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994A -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1994A KR20140121994A KR1020130038421A KR20130038421A KR20140121994A KR 20140121994 A KR20140121994 A KR 20140121994A KR 1020130038421 A KR1020130038421 A KR 1020130038421A KR 20130038421 A KR20130038421 A KR 20130038421A KR 20140121994 A KR20140121994 A KR 201401219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de tab
- secondary battery
- tab
- start 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110 : 제1전극탭
120 : 제2전극탭
Claims (15)
-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 사이에 제1분리막이 끼워져 권취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판은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일면과 제1전극탭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전극판은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일면과 제2전극탭이 형성되지 않는 타면으로 구성되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은 상기 일면과 상기 타면의 사이에는 권취 시마다 그 폭이 일정간격만큼 증가되는 적층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은 동일면 상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은 서로 다른 면상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은 동일면 상에서 반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과 제2전극탭은 서로 다른 면상에서 반대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 식 1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1) X = nw + nt + d, n = 0 ~ n
(수학식 2) Y = mw + mt + (w-W2-d'), m = 0 ~ m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형성되는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3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3) X = floor([nw + nt + d]/k), n = 0 ~ n
(수학식 4) Y = floor([mw + mt + (w-W2-d')]/k), m = 0 ~ m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k = 2 ~ 5 사이의 정수
floor(x):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5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6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5) X = ceil([nw + nt + d]/k), n = 0 ~ n
(수학식 6) Y = ceil([mw + mt + (w-W2-d')]/k), m = 0 ~ m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k = 2 ~ 5 사이의 정수
ceil(x): x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7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8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7) X = floor([nw + nt + d]/k), n = n ~ 0
(수학식 8) Y = floor([mw + mt + (w-W2-d')]/k), m = m ~ 0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k = 2 ~ 5 사이의 정수
floor(x):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9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0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9) X = ceil([nw + nt + d]/k), n = n ~ 0
(수학식 10) Y = ceil([mw + mt + (w-W2-d')]/k), m = m ~ 0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k = 2 ~ 5 사이의 정수
ceil(x): x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
-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1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2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11) X = nw + nt + d, n = 0 ~ n
(수학식 12) Y = mw + mt + (w-W2-d'), m = 1 ~ m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3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4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13) X = floor([nw + nt + d]/k), n = 0 ~ n
(수학식 14) Y = floor([mw + mt + (w-W2-d')]/k), m = 1 ~ m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k = 2 ~ 5 사이의 정수
floor(x):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
-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5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6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15) X = ceil([nw + nt + d]/k), n = 0 ~ n
(수학식 16) Y = ceil([mw + mt + (w-W2-d')]/k), m = 1 ~ m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k = 2 ~ 5 사이의 정수
ceil(x): x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
-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7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8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17) X = floor([nw + nt + d]/k), n = n ~ 0
(수학식 18) Y = floor([mw + mt + (w-W2-d')]/k), m = m ~ 1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k = 2 ~ 5 사이의 정수
floor(x):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
-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X)는 제1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19에 의해서 결정되며,
상기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Y)는 제2전극판에서 하기 수학식 20에 의해 결정되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수학식 19) X = ceil([nw + nt + d]/k), n = n ~ 0
(수학식 20) Y = ceil([mw + mt + (w-W2-d')]/k), m = m ~ 1
w: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단위 권취 폭
t: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1회 권취 시 적층되는 높이
d: 제1전극판의 시작 위치에서 최초 제1전극탭이 형성되는 시작 위치까지의 거리
d':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최초 권취시 최초 적층면의 시작위치로부터 최초 제2전극탭이 형성되는 마지막 위치까지의 거리
W2: 제2전극탭의 폭
n, m: 권취 횟수
k = 2 ~ 5 사이의 정수
ceil(x): x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8421A KR101615220B1 (ko) | 2013-04-09 | 2013-04-09 |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JP2014078615A JP2014203830A (ja) | 2013-04-09 | 2014-04-07 | 二次電池の電極組立体 |
US14/247,444 US20140302365A1 (en) | 2013-04-09 | 2014-04-08 | Electrode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8421A KR101615220B1 (ko) | 2013-04-09 | 2013-04-09 |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1994A true KR20140121994A (ko) | 2014-10-17 |
KR101615220B1 KR101615220B1 (ko) | 2016-04-25 |
Family
ID=5165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8421A Active KR101615220B1 (ko) | 2013-04-09 | 2013-04-09 |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302365A1 (ko) |
JP (1) | JP2014203830A (ko) |
KR (1) | KR10161522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02868A (zh) * | 2020-09-08 | 2020-11-27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
KR20230101270A (ko) | 2021-12-29 | 2023-07-06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조립체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86404A (ja) * | 2005-03-31 | 2006-10-19 | Dainippon Printing Co Ltd |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板の正極板と負極板の組み合わせ、その正極板と負極板の製造方法、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
JP5311861B2 (ja) | 2008-03-31 | 2013-10-09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リチウム二次電池 |
JP2009289672A (ja) | 2008-05-30 | 2009-12-10 | Hitachi Vehicle Energy Ltd | 捲回型蓄電デバイス |
JP2011081964A (ja) * | 2009-10-05 | 2011-04-21 | Toshiba Corp | 電極の製造装置、電極の製造方法、電極及び非水電解質電池 |
CN102668217B (zh) * | 2010-08-23 | 2015-08-05 | 株式会社Lg化学 | 改进结构的卷筒以及包括这种卷筒的二次电池 |
JP5749034B2 (ja) * | 2011-02-18 | 2015-07-15 | 株式会社東芝 | 電池 |
-
2013
- 2013-04-09 KR KR1020130038421A patent/KR101615220B1/ko active Active
-
2014
- 2014-04-07 JP JP2014078615A patent/JP2014203830A/ja active Pending
- 2014-04-08 US US14/247,444 patent/US20140302365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02868A (zh) * | 2020-09-08 | 2020-11-27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
KR20230101270A (ko) | 2021-12-29 | 2023-07-06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전극조립체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5220B1 (ko) | 2016-04-25 |
US20140302365A1 (en) | 2014-10-09 |
JP2014203830A (ja) | 2014-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29439B2 (en) | Steppe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tepped unit cell | |
CN103947026B (zh) | 具有不同形状的角部的台阶式电极组件以及包括该电极组件的二次电池、电池组和设备 | |
EP2750239B1 (en) | Stepped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comprising same | |
EP2802033B1 (en) | Battery cell having asymmetric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US9608294B2 (en) | Electrode assembly having step portion in stabilized stack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741974B2 (en) | Battery cell having round corner | |
JP6245142B2 (ja) | 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二次電池 | |
US9871241B2 (en) | Electrode assembly having excellent degree of freedom in shape thereof in thickness direction, secondary cell battery,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electrode assembly | |
KR101291063B1 (ko) |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적층 장치 및 방법 | |
EP3168918B1 (en) | Electrode assembly wound in both direction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EP2849246A1 (en) | Battery pack having amorphous structure | |
EP2846392B1 (en) |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and device comprising same | |
US20160056497A1 (en) | Battery cell of vertically stacked structure | |
KR101615220B1 (ko) |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 |
JP6055907B2 (ja) | 多数の電極組立体を含む二次電池 | |
EP2843747B1 (en) | Stepped electrode assembly having excellent stacked shape st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20150034521A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