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145A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4145A KR20140114145A KR1020130028581A KR20130028581A KR20140114145A KR 20140114145 A KR20140114145 A KR 20140114145A KR 1020130028581 A KR1020130028581 A KR 1020130028581A KR 20130028581 A KR20130028581 A KR 20130028581A KR 20140114145 A KR20140114145 A KR 201401141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area
- region
- input drawing
-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이 개시된다.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sleep mode)를 확인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경계를 따라 화면의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슬립모드 상태에서 외부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입력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입력 드로잉이 감지되면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operation mode)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간단한 입력 드로잉에 의해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게임, MP3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개인휴대단말기에는 공간활용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함 이점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터치패널의 장착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터치패널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패널은 크게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개인휴대단말기는 미사용시 터치패널에 터치조작이 입력되더라도 터치조작에 반응하지 않는 슬립모드(sleep mode)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입력조작에 의해 개인휴대단말기가 작동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작동모드라 함은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화면(소위 "홈 화면" 또는 "위젯 화면"이라 지칭되기도 함) 또는 최근에 실행한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모드 전환에 사용되는 버튼이나 아이콘의 사용 방법을 숙지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 여러번의 반복된 터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 상태로 전환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간단하게 작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sleep mode)를 확인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경계를 따라 화면의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슬립모드 상태에서 외부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입력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입력 드로잉이 감지되면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operation mode)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경계를 넘어서 아래의 홈 버튼 양측까지 연장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이 위로는 화면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좌우로는 베젤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내부 영역 뿐만 아니라 외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터치패널의 터치 기능 영역은 통상적으로 외부영역에도 터치센서 라인이 확장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 상태라 함은, 터치패널에 터치조작이 입력되더라도 터치조작에 아무런 반응하지 않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 상태에서는 터치패널의 조명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며, 터치패널을 조작하더라도 아무런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외부 영역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영역은 화면 영역의 경계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즉, 외부 영역은 화면 영역의 경계를 이루는 변(side) 및 모서리를 따라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영역은 화면 영역의 하부 영역에서 화면의 하부 경계(아래 변)와 거의 일치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영역이 화면 영역의 경계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외부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감지 가능하도록 활성화(activate)될 수 있고, 내부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비반응하도록 비활성화(deactivate)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영역이 활성화된다 함은, 외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고, 내부 영역이 비활성화된다 함은, 내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없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외부 영역뿐만 아니라 내부 영역까지 모두 활성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내부 영역은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지만, 외부 영역에서 터치조작이 감지된 후에는, 외부 영역에서 터치조작이 감지됨과 동시에 내부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입력 드로잉이라 함은,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operation mode)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 드로잉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입력 드로잉의 입력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드로잉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드로잉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 또는 드로잉에 대응하여 선으로 형상화되는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외부 영역에서 터치조작이 감지됨과 동시에, 내부 영역이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감지 가능하도록 활성화되고, 입력 드로잉은 외부 영역에서 시작되며 화면 영역의 경계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드로잉은 외부 영역에서 시작되어 화면 영역의 경계를 통과하기 전까지의 제1드로잉, 및 화면 영역의 경계를 통과한 이후 내부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제2드로잉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의 슬립모드 상태에서는 내부 영역이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지만, 외부 영역에서 제1드로잉이 감지됨과 동시에 내부 영역이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감지 가능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제1드로잉 및 제2드로잉이 연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드로잉은 제1드로잉 및 제2드로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거리 및 궤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입력 드로잉이 감지될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입력 드로잉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드로잉은 화면 영역의 경계를 2회 이상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드로잉은 연속적으로 1회가 감지되거나, 불연속적으로 복수회가 감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모드라 함은, 터치패널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작동모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모드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모드(user authentication mode),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화면 또는 최근에 실행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실행모드(function executing m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증모드라 함은, 미리 지정된 사용자만이 개인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암호화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드레그 패턴 또는 암호 입력란 등이 활성화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으며, 드레그 패턴 또는 암호 입력란을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단말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인증모드에서 밀어서 잠금해제 방식의 버튼 또는 스위치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잠금 해제 방식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능실행모드라 함은,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화면, 또는 최근에 실행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화면은 소위 "홈 화면" 또는 "위젯 화면"이라 지칭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 실행한 화면이라 함은, 단말기를 잠금 상태(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전 최근에 사용했던 화면(예를 들어, 특정 어플레케이션의 실행 화면, 홈 화면, 환경 설정 화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입력 드로잉에 의해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 외부에서 시작되는 입력 드로잉이 감지됨에 따라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가 작동모드로 전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드 전환 기능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손으로 간단히 입력 드로잉을 입력하여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복잡한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모드 전환 기능을 빠르고 간단하게 실행시킬 수 있으며, 모드 전환 실행에 필요한 입력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립모드 상태에서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내부 영역은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고, 외부 영역만이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며, 외부 영역에서 시작되는 입력 드로링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터치조작 및 오조작 등에 의한 불필요한 기능 실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은 사용자 별로 정의될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된 입력 드로잉에 의해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가 작동모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입력조작시 단순히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전면으로 노출되는 버튼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으며, 종래 버튼의 고장 시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간단하게 대체될 수 있고, 나아가 앞으로 버튼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입력 드로잉에 의한 홈 화면 모드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입력 드로잉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입력 드로잉에 의한 홈 화면 모드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입력 드로잉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입력 드로잉에 의한 홈 화면 모드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sleep mode)를 확인하는 단계(S10),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경계를 따라 화면의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S20), 슬립모드 상태에서 외부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입력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S30), 및 입력 드로잉이 감지되면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operation mode)로 전환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100)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10)이라 함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110)의 종류 및 구동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상기 터치패널(110)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넘어서 아래의 홈 버튼 양측까지 연장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이 위로는 화면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좌우로는 베젤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10)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내부 영역(113) 뿐만 아니라 외부 영역(114)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터치패널(110)의 터치 기능 영역은 통상적으로 외부영역에도 터치센서 라인이 확장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홈키를 제외한 터치패널(110) 영역에는 수직 연결 패턴을 통해 세로로 연결된 수직 노드 패턴, 및 수평 연결 패턴을 통해 가로로 연결된 수평 노드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터치센서 라인이 제공될 수 있고, 홈키 영역에는 빗살 형태로 형성되는 제1노드패턴, 및 빗살 형태로 형성되며 제1노드패턴과 빗살 부분이 상호 교대로 배치되는 제2노드패턴을 포함하는 제2터치센서 라인이 제공될 수 있으며,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는 입력 드로잉의 감지는 제1터치센서 라인(또는 제2터치센서 라인)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100)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슬립모드(sleep mode)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슬립모드 상태라 함은, 터치패널(110)에 터치조작이 입력되더라도 터치조작에 아무런 반응하지 않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슬립모드 상태에서는 터치패널(110)의 조명이 꺼진 상태로 유지되며, 터치패널(110)을 조작하더라도 아무런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10)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따라 화면의 내부 영역(113) 및 외부 영역(114)을 정의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내부 영역(113)이라 함은, 터치패널(1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고, 외부 영역(114)이라 함은 터치패널(110)에서 내부 영역(11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영역(114)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부 영역(114)은 화면 영역의 경계(112)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여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영역(114)은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이루는 변(side) 및 모서리를 따라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외부 영역(114)이 화면 영역의 하부 영역에서 화면의 하부 경계(112)(아래 변)와 거의 일치하도록 정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영역이 화면 영역의 경계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영역(114)은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감지 가능하도록 활성화(activate)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영역(113)은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비반응하도록 비활성화(deactivate)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영역(114)이 활성화된다 함은, 외부 영역(114)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영역(113)이 비활성화된다 함은, 내부 영역(113)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없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외부 영역뿐만 아니라 내부 영역까지 모두 활성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내부 영역(113)은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지만, 외부 영역(114)에서 터치조작이 감지된 후에는, 외부 영역(114)에서 터치조작이 감지됨과 동시에 내부 영역(113)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다음,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슬립모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영역(114)에서부터 시작되는 입력 드로잉(10)을 감지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입력 드로잉(10)이라 함은,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100)를 작동모드(operation mode)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드로잉(1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10)(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입력 드로잉(10)의 입력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작동모드라 함은, 터치패널(110)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작동모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패널(110)의 터치 조작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드로잉(1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 드로잉(1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 또는 드로잉에 대응하여 선으로 형상화되는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 외부 영역(114)에서 터치조작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영역(113)이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감지 가능하도록 활성화되고, 상기 입력 드로잉(10)은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며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입력 드로잉(10)은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어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기 전까지의 제1드로잉, 및 상기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한 이후 내부 영역(113)에서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제2드로잉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기의 슬립모드 상태에서는 내부 영역(113)이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지만, 상기 외부 영역(114)에서 제1드로잉이 감지됨과 동시에 내부 영역(113)이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감지 가능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제1드로잉 및 제2드로잉이 연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드로잉(10)은 제1드로잉 및 제2드로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거리 및 궤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입력 드로잉(10)이 감지될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입력 드로잉(1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드로잉 및 제2드로잉은 각각 꺽어진 직선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드로잉 및 제2드로잉을 포함하는 입력 드로잉(10)은,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어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된 후, 다시 외부 영역(114)으로 탈출되는 궤적을 포함하는 대략 삼각형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입력 드로잉(10)이 알파벳, 숫자, 기호 또는 도형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입력 드로잉(1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외부 영역(114)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화면의 상부변, 우측변, 좌측변, 또는 모서리 등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 영역에서 제1드로잉이 감지되면, 내부 영역이 터치 감지가 가능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내부 영역(화면 영역)의 조명이 온(ON)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영역에서 제1드로잉이 감지됨에 따라 내부 영역의 조명이 오프(OFF)된 상태로 단순히 내부 영역에서 터치 감지만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상기 입력 드로잉(10)이 감지되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를 작동모드(operation mode)로 전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작동모드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으며, 작동모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패널(110)의 터치 조작에 의해 미리 정의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작동모드는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모드(user authentication mode),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화면 또는 최근에 실행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실행모드(function executing m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증모드라 함은, 미리 지정된 사용자만이 개인휴대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암호화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드레그 패턴 또는 암호 입력란 등이 활성화된 상태로 이해될 수 있으며, 드레그 패턴 또는 암호 입력란을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단말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인증모드에서 밀어서 잠금해제 방식의 버튼 또는 스위치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잠금 해제 방식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능실행모드라 함은,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화면, 또는 최근에 실행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화면은 소위 "홈 화면" 또는 "위젯 화면"이라 지칭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 실행한 화면이라 함은, 단말기를 잠금 상태(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전 최근에 사용했던 화면(예를 들어, 특정 어플레케이션의 실행 화면, 홈 화면, 환경 설정 화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입력 드로잉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드로잉(10)이 폐루프 방식으로 정의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10)은 오픈 루프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드로잉(10)은 오픈 루프 형태로 대략 알파벳 'S'를 도시화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10)은 전체적으로 대략 파도 형태를 이루도록 정의되어, 외부 영역(114)과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2회 이상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10)은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는 제1직선구간,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어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된 후 다시 외부 영역(114)으로 탈출하는 꺽어진 제2직선구간, 다시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하는 제3직선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10)은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어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된 후, 내부 영역(113) 상에서 1개 이상의 고리를 형성한 후 다시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외부 영역(114)으로 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10)은 외부 영역(114)에서 대략 알파벳 'S'를 형성한 후,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된 후, 내부 영역(113) 상에서 고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영역(114)은 화면 영역의 우측 베젤 부위에 정의될 수 있으며, 입력 드로잉(10)은 전체적으로 대략 파도 형태를 이루도록 정의되어, 외부 영역(114)과 화면 영역의 우측 경계(112)를 2회 이상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및 삼각형이 연결된 형태를 이루도록,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어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된 후 다시 외부 영역(114)으로 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10)은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어 화면 영역의 경계(112)를 통과하여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된 후, 화면 영역의 하부 경계(112)에 인접한 지점에서 교차하며 외부 영역(114)으로 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영역(114)은 화면의 하부에 정의되되, 입력 드로잉(10)은 외부 영역(114)에 배치된 홈 버튼을 교차하지 않는 궤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입력 드로잉(10)은 홈 버튼 영역을 교차하지 않도록 고깔 형상, "ㄷ"자 형상 또는 모자 형태의 궤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드로잉(10)이 불연속적으로 복수회 감지될 경우, 입력 드로잉(10)이 정상적으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 영역(114)에서 시작되어 내부 영역(113)으로 진입하는 대략 호 형태의 입력 드로잉(10)이 불연속적으로 3회 감지될 경우, 정상적으로 입력 드로잉(10)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의도하지 않은 터치조작 및 오조작 등에 의한 입력 드로잉(10)에 의한 기능 실행(모드 전환)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복수회 입력되는 각 입력 드로잉(10)은 서로 동일 또는 다른 특성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각 입력 드로잉(10)의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회 입력되는 각 입력 드로잉(10)의 크기가 다르게 설정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회 입력되는 각 입력 드로잉의 크기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1차 입력 드로잉은 직선 형태로 정의되고, 2차 입력 드로잉은 원호 형태로 정의되며, 3차 입력 드로잉은 삼각형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드로잉이 외부 영역과 내부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영역에서만 입력 드로잉이 감지될 경우에도 작동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슬립모드에서, 화면의 외부 영역(114)에서 입력 드로잉(10')이 감지되면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100)가 기능실행모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영역(114)에서의 입력 드로잉(1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드로잉(10')은 도 18과 같이 직선 구간 형태로 정의되거나, 도 19와 같이 알파벳 "V"자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 영역(114)에서만 입력 드로잉(10')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외부 영역(114)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화면 영역의 상부변, 하부변, 우측변, 좌측변, 또는 모서리 등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슬립모드(a)에서, 화면의 외부 영역(114)에서 미리 정의된 입력 드로잉(10')이 감지(b)되면 슬립모드 상태의 개인휴대단말기(100)가 사용자 인증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모드에서는 암호 입력란이 활성화(c)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암호 입력란을 터치 조작하여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기능실행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입력 드로잉 100 : 개인휴대단말기
110 : 터치패널 112 : 경계
113 : 내부 영역 114 : 외부 영역
110 : 터치패널 112 : 경계
113 : 내부 영역 114 : 외부 영역
Claims (10)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립모드(sleep mode)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의 경계를 따라 상기 화면의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슬립모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입력 드로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드로잉이 감지되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작동모드(operation mode)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모드(user authentication mode),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화면 또는 최근에 실행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실행모드(function executing m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모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감지 가능하도록 활성화(activate)되고, 상기 내부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비반응하도록 비활성화(deactivat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영역에서 터치조작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감지 가능하도록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드로잉은 상기 외부 영역에서 시작되며 상기 화면 영역의 경계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 영역으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드로잉은,
상기 외부 영역 외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화면 영역의 경계를 통과하기 전까지의 제1드로잉; 및
상기 화면 영역의 경계를 통과한 이후 상기 내부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제2드로잉;을 포함하여 정의되되,
상기 입력 드로잉은 상기 제1드로잉 및 상기 제2드로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거리 및 궤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드로잉은 상기 화면 영역의 경계를 2회 이상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드로잉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드로잉은 연속적으로 1회가 감지되거나, 불연속적으로 복수회가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영역은 상기 화면 영역의 경계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8581A KR20140114145A (ko) | 2013-03-18 | 2013-03-18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8581A KR20140114145A (ko) | 2013-03-18 | 2013-03-18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4145A true KR20140114145A (ko) | 2014-09-26 |
Family
ID=5175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8581A Withdrawn KR20140114145A (ko) | 2013-03-18 | 2013-03-18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1414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25607A (zh) * | 2016-10-09 | 2017-01-11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上报信息的方法、装置及终端 |
US10310866B2 (en) | 2015-08-12 | 2019-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
-
2013
- 2013-03-18 KR KR1020130028581A patent/KR20140114145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10866B2 (en) | 2015-08-12 | 2019-06-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
US11614948B2 (en) | 2015-08-12 | 2023-03-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mo application in response to detachment of a stylus |
CN106325607A (zh) * | 2016-10-09 | 2017-01-11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上报信息的方法、装置及终端 |
CN106325607B (zh) * | 2016-10-09 | 2019-02-1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上报信息的方法、装置及终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11510B2 (en) | Techniques for preventing typographical errors on soft keyboards | |
KR101654335B1 (ko) | 터치스크린의 베젤을 이용한 제스처 명령 방법 및 그 단말 | |
JP2013238935A (ja) |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
US20100020031A1 (en) |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setting virtual keypad thereof | |
TWI502394B (zh) | 電子裝置及其解鎖方法 | |
CN105630363A (zh) | 虚拟按钮的显示方法及其电子装置与显示虚拟按钮的装置 | |
US20140292697A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double-sided touch screens,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 |
JP6230062B2 (ja) | 情報処理装置 | |
US10564844B2 (en) | Touch-control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keys of a virtual keyboard | |
JP2013168001A (ja) |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5653062B2 (ja) |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 |
CN101576770B (zh) | 多触点交互系统及方法 | |
KR20140114145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US20150091836A1 (en) | Touch control input method and system, computer storage medium | |
JP2014102557A (ja) | 携帯端末 | |
KR101678213B1 (ko) | 터치 영역 증감 검출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363710B1 (ko) | 소프트웨어 영문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전자 장치 | |
KR20140036539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KR20140048756A (ko) |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KR20140013610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
KR20140128738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드로잉을 통한 홈버튼 기능의 작동방법 | |
JP2015049837A (ja) | 携帯端末装置 | |
KR20120094728A (ko) |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 |
JP2014137785A (ja) | 情報処理装置 | |
KR20140024762A (ko)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