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085A -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0085A KR20140120085A KR1020130035720A KR20130035720A KR20140120085A KR 20140120085 A KR20140120085 A KR 20140120085A KR 1020130035720 A KR1020130035720 A KR 1020130035720A KR 20130035720 A KR20130035720 A KR 20130035720A KR 20140120085 A KR20140120085 A KR 201401200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coupling
- data
- display panel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09G2300/0866—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by means of changes in the pixel supply voltag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커플링 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커플링 전압 생성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충분한 프로그래밍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컨트롤러,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화소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캐패시터 및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의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포화 영역이 아닌 선형 영역에서 동작하는 스위치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온 레벨 및 오프 레벨만을 표현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턴 온 또는 턴 오프하기 위해 턴 온 레벨 및 턴 오프 레벨의 두 가지 레벨만을 갖는 데이터 전압이 사용된다.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 상기 화소는 오직 온 레벨 및 오프 레벨만을 표현하므로,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 필드로 나눌 필요가 있다. 상기 서브 필드의 발광의 온 및 오프의 조합을 이용하여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계조의 레벨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상기 서브 필드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가 증가하여 데이터 구동부의 고속 구동이 필요하며 발광 시간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를 감소시켜 프로그래밍 시간과 발광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표시 패널 구동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커플링 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커플링 전압 생성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노드를 갖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고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갖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커플링 전압을 제공하는 커플링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갖는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전극 및 저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갖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전압은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가변하고,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은 상기 커플링 전압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1 변화량만큼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량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P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제2 발광 구간의 커플링 전압은 제1 발광 구간의 커플링 전압보다 상기 제1 변화량만큼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제2 발광 구간의 커플링 전압은 제1 발광 구간의 커플링 전압보다 상기 제1 변화량만큼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는 상기 발광 구간에 앞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데이터 전압을 어드레싱하는 어드레싱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 동안 상기 고 전원 전압 및 상기 저 전원 전압의 차이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턴 온시키기 위한 문턱 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 동안 상기 데이터 전압은 모든 계조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시키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과 상기 발광 구간 사이에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2 변화량만큼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라인은 상기 게이트 라인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 방법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노드를 갖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고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갖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커플링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갖는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전극 및 저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갖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전압은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1 변화량만큼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량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는 상기 발광 구간에 앞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데이터 전압을 어드레싱하는 어드레싱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 동안 상기 고 전원 전압 및 상기 저 전원 전압의 차이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턴 온시키기 위한 문턱 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 동안 상기 데이터 전압은 모든 계조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시키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부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커플링 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커플링 전압 생성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전압 생성부는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가변하는 상기 커플링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1 변화량만큼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량은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화소는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이용하여 하나의 서브 필드 동안 복수의 비트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 동안 더 많은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충분한 프로그래밍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압에 따른 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압에 따른 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도 2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압에 따른 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압에 따른 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컨트롤러(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및 커플링 전압 생성부(6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 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화소들(P)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화소들에 연결되는 복수의 커플링 라인들(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플링 라인들(CL)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링 라인들(CL)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화소들(P)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소(P)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외부의 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RGB)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제4 제어 신호(CONT4)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RGB)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커플링 전압 생성부(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4 제어 신호(CONT4)를 생성하여 상기 커플링 전압 생성부(6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직접 실장(mounted)되거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형태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에 집적(Integrated)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컨트롤러(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컨트롤러(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쉬프트 레지스터(미도시), 래치(미도시), 신호 처리부(미도시) 및 버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래치 펄스를 상기 래치에 출력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일시 저장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에 출력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형태인 상기 데이터 신호(DATA) 및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근거로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버퍼부에 출력한다. 상기 버퍼부는 상기 데이터 전압의 레벨이 일정한 레벨을 갖도록 보상하여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에 직접 실장되거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형태로 상기 표시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주변부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커플링 전압 생성부(600)는 상기 컨트롤러(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4 제어 신호(CONT4)에 응답하여 상기 커플링 라인들(CL)을 통해 상기 표시 패널(100)에 커플링 전압(VC)을 출력한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복수의 레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시간에 따라 가변하는 레벨을 갖는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파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화소(P)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소(P)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2), 구동 트랜지스터(T1), 커플링 캐패시터(C1)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상기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상기 게이트 신호에 의해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가 턴 온되면 상기 데이터 전압이 상기 제1 노드(N1)로 인가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제어 전극은 게이트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입력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의 출력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P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상기 게이트 신호가 로우 레벨을 가질 때, 턴 온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고 전원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P)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구동되므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선형 영역에서 동작한다. 즉,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에 의해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가 턴 온되면 상기 고 전원 전압(ELVDD)이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상기 제1 전극으로 인가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극은 게이트 전극일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입력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출력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P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턴 온 전압보다 작을 때, 턴 온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는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인가되는 상기 커플링 라인(CL)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에 의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가변하는 경우,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 역시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노드(N1)의 상기 전압이 제1 데이터 전압을 갖는다고 할 때,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의 상기 제1 단에 인가되는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제1 커플링 전압으로부터 제2 커플링 전압으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전압은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에 의해 상기 제1 커플링 전압 및 상기 제2 커플링 전압의 차이만큼 감소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상기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저 전원 전압(ELVSS)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제1 전극의 전압 및 상기 제2 전극의 전압의 차이가 문턱 전압 이상인 경우, 턴 온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제1 전극의 전압 및 상기 제2 전극의 전압의 차이가 문턱 전압보다 작은 경우, 턴 오프된다.
도 3은 도 1의 화소(P)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한다. 도 3은 제1 서브 필드(SF1)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서브 필드(SF1)는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표시 패널(100)이 하나의 프레임 영상을 표시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의 초기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입 기간(TW)에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로우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로우 레벨을 가지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가 턴 온되고,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1 노드(N1)로 인가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동안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제1 커플링 레벨(VCA)을 갖는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보다 제1 변화량(ΔVC)만큼 낮은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한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감소하면,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은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에 의해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만큼 감소한다. 이 때,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의 변화량은 기생 캐패시턴스에 의해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을 충분히 크게 설정하면, 상기 기생 캐패시턴스에 의한 전압의 변화량은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의 변화량은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보다 상기 제1 변화량(ΔVC)만큼 낮은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한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감소하면,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은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에 의해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만큼 감소한다.
도 3에서 도시하지 않은, 고 전원 전압(ELVDD) 및 저 전원 전압(ELVSS)은 직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에 따른 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제1 내지 제4 데이터 레벨(V00, V01, V10, V11)을 갖는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은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 및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의 간격에 대응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제1 데이터 레벨(V00)을 갖는 경우,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을 갖는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인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1 데이터 레벨(V00)을 갖는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2 데이터 레벨(V01)로 감소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2 데이터 레벨(V01) 및 상기 제1 데이터 레벨(V00)의 차이는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로 감소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1 데이터 레벨(V00)을 갖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필드(SF1)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계속하여 턴 오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1 데이터 레벨(V00)보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만큼 작은 제2 데이터 레벨(V01)을 갖는 경우,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을 갖는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인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2 데이터 레벨(V01)을 갖는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로 감소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로 감소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2 데이터 레벨(V01)을 갖는 경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서브 필드(SF1)의 1/3 구간 동안 턴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제1 서브 필드(SF1)의 1/3 구간 동안 발광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2 데이터 레벨(V01)보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만큼 작은 제3 데이터 레벨(V10)을 갖는 경우,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을 갖는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인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을 갖는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로 감소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제5 데이터 레벨(V11-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을 갖는 경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서브 필드(SF1)의 2/3 구간 동안 턴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제1 서브 필드(SF1)의 2/3 구간 동안 발광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보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만큼 작은 제4 데이터 레벨(V11)을 갖는 경우,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을 갖는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인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을 갖는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5 데이터 레벨(V11-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제6 데이터 레벨(V11-2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을 갖는 경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서브 필드(SF1)의 3/3 구간 동안 턴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제1 서브 필드(SF1)의 3/3 구간 동안 발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의 폭(duration)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4개의 데이터 레벨을 갖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서브 필드(SF1)는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하는 커플링 전압(VC)을 이용하여 한번의 데이터 기입으로 다수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어드레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 8bit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8번의 어드레싱을 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는 한번의 어드레싱에 4개의 레벨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4번의 어드레싱만으로 같은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충분한 프로그래밍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동일하므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화소(P)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2), 구동 트랜지스터(T1), 커플링 캐패시터(C1)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상기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는 상기 게이트 신호가 하이 레벨을 가질 때, 턴 온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고 전원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N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턴 온 전압보다 클 때, 턴 온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는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인가되는 상기 커플링 라인(CL)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상기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저 전원 전압(ELVSS)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한다. 도 6은 제1 서브 필드(SF1)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서브 필드(SF1)는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의 초기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입 기간(TW)에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하이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신호(GS)가 하이 레벨을 가지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2)가 턴 온되고,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1 노드(N1)로 인가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동안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제1 커플링 레벨(VCA)을 갖는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보다 제1 변화량(ΔVC)만큼 높은 제2 커플링 레벨(VCB)로 증가한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증가하면,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은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에 의해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만큼 증가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보다 상기 제1 변화량(ΔVC)만큼 높은 제3 커플링 레벨(VCC)로 증가한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증가하면,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은 상기 커플링 캐패시터(C1)에 의해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만큼 증가한다.
도 3에서 도시하지 않은, 고 전원 전압(ELVDD) 및 저 전원 전압(ELVSS)은 직류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하는 커플링 전압(VC)을 이용하여 한번의 데이터 기입으로 다수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어드레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충분한 프로그래밍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서브 필드가 어드레싱 구간 및 발광 구간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동일하므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1FRAME)은 복수의 서브 필드(SF1, SF2, SF3)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한다.
도 7은 하나의 프레임(1FRAME)을 나타내고, 상기 프레임(1FRAME)은 제1 내지 제3 서브 필드(SF1, SF2, SF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필드(SF1, SF2, SF3)는 각각 어드레싱 구간(A1, A2, A3) 및 발광 구간(E1, E2, E3)을 포함한다.
도 8은 상기 제1 서브 필드(SF1)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서브 필드(SF1)는 어드레싱 구간(AT) 및 발광 구간(ET)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구간(ET)은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을 포함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에는 상기 화소(P)의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고, 상기 화소들(P)에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어드레싱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의 화소들(P)에 상기 게이트 신호(GS[1] 내지 GS[N])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은 N개의 게이트 라인들(GL)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의 화소들(P)에 상기 게이트 신호(GS[1] 내지 GS[N])를 순차적으로 인가하며, 라인 바이 라인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상기 모든 화소(P)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간(ET) 동안에는 상기 화소(P)의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기초로 발광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 동안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와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의 변화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화소(P)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 구간(ET) 동안 상기 고 전원 전압(ELVDD)은 제1 레벨(VDH)을 갖고,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고 전원 전압(ELVDD)은 상기 제1 레벨(VDH)보다 낮은 제2 레벨(VDL)을 갖는다. 상기 제1 레벨(VDH)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온시키기 위한 레벨이고, 상기 제2 레벨(VDL)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레벨이다.
도 8에서 도시하지 않은, 저 전원 전압(ELVSS)은 직류 전압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제2 레벨(VDL)을 갖는 고 전원 전압(ELVDD) 및 상기 저 전원 전압(ELVSS)의 차이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온시키기 위한 문턱 전압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고 전원 전압(ELVDD)을 조절하여,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오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하는 커플링 전압(VC)을 이용하여 한번의 데이터 기입으로 다수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어드레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충분한 프로그래밍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저 전원 전압이 제1 및 제2 레벨을 갖는 것을 제외하면 도 7 및 도 8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동일하므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1FRAME)은 복수의 서브 필드(SF1, SF2, SF3)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한다.
도 9는 제1 서브 필드(SF1)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서브 필드(SF1)는 어드레싱 구간(AT) 및 발광 구간(ET)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구간(ET)은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을 포함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에는 상기 화소(P)의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고, 상기 화소들(P)에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어드레싱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의 화소들(P)에 상기 게이트 신호(GS[1] 내지 GS[N])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간(ET) 동안에는 상기 화소(P)의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기초로 발광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 동안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와 상기 제1 노드(N1)의 전압의 변화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화소(P)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 구간(ET) 동안 저 전원 전압(ELVSS)은 제1 레벨(VSL)을 갖고,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저 전원 전압(ELVSS)은 상기 제1 레벨(VSL)보다 높은 제2 레벨(VSH)을 갖는다. 상기 제1 레벨(VSL)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온시키기 위한 레벨이고, 상기 제2 레벨(VSH)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오프시키기 위한 레벨이다.
도 9에서 도시하지 않은, 고 전원 전압(ELVDD)은 직류 전압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고 전원 전압(ELVDD) 및 상기 제2 레벨(VSH)을 갖는 상기 저 전원 전압(ELVSS)의 차이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온시키기 위한 문턱 전압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저 전원 전압(ELVSS)을 조절하여,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오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하는 커플링 전압(VC)을 이용하여 한번의 데이터 기입으로 다수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어드레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충분한 프로그래밍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들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어드레싱 구간 동안 커플링 전압(VC)에 의해 화소들(P)이 턴 오프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7 및 도 8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동일하므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이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1FRAME)은 복수의 서브 필드(SF1, SF2, SF3)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한다.
도 10은 제1 서브 필드(SF1)를 나타내고, 상기 제1 서브 필드(SF1)는 어드레싱 구간(AT) 및 발광 구간(ET)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구간(ET)은 제1 내지 제3 발광 구간(PA, PB, PC)을 포함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에는 상기 화소(P)의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고, 상기 화소들(P)에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어드레싱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 상기 표시 패널(100)의 화소들(P)에 상기 게이트 신호(GS[1] 내지 GS[N])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간(ET) 동안에는 상기 화소(P)의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데이터 전압(VD)을 기초로 발광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화소(P)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 구간(ET) 동안 상기 커플링 전압(VC)은 어드레싱 레벨(VCADDR)을 갖는다.
도 9에서 도시하지 않은, 고 전원 전압(ELVDD) 및 저 전원 전압(ELVSS)은 직류 전압을 갖는다.
도 11은 도 10의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전압에 따른 전류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도 2, 도 7,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제1 내지 제4 데이터 레벨(V00, V01, V10, V11)을 갖는다.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발광 구간(PA, PB, PC)에 따라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1 변화량(ΔVC)만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과 상기 발광 구간(ET) 사이에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2 변화량만큼 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변화량은 상기 제1 변화량(ΔVC)과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11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은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 및 상기 제4 데이터 레벨보다 상기 커플링 전압(VC)의 변화량(ΔVC)만큼 작은 제5 데이터 레벨(V11-ΔVC)의 간격에 대응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제1 데이터 레벨(V00)을 갖는 경우,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어드레싱 레벨(VCADDR)을 갖는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1 데이터 레벨(V00)을 갖는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2 데이터 레벨(V01)로 감소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로 감소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로 감소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1 데이터 레벨(V00)을 갖는 경우,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광 구간(ET)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계속하여 턴 오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는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제2 데이터 레벨(V01)을 갖는 경우,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어드레싱 레벨(VCADDR)을 갖는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2 데이터 레벨(V01)을 갖는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로 감소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로 감소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제5 데이터 레벨(V11-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2 데이터 레벨(V01)을 갖는 경우,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광 구간(ET)의 1/3 구간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발광 구간(ET)의 1/3 구간 동안 발광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제3 데이터 레벨(V10)을 갖는 경우,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어드레싱 레벨(VCADDR)을 갖는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을 갖는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로 감소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5 데이터 레벨(V11-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제6 데이터 레벨(V11-2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을 갖는 경우,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광 구간(ET)의 2/3 구간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발광 구간(ET)의 2/3 구간 동안 발광한다.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제4 데이터 레벨(V11)을 갖는 경우,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어드레싱 레벨(VCADDR)을 갖는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4 데이터 레벨(V11)을 갖는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1 커플링 레벨(VCA)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5 데이터 레벨(V11-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1 발광 구간(PA)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2 커플링 레벨(VCB)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상기 제6 데이터 레벨(V11-2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2 발광 구간(PB)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이 되면, 상기 커플링 전압(VC)이 상기 제3 커플링 레벨(VCC)로 감소하고,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어 전압(VG)은 제7 데이터 레벨(V11-3ΔVC)로 감소한다. 상기 제3 발광 구간(PC)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압(VD)이 상기 제3 데이터 레벨(V10)을 갖는 경우,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오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광 구간(ET)의 3/3 구간 동안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1)는 턴 온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발광 구간(ET)의 3/3 구간 동안 발광한다.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모든 계조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시키는 값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AT)동안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턴 오프할 수 있다. 단, 상기 어드레싱 구간(AT) 및 상기 발광 구간(ET) 사이에 상기 커플링 전압(VC)을 변화시켜 상기 데이터 전압(VD)은 상기 발광 구간(ET) 동안 적절한 계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하는 커플링 전압(VC)을 이용하여 한번의 데이터 기입으로 다수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어드레싱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 8bit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8번의 어드레싱을 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구동 방식에서는 한번의 어드레싱에 4개의 레벨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4번의 어드레싱만으로 같은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프로그래밍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충분한 프로그래밍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생성하는 커플링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노트북, PMP(personal media player), 텔레비전,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차량용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컨트롤러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커플링 전압 생성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커플링 전압 생성부
Claims (24)
-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제공하는 커플링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노드를 갖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고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갖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커플링 전압을 제공하는 커플링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갖는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전극 및 저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갖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전압은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가변하고,
상기 제1 노드의 전압은 상기 커플링 전압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1 변화량만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량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P형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제2 발광 구간의 커플링 전압은 제1 발광 구간의 커플링 전압보다 상기 제1 변화량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는 N형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제2 발광 구간의 커플링 전압은 제1 발광 구간의 커플링 전압보다 상기 제1 변화량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는 상기 발광 구간에 앞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데이터 전압을 어드레싱하는 어드레싱 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 동안 상기 고 전원 전압 및 상기 저 전원 전압의 차이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턴 온시키기 위한 문턱 전압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 동안 상기 데이터 전압은 모든 계조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시키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과 상기 발광 구간 사이에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2 변화량만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라인은 상기 게이트 라인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상기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상기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는 입력 전극 및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출력 노드를 갖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어 전극, 고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입력 전극 및 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에 연결되는 출력 전극을 갖는 구동 트랜지스터;
상기 커플링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단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단을 갖는 커플링 캐패시터;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출력 전극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전극 및 저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제2 전극을 갖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전압은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1 변화량만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량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는 상기 발광 구간에 앞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화소들에 상기 데이터 전압을 어드레싱하는 어드레싱 구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 동안 상기 고 전원 전압 및 상기 저 전원 전압의 차이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턴 온시키기 위한 문턱 전압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싱 구간 동안 상기 데이터 전압은 모든 계조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시키는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패널에 복수의 레벨을 갖는 커플링 전압을 제공하는 커플링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 제2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필드는 복수의 발광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전압 생성부는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가변하는 상기 커플링 전압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 내에서 상기 발광 구간에 따라 상기 커플링 전압은 제1 변화량만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화량은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턴 온 및 턴 오프를 결정하는 전압 간격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5720A KR20140120085A (ko) | 2013-04-02 | 2013-04-02 |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14/033,122 US9443467B2 (en) | 2013-04-02 | 2013-09-20 | Display panel driver,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TW102139163A TW201440024A (zh) | 2013-04-02 | 2013-10-29 | 顯示面板驅動器、使用其驅動顯示面板之方法、及具有其之顯示設備 |
CN201410111776.0A CN104103226A (zh) | 2013-04-02 | 2014-03-24 | 显示装置和驱动显示面板的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5720A KR20140120085A (ko) | 2013-04-02 | 2013-04-02 |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0085A true KR20140120085A (ko) | 2014-10-13 |
Family
ID=5162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5720A Withdrawn KR20140120085A (ko) | 2013-04-02 | 2013-04-02 |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443467B2 (ko) |
KR (1) | KR20140120085A (ko) |
CN (1) | CN104103226A (ko) |
TW (1) | TW20144002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2403B1 (ko) * | 2013-12-31 | 2020-02-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 유기발광표시장치 |
KR102158826B1 (ko) * | 2014-02-25 | 2020-09-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KR102563781B1 (ko) * | 2016-11-23 | 2023-08-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KR102703220B1 (ko) * | 2018-08-01 | 2024-09-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US11756481B2 (en) * | 2020-09-08 | 2023-09-12 | Apple Inc. | Dynamic voltage tuning to mitigate visual artifacts on an electronic display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12340B2 (ja) * | 2001-01-15 | 2006-08-2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画像表示装置 |
JP4103500B2 (ja) * | 2002-08-26 | 2008-06-18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
US20080284679A1 (en) * | 2005-05-11 | 2008-11-20 | Pioneer Corporation | Active matrix type display device |
JP4773777B2 (ja) * | 2005-08-30 | 2011-09-14 |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
KR100757541B1 (ko) | 2005-11-08 | 2007-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상 처리방법 |
KR100804639B1 (ko) * | 2005-11-28 | 2008-02-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구동 방법 |
TWI419105B (zh) * | 2005-12-20 | 2013-12-11 | Thomson Licensing | 顯示面板之驅動方法 |
KR20080047922A (ko) | 2006-11-27 | 2008-05-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led패널의 디지털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
US8847939B2 (en) | 2007-03-08 | 2014-09-30 | Sharp Kabushiki Kaisha | Method of driving and a driver for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current driving element |
KR20080087355A (ko) * | 2007-03-26 | 2008-10-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발광 픽셀 및 상기 발광 픽셀의 구동 장치 |
KR101109850B1 (ko) * | 2007-09-03 | 2012-03-14 | 파나소닉 주식회사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462149B1 (ko) | 2008-05-22 | 2014-12-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센서, 이를 갖는 액정표시패널 및 터치센서의 센싱방법 |
KR101557126B1 (ko) | 2008-07-16 | 2015-10-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센서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
KR101329458B1 (ko) | 2008-10-07 | 2013-11-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KR101513521B1 (ko) | 2008-11-12 | 2015-04-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JP5933160B2 (ja) | 2008-12-04 | 2016-06-08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移動体 |
JP2011013420A (ja) * | 2009-07-01 | 2011-01-20 | Seiko Epson Corp |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
KR101534627B1 (ko) | 2009-10-27 | 2015-07-0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EP2492902B1 (en) * | 2009-11-19 | 2018-06-13 | Joled Inc. | Display panel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US20110234605A1 (en) * | 2010-03-26 | 2011-09-29 | Nathan James Smith | Display having split sub-pixels for multiple image display functions |
TWI421836B (zh) * | 2010-05-12 | 2014-01-01 | Au Optronics Corp | 顯示裝置及其顯示方法以及電流驅動元件的驅動電路 |
KR101862347B1 (ko) | 2011-02-01 | 2018-07-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세트 |
US8937632B2 (en) * | 2012-02-03 | 2015-01-20 | Ignis Innovation Inc. | Driving system for active-matrix displays |
-
2013
- 2013-04-02 KR KR1020130035720A patent/KR2014012008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3-09-20 US US14/033,122 patent/US944346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0-29 TW TW102139163A patent/TW201440024A/zh unknown
-
2014
- 2014-03-24 CN CN201410111776.0A patent/CN104103226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443467B2 (en) | 2016-09-13 |
CN104103226A (zh) | 2014-10-15 |
TW201440024A (zh) | 2014-10-16 |
US20140292826A1 (en) | 2014-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4852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1145028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CN112313732B (zh) | 显示设备 | |
US8446345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KR101957152B1 (ko) | 유기전계 발광소자 표시장치, 이의 구동회로 및 방법 | |
KR102238640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1346858B1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 |
KR101404547B1 (ko)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KR102700470B1 (ko) | 유기발광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 |
CN110796987B (zh) | 显示装置及使用其驱动显示面板的方法 | |
CN104269141B (zh) |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 |
US8810488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KR101978797B1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
JP2005031643A (ja) | 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 |
KR20140120085A (ko) | 표시 패널 구동부,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KR20190018804A (ko) | 게이트 구동회로를 이용한 표시패널 | |
US8456462B2 (en) | Display device | |
KR101768480B1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101666589B1 (ko)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 |
KR20230093997A (ko) | 표시패널과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 |
US9830860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KR20190078794A (ko) | Oled 발광 제어 레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oled 표시 장치 | |
KR20160070297A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