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746A -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movable sinker - Google Patents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movable sin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0746A KR20140110746A KR1020140024159A KR20140024159A KR20140110746A KR 20140110746 A KR20140110746 A KR 20140110746A KR 1020140024159 A KR1020140024159 A KR 1020140024159A KR 20140024159 A KR20140024159 A KR 20140024159A KR 20140110746 A KR20140110746 A KR 201401107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er
- needle bed
- bed gap
- support portion
- nee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8 resili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싱커잭의 작용을 받는 부분에 대하여, 싱커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도록 하더라도, 토크 스프링과 싱커가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싱커(11)의 수동암(11c)은, 피벗지지부(11a)와 작용암(1lb)의 사이에서 분기된다. 싱커잭(12)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켜서 싱커(11)가 개방상태로 되더라도, 가압부(12d)로부터 타단(13b)측에 대한 가압도 약해지기 때문에,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싱커잭(12)의 가압부(12d)와 선단부(12c)를 접근시킬 필요가 없어,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3)이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assignment)
A horizontal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capable of relieving the restriction of a shape that a torque spring and a sinker can take even if a stress acting on the torque spring does not become excessive in a sinker opened state with respect to a portion affected by the sinker jack to provide.
(Solution)
The male hand 11c of the sinker 11 is branched between the pivot supporting portion 11a and the operation arm 11b. Even if the sinker jack 12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2 and the sinker 11 is opened, the pressing from the pressing portion 12d to the other end 13b side also weakens, The stress of the torque spring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 It is not necessary to bring the pressing portion 12d and the tip end portion 12c of the sinker jack 12 closer to each other and the restriction of the shape that the sinker 11 and the torque spring 13 can take can be relax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폐할 수 있고, 폐쇄상태에서는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것이 가능한, 가동싱커(可動sinker)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movable sink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apable of pushing down a knitted fabric in a closed state.
종래로부터, 횡편기에서는 편침과 함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서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싱커를, 가동(可動)으로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를 참조). 이 가동싱커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니들베드갭 근방에서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와, 피벗지지부로부터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용암(作用arm)과, 피벗지지부로부터 니들베드갭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암(受動arm)을 구비한다. 피벗지지부는, 원호 모양이고, 니들베드측에 형성되는 원호 모양으로 움푹 패인 지지부(支持部)에 결합되고, 원호의 중심이 가상적(假想的)인 회전지점(回轉支點)이 된다. 가동싱커에는, 피벗지지부보다 내측의 지점으로 치우친 공간으로 만곡(彎曲) 부분이 수용되어,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도 형성된다. 작용암의 선단 부근에는 편사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편성되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는 편성포의 스티치를 밀어내리는 기능을 구비한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it is known that, in a flat knitting machine, a sinker that forms a stitch in a needle bed gap together with a knitting needl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moving it (see, for example,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켜서 훅(hook)에 편사를 공급하는 스티치 형성 시 등에 있어서,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개방상태(開放狀態)로 하기 위하여 싱커잭(sinker jack)이 사용된다. 싱커잭은, 니들베드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기구에 의하여 구동되어, 선단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에서 싱커의 수동암에 결합된다. 결합상태에는 여유가 있어, 싱커의 폐쇄상태에서도 편사수용부에 편성포로부터 반력(反力)을 받으면, 토크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편성포로부터의 반력을 완화시킨다.A sinker jack (not shown) is provided in order to rotate the operation arm in the direction of retracting from the needle bed gap to form an open state when the stitch is formed by advancing the knitting needle to the needle bed gap and supplying the knitting yarn to the hook, ) Is used. The sinker jack is driven by a cam mechanism mounted on a carriage running along the needle bed, and is engaged with the male camber of the sinker at the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leading end side. When the knitting yarn is received in the knitting yarn accommodating portion even in the closed state of the sinker, the arm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etreating from the needle bed gap against the pressure by the torque springs, It relaxes the reaction force from.
또 특허문헌1의 가동싱커에서는, 일단(一端)측을 싱커의 작용암에 접합시킨 토크 스프링의 타단(他端)측을 니들베드측에서 지지하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개방상태에서는, 토크 스프링의 일단측이 타단측에 근접하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에 걸리는 힘이 폐쇄상태보다 커지게 된다. 토크 스프링은, 싱커의 폐쇄상태에서 크게 밀어내리는 힘을 얻으려고 하면,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응력이 과대(過大)가 될 우려가 있다.In the movable sinker disclosed in
특허문헌2의 가동싱커에서는, 싱커잭의 결합부에 니들베드의 바닥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를 형성하고, 선단부의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측에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지지한다.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에 근접시키면, 선단부에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가압하고, 토크 스프링의 일단측에서 싱커를 가압하기 때문에, 싱커가 폐쇄상태가 되어 크게 밀어내리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선단부의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으로 수동암을 인입시켜서 싱커가 개방상태가 된다. 선단부의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측은,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가압하지 않게 되어,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the movable sinker disclosed in
특허문헌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동싱커에서는, 폐쇄상태에서의 토크 스프링에 대한 가압과 개방상태에서의 수동암에 대한 인입은, 싱커잭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돌기 모양의 선단부의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측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측과의 표리에 의하여 접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토크 스프링과 싱커에 의하여 싱커잭의 선단부의 작용을 받는 부분은, 취할 수 있는 형상에 제약을 받는다.In the movable sinker as shown in
본 발명의 목적은, 싱커잭의 작용을 받는 부분에 대하여, 싱커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도록 하더라도, 토크 스프링과 싱커가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sinker which can relieve a restriction on a shape that can be taken by a torque spring and a sinker even if a stress acting on the torque spring does not become excessive in a sinker- To provide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에 접하는 니들베드의 선단측에, 니들 플레이트(5, 25, 45)의 두께를 감소시킨 박육부의 일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부에 일부가 수용되는 싱커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열되어 설치되고,A sinker, which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a receiving portion formed by including a portion of a thinned portio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needle plates (5, 25, 45) is reduced, is rotatably mounted on a tip end side of a needle bed adjacent to a needle bed gap Respectively,
각 싱커는,Each sinker,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편사수용부가 형성되는 선단이 니들베드갭 내로 연장되는 만곡한 작용암과, 니들베드측에 형성되고 회전지점을 포함하는 피벗지지부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동암을 구비하고,A curved operating arm having a tip end formed with a knitting yarn accommodating portion for pushing down the knitted fabric and extending into the needle bed gap, a pivot supporting portion formed on the needle bed side and including a turning point, Comprising a male cane,
일단측이 싱커에 결합되고,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타단측이 싱커잭에 형성되는 가압부로부터 가압을 받는 토크 스프링에 의하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 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폐쇄상태가 되고,When the one end side is coupled to the sinker and the sinker jack is advance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needle bed gap, the action spring enters the needle bed gap by the torque spring which is pressed from the pressing portion formed on the sinker jack at the other end side To be closed,
선단측에 니들베드의 바닥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선단부가 수동암에 작용하여 후퇴시켜서, 작용암이 니들베드갭 내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방상태가 되는,When the sinker jack having the leading end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bottom of the needle bed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the leading end acts on the male canthole and retreats so that the acting arm retracts from the needle bed gap Which is a rotating state,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I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movable sinker,
싱커의 수동암은, 피벗지지부와 작용암의 사이로부터 분기되고,The handwheel of the sinker is branched from between the pivot support portion and the action arm,
싱커잭의 가압부는,The pusher of the sinker jack,
선단부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고,And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tip end,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싱커의 폐쇄상태에서 가압하고,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가압하지 않거나 또는 가압을 약하게 하는 것을The other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s is press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sinker so as not to pressurize or weaken the pressure in the open state of the sinker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And a movable sinker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lat knitting machine.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잭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선단부보다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부터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inker jack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needle bed gap, inclining downward from a posi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to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토크 스프링은,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되돌려져서 상기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형상을 구비하고,And a shape extending from the one end si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and return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so that the other end side is retur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needle bed gap,
되돌아가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타단측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보다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싱커잭의 상기 가압부로부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가압되는 것을The other end side closer to the needle bed gap is pressed downward from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inker jack to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needle bed gap than the rotation point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의 상기 수동암과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타단측은,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수동암이 상기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측으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hammer of the sinker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 extend upwardly away from the bottom of the needle bed, and the water hammer of the torque spring is extend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 wash arm approaches the needle bed gap. The end sides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상기 싱커잭은,In the sinker jack,
상기 선단부에 연속하여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And a concave portion that is formed so as to open downward to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continuously to the front end portion,
오목부의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의 벽면을 상기 가압부로 하는 것을And the wall surfa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of the concave portion is used as the pressing portion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피벗지지부는,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니들 플레이트의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원호 모양의 하부 피벗지지부와,An arc-shaped lower pivot suppor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toward a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and supported by a lower sinker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needle plate,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또한 두께방향에 대하여 니들 플레이트의 박육부측으로 오프셋되어 돌출되고, 박육부에 형성되는 상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원호 모양 상부 피벗지지부를 구비하고,And an arc-shaped upper pivot support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and offset toward the thin-wall portion side of the needle plat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and supported by the upper sinker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thin-
하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과 상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은 공통인 축선 상에 있는 것을The turning point of the lower pivot support and the turning point of the upper pivot support are on a common axis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토크 스프링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싱커에 일체화하여 결합하고 있는 것을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orque spring is integrally joined to the sinker at the one end side
특징으로 한다.
.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의 수동암은, 피벗지지부와 작용암의 사이로부터 분기되고,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싱커잭의 선단부의 작용을 받아서 후퇴하여, 싱커는 개방상태가 되도록 회전한다. 싱커의 폐쇄상태에서는, 싱커에 일단측이 결합되는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이 싱커잭에 형성되는 가압부로부터 가압을 받는다. 싱커잭이 싱커의 수동암과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에 작용하는 선단부와 가압부는,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싱커의 수동암과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이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가압부는 선단부로부터 간격을 두기 때문에,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에 대한 가압을 약하게 하도록 하여,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에 걸리는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아, 폐쇄상태보다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e cam follower of the sinker is branched from the pivot support portion and the action arm, and when the sinker jack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the sinker rock is retracted under the action of the tip of the sinker jack, . In the closed state of the sinker, the other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 to which the one end is coupled to the sinker, is pressed by the pressurizing portion formed in the sinker jack. Since the tip portion and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inker jack acting on the other end of the handwheel and the torque spring of the sinker are formed at the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estriction of the shape that the other end of the handwheel and the torque spring of the sinker can take . The pressure appli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 is made weak in the open state of the sinker so that the stress applied to the torque spring in the open state of the sinker is not excessively increased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closed state have.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잭에는, 선단부보다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부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부가 형성된다. 가압부는,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의 성분이 커지게 되도록 가압하여, 토크 스프링의 일단측을 통하여 싱커를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싱커에 있어서 작용암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편사수용부가 니들베드갭에서 편성포로부터의 반력을 받으면,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으로부터 싱커잭의 가압부로 부여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의 성분이 커지게 되어,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의 성분은 작아지게 된다. 싱커잭은, 토크 스프링으로부터 가압부로 힘이 부여되더라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기 어렵게 되어, 싱커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jack is formed with a pressing portion that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posi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toward the bottom of the needle bed,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the needle bed gap. The pressing portion can press the other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 so that the lower component to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becomes larger and rotate the sinker through the one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ing arm enters the needle bed gap have. In the sinker, when a yarn accumulating portion formed on the tip side of the action arm receives a reaction force from the knitted fabric in the needle bed gap, a force applied from the other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inker jack is generated. This force causes the upward component away from the bottom of the needle bed to become large, and the component in the direction of retracting the sinker jack from the needle bed gap becomes small. The sinker jack is difficult to retract from the needle bed gap even if a force is applied from the torque spring to the pressing portion, so that the sinker can easily maintain the closed state.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스프링은, 일단측으로부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되돌려져서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형상을 구비한다. 되돌림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반력을 싱커잭에 부여하는 방향도, 싱커잭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que springs have a shape extending from one end sid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and return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 side approaches the needle bed gap. Since the length of the torque springs is increased by the returning, stress concentra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torque spring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ction force is applied to the sinker jacks can be made to be difficult to retract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have.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잭은, 선단부에 연속되어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를 구비한다. 오목부에 있어서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의 벽면을 가압부로 하기 때문에,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하는 방향에 대한 오목부의 폭을 크게 하면,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과 싱커의 수동암을 분리할 수 있어, 토크 스프링과 싱커에서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jack has a concave portion continuous to the leading end portion and opening downward to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Since the wall surfa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is a pressing portion in the concave portion, if the width of the concav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 retrac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eedle bed gap is increased, the other end of the torque spring and the h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restriction of the shape that can be taken by the torque springs and sinkers.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의 피벗지지부는, 하부 피벗지지부와 함께 상부 피벗지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싱커의 회전을 니들베드의 바닥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함과 아울러,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부터도 제한하여, 회전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상부 피벗지지부는 두께방향에 대하여 하부 피벗지지부로부터 오프셋시키기 때문에, 니들 플레이트의 수용부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싱커지지부와, 박육부에 형성되는 상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vot support portion of the sinker forms the upper pivot support portion together with the lower pivot support portion, the rotation of the sinker is directed down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needle bed, So that the positional deviation at the time of rotation can be reduced. Since the upper pivot support portion is offset from the lower pivot suppor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it can be supported by the lower sinker support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needle plate and the upper sinker support portion formed at the thinner portion.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스프링과 싱커에서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이 완화되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의 일단측을 싱커의 작용암과 피벗지지부의 사이에서 일체화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triction of the shape that can be taken by the torque springs and the sinkers is alleviated, it is also easy to integrate the one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s between the working arms of the sinkers and the pivot support portion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가동싱커(1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가동싱커(10)를 구성하는 싱커(11), 싱커잭(12) 및 토크 스프링(13)과, 니들베드(3)를 구성하는 기대(4) 및 니들 플레이트(5)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가동싱커(30)를 구성하는 싱커(31), 싱커잭(32) 및 토크 스프링(33)과, 니들베드(23)를 구성하는 기대(24) 및 니들 플레이트(25)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으로서의 가동싱커(50)를 구비하는 횡편기(4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가동싱커(50)를 구성하는 싱커(51), 싱커잭(52) 및 토크 스프링(53)과, 니들베드(43)를 구성하는 기대(44) 및 니들 플레이트(45)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4의 싱커(51)에 형성하는 하부 피벗지지부(51a) 및 상부 피벗지지부(51g)의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 및 측면도와, 니들 플레이트(45)에 형성하는 하부 싱커지지부(45d) 및 상부 싱커지지부(45g)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flat knitting machine 41 including a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7 is a partial 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s of the lower pivot supporting portion 51a and the upper pivot supporting portion 51g formed in the
이하, 도1 및 도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가동싱커(可動sinker)(10)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1)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3 및 도4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5, 도6 및 도7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3으로서의 가동싱커(50)를 구비하는 횡편기(41)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실시예1과 실시예2와 실시예3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참조부호의 수치를 20씩 다르게 하고 있다. 실시예2, 실시예3에 관한 설명에서는, 실시예1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1 and 2 show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또 실제로는, 도1, 도3 및 도5에 나타내는 니들베드(needle bed)(3, 23, 43)가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 22, 42)측에서 높고, 니들베드갭(2, 22, 4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수평의 자세로 나타낸다. 니들베드(3, 23, 43)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이라고 하여 나타낸다. 횡편기(1, 21, 41)에서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3, 23, 43)가 니들베드갭(2, 22, 4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단일(單一)의 니들베드(3, 23, 43)만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주로 가동싱커(10, 30, 50)에 관련되는 구성부분에 대하여 나타내고, 다른 구성부분 특히 숨어있는 부분에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In practice, the
(실시예1)(Example 1)
도1은, 실시예1로서 가동싱커(1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도1(a)는 폐쇄상태, 도1(b)는 개방상태로 각각 나타낸다.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2)측에서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니들베드(3)를, 기대(基臺)(4)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5)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형성한다. 지면(紙面)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5)의 사이에는 니들홈(6)이 형성된다. 기대(4)와 니들 플레이트(5)는,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wire)(7)에 의하여 위치결정된다. 각 니들홈(6)에는 편침(8)이 수용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편침(8)은, 바늘본체(8a)의 니들베드갭(2)측 선단에 형성되는 훅(hook)을, 슬라이더(slider)(8b)의 니들베드갭(2)측 선단에 형성되는 텅(tongue)에 의하여 개폐하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이지만, 훅을 래치(latch)에 의하여 개폐하는 래치바늘(latch needle)을 사용할 수도 있다.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가동싱커(10)는, 싱커(sinker)(11), 싱커잭(sinker jack)(12) 및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13)을 포함한다. 다만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3)은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싱커(10)는, 니들베드갭(2)에 접하는 니들베드(3)의 선단측에 배열되어 복수 설치된다. 각 싱커(11)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11a)와, 피벗지지부(11a)로부터 니들베드갭(2)측으로 만곡(彎曲)되어 연장되는 작용암(作用arm)(1lb)과,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동암(受動arm)(11c)을 구비한다. 토크 스프링(13)은, 일단(一端)(13a)측이 피벗지지부(11a)와 수동암(11c)의 사이에 일체화되어 결합되고, 타단(他端)(13b)측이 싱커잭(12)측으로 연장된다.The
피벗지지부(11a)는, 원호 모양의 외주가 니들베드갭(2) 근방의 니들베드(3)에 형성되는 원호 모양의 오목부에 결합되어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가동싱커(10)에서는,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하는 폐쇄상태와,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후퇴하는 개방상태를 절환(切換)할 수 있다. 절환은, 니들베드(3)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싱커캠(sinker cam)에 의하여, 니들베드갭(2)에 대하여 진퇴하는 싱커잭(12)을 구동하여 이루어진다. 폐쇄상태에서는, 니들베드갭(2)측으로 진행하는 싱커잭(12)이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을 가압하여, 싱커(11)의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측으로의 진입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The pivot support portion 11a is supported so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arc shape is engaged with the arc-shaped recess formed in the
싱커잭(12)에는, 니들홈(6) 내에 수용되어 이동할 때에 니들 플레이트(5)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슬라이딩 저항편(sliding 抵抗片)(12a)이 부가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의 작용을 받는 버트(butt)(12b)도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2의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싱커잭(12)은, 전방의 선단으로 치우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선단부(12c)를 구비한다. 싱커잭(12)을 도1(a)로부터 도1(b)와 같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선단부(12c)는 수동암(11c)의 선단측을 니들베드갭(2)측으로부터 가압하여 싱커(11)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작용한다. 또한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단부(12c)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로부터 니들베드갭(2)에 근접하는 방향 또한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돌출되는 가압부(加壓部)(12d)가 형성된다.A sliding resistance piece 12a is added to the
폐쇄상태에서는, 가압부(12d)의 선단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을 가압한다. 가압부(12d)의 선단이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을 가압하는 방향은, 하방의 성분이 커지게 된다. 토크 스프링(13)은, 일단(13a)측을 통하여 싱커(11)를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측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폐쇄상태의 작용암(1lb)이 편성포를 가압하여 받는 반력(反力)은, 토크 스프링(13)을 통하여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으로부터 싱커잭(12)의 가압부(12d)로 부여된다. 이 반력은, 상방의 성분이 커지기 때문에, 싱커잭(12)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되돌리는 힘의 성분은 작아진다. 따라서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의하여 싱커(11)를 폐쇄상태로 설정하면, 캐리지의 통과 후에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더라도 싱커잭(12)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후퇴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closed state, the other end (13b) side of the torque springs (13) is pressed by the tip end of the pressing portion (12d).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p end of the pressing portion 12d presses the other end 13b side of the torque springs 13 becomes larger in the lower component. The
싱커잭(12)의 가압부(12d)는, 도1(b)에 나타내는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으로부터 멀어져서 비접촉(非接觸)이 되거나 또는 접촉하더라도 가압하는 힘이 약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싱커(11)의 폐쇄상태에서는 가압부(12d)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을 작용암(1lb)이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것에 필요로 하게 되는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개방상태에서는 가압하는 힘이 완화되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13)에 걸리는 응력이 과대(過大)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폐쇄상태에서 토크 스프링(13)은, 싱커잭(12)의 가압부(12d)로부터 타단(13b)측이 가압되고, 일단(13a)측이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와 수동암(11c) 사이의 일체화 부분을 통하여 작용암(1lb)을 니들베드갭(2)측으로의 진입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싱커잭(12)의 가압부(12d)와 선단부(12c)를 접근시킬 필요가 없어,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3)에 대한 형상적인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12d of the
또 싱커잭(12)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밴드(band)(15)에 의하여 니들베드(3)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상(浮上)하지 않도록 가압된다. 도1(b)에 나타내는 개방상태에서, 싱커잭(12)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때의 스토퍼(stopper)로서,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wire)(16)가 설치되어 있다.Further, the
도2는, 도1의 가동싱커(10)를 구성하는 싱커(11), 싱커잭(12) 및 토크 스프링(13)과, 니들베드(3)를 구성하는 기대(4) 및 니들 플레이트(5)의 형상을 나타낸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는, 원호 모양의 외주의 가상적인 중심을 회전지점(回轉支點)(11f)으로 하여 회전변위한다. 작용암(1lb)은 편사수용부(11d)를 구비한다. 싱커잭(12)에서는, 선단부(12c)와 가압부(12d)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The pivot support portion 11a of the
토크 스프링(13)은, 일단(13a)으로부터, 작용암(1l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지지부(11a)를 넘어서 연장되어 상방으로 되돌려져서, 타단(13b)측이 작용암(1lb)측으로 되돌아가는 형상을 구비한다. 되돌아간 타단(13b)측은, 피벗지지부(11a)의 회전지점(11f)보다 니들베드갭(2)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싱커잭(12)의 가압부(12d)로부터 하방으로 가압된다. 일단(13a)측과 타단(13b)측 사이의 되돌림은, 만곡부(灣曲部)(13c)를 형성하여 할 수 있다. 만곡부(13c)는,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의 내측에 수용할 필요는 없으며, 회전지점(11f)보다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진 후방까지 연장되어, 응력집중(應力集中)이 발생하지 않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The
판 모양의 니들 플레이트(5)에는, 후육부(厚肉部)(5a)의 상방에, 판의 두께를 감소시켜서 형성하는 박육부(薄肉部)(5b)를 형성하고, 박육부(5b)의 측방의 공간에 싱커(11) 및 싱커잭(12)을 수용하는 수용부(收容部)(5c)를 형성한다. 수용부(5c)의 하부에는, 원호 모양의 내주(內周)에서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를 지지하는 싱커지지부(sinker支持部)(5d)가 형성된다. 싱커지지부(5d)는, 후육부(5a)로부터 박육부(5b)에 걸쳐서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박육부(5b)에는 밴드 관통구멍(5e)이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5)의 후육부(5a)는 기대(4)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thin plate portion 5b is formed on the plate-
각 싱커(11)는 토크 스프링(13)을 구비한다. 토크 스프링(13)은, 싱커(11)가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본 실시예와 형상이 다르게 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 2와 마찬가지로 만곡부가 피벗지지부(11a)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과 같은 형상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3)을 일체화하는 경우에는, 토크 스프링(13)도 싱커(11)와 동일한 판재로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일체화함으로써 가동싱커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켜서 조립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토크 스프링(13)과 싱커(11)를, 특허문헌1, 2와 마찬가지로 별체(別體)로 하더라도 본 실시예에서 일단(13a)측이 싱커(11)에 일체화되어 있는 장소에 결합하면, 본 실시예와 같은 상태로 할 수 있다. 토크 스프링(13)에는 싱커(11)와 다른 탄성재료를 사용할 수 있어, 선재(線材)를 사용하여 선 스프링으로 할 수도 있다.Each sinker (11) has a torque spring (13). The shape of the
(실시예2)(Example 2)
도3은 실시예2로서,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3(a)는 폐쇄상태, 도3(b)는 개방상태로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크 스프링(33)의 만곡부(33c)를 싱커(31)의 피벗지지부(31a)의 내측에 수용하지만, 토크 스프링(33)의 타단(33b)측은, 싱커(31)의 수동암(31c)과 싱커잭(32)의 선단부(32c)와의 작용위치보다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의 위치가 되는 가압부(32d)에서, 폐쇄상태에서의 가압을 할 수 있다. 즉 싱커잭(32)의 선단 부근에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1개의 오목부(32e)가 선단부(32c)에 연속되어 형성된다. 오목부(32e)는, 앞의 벽면(壁面)이 되는 선단부(32c)의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과, 뒤의 벽면이 되는 가압부(32d)와의 간격이 수동암(31c)의 니들베드갭(22)으로 진퇴하는 방향의 폭보다 커지게 되도록 형성된다.3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개방상태에서는, 싱커잭(31)이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선단부(32c)가 수동암(31a)에 작용함으로써 싱커(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토크 스프링(33)의 타단(33b)도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지만 가압부(32d)도 후퇴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은 증대되지 않는다. 토크 스프링(33)의 타단(33b)은, 피벗지지부(33a)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에 의하여 원호 모양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직선 모양으로 후퇴하는 가압부(32d)로부터 받는 압력은 오히려 감소되어 토크 스프링(33)에 걸리는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는다.In the open state, the
도4는, 도3의 가동싱커(30)를 구성하는 싱커(31), 싱커잭(32) 및 토크 스프링(33)과, 니들베드(23)를 구성하는 기대(24) 및 니들 플레이트(25)의 형상을 나타낸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토크 스프링(33)의 만곡부(33c)가 싱커(31)의 피벗지지부(31a)의 내측에 수용되는 점에서는, 형상에 있어서 제한을 받지만, 타단(33b)측을 싱커(31)의 수동암(31c)보다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2의 도3보다는 형상적인 제약이 완화된다. 싱커잭(32)의 선단부(32c)와 가압부(32d)를 1개의 오목부(32e) 내에서, 니들베드갭(22)으로 진퇴하는 방향에 있어서 전후의 벽면으로서 형성하기 때문에, 형상을 단순화하여 제조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토크 스프링(33)과 싱커(31)를 별체로 하여 토크 스프링(33)의 일단측을 싱커(31)에 결합시켜도 좋다.The shape of the curved portion 33c of the
(실시예3)(Example 3)
도5는 실시예3으로서, 가동싱커(50)를 구비하는 횡편기(4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5(a)는 폐쇄상태, 도5(b)는 개방상태로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싱커(51)의 회전을, 실시예1의 피벗지지부(11a)에 상당하는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함께 상부 피벗지지부(51g)에서도 지지한다. 상부 피벗지지부(51g)를 형성하기 때문에 하부 피벗지지부(51a)의 내측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없으며, 토크 스프링(53)의 일단(53a)측은, 상부 피벗지지부(51g)보다 니들베드갭(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위치에서 하부 피벗지지부(51a)로부터 분기(分岐)된다. 하부 피벗지지부(51a)에서, 니들베드갭(42)에 근접하는 방향의 위치로부터는 작용암(5lb) 및 수동암(51c)을 분기시킨다.5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flat knitting machine 41 having a
도6은, 도5의 가동싱커(50)를 구성하는 싱커(51), 싱커잭(52) 및 토크 스프링(53)과, 니들베드(43)를 구성하는 기대(44) 및 니들 플레이트(45)의 형상을 나타낸다. 싱커(51)는, 니들베드(43)의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호 모양의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니들베드(43)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호 모양의 상부 피벗지지부(51g)를 구비한다.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상부 피벗지지부(51g)는 회전지점(51f, 51h)의 주위를 각각 회전한다. 니들 플레이트(45)에는, 후육부(45a)와 박육부(45b)의 경계에 하부 피벗지지부(51a)가 결합하는 원호 모양의 하부 싱커지지부(45d)가 형성된다. 또한 니들 플레이트(45)의 박육부(45b)를 관통하여, 상부 피벗지지부(51g)가 결합하는 원호 모양의 상부 싱커지지부(45g)가 형성된다. 하부 싱커지지부(45d) 및 상부 싱커지지부(45g)의 원호의 중심(45f, 45h)은 공통의 축선 상에 형성된다. 싱커(51)의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상부 피벗지지부(51g)는, 두께방향으로 오프셋(off-set)시켜서 회전지점(51f, 51h)을 공통의 축선(51i) 상에 형성하고 있어, 하부 싱커지지부(45d)와 상부 싱커지지부(45g)에 의하여 각각 지지할 때에는 원호의 중심(45f, 45h)도 축선(51i) 상에 위치한다.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싱커(51)에 대하여, 회전지점(51f, 51h)으로부터 하부 피벗지지부(51a), 상부 피벗지지부(51g)의 외주까지의 반경을 각각 Ra, Rg라고 하면, 니들 플레이트(45)에 대하여, 원호의 중심(45f, 45h)으로부터 하부 싱커지지부(45d), 상부 싱커지지부(45g)의 내주까지의 반경은 Ra, Rg가 된다. 실시예1과 같이 본 실시예의 하부 피벗지지부(51a)에 상당하는 피벗지지부(11a)를, 하부 싱커지지부(45d)에 상당하는 싱커지지부(5d)에 의하여 지지하더라도, 싱커(11)에 대한 상방의 지지는 싱커잭(12)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싱커잭(12)의 상방의 가압은 밴드(15)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밴드(15)에 의한 싱커잭(12)으로의 상방으로부터의 가압은, 싱커잭(12)을 니들베드갭(2)에 대하여 진퇴하는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어,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에 대한 싱커잭(12)을 통한 가압으로서는 불충분하게 된다. 싱커(11)에 대한 가압이 불충분하게 될 뿐만 아니라 토크 스프링(13)이 휘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가 니들 플레이트(5)의 하부 싱커지지부(5d)로부터 상방으로 떠버리는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싱커(51)의 상부 피벗지지부(51g)를 니들 플레이트(45)의 상부 싱커지지부(45g)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회전하는 싱커(51)에 발생하는 상방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Ra and Rg denote the radii from the rotation points 51f and 51h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ivot support portion 51a and the upper pivot support portion 51g with respect to the
도7은, 도5의 싱커(51)에 형성되는 하부 피벗지지부(51a) 및 상부 피벗지지부(51g)의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 형상을 (a)에서 나타내고, 측면 형상을 (b)에서 나타내고, 니들 플레이트(45)에 형성되는 하부 싱커지지부(45d) 및 상부 싱커지지부(45g)의 측면 형상을 (c)에서 나타내고, 부분적인 단면 형상을 (d)에서 나타낸다. 도7(a)는 도7(b)의 절단면선(A-A)에서 본 단면이다. 도7(d)는 도7(c)의 절단면선(D-D)에서 본 단면이다.7A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lower pivot support portion 51a and the upper pivot support portion 51g formed in the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피벗지지부(51g)는, 축선(51i)의 방향이 되는 두께방향에 관하여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위치가 어긋나도록 오프셋시키는 절곡가공(折曲加工)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싱커지지부(45g)는 니들 플레이트(45)의 박육부(45b)에 형성될 수 있다. 오프셋 휘어짐을 하지 않으면, 상부 싱커지지부(45g)를 형성하는 부분도 후육부(45a)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니들 플레이트(45)의 가공이 복잡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A, the upper pivot support portion 51g is bent (bent)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pivot support portion 51g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lower pivot support portion 51a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51i Respectively. Thus, as shown in Fig. 7 (d), the upper sinker support portion 45g can be formed in the thin portion 45b of the
1, 21, 41 : 횡편기
2, 22, 42 : 니들베드갭
3, 23, 43 : 니들베드
4, 24, 44 : 기대
5, 25, 45 : 니들 플레이트
5b, 25b, 45b : 박육부
5c, 25c, 45c : 수용부
5d, 25d : 싱커지지부
10, 30, 50 : 가동싱커
11, 31, 51 : 싱커
11a, 31a : 피벗지지부
1lb, 3lb, 5lb : 작용암
11c, 31c, 51c : 수동암
11f, 31f, 51f, 51h : 회전지점
12, 32, 52 : 싱커잭
12c, 32c, 52c : 선단부
12d, 32d, 52d : 가압부
13, 33, 53 : 토크 스프링
13a, 33a, 53a : 일단
13b, 33b, 53b : 타단
45d : 하부 싱커지지부
45g : 상부 싱커지지부
51a : 하부 피벗지지부
51i : 축선
51g : 상부 피벗지지부1, 21, 41:
2, 22, 42: needle bed gap
3, 23, 43: needle bed
4, 24, 44: expectation
5, 25, 45: Needle plate
5b, 25b, 45b:
5c, 25c, 45c:
5d, 25d: sinker support
10, 30, 50: movable sinker
11, 31, 51: sinker
11a, 31a:
1lb, 3lb, 5lb: Working arm
11c, 31c, 51c:
11f, 31f, 51f, 51h: rotation point
12, 32, 52: sinker jack
12c, 32c, 52c:
12d, 32d, 52d:
13, 33, 53: Torque spring
13a, 33a, 53a:
13b, 33b, 53b:
45d: Lower sinker support
45g: upper sinker support
51a: Lower pivot support
51i: Axis
51g: upper pivot support
Claims (6)
각 싱커는,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편사수용부가 형성되는 선단측이 니들베드갭 내로 연장되는 만곡(彎曲)한 작용암(作用arm)과, 니들베드측에 형성되고 회전지점(回轉支點)을 포함하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동암(受動arm)을 구비하고,
일단(一端)측이 싱커에 결합되고, 싱커잭(sinker jack)을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타단(他端)측이 싱커잭에 형성되는 가압부(加壓部)로부터 가압을 받는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에 의하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 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폐쇄상태(閉鎖狀態)가 되고,
선단측에 니들베드의 바닥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선단부가 수동암에 작용하여 후퇴시켜서, 작용암이 니들베드갭 내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방상태(開放狀態)가 되는,
가동싱커(可動sinker)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싱커의 수동암은 피벗지지부와 작용암의 사이로부터 분기(分岐)되고,
싱커잭의 가압부는,
선단부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고,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싱커의 폐쇄상태에서 가압하고,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가압하지 않거나 또는 가압을 약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A receiving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side of a needle bed in contact with a needle bed gap and including a part of a thin portion reduced in thickness of a needle plate, A sinker, which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Each sinker,
A tip end side on which a knitting yarn accommodating portion for pushing down the knitted fabric is formed is provided with a curved working arm extending into the needle bed gap and a pivot supporting portion formed on the needle bed side and including a rotation fulcrum and a receiving arm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needle bed,
When the sinker jack is advanced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needle bed gap, the other end side is pressed from a pressurizing portion formed in the sinker jack, (Closed) state in which the working arm is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ing arm enters the needle bed gap,
When the sinker jack having the leading end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bottom of the needle bed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the leading end acts on the male canthole and retreats so that the acting arm retracts from the needle bed gap Which is in an open state,
A horizontal knitting machine having a movable sinker,
The handwheel of the sinker is branched (branched) from between the pivot support portion and the action arm,
The pusher of the sinker jack,
And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tip end,
The other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s is pressed in the closed state of the sinker so as not to pressurize or weaken the pressure in the open state of the sinker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싱커잭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선단부보다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부터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inker jack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needle bed gap while inclining downward from a posi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to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토크 스프링은,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되돌려져서 상기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형상을 구비하고,
되돌아가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타단측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보다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싱커잭의 상기 가압부로부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orque spring,
And a shape extending from the one end si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and return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so that the other end side is return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needle bed gap,
The other end side closer to the needle bed gap is pressed downward from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inker jack toward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needle bed gap than the rotation point of the pivot support portion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싱커의 상기 수동암과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타단측은,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수동암이 상기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측으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싱커잭은,
상기 선단부에 연속되어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오목부의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의 벽면(壁面)을 상기 가압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end side of the handwheel of the sinker and the other end of the torque spring is extend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needle bed and the other end side of the torque spring is connected to the needle bed gap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sinker jack,
And a concave portion continuous to the distal end portion and formed to open downward toward a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And a wall surface (wall surfa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of the concave portion is used as the pressing portion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피벗지지부는,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니들 플레이트의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원호 모양의 하부 피벗지지부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또한 두께방향에 대하여 니들 플레이트의 박육부측으로 오프셋(off-set)되어 돌출되고, 박육부에 형성되는 상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원호 모양의 상부 피벗지지부를
구비하고,
하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과 상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은 공통의 축선(軸線)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ivot support portion
An arc-shaped lower pivot support portion protruding downward toward a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and supported by a lower sinker suppor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receiving portion of the needle plate,
Shaped upper pivot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upper sinker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thin-walled portion and offset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needle bed to the thin-wall portion side of the needle plate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The rotation point of the lower pivot support portion and the rotation point of the upper pivot support portion are on a common axial line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상기 토크 스프링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싱커에 일체화되어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the torque spring is integrally joined to the sinker at the one end side
Wherein the movable sinker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047327 | 2013-03-08 | ||
JPJP-P-2013-047327 | 2013-03-08 | ||
JPJP-P-2014-011857 | 2014-01-24 | ||
JP2014011857A JP6234244B2 (en) | 2013-03-08 | 2014-01-24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0746A true KR20140110746A (en) | 2014-09-17 |
KR101569012B1 KR101569012B1 (en) | 2015-11-13 |
Family
ID=5027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4159A Active KR101569012B1 (en) | 2013-03-08 | 2014-02-28 |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movable sinke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2775019B1 (en) |
JP (1) | JP6234244B2 (en) |
KR (1) | KR101569012B1 (en) |
CN (1) | CN10403247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75101B2 (en) * | 2015-11-06 | 2018-02-0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 knitting machine |
WO2024075449A1 (en) * | 2022-10-05 | 2024-04-11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and movable sinker |
CN115573088B (en) * | 2022-10-28 | 2024-09-17 |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 Sinker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347011A1 (en) | 1988-06-13 | 1989-12-20 |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 Flat bed knitting machine |
DE3917934A1 (en) * | 1988-06-13 | 1989-12-14 | Schieber Universal Maschf | Flat knitting machine |
KR0123800B1 (en) * | 1989-12-28 | 1997-11-27 | 마사히로 시마 | Sinker device in flat knitting machine |
JPH0931806A (en) * | 1995-07-14 | 1997-02-04 | Shima Seiki Mfg Ltd | Fla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apparatus |
EP1514963B1 (en) * | 2002-05-30 | 2011-07-20 |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
KR101024209B1 (en) | 2003-07-30 | 2011-03-23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JP4015972B2 (en) * | 2003-07-30 | 2007-11-28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 knitting machine sinker device |
JP4175976B2 (en) * | 2003-07-30 | 2008-11-05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JP4176038B2 (en) * | 2004-03-31 | 2008-11-05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Movable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
ATE543931T1 (en) | 2006-08-11 | 2012-02-15 | Shima Seiki Mfg | BOARD AND CURING KNITTING OR CURING MACHINE |
WO2009150825A1 (en) * | 2008-06-13 | 2009-12-17 |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 Wef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
JP2012012735A (en) * | 2010-07-01 | 2012-01-19 | Shima Seiki Mfg Ltd | Movable sinker member and flat knitting machine |
-
2014
- 2014-01-24 JP JP2014011857A patent/JP6234244B2/en active Active
- 2014-02-28 KR KR1020140024159A patent/KR101569012B1/en active Active
- 2014-03-06 EP EP14020024.7A patent/EP2775019B1/en active Active
- 2014-03-07 CN CN201410081611.3A patent/CN104032471B/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032471A (en) | 2014-09-10 |
JP6234244B2 (en) | 2017-11-22 |
CN104032471B (en) | 2016-02-24 |
EP2775019B1 (en) | 2015-09-16 |
EP2775019A1 (en) | 2014-09-10 |
JP2014196586A (en) | 2014-10-16 |
KR101569012B1 (en) | 2015-1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542348B2 (en) |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 |
KR101648378B1 (en) |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sinker device | |
US7980100B2 (en) | Highly reliable sinkerless knitting machine with latch needles | |
KR19990088076A (en) | A flat knitting machine | |
KR101569012B1 (en) |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movable sinker | |
EP3165651B1 (en) | Flat knitting machine | |
JP5637984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JP5414670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KR101024209B1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JP4176038B2 (en) | Movable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 |
KR200429583Y1 (en) | Split Cam Device for Sock Knitting Machine | |
KR101356443B1 (en) | Cam device for transfer receiving needle | |
JP4336058B2 (en) | Flat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movable yarn guide member | |
JP4175978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EP2551393A1 (en) | Complex needle, weft knitting machine | |
JPH10266049A (en) | Reed needle for stitch-forming textile machine | |
JP5172840B2 (en) | Needle selection mechanism of flat knitting machine, needle selection mechanism selector of flat knitting machine and spacer for needle selection mechanism of flat knitting machine | |
WO2024253165A1 (en) | Flat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transfer jack, and transfer jack | |
JP3000461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device | |
KR20200117891A (en) | Flat knitting machine | |
JP4175977B2 (en) |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 |
US5987932A (en) | Slider type needle for knitting machine | |
KR20240002015U (en) | Movable sinker device and movable sinker of flatbed knitting machine | |
WO2024075449A1 (en) | Fla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and movable sinker | |
JP2013060690A (en) | Caulking structure of knitting 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