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13454A - Portion cup compressing device - Google Patents

Portion cup compress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454A
KR20140113454A KR1020140029635A KR20140029635A KR20140113454A KR 20140113454 A KR20140113454 A KR 20140113454A KR 1020140029635 A KR1020140029635 A KR 1020140029635A KR 20140029635 A KR20140029635 A KR 20140029635A KR 20140113454 A KR20140113454 A KR 20140113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tion
handle
potion container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카히로 마루야마
신 마츠야마
히로키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4011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454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77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 B65D83/771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or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36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the seal having a stress concentrating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션용기의 세팅오류를 방지하고, 잘못 세팅된 경우에도 주위를 더럽히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션용기 압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션용기(8)를 장치 본체인 주둥이 본체(10)의 받침부(51)에 배치하여 찌부러뜨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션용기(8)의 내용물을 밀어낸다. 포션용기(8)를 비스듬히 배치하는 받침부(51)가 있으며, 포션용기(8)의 앞쪽에 개봉용이부인 박리유도부(65)가 있고, 포션용기(8)는 전후비대칭 형상을 이루며, 받침부(51)에는, 포션용기(8)의 앞쪽을 상기 받침부(51)에 맞춘 배치를 허용함과 동시에 포션용기(8)의 뒤쪽을 상기 받침부(51)에 맞춘 배치를 방지하는 중앙부 누름쇠(5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앙부 누름쇠(53)에 의해 포션용기(8)의 세팅오류시의 분출을 방지하고, 세팅오류시에 정상세팅시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하여 사용자에게 세팅오류을 알아차리게 함으로써 세팅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that can be used safely so as to prevent setting error of the potion container and to prevent the surroundings from being contaminated even when the potion container is erroneously set. The present invention pushes the contents of the potion container 8 by an operation of disposing the potion container 8 on the receiving portion 51 of the spout main body 10 which is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and crushing it. There is a receiving portion 51 for obliquely arranging the potion container 8 and a peeling induction portion 65 which is an easy-to-open portion in front of the potion container 8. The potion container 8 has an asymmetrical front- (51) is provided with a central pusher (51) for preventing an arrangement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is align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51) and the rear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rup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at the time of setting error by the center presser 53 and to prevent the effect of the normal setting at the time of setting error to be obtained, Setting error can be prevented by setting.

Description

포션용기 압축장치{Portion cup compressing device}Portion cup compressing device

본 발명은 포션용기를 압축하여 내용물을 밀어내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for compressing a potion container to push out the contents.

종래, 이와 같은 것으로서는 포션홀더의 오목공간에 수용하는 포션용기에 구멍을 뚫어 용기본체의 수용공간과 액체수용부를 연통공을 통해 연통시키는 스파이크를 포션홀더에 마련하여 연통조작기구를 구성하여 된 액체제공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나, 포션용기의 입구부의 밀봉덮개를 파단시키는 커터를 포션홀더에 마련하여 상기 연통조작기구를 구성하여 된 액체제공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등이 있다.Conventionally,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in which a potion holder is provided with a spike for forming a hole in a potion container accommodated in a concave space of a potion holder and communicating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body with the liquid accommodation portion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For example, refer to Patent Document 1) or a cutter for breaking the sealing lid at the inlet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potion holder, and the liquid supply devic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

상술한 종래의 액체제공장치는 모두 포션홀더에 스파이크나 커터를 마련하여, 그들이 작동되기 위한 연통조작기구를 구성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가 되므로, 사용 후 세척이 곤란하고 스파이크나 커터에 의해 손을 다칠 우려가 있다,All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liquid supply apparatuses have a complex structure in which a spike or a cutter is provided in the potion holder and constitute a communication operation mechanism for operating them, so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cleaning after use and a hand is injured by a spike or a cutter There is,

이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밀봉덮개를 부착하여 밀봉한 포션용기를 마련하고, 상기 포션용기를 수용가능한 오목공간을 구비하는 포션홀더를 마련하며, 상기 오목공간과 그 하방에 배치된 액체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을 상기 포션홀더의 상기 오목공간의 바닥부에 형성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공간과 상기 액체수용부를 상기 연통공을 통해 연통시키는 연통조작기구를 형성하여 된 액체제공장치로서, 상기 연통조작기구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오목공간에 수용한 상기 포션용기를 압축가능한 가압기구를 마련하고, 상기 가압기구에 의한 상기 포션용기의 압축조작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밀봉덮개의 일부가 벗겨져 수용물을 누출가능하게 하는 박리유도부를 상기 포션용기에 형성하며, 상기 포션용기를 상기 오목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박리유도부가 상기 바닥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통공을 향하도록 구성한 액체제공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가 제안되어 있다.In view of such a problem, a potion container in which a sealing lid is attached and sealed at an inlet of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and a potion holder having a concave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otion container is provided. A communication hole for communicating the disposed liquid containing portion is formed in a bottom portion of the concave space of the potion holder to form a communication operation mechanism for communicating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ontainer body with the liquid containing portion through the communicating hole, Wherein the communication operation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chanism capable of compressing the potion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oncave space, wherei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otion container by the pressing mechanism causes the sealing A portion of the lid is peeled off to form a peeling inducing portion for allowing the contents to leak, (Refer to Patent Document 3, for example)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separation inducing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bottom portion side to face the communication hol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concave space.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표 제2008-52029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8-520298 특허문헌 2 : 일본특허 제448586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No. 4485869 특허문헌 3 : 일본특허공개 제2012-135518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2135518

상기 특허문헌의 포션용기는 형상이 오발(oval)형태로 전후대칭형이기 때문에, 장치에 포션용기가 잘못 세팅될 가능성이 있고, 박리유도부 등의 방향을 틀리면 내용물이 분출할 우려가 있다. 특히, 앞뒤 틀림은 오발형상의 경우 그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확한 찌부러뜨리기 방법을 취하지 않으면 포션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주위로 비산(飛散)하게 되어 의류 등을 더럽힐 가능성도 있었다.Since the shape of the potion container of the patent document is symmetrical in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tion container is set erroneously in the apparatus, and if the direction of the peeling guide portion is wrong, the contents may be ejected. Particularly, the possibility of the front and back fault is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shape of a wobble. If you do not take precise stubbing methods, the contents may scatter from the potion container to the surroundings, possibly damaging clothes.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포션용기의 세팅 오류를 방지하고, 잘못 세팅된 경우에도 주위를 더럽히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션용기 압축장치를 제공하는 점이다.A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which can be used safely so as to prevent setting error of the potion container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s even if the setting is wrong.

청구항 1의 포션용기 압축장치는 포션용기를 장치 본체의 받침부에 배치하여 찌부러뜨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션용기의 내용물을 밀어내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션용기를 배치하는 상기 받침부가 있으며, 상기 포션용기의 앞쪽에 개봉용이부가 있고, 상기 포션용기는 전후비대칭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포션용기의 앞쪽을 상기 받침부에 맞춘 배치를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포션용기의 뒤쪽을 상기 받침부에 맞춘 배치를 방지하는 배치오류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device for compressing a portion of a pot for storing a portion of the pot, Wherein the container has an asymmetrical front and rear shape, the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is allowed to be align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 placement error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a placement that is aligned with the portion is formed.

청구항 2의 포션용기 압축장치는 포션용기를 장치 본체의 받침부에 배치하여 핸들을 회동하고, 이 핸들에 의해 찌부러뜨려서 상기 포션용기의 내용물을 밀어내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션용기를 배치하는 상기 받침부가 있으며, 상기 포션용기의 앞쪽에 개봉용이부가 있고, 상기 받침부는 중심보다도 상기 핸들측에 있으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포션용기가 잘못 배치되어 상기 핸들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포션용기가 핸들 반대측으로 빠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tion container compressing device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tion container compressing device for disposing a potion container in a receiving portion of a device body to rotate the handle and crushing the handle to push out the contents of the potion container, Wherein the potion container is located on the handle side rather than the center, and when the potion container is misplaced and the handle is pivoted, the potion container is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As shown in Fig.

청구항 3의 포션용기 압축장치는 상기 포션용기는 대략 평탄한 바닥면부를 가지며, 상기 받침부에, 상기 바닥면부를 상기 핸들측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 container has a substantially flat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handle side.

청구항 4의 포션용기 압축장치는 상기 장치 본체가 주둥이 및 마개체로서 사용가능하여, 핸들 반대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음료를 마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in body can be used as a spout and a stopper, so that a drink can be drilled through a hol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배치오류방지부에 의해 포션용기의 전후를 역으로 배치할 수 없게 되어, 배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it is not possible to arrange the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placement error prevention portion, and arrangement error can be prevented.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포션용기를 잘못 배치하면, 핸들 회동시에 포션용기가 핸들 반대측으로 빠져버려 찌부러뜨릴 수가 없거나 찌부러뜨리기 어려워지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오류를 알아차리기 쉬어진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otion container is misaligned, the potion container slips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due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so that it can not be crushed or crushed.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에 포션용기를 비스듬히 배치하여, 대략 평탄하고 비스듬히 경사진 바닥면부를 핸들의 회동에 의해 찌부러뜨리기 때문에, 포션용기를 찌부러뜨리기 쉬어지며, 그 포션용기의 배치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서는 앞쪽을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하여 받침부에 배치할 때 배치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청구항 2에서는 비스듬히 배치한 포션용기가 잘못 배치된 경우, 밑으로 빠지기 쉬워진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since the potion container is arranged obliquely o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substantially flat and obliquely inclined bottom surface portion is crush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the potion container is liable to be crushed, . In addition, according to claim 1,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rrangement error when the front portion is disposed obliquely downwardly on the receiving portion, and in the second aspect, when the potion containers arranged at an angle are misaligned,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구멍을 유로로서 사용할 수 있어, 장치를 음료용 용기로서 사용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4, the hole can be used as a flow path, so that the device can be used as a beverag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잠금기구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잠금기구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핸들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핸들 장착부 주위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핸들을 회동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션용기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받침부 주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기를 단면으로 하여 받침부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션용기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덮개체측 지수(止水)부재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포션용기를 나타내며, 도 14 (A)는 포션용기의 평면도, 도 14 (B)는 포션용기의 사시도, 도 14 (C)는 포션용기의 종단측면도, 도 14 (D)는 포션용기의 측면도, 도 14 (E)는 포션용기의 사시도.
도 15는 수평상태로 잘못 배치한 포션용기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은 옆을 향하는 상태로 포션용기를 잘못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17은 플랜지부를 받침부 아래에 넣어 잘못 배치한 포션용기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낸 포션용기를 눌러 찌부러뜨리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 mechanis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ock mechanism in a s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periphery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o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dow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eriphery of a pedest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portion viewed from the bottom, with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e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potion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dow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main body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ectional view of a lid body side stop water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14 (B)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tion container, and Fig. 14 (C)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a potion container. Fig. 14 Fig. 14 (D) is a side view of the potion container, and Fig. 14 (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tion container.
1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otion container erroneously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is pushed down.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otion container is misplaced with a side facing. FIG.
Fig. 17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lange portion is put under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mispositioned potion container is pushed dow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otion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dow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필수요건인 것은 아니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do not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n addition,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is not an essential requir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이하, 본 발명을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적용한 실시예 1을 도 1 내지 1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포션용기 압축장치(1)는 손으로 쥘 수 있는 크기인 금속제의 바닥이 있는 용기(2) 위에 배치 또는 장착할 수 있으며, 이 예에서는 용기(2)의 상부개구(3)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Hereinafter, Embodiment 1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1 can be placed or mounted on a container 2 having a metal bottom which can be gripped by hand. In this example, the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1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opening 3 of the container 2 do.

상기 용기(2)는 내통(5)과 외통(4)의 상부개구(3)의 가장자리를 일체로 접합하고, 내통(5)과 외통(4) 사이의 공간을 진공 단열층(6)으로 한 단열 이중구조로서, 외통(4)의 상부 내주에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이하, '압축장치'라 함)를 나사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1암나사부(7)가 형성되어 있다. 그 압축장치(1)에 의해 포션용기(8)가 압축된다.The container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cylinder 5 and the edge of the upper opening 3 of the outer cylinder 4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ylinder 5 and the outer cylinder 4 is a vacuum heat insulating layer 6 As the double structure, a first internal thread portion 7 for screw-fixing a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pression devic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rnal cylinder 4. [ And the potion container 8 is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device 1.

상기 압축장치(1)는 모두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장치 본체인 주둥이 본체(10)와, 이 주둥이 본체(10) 외측에 결합되는 링부(11)와, 이 링부(11)의 하부에서 상기 용기(2)의 상부개구(3)에 외장하는 숄더부재(12)와, 이 숄더부재(1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핸들(13)을 구비한다.The compression device 1 comprises a spout body 10 which is a body of synthetic resin and a ring portion 11 which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pout body 10 and a ring portion 11, And a handle 13 mounted on one side of the shoulder member 12 so as to be rotatable.

상기 주둥이 본체(10)는 그 중심축선과 동축상으로 상기 상부개구(3) 위에 피착되는 원통형의 상방돌출벽(14)과, 이 상방돌출벽(14)의 하방에, 하방의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통부(15)를 통해 연결형성되는 하부원통부(16)가 일체로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주둥이 본체(10) 내에는 상기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안밖을 연통시키는 연통로(1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방돌출벽(14), 테이퍼 통부(15), 하부원통부(16)의 내벽에 의해 연통로(17)의 내벽이 형성되고, 이 연통로(17)에 의해 외부와 용기(2)의 내부가 연통한다. 또한, 상방돌출벽(14)의 상단이 입구부(14A)가 되어 주둥이가 되고, 이 입구부(14A)의 좌우가 주둥이로서 바람직하다.The spout body 10 has a cylindrical upward protruding wall 14 which is coaxially disposed on the upper opening 3 and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spout body 10 and has a downward diameter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connected to the tapered cylindrical portion 15 is integrally formed of synthetic resin and the communicating passage 17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pout body 10 in parallel with the central axis is formed .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wall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17 is formed by the upward projecting wall 14, the taper cylinder section 15 and the inner wall of the lower cylindrical section 16, )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urther, the upper end of the upward protruding wall 14 becomes the mouth portion 14A as the mouth portion 14A,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th portion 14A are preferable as the mouth.

또한, 상기 하부원통부(16)의 외주에는 상기 제1암나사부(7)에 고정하는 제1수나사(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원통부(16)의 하단둘레면에 고무 패킹 등으로 이루어진 주둥이 본체측 지수부재(19)가 형성되고, 이 주둥이 본체측 지수부재(19)는 단면이 대략 'ㄷ'자형을 이룬다. 또한, 주둥이 본체측 지수부재(19)는 상기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한 환형으로서, 하부원통부(16)의 하단둘레면에 상기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형성된 주둥이 본체측 장착부(20)에 결합고정되며, 외주를 상부개구(3)의 하부에 형성된 소직경부(3A)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first male screw 18 fixed to the first female screw portion 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A spout main body side index member 19 made of rubber packing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and the spout main body side index member 19 has a substantially "C" shape in cross section. The spout main body side exponent member 19 is annular with the center axis as the center and is attached to the spout main body side mounting portion 20 formed annularly around the center axis on the lower end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An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mall-diameter portion 3A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opening 3.

상기 숄더부재(12)는 상부개구(3)의 상부에 접촉하는 피복부(21)와, 이 피복부(21)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뜨려 설치한 원통부(22)를 가지며, 상기 숄더부재(12)는 상기 주둥이 본체(10)와는 별개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22)의 내면에는 환형의 결합돌기(2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개구(3)의 외주에 환형의 결합홈부(24)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23)를 결합홈부(24)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개구(3)에 숄더부재(12)가 고정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24)는 외통(4)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The shoulder member 12 has a covering portion 21 conta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opening 3 and a cylindrical portion 22 hanging down from the covering portion 21,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pout body 10. [ An annular coupling protrusion 2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22 and an annular coupling recess portion 2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opening 3. The coupling protrusion 23 By engaging with the engaging groove 24, the shoulder member 12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opening 3. Further,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cylinder 4.

또한, 상기 링부(11)의 상부에는 환형의 결합돌기(26)를 내측으로 향하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상방돌출벽(14)의 외주에 환형의 결합홈부(27)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26)를 결합홈부(27)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방돌출벽(14)의 하부에 링부(11)가 고정상태로 장착된다. 이 장착상태에서, 링부(11)가 숄더부재(12)의 상부를 덮음과 동시에, 상부개구(3)와 링부(11)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틈새(25)가 형성된다.An annular coupling projection 27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ng portion 11 and an annular coupling groove 27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upward projection wall 14, The ring portion 11 is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ward projecting wall 14 by engaging the flange portion 26 with the engagement groove portion 27. [ The ring portion 11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shoulder member 12 and a gap 25 is formed between the upper opening 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portion 11. [

상기 숄더부재(12)의 외주 일측에는 핸들용의 장착받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받이부(31)는 좌우 한 쌍의 장착암부(32, 32)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그 장착암부(32, 32)들의 하부에 연속하여 좌우의 결합암부(33, 33)를 외측에 돌출형성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장착암부(32)와 결합암부(33)가 연속하여 대략 L자형을 이룬다. 또한, 결합암부(33)는 선단측이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장착암부(32, 32) 사이에는 상기 핸들(13)의 회전중심축(34)이 형성되며, 이 회전중심축(34)의 중심은 상기 상부개구(3)의 상방에 위치한다.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oulder member 12, a mounting portion 31 for a handle is formed. The mounting bracket 31 is provided with a pair of right and left mounting arm portions 32 and 32 obliquely upwardly protruded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connecting arm portions 33 and 33 As shown in Fig. 2, the mounting arm portion 32 and the engaging arm portion 33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L-shaped in succession. Further, the coupling arm 33 is formed to have a lower tip end. A rotation center shaft 34 of the handle 13 is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mounting arm portions 32 and 32. The center of the rotation center shaft 34 is located above the upper opening 3 Located.

상기 핸들(13)은 상기 좌우의 장착받이부(31, 31) 사이에 배치되는 핸들(13)의 장착부(35)와, 이 장착부(35)의 선단에 형성된 대략 L자형의 핸들 본체(36)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35)가 상기 회전중심축(34)에 의해 상기 장착암부(3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핸들 본체(36)의 굴곡방향에 대해, 핸들(13)의 장착부(35)는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핸들 본체(3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handle 13 includes a mounting portion 35 of the handle 13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mounting receivers 31 and 31 and a substantially L-shaped handle body 36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portion 35. [ And the mounting portion 3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arm portion 32 by the rotation center shaft 34. [ The mounting portion 35 of the handle 1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body 36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handle body 36. [

또한, 핸들 본체(36)는 상기 결합암부(33)에 결합하는 핸들 기부(基部, 36K)와, 이 핸들 기부(36K)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형성된 핸들 선단부(36S)를 구비하며, 이들 핸들 기부(36K)와 핸들 선단부(36S) 사이에 굴곡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 장착부(35)와 핸들 기부(36K)의 좌우 폭방향 양측에는 장착받이부(31)의 폭에 대략 대응하게 좌우의 요부횡벽(凹部橫壁, 37, 37)을 형성하고, 즉, 핸들(13)에 있어서, 요부횡벽(37, 37)을 형성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좌우폭이 가늘게 형성되고, 좌우의 장착받이부(31, 31) 사이에 상기 장착암부(32)와 핸들 기부(36K)가 배치된다.The handle body 36 has a handle base portion 36K coupled to the engagement arm portion 33 and a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handle base portion 36K, A bent portion 36C is formed between the handle base portion 36K and the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Right and left recessed wall portions 37 and 3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mounting portion 35 and the handle base portion 36K in the left and right widthwise directions substantially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dth of the mounting receiving portion 31, In the handle 13, the portions where the concave lateral walls 37 and 37 are formed are narrower in width than the other portions, and the mounting arm portion 32 and the handle base portion 31 are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mounting portions 31 and 31. [ 36K.

고정사용위치인 초기위치에서, 상기 핸들 선단부(36S)는 하향으로, 결합암부(33)의 선단(33S)에 핸들 기부(36K)의 핸들 경계부(38)가 틈새를 두고 존재하고 있다. 초기위치에서 핸들(13)을 고정하는 잠금기구(40)의 잠금부재(4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잠금됨으로써, 핸들 경계부(38)에 일정 틈새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경계부(38)는 상기 요부횡벽(37)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The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is downward and the handle boundary portion 38 of the handle base portion 36K is located at the tip end 33S of the engaging arm portion 33 with a clearance at the initial position which is the fixed use position. Since the locking member 41 of the locking mechanism 40 that fixes the handle 13 at the initial position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ertain gap in the handle boundary 38 by locking. 9, the handle boundary 38 is form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concave lateral wall 37. As shown in Fig.

상기 잠금기구(40)는 숄더부재(12)의 외주에, 잠금 걸림부인 하향돌기(42)를 구비하고, 이 하향돌기(42)는 상기 장착받이부(31)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숄더부재(12)의 외주에 가로편(39)을 대략 수평으로 돌출형성하고, 이 가로편(39)의 선단측 하부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상기 하향돌기(42, 4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핸들 기부(36K)로부터 핸들 선단부(36S)의 상부에 걸쳐, 기단측 및 하부가 개구되는 함몰부(43)를 형성하고, 이 함몰부(43)에 상기 잠금부재(41)를 배치한다. 이 잠금부재(41)는 장착축부(44)를 삽입통과시키는 대략 통형상의 축삽입관통부(45)와, 상측으로 볼록해지는 대략 활모양의 만곡부(46)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만곡부(46)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의 상부에 상기 축삽입관통부(45)를 형성한다. 상기 만곡부(46)의 기단측(주둥이 본체(10)측)에, 상기 걸림받이부인 투공(透孔, 47)을 형성하고, 이 투공(47)에 대해 상기 하향돌기(42)가 결합/분리된다. 이 하향돌기(42)는 좌우방향으로 긴 조각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축삽입관통부(45)에 장착축부(44)를 헐겁게 삽입하고, 이 장착축부(44)를 함몰부(43)의 양측에서 핸들(13)에 장착하며, 이로써 핸들(13)의 함몰부(43)에 장착축부(44)를 중심으로 잠금부재(41)가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함몰부(43)는 하부만이 개구되고, 전후좌우가 막혀 있다. 또한, 만곡부(46)의 하면은 핸들(13)의 하면을 모방한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locking mechanism 40 has a downward protrusion 42 as a lock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oulder member 12 and the downward protrusion 42 is formed below the mounting receiving portion 31. Specifically, a lateral piece 39 is form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houlder member 12, and a pair of the downward projections 42 And 42 are formed. A depression 43 is formed at the proximal end side and the lower portion to be opened from the handle base portion 36K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and the lock member 41 is disposed in the depression 43 do. The locking member 41 integrally include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ft insertion portion 45 for allowing the mounting shaft portion 44 to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a substantially curved portion 46 which is convex upward. And the shaft insertion through-hole 45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46 substan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hrough hole 47 is formed i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curved portion 46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downward protrusion 42 is engaged / do. The downward protrusion 42 has a long plate shap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mounting shaft portion 44 is loosely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penetration portion 45 and the mounting shaft portion 44 is mounted on the handle 13 at both sides of the depressed portion 43. As a result, And the lock member 41 is rotatably formed on the mounting portion 43 at the center. Further,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43 is open,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closed.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46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mimics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13.

또한, 잠금기구(40)는 잠금부재(41)를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48)을 구비하고, 이 가압수단(48)은 상기 축삽입관통부(45)에 외장된 토션 코일 스프링으로서, 상기 투공(47)이 상기 하향돌기(42)에 걸리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압수단(48)의 단부(48A, 48B)가 함몰부(43)와 잠금부재(41)의 이면(46U)을 가압함으로써 걸림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43)에는 잠금부재(41)의 회동시에 상기 만곡부(46)의 선단이 닿는 기단측 접촉받이부(4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부(46)의 선단 상부가 선단측 접촉부(50)이다. 그리고, 상기 만곡부(46)의 선단측에 의해 잠금부재(41)의 조작부(46S)를 구성하고, 이 조작부(46S)에 돌기부(46D)를 형성하며, 이 돌기부(46D)는 좌우로 나란히 복수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48)의 일단(48A)은 상기 조작부(46S)의 선단측 이면(46U)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만곡부(46)의 기단측에는 상향으로 만곡된 커버부(46K)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커버부(46K)는 상기 장착축부(44)를 중심으로 한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커버부(46K)가 상기 가압수단(48)을 덮도록 하여 감추고 있다. 이로써,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핸들(13)을 회동했을 때에, 커버부(46K)에 의해, 가압수단(48)이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The locking mechanism 4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means 48 for pressing the locking member 41 to rotate. The pressing means 48 is a torsion coil spring enclosed in the shaft insertion through-hole 45, And presses the through-hole 47 in a direction in which it engages the downward projection 42. More specifically, the end portions 48A and 48B of the pressing means 48 hold the depressed portion 43 and the back face 46U of the lock member 41 in a locked state. The lower end side contact receiving portion 49 is formed at the depression 43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curved portion 46 contacts the locking member 41.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ortion 46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side (50). The manipulating portion 46S of the lock member 41 is formed by the tip end of the curved portion 46 and the protruding portion 46D is formed in the manipulating portion 46S. The protruding portion 46D has a plurality of Respectively. One end 48A of the pressing means 48 is engaged with the front end side 46U of the operating portion 46S. The cover portion 46K is integrally form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curved portion 46 and is curved upwardly. The cover portion 46K is formed in an arc shape about the mounting shaft portion 44, (46K) covers the pressing means (48). Thus, as shown in Fig. 7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handle 13 is rotated, the cover portion 46K makes it difficult for the pressing means 48 to visually confirm.

추가로, 상기 하향돌기(42)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안내부인 경사부(42A)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이 경사부(42A)에 상기 만곡부(46)의 기단측 단부(46T)가 결합된다. 이 기단측 단부(46T)는 모떼기를 한 대략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비잠금상태의 핸들(13)을 초기위치측으로 회동하면, 상기 경사부(42A)에 기단측 단부(46T)가 닿아 결합되고, 가압수단(48)의 가압에 대항하여 잠금부재(41)가 회동하며, 기단측 단부(46T)가 하향돌기(42)의 하부를 통과한 후, 가압수단(48)의 가압에 의해 하향돌기(42)에 투공(47)이 걸려 지지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42A)는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내측(주둥이 본체(10)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하향돌기(42)의 내측에는 상하방향의 세로가장자리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투공(47)의 외측가장자리부(47A)는 상기 경사부(42A)에 대응되게 경사지며, 이 투공(47)의 내측가장자리부(47B)는 상기 세로가장자리부(42B)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An inclined portion 42A as a guide portion is partially formed on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downward projection 42 and the base end side end portion 46T of the curved portion 46 is engaged with the inclined portion 42A. When the unlocked handle 13 is pivoted toward the initial position, the base end 46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42A, The locking member 41 is pivoted against the urging of the pressing means 48 and the base end side end portion 46T passe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downward protrusion 42, And the through hole 47 is engaged with the downward projection 42. In addition, the inclined portion 42A is inclined so as to approach the inside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downwardly from above. A vertical edge portion 42B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wnward protrusion 42. [ 4, the outer side edge portion 47A of the through hole 47 is inclined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42A, and the inner side edge portion 47B of the through hole 47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edge And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42B.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돌기(42)가 투공(47)에 걸려지지되는 상태가 핸들(13)의 잠금상태이며, 여기에서 조작부(46S)를 위로 밀면, 가압수단(48)의 가압에 대항하여 잠금부재(41)가 비잠금방향으로 회전하고, 만곡부(46)의 선단측 접촉부(50)가 접촉받이부(49)에 닿기 전에 핸들(13)이 비잠금상태가 되어, 핸들(13)을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부재(41)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가압수단(48)에 의해 핸들 기부(36K)의 좌우 하측가장자리(36G, 36G)에 만곡부(46)의 기단측 상면(46J)이 닿아 잠금부재(41)가 위치결정된다. 이 위치결정상태에서, 핸들(13)을 아래쪽으로 돌리면, 만곡부(46)의 기단측 단부(46T)가 경사부(42A)에 안내되어, 하향돌기(42)에 투공(47)이 걸리며, 핸들(13)이 초기위치에서 위치고정된다.1, the state in which the downward protrusion 42 is hooked to the through hole 47 is the locked state of the handle 13. Here, when the operating portion 46S is pushed upward, The lock member 41 rotates in the non-locking direction against the urging of the contact portion 49 of the curved portion 46 before the tip contact portion 50 of the curved portion 46 touches the contact receiving portion 49, The handle 13 can be rotated upward. 5,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 member 41 is not operated, the left and right lower edges 36G and 36G of the handle base portion 36K are pressed by the pressing means 48 to the base side upper surface So that the locking member 41 is positioned. In this positioning state, when the handle 13 is turned downward, the base end 46T of the curved portion 46 is guided by the inclined portion 42A, the through hole 47 is engaged with the downward projection 42, (13) is fixed at its initial position.

이 경우, 도 3 및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로편(39) 위에는 고무 패킹 등으로 이루어진 핸들 가압용 탄성부재(57)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57)는 상기 가로편(39)의 상면과 상기 숄더부재(12)의 하측가장자리 사이에 끼여 고정되는 기부(57A)와, 볼록형 곡면의 접촉부(57B)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접촉부(57B)의 변형을 허용하기 위해, 접촉부(57B)와 기부(57A)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핸들(13)의 잠금상태에서, 상기 핸들장착부(35)와 핸들본체(36) 사이의 굴곡부(35C)의 내면이 상기 접촉부(57B)에 압접하여,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57B)가 탄성변형되고, 그 접촉부(57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4에서 부호를 붙인 화살표 Y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3)이 상방으로 회동지지된다. 이로써 핸들(13)이 하방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으며, 잠금부재(41)와 하향돌기(42)의 걸림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걸림상태에서, 상기 하향돌기(42)의 세로가장자리부(42B)가 투공(47)의 내측가장자리부(47B)에 닿는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the like, a handle pressing elastic member 57 made of rubber packing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lateral piece 39. The elastic member 57 integrally includes a base portion 57A fixedly hel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piece 39 and the lower edge of the shoulder member 12 and a contact portion 57B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In order to allow deformation of the contact portion 57B,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57B and the base portion 57A. 3,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35C between the handle mounting portion 35 and the handle body 36 is pressed against the contact portion 57B in the locked state of the handle 13, 57B are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handle 13 is pivotally supported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abutting portion 57B as indicated by an arrow Y in Fig. Thereby, the handle 13 is not rotated downward, and the engagement state of the lock member 41 and the downward projection 42 is maintained. In addition, in this engaged state, the longitudinal edge portion 42B of the downward projection 42 contacts the inner edge portion 47B of the through hole 47.

또한,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3)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만곡부(46)의 하면은 상기 핸들 선단부(36S)의 하면과 연속하도록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있다.1 and 2,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handle 13,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46 is curv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상기 주둥이 본체(10) 내에는 포션용기(8)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받침부(51)가 형성되고, 이 받침부(51)의 상부에 포션용기(8)가 비스듬이 배치된다. 또한, 받침부(51)는 상기 회전중심축(34)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받침부(51)는 주둥이 본체(10)의 일측인 핸들(13)측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원통부(16)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로방향의 오버행부(52)를 형성하고, 이 오버행부(52)의 면적은 하부원통부(16)의 내주 단면적의 1/2 정도이며, 이 오버행부(52)의 내측가장자리(52F)는 외측으로 움푹패여 형성되고, 주둥이 본체(10)의 중앙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오버행부(52)에 의해 받침판을 구성하고 있다,The spout body 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51 for detachably mounting the potion container 8 and the potion container 8 is arranged obliquely above the receiving portion 51. Further, the receiving portion 51 is located below the rotation center shaft 34. [ The support portion 5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andle 13 which is one side of the spout main body 10 and forms an overhang 5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The inner peripheral edge 52F of the overhanging portion 52 is formed to be recessed outward and the inner peripheral edge 52F of the inner peripheral edge 52F of the inner peripheral edge 52F of the inner peripheral edge 52F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Further, the overhanging portion 52 constitutes a base plate,

또한, 상기 오버행부(52)의 좌우방향 중앙에 중앙부 누름쇠(53)를 형성하고, 이 중앙 누름쇠(53)를 사이에 끼고 좌우에 손톱모양 받침부(54, 54)를 주둥이 본체(10)의 중앙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있다. 이 손톱모양 받침부(54)는 핸들(13)측보다 중앙측으로 높아지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으며, 그 손톱모양 받침부(54)의 상면(54J)의 각도는 수평에 대해 20~70도, 바람직하게는 50도이다. 또한, 손톱모양 받침부(54)의 선단은 만곡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54J)의 연장선이 상기 내통(5)의 내주면과 교차하도록 상기 각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각도를 20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내용물이 하부원통부(16)에 강하게 닿지않고 용기(2) 내로 분출할 수 있으며, 또한, 각도가 70도를 초과하면, 포션용기(8)의 형상에 따라서는 핸들 선단부(36S)가 들린 상태에서 포션용기(8)를 찌부러뜨리게 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그 각도는 70도 미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핸들 선단부(36S)가 들린 상태에서 포션용기(8)를 찌부러뜨릴 수 있기 때문에, 포션용기(8)를 비스듬 방향으로부터 찌부러뜨릴 수 있다.A center presser 5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verhanging portion 5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nail-like base portions 54 and 54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The nail-shaped support portion 54 is formed obliquely so as to be higher toward the center than the side of the handle 13. The angle of the upper surface 54J of the nail-shaped support portion 54 is 20 to 7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Is 50 degrees. In addition, the distal end of the nail holder 54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is case, the angle is formed such that the extension line of the upper surface 54J interse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5. When the angle is 20 degrees or more, the contents do not strongly contact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2, and when the angle exceeds 70 degre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otion container 8, the potion container 8 may be crush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is held The angle is preferably less than 70 degrees. Since the potion container 8 can be crush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is held in this way, the potion container 8 can be crushed from the oblique direction.

중앙부 누름쇠(53)는 상기 손톱모양 받침부(54)의 상면(54J)와 간격을 두고 대략 평행한 하면(53K)을 가짐과 아울러, 포션용기(8)의 세로홈부(69) 부근을 포션용기(8)를 찌부러뜨렸을 때에 떠오르지 않도록 누르는 누름부(55)를 가지며, 이 누름부(55)는 상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누름부(55)의 하단(55K)은 선단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손톱모양 받침부(54)의 상면(54J)의 기단과 오버행부(53) 사이에는 단차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 누름쇠(53)가 돌기형상의 배치오류방지부이며, 그 중앙부 누름쇠(53)의 선단이 포션용기(8)의 세로홈부(69)에 결합 및 삽입된다. 또한, 주둥이 본체(10)의 하부원통부(16)와 상기 받침부(51) 사이에 구멍인 주둥이 구멍(58)이 형성되고, 이 주둥이 구멍(58)은 상기 연통로(17)의 일부를 구성한다.The center presser 53 has a lower surface 53K which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54J of the fingernail receiving portion 54 with a gap therebetween and a portion near the vertical groove portion 69 of the potion container 8, The pushing portion 55 is formed upward and the lower end 55K of the pushing portion 55 is formed in a pointed shape with a tip end have. A stepped portion 56 is formed between the base end of the upper surface 54J of the nail-shaped support portion 54 and the overhang portion 53. [ The distal end of the center portion presser 53 is engaged with and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portion 69 of the potion container 8. The center portion presser 53 is a protrusion- A spout hole 58 is formed between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of the spout main body 10 and the receiving portion 51. The spout hole 58 is formed in a part of the communication passage 17 .

여기서, 포션용기(8)의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포션용기(8)는 합성수지제의 용기본체(61)의 개구부 둘레에 플랜지부(62)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부(62)의 상면에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 등의 수지시트로 성형된 밀봉덮개(63)를 열용착 등에 의해 부착시켜 구성되며, 상기 용기본체(61) 내에 수용공간(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본체(61)를 상하방향 신축가능한 주름통형상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핸들(13)에 의한 포션용기(8)의 압축조작에 따라, 용기본체(61)로부터 밀봉덮개(63)의 일부가 벗겨져 수용물을 누출가능하게 하는 개봉용이부인 박리유도부(65)를 포션용기(8)의 앞쪽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포션용기(8)는 전후비대칭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의 포션용기(8)의 플랜지부(62)는 좌우대칭 형상을 이룬다.Here, an example of the potion container 8 will be described. The container portion 8 is formed by forming a flange portion 62 around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main body 61 made of synthetic resin and sealing the cover portion 62 formed of a resin sheet such as an aluminum laminate film 63 by heat welding or the like, and a housing space 64 is formed in the container main body 61. As shown in Fig. A sealing lid 63 is formed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61 in accordance with the compression opera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by the handle 13 while forming a wrinkled tube shape capable of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container main body 6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otion container (8) so as to allow the contents to be leaked. Then, the potion container 8 has an asymmetric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62 of the potion container 8 of this embodiment has a symmetrical shape.

또한, 용기본체(61)는 개구부로부터 바닥면부(66)를 향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또한 용기본체(61)에 단차부(67)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61)는 상기 단차부(67)의 상부가 하부가 작게 형성되고, 그 단차부(67)에 의해 용기본체(61)는 주름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부(66)는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둥근형태이든 사각형태이든 좋다. 또한, 바닥면부(66)는 플랜지부(62)와 약간 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며, 이 각도는 15도 이하가 포션용기(8)의 용적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The container body 61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from the open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and the container body 61 is provided with the stepped portion 67 so that the container body 6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epped portion 67 The container body 6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tube by the stepped portion 67.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is formed in a flat surface shape, and may be round or rectangular.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is formed at a slight angle with the flange portion 62, and this angle is preferably 15 degrees or less in terms of the volume efficiency of the potion container 8.

또한, 포션용기(8)에는 도 14 (A) 내지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61)의 측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끝이 뽀죡한 돌출부(68)가 형성되며, 핸들(13)의 조작에 따라 용기본체(61)가 수축하려고 해서, 용기본체(61) 내의 내압이 상승하면 밀봉덮개(63)를 외측으로 밀어 열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 끝이 뾰족한 돌출부(68)로부터 밀봉덮개(63)의 일부가 벗겨지도록 박리유도부(6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끝이 뾰족한 돌출부(68)를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끝이 뾰족한 돌출부(68)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패인 세로홈부(69)가 형성되고, 용기본체(61)에서 상기 세로홈부(69)의 양측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로홈부(69)가 포션용기(8)측의 결합부이다.14 (A) to 14 (E), the potion container 8 is formed with a protruding portion 68 having a sharp end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61, When the inner pressure of the container main body 61 rise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ealing lid 63, the force to push the sealing lid 63 outwardly acts to act from the protruding portion 68, And the peeling inducing portion 65 i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peeling layer 63 is peeled off. The projecting portion 68 is formed with a projecting portion 68 projecting inwardly so that the projecting portion 68 has a tapered portion 69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68. In the container body 61, Are protruded outward. The longitudinal groove portion 69 is the engaging portion on the potion container 8 side.

상기 주둥이 본체(10)의 입구부(14A)에는 상기 핸들(13)에 대응되게 절결부(7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절결부(70)는 상방돌출벽(14)의 일부를 절결한 본체측 절결부(70A)와 링부(11)의 일부를 절결한 링부측 절결부(70B)를 구비한다. 이 링부측 절결부(70B)는 상기 링부(11)의 상측가장자리 및 외주를 움푹패이게 한 오목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70)는 상기 핸들(13)의 폭보다 폭넓게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70)를 형성함으로써, 핸들 선단부(36S)가 상방돌출벽(14)의 타측 상단에 근접하는 근접위치까지 핸들(1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근접위치에서, 상기 굴곡부(36C)가 상기 절결부(70)의 바닥부에 근접한다.A notch 70 is formed in the mouth portion 14A of the spout body 10 to correspond to the handle 13. The cutout 70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upward protruding wall 14, Side cutout portion 70A and a ring-side cutout portion 70B in which a part of the ring portion 11 is cut. The ring side cutout portion 70B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which the upper edge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ng portion 11 are recessed. The notch 70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handle 13. 7, the handle 13 can be rotated to a close position where the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is close to the other upper end of the upward projecting wall 14, by forming the cutout portion 70. [ In this proximity position, the bent portion 36C comes close to the bottom of the cutout portion 70. [

이와 같이 핸들(13)을 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받침부(51)에 배치한 포션용기(8)를 핸들(13)의 핸들 기부(36K)의 상면(36J)이 가압하며, 이 상면(36J)에 의해, 만곡면으로 형성된 가압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핸들 기부(36K)가 상방돌출벽(14)의 상단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면(36J)과 중앙부 누름쇠(53)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The upper surface 36J of the handle base portion 36K of the handle 13 is pressed by the upper surface 36J of the potion container 8 disposed on the receiving portion 51 by rotating the handle 13 upward, Thereby forming a pressing surface formed of a curved surfac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36J and the center presser 53 at a position where the handle base 36K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upward projecting wall 14. [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둥이 본체(10)의 상부에는 지수(止水)기능을 구비한 덮개체(71)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덮개체(71)는 합성수지제의 덮개 상부(72)와 덮개 하부(73)를 일체로 형성하여 된다.As shown in FIG. 1, a lid body 71 having a water stop function is detachab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pout body 10. The lid body 7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cover upper portion 72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lid lower portion 73.

상기 덮개 상부(72)는 천장이 있는 통형상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둥이 본체(10)에 삽입하여 상기 연통로(17)를 닫고, 상판부(74)와, 이 상판부(74)의 주위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외주부(75)를 일체로 구비한다.The lid upper part 72 is formed of a tubular body having a ceiling and is inserted into the lid body 10 to close the communication path 17 and to cover the upper plate part 74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part 74 downward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75 formed integrally therewith.

또한, 상기 덮개 하부(73)는 통형상부(76)의 상단에 수평 외향의 플랜지(77)를 마련하고, 통형상부(76) 내의 상측에 상기 통형상부(76)를 막도록 덮개 중간 폐색판부(78)가 형성되며, 상기 통형상부(76)의 하단 둘레면에 고무 패킹 등으로 이루어진 덮개체용 지수탄성부재인 덮개체측 지수부재(79)가 형성되고, 덮개체측 지수부재(79)는 단면이 대략 'ㄷ'자형을 이룬다. 이 덮개체측 지수부재(79)는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한 환형으로서, 덮개 하부(73)의 하단 둘레면에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형성된 덮개체 지수탄성부재 장착부인 덮개체측 장착부(80)에 결합고정한 것으로, 외주를 상기 주둥이 본체(10)의 하부원통부(16)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lid lower portion 73 is provided with a flange 77 which is horizontally outwardly directed at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76 and which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76 to cover the cylindrical portion 76, A cover body side exponential member 79 which is an elastic elastic member for a cover body made of rubber packing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76, Sectional shape is approximately 'C' shaped. The lid body side exponent member 79 is annular with the center axis as the center, and the lid body side expansive member 79 is provided on the lid body side mounting portion 80 which is a lid body expansiv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formed annularly around the center axis on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id lower portion 73 So th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of the spout body 10.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측 지수부재(79)는 단면이 대략 'ㄷ'자형을 이룬다. 이 덮개체 지수부재(79)의 내주오목부(79A)는 상기 덮개체측 장착부(80) 외측에 밀착상태로 결합하여 위치결정함으로써 이탈방지가 이루어지며, 또한 덮개체측 지수부재(79)의 외주면에는 그 상하로 상기 하부원통부(16)에 밀착되는 만곡볼록부(79B, 79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덮개체측 지수부재(79)의 만곡볼록부(79B)는 단면이 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주둥이 본체(10)의 하부원통부(16)의 내주면에 결합된 상태로 만곡볼록부(79B)가 상측으로 변형되어, 그 내주면에 꼭 대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lid body side exponent member 79 has a substantially "C" -shaped section. The inner peripheral concave portion 79A of the lid body exponent member 79 is engaged with the outer side of the lid body side mounting portion 80 in an adhered state to be positioned so as to prevent separation. And curved convex portions 79B and 79B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urved convex portion 79B of the lid body side exponent member 79 has a tongue-shaped cross s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of the spout body 10, Is deformed upward, and is tightly fit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주둥이 본체측 지수부재(19)도, 덮개측 지수부재(79)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며, 그 내주오목부(19A)가 주둥이 본체측 장착부(20) 외측에 밀착상태로 결합하여 위치결정함으로써 이탈방지가 이루어지며, 또한 주둥이 본체측 지수부재(19)의 외주면에는 그 상하로 상기 소직경부(3A)에 밀착되는 만곡볼록부(19B, 19B)를 갖는다.Similarly, the spout main body side exponent member 19 also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cover side exponent member 79, and its inner circumferential concave portion 19A is engaged with the outside of the spout main body side attachment portion 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ut main body side exponent member 19 has curved convex portions 19B and 19B which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mall diameter portion 3A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그리고, 상기 상판부(74)의 하면에 플랜지(77)를 초음파 용착이나 접착제, 억지끼워맞춤 결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덮개 상부(72)와 덮개 하부(73)가 일체화된다. 또한, 상방돌출벽(14)의 외면에 제 2 수나사부(81)가 형성되고, 이 제 2 수나사부(81)에 결합하는 제 2 암나사부(82)가 상기 덮개체(71)의 외주부(75)의 내면에 형성되어, 이들 수나사부(81)와 암나사부(82)의 결합에 의해, 주둥이 본체(10)에 덮개체(71)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The flange 77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74 by ultrasonic welding, adhesive, interference fit or the like so that the lid upper portion 72 and the lid lower portion 73 are integrated. The second male threaded portion 8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ward projecting wall 14 and the second female threaded portion 82 engaged with the second male threaded portion 81 is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ver body 71 And the lid body 71 is detachably formed on the spout main body 10 by the engagement of the male threaded portion 81 and the female threaded portion 82. [

이어, 상기 압축장치(1)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덮개체(71)를 벗기고, 상기 포션용기(8)를, 그 용기본체(61)가 받침부(51)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이 배치상태에서, 박리유도부(65)가 연통로(17)를 향하도록 형성한다(도 8). 즉, 상기 배치상태에서, 손톱모양 받침부(54, 54) 사이에 위치하여, 박리유도부(65) 아래에 하방공간(83)이 위치하며, 이 하방공간(83)은 받침부(51)보다 하방의 하부원통부(16) 및 용기(2)의 내부공간에 의해 구성된다.Next, a method of using the compression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The cover body 71 is peeled off and the potion container 8 is placed so that the container body 61 is positioned on the receiving section 51. [ In this arrangement state, the separation inducing portion 65 is formed so as to face the communication passage 17 (Fig. 8). That is, in the above-mentioned disposition state, the lower space 83 is positioned below the peel guide portion 65 and located between the nail-like receiving portions 54, 54, and the lower space 83 is located below the receiving portion 51 A lower lower cylindrical portion 16 and an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2. [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상태에서, 플랜지부(62)의 상면의 비스듬히 하향의 연장선(101)은 덮개체측 지수부재(80)의 하방을 통해 내통(5)의 내주면을 향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선(101) 위에서 개봉용이부의 앞(비스듬히 하방)에, 내용물이 분출되었을 때의 비산공간(1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62)의 상면이 배치상태의 포션용기(8)의 바닥부 면이다. 또한, 플랜지부(62)는 상기 손톱모양 받침부(54)의 상면(54J)과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다.8, an obliquely downward extension line 101 of the upper face of the flange portion 62 is directed to the inner peripheral face of the inner cylinder 5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lid body side exponential member 80, as shown in Fig. A scattering space 102 is formed on the extension line 101 in front of the easy opening portion (obliquely downward) when the contents are ejected.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62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ion container 8 in the arranged state. In addition, the flange portion 62 is disposed at the same angle as the upper surface 54J of the nail-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션용기(8)를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포션용기(8)의 플랜지부(62) 일측(앞쪽)을 좌우의 손톱모양 받침부(54, 54)의 상면(54J)에 올려놓음과 아울러, 플랜지부(62)의 좌우방향 중앙을 중앙부 누름쇠(53)의 하면(53K) 아래에 삽입배치하면, 플랜지부(62)의 타측(도 8에서 우측)이 상방돌출벽(14)의 내면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배치한다. 이 경우, 플랜지부(62)의 타측은 상방돌출벽(14)의 상단측에서, 그 상단보다 하방으로 배치된다. 또한, 배치상태에서, 좌우로 떨어진 손톱모양 받침부(54, 54) 사이에, 포션용기(8)의 개봉용이부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상방돌출벽(14)의 핸들반대측이 받침부(51)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벽(14K)이다.8, one side (the front side) of the flange portion 62 of the potion container 8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nail-shaped supporting portions 54, 54 with the potion container 8 facing downward And the center of the flange portion 62 is inserted below the lower surface 53K of the central portion presser 53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62 And is disposed adjacent to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ward projecting wall 14. In this case, the oth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62 is dispos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jecting wall 14. Further, in the arrangement state, the easy opening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is positioned between the nail-shaped supporters 54, 54 which are left and right. The rear wall 14K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51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andle of the upward projecting wall 14. [

또한, 도 9 및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방벽(14K)에는 상기 플랜지부(62)의 상면을 받는 팽출부(14B)가 형성되며, 이 팽출부(14B)는 배치상태의 플랜지부(62)의 상면을 올려놓는 안착면(14S)를 구비한다. 이 안착면(14S)은 상기 손톱모양 받침부(54)의 상면(54J)과 동일방향으로 경사지고, 그 안착면(14S)은 상방에서 볼 때 상방돌출벽(14)의 내주의 1/2 이하인 치수를 이루고, 그 치수는 1/3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출부(14B)의 양단(14T)은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벽(14K)측에서는 배치상태의 플랜지부(62)의 상면 가장자리측을 안착면(14S)이 지지한다.9 and 12, the rear wall 14K is provided with a swelling portion 14B receiv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62. The swelling portion 14B is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And a seating surface 14S o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62 is placed. The seating surface 14S is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surface 54J of the nail supporter 54 and the seating surface 14S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rojecting wall 14 Or less, and the dimension thereof is preferably 1/3 or more. Both ends 14T of the swelling portion 14B are formed to have sharp ends. On the side of the rear wall 14K, the seating surface 14S supports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flange portion 62 in the deployed state.

이와 같이 하여 포션용기(8)를 받침부(51)에 배치한 상태에서, 용기본체(61)의 좌우중앙에 위치하는 세로홈부(69)에 결합부(55)가 삽입되고, 플랜지부(62)의 앞쪽이 좌우 양측의 손톱모양 받침부(54)에 지지되며, 플랜지부(62)의 뒤쪽이 안착면(14S)에 올려져 지지되고, 이로써 포션용기(8)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engaging portion 55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portion 69 located at the right and left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61 and the flange portion 62 Is support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nail-like receiving portions 54 and the rear side of the flange portion 62 is supported on the seating surface 14S so that the potion container 8 is stably supported.

한편,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수평상태로 포션용기(8)가 상기 중앙 누름쇠(53) 위에 타도록 배치하면, 예를 들면, 전후 방향은 서로 맞지만, 핸들(13)과 접촉하는 각도가 달라, 핸들(13)로 포션용기(8)를 밀어내게 되어 찌부러뜨릴 수 없게 되거나, 핸들(13)로 포션용기(8)를 밀어넣어도 찌그러지는 양이 부족하여 개봉에 이르지 않거나, 연통로(17)에 빠져서 개봉에 이르지 않거나 하여 내용물을 분출할 수 없다. 또한, 도 16과 같이 포션용기(8)를 옆을 향하게 하여 세팅하고자 하여도, 받침부(51)에 세팅할 수는 없다. 또한, 도 16에서는 포션용기(8)의 전후를 평면에서 90도 회전시킨 옆을 향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90도 이외에도 포션용기(8)의 전후를 정확한 방향으로 하지 않으면, 받침부(51)에 세팅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5, when the pot container 8 is placed on the central pushing piece 53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for example,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re matched with each other, The handle 13 may not push the potion container 8 out and may not be crushed or may not be opened even if the potion container 8 is pushed in by the handle 13, 17) and can not reach the opening or eject the contents. In addition, even if the potion container 8 is set to face sideways as shown in Fig. 16, it can not be set on the receiving portion 51. [ 1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back of the potion container 8 are turned sideways rotated 90 degrees from the plane. If the front and rear of the potion container 8 are not set in the correct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90 degrees, Can not set.

이와 같이, 포션용기(8)를 수평상태나 옆을 향하도록 잘못 세팅을 한 경우 사용자는 잘못 세팅한 것을 알아차릴 수 있으며, 잘못된 사용을 하지 않고, 포션용기(8)는 찌부러뜨리지 않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는 찌부러뜨리기에 의해 의류 등 주위를 더럽히는 일도 없다. 이 경우의 '빠진다'란 완전히 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찌부러뜨릴 수 없을 정도로 위치가 내려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의 손톱모양 받침부(54)의 하측에 포션용기(8)의 플랜지부(62)가 세팅된 경우에도 포션용기(8)는 찌부러뜨리더라도 분출하는 방향은 정상상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외부에 내용물이 분출하는 일은 없다. 이 경우, 포션용기(8)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아래쪽이 되기 때문에, 핸들(13)로 포션을 다 찌부러뜨릴 수 없어, 사용자는 당초 목적으로 하고 있던 찌부러뜨리기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세팅 오류를 알아차릴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otion container 8 is erroneously set to face horizontally or sideways,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erroneous setting has been made. Since the potion container 8 is not erroneously used without erroneous use, There is also no dirt around the clothes and clothing by stubbing. In this case, 'missing' does not mean a complete fall, but it means that the position is so low that it can not be collapsed. 17, even when the flange portion 62 of the potion container 8 is set below the right and left nail-shaped receiving portions 54, the potion container 8 is prevented from being ejected in the direction Is the same as the normal state, so that the contents do not spout out. 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is relatively downward, the potion can not be removed by the handle 13, and the user can not obtain the stubbing effect originally intended, I can notice.

한편, 전후를 반대로 하여 포션용기(8)를 받침부(51)와 후방벽(14K)에 세팅하면, 받침부(51)에 대한 플랜지부(62)의 결합이 불충분하게 되어, 이 상태에서 포션용기(8)에 핸들(13)이 닿으면, 포션용기(8)가 좌우의 손톱모양 받침부(54)로부터 벗어나, 연통로(17)에 떨어지거나, 찌부러뜨리기 어렵게 되어, 배치오류상태에서 포션용기(8)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세로홈부(69)에 중앙부 누름쇠(53)가 충분히 삽입되어 있지 않거나, 기타 포션용기(8)의 형상에 의한 제약으로 포션용기(8)가 전후대칭으로 세팅할 없기 때문에 발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tion container 8 is set on the receiving portion 51 and the rear wall 14K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reversed, the engagement of the flange portion 62 with the receiving portion 51 becomes insufficient, When the handle 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tainer 8, the potion container 8 is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nail-shaped receiving portions 54 and falls down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17 or is difficult to crush, The container 8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rushed.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central portion presser 53 is not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portion 69 or because of the restriction of the shape of the other portion container 8 that the portion 8 can not be set back and forth symmetrically.

그리고, 사용자는 잠금부재(41)를 조작하여 핸들(13)의 잠금을 해제하고, 핸들(13)을 상방으로 회동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 선단부(36S)가 거의 수직이 된 위치에서, 핸들(13)의 상면(36J)이 포션용기(8)의 바닥면부(66)에 닿으며, 여기로부터 핸들 선단부(36S)를 하방으로 돌리도록 힘을 가하면, 바닥면부(66)가 플랜지부(62)와 거의 평행하게 가압되어 찌부러지고, 용기본체(61) 내의 압력이 상승하며, 이로써 용기본체(61)로부터 밀봉덮개(63)의 박리유도부(65)가 벗겨져 내용물이 비스듬히 하방으로 분출된다. 또한, 이 분출방향은 거의 플랜지부(62)의 연장선상이거나 이보다 약간 하방이 된다.The user then releases the lock of the handle 13 by operating the lock member 41 and rotates the handle 13 upwar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distal end 36S is substantially vertical The upper surface 36J of the handle 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of the potion container 8 and the force is applied so as to turn the handle tip portion 36S downward, The pressure in the container main body 61 rises so that the peeling guiding portion 65 of the sealing lid 63 is peeled off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61 and the contents are jetted obliquely downward do. Further, the ejecting direction is almost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flange portion 62 or slightly below this.

이 경우, 핸들(13)은 회전중심축(3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사용자는 핸들 선단부(36S)를 조작하며, 이 조작 부위보다 회전중심축(34)에 가까운 상면(36J)이 포션용기(8)를 가압하기 때문에, 지레의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다. 또한, 핸들 선단부(36S)를 눌러 내리는 동작에 의해 용기본체(61)를 가압하기 때문에, 힘을 가하기 쉽다.In this case, the handle 13 rotates about the rotation center shaft 34, and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front end 36S, and the upper surface 36J closer to the rotation center shaft 34 than the operation portion Since the container 8 is pressed, the contents can be pushed out with a small force by the principle of the lever. Further, since the container main body 61 is pressed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down the handle distal end portion 36S, the force is liable to be applied.

이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상기 용기(2)에는 가온된 물을 수용하고, 포션용기(8)에는 농축스프를 수용하여, 필요시에 핸들(13)의 조작에 의해 포션용기(8) 내의 농축스프를 따뜻한 물에 혼입시켜 따뜻한 스프를 마실 수 있게 하거나, 포션용기(8)에는 농축음료를 수용하여, 필요시에 핸들(13)의 조작에 의해 포션용기(8) 내의 농축음료를 찬 물에 혼입시켜 차가운 음료를 마실 수 있게 하거나, 용기(2)에는 커피를 수용함과 아울러, 포션용기(8)에는 우유나 설탕 등을 수용해 두고, 필요시에 커피에 우유나 설탕을 혼입시켜 마실 수 있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수납물은 액체 이외에도, 설탕과 같은 과립형의 것이어도 좋으며, 이와 같이 액체나 과립 등의 유동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for example, the container 2 is filled with warmed water, the potion container 8 is filled with the concentrated soup, and if necessary,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13, The concentrated soup can be mixed with the warm water to drink the hot soup or the concentrated drink can be stored in the potion container 8 and the concentrated drink in the potion container 8 can be cool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13, The container 2 can contain coffee, and the potion container 8 can contain milk or sugar. When necessary, milk or sugar can be mixed into the coffee, Or to do so. In addition to the liquid, the stored substance may be a granular substance such as suga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or granule has fluidity.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1에 대응하여, 포션용기(8)를 장치 본체인 주둥이 본체(10)의 받침부(51)에 배치하여 찌부러뜨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션용기(8)의 내용물을 밀어내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있어서, 포션용기(8)를 배치하는 받침부(51)가 있으며, 포션용기(8)의 앞쪽에 개봉용이부인 박리유도부(65)가 있고, 포션용기(8)는 전후비대칭 형상을 이루며, 받침부(51)에는 포션용기(8)의 앞쪽을 상기 받침부(51)에 맞춘 배치를 허용함과 동시에 포션용기(8)의 뒤쪽을 상기 받침부(51)에 맞춘 배치를 방지하는 배치오류방지부인 중앙부 누름쇠(5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션용기(8)를 중앙 누름쇠(53) 위에 배치하거나, 좌우 손톱모양 받침부(54) 아래에 배치하거나, 전후 반대로 배치하거나 하여도, 포션용기(8)를 찌부러뜨릴 수 없거나 찌부러뜨리는 양이 목적과 다르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팅오류를 알아차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 등 주위를 더럽히는 일 없이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ntents of the potion container 8 are pushed by the action of disposing the potion container 8 on the receiving portion 51 of the spout main body 10, which is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The potion container 8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51 for placing the potion container 8 thereon and a peeling guide portion 65 for facilitating the opening of the potion container 8 in front of the potion container 8, The rear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is align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51 so that the front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is align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51,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potion container 8 on the central presser 53 or place it below the left and right claw-like receiving portions 54, The amount of the container container 8 which can not be crushed or crashed Because different or enemies, as well as the user can recognize the setting error, you can safely use the product without staining around the clothing.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2에 대응하여, 포션용기(8)를 장치 본체인 주둥이 본체(10)의 받침부(51)에 배치하여 핸들(13)을 회동하고, 이 핸들(13)에 의해 찌부러뜨려서 상기 포션용기(8)의 내용물을 밀어내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있어서, 포션용기(8)를 배치하는 받침부(51)가 있으며, 포션용기(8)의 앞쪽에 개봉용이부인 박리유도부(65)가 있고, 받침부(51)는 중심보다도 핸들(13)측에 있으며, 받침부(51)는 포션용기(8)가 잘못 배치되어 핸들(13)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포션용기(8)가 핸들 반대측(13)으로 빠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포션용기(8)를 잘못 배치하면, 핸들(13)의 회동시에 포션용기(8)가 핸들 반대(13)측의 연통로(17)에 빠져 찌부러뜨릴 수 없거나 찌부러뜨리기 어렵거나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오류를 알아차리기 쉬워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potion container 8 is disposed on the receiving portion 51 of the spout main body 10 to rotate the handle 13, (5) for disposing the potion container (8), wherein the potion container (8) has a receiving portion (51) in which the potion container (8) is collapsed to push out the contents of the potion container The receiving portion 51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handle 13 rather than the center and the receiving portion 51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potion container 8 when the potion container 8 is misaligned and the handle 13 is rotated. The portion container 8 is pivoted to the communication path 17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13 when the potion container 8 is misplaced, It is easy to notice the error because the user can not fall out or it is hard to crush.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3에 대응하여, 포션용기(8)는 대략 평탄한 바닥면부(66)를 가지며, 받침부(51)에, 바닥면부(66)를 핸들(13)측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이와 같이 받침부(51)에 포션용기(8)를 비스듬히 배치하여, 대략 평탄하고 비스듬히 경사진 바닥면부(66)를 핸들(13)의 회동에 의해 찌부러뜨리기 때문에, 포션용기(8)를 찌부러뜨리기 쉬어지고, 그 포션용기(8)의 배치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서는 앞쪽을 비스듬히 아래측으로 하여 받침부(51)에 배치할 때, 배치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청구항 2에서는 비스듬히 배치한 포션용기(8)가 배치오류인 경우, 밑으로 빠지기 쉬워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potion container 8 has a substantially flat bottom surface portion 66,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is inclined toward the handle 13 side in the receiving portion 51 The potion container 8 is arranged obliquely on the receiving portion 51 and the bottom portion 66 inclined in a substantially flat and oblique manner is crush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13. As a result, So that the arrangement error of the pot container 8 can be prevente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rrangement error when the front portion is arranged obliquely downward in the receiving portion 51. In the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when the positional container 8 arranged in an oblique manner is misaligned, Loses.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청구항 4에 대응하여, 장치 본체인 주둥이 본체(10)가 주둥이 및 마개체로서 사용가능하여, 핸들 반대(13)측에 형성한 구멍인 연통로(17)로부터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주둥이 구멍(58)을 유로로서 사용할 수 있어, 장치를 음료용 용기로서 사용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out main body 10, which is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can be used as a spout and a stopper, And the spout hole 58 can be used as a flow path, so that the device can be used as a beverage container.

이하, 실시예 상의 효과로서, 포션용기(8)를 받침부(51)에 배치하여 찌부러뜨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션용기(8)의 내용물을 밀어내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있어서, 포션용기(8)를 비스듬히 배치하는 받침부(51)가 있으며, 포션용기(8)의 앞쪽에 개봉용이부인 박리유도부(65)가 있고, 포션용기(8)는 받침부(51)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벽(14K)과 받침벽(51) 사이에 배치되므로, 포션용기(8)의 앞쪽을 받침부(51)에 배치하였을 때에 박리유도부(65)의 아래에 하방공간(83)이 있기 때문에, 받침부(51)와 이 후방의 후방벽(14K)의 2군데에 의해 포션용기(8)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받는다. 이로써, 포션용기(8)는 균형있게 유지되며, 압축에 의해 확실하게 바닥면의 밀봉덮개(63)를 부풀게 하여, 포션용기(8)의 내용물을 개봉용이부로부터 분출시킬 수 있다.In the potion container compressing device for pushing the contents of the potion container 8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potion container 8 is placed on the receiving section 51 and crushed, And a potion container 8 is provided at a front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in the rear wall 51a located at the back of the potion container 51, Since the lower space 83 is located below the separation inducing portion 65 when the front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51, 51 and the rear wall 14K on the rear side thereof receive a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the potion container 8. As a result, the potion container 8 is kept in a balanced state, and the compression lid reliably inflates the sealing lid 63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contents of the potion container 8 can be ejected from the easy opening portion.

또한, 포션용기(8)의 바닥부 면의 연장선(101) 상에서 박리유도부(65) 앞에 포션용기(8)의 내용물이 분출되었을 때의 비산공간(102)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분출된 내용물이 상방으로 비산하기 어려워진다.Since the fogging space 102 is formed on the extension line 101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ion container 8 when the contents of the potion container 8 are sprayed in front of the peeling inducing portion 65, .

또한, 받침부(51)는 좌우에 손톱모양 받침부(54, 54)가 있고, 중앙에 중앙부 누름쇠(53)가 있으며, 손톱모양 받침부(54, 54)에 배치되었을 때에 포션용기(8)의 일부인 플랜지부(62)가 중앙부 누름쇠(53)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좌우의 손톱모양 받침부(54, 54)와 중앙부 누름쇠(53) 사이에 포션용기(8)의 플랜지부(62)를 끼울 수 있기 때문에, 상방에서 압축하여 포션용기(8)를 찌부러뜨린 경우에도, 포션용기(8)가 떠오르기 어려워진다.The receiving portion 51 has nail-like receiving portions 54 and 5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a central pressing portion 53 at the center thereof. When the receiving portion 51 is disposed on the nail-shaped receiving portions 54 and 54, Of the potion container 8 between the left and right nail-like support portions 54 and 54 and the center-portion presser 53 is set so that the flange portion 62 which is a part of the nail- The flange portion 62 can be inserted, so that even when the container 8 is compressed by upward compression, the potion container 8 becomes difficult to float.

또한, 후방벽(14K)에는 상방돌출벽(14)의 내주가 부분적으로 부풀어오른 팽출부(14B)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14B)에 안착면(14S)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이 안착면(14S)에 의해 플랜지부(62)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Since the inner wall of the upward protruding wall 14 is partially bulged and the bulging portion 14B is formed in the rear wall 14K and the seating surface 14S is formed in the bulging portion 14B, The flange portion 62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flange portion 14S.

또한, 실시예 상의 효과로서, 장치 본체인 주둥이 본체(10)에, 포션용기(8)를 배치하는 받침부(51)와, 회전가능한 핸들(13)을 형성한 포션용기 압축장치로서, 포션용기(8)는 개봉용이부인 박리유도부(65)를 가지며, 핸들(13)의 회동동작에 의해 받침부(51)에 배치한 포션용기(8)를 압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지레의 원리를 사용하여 핸들(13)에 의해 포션용기(8)를 찌부러뜨릴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회전식에 비해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운반시에 핸들(13)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As an effect of the embodiment, as a potion container compressing device in which a pedestal portion 51 in which a potion container 8 is disposed and a rotatable handle 13 are formed on a spout main body 10 as an apparatus main body, Since the container 8 has the peeling inducing portion 65 which is not easy to open and the potion container 8 disposed on the receiving portion 51 can be compressed by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handle 13, So that the potion container 8 can be crushed by the handle 13, so that not only the convenience is excellent but also the size can be made compact as compared with the rotary type. Further, the handle 13 can be used at the time of transportation, which is very convenient.

또한, 포션용기(8)는 경사지게 받침부(51)에 배치되기 때문에, 안의 내용물이 분출했을 때에 잘 비산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플랜지부(62) 뿐만 아니라, 바닥면부(66)도 경사지게 배치된다.Further, since the potion container 8 is disposed at the inclined receiving portion 51, the contents do not scatter well when the contents therein are ejected. In this case, not only the flange portion 62, but also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are also inclined.

또한, 받침부(51)는 핸들(13)의 회전중심축(34)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받침부(51)보다 상방으로 회전중심축(34)이 있는 핸들(13)로 포션용기(8)를 누름으로써, 핸들(13)의 누름력으로 압축할 수 있어 힘을 걸기 쉽다.Since the support portion 51 is positioned below the rotation center shaft 34 of the handle 13, the handle 13 having the rotation center shaft 34 above the support portion 51 is supported by the potion container 8), it can be com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handle 13, and it is easy to apply a force.

또한, 용기(2) 위에 장치 본체인 주둥이 본체(10)를 배치 또는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포션용기(8)에 농축음료가 들어 있을 경우, 찌부러뜨린 음료를 차가운 물이나 따뜻한 물에 의해 희석하고, 차가운 물이면 필요에 따라 얼음을 넣어 음료를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out body 10, which is the apparatus main body, can be placed or mounted on the container 2, when the concentrated drink is contained in the potion container 8, the spouted drink is diluted with cold water or warm water If you have cold water, you can make a drink by adding ice as needed.

또한, 받침부(51)의 상부에 주둥이인 입구부(14A)를 형성하여 용기(2) 내의 음료를 마실 수 있기 때문에, 음료를 직접 마실 수 있어 보다 편리성이 향상된다.Further, since the mouth portion 14A, which is a spou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51 to drink the beverage in the container 2, the beverage can be drunk directl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또한, 장치 본체인 주둥이 본체(10)의 상부에 지수기능을 가진 덮개체(71)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덮개체(71)를 닫아 만든 음료를 휴대할 수 있어 보다 휴대성이 향상된다.Further, since the covering body 71 having the exponential function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pout body 10 as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the beverage made by closing the covering body 71 can be carried and the portability is improved.

또한, 핸들(13)이 초기위치에서 잠금기구(4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핸들(13)을 고정하여 휴대하거나 음료를 마시거나 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handle 13 is fixed by the lock mechanism 40 at the initial position, the handle 13 can be fixed and carried or drinkable.

또한, 잠금 기구(40)를 핸들(13)의 하부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핸들(13)의 잠금해제조작이 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외관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의장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lock mechanism 4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3, not only is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handle 13 easy, but also the effect on the appearance is small, and the decoration is excellent.

또한, 주둥이인 입구부(14A)에는 핸들(13)의 회전위치에 절결부(70)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핸들(13)의 회전중심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션용기(8)도 깊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의장성이 높고 스페이스가 절약된다.Since the cutout portion 70 is formed 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handle 13 in the mouth portion 14A serving as a spout, not only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handle 13 can be lowered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potion container 8 So that the design is high and the space is saved.

또한, 실시예 상의 효과로서, 용기(2)에 주둥이 본체(10) 및 링부(11)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그들 주둥이 본체(10) 및 링부(11)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링부(11)에는 핸들(13)의 회동위치에 링부측 절결부(70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13)의 회동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잠금기구(40)는 비잠금상태의 핸들(13)을 초기위치로 회동하면, 자동적으로 잠기며, 구체적으로는 하향돌기(42)가 투공(47)에 걸려 잠금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잠금상태의 잠금부재(41)는 함몰부(43)에 거의 수납되기 때문에, 핸들(13)이 외관 의장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잠금부재(41)에 돌기부(46D)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돌기부(46D)에 닿음으로써 조작부(46S)의 위치를 알 수 있다. 게다가, 덮개체(71)를 씌움으로써 절결부(70)를 가릴 수 있다. 또한, 핸들(13)의 하부에 함몰부(43)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잠금기구(40)를 수납할 수 있다.As the effect of the embodiment, since the spout body 10 and the ring portion 11 are detachably provided in the container 2, the spout body 10 and the ring portion 11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Since the ring portion 11 is provided with the ring side cutout portion 70B at the pivotal position of the handle 13, a wide range of rotation of the handle 13 can be ensured. The lock mechanism 40 is automatically locked when the handle 13 in the unlocked state is rotated to the initial position. Specifically, the downward protrusion 42 can be locked in the through hole 47 to be locked. Further, since the locking member 41 in the locked state is almost housed in the depression 43, the handle 13 has excellent appearance designability. Since the protruding portion 46D is formed on the lock member 41,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46S can be known by touching the protruding portion 46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ver the cutout portion 70 by covering the cover body 71. Further, since the depression 4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3, the lock mechanism 40 can be housed.

[실시예 2][Example 2]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세히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플랜지부(62)에 대해 바닥면부(66)를 평행으로 하지않고 각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바닥면부(66)의 박리유도부(65)와 반대측이 플랜지부(62)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핸들(13)을 압축방향으로 회전하면, 만곡된 상면(36J)이 바닥면부(66)를 대략 평행하게 누름으로써 압축할 수 있다.18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example, the angle is formed without making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parallel to the flange portion 62.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is located close to the flange portion 62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eparation inducing portion 65 And when the handle 13 is rotate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the curved upper surface 36J can be compressed by pressing the bottom surface portion 66 substantially in parallel.

또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대략 원통형의 용기 및 장치 본체를 나타내었는데, 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개봉용이부는 실시예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핸들에 일체로 형성한 회전중심축을, 용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도 좋다. 또한, 청구항 1에서는 핸들에 한정하지 않고, 배경기술에 기재한 종래의 방식 등으로 포션 용기를 찌부러뜨려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container and the apparatus main body are shown, but they may be square. In addition, the ease of opening is not limited to those of the examples, and various ones can be used. In addition, the rotation center shaft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container body.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tion container may be crushed by a conventional method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not limited to the handle.

1 : 포션용기 압축장치 8 : 포션용기
10 : 주둥이 본체(장치 본체) 51 : 받침부
53 : 중앙부 누름쇠(배치오류방지부) 58 : 주둥이 구멍(구멍)
65 : 박리유도부(개봉용이부) 66 : 바닥면부
1: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8: Potion container
10: spout main body (apparatus main body) 51:
53: Center stop (placement error prevention part) 58: Snout hole (hole)
65: peeling induction portion (easy opening portion) 66: bottom surface portion

Claims (4)

포션용기를 장치 본체의 받침부에 배치하여 찌부러뜨리는 동작에 의해 상기 포션용기의 내용물을 밀어내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션용기를 배치하는 상기 받침부가 있으며,
상기 포션용기의 전측에 개봉용이부가 있고,
상기 포션용기는 전후비대칭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포션용기의 전측을 상기 받침부에 맞춘 배치를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포션용기의 후측을 상기 받침부에 맞춘 배치를 방지하는 배치오류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용기 압축장치.
A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apparatus for pushing the contents of a potion container by an operation of disposing a potion container on a receiving section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crushing the potion container,
And the support portion for disposing the potion container,
There is an easy-to-open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pot container,
The pot container has an asymmetrical shape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erein the positio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rrangement error preventing portion for permitting the arrangemen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in alignment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for preventing the rear portion of the potion container from being align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Compression device.
포션용기를 장치 본체의 받침부에 배치하여 핸들을 회동하고, 상기 핸들에 의해 찌부러뜨려서 상기 포션용기의 내용물을 밀어내는 포션용기 압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션용기를 배치하는 상기 받침부가 있으며,
상기 포션용기의 전측에 개봉용이부가 있고,
상기 받침부는 중심보다도 상기 핸들 측에 있으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포션용기가 잘못 배치되어 상기 핸들이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포션용기가 핸들 반대측으로 빠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용기 압축장치.
A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in which a potion container is disposed in a receiving portion of a device body to rotate a handle, and is crushed by the handle to push out the contents of the potion container,
And the support portion for disposing the potion container,
There is an easy-to-open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pot container,
The receiving portion is located closer to the handle than the center,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potion container is pulled ou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when the potion container is misplaced and the handle is pivot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션용기는 대략 평탄한 바닥면부를 가지며,
상기 받침부에, 상기 바닥면부를 핸들측으로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용기 압축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t container has a substantially flat bottom surface,
Wherein the bottom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handle side in the receiving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가 주둥이 및 마개체로서 사용가능하여, 핸들 반대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음료를 마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션용기 압축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pparatus main body can be used as a spout and a stopper so that the drink can be drunk through a hol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KR1020140029635A 2013-03-14 2014-03-13 Portion cup compressing device Withdrawn KR2014011345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1359A JP5552178B1 (en) 2013-03-14 2013-03-14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JPJP-P-2013-051359 2013-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454A true KR20140113454A (en) 2014-09-24

Family

ID=5141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635A Withdrawn KR20140113454A (en) 2013-03-14 2014-03-13 Portion cup compressing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63441A1 (en)
JP (1) JP5552178B1 (en)
KR (1) KR20140113454A (en)
CN (1) CN104042128A (en)
TW (1) TW201446597A (en)
WO (1) WO201414222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1146S1 (en) 2016-05-04 2018-06-26 Hardy Steinman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D815901S1 (en) 2016-05-04 2018-04-24 Hardy Steinman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USD849482S1 (en) * 2017-09-15 2019-05-28 Helen Of Troy Limited Vessel with en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171U (en) * 1984-08-23 1986-03-20 サントリー株式会社 two-component storage container
US5514394A (en) * 1994-07-29 1996-05-07 Lenahan; Robert F. Cereal package
JP4473399B2 (en) * 2000-03-10 2010-06-02 サンフーズジャパン株式会社 Hand juicer
JP4485869B2 (en) * 2004-07-21 2010-06-23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Container lid for mixing
JP5005201B2 (en) * 2005-08-30 2012-08-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Mixer tap
NL1031955C2 (en) * 2006-03-09 2007-09-11 Weasy Pack Internat Ltd Portion packaging and semi-liquid product.
ES2616069T3 (en) * 2010-08-13 2017-06-09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Device, system and procedure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from a capsule
JP5564737B2 (en) * 2010-12-27 2014-08-06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Liquid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46597A (en) 2014-12-16
JP5552178B1 (en) 2014-07-16
JP2014176452A (en) 2014-09-25
US20140263441A1 (en) 2014-09-18
WO2014142227A1 (en) 2014-09-18
CN104042128A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2139B2 (en) Lid and brewing unit for beverage containers
BR112019002032B1 (en) SYSTEM TO PREPARE AN AMOUNT OF DRINKS SUITABLE FOR CONSUMPTION
HK1207047A1 (en) Beverage container
US20160309943A1 (en) Beverage machine
KR20140113454A (en) Portion cup compressing device
JP5546660B1 (en)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CN107600679B (en) Lid unit and beverage container
JP2008207874A (en) Overcap
JP5498601B1 (en) Plug body mounting structure having shoulder member of beverage container
EP3282902A1 (en) Capsule opener device
KR101520176B1 (en) Cap of drink container
JP2008179390A (en) Bottle to be opened single way
JP5546661B1 (en)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JP5608254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JP5699236B1 (en) Potion container compression device
CN106455851B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refillable multi-dose container
KR200474060Y1 (en) Beverage container for children
JP6794287B2 (en) Lid with opening tool
US10463056B2 (en) Single-serve liquid coffee concentrate
JP2009057064A (en) Beverage container
JP5875486B2 (en) Beverage extractor
KR20170027942A (en) one touch milk straw cup
JP6014078B2 (en) Beverage container
JP6788771B2 (en) Portable beverage bottle
CN113413051A (en) Heat insulation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1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