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806A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3806A KR20140123806A KR20130041117A KR20130041117A KR20140123806A KR 20140123806 A KR20140123806 A KR 20140123806A KR 20130041117 A KR20130041117 A KR 20130041117A KR 20130041117 A KR20130041117 A KR 20130041117A KR 20140123806 A KR20140123806 A KR 20140123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bottom plate
- neck member
- wall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지지장치로 사용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엘시디(LCD), 피디피(PDP)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최근 화면이 커지고 두께가 얇아지게 됨에 따라 많은 사용자에게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우수하고, 두께가 얇아 실내공간의 점유를 줄일 수 있다. Display devices such as LCDs and PDPs are becoming popular with a large number of users due to recent increases in screen size and thickness. Such a display device is excellent in image quality and thin in thickness, and can reduce occupancy of an indoor space.
디스플레이장치는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실내의 벽면에 걸어 고정시켜 사용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스탠드를 부착하여 이동성 있게 설치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is fixed by hanging it on the wall of the room to utilize the indoor space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a stand can be attached to the display device so as to be movable.
소비자는 실내의 벽면에 걸어 고정시키는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와 별도의 스탠드를 이용하는 스탠드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소비자가 일단 어느 한 형태를 선택하면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어려웠다. 벽걸이형에 사용되는 지지장치와 스탠드형에 사용되는 지지장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A consumer can select a stand-type display device using a stand-type display device which is hung on a wall surface of a room and a stand which is separate from the display device. Once a consumer chooses a form,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form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onsumer. This is because the supporting apparatus used for the wall-mounted type differs from the supporting apparatus used for the stand-type.
소비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다른 형태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새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에게 스탠드형 지지장치와 벽걸이형 지지장치 모두를 제공하는 경우, 설치되고 남은 지지장치는 버려지거나 따로 보관되야 하는 문제가 있다.The consumer must purchase a new product to install the display device in a different form. Also, when providing both a stand-type support device and a wall-hanging support device to a custom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ed support device should be discarded or stored separately.
또한, 디스플레이장치가 벽걸이로 설치된 경우에는 주변장치를 두는 곳이 애매하고, 떨어뜨려 놓는 경우 연결선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s a wall-mou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ce of the peripheral device is unclear, and when the display device is dropped, the connection line becomes long.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벽걸이형과 스탠드형 지지장치를 통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a wall-mounted type and stand-type support device.
또한 디스플레이장치가 벽걸이로 사용되는 경우, 지지장치에 주변장치를 올려두는 선반으로 활용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shelf for holding a peripheral device on a support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used as a wall moun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되는 넥(neck)부재, 상기 넥부재에 연결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넥 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 측면에 치우치게 일체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넥부재가 상기 바닥면에 조립되는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ck member coupled to a display device and a bottom plate connected to the neck member, wherein the neck member has a connection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bottom plate, And a coupl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s a stand or a wall-hanging type, the direction in which the neck member is assembled to the bottom surface is changed.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벽걸이형으로 설치될 때, 상기 넥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치우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와 가까운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wall-mounted manner, the neck member is biase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the display device, and the engaging portion is assembl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형으로 설치될 때, 상기 넥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치우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와 가까운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stand type, the neck member is biase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the display device, and the engaging part can be assembl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오목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bottom plate may include a concave surface to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상기 오목면은 복수의 나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넥부재와 상기 바닥판이 결합되는 나사홀이 달라질 수 있다.Since the concave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screw holes and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s a stand type or a wall type, the screw holes to which the neck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coupled can be changed.
상기 오목면은 내부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면 내부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바닥면의 오목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ncave surface may include an inner groove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in the concave surface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연결부는 세로로 연장되는 홀, 상기 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에 주변장치를 올리고 그를 고정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vertically extending hole, and a fixing plate connected to the hole and movable up and down, so that the peripheral device can be mounted on the bottom plate and fixed thereto.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위치조절을 위한 복수의 나사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rew holes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벽과 연결할 수 있는 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an attach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nd connectable to the wall.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는 연결선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line or the like can pass.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결합되는 넥(neck)부재, 상기 넥부재를 바닥에서 지지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넥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 측면에 제 1방향으로 치우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상기 제 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 1받침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 1받침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돌출된 제 2받침대를 포함한다.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ck member coupled to a display device, a bottom plate supporting the neck member at the bottom, the neck member having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with the bottom plate, A first pedestal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n an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 second pedestal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pedestal and protru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pedestal.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벽걸이형으로 설치될 때, 상기 넥부재와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제 2받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향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제 1받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밑면을 지지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주변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Wherein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wall-mounted manner, the neck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assembled such that the second pedestal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pedestal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e bottom plate can accommodate peripheral devices.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스탠드형으로 설치될 때, 상기 넥부재와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제 1받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향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제 2받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밑면을 지지하고, 상기 결합부의 윗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Wherein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stand type, the neck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assembled such that the first pedestal is dir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pedestal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can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하나의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벽걸이형 또는 스탠드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wall-mount type or a stand type using a single support device.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벽걸이로 설치하는 경우, 주변장치를 지지장치에 올려 정리가능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s a wall mount,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peripheral device on the support device and to see the interior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벽걸이형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옆에서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벽걸이형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뒤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스탠드형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옆에서 도시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스탠드형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뒤에서 도시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벽걸이로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스탠드로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벽걸이로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스탠드로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벽걸이형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뒤에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스탠드형으로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뒤에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벽걸이로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스탠드로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wall-mounted type using a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3 is a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stand type using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view of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stand type using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wall.
6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stand.
7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supporting apparatus for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wall.
8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stand.
FIG. 9 is a rear view of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wall-mounted type using a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ar view of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stand type using a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wall-mount.
12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a suppor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s a stan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3)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결합되는 넥부재(100)와 넥부재(100)에 연결되는 바닥판(200)을 포함한다. 1 and 3, a
넥부재(100)는 바닥판(200)과 결합되는 연결부(20)와 디스플레이장치(1)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부(10)로 이루어진다. 넥부재(100)는 결합부(10)가 연결부(20)의 일측면에 치우치게 형성된 일체의 구조이다.The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00)은 넓적한 사각형 판의 형태이다. 바닥판(200)은 연결부(20)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면(80)을 가진다. 오목면(80)은 디스플레이 후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바닥판(200)의 일측면에서 치우치게 형성된다. 3 and 4, the
연결부(20)는 바닥판(200)보다 면적이 작은 넓적한 사각형 판의 형태이다. 연결부(20)는 바닥판(200)의 오목면(80)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장치(1) 후면쪽으로 치우치게 조립된다. 이러한 치우친 형태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넥부재(100)와 결합되는 경우 제품의 안전성 측면에서 요구된다.The
결합부(10)는 연결부(2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연결부(20)의 넓적한 면에서결합부(10)는 치우치게 튀어나온 형태이다. 연결부(20)에서 튀어나온 결합부(10)는 길고 넓적한 판의 형태를 가진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장치(1)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홀(15)이 형성된다. 결합부(10)의 하단에는 디스플레이장치(1) 등에 필요한 선들이 통과할 수 있는 홀(12)이 마련된다.The
나사홀(15)은 결합부(10)의 양 옆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 나사홀(15)은 복수 개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의 뒷면에는 보통 4개의 나사홀을 가지고 있는데, 결합부(10)에는 4개 이상의 나사홀(15)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다.The
결합부(10) 하단에 형성된 홀(12)은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된 선을 통과할 수 있게 하여, 외관상 디스플레이장치(1)가 깔끔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주변장치(5)를 바닥판(200)에 올리는 경우, 주변장치와의 연결선을 정리할 수 있다.The
도 1, 도 2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를 벽에 걸어 설치하는 벽결이형에 대해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2 and 5, a wall release type in which the
결합부(10)가 바닥판(200)의 가장자리와 가장 가깝게 넥부재(100)와 바닥판(200)이 결합된다. 디스플레이장치(1)를 벽에 최대한 가깝게 붙여, 잉여공간을 없애기 위함이다. 바닥판(200)의 오목면(80)은 각 모서리 부근에 4개의 나사홀(83)을 가진다. 넥부재(100)는 결합부(10)와 연결부(20)가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가장자리 부근에, 연결부(20)의 바닥에서 결합부(10)가 형성된 방향으로 2개의 나사홀(14)을 가진다. 나사(505)는 바닥판(200)의 바닥에서 오목면(80)의 나사홀(83)을 통과하여 넥부재(100)의 나사홀(14)로 삽입된다. 바닥판(200)이 바닥에 놓이게 되어 나사(505)는 외관상 보이지 않고, 바닥판(200)과 넥부재(100)는 결합된다. The
부착부재(50)와 결합부(10)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결합시킨다. 부착부재(50)의 뒷면에는 벽에 설치된 브래킷에 연결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부착부재(50)는 넓적한 직사각형의 판이다. 부착부재(50)는 각 모서리 부근에 4개의 나사홀(55)을 가진다. 디스플레이장치(1)를 알맞은 위치에 결합부(10)의 나사홀(15)과 맞추고, 결합부(10) 위에 부착부재(50)를 놓는다. 나사(500)는 부착부재(50)의 뒷면에서 나사홀(55)을 통과하여, 결합부(10)의 나사홀(15)를 거쳐 디스플레이장치(1)의 나사홀로 삽입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넥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부착부재(50)와 결합된다.Thereby attaching the
지지장치(3)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1)는 벽에 설치된 브래킷과 부착부재(50)와 연결되어 벽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벽걸이로 설치되고, 그의 뒷면에서 넥부재(100)가 연결되어 바닥판(200)은 디스플레이장치(1) 아래에 위치한다.The
벽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된 바닥판(200)에 주변장치(5)를 올려둘 수 있다. 별도의 장치없이 주변장치(5)를 디스플레이장치(1) 주변에 거치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를 준다.The
도 3,도 4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3)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를 바닥에 세워 설치하는 스탠드형에 대해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3, 4 and 6, a stand type in which the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1)는 부착부재(5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가 벽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장치(1)를 포함한 넥부재(100) 및 바닥판(200)이 벽에 고정된다. 따라서 바닥판(200)에는 큰 하중이 걸리지 않는다. 그와 달리 디스플레이장치(1)를 스탠드형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닥판(200)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무게를 지탱한다.In the wall-mounted
결합부(10)가 바닥판(200)의 중앙부와 가깝게 넥부재(100)와 바닥판(200)이 결합된다. 이는 넥부재(100)에 의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함이다. 나사(505)는 바닥판(200)의 바닥에서 오목면(80)의 나사홀(83)을 통과하여 넥부재(100)의 나사홀(14)로 삽입된다. 바닥판(200)이 바닥에 놓이게 되어 나사(505)는 외관상 보이지 않고, 바닥판(200)과 넥부재(100)는 결합된다. The
결합부(10)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결합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를 알맞은 높이에 놓고, 결합부(10)의 나사홀(15)과 맞춘다. 나사(500)는 결합부(10)의 뒷면에서 나사(15)홀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의 나사홀로 삽입된다. And the engaging
디스플레이장치(1)는 넥부재(100)와 연결되어 바닥판(200)에 의해 바닥에 세워진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바닥판(200)의 중간부근에 위치함에 따라, 바닥판(200)은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를 세운다. 지지장치(30)가 연결된 스탠드형 디스플레이장치(1)는 쉽게 다른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The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a)의 하단부분에 세로로 연장되는 홀(30)을 형성된다. 홀(30)은 결합부(10a)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중간부분부터 하단까지 이어진 폭이 좁고 긴 형상이다.As shown in Figs. 7 and 8, a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가 스탠드로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에 연결된 선을 홀(30)에 통과시킨다. 외관상 디스플레이장치(1)가 깔끔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인테리어 효과가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가 벽걸이로 설치되는 경우 조절나사(42)와 고정판(40)을 더 포함하여, 바닥판(200a)에 올려두는 주변장치를 고정한다. 바닥판(200a)이 벽에 붙어 바닥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하는 도중 바닥판(200a)과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바닥판(200a)이 흔들려 바닥판(200a)에 올려둔 주변장치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마련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고정판(40)은 주변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부러진 판의 형태이다. 구부러진 면에 홀이 형성되어 조절나사의 볼트(42)와 연결된다. 조절나사는 홀을 사이에 두고 볼트(42)와 너트(44)로 결합되어, 고정판(4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고정한다. The fixing
바닥판(200a) 위에 주변장치가 놓이면, 고정판(40)을 주변장치의 윗면에 위치시키고 조절나사(42)를 조아서 고정한다. 장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조절나사(42)를 풀어 고정판(40)을 이동하여 다시 적절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When the peripheral device is placed on the
바닥판(200a)에 연결부(20a)가 결합되는 오목면(80a)과 오목면(80a) 내부의 홈(85)이 형성되고, 연결부(20a)에는 돌기(25)가 형성될 수 있다. 홈(85)과 돌기(25)를 이용하여 바닥판(200a)과 연결부(20a)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연결부(20a)의 돌기(25)는 결합부(10a)와 치우치게 형성된 부분과 반대방향으로 연결부(20a)의 옆면에 형성된다. 바닥판(200a)의 홈(85)은 오목면(80a)내부에 연결부(20a)가 결합될 수 있는 양방향 모두에 형성된다. The
연결부(20a)와 바닥판(200a)을 결합시킬 때, 우선 연결부(20a)의 돌기(25)을 오목면(80a) 내부의 홈(85)에 삽입하고, 연결부(20a)를 오목면(80a)에 맞추어 나사(505a)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벽걸이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연결부(20a)와 바닥판(200a)은 뒤는 나사(505a)로 조립되고, 앞는 홈(85)과 돌기(25)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스탠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연결부(20a)와 바닥판(200a)은 앞은 나사(505a)로 조립되고, 뒤는 홈(85)과 돌기(25)로 연결된다. The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3b)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결합되는 넥부재(100b)와 넥부재(100b)를 바닥에서 지지하는 바닥판(200b)을 포함한다. 9 and 10, a supporting
넥부재(100b)는 바닥판(200b)과 결합되는 연결부(20b), 연결부(20b)의 일 측면에 치우치게 형성된 결합부(10b), 결합부(10b)에 돌출된 제 1받침대(130)와 제 2받침대(160)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The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00b)은 연결부(20b)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면(80b)을 가진다. 오목면(80b)은 디스플레이 후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바닥판(200b)에서 치우치게 형성된다. 연결부(20b)는 바닥판(200b)의 오목면(80b)에 삽입되어, 디스플레이장치(1)의 후면쪽으로 치우치게 조립된다. 이러한 치우친 형태는 제품의 안전성 측면에서 필요하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결합부(10b)가 연결부(20b)에 치우치게 형성된 방향을 제 1방향(c)이라고 한다. 결합부(10b)의 상단에 제 1방향(c)과 반대방향으로 제 1받침대(130)가 돌출된다. 연결부(20b)와 제 1받침대(130) 사이에 제 1방향(c)으로 제 2받침대(160)가 돌출된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gaging
도 9 및 도 11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를 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2받침대(160)가 디스플레이장치(1)의 후면을 향하도록 조립된다. 즉, 제 1방향(c)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앞면을 향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후면에 부착부재(50b)를 연결하여 벽에 장착되고, 제 1받침대(13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밑면에 결합된다. 지지장치(3b)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1)는 벽걸이로 설치되고, 밑면에서 넥부재(100b)가 연결되어 바닥판(200b)은 디스플레이장치(1) 아래에 위치된다.9 and 11, when the
벽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된 바닥판(200b)에 주변장치를 올려둘 수 있다. 별도의 장치없이 주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1) 주변에 거치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를 준다.The peripheral device can be placed on the
도 10 및 도 12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를 스탠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받침대(130)가 디스플레이장치(1)의 후면을 향하도록 조립된다. 즉, 제 1방향(c)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후면을 향한다. 제 2받침대(160)가 디스플레이장치(1)의 밑면을 지지하고, 결합부(10b)의 윗부분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후면을 지지한다. 결합부(10b)의 윗부분은 제 2받침대(160)가 돌출된 면의 제 2받침대(160)보다 위쪽 부분을 말한다. 10 and 12, when the
지지장치(3b)가 연결된 스탠드형 디스플레이장치(1)는 바닥에 세울 수 있고, 이동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바닥판(200b)의 중간부근에 위치함에 따라, 바닥판(200b)은 하중을 분산시켜 디스플레이장치(1)를 안정적으로 세운다. The stand-
특정 형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디스플레이장치 3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5 : 주변장치 10 : 결합부
20 : 연결부 30 : 세로로 연장되는 홀
40 : 고정판 50 : 부착부재
80 : 오목면 85 : 오목면 내부 홀
100 : 넥부재 130 : 제 1받침대
160 : 제 2받침대 200 : 바닥판 1: Display device 3: Support device for display device
5: peripheral device 10:
20: connection 30: hole extending vertically
40: fixing plate 50: mounting member
80: concave surface 85: concave surface inner hole
100: neck member 130: first pedestal
160: second pedestal 200: bottom plate
Claims (13)
상기 넥부재에 연결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넥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 측면에 치우치게 일체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넥부재가 상기 바닥판에 조립되는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A neck member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a bottom plate connected to the neck member,
Wherein the neck member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plate and a coupling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Wherein a direction in which the neck member is assembled to the bottom plate is changed as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s a stand type or a wall type.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벽걸이형으로 설치될 때,
상기 넥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치우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와 가까운 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wall-mounted manner,
Wherein the neck member is biasedly engaged with the bottom plate in a 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assembled in a direction close to an edge of the bottom plate.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형으로 설치될 때,
상기 넥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 방향으로 치우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와 가까운 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stand type,
Wherein the neck member is biasedly engaged with the bottom plate in a 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assembled in a direction close to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연결부가 결합되는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d the bottom plate includes a concave surface to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상기 오목면은 복수의 나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형 또는 벽걸이형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넥부재와 상기 바닥판이 결합되는 나사홀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cave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screw holes,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as a stand type or a wall type so that the screw hole to which the neck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coupled is different.
상기 오목면은 내부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면 내부의 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바닥면의 오목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Said concave surface comprising an internal groov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proj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while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inside the concave surface.
상기 연결부는 세로로 연장되는 홀, 상기 홀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한 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바닥판에 주변장치를 올리고 그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vertically extending hole, and a fixing plate connected to the hole and movable up and down,
And the peripheral device can be mounted on the bottom plate and fixed thereto.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위치조절을 위한 복수의 나사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crew holes for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벽과 연결할 수 있는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ttachment membe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wall.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는 연결선 등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line passes can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넥부재를 바닥에서 지지하는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넥부재는 상기 바닥판과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 측면에 제 1방향으로 치우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상기 제 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제 1받침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 1받침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돌출된 제 2받침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A neck member coupled to the display device,
And a bottom plate for supporting the neck member at the bottom,
Wherein the neck member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plate;
A coupling part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pedestal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on an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A second pedestal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pedestal and project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벽걸이형으로 설치될 때,
상기 넥부재와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제 2받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향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제 1받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밑면을 지지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주변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wall-mounted type,
Wherein the neck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assembled such that the second pedestal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e first pedestal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bottom plate is capable of accommodating a peripheral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스탠드형으로 설치될 때,
상기 넥부재와 상기 바닥판은 상기 제 1받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향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제 2받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밑면을 지지하고,
상기 결합부의 윗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 stand type,
Wherein the neck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assembled such that the first pedestal face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pedestal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1117A KR20140123806A (en) | 2013-04-15 | 2013-04-15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1117A KR20140123806A (en) | 2013-04-15 | 2013-04-15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3806A true KR20140123806A (en) | 2014-10-23 |
Family
ID=5199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1117A Ceased KR20140123806A (en) | 2013-04-15 | 2013-04-15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2380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45957A1 (en) * | 2018-08-30 | 2020-03-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US11822381B2 (en) | 2019-11-27 | 2023-11-21 | Dotheal Co., Ltd. | Method of adjusting location and tilting of monitor |
-
2013
- 2013-04-15 KR KR20130041117A patent/KR2014012380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45957A1 (en) * | 2018-08-30 | 2020-03-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US11950383B2 (en) | 2018-08-30 | 2024-04-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US11822381B2 (en) | 2019-11-27 | 2023-11-21 | Dotheal Co., Ltd. | Method of adjusting location and tilting of monitor |
US11822380B2 (en) | 2019-11-27 | 2023-11-21 | Dotheal Co., Ltd. |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cluding monitor mount |
US11822379B2 (en) | 2019-11-27 | 2023-11-21 | Dotheal Co., Ltd. | Monitor mounting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53490B2 (en) | Device for attaching electronic components to flat-screen television | |
US7963489B2 (en) | Extension mechanism for a mounting system | |
US9518695B2 (en) | Flat screen television support system | |
US9179775B2 (en) | Monitor supporting module | |
US20130048811A1 (en) | A mounting kit | |
US9581284B2 (en) | Display apparatus | |
US20100158299A1 (en) | Position and directionality adjustable multi-range surround-sound speaker cabinet | |
US10400947B2 (en) | Wall mount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 |
US8939414B2 (en) | Backdrop for wall-mounted flat panel display installation and method | |
US20110011996A1 (en) | Angle adjusting device for display | |
US20100133402A1 (en) | Visual display unit mount | |
KR20140123806A (en) |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 |
KR100778217B1 (en) | Wall-mount stand for video display. | |
US10278494B2 (en) | System for a combination furniture and display unit | |
US10791854B2 (en) | Bracket and display device | |
US20210195304A1 (en) | Display mount interfaces | |
EP1694064A1 (en) | Flat screen display mounting system | |
JP2009500666A (en) | Flat screen display system with compatible stand | |
US10674616B2 (en) | Display device | |
US7522229B2 (en) | Flat panel display having support of multiple use states | |
JP3167818U (en) | Flat display stand | |
KR100860054B1 (en) | Universal stand unit | |
JPH11251758A (en) | Rack for pdp display device | |
JPH11127405A (en) | Plane display device | |
KR100802546B1 (en) | Sag preven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5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