; A warning dispenser for outputting a warning to sound or image; And a control unit which manag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mmunication unit and the auxiliary device and verifies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data discrimination unit by analyzing the status data when the data discrimination unit discriminates that a fire can occur, And a main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or transmitting the warning stop signal to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the main communication unit.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경고를 출력하거나, 상기 경고 중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고 및 상기 경고 중지 신호 발생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device transmits the warning message and the warning stop signal gener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system manager of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when the main device outputs the warning or transmits the warning stop signal .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은 사업장 내 전체 전기선로상의 아크 및 스파크 발생감지를 통하여 화재예방이 가능하고, 전기로 인한 화재 발생 요소를 알림 기능을 통하여 알려주므로 전기적 화재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대기 전력을 차단 및 복구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조 비용 절감으로 인해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보급에 기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ire by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rc and spark on the entire electric line in the workplace, and informs the occurrence of fire due to electricity through a notification function, And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utomatically shutting down and restoring standby power.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s due to the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s.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전 지능형 멀티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낸다.
도4 는 도1 의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대기 전력 차단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power saving intelligent multi-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outline of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onfiguration of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circuit of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of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terms "part", "unit", "module", "block",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도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을 나타낸다.1 shows an electrical fire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은 메인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메인 장치(100)는 메인 통신부(110), 데이터 저장부(120), 데이터 판별부(130), 메인 제어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경고 송출부(160)을 포함한다.The
메인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메인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와 RS232와 같은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되거나, WIFI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메인 통신부(110)는 보조 장치(200)로부터 보조 장치(200)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데이터 저장부(120)는 메인 통신부(110)를 통해 측정 데이터 및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 각각에서 수신되는 전송된 측정 데이터 및 상태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데이터 판별부(120)는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측정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가능성을 판단한다. 즉 화재 발생 가능성을 판별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데이터 판별부(120)에는 측정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가능성을 판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준 값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판별부(120)는 측정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화재 가능성을 판별 할 수 있다.The
메인 제어부(140)는 통신부(110)의 보조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을 관리하고,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하거나, 데이터 판별부(120)로부터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0)에 경고 화면을 출력함과 동시에 경고 송출부(160)를 제어하여 알람을 송출한다.The
메인 제어부(140)는 또한 보조 장치(200)에서 수신된 상태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판별부(120)에서 판별한 화재 가능성이 정확한 정보인지 잘못된 정보인지 판별할 수 있으며, 오정보인 경우 보조 장치(200)에서 경고를 발생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메인 통신부(110)을 통해 경보 중지 신호를 전송하고,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로 보조 장치(200)의 이상 상태를 보고한다.The
경고 송출부(160)는 메인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음향 신호로서 경고를 출력하거나, 시스템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경고 신호를 송출한다.The
상기한 메인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분석하여, 측정 데이터의 이상 여부를 판별하여 경고 화면 및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조 장치(200)가 불필요한 이상 경보를 발생하는 경우에, 보조 장치(200)의 경보 발생을 중지시키고, 관리자가 보조 장치(200)를 보수할 수 있도록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로 이상 상태를 보고한다. 이에 관리자는 보조 장치(200)의 이상 여부를 즉시 통지받아 보조 장치(200)를 보수할 수 있다.The
이는 기존의 전기 화재 예측시스템이 신속한 보수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와 함께 비 화재 발생 상황에서 잦은 동작으로 사용자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This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existing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is difficult to repair quickly, and solve the problem of reducing user's reliability by frequent operation in the non-fire situation.
보조 장치(200)는 센서부(210), 메모리부(220), 보조 제어부(230), 경고 출력부(240), 인터페이스부(250), 보조 통신부(260), 릴레이부(270), 서지 보호부(280) 및 차단부(290)를 포함한다.The
센서부(210)는 전압 전류 감지 센서, 아크 및 스파크 감지 센서, 전선 온도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복수개의 센싱값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센서부(210)는 부하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부하의 크기를 감지한다.The
메모리부(220)는 센서부(210)로부터 복수개의 센싱값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부(220)는 복수개의 포트(미도시) 각각에 대해 전력 공급 시 초기 부하 전력을 기준 대기 전력으로 저장한다. 기준 대기 전력을 복수개의 포트 각각에 대해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The
보조 제어부(230)는 보조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며, 센서부(210)에서 출력되어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센싱값을 분석하여 정전, 과전류, 전선 온도 과도 상승, 아크 및 스파크 발생 여부 등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부(270)을 제어하여 각 포트별 전원 공급을 개별적으로 차단한다.The
또한 보조 제어부(230)는 센서부(210)에서 감지된 전류 및 전압으로부터 부하 전력을 계산하고, 기준 대기 전력과 비교하여, 복수개의 포트(미도시) 각각으로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해 릴레이부(270)의 대응하는 릴레이를 오프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릴레이가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차단된 포트에서 부하 저항값이 기설정된 기준 부하 저항값 이상이면, 다시 릴레이를 온하여 전력 공급이 차단된 포트에 다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lso, the
경고 출력부(240)는 보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를 발생한다. 발생된 경고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해제 명령이 인가될 때까지, 또는 메인 장치(100)에서 경고 중지 신호가 인가될 때까지 발생된다.The
특히 아크에 대한 경고는 기존에 비 화재에 대한 동작으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므로, 화재 감지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위해 전기선로 상의 보조 제어부(230)가 아크 및 스파크 감시, 말단부하측 과전류 감시, 허용범위를 벗어난 이상온도 감시, 말단 부하 차단기 트립시에 경고 출력부(240)을 제어하여 경고를 출력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fire detection system, the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 명령을 인가받을 수 있는 입력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50)와 같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 출력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부(250)는 입력 수단과 이미지 출력 수단이 통합된 터치 패널이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보조 통신부(260)는 보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부에 저장된 센싱값들을 측정 데이터로서 메인 장치(100)로 전송하고,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보조 통신부(260)는 또한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가 어떠한 장소에 있더라도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경고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RS232와 같은 유선 통신 기능을 통해 메인 장치(100)로 상태 데이터를 제공하여 관리자가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이상 동작을 정확히 분석하고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릴레이부(230)는 복수개의 포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릴레이를 구비하고, 보조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포트 각각으로 전력을 인가하거나 차단한다.The
서지 보호부(280)는 서지 보호 장치(SPD: Surge Protective Device)를 구비하여 낙뢰 등에 의한 전력계통의 전원선, 통신선, 신호선 등의 도체를 통해 발생, 침입하는 이러한 과도 이상 전압인 서지(Surge)로부터 보조 장치(200) 및 보조 장치(200)의 복수개의 포트에 연결되는 각종 전자 기기를 보호한다.The
차단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각 포트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 형태의 복수개의 차단기를 포함하고, 또한 보조 장치(200)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 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es in the form of a switch capable of manually supplying or blocking power to each port, and further includes a circuit breaker (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 RTI >
상기에서 사용자 단말은 컴퓨터, 휴대폰, PDA, 노트북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정보 통신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computer, a mobile phone, a PDA, and a notebook smart phone.
도1 에서 메인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를 관리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관리자는 보조 장치(200)을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장치(100)가 보조 장치(200)의 비정상 경고 발생을 판별하여, 비정상 경고 발생을 중지시킴으로서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In FIG. 1, the
여기서 메인 장치(100)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유지 보수 업체 또는 소방서와 같은 방재 관리 업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장치(200)는 전기화재를 예방해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건물에 복수개의 보조 장치(200)가 설치되고, 하나의 메인 장치(100)는 건물의 관리실에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상기에서는 메인 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200)를 관리하기 위해 별도로 도시되었으나, 메인 장치(100)가 하나의 보조 장치만을 관리하는 경우에, 메인 장치(100) 및 보조 장치(100)는 하나의 장치로 통합될 수 있다.
Although the
도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2 shows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은 서지 보호 장치(SPD: Surge Protective Device), 배선용 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제어부, 복수개의 차단기(BR), 복수개의 릴레이(RL) 및 복수개의 포트(PT)를 포함한다.2,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ge Protective Device (SPD),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 a controller, a plurality of breakers BR, a plurality of relays RL, And a plurality of ports PT.
도2 의 전기 화재 예측 시스템은 보조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하였으며, 실제 구현시 외부로 드러나는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2 에서는 보조 장치(200)만을 도시하였으나, 메인 장치(100)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구성은 도2 와 동일할 수 있다.The electrical fire prediction system of 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서지 보호 장치(SP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지 보호부(280)로서 과도 이상 전압인 서지를 접지 포트(EPT)로 인가한다.The surge protection device SPD, as described above, applies a surge, which is a surge voltage, to the grounding port EPT as the
복수개의 차단기(BR)와 배선용 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는 차단부(290)에 포함되며, 배선용 차단기(MCCB)는 보조 장치(200)으로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복수개의 차단기(BR) 각각은 대응하는 포드(PT)로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한다.A plurality of breakers BR and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CCB) are included in the
복수개의 포트(PT)는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는 특정 위치까지 전선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한다.A plurality of ports (PT) are connected to a specific location requiring electric power to supply electric power.
복수개의 릴레이(RL)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대응하는 포드(PT)로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한다.The plurality of relays RL cut off power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ods P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어부는 도1 의 메모리부(220), 보조 제어부(230), 경고 출력부(240), 보조 통신부(250)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는 PCB 기판 상에 MCU(Micro Controller Unit)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함으로서, 메모리부(220), 보조 제어부(230), 경고 출력부(240), 보조 통신부(250)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도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낸다.FIG. 3 shows an outline of an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은 외부에 복수개의 포트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시각적 표시 수단(LED)과 인터페이스부(25)가 외부에 배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visual display means (LED) and an interface unit 25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rts on the outside and an interface unit 25 on the outside.
복수개의 시각적 표시 수단(LED)은 대응하는 각 포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녹색 및 적색과 같은 서로 다른 색상의 LED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즉 경고 출력부(240)로서 동작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청각적 표시 수단으로서 스피커 등을 구비하여 이상 발생 시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isual display means (LEDs) display the normal or abnormal status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rts by using LEDs of different colors such as green and red. That is, the
인터페이스부(250)는 현재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상태 및 각 설정값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각 설정값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여기서 사용자가 설정하는 설정값에는 각 포트별로 24시간 기준으로 동작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 포트에 연결된 전자기기로 입력 전원이 공급될 시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기설정된 시간 단위로 동작 여부를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setting value set by the user can set the operation time on a 24-hour basis for each port. That is, it is possible to individually set the time to supply the input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each port, and to individually set whether or not to operate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은 전기선로상에 발생되는 아크, 스파크, 과부하, 누전, 발열 등을 자동으로 예측 발견하여 이를 감지하고 관리자에게 SMS, ARS, 벨 또는 싸이렌, 화재징후 지역 출력등에 통해 예측 경보한다. 그러므로 화재 발생 전에 화재 발생의 원인을 관리자가 확인 후 제거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redicts and detects arcs, sparks, overloads, short circuits, and heat generated on an electric wire line and detects it, and outputs it to an administrator through SMS, ARS, bell or siren, Forecast alarm. Therefore, the administrator should check the cause of the fire before the fire occurs so that it can be removed.
도4 는 도1 의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대기 전력 차단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4 shows a configuration of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circuit of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of FIG.
본 발명의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은 복수개의 포트(PT)에 접속되는 전기 기기의 부하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전력을 기초로 전자기기가 대기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기기로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릴레이(RL)가 차단한다.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load power of an electric devic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rts (P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device is in a standby state based on the measured load electric power, The relay (RL) blocks.
도4 를 참조하면, 대기전력 차단 회로는 제1 검출부(211), 메모리부(220), 보조 제어부(230), 릴레이부(270), 보조 전원(PW), 제2 검출부(212)를 구비한다. 4, the standby power interruption circuit includes a
여기서 입력 전원(IN)은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전원으로서 예를 들어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이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한다면, 220V의 교류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power source IN is a power source input to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For example, if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uses a domestic commercial power source, an AC power source of 220 V may be input.
제1 검출부(211)는 도1 의 센서부(21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복수개의 제1 검출기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제1 검출기는 복수개의 포트(PT)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각각 대응하는 포트의 부하 전력을 검출한다. 즉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한다.The
메모리부(220)는 대응하는 포트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면, 제1 검출부(211)의 대응하는 제1 검출기가 초기 검출되는 부하 전력을 기준 대기 전력으로 저장한다. 이때 메모리부(220)는 복수개의 제1 검출기 각각에서 검출하는 부하 전력을 서로 구분하여 별도로 저장한다. 즉 메모리부(220)는 현재 연결된 전자 기기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기준 대기전력을 저장한다. 여기서 초기 검출된 부하 전력이라 함은 대응하는 포트로 전력이 공급된 이후 기설정된 초기 시간(예를 들면, 0.2초) 동안 측정되는 부하 전력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최초 검출되는 부하 전력일 수도 있다.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corresponding port, the
또한 메모리부(220)는 대응하는 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개별 최대 기준 전력 및 통합 최대 기준 전력이 기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Also, the
보조 제어부(230)는 제1 검출부(211)의 복수개의 제1 검출기 각각에서 검출하는 전자 기기 각각의 부하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기들의 부하 전력과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복수개의 기준 대기 전력 중 대응하는 기준 대기 전력을 비교하여, 제1 검출기에서 검출한 부하 전력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 ~ 10초)동안 대응하는 기준 대기 전력 이하이면, 릴레이 차단 신호를 릴레이부(270)의 복수개의 릴레이(RL) 중 대응하는 릴레이로 출력한다. 즉 보조 제어부(230)는 제1 검출기에서 검출한 부하 전력이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기준 대기 전력과 동일하거나 그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연결된 전자기기가 대기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현재 전자 기기가 소모하는 전력은 대기 전력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릴레이로 릴레이 차단 신호를 전송함으로서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The
그리고 보조 제어부(230)는 만일 메모리(220)에 개별 최대 기준 전력 및 통합 최대 기준 전력이 저장되어 있다면, 복수개의 제1 검출기 각각이 검출한 부하 전력 각각이 개별 최대 기준 전력을 초과하는지 판별하고, 부하 전력이 개별 최대 기준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대응하는 릴레이로 릴레이 차단 신호를 전송함으로서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과전류 및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1 검출기 각각이 검출한 부하 전력의 총합이 통합 최대 기준 전력을 초과하는지 판별하고, 부하 전력의 총합이 통합 최대 기준 전력을 초과하면, 복수개의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로 릴레이 차단 신호를 전송하여 전자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과전류, 단락, 스파크, 누전 등이 발생함으로 인한 전기화재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individual maximum reference power and the integrated maximum reference power are stored in the
그리고 보조 제어부(230)는 릴레이 차단 신호가 전송되어 차단된 릴레이에 대응하는 제2 검출기로 주기적(예를 들면 1초)으로 부하 검출 신호를 전송한다.Then, the
릴레이부(50)는 복수개의 릴레이(RL)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릴레이(RL) 각각은 보조 제어부(230)에서 인가되는 릴레이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제1 검출기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 전원이 대응하는 전자기기(LD)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relay unit 50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R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RL responds to a relay shutoff signal applied from the
또한 복수개의 릴레이(RL)는 복수개의 제2 검출기 중 대응하는 제2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다시 입력 전원이 대응하는 전자기기(LD)로 인가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The plurality of relays RL are connected in response to a reset signal output from a correspond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detectors so that the input power can b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LD.
즉 복수개의 릴레이(RL) 각각은 릴레이 차단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기기로 인가되는 입력 전원을 차단하고, 리셋 신호에 응답하여 차단된 입력 전원을 전자기기로 다시 인가한다.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RL blocks the input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in response to the relay cutoff signal, and applies the input power cut off in response to the reset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제2 검출부(212) 또한 제1 검출부(211)와 마찬가지로 도1 의 센서부(210)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제2 검출기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제2 검출기 각각은 보조 제어부(230)에서 전송되는 부하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전자 기기의 부하 저항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저항값이 기설정된 기준 부하 저항값 이상이면, 리셋 신호를 대응하는 릴레이(RL)로 출력하여 릴레이가 입력 전원을 전자기기로 다시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여기서 기준 부하 저항값은 복수개의 제2 검출기 각각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메모리부(22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제2 검출기가 고정된 저항값의 기준 부하 저항값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기준 부하 저항값 또한 제1 검출기에서 감지하는 부하 전력을 이용하여 보조 제어부(230)가 계산하여 메모리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조 제어부(230)는 전자기기가 대기 상태인지 동작 상태인지를 판별하고 있으며, 제1 검출기는 전자기기의 부하 전력을 측정하므로, 보조 제어부(230)은 전자기기가 동작 상태인 경우의 부하 저항값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제어부(230)가 전자기기의 동작 상태의 부하 저항을 계산하여 기준 부하 저항으로 메모리부(220)에 저장하는 경우에는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기준 부하 저항값을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load resistance value may be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detectors, or may be stored in the
그리고 복수개의 제2 검출기 각각은 리셋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전자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고, 이후 대응하는 릴레이가 다시 차단(오프)되면,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제2 검출기 각각은 대응하는 릴레이가 온 되면, 전자기기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대응하는 릴레이가 오프 되면,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제2 검출기가 전자기기로 입력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동안만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이다.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detectors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for outputting a reset signal and at the same time for interrup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rresponding relay is shut off again have.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detecto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rresponding relay is turned 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when the corresponding relay is turned off. This is because the second detector performs the operation only while the input power is not a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보조 전원(PW)은 제2 검출부(212)의 복수개의 제2 검출기가 전자기기의 부하 저항값을 감지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전원이다. 본 발명에서 제2 검출기는 릴레이가 차단된 상태, 즉 전자기기에 입력전원(IN)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부하 저항값을 측정한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부하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자기기로 공급할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단순히 부하 저항값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전원이므로,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하는 것은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발생하기 때문에 전력 낭비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이 입력전원(IN)보다 낮은 전압 레벨(예를 들면 5V)을 갖는 보조 전원(PW)을 구비하여 제2 검출기가 전자기기의 부하 저항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전원(PW)은 배터리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입력 전원(IN)을 인가받아 전압 레벨을 강하하는 변압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auxiliary power source PW is a power source us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detectors of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로부터 상기 전압 및 전류, 전선의 온도 및 아크 및 스파크 발생 여부에 대한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의 상태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가 비정상적으로 경고를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중지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가 경고 발생을 중지하도록 하는 메인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When the power a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rt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standby power, power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 is detected by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rts, And detects a temperature and arc and spark occurrence of a voltage and a curren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ports and a wi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rts to interrupt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port, One auxiliary device; And
Receiving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from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measurement data on the voltage and current, temperature of the electric wire, arcing and spark occurrence and status data of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nd a main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has abnormally generated an alarm, and for sending a warning stop signal to cause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to stop generating the alarm, .
상기 복수개의 포트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복수개의 릴레이를 구비하는 릴레이부;
전압 전류 감지 센서, 아크 및 스파트 감지 센서, 전선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센싱값을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싱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트에 연결된 상기 전자 기기가 초기에 소비하는 부하 전력을 기준 대기 전력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센싱값을 분석하여, 정전, 과전류, 전선 온도 과도 상승, 아크 및 스파크 발생 또는 상기 복수개의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전력이 상기 기준 대기 전력 이하이면 상기 복수개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대응하는 포트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전력 공급이 차단된 포트에 연결된 전자기기의 부하 저항값이 기설정된 기준 부하 저항값 이상이면, 전력 공급이 차단된 포트로 전력을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릴레이를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상기 보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 출력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센싱 값을 상기 측정 데이터로서 상기 메인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로부터 상기 보조 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장치로 전송하는 보조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 relay unit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rts and having a plurality of relays that supply or block power to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ports;
A sensor unit for outputting a sensing value including a voltage current sensing sensor, an arc and spat sensing sensor, and a wire temperature sensing sensor;
A memory unit receiving and storing the sensing value from the sensor unit and storing load power initially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rts as a reference standby power;
Wherein the sensing unit analyzes the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controls the plurality of relays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relays if a power failure, an overcurrent, a rise in a wire temperature transient, an arc and a spark or a power a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port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standby power And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when the load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rt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oad resistance value, An auxilia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lay;
An alarm output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And
And an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nsing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the main unit as the measurement data and receiving the status data of the auxiliary unit from the auxiliary control unit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status data to the main unit. Prediction system.
상기 보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경고 발생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경고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nd transmits an alarm gener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when the warning is generated through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상기 전력 공급이 차단된 포트에 연결된 상기 전자기기의 부하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보조 전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nd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measuring a load resistance value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rt where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메인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화재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판별부;
음향 또는 영상으로 경고를 출력하는 경고 송출부; 및
상기 메인 통신부와 상기 보조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을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 판별부가 화재 발생 가능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판별부의 판별 결과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경고 송출부를 통해 경고를 출력하거나, 상기 보조 장치로 상기 경고 중지 신호를 상기 메인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main device
A main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easurement data and the status data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auxiliary device;
A data discrimination unit for analyzing the measurement data and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fire from the analyzed measurement data;
A warning dispenser for outputting a warning to sound or image;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manag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mmunication unit and the auxiliary device and verifies the discrimination result of the data discrimination unit by analyzing the status data when the data discrimination unit discriminates that a fire can occur, And a main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through the auxiliary communication unit or transmitting the warning stop signal to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the main communication unit.
상기 경고를 출력하거나, 상기 경고 중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고 및 상기 경고 중지 신호 발생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the main device
Wherein the warn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f the system manager of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system when the warning is output or when the alarm stop signal is transmitted,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5216A KR20140127394A (en) | 2013-04-24 | 2013-04-24 | Electric fires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breaking standby pow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5216A KR20140127394A (en) | 2013-04-24 | 2013-04-24 | Electric fires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breaking standby pow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7394A true KR20140127394A (en) | 2014-11-04 |
Family
ID=5245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5216A Ceased KR20140127394A (en) | 2013-04-24 | 2013-04-24 | Electric fires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breaking standby pow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7394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2268U (en) * | 2014-12-19 | 2016-06-30 | (주) 텔트론 |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 of heat wire |
-
2013
- 2013-04-24 KR KR1020130045216A patent/KR2014012739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2268U (en) * | 2014-12-19 | 2016-06-30 | (주) 텔트론 | 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 of heat wi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57494B1 (en) |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 |
KR102274929B1 (en) | Transformer real-time monitoring system | |
KR101412567B1 (en) | Intelligent Panelboard | |
KR101794580B1 (en) | Apparatus for Control Smart Power Distribution Board and Method thereof | |
KR101280446B1 (en) | Cabinet panel/low-voltage distributing board inside voice-warning device for over-heating protection | |
US10761129B2 (en) | Electrical power supply panel with increased safety through monitoring and control | |
CN113049901A (en) | Electrical control and protection device | |
KR20100113552A (en) |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d testing a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 |
KR2010011129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 |
JP2011101537A (en) | Power distribution system | |
KR20200059388A (en) | Electricit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
KR20200014118A (en) | Power Distribution Board with Fault Fiagnosis Function | |
KR101320785B1 (en) | Electric fires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breaking standby power | |
KR102043441B1 (en) | IoT-based Smart Distribution Panelboard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 |
CN211293018U (en) | Novel ammeter case is prevented fires device | |
JP6509029B2 (en) | Distribution board | |
CN100568653C (en) | Power line safety warning device | |
KR101049862B1 (en) |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with neutral line replacement | |
WO2019017797A1 (en) | Fire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 |
CN211785890U (en) | Transformer monitoring device and transformer system | |
CN209896450U (en) | An IoT distribution box for electrical fire monitoring | |
KR20140127394A (en) | Electric fires prediction system capable of breaking standby power | |
KR101358592B1 (en) | Power control system switchboard and auxiliary controller for reserved the power of the fire-fighting and the method of operation | |
KR20210001515A (en) | Smart electrical accident prevention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 |
US11539204B1 (en) | Intelligent circuit breaker with dynamic coordin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5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