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14795A - Resin laminat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sin laminat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795A
KR20140114795A KR1020140031711A KR20140031711A KR20140114795A KR 20140114795 A KR20140114795 A KR 20140114795A KR 1020140031711 A KR1020140031711 A KR 1020140031711A KR 20140031711 A KR20140031711 A KR 20140031711A KR 20140114795 A KR20140114795 A KR 2014011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layer
meth
acrylate
hard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켄이치 키타무라
신이치 이와시타
메구미 사토
요시히사 고토
히로아키 야마다
나오타카 쿠마타
마사요시 이소자키
케이이치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795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높은 표면 경도를 갖고 있음과 아울러, 고투명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성형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함유하는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이루어지는 유리전이온도가 200℃ 이상인 적어도 1층 이상의 경질 수지층, 및 그 경질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실온의 탄성률과 150℃에서의 탄성률의 비가 1∼500인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로서, 경질 수지층이 단체에서의 인장 탄성률 2,000∼4,000㎫임과 아울러, 전광선투과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수지 적층체의 연필경도가 6H 이상이며, 열가소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와 경질 수지층의 두께의 비가 0.25 이상 10 이하인 수지 적층체이며, 또한 이 수지 적층체를 금형 안에 장전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성형하는 성형 방법이다.
A resin laminate having high surface hardness and high transparency and a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MEANS FOR SOLVING PROBLEMS] At least one hard resin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0 ° C or higher, which is obtained by curing a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 cage silsesquioxane structure, Wherein the hard resin layer has a tensile elastic modulus of 2,000 to 4,000 MPa in a single lay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has a tensile modulus of 2,000 to 4,000 MPa in a single layer.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has a ratio of a room temperature elastic modulus to a 150 < ,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s 90% or more, the pencil hardness of the resin laminate is 6H or more, the ratio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to the thickness of the hard resin layer is 0.25 or more and 10 or less, This is a molding method in which a thermoplastic resin is injection-molded by loading into a mold.

Description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성형 방법{RESIN LAMINAT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0001] Resin laminat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성형 가능한 하드 코팅 필름을 구비한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자동차, 항공기, 빌딩, 학교, 각 상점 등의 창유리나, 자동차, 항공기 등의 등기구 커버, 조명 커버 이외에,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형 전자기기 등의 하우징이나 각종 부품을 비롯해서 폭넓게 이용할 수 있고, 그중에서도 디스플레이면판에 적합하며, 투명 다층 시트의 상태를 갖는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laminate having a moldable hard coating film and a molding method using the resin lamin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laminate which can be widely used including a housing and various parts of a personal computer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o an illumination cover and is suitable for a display face plate among them and has a state of a transparent multilayer sheet and a molding method using the resin laminate.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전화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기판으로서,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면을 흠집이나 오염 등으로부터 지키기 위한 보호판 등으로서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수지는 광학 특성이 뛰어나고 또한 유리에 비하여 깨지기 어렵다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종래 유리가 사용되고 있었던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열가소성 수지는 유리에 비하여 표면 경도, 내마모성, 내찰상성이 떨어져 흠집이 나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For example, as a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or a mobile phone, or a protective plate for protecting a surfa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from scratches or contamination, etc.,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cryl, polycarbon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A laminate produced is used. These resins have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and are less likely to be broken than glass, and thus they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s where conventional glass has been used in recent years. However,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acryl, polycarbonate,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e drawbacks in that their surface hardness, abrasion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are lower than those of glass, and scratches easily occur.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수지 적층체의 표면 개질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예를 들면,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의 수지를 기재 표면에 코팅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이들 코팅이 실시된 수지 적층체에 있어서는 내마모성, 내찰상성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의 개선이 보이지만, 표면 경도에 관해서는 불충분하여 유리에 비해 연필경도 등의 표면 경도가 낮아 실용상 큰 문제가 있다.In order to overcome such drawbacks,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he resin laminate has been studied. For example, it has been widely practiced to coat thermosetting resin or ultraviolet curable resin on the substrate surface. The resin laminate to which these coatings have been applied exhibits some improvement in abrasion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However, the surface hardness is insufficient and the surface hardness such as pencil hardness is lower than that of glass.

투명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서 표면 경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코팅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팅층에 고경도의 필러를 혼입함으로써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유사한 방법으로서 하드 코팅의 막두께를 조금 두껍게 하고, 발생하는 응력을 완화하기 위해서 무기 및/또는 유기 가교 입자를 혼입하거나, 또는 그 입자의 표면에 관능기를 도입하여 하드 코팅층의 수지와 부분적으로 가교시키는, 소위 유기-무기 하이브리드의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참조). 또한, 하드 코팅층을 다층화하여 코팅 전체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보다 높은 표면 경도를 얻으려고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6 참조). As a coating technique for further improving the surface hardness of the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surface hardness by incorporating, for example, a filler of high hardness into the hard coat layer (see Patent Document 1, Patent Document 2, Patent 3). As a similar method, inorganic and / or organic crosslinked particles may be mixed in order to slightly increase the film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and relax the generated stress, or functional groups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to partially So-called organic-inorganic hybrid method of crosslinking is studied (see Patent Document 4 and Patent Document 5). Further, attempts have been made to obtain a higher surface hardness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coating by layering the hard coat layer (see Patent Document 6).

그러나, 이들 방법의 구체예로서 나타내어진 것은 기재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보다 원래 연필경도가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나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필름을 이용하여 연필경도를 4H부터 6H까지 달성해 그 효과를 실증하고는 있지만, 얇은 하드 코팅층만으로는 연필경도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단단한 하지층이나 무기 재료의 보조적 기능이 필수이다. 그 때문에, 이들 하지층이나 무기 재료는 투명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장치용으로서는 부적합하다.However, as a concrete example of these methods, the pencil hardness is achieved from 4H to 6H by using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r a cellulose triacetate film originally having a pencil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a polycarbonate resin as a substrate, and the effect is demonstrated , Since hard pencil hardness can not be achieved only with a thin hard coating layer, an auxiliary function of hard ground layer or inorganic material is essential. For this reason, these underlying layers and inorganic materials are factors that hinder transparency and are unsuitable for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또한, 연필경도가 낮은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하고, 2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올리고머, 다관능 모노머, 단관능 모노머를 함유하고, 특정한 관능기수를 가진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특정한 막두께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기재 상에 2층으로 형성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연필경도는 최대로 4H로 충분하지 않다(특허문헌 7 참조).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olycarbonate resin which is a resin having a low pencil hardness and a coating film comprising a bifunctional urethane acrylate, a polyfunctional oligomer, a polyfunctional monomer, a monofunctional monomer and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having a specific functional group number, Attempts have been made to form two layers on a polycarbonate resin substrate in thickness. However, the pencil hardness is 4H at the maximum, which is not sufficient (see Patent Document 7).

일본 특허공개 2002-10750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07503 일본 특허공개 2002-06052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060526 WO 2010/035764호 팸플릿WO 2010/035764 brochure 일본 특허공개 2000-112379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0-112379 일본 특허공개 2000-10388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03887 일본 특허공개 2000-05247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052472 일본 특허 제 4626463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626463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높은 표면 경도를 갖고 있음과 아울러 고투명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in laminate having high surface hardness and high transparency, and a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자들은 표면 경도가 뛰어나면서도 높은 투명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를 얻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소정의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과 소정의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비한 수지 적층체로 함으로써 이것들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investigations to obtain a resin laminate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while having excellent surface hardness. As a result, they have found that by forming a resin laminate having a light resin layer composed of a predetermined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and a predetermined thermoplastic resin layer,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즉, 본 발명은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함유하는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이루어지는 유리전이온도가 200℃ 이상인 적어도 1층 이상의 경질 수지층, 및 그 경질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실온의 탄성률(E1)과 150℃에서의 탄성률(E2)의 비(E1/E2)가 1∼500인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로서, 경질 수지층이 단체에서의 인장 탄성률 2,000∼4,000㎫임과 아울러 전광선투과율이 90% 이상이며, 또한 수지 적층체의 연필경도가 6H 이상이고, 열가소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t1)와 경질 수지층의 두께(t2)의 비(t1/t2)가 0.2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이다. 또한, 여기에서 「(메타)아크릴」이란 「메타크릴」과 「아크릴」의 양쪽의 의미를 갖고, 이하도 같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resin layer comprising at least one hard resin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0 ° C or higher, which is obtained by curing a three-dimensional crosslinked har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 cage silsesquioxane structure, (E 1 / E 2 ) of a room temperature elastic modulus (E 1 ) and a 150 ° C elastic modulus (E 2 ) of 1 to 500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ard resin layer as a resin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layer , And the hard resin layer has a tensile elastic modulus in a unit of 2,000 to 4,000 MPa and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90% or more, and the pencil hardness of the resin laminate is 6H or more and the total thickness (t 1 )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and the hard water the ratio (t 1 / t 2) of thickness (t 2) of the resin layer is a resin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0 or less than 0.25. Here, the term "(meth) acryl" has the meaning of both "methacryl" and "acrylic", and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여기에서, 적합하게는 상기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고형분 100g당 (메타)아크릴기 몰수가 0.6∼0.9인 것이 좋고, 또한 얻어진 경질 수지층의 두께가 5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좋다.Preferably, the number of moles of the (meth) acrylic group per 100 g of the solid res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above-mentioned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s 0.6 to 0.9, and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hard resin layer is 50 탆 or more and 250 탆 or less .

또한, 적합하게는 상기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이 접착층을 통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이 좋고, 이 접착층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점착성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광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핫멜트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또는, 상기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이 이접착층을 통해서 적층되도록 해도 좋다.Preferably, the hard resin lay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are laminated via an adhesive layer. 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is mad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photo-curing adhesive, a thermosetting adhesive, . Alternatively, the hard resin lay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may be laminat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또한, 상기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1)The multi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having the cage silsesquioxane structure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R1SiO3 /2)n(R2R3SiO2 /2)m(R4R5R6SiO1 /2)l (1) (R 1 SiO 3/2) n (R 2 R 3 SiO 2/2) m (R 4 R 5 R 6 SiO 1/2) l (1)

(식 중 R1∼R6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페닐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비닐기, 옥시란환을 갖는 기이며, 각각 동일한 기이어도 다른 기를 포함해도 되지만 식 중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기를 갖고, n, m, l은 평균값이고, n은 6∼14의 수이고, m은 0∼4의 수이고, l은 0∼4의 수이고 m≤l을 만족시킨다)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좋다.(Wherein R 1 to R 6 are alkyl groups having 1 to 6 carbon atoms, phenyl groups, (meth) acryl groups, (meth) acryloyloxyalkyl groups, vinyl groups and oxirane rings, And n is an integer of 6 to 14, m is a number of 0 to 4, l is a number of 0 to 4, m ≤ 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적층체를 열성형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부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의 성형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얻어진 소정 형상의 수지 적층체를 금형 내에 장전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경질 수지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와 열가소성 수지를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방법이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olding a resin lamin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laminate is thermoformed to give a predetermined shap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ing method characterized by integrating a resin laminate having a hard resin layer and a thermoplastic resin by integrating a resin laminate of a predetermined shape obtained by the above into a mold and injection molding the thermoplastic resin.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을 유지한 채 높은 표면 경도를 갖고, 또한 충격이나 굽힘에 대하여 충분한 내성을 갖는 수지 적층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이나 절삭, 펀칭 등의 가공성이 뛰어나, 디스플레이면판이나 디자인성이 뛰어난 하우징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resin laminate having high surface hardness while maintaining transparency and having sufficient resistance against impact or bending can be obtained, it is excellent in workability such as molding, cutting and punching, It can be used as an excellent housing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형태 발명의 수지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형태 발명의 수지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형태 발명의 수지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사출성형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성형 후의 수지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sin laminat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sin lamin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sin laminate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sin laminate after molding.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경질 수지층>&Lt; Hard resin layer >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있어서의 경질 수지층은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함유하는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고, 그 유리전이온도는 200℃ 이상이다. The hard resin layer in the resin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curing a three-dimensional crosslinked har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 cage silsesquioxane structure, and i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200 Lt; / RTI &gt;

이 중, 상기 경화성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mong them,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having the curable cage silsesquioxane structure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R1SiO3 /2)n(R2R3SiO2 /2)m(R4R5R6SiO1 /2)l (1) (R 1 SiO 3/2) n (R 2 R 3 SiO 2/2) m (R 4 R 5 R 6 SiO 1/2) l (1)

(식 중 R1∼R6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페닐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비닐기, 옥시란환을 갖는 기이고, 각각 동일한 기이어도 다른 기를 포함해도 되지만 식 중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기를 갖고, n, m, l은 평균값이며, n은 6∼14의 수이고, m은 0∼4의 수이고, l은 0∼4의 수이고 m≤l을 만족시킨다) (Wherein R 1 to R 6 are alkyl groups having 1 to 6 carbon atoms, a phenyl group, a (meth) acrylic group, a (meth) acryloyloxyalkyl group, a vinyl group and an oxirane ring, And n is an integer of 6 to 14, m is a number of 0 to 4, 1 is a number of 0 to 4, m &amp;le; l)

즉, 상기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는 케이지를 구성하는 규소원자 전체에 (메타)아크릴기를 갖는 유기 관능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로 이루어지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고, 분자량 분포 및 분자 구조가 제어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부의 관능기가 알킬기, 페닐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지장이 없고, 또한 완전하게 닫힌 다면체 구조가 아니라 일부가 개열한 구조이어도 된다. 일부가 개열한 구조인 경우 연결되는 실리콘쇄에 (메타)아크릴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That is, the multi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having the cage silsesquioxane structure can be produced by react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comprising an organic functional group having a (meth) acrylic group or a (meth) acryloyloxyalkyl group on the entire silicon atoms constituting the c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the molecular structure are controlled. However, a part of the functional groups may be substituted by an alkyl group, a phenyl group, etc., and the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part of the polyhedral structure is not completely closed. In the case of a partially cleaved structure, a (meth) acrylic group may be contained in a connected silicon chain.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질 수지층(1)의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은 분자 내에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Further,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of the hard resin layer (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meth) acrylate having two or more ethylenic unsaturated bonds in the molecule.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include bifunctional (meth) acrylates and trifunctional or more (meth) acrylates.

2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장쇄 지방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르산 변성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글리세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화 이소시아누레이트, 비스(아크릴옥시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 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S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인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bifunctional (meth) acrylate includ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hexanediol (meth) acrylate, long chain aliphatic di (meth) (Meth) acrylate, glycol di (meth) acrylate, hydroxypivalic acid neopentyl glycol di (meth) acrylate, stearic acid modified pentaerythritol di Acrylates such as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etram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but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cyclopentanyl di Di (meth) acrylate, polypropylene di (meth) acrylate, triglycer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modified trimethylol (Meth) acrylate, acrylate isocyanurate, bis (acryloxy neopentyl glycol) adipate, bisphenol A di (meth) acrylate, methacrylic acid di (Meth) acrylate, tetrabromobisphenol A di (meth) acrylate, bisphenol S di (meth) acrylate, butanediol di (meth) acrylate, phthalic acid di , Zinc di (meth) acrylate, and the like.

또한, 3관능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인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메타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모노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산 변성 디펜타에리스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having three or more functional groups includ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rimethylol ethane tri (meth) acrylate, glycerol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alkyl modified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phosphoric tri (meth) acrylate, tris (acryloxyethyl) isocyanurate, tris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trimethylol propane tetraacrylate, alkyl-modified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monohydroxypent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 (metha) (Meth) acrylate, urethane (meth) acrylate, ester tri (meth) acrylate, urethane hexa (meth) acrylate, alkyltrimethoxysilane, ) Acrylate, ester hexa (meth) acrylate, and the like.

또한,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그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Further,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having a cage silsesquioxane structur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1)은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 (메타)아크릴기의 몰수가 0.6∼0.9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 두께는 5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g당 (메타)아크릴기의 몰수가 0.6보다 적으면 충분한 연필경도가 얻어지지 않고, 0.9보다 많으면 유연성이 없어져 성형이 곤란해지고, 또한 내충격성이 저하하여 절삭, 펀칭 등의 기계적 가공이 곤란해진다. 또한, 두께가 50㎛미만에서는 충분한 연필경도가 얻어지지 않고, 두께가 250㎛를 초과하면 전광선투과율이 저하하여 디스플레이 등에 필요한 투명성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The hard resin layer (1) comprising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number of moles of (meth) acrylic groups per 100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of 0.6 to 0.9, The thickness is preferably 50 占 퐉 or more and 250 占 퐉 or less. If the number of moles of (meth) acrylic groups per 100 g is less than 0.6, sufficient pencil hardness can not be obtained. If the number of moles is more than 0.9, flexibility is lost and molding becomes difficult and the impact resistance is lowered and mechanical working such as cutting and punching becomes difficult.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50 탆, sufficient pencil hardness can not be obtained. If the thickness exceeds 250 탆,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s lowered and transparency necessary for display and the like can not be obtained.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 (메타)아크릴기의 몰수는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The number of moles of the (meth) acrylic group per 100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00g당 (메타)아크릴기의 몰수)=(100/분자량)×1분자 중의 (메타)아크릴기의 수 (Number of moles of (meth) acrylic group per 100 g) = (100 / molecular weight) x number of (meth) acrylic groups in one molecule

또한,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로서 복수종의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배합 비율에 따라서 산출한 평균 (메타)아크릴기수를 사용하고, 실리카 등의 충전제를 배합했을 경우에는 그 중량도 포함한 후에 (메타)아크릴기의 몰수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즉,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중에 존재하는 (메타)아크릴기의 단위질량당 몰 농도(몰/100g)에 상당한다.When a plurality of poly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s are used as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the average (meth) acrylic group number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ompounding ratio is used, and when a filler such as silica is blended, The average value of the number of moles of the (meth) acrylic group is calculated. (Mol / 100 g) per unit mass of the (meth) acrylic group present in the solid content of the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경질 수지층을 형성하는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1)은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g당 (메타)아크릴기의 몰수가 0.6∼0.9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단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조합할 수 있다. 단,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일정량 이상 배합하면 표면 경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되기 때문에 점도 조정 등의 목적으로 배합할 경우도 최저한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ard resin layer (1) composed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forming the hard resin layer is formed in such a range that the number of moles of the (meth) acrylic group per 100 g of the solid content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does not deviate from the range of 0.6 to 0.9 May be combined with a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However, since the surface hardness tends to decrease when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is blended in a certain amount or more,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blending amount for the purpose of viscosity adjustment to a minimum, and the three- By weight or less.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운데실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노나데실아크릴레이트, 에이코데실아크릴레이트, n-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크릴레이트류,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모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알킬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4-히드록시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모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상기 수산기 함유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에 ε-카프로락톤 등의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을 부가시킨 것,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화합물과 아크릴산의 부가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2-에틸-2-메틸-1,3-디옥소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2-이소부틸-2-메틸-1,3디옥소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includ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sec-butyl acrylate, t-butyl acrylate, pentyl acrylate, neopentyl acrylate Acrylate, isobutyl acrylate, isoamyl acrylate, hexyl acrylate, heptyl acrylate, oc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n-oct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nonyl acrylate, isononyl acrylate, decyl acrylate, Acrylate, isodecyl acrylate, undecyl acrylate, dodecyl acrylate, tridecyl acrylate, tetradecyl acrylate, pentadecyl acrylate, isomyristyl acrylate, hexadecyl acrylate, heptadecyl acrylate, octadecyl acrylate , Nonadecyl acrylate, eicodecyl acrylate, n-lauryl acrylate, Alkyl acrylates such as acryloylmorpholine, cyclohexyl acrylate, dicyclopentenyl acrylate, dicyclopentenyloxyethyl acrylate, dicyclopentanyl acrylate, phenyl acrylate, benzyl acrylate Hydroxypropyl acrylate, 1,4-butanediol mono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2- Hydroxypropyl acrylate, hydroxyalkyl acryloyl phosphate, 4-hydroxycyclohexyl acrylate, 1,6-hexanediol monoacrylate, neopentyl glycol monoacrylate, cyclic ester such as ε-caprolactone A glycidyl group-containing compound such as alkyl glycidyl ether, allyl glycidyl ether, and glycidyl acrylate; (2-ethyl-2-methyl-1, 3-di (meth) acrylate, a compound obtained by the addition reaction of acrylic acid and acrylic acid, polyethylene glycol mono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monoacrylate, tetrahydrofurfur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2-isobutyl-2-methyl-1,3-dioxolan-4-yl) methyl acrylate, and the like.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를 자동차나 항공기의 창유리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면, 직사광선에 의해 표면이 고온이 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형 전자기기 등의 하우징용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기기 내부에서 열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경질 수지층은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열성이 필요해지고, 유리전이온도가 200℃ 이상일 필요가 있다. 또한,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유기물의 분해가 일어나는 점 등에서 경질 수지층의 유리전이온도의 상한은 450℃이다. Assuming that the resin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window glass for an automobile or an airplane, the surface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by direct sunlight. In addition, when used as a housing for a personal computer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eat is generated inside the device. Therefore, the hard resin layer needs to have heat resistance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heat,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needs to be 200 ° C or high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organic material is contained,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ard resin layer at 450 deg.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질 수지층의 단체에서의 인장 탄성률이 2,000∼4,000㎫이다. 인장 탄성률이 2,000㎫ 미만이면 수지 적층체의 연필경도가 6H 미만이 되고, 4,000㎫을 초과하면 성형이나 절삭, 펀칭 등의 가공성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경질 수지층은 디스플레이면판에 적합하기 때문에 그 전광선투과율은 90% 이상일 필요가 있다.The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light-hard resin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2,000 to 4,000 MPa. When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s less than 2,000 MPa, the pencil hardness of the resin laminate is less than 6H, and when it is more than 4,000 MPa, there is a problem that workability such as molding, cutting and punching becomes difficult. In addition, since the hard resin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 display face plate, its total light transmittance must be 90% or mor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은 이것을 라디칼 공중합함으로써 (메타)아크릴 수지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메타)아크릴 수지 공중합체의 물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또는 라디칼 공중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등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에 다양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반응을 촉진하는 첨가제로서 열중합 개시제, 열중합 촉진제, 광중합 개시제, 광개시 조제, 예감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또는 열중합 개시제를 배합할 경우, 그 첨가량은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고, 0.1∼3중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첨가량이 0.1중량부에 미치지 않으면 경화가 불충분해지고, 얻어지는 경질 수지층의 강도, 강성이 낮아지며, 한편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질 수지층의 착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합계 100중량부에는 실리카 등의 충전제는 포함되지 않는다. The (meth) acrylic resin copolymer can be obtained by radical copolymeriz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additives may be added to the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th) acrylic resin copolymer or promoting radical copolymerization. As an additive for accelerating the reaction,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thermal polymerization promote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initiator, and a photosensitizer may be exemplified. When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incorporated, the addition amount thereof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 If the addition amou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curing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obtained hard resin layer are lowered.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oblems such as coloring of the hard resin layer occur. Incidentally, the filler such as silica is not included in the total amoun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광경화성 조성물로 할 경우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인계, 벤조페논계, 티옥산톤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등의 화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페닐글리옥실산 메틸에스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1.2-옥탄디온,1-[4-페닐티오)-,2-(O-벤조일옥심)], 에탄온,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1-(0-아세틸옥심),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온,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벤조페논,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옥산톤을 예시할 수 있고,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when the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s used as the photocurable composition, compounds such as acetophenone, benzoin, benzophenone, thioxanthone, and acylphosphine oxide can be suitably used. More specifically, there can be mentioned 2,2-dimethoxy-1,2-diphenylethan-1-one,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 -1-one, 2-hydroxy-1- [4- [2-hydroxy- Methyl-propan-1-one, phenylglyoxylic acid methyl ester, 2,4,6-trimethylbenzoyl-diphenyl- (4-phenylthio) -, 2- (O-benzoyloxime)], ethanone, 1 - [9-ethyl-6- (2-methylbenzoyl) -9H-carbazol-3-yl] -, 1- (0-acetyloxim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2 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e-1-one, 1 -hydroxy-cyclohexyl- -Morpholinophenyl) -butan-1-one, bis-2,6-dimethoxybenzoyl-2,4,4-trimethylpentylphosphine oxide , Benzophenone, 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4-diethylthioxanthone, isopropylthioxanthone, and 1-chloro-4-propoxythioxanthone, In addition to being used alone,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배합해서 가열 또는 광조사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평면이나 곡면 등 임의의 형상으로 경질 수지층을 제조할 수 있다. 가열에 의해 임의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제조할 경우, 그 성형 온도는 열중합 개시제와 촉진제의 선택에 따라 실온으로부터 200℃ 전후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안이나 스틸벨트 상에서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얻을 수 있다.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ed hard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blending a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curing the composition by heating or light irradiation to produce a hard resin layer in an arbitrary shape such as a plane or a curved surface. When a hard resin layer having an arbitrary shape is produced by heating, the molding temperature may be selected within a wide range from room temperature to around 200 ° C depending on the choice of the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accelerator. In this case, a hard resin layer having a desired shape can be obtained by polymerization-curing in a mold or on a steel belt.

또한, 광조사에 의해 경질 수지층을 제조할 경우 파장 10∼400㎚의 자외선이나 파장 400∼700㎚의 가시광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사용하는 광의 파장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파장 200∼400㎚의 근자외선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자외선 발생원으로서 사용되는 램프로서는 저압수은램프(출력: 0.4∼4W/㎝), 고압수은램프(40∼160W/㎝), 초고압수은램프(173∼435W/㎝), 메탈할라이드램프(80∼160W/㎝), 펄스크세논램프(80∼120W/㎝), 무전극방전램프(80∼120W/㎝)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자외선 램프는 각각 그 분광 분포에 특징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광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선정된다.When a hard resin layer is produced by light irradiation, it can be obtain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10 to 400 nm or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400 to 700 nm. The wavelength of light to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near-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of 200 to 400 nm are suitably used. Mercury lamps (output: 0.4 to 4 W / cm), high pressure mercury lamps (40 to 160 W / cm),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s (173 to 435 W / cm), metal halide lamps (80 to 160 W / Cm), a pulse xenon lamp (80 to 120 W / cm), and a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80 to 120 W / cm). Since these ultraviolet lamps are characterized by their spectral distribution, they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hotoinitiator used.

광조사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임의의 캐비티 형상을 갖고, 석영유리 등의 투명 소재로 구성된 금형 내에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해서 중합 경화를 행하고, 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킴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성형체(경질 수지층)를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금형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동하는 스틸벨트 상에 닥터 블레이드나 롤 형상의 코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자외선 램프에 의해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시트 형상의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As a method of obtaining a hard resin layer having an arbitrary shap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light irradiation, a three-dimensional crosslinking type hard resin composition is injected into a mold having an arbitrary cavity shape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quartz glass , A method of producing a molded article (hard resin layer) having a desired shap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by the ultraviolet lamp to perform polymerization curing and demolding from a mold. When the mold is not used,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ated on a moving steel belt using a doctor blade or a roll-shaped coater, and polymerization curing is performed by the ultraviolet lamp,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article.

또한, 이렇게 자외선 조사법에 의해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킬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 반응은 라디칼 반응이기 때문에 산소에 의한 반응 저해를 받는다. 그 때문에,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경화 반응에 있어서의 산소에 의한 반응 저해를 억제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그 표면을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커버층으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렇게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표면을 커버층으로 덮음으로써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표면에 있어서의 산소 농도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산소 농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표면에 공공이 없고, 산소 투과율이 작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BT(폴리부틸렌프탈레이트), PC(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불화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레이트, 셀로판, 폴리에테르술폰, 노르보넨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이들 플라스틱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s cured by the ultraviolet ray irradiation method, since the ultraviolet curing reaction is a radical reaction, the reaction is inhibited by oxygen.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inhibiting reaction inhibition by oxygen in the curing rea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coat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with a cover layer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film .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s covered with a cover layer, so that the oxygen concentration on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1% or less, more preferably 0.1% or less. In order to reduce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o adopt a transparent plastic film having no voids on the surface and having a low oxygen permeability. Examples of the material of such a film includ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PBT (polybutylene phthalate), PC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olyethylene, acetate resin, acrylic resin, vinyl fluoride Based resins, polyamides, polyarylates, cellophane, polyethersulfone, and norbornene-based resins. These plastics can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 및 열가소성 수지층과의 박리가 가능해야만 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도포, 불소 도포 등의 이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plastic film must be able to peel off from the hard resin lay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made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plastic film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peeling treatment such as silicone coating or fluorine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plastic film desirable.

또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보호 시트(6)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보호 시트(6)로서 사용할 경우, 내열성, 투명성, 내후성, 내용제성, 강도,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lastic film can be used as the protective sheet 6. When used as the protective sheet 6,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r a polycarbonate film from the viewpoints of heat resistance,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solvent resistance, strength and cost.

<열가소성 수지층><Thermoplastic resin layer>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층[3(3b)]으로서는 투명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염화비닐(PVC),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노르보넨 함유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셀로판,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각종 수지 필름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내열성, 투명성, 내후성, 내용제성, 경도, 성형성, 강도,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필름은 무연신인 것도, 연신 가공을 실시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3b)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is preferably a thermoplastic resin layer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riacetylcellulose (TAC),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methylmethacrylate (PMMA ), Polycarbonate (PC), polyimide (PI),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vinyl alcohol (PVA), polyvinyl chloride (PVC), cycloolefin copolymer Various resin films such as a resin, a polyether sulfone, a cellophane and an aromatic polyamide can be suitably used. From the viewpoints of heat resistance,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solvent resistance, hardness, moldability, strength and cost, polyethylene terephthalate, It is preferable to use acrylate or polycarbonate. These films may be unrefrigerated or stretch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실온의 탄성률(E1)과 150℃에서의 탄성률(E2)의 비(E1/E2)는 1∼500의 범위이다. 150℃란 후술의 성형시의 금형 또는 사출성형 수지의 표준의 온도를 상정하고 있고, 이 온도에서의 탄성률보다 실온에서의 탄성률 쪽이 높으면 경질 수지층에 의한 스프링백에 의해 성형했을 때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실온의 탄성률과 150℃에서의 탄성률의 비가 클수록 성형 온도에서의 성형이 쉽고, 실온에서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탄성률비가 500을 초과하면 수지 적층체의 연필경도가 6H 미만이 되는 점이나 열성형시의 형상의 제어가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성률비의 측정에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실온으로부터 230℃까지 5℃/min의 승온 속도로 동적 점탄성 측정하여 실온 및 150℃ 저장탄성률(E')의 비를 구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실온이란 대략 23∼27℃의 온도를 말하고, 탄성률 측정에 있어서는 25℃를 기준으로 했다. The ratio (E 1 / E 2 )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E 1 ) at room temperature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dulus of elasticity (E 2 ) at 150 ° C is in the range of 1 to 500. 150 DEG C is a standard temperature of a mold or an injection-molding resin at the time of mold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elastic modulus at room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elastic modulus at this temperature, the shape when molded by springback by the light- It can not be maintained. Therefore, the larger the ratio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at room temperature to the modulus of elasticity at 150 deg. C, the more easily molding at a molding temperature, and the shape can be easily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However, when the modulus of elasticity exceeds 500, the pencil hardness of the resin laminate becomes less than 6H,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hape at the time of thermoforming. For the measurement of the modulus of elasticity,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was subjected to dynamic viscoelastic measurement from room temperature to 230 deg. C at a heating rate of 5 deg. C / min to obtain a ratio of room temperature and a storage elastic modulus (E ') at 150 deg. The room temperatur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23 to 27 占 폚 and 25 占 폚 for the measurement of elastic modulu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와 경질 수지층의 두께의 비(열가소성 수지층/경질 수지층)는 0.25 이상 10 이하이다. 두께의 비가 0.25 미만이면 성형이나 절삭, 펀칭 등의 가공성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고, 10을 초과하면 연필경도가 6H 미만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의 두께(복수층의 경우에는 그 합계)에 대해서는 30㎛∼1000㎛인 것이 좋다. 30㎛ 미만이면 사출성형에서 경질 수지층에 깨짐이 발생하거나 금이 간다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1000㎛를 초과하면 연필경도가 6H 미만이 되는 것이나 가공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The ratio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to the thickness of the hard resin layer (thermoplastic resin layer / light-hard resin lay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0.25 or more and 10 or less. If the thickness ratio is less than 0.25, there is a problem that workability such as molding, cutting and punching becomes difficult. When it exceeds 10, there is a problem that pencil hardness becomes less than 6H.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total) is 30 占 퐉 to 1000 占 퐉. If it is less than 30 mu 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ard resin layer cracks or cracks in injection mold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1000 mu m, the pencil hardness becomes less than 6H, and processing becomes difficult.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적층체의 경질 수지층(1)과 열가소성 수지층(3)은 필름 형상, 시트 형상 중 어느 하나의 바인더층(2)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이 바인더층(2)으로서는 그 두께가 0.01∼30㎛, 바람직하게는 0.1∼10㎛인 것이 좋다. 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접착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고, 30㎛ 이상에서는 수지 적층체의 연필경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여기에 있어서의 바인더층(2)은 하기 접착층 또는 이접착층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The hard resin layer (1)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of the resin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minated by any one of a film form and a sheet form. The thickness of the binder layer 2 is preferably 0.01 to 3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0.1 to 10 占 퐉.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0.01 탆,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adhesive effect, and when the thickness is 30 탆 or more, the pencil hardness of the resin laminate can not be sufficiently obtained. The binder layer 2 here may be either of the following adhesive layer or the adhesive layer.

<접착층><Adhesive Layer>

바인더층(2)을 구성하는 것으로서는 점착성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광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층을 들 수 있고, 이러한 것으로서 아크릴 접착제, 우레탄 접착제, 에폭시 접착제,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 접착제, 폴리올레핀 접착제, 변성 폴리올레핀 접착제, 폴리비닐알킬에테르 접착제, 고무 접착제,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공중합체) 접착제, 그 수소 첨가물(SEBS 공중합체)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접착제, 에틸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접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접착성, 투명성, 가공성이 양호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binder layer 2 include an adhesive layer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photo-curable adhesive, a thermosetting adhesive and a hot-melt adhesive. Examples of the adhesive layer include an acrylic adhesive, a urethane adhesive, Vinyl alcohol adhesive, polyolefin adhesive, modified polyolefin adhesive, polyvinyl alkyl ether adhesive, rubber adhesive, vinyl chloride-vinyl acetate adhesive, styrene-butadiene styrene copolymer (SBS copolymer) adhesive, hydrogenated product (SEBS copolymer) ,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ethylene-styrene copolymer, ethylene-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methyl acrylate copolymer, ethylene-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 Acrylic acid ester adhesives and the like When adhesion, transparency and the good processabilit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접착층> &Lt; Adhesive layer &

또한, 바인더층(2)을 구성하는 다른 것으로서는 이접착층을 들 수 있다. 이접착층은 난접착성인 수지층의 표면에 화학적 이접착능 또는 물리적 이접착능을 부여하는 처리를 한 층이다. 화학적 이접착능이란 기재층 상에 관능기를 갖는 수지의 박막층을 형성하고, 경질 수지층과 화학적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밀착력을 얻는 것이고, 물리적 이접착능이란 기재 상에 요철을 갖는 수지 박막층 또는 무기 박막층을 형성함으로써 앵커 효과에 의해 경질 수지층과의 밀착력을 얻는 것이다. 화학적 이접착능을 갖는 재료로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류, 에폭시류, 티올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물리적 이접착능을 갖는 재료로서는 SiO2, SiN, SiC 등의 증착막 등을 들 수 있다. Another constituent of the binder layer 2 is th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is a layer on which chemical bonding ability or physical adhesion ability is imparted to the surface of the resin layer which is an adhesive layer. The chemical bonding capability is to form a thin film layer of a resin having a functional group on a base layer and to form a chemical bond with a hard resin layer to obtain adhesion. Physical adhesion is a function of a resin thin film layer or an inorganic thin film layer Thereby obtaining the adhesion with the hard resin layer by the anchor effect. Is as the material chemical having a bonding function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acids, epoxy, thiol group containing compounds and the like may be mentioned, as the material physical having a bonding function SiO 2, SiN, vapor-deposited film of SiC, or the like, etc. .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적층체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제 1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수지 적층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층(3)의 양면에 바인더층(2)을 통해서 상하 양면에 경질 수지층(1)을 형성하고, 또한 한쪽의 경질 수지층(1)의 하면에는 인쇄층(4)을 구비한 구조를 갖고, 이것들의 표리의 최표면에는 보호 시트(6)를 형성한 것이다. 이 중, 각 바인더층(2)은 경질 수지층(1)과 열가소성 수지층(3)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접착층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Fig. 1 shows a first embodiment as an embodiment of the resin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 hard resin layer 1 is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thermoplastic resin layer 3 via a binder layer 2, and a hard resin layer 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And a protective layer 6 is formed on the outermost surfaces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Each of the binder layers 2 functions as an adhesive layer for integrating the hard resin layer 1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together.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적층체의 하면에 인쇄층(4)을 형성함으로써 모양, 문자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인쇄층(4)의 인쇄 무늬로서는 나무결, 돌결, 옷감의 결, 모랫발, 기하학 모양, 문자, 전체면 인쇄, 메탈릭 등의 도안을 들 수 있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rint layer 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sin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shapes, characters and the like can be formed. Examples of the print pattern of the print layer 4 include patterns of wood grain, discoloration, texture of a cloth, a flat pattern, a geometric pattern, a character, an entire surface print, and a metallic pattern.

인쇄층(4)에는 경질 수지층이나 열가소성 수지층과의 상생이 좋은 수지 성분이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알키드 수지,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인쇄의 박리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4)의 형성 시에 적절한 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함유하는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The print layer 4 is preferably blended with a resin component having good compatibility with the hard resin layer or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For example, a polyvinyl resin such as a vinyl chloride / vinyl acetate copolymer, a polyamide resin , A polyester resin, an acrylic resin, a polyurethane resin, a polyvinyl acetal resin, a polyester urethane resin, a cellulose ester resin, an alkyd resin and a chlorinated polyolefin resin. By blending these resin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eeling or separation of printing. Further, at the time of forming the print layer 4, a colorant containing a pigment or a dye of an appropriate color can be used.

인쇄층(4)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어 윤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등의 인쇄법, 롤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등의 코팅법 및 플렉소 인쇄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쇄층(4)의 두께로서는 본 적층 시트, 본 필름 적층 성형품 또는 본 적층 시트 적층 성형품에 있어서 원하는 표면 외관이 얻어지도록 적당하게 두께를 선택하면 되고, 통상 0.5∼3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ethod for forming the print layer 4 include a coating method such as a printing method such as an offset printing method, a gravure rotary printing method and a screen prin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etc., and a flexo printing method . The thickness of the printed layer 4 is suitably selected so that a desired surface appearance can be obtained in the present laminated sheet, main laminated film product or laminated sheet laminated molded product, and is preferably about 0.5 to 30 탆 .

본 발명의 수지 적층체에 대해서는 제 2, 제 3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2, 도 3에 나타내는 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As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resin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2 and 3 can be exemplified.

이 중,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층(3)의 상면에 인쇄층(4)을 형성하고, 그 인쇄층(4)측 상부와 인쇄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각각 감압성 접착제층(5)을 끼우고, 인쇄층(4)측에 경질 수지층(1)을, 또한 인쇄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열가소성 수지층(3b)를 형성하고, 그 양면에 보호 시트(6)를 형성하고 있다.2, the print layer 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and the upper side of the print layer 4 and the print layer 4 are formed And a thermoplastic resin layer 3b i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print layer 4 is not formed, and a thermosetting resin layer 3b i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print layer 4 is not formed. And a protective sheet 6 is formed on both surfaces thereof.

이 도 2에 있어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3)로서는 투명성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가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3)가 PMMA이면 PC에 비해 열가소성 수지가 두꺼운 경우에 경질 수지층이 하한값에 가까운 두께라도 높은 연필경도로 할 수 있다.In Fig. 2, the thermoplastic resin (3) to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transparent, but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is preferable.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3 is PMMA, when the thermoplastic resin is thicker than PC, the hard pencil hardness can be made even if the hard resin layer has a thickness close to the lower limit value.

한편,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3)의 상면에 바인더(2)를 끼워 경질 수지층(1)을 형성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3)의 하면에 인쇄층(4)을 형성하고, 인쇄층(4)이 형성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층(3) 하면에는 바인더층(2) 또는 감압성 접착제층(5)을 통해서 열가소성 수지(3b)를 형성하고, 그 양면에 보호 시트(6)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지 적층체는 예를 들면 보다 곡률반경(r)이 작은 형상의 가공에 적합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hard resin layer 1 is formed by sandwiching the binder 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3 and the printed lay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on which the printing layer 4 is formed is formed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3b through the binder layer 2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 And a protective sheet 6 is formed. The resin lamin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suitable for machining a shape having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r, for example.

도 2 및 도 3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한 감압성 접착제층(5)은 공지의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천연고무계 수지, 합성 고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 비닐계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필요한 광투과성, 점착성, 내후성을 얻을 수 있으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층 구성에 따라서는 색소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자외선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는 UV 흡수제(벤조트리아졸 등)를 점착제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used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 used in the embodiment of Figs. Specifically,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ch as a natural rubber resin, a synthetic rubber resin, a silicone resin, an acrylic resin, a vinyl acetate resin, or a urethane resin can be used. These adhesives are not limited to these as long as they can obtain necessary light transmittance, tackiness and weather resistance. Further, depending on the layer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UV absorber (benzotriazole, etc.) having an effect of absorbing ultraviolet ray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dye.

감압성 접착제층(5)로서는 그 평균 두께가 0.01∼30㎛, 바람직하게는 0.1∼10㎛인 것이 좋다. 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인쇄층의 요철을 흡수해서 평탄화하는 효과도 저하한다. 또한, 30㎛ 이상에서는 적층체의 연필경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 preferably has an average thickness of 0.01 to 30 탆, preferably 0.1 to 10 탆.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0.01 탆, sufficient adhesive strength can not be obtained, and the effect of flattening the irregularities of the printed layer is lowered. Further, when the thickness is 30 m or more, the pencil hardness of the laminate can not be sufficiently obtained.

본 발명의 실시형태 도 2, 3에 있어서는 수지 적층체의 상태에서 열성형에 의해 삼차원적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도 2, 3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층(3) 및 열가소성 수지층(3b)은 열에 의해 성형 가능하고, 경질 수지층(1)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열가소성 수지층의 형상에 추종해서 바인더층(2)을 통해서 일체 성형품으로 할 수 있다. 열성형으로서는 진공 성형, 압공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을 들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s. 2 and 3, a three-dimensional shape can be imparted by thermoforming in the state of the resin laminate.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b in Figs. 2 and 3 can be formed by heat, and since the hard resin layer 1 has sufficient flexibility,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and the binder layer 2). Examples of thermoforming include vacuum molding, pressure molding, and press mol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도 2에 나타내는 수지 적층체와 같은 층구성의 경우, 미리 따로따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A파트, B파트를 이용하여 감압성 접착제층(5)을 통해서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보호 시트(6), 경질 수지층(1), 감압성 접착제층(5), 인쇄층(4), 및 열가소성 수지층(3)을 구비한 A파트와, 열가소성 수지층(3b) 및 보호 시트(6)로 이루어지는 B파트를 감압성 접착제층(5)을 통해서 접합해서 얻을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resin laminate shown in Fig. 2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 part and the B part formed in advance into a predetermined shape are preliminarily bonded vi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 It is also good. That is, the A part having the protective sheet 6, the hard resin layer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 the print layer 4,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b, And bonding the B part composed of the protective sheet 6 thr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도 3에 나타내는 수지 적층체에 대해서는 원하는 형상의 금형 안에 C파트{보호 시트(6), 경질 수지층(1), 바인더층(2), 열가소성 수지층(3), 인쇄층(4), 및 바인더층(2)[또는 감압성 접착제층(5)]}를 장전한 후, 열가소성 수지층(3b)을 사출성형에 의해 주입하고, 또한 보호 시트(6)를 설치해서 B파트[열가소성 수지층(3b) 및 보호 시트(6)]를 형성해도 좋다.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sin laminate shown in Fig. 3, a C part (a protective sheet 6, a hard resin layer 1, a binder layer 2, a thermoplastic resin layer 3,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3b is injected by injection molding and then the protective sheet 6 is set up so that the protective sheet 6 is set So that the B part (thermoplastic resin layer 3b and protective sheet 6) may be formed.

또한, 실시형태 도 1∼3에는 각각 인쇄층(4)이 형성되어 있지만, 인쇄층(4)은 생략할 수도 있고, 또한 적층체 제조 프로세스에 맞춰서 임의의 층 사이에 임의의 인쇄 방법으로 형성하면 된다.Although the printing layer 4 is formed in each of Embodiments 1 to 3, the printing layer 4 may be omitted, or may be formed by an arbitrary printing method between arbitrary layers in accordance with the laminate manufacturing process do.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열성형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한 수지 적층체를 금형 내에 장전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사출성형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염화비닐(PVC),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노르보넨 함유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셀로판,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각종 수지 필름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내열성, 투명성, 내후성, 내용제성, 강도, 비용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충격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sin laminate that has been thermoform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as required can be loaded into a mold, and the thermoplastic resin can be integrated with the thermoplastic resin by injection molding. The thermoplastic resin to be injection molded is preferably one having transparency. The thermoplastic resin to be injection-molded is preferably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riacetylcellulose (TAC),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carbonate Polyolefins such as polyimide (PI),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vinyl alcohol (PVA), polyvinyl chloride (PVC), cycloolefin copolymer (COC), norbornene- Aromatic polyamide and the like can be suitably used. From the viewpoints of heat resistance,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solvent resistance, strength and cost, it is preferable to u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thyl methacrylate or polycarbonate, From the viewpoint of impact resistance, polycarbon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평가 방법 및 기호는 이하와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evaluation method and symbo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1) 연필경도: JIS K 5600에 준해서 측정했다.1) Pencil hardnes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5600.

2) 전광선투과율: JIS K 7361-1에 준해서 측정했다.2) Total light transmittance: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361-1.

3) 막두께: (주)미쯔토요제 ID-SX를 이용하여 측정했다.3) Film thickness: Measured using ID-SX manufactured by Mitsutoyo Co., Ltd.

4) 인장 탄성률: JIS K 7127에 준해서 측정했다.4) Tensile modulu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127.

5) 가공성: 루터 가공기(메가로테크니카사제)에 루터날[우치야마하모노제, 날지름 2㎜, 직인(直刃)]을 장착하고, 실시예에서 얻어진 수지 적층체를 회전수 20,000rpm, 이송 속도 900㎜/분의 가공 조건으로 절삭 가공을 행하고, 절단면의 현미경 관찰을 행해 절단면에 파손(치핑)이 관찰된 것을 ×, 관찰되지 않은 것을 ○로 했다. 5) Processability: A lutheran blade (Uchiyama Hamano, blade diameter 2 mm, straight blade) was attached to a luther machine (manufactured by Megaro Teknica), and the resin laminate obtained in the example was rotated at a rotation speed of 20,000 rpm, Cutting was performed at a processing condition of 900 mm / min. Microscopic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cut surface, and it was found that the fracture (chipping) was observed on the cut surface and the case where it was not observed.

6) 성형성: 하기 진공압공성형, 또는 사출성형 실시 후에 얻어진 성형체를 관찰하여 깨짐, 금, 파단, 백화 중 어느 하나가 보인 것을 ×, 양호한 상태이었던 것을 ○로 했다. 6) Moldability: The molded article obtained after the execution of the following vacuum pneumatic coin molding or injection molding was observed to find that any one of crack, gold, fracture and whitening was observed.

[합성예 1][Synthesis Example 1]

교반기, 적하 깔때기, 온도계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용매로서 2-프로판올(IPA) 400㎖와 염기성 촉매로서 5%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수용액(TMAH 수용액)을 투입했다. 적하 깔때기에 IPA 150㎖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MTMS: 토레이다우코닝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제 SZ-6030) 126.9g을 넣고, 반응 용기를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MTMS의 IPA 용액을 30분 걸쳐서 적하했다. MTMS 적하 종료 후, 가열하지 않고 2시간 교반했다. 2시간 교반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톨루엔 500㎖로 용해했다. 반응 용액을 포화식염수로 중성이 될 때까지 수세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탈수했다.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고, 농축함으로써 메타크릴로일기를 모든 규소원자 상에 갖는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화합물을 86g 얻었다. 이 실세스퀴옥산은 다양한 유기 용제에 가용인 무색의 점성 액체이었다.400 ml of 2-propanol (IPA) as a solvent and 5% aqueous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solution (TMAH aqueous solution) as a basic catalyst were added 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er, a dropping funnel and a thermometer. 150 ml of IPA and 126.9 g of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MTMS: SZ-6030, manufactured by Toray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were placed in a dropping funnel, and 30 ml of an IPA solution of MTMS Min. After completion of dropwise addition of MTMS, the mixture was stirred for 2 hours without heating. After stirring for 2 hours, the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dissolved in 500 ml of toluene. The reaction solution was washed with saturated brine until it became neutral, and dehydrated with anhydrous magnesium sulfate. The anhydrous magnesium sulfate was filtered and concentrated to obtain 86 g of a cage silsesquioxane compound having a methacryloyl group on all silicon atoms. The silsesquioxane was a colorless viscous liquid soluble in various organic solvents.

[실시예 1][Example 1]

(경질 수지층의 제작) (Preparation of hard resin layer)

상기 합성예에서 얻은 메타크릴로일기를 모든 규소원자 상에 갖는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화합물: 23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39중량부, 디시클로펜타닐디아크릴레이트: 32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1: 6중량부, 광중합 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5중량부를 혼합하여 투명한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식을 이용하여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고형분 100g당 (메타)아크릴기 몰수를 구한 결과, 0.76이었다. 표 1에는 이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23 parts by weight of a cage silsesquioxane compound having the methacryloyl group obtained in the above Synthesis Example on all silicon atoms, 39 parts by weight of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32 parts by weight of dicyclopentanyl diacrylate, 6 parts by weight of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2.5 parts by weight of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mixed to obtain a transparent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The number of moles of (meth) acrylic group per 100 g of the resin solid content contained in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was determined to be 0.76 for the resulting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formula. Table 1 shows the composi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ed hard resin composi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또한, 표 1 중의 약호는 다음과 같다.The abbreviations in Table 1 are as follows.

A: 합성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A: The compound obtained in Synthesis Example 1

B: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니폰카야쿠(주)제 KAYARAD DPHA]B: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KAYARAD DPHA,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C: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교에이샤카가쿠(주)제 라이트 에스테르 TMP]C: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Wright Ester TMP manufactured by Kyoeisha Kagaku Co., Ltd.)

D: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카가쿠(주)제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PE-3A]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Light Acrylate PE-3A manufactured by Kyoeisha Chemical Co., Ltd.)

E: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1[니폰카야쿠(주)제 KAYARAD DPCA-20]E: caprolactone-modified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1 [KAYARAD DPCA-20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F: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2[니폰카야쿠(주)제 KAYARAD DPCA-30)F: caprolactone-modified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2 (KAYARAD DPCA-30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G: 디시클로펜타닐디아크릴레이트(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카가쿠(주)제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DCP-A)G: dicyclopentanyl diacrylate (dimethyloltricyclodecane diacrylate) (Light Acrylate DCP-A manufactured by Kyowa Chemical Co., Ltd.)

H: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카가쿠(주)제 NK 에스테르 DCP]H: dicyclopentanyl dimethacrylate (NK Ester DCP manufactured by Shin Nakamura Kagaku Co., Ltd.)

I: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주)쿠라레이제 패러핏 LW: 중량 평균 분자량 약 34000)I: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arapet LW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bout 34,000)

J: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1[교에이샤카가쿠(주)제 UF-503: 수 평균 분자량 약 8800]J: Urethane acrylate oligomer 1 [UF-503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about 8800, manufactured by Kyowa Chemical Co., Ltd.)

K: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2[신나카무라카가쿠(주)제 NK 올리고 UA-122P: 수 평균 분자량 약 1100]K: urethane acrylate oligomer 2 (NK Oligo UA-122P manufactured by Shin Nakamura Kagaku Co., Lt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about 1100)

L: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중합 개시제, BASF재팬(주)제 IRGACURE 184]L: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polymerization initiator, IRGACURE 184, BASF Japan)

이어서, 롤코터를 이용하여 두께 0.15㎜가 되도록 박리 처리된 PET 상에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캐스트(유연)하고, 별도의 박리 처리된 PET를 캐스트된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에 라미네이트한 뒤 30W/㎝의 고압수은램프를 사용하여 4000mJ/㎠의 적산 노광량으로 경화시켜, 박리 처리된 PET를 전부 박리 제거함으로써 소정 두께(150㎛)로 한 시트 형상의 경질 수지층을 얻었다. 얻어진 경질 수지층에 대해서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한 결과 300℃까지의 측정에서는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이 경질 수지층의 인장 탄성률 및 전광선투과율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Subsequently, a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was cast (softened) on PET peeled to a thickness of 0.15 mm using a roll coater, and another peeled PET was laminated on the cast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A high-pressure mercury lamp of 30 W / cm was used to cure at an integrated exposure dose of 4000 mJ / cm &lt; 2 &gt;, and the peeled PET was entirely peeled off to obtain a sheet-like hard resin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150 mu m).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obtained hard resin layer, no measurement was observed up to 300 ° C. The tensile modulus and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hard resin layer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수지 적층체의 제작)(Production of resin laminate)

폴리카보네이트(테이진사제 PC-1151, 200㎜×200㎜×두께 0.5㎜)에 양이온계 광경화성 접착제(교리츠카가쿠산교사제)를 5㎛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 유연한 후, 상기에서 얻어진 경질 수지층을 폴리카보네이트의 편면측 전체면에 접합하고, 압착한 뒤, 메탈할라이드램프로 자외선을 500mJ/㎠의 비율로 양면으로부터 조사하고, 경질 수지층에 보호 시트를 붙임으로써 수지 적층체(A파트)를 얻었다. 또한, 여기에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서 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해서 실온(25℃)으로부터 230℃까지 5℃/min의 승온 속도로 동적 점탄성(DMA)을 측정하고, 실온에서의 저장탄성률(E1)과 150℃에서의 저장탄성률(E2)로부터 탄성률비(E1/E2)를 구한 결과, 1.35이었다.A cationic photo-curing adhesive (manufactured by Kyoritsu Chemical Co., Ltd.) was applied and softened to a thickness of 5 탆 in polycarbonate (PC-1151 manufactured by Teijin Co., Ltd., 200 mm x 200 mm x thickness 0.5 mm) (A part) was obtained by adhering a protective sheet to the hard resin layer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both sides at a rate of 500 mJ / cm &lt; 2 &gt; with a metal halide lamp after bonding to the entire one surface side of the polycarbonate, . The dynamic viscoelasticity (DMA)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25 ° C) to 230 ° C at a heating rate of 5 ° C / min for the polycarbonate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E 1 ) at room temperature The elastic modulus ratio (E 1 / E 2 ) was found from the storage modulus (E 2 ) at a temperature of 120 ° C to be 1.35.

(진공압공성형 실시예) (Vacuum pressure forming example)

상기에서 얻어진 수지 적층체(A파트)를 실리콘 러버(두께 0.8㎜)로 상하로부터 끼워넣고, 압공 5기압, 상하의 몰드 온도 150℃∼250℃에서 수지 적층체(A파트)를 압공까지의 딜레이 10초, 압력 유지 시간 30초 함으로써 4변에 곡면을 갖고(곡률반경a: 8㎜), 도 5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을 갖는 곡면 형상(높이b: 7㎜)으로 수지 적층체(A파트)를 성형했다. 얻어진 수지 적층체의 성형체에 대해서 경질 수지층 표면의 연필경도를 측정한 결과 8H이었다. 또한, 상술한 수지 적층체의 가공성 및 성형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정리해서 표 2에 나타낸다.The resin laminate (part A) obtained above was sandwiched from above and below with silicone rubber (thickness 0.8 mm), and the resin laminate (part A) was pressed with a pressure of 5 atm and upper and lower mold temperatures of 150 deg. (A part) wa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shape (height b: 7 mm) having a sectional shape shown in Fig. 5 with a curved surface at four sides (curvature radius a: 8 mm) did. The pencil hardness of the surface of the hard resin layer of the obtained molded product of the resin laminate was 8H. In addition, the processability and moldability of the resin laminate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실시예 2][Example 2]

(경질 수지층의 제작)(Preparation of hard resin layer)

상기 합성예에서 얻은 메타크릴로일기를 모든 규소원자 상에 갖는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화합물: 23중량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39중량부, 디시클로펜타닐디아크릴레이트: 32중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1: 6중량부, 광중합 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5중량부를 혼합하여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갖고, 투명한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23 parts by weight of a cage silsesquioxane compound having the methacryloyl group obtained in the above Synthesis Example on all silicon atoms, 39 parts by weight of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32 parts by weight of dicyclopentanyl diacrylate, 6 parts by weight of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2.5 parts by weight of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mixed to obtain a transparent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having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이어서, 롤코터를 이용하여 이접착 처리된 200㎜×200㎜×두께 100㎛의 PET 상에 두께 0.10㎜가 되도록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캐스트(유연)하고, 별도의 박리 처리된 동일한 사이즈의 PET를 보호 시트로 하여 캐스트된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에 라미네이트한 뒤, 30W/㎝의 고압수은램프를 이용하여 4000mJ/㎠의 적산 노광량으로 경화시켜 경질 수지층(100㎛)의 표리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으로서의 PET를 갖는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의 이접착 처리된 열가소성 수지층의 이접착면과 반대면에 인쇄층, 바인더층을 설치해 수지 적층체(C파트)를 얻었다. 또한, 이 C파트에 있어서의 경질 수지층의 유리전이온도는 300℃까지의 측정에서는 관측되지 않고, 단독으로의 인장 탄성률 및 전광선투과율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서 사용한 PET의 탄성률비(E1/E2)에 대하여도 표 1에 정리해서 나타낸다.Subsequently, a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was cast (softened) on the PET having a size of 200 mm x 200 mm x thickness of 100 m using a roll coater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0.10 mm, The laminate was cast in a three-dimensional crosslinked hard resin composition using PET as a protective sheet and then cured at a total exposure dose of 4000 mJ / cm 2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of 30 W / cm to obtain a thermoplastic resin A sheet having PET as a resin layer was obtained. A printing layer and a binder layer we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dhesion surface of the obtained thermoplastic resin layer of the obtained sheet to obtain a resin laminate (part C).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ard resin layer in this part C is not observed by measurement up to 300 DEG C, and the tensile modulus and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each part are as shown in Table 1. [ The elastic modulus ratio (E 1 / E 2 ) of PET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is also summarized in Table 1.

(진공압공성형 실시예)(Vacuum pressure forming example)

얻어진 수지 적층체(C파트)를 실리콘 러버(두께 0.8㎜)로 상하로부터 끼워넣고, 압공 5기압, 상하의 몰드 온도 150℃∼250℃에서 수지 적층체(C파트)를 압공까지의 딜레이 10초, 압력 유지 시간 30초로 함으로써 실시예 1과 같은 곡면 형상으로 성형했다. 얻어진 수지 적층체의 성형체에 대하여 경질 수지층의 연필경도를 측정한 결과 7H이었다. 또한, 상술한 수지 적층체의 가공성 및 성형성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정리해서 표 2에 나타낸다.The resin laminate (C part) was sandwiched from above and below with a silicone rubber (thickness 0.8 mm), and the resin laminate (part C) was pressed for 10 seconds with a pressure drop of 5 atm and upper and lower mold temperatures of 150 to 250 캜, And a pressure holding time of 30 seconds. The pencil hardness of the hard resin layer of the obtained molded product of the resin laminate was 7H. In addition, the processability and moldability of the resin laminate were evalua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2.

(사출성형 실시예)(Injection Molding Example)

이어서, 곡면 성형된 수지 적층체(C파트)를 도 4의 제 1 사출성형 금형 내에 장전한 후, 제 1 사출성형 금형 위에 제 2 사출성형 금형을 포개고, 이 상태에서 사출 게이트로부터 금형 내의 캐비티에 미리 120℃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사빅사제, 상품명 「HFD1810」)를 수지 온도 320℃, 금형 온도 90℃∼120℃, 몰드 내 압력 300-500kg/㎠, 사출 시간 5초의 조건으로 사출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질 수지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C파트)와 열가소성 수지(B파트) 500㎛를 일체화한 사출성형체를 얻었다.Subsequently, the curved resin laminate (C part) is loaded in the first injection molding die of Fig. 4, and then the second injection molding die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injection molding die. In this state, (Polycarbonate resin, trade name &quot; HFD1810 &quot; manufactured by SABIC CHEMICAL CO., LTD.) Which had been previously dried at 120 ° C for 24 hours was injection-molded under conditions of a resin temperature of 320 ° C, a mold temperature of 90 ° C to 120 ° C, a pressure of the mold of 300-500kg / , Thereby obtaining an injection-molded article in which a resin laminate (C part) having a hard resin layer as shown in Fig. 3 and a thermoplastic resin (part B) of 500 mu m were integrat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85중량부, PMMA: 15중량부를 110℃로 가열 혼련하고, 그 후에 광중합 개시제로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5중량부를 혼합해서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85 parts by weight of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and 15 parts by weight of PMMA were heated and kneaded at 110 DEG C and then mixed with 2.5 parts by weight of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o obtain a three-dimensionally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

이어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경질 수지층을 얻은 뒤, 수지 적층체를 제작해 평가를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Subsequently, a hard resin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and a resin laminate was prepared and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3∼8 및 비교예 2∼6][Examples 3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6]

배합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중량 비율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3, 실시예 7, 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8, 비교예 1, 비교예 3, 비교예 5 및 비교예 6에 있어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경질 수지층 및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체의 평가 결과를 합쳐서 표 2에 나타낸다.In Example 3, Example 7, Comparative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4,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ample 4, Example 5, Example 6, Example 8 , And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5 and Comparative Example 6, a hard resin layer and a resin laminate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molded articles are shown together in Table 2.

[합성예 2][Synthesis Example 2]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4.0몰(825g),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0몰(390g),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3.0몰(595g), 2,4-디페닐-4-메틸-1-펜텐 4.0몰(889g), 톨루엔 2400㎖을 10.0L의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90℃에서 240밀리몰의 과산화벤조일을 첨가하고, 6시간 반응시켰다. 중합 반응을 냉각에 의해 정지시킨 후, 실온에서 반응 혼합액을 대량의 헥산에 투입하고, 중합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중합체를 헥산으로 세정하고, 여과, 건조, 칭량하여 공중합체A 615g(수율: 34%)을 얻었다.4.0 mol (825 g) of dicyclopentanyl acrylate, 3.0 mol (390 g) of 2-hydroxyethyl methacrylate, 3.0 mol (595 g) of 1,4-butanediol diacrylate, 4.0 mol of 1-pentene (889 g) and 2400 mL of toluene were charged into a 10.0 L reactor, 240 mmol of benzoyl peroxide were added at 90 DEG C, and the mixture was reacted for 6 hours. Afte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stopped by cooling, the reaction mixture was poured into a large amount of hexane at room temperature to precipitate a polymer. The obtained polymer was washed with hexane, filtered, dried and weighed to obtain 615 g of copolymer A (yield: 34%).

얻어진 공중합체A의 Mw는 15200, Mn은 3900, Mw/Mn은 3.9이었다. 공중합체A는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조 단위를 합계 37.8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조 단위를 합계 29.3몰%,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조 단위를 32.9몰%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2,4-디페닐-4-메틸-1-펜텐 유래의 구조의 말단기는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및 2,4-디페닐-4-메틸-1-펜텐의 총량에 대하여 9.8 몰%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펜단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16.5몰%이었다. Mb는 0.29이었다. 공중합체A는 에탄올, 2-프로판올, 부탄올, 톨루엔, 크실렌, THF,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에 가용이고, 겔의 생성은 보이지 않았다.The Mw of the obtained copolymer A was 15200, the Mn was 3900 and the Mw / Mn was 3.9. Copolymer A contained 37.8 mol% of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dicyclopentanyl acrylate in total, 29.3 mol% of the total of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2-hydroxyethyl methacrylate,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1,4-butanediol diacrylate 32.9 mol%. Further, the terminal group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2,4-diphenyl-4-methyl-1-pentene is preferably selected from dicyclopentanyl acrylate, 2-hydroxyethyl methacrylate, 1,4-butanediol diacrylate and 2,4 -Diphenyl-4-methyl-1-pentene in an amount of 9.8 mol% based on the total amount. The ratio of pendant acrylate was 16.5 mol%. Mb was 0.29. Copolymer A was soluble in ethanol, 2-propanol, butanol, toluene, xylene, THF, dichloroethane, dichloromethane and chloroform, and no gel formation was observed.

[합성예 3][Synthesis Example 3]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0.24몰(49.5g),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 2.6몰(729.4g),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0.96몰(190.1g),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0.96몰(124.9g), 2,4-디페닐-4-메틸-1-펜텐 0.48몰(113.4g), t-도데실메르캅탄 3.12몰(631.5g), 톨루엔 700㎖를 3.0L의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90℃에서 72밀리몰의 과산화벤조일을 첨가하고, 6시간 반응시켰다. 중합 반응을 냉각에 의해 정지시킨 후, 실온에서 반응 혼합액을 대량의 헥산에 투입하여 중합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중합체를 헥산으로 세정하고, 여과, 건조, 칭량하여 공중합체B 696.9g(수율: 63.7몰%)을 얻었다.0.24 mol (49.5 g) of dicyclopentanyl acrylate, 2.6 mol (729.4 g) of dimethyloltricyclodecane diacrylate, 0.96 mol (190.1 g) of 1,4-butanediol diacrylate, Dodecyl mercaptan, and 700 ml of toluene were charged into a 3.0 L reactor.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72 mmol of benzoyl peroxide were added at 90 占 폚 and reacted for 6 hours. Afte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stopped by cooling, the reaction mixture was poured into a large amount of hexane at room temperature to precipitate a polymer. The resulting polymer was washed with hexane, filtered, dried and weighed to obtain 696.9 g of copolymer B (yield: 63.7 mol%).

얻어진 공중합체B의 Mw는 39500, Mn은 7240, Mw/Mn은 5.5이었다. 13C-NMR, 1H-NMR 분석 및 원소 분석을 행함으로써 공중합체A는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조 단위를 4.9몰%,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 및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조 단위를 합계 75.5몰%,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조 단위를 19.6몰%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2,4-디페닐-4-메틸-1-펜텐 유래의 구조의 말단기는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타크릴레이트, 2,4-디페닐-4-메틸-1-펜텐 및 t-도데실메르캅탄 유래의 구조의 말단기의 총량(이하, 전체 구성 단위의 총량이라고 한다)에 대하여 3.7몰% 존재하고 있었다. 한편, t-도데실메르캅탄 유래의 구조의 말단기는 전체 구성 단위의 총량에 대하여 18.6몰%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펜단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43.5몰%이었다. The Mw of the obtained copolymer B was 39500, the Mn was 7240, and the Mw / Mn was 5.5. By conducting 13 C-NMR, 1 H-NMR analysis and elemental analysis, the copolymer A contained 4.9 mol%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dicyclopentanyl acrylate, 0.20 mol% of dimethyloltricyclodecane diacrylate, The total amount of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rate was 75.5 mol% and the content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2-hydroxypropyl acrylate was 19.6 mol%. Further, the terminal group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2,4-diphenyl-4-methyl-1-pentene is preferably dicyclopentanyl acrylate, dimethylol tricyclodecane di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Diphenyl-4-methyl-1-pentene and t-dodecyl mercapt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otal amount of all the structural units).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group of the structure derived from t-dodecyl mercaptan was present in an amount of 18.6 mol%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all the structural units. The ratio of pendant acrylate was 43.5 mol%.

공중합체B는 톨루엔, 크실렌, THF,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에 가용이고, 겔의 생성은 보이지 않았다.Copolymer B was soluble in toluene, xylene, THF, dichloroethane, dichloromethane, and chloroform, and no gel formation was observed.

[실시예 9∼12][Examples 9 to 12]

배합 조성을 표 3에 나타내는 중량 비율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경질 수지층 및 수지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성형체의 평가 결과를 합쳐서 표 3에 나타낸다.A light-hard resin layer and a resin laminate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shown in Table 3 was used. Table 3 show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obtained molded products.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또한, 표 3 중에서 이미 나온 약호 이외의 약호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abbreviations other than the abbreviations already listed in Table 3 are as follows.

M: 합성예 2에서 얻어진 공중합체AM: Copolymer A obtained in Synthesis Example 2

N: 합성예 3에서 얻어진 공중합체BN: Copolymer B obtained in Synthesis Example 3

B: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다이셀사이테크가부시키가이샤제)B: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manufactured by Daicel-Cytec K.K.)

O: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O: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manufactured by Kyowa Chemical Industry Co., Ltd.)

G: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디시클로펜타닐디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카가쿠(주)제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DCP-A)G: Dimethylol-tricyclodecane diacrylate (dicyclopentanyl diacrylate) (Light Acrylate DCP-A manufactured by Kyoreisha Chemical Co., Ltd.)

P: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교에이샤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P: 1,9-nonanediol diacrylate (manufactured by Kyowa Shinkagaku Co., Ltd.)

Q: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히타치카세이코교가부시키가이샤제)Q: dicyclopentanyl acrylate (manufactured by Hitachi Kasei Kogyo Co., Ltd.)

R: 트리펜타에리스리톨옥타아크릴레이트R: Tripapentaerythritol octaacrylate

1: 경질 수지층 2: 바인더층
3, 3b: 열가소성 수지층 4: 인쇄층
5: 감압성 접착제층 6: 보호 시트
1: hard resin layer 2: binder layer
3, 3b: thermoplastic resin layer 4: printing layer
5: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 Protective sheet

Claims (8)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함유하는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이루어지는 유리전이온도가 200℃ 이상인 적어도 1층 이상의 경질 수지층, 및 그 경질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실온의 탄성률(E1)과 150℃에서의 탄성률(E2)의 비(E1/E2)가 1∼500인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는 수지 적층체로서, 경질 수지층이 단체에서의 인장 탄성률 2,000∼4,000㎫임과 아울러 전광선투과율이 90% 이상이고, 또한 수지 적층체의 연필경도가 6H 이상이며, 열가소성 수지층의 합계 두께(t1)와 경질 수지층의 두께(t2)의 비(t1/t2)가 0.25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Meth) acrylic monomer having a cage-type silsesquioxane structure and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0 ° C or higher and a hard resin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0 ° C or higher, A resin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layer having a ratio of a room temperature elastic modulus (E 1 ) to an elastic modulus (E 2 ) at 150 ° C (E 1 / E 2 ) of 1 to 500 on at least one side, tensile modulus at 2,000~4,000㎫ groups being as well as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s not less than 90%, and a pencil hardness of the resin laminate of more than 6H, the total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t 1) to the thickness of the rigid resin layer (t 2) the resin laminate wherein the ratio (t 1 / t 2) is less than or equal to 0.25 10. 제 1 항에 있어서,
삼차원 가교형 경질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고형분 100g당 (메타)아크릴기 몰수가 0.6∼0.9이고, 또한 경질 수지층의 두께가 50㎛ 이상 2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moles of (meth) acrylic groups per 100 g of the solid res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three-dimensional crosslinkable hard resin composition is 0.6 to 0.9, and the thickness of the hard resin layer is 50 to 250 탆.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이 접착층을 통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hard resin layer and a thermoplastic resin layer are laminated via an adhesive lay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착층이 점착성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광경화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핫멜트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one of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 photo-curable adhesive, a thermosetting adhesive, or a hot-melt adhesiv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질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이 이접착층을 통해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ard resin lay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layer are laminated via the adhesive lay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지형 실세스퀴옥산 구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 단량체가 하기 식(1)
(R1SiO3 /2)n(R2R3SiO2 /2)m(R4R5R6SiO1 /2)l (1)
(식 중 R1∼R6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페닐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알킬기, 비닐기, 옥시란환을 갖는 기이고, 각각 동일한 기이어도 다른 기를 포함해도 좋지만 식 중에 적어도 2개의 (메타)아크릴기를 갖고, n , m, l은 평균값이며, n은 6∼14의 수이고, m은 0∼4의 수이며, l은 0∼4의 수이고 m≤1을 만족시킨다)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lyfunctional (meth) acrylic monomer having a cage silsesquioxane structure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R 1 SiO 3/2) n (R 2 R 3 SiO 2/2) m (R 4 R 5 R 6 SiO 1/2) l (1)
(Wherein R 1 to R 6 are alkyl groups having 1 to 6 carbon atoms, a phenyl group, a (meth) acrylic group, a (meth) acryloyloxyalkyl group, a vinyl group and an oxirane ring, And n is an integer of 6 to 14, m is a number of 0 to 4, 1 is a number of 0 to 4, and n is an integer of 0 to 4, m? 1).
제 1 항에 기재된 수지 적층체를 열성형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부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의 성형 방법.A method for molding a resin lamin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 is thermoformed to give a predetermined sha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적층체의 성형 방법에 의해 얻어진 소정 형상의 수지 적층체를 금형 안에 장전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성형해서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적층체의 성형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sin laminate of the predetermined shape obtained by the molding method of the resin laminate is loaded in the mold and the thermoplastic resin is injection molded and integrated.
KR1020140031711A 2013-03-19 2014-03-18 Resin laminat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Withdrawn KR2014011479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6860 2013-03-19
JPJP-P-2013-056860 2013-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795A true KR20140114795A (en) 2014-09-29

Family

ID=5154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711A Withdrawn KR20140114795A (en) 2013-03-19 2014-03-18 Resin laminat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205345A (en)
KR (1) KR20140114795A (en)
CN (1) CN104057680A (en)
TW (1) TW201438909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9309B2 (en) * 2015-05-01 2019-09-25 味の素株式会社 Curable composition
CN108699266B (en) * 2016-02-15 2021-07-16 株式会社可乐丽 Thermoplastic resin fil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aminate
KR102065717B1 (en) * 2016-12-26 2020-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er protecting film, polarizer plate compris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polarizer plate, and coating composition for polarizer protecting film
CN108928075B (en) * 2017-05-26 2019-12-31 住友化学株式会社 curved resin laminate
WO2019082767A1 (en) * 2017-10-25 2019-05-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Metal resin composite member for tires, and tire
CN111002667B (en) * 2019-12-19 2022-03-08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Releas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3637A1 (en) * 2010-11-10 2012-05-18 新日鐵化学株式会社 Multilayered hardcoat film for injection molding,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injection-molded object using the multilayered hardcoat film
WO2014125976A1 (en) * 2013-02-12 2014-08-21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Resin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05345A (en) 2014-10-30
TW201438909A (en) 2014-10-16
CN104057680A (en)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0040A (en) Resin laminate
KR101415841B1 (en) Hard coating film
KR101415838B1 (en) Composition for hard coating
JP5383929B2 (en) Hard coating forming sheet
JP4003800B2 (en) Active energy ray-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film protective layer and film using the same
KR20140114795A (en) Resin laminate and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EP2535183B1 (en) Hard coating forming method
KR20150119214A (en) Resin laminate
KR101902492B1 (en) Multilayered hardcoat film for injection molding,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injection-molded object using the multilayered hardcoat film
KR20140027019A (en) Hard coating film
KR20170139600A (en)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 process for producing a cured film using the same, and a laminate including the cured film
TW201114814A (en)
KR20160052380A (en) Plastic film laminate
KR101252340B1 (en) Hard-coating composition and hard-coating film
JP5735394B2 (en) Method for producing injection molded article using hard coat film laminate for injection molding
JP5794883B2 (en) Hard-coated film laminate for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njection-molded body
KR20190068494A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fabrication method of window member using the same
KR20140130041A (en) Resin laminate
KR20140123441A (en) Resin laminate for thermoforming and forming method of the same
JP665182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hard coat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including hard coat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miss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hard coat film
KR20170142508A (en) Optical films,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2063637A1 (en) Multilayered hardcoat film for injection molding,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injection-molded object using the multilayered hardcoat film
JP2017198797A (en) Photocurable resin molded article, and polarizing plate and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2001139645A (en) Cast resin composition for photopolym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