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23255A -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단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단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255A
KR20140123255A KR20130040319A KR20130040319A KR20140123255A KR 20140123255 A KR20140123255 A KR 20140123255A KR 20130040319 A KR20130040319 A KR 20130040319A KR 20130040319 A KR20130040319 A KR 20130040319A KR 20140123255 A KR20140123255 A KR 20140123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terminal
input
output
magnetic energ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13004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웅
Original Assignee
박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웅 filed Critical 박찬웅
Priority to KR2013004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255A/ko
Publication of KR2014012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25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샌드위치 권선의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에서 출력권선의 양면을 감싸는 2개의 권선에 전달되는 상반된 극성의 노이즈를 결합에 의해 중화시켜 제거함으로써 전기적잡음이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것을 차단하여 출력 선로를 통한 노이즈의 복사를 현저히 낮춤으로써 EMI 필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트랜스포머 및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단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Magnetic energy transfer element and power supply which cuts electrical noise coupling to output winding}
본 발명은 샌드위치 권선의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에서 출력권선의 양면을 감싸는 2개의 권선에 전달되는 상반된 극성의 노이즈를 결합에 의해 중화시켜 제거함으로써 전기적잡음이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것을 차단하여 출력 선로를 통한 노이즈의 복사를 현저히 낮춤으로써 EMI 필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트랜스포머 및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샌드위치 권선 구조의 2개의 분리된 입력권선에 의해 서로 상반된 극성의 고주파노이즈를 발생시켜 출력권선으로 전달된 상반된 극성의 두 노이즈의 합이 상쇄되어 낮아지게 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출력권선의 다른 위치에 전달된 두 상반된 극성의 고주파 노이즈들을 출력권선 내에서 합성시켜 충분히 낮은 레벨로 낮추는 것은 출력권선 내부의 임피단스 등에 의해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출력권선(133)에 전달되는 전도 노이즈를 줄이고 고주파노이즈를 상쇄시키는 구조의 플라이백 컨버터를 보인다. 이하 제시된 모든 도면에서 트랜스포머의 각 권선에 표시된 검은 점은 권선의 시작이나 혹은 끝을 표시한다.
도 1과 도 2는 출력권선(133)의 턴 (Turn) 수가 트랜스포머 보빈의 한 권선층에 감기는 제1입력권선(131)이나 제2입력권선(132)의 턴 수보다 작은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출력권선(133)의 턴 수가 한 권선층에 감기는 제1입력권선(131)이나 제2입력권선(132)의 턴 수와 비슷하더라도 출력권선으로 전달되는 노이즈의 양을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 있어서, 교류 입력 전압은 정류되고 입력캐패시터(11)에 의해 평활된다. 출력전압의 피드백에 대응하여 스위칭소자(12)가 단속되어 트랜스포머(13)의 제1입력권선(131)과 제2입력권선(132)에서 에너지의 축적과 방출이 일어나며, 출력정류기(14)와 캐패시터(15)는 출력권선(133)의 전압을 정류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1은 제1차폐권선(134)의 접지측 연결단자가 입력캐패시터(11)의 "+" 단자에 연결된 것이고, 도 2는 입력캐패시터(11)의 "-" 단자에 연결된 것이며, 전기적인 작용은 동일하다.
도 3은 도 1이나 도 2의 트랜스포머(13 혹은 13a)의 구조도이다.
도 3에서, 제1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여 출력선로(16)을 통한 전도 노이즈를 낮추기 위해, 제1입력권선(131)과 출력권선(133) 사이에 제1차폐권선(134)이 위치한다. 제2입력권선(132)과 출력권선(133)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여 출력선로(16)을 통한 전도 노이즈를 낮추기 위해, 제2입력권선(132)과 출력권선(133) 사이에 제2차폐권선(134)이 위치한다. 통상 제1차폐권선(134)과 제2차폐권선(134)의 턴 수는 출력권선(133)의 턴 수와 비슷한 값으로 선정된다.
스위칭소자(12)가 개폐될 때 제1입력권선(131)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는 제1차폐권선(134)을 거쳐 출력권선(133)에 전달되고 제2입력권선(132)에서 발생되는 반대 극성의 노이즈는 제2차폐권선(135)을 거쳐 출력권선(133)에 전달된다. 출력권선(133)에 전달된 두 역극성의 노이즈는 출력권선(133) 내부에서 합산되어 상쇄되게 된다.
도 4는 출력권선(183)의 턴 수가 한 권선층에 감기는 제2입력권선(132)의 턴 수와 비슷하여 도 1이나 도 2의 제2차폐권선(135)를 제거한 경우의 플라이백 컨버터를 보인다. 도 5는 도 4의 트랜스포머(18)의 구조도이다.
도 4에서 제1입력권선(181)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노이즈는 제1차폐권선(184)을 거쳐 출력권선(183)에 전달되고, 제2입력권선(182)에서 발생된 고주파 노이즈는 출력권선(183)으로 직접 전달된다. 출력권선(183)에 전달된 두 역극성의 노이즈는 출력권선(183) 내부에서 합산되어 상쇄되게 된다.
그러나, 도 1이나 도 2이나 도 4에 있어서, 수많은 물량을 트랜스포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출력권선에 고주파 노이즈를 전달하는 권선이 감기는 물리적인 위치가 약간씩 다르고, 노이즈가 도달되는 출력권선(133 혹은 183)의 지점도 약간씩 다르게 된다. 출력권선(133 혹은 183)의 내부에는 각 부위별로 무수히 많은 분포 정수가 퍼져 있다. 출력권선(133 혹은 183)의 약간씩 다른 물리적인 부위에 전달되는 두 노이즈가 비록 상반된 극성이기는 하지만, 두 부위 사이의 임피단스에 의해 상반된 극성의 노이즈가 완전하게 상쇄되어 제거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출력권선에 전달된 고주파 노이즈를 더욱 제거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대책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은 물리적으로 감기는 위치가 약간씩 편차를 가지는 샌드위치 권선 구조의 2개의 분리된 입력권선으로부터 출력권선에 전달된 고주파 노이즈를 출력권선 내부에서 상반된 극성을 이용하여 충분히 제거시키기에는 부족했고, 출력권선에 전달된 고주파 노이즈를 더욱 제거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대책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스위칭소자와, 출력정류기와, 출력 선로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1입력권선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다른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2입력권선과;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는 출력권선과; 일측단자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1차폐권선과; 일측단자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2차폐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 사이에 상기 출력권선이 위치하고,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제1차폐권선이 위치하며, 상기 제2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제2차폐권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와; 그리고
상기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의 상기 제1차폐권선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와 제2차폐권선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를 결합시키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스위칭소자와, 출력정류기와, 출력 선로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1입력권선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다른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2입력권선과;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는 출력권선과; 일측단자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1차폐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 사이에 상기 출력권선이 위치하고,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제1차폐권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와; 그리고
상기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의 상기 제1차폐권선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와 상기 제2입력권선의 일측 단자를 결합시키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스위칭소자와, 출력정류기와, 출력 선로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1입력권선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다른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2입력권선과;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는 출력권선과; 일측단자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2차폐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 사이에 상기 출력권선이 위치하고, 상기 제2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제2차폐권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와; 그리고
상기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의 상기 제1입력권선의 일측 단자와 제2차폐권선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를 결합시키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는 상술한 자기에너지 전달소자를 포함하는 플라이백 컨버터가 제공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는 상술한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제조된 물품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를 상쇄시키는 구조를 가진 트랜스포머 및 전원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의 입력권선에서 발생된 고주파 노이즈가 출력권선에 전달되기 이전에 상쇄시켜 출력선로를 통해 방출되는 고주파 노이즈의 복사량을 충분히 낮은 레벨로 낮출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구성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트랜스포머의 구조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이백 컨버터의 다른
도 5는 도 4의 트랜스포머의 구조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구성도.
[제1실시예]
도 6에서 트랜스포머(13a)의 구조는 도 2와 동일하다.
도 6은 도 1이나 도 2와 마찬가지로 출력권선(133)의 턴 (Turn) 수가 트랜스포머 보빈의 한 권선층에 감기는 제1입력권선(131)이나 제2입력권선(132)의 턴 수보다 작은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출력권선(133)의 턴 (Turn) 수가 한 권선층에 감기는 제1입력권선(131)이나 제2입력권선(132)의 턴 수와 비슷하더라도 출력권선으로 전달되는 노이즈의 양을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에서, 스위칭소자(12)가 개폐될 때 트랜스포머(13a)의 제1입력권선(131)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와 제2입력권선(132)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는 서로 상반된 극성으로 대칭되게 발생한다. 제1입력권선(131)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는 마주보는 제1차폐권선(134)에 전달되고, 제2입력권선(132)에서 발생되는 반대 극성의 노이즈는 마주보는 제2차폐권선(135)에 전달된다.
제1차폐권선(134)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단자와 제2차폐권선(135)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단자에는 서로 크기는 같고 역극성인 노이즈가 나타난다. 이들 두 단자 사이를 낮은 임피단스를 가진 결합기(19)를 통해 결합시킨다. 제1차폐권선(134)과 제2차폐권선(135)의 턴수가 같다면 결합기(19)는 임피던스가 "0"인 직접 연결 상태가 될 수도 있고, 턴수가 다르거나 전위차가 있는 경우 낮은 임피단스의 저항이나 캐패시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차폐권선(134)과 제2차폐권선(135)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두 단자가 가지는 상반된 극성의 두 고주파 노이즈는 결합기를 통해 중화되어 상쇄되므로, 제1차폐권선(134)과 제2차폐권선(135)의 노이즈 레벨은 도 1이나 도 2에 비해 훨씬 낮아진다. 따라서, 출력권선(133)에 전달되는 노이즈 레벨도 도 1이나 도 2에 비해 훨씬 낮아지게 된다. 한편 출력권선(133)에 전달되는 상반된 극성의 노이즈는 다시 출력권선(133) 내부에서 상쇄되어 낮추어지므로 출력선로(16)의 노이즈도 도 1이나 도 2에 비해 훨씬 낮아지게 된다.
[제2실시예]
도 7은 트랜스포머(18)의 제1입력권선(181)과 출력권선(183)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여 출력선로(16)를 통한 전도 노이즈를 낮추기 위해 제1입력권선(181)과 출력권선(183) 사이에 일측 단자가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되는 제1차폐권선(184)이 위치하고, 결합기(19)는 제1차폐권선(184)의 전기적인 접지에 접속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와 제2입력권선(182) 혹은 제2입력권선(182)의 중간 탭 사이를 결합시킨다. 제1입력권선(181)으로부터 제1차폐권선(184)에 전달된 노이즈와 제2입력권선(182)의 일부 혹은 전부에서 발생된 역극성의 노이즈는 결합기(19)를 통해 중화되어 제거된다. 그러므로 제1차폐권선(184)과 제2입력권선(182)의 결합부의 노이즈 레벨이나 출력권선(183)에 전달되는 노이즈 레벨이 도 4에 비해 훨씬 낮아지게 된다.
[제3실시예]
도 8은 트랜스포머(20)의 제2입력권선(202)과 출력권선(203)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여 출력선로(16)을 통한 전도 노이즈를 낮추기 위해 제2입력권선(202)과 출력권선(203) 사이에 일측 단자가 전기적인 접지로 연결되는 제2차폐권선(205)이 위치하고, 결합기(19)는 제2차폐권선(185)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와 제1입력권선(181) 혹은 제1입력권선(181)의 중간 탭 사이를 결합시킨다. 제2입력권선(202)으로부터 제2차폐권선(205)에 전달된 노이즈와 제1입력권선(201)의 일부 혹은 전부에서 발생된 역극성의 노이즈를 결합기(19)를 통해 중화시켜 제거시킨다. 그러므로 제1입력권선(201)의 결합부와 제2차폐권선(205)의 노이즈 레벨이나 출력권선(203)에 전달되는 노이즈 레벨도 중화에 의해 충분히 낮아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샌드위치 권선 구조를 갖는 플라이백 컨버터에서 출력권선을 감싸고 있는 2개의 권선에 전달되는 상반된 극성의 노이즈를 수동소자로 구성된 낮은 임피단스의 결합기를 통해 중화시켜 제거함으로써 출력권선에 전달되는 노이즈를 줄여 출력선로를 통한 고주파 노이즈의 복사량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11은 입력 캐페시터, 12는 스위칭소자, 13과 13a는 트랜스포머, 14와 14a는 출력정류기, 15는 출력캐페시터, 16은 출력선로, 18은 트랜스포머, 19는 결합기, 20은 트랜스포머

Claims (12)

  1.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스위칭소자와, 출력정류기와, 출력선로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1입력권선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다른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2입력권선과;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는 출력권선과; 일측단자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1차폐권선과; 일측단자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2차폐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 사이에 상기 출력권선이 위치하고,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제1차폐권선이 위치하며, 상기 제2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제2차폐권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와; 그리고
    상기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의 상기 제1차폐권선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와 제2차폐권선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를 결합시키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2. 제1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상기 제1차폐권선의 일측 단자와 제2차폐권선의 일측 단자를 직접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3. 제1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로 상기 제1차폐권선의 일측 단자와 제2차폐권선의 일측 단자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4.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스위칭소자와, 출력정류기와, 출력선로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1입력권선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다른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2입력권선과;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는 출력권선과; 일측단자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1차폐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 사이에 상기 출력권선이 위치하고,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제1차폐권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와; 그리고
    상기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의 상기 제1차폐권선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와 상기 제2입력권선의 일측 단자를 결합시키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5. 제4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상기 제1차폐권선의 일측 단자와 상기 제2입력권선의 일측 단자를 직접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6. 제4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로 상기 제1차폐권선의 일측 단자와 상기 제2입력권선의 일측 단자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7. 제4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권선이 상기 결합기에 연결되는 접속점은 중간 탭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8. 제1전압입력단자와, 제2전압입력단자와, 스위칭소자와, 출력정류기와, 출력선로를 포함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와;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1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1입력권선과; 상기 자기에너지전달소자의 코어에 감겨지고, 상기 제2전압입력단자와 상기 스위칭소자의 다른 일측 단자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전류의 흐름 및 자기에너지의 전달이 단속되는 제2입력권선과;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에너지를 인출하는 출력권선과; 일측단자가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용량성의 결합을 차단하는 제2차폐권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입력권선과 상기 제2입력권선 사이에 상기 출력권선이 위치하고, 상기 제2입력권선과 상기 출력권선 사이에 상기 제2차폐권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와; 그리고
    상기 자기에너지 전달소자의 상기 제1입력권선의 일측 단자와 제2차폐권선의 전기적인 접지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일측 단자를 결합시키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9. 제8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상기 제1입력권선의 일측 단자와 제2차폐권선의 일측 단자를 직접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10. 제8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는 하나 이상의 수동소자로 상기 제1입력권선의 일측 단자와 제2차폐권선의 일측 단자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11. 제8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권선이 상기 결합기에 연결되는 접속점은 중간 탭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스위칭형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된 물품.
KR20130040319A 2013-04-12 2013-04-12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단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Withdrawn KR20140123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319A KR20140123255A (ko) 2013-04-12 2013-04-12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단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319A KR20140123255A (ko) 2013-04-12 2013-04-12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단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255A true KR20140123255A (ko) 2014-10-22

Family

ID=5199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0319A Withdrawn KR20140123255A (ko) 2013-04-12 2013-04-12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단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32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3280A (zh) * 2016-02-03 2016-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源变压器和电源控制方法
KR20160076232A (ko) * 2014-12-22 2016-06-30 박찬웅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CN108183019A (zh) * 2017-12-21 2018-06-19 华为技术有限公司 平面变压器、电源转换电路以及适配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232A (ko) * 2014-12-22 2016-06-30 박찬웅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CN105553280A (zh) * 2016-02-03 2016-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源变压器和电源控制方法
CN105553280B (zh) * 2016-02-03 2019-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电源变压器和电源控制方法
CN108183019A (zh) * 2017-12-21 2018-06-19 华为技术有限公司 平面变压器、电源转换电路以及适配器
CN108183019B (zh) * 2017-12-21 2019-09-13 华为技术有限公司 平面变压器、电源转换电路以及适配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837B2 (en) Planar transformer,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adapter
US8212416B2 (en) Device for filtering harmonics
Bai et al. Conducted EMI mitigation schemes in isolated switching-mode power supply without the need of a Y-capacitor
KR101904997B1 (ko) 전기적 잡음을 상쇄시키는 스위칭형 전원장치 및 물품
US9887592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reception device
CN105720582B (zh) 一种特定谐波消除无线电能传输系统及其设计方法
TW201304375A (zh) 適於電源的接地方法
JP6207751B2 (ja) 電力変換装置
CN201622921U (zh) 一种降低反激式变换器共模干扰的变压器及反激式变换器
KR20140123255A (ko) 출력권선으로 결합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단하는 자기에너지전달소자 및 전원장치
WO2020147853A1 (zh) 一种具有降噪设计的无线能量传输装置
CN106409485A (zh) 变压器
WO2022088728A1 (zh) 平面变压器、电源转换电路及适配器
CN106981360A (zh) 变压器、系留球及电源装置
CN109639128A (zh) 优化变压器结构以降低反激式开关电源传导共模干扰的方法
EP2797091A1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sing the transformer
KR102401021B1 (ko) 스위칭 전원에서 다이오드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을 낮추는 방법과 장치
CN208368340U (zh) 电磁屏蔽变压器
CN102801302A (zh) 利用电感线圈包裹屏蔽实现降噪的方法
KR20150047793A (ko) 권선간의 용량성 결합에 의해 전기적인 접지로 생성되는 변위전류를 낮추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 및 전원 장치
TWI568177B (zh) 應用於區域網路的濾波器電路
CN221281883U (zh) 变压器和电压转换设备
KR20150045289A (ko) 쉴드판에 의해 전도 노이즈와 방사 노이즈를 낮추는 자기에너지 전달소자 및 전원 장치
CN215378757U (zh) 开关电源电路及应用该电路的开关电源系统
JP2005278399A (ja) 分布定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