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08819A - Control system for multi-image - Google Patents

Control system for multi-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819A
KR20140108819A KR1020130022408A KR20130022408A KR20140108819A KR 20140108819 A KR20140108819 A KR 20140108819A KR 1020130022408 A KR1020130022408 A KR 1020130022408A KR 20130022408 A KR20130022408 A KR 20130022408A KR 20140108819 A KR20140108819 A KR 2014010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mensional space
image layers
layers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홍래
김길중
이상훈
안효진
문치우
최윤호
박지현
주영렬
고승진
유태진
김대열
권영철
Original Assignee
(주) 바이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널 filed Critical (주) 바이널
Priority to KR102013002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819A/en
Priority to PCT/KR2013/001960 priority patent/WO2014133213A1/en
Publication of KR2014010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81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A multi-image control system is disclosed. The multi-image control system comprises: an image segmentation unit for dividing an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image layers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projectors to project the image layers mapped in conjunction with the timeline onto the three-dimensional space.

Description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MULTI-IMAGE}[0001] CONTROL SYSTEM FOR MULTI-IMAGE [0002]

본 발명은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뮤지컬, 연극 등의 스테이지를 구성하는 무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 to a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stage apparatus constituting stages such as musicals and dramas.

일반적인 멀티비전(Multivision) 시스템은, 하나의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여러 대의 영상 출력 수단을 연결하여 멀티비전 시스템을 형성하고, 여러 대의 영상 출력 수단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영상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A general multivision system is a system for enlarging or reducing one image and outputting it to the screen. It forms a multivision system by connecting several video output means, an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So that a video signal can be output.

멀티비전 시스템은 전시장이나 행사장의 전면에 설치되어 그 전시 또는 행사에 필요한 영상을 출력하여 광고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노래방 등과 같은 장소에서 영상 및 자막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이용되고 있다.The multi-vision system is installed in front of an exhibition hall or a venue, and is often use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by outputting images necessary for the exhibition or event, and is also used in a display device in which images and subtitles are output at places such as karaoke .

한편, 무대 장치란, 연극, 뮤지컬, 오페라 등에서 연출자의 의도에 맞추어 상연되는 내용을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설계되는 무대상의 장치로서 배경, 조명, 의상 등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a stage device is a device on the stage designed to enhance the contents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a director in a play, a musical, or an opera, and means a background, lighting, costume and the like.

무대장치로서 배경은 스테이지 상에 배치되는 다양한 오브제, 소품, 합판 등으로 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연극, 뮤지컬, 오페라 등은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수십차례 장면의 전환이 있게 되고, 이러한 무대장치를 꾸미는 소재들은 장면의 전환에 맞추어 수시로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 공연에 사용된 소재들은 다른 공연에 사용될 수 없으므로 폐기 처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a stage device, the background can be produced as various objects, accessories, plywood, etc. arranged on the stage. However, drama, musicals, and opera have dozens of scene changes during the performance, and the materials that decorate these stage devices must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as the scene changes. In addition, materials used in a specific performance can not be used for other performances, so it is common to dispose of them.

한국등록특허 제0936423호에서는 무대나 세트장을 돋보이게 연출하기 위하여 무대상황에 따라 다양한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0936424호는 다양한 조명 효과를 연출함으로써 무대나 세트장의 연출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으나 직접적인 무대 배경의 연출을 기대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Korean Patent No. 0936423 discloses an illumination system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lighting effects according to a stage situation in order to enhance a stage or set. However, Patent Registration No. 0936424 can expect a synergy effect of stage or set by producing various lighting effect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direct stage background can not be expect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임라인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다양한 영상 소스를 3차원 공간상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분할된 영상 소스를 3차원 공간상에 투사하여 각각 제어함으로써 뮤지컬, 연극 등의 다양한 무대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method including: providing a plurality of image sources varying in time based on a time line on a three-dimensional space; projecting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sources onto a thre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image control system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stage effects of the multi-image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3차원 공간상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영상 레이어를 투사하는 복수개의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소스를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로 분할하는 영상 분할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상기 3차원 공간상에 맵핑하는 맵핑부 및 타임라인에 연동하여 상기 맵핑된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가 상기 3차원 공간상에 투사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projectors disposed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projecting at least one image layer, the system comprising: an image divider dividing an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projectors to project the plurality of mapped image layers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terlocked with the time line,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are projected on the three- And provides an image control system.

상기 타임라인은 큐시트(cue sheet)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imeline may correspond to a cue sheet.

상기 영상 소스는 상기 큐시트에 대응하여 전환되는 상기 3차원 공간상의 배경을 구성할 수 있다.The image source may constitute a background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ich is switched corresponding to the cue sheet.

상기 3차원 공간상의 굴곡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영상 소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워핑(warping)처리하는 워핑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warping processing unit for warping the image source or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간의 중첩 영역을 블렌딩(blending)처리하는 블렌딩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blending processing unit for blending the overlapping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상기 맵핑부는 상기 맵핑되는 공간에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의 위치, 기울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The mapping unit may adjust at least one of a position, a slope, and a size of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to match the mapped spa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에 연동하여 조명 장치 및 사운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lighting device and the sound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time line.

상기 맵핑부는 카메라 트래킹(camera tracking)방법을 통하여 실사 촬영된 상기 3차원 공간상에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맵핑할 수 있다.
The mapping unit may map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on the real spac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tracking method.

본 발명인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은 타임라인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다양한 영상 소스를 3차원 공간상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분할된 영상 소스를 3차원 공간상에 투사하여 각각 제어함으로써 뮤지컬, 연극 등의 다양한 무대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The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image sources varying on the basis of a time line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by projecting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sources onto a three-dimensional space, Various stage effects can be produc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상의 프로젝터 투사 영역을 도시한 도면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레이어가 투사된 3차원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projector projection area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proj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영상 제어시스템은 영상 소스를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로 분할하는 영상 분할부(110),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3차원 공간상에 맵핑하는 맵핑부(120), 3차원 공간상의 굴곡면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워핑(warping)처리하는 워핑 처리부(140),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간의 중첩 영역을 블렌딩(blending)처리하는 블렌딩 처리부(150) 및 타임라인에 연동하여 맵핑된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가 3차원 공간상에 투사되도록 복수개의 프로젝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ivider 110 for dividing an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 mapping unit 130 for mapping a plurality of image layers on a three- A warping processing unit 140 for warping a plurality of image layers to correspond to a curved surfac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 blending processing unit 150 for blending overlapping regions between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nd a controller 130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projectors 200 so that a plurality of image layers mapped in conjunction with the time line are projected onto the three-dimensional space.

먼저, 영상 분할부(110)는 영상 소스를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소스는 예를 들면, 뮤지컬, 연극 무대 등에 사용되는 무대 장치 중의 하나인 배경을 구성하는 이미지 데이터 일 수 있다.First, the image divider 110 divides an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layers. The image source may be, for example, image data constituting a background, which is one of the stage apparatuses used for musicals, theater stages, and the like.

영상 분할부(110)는 기 설정된 개수에 따라 영상 소스를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로 분할하거나 또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에 연결된 프로젝터(200)의 개수 및 각 프로젝터(200)에 할당된 영상 레이어 개수를 자동으로 산정한 후 산정된 개수에 따라 영상 소스를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로 분할할 수 있다.The image divider 110 divides the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ccording to a preset number or automatically divides the number of image layers allocated to each projector 200 and the number of the projectors 200 connected to the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The image source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ccording to the estimated number.

맵핑부(120)는 분할된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3차원 공간상에 맵핑할 수 있다. 3차원 공간은 예를 들면 뮤지컬, 연극이 공연되는 스테이지일 수 있으며 스크린 및 스테이지 상에 설치되며 부피를 가지는 임의의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pping unit 120 may map the plurality of divided image layers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e three-dimensional space may be, for example, a stage in which musicals and plays are performed, and may include any object that is installed on the screen and stage and has a volume.

맵핑부(120)는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투사하기 위한 가상의 투사면을 정의하고 자동 보정(auto-calibration)을 수행하여 각각의 영상 레이어가 3차원 공간상의 정확한 지점에 투사될 수 있도록 맵핑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pping unit 120 defines a virtual projection plane for projecting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nd performs auto-calibration to perform mapping so that each image layer can be projected at an accurate point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can do.

맵핑부(120)는 예를 들면 카메라 트래킹(camera tacking)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맵핑할 수 있다.The mapping unit 120 may map a plurality of image layers on a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for example, a camera tacking method.

맵핑부(120)는 3차원 공간을 실제로 촬영하는 카메라의 초점거리, 움직임, 화각(view angle)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투사면의 3차원 좌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3차원 좌표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맵핑시킬 수 있다.The mapping unit 120 may extract information on a focal distance, a motion, a view angle, and the like of a camera that actually photographs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may set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a projection plane with respect to image data captured by the camera. A plurality of image layers can be mapped corresponding to the set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맵핑부(120)는 맵핑되는 공간에 일치하도록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의 위치, 기울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맵핑부(120)는 예를 들면, 카메라 트래킹 방법을 통하여 산출된 투사면의 좌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가 투사면에 일치할 수 있도록 위치, 기울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The mapping unit 120 may adjust at least one of a position, a slope, and a size of a plurality of image layers so as to match the mapped space. The mapping unit 120 may adjust at least one of a position, a slope, and a size so that a plurality of image layers coincide with the projection plane, for example, by using the coordinates of the projection plane calculated through the camera tracking method.

워핑 처리부(140)는 3차원 공간상의 굴곡면에 대응하도록 영상 소스 또는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워핑(warping)처리 할 수 있다. 워핑부는 3차원 공간상의 굴곡면에 투사되는 영상이 일그러지거나 찌그러짐이 없도록 영상 레이어의 일부분을 축소 또는 확대시켜 굴곡면의 굴곡 각도 등의 환경에 대응하도록 영상 레이어를 변환하는 워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warping processing unit 140 may warp an image source or a plurality of image layers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e warping unit may perform a warping process of transforming a video layer so as to correspond to an environment such as a bending angle of a curved surface by reducing or enlarging a part of the video layer so that an image projected on a curved surfac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s not distorted or distorted .

워핑 처리부(140)는 예를 들면, 픽셀(pixel) 또는 그리드(grid) 단위의 화면 조정과 부분 영상 압축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The warping processing unit 140 may apply a screen adjustment and a partial image compression method in units of pixels or a grid, for example.

블렌딩 처리부(150)는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간의 중첩 영역을 블렌딩(blending)처리 할 수 있다. 분할된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가 3차원 공간상에 투사되는 경우 중첩되는 영역에는 두 개의 영상 레이어가 중첩되므로 밝기가 밝아져 주변에 비하여 도드라져 보이게 된다. 블렌딩 처리부(150)는 이러한 중첩영역의 밝기(brightness)와 대비(contrast)를 조정하여 중첩 영역의 도드라짐을 제거할 수 있다.The blending processing unit 150 may blend the overlapping areas between a plurality of image layers. When a plurality of divided image layers are projected on a three-dimensional space, the two image layers are superimposed on the overlapping area, so that the brightness is brightened, and the brightness becomes bright compared to the surroundings. The blending processing unit 150 may adjust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f the overlapping region to remove the overlapping of the overlapping region.

제어부(130)는 타임라인에 연동하여 맵핑된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가 3차원 공간상에 투사되도록 복수개의 프로젝터(2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projectors 200 so that a plurality of image layers mapped in conjunction with the time line are projected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제어부(130)는 3차원 공간을 중심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프로젝터(200)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가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프로젝터(2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레이어를 투사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젝터(200)가 투사하는 영상 레이어의 개수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plurality of projectors 200 arranged around the three-dimensional space to project a plurality of image layers. The plurality of projectors 200 can project at least one image layer and the number of image layers projected by each projector 200 can be set differently.

제어부(130)는 타임라인에 연동하여 복수개의 프로젝터(200)가 영상 레이어를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타임라인은 임의로 설정되는 시간축 변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뮤지컬, 연극, 방송 등에 사용되는 큐시트(cue sheet)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projectors 200 to project the image layer in cooperation with the time line. The time line may be a time axis variable that is arbitrarily set, and may be a cue sheet used for musicals, dramas, broadcasts, and the like.

큐시트는 극이나 라디오,텔레비전 프로그램 따위를 만들 때, 여러 가지 큐를 타임 테이블에 따라 정리한 표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뮤지컬, 연극 등에서 장면 전환의 기준으로 활용되는 액션 큐(action cue)를 타임 테이블에 따라 정리한 표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A cue sheet is a table in which various cues are arranged according to a time table when making a play such as a pole, a radio, and a television progra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ction cue, A tabl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time tab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어부(130)는 큐시트에 따라 각각의 프로젝터(2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각 영상 레이어의 투사 시간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can control each projector 200 according to the cue sheet, and the projection time of each image layer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제어부(130)는 타임라인에 연동하여 조명 장치 및 사운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 장치 및 사운드 장치는 뮤지컬, 연극 등에 사용되는 무대 장치 중 하나 일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큐시트에 연동하여 조명 장치 및 사운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lighting device and the sound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time line. The lighting apparatus and the sound apparatus may be one of stage apparatuses used for musicals and plays, and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lighting apparatus and the sound apparatus in conjunction with the cue shee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차원 공간을 중심으로 배치된 6대의 프로젝터가 있으며, 각각의 프로젝터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레이어를 투사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There are six projectors arranged around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each projector is set to project at least one image layer.

각각의 영상 레이어는 액션큐(action cue)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추가적으로 조명 장치 및 사운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Each image layer is independently controlled according to an action cue, and is additionally set to control the lighting device and the sound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간상의 프로젝터 투사 영역을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레이어가 투사된 3차원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jector projection area on a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proj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3차원 공간은 4면으로 이루어진 개방된 공간의 중앙부에 임의의 부피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물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three-dimensio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bject having a certain volume at the center of an open space of four sides.

각각의 프로젝터는 3차원 공간을 중심으로 일정 투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4면 또는 직육면체의 물체에 영상 레이어를 투사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Each of the projectors is arranged so as to have a constant projection angle around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is set so as to project an image layer on an object of four or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도 4를 참조하면, 3차원 공간상에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가 투사되어 하나의 입체감을 가지는 영상 소스를 투영하고 있다. 각각의 영상 레이어는 와핑 처리 및 블렌딩 처리 되어 있으며, 카메라 트래킹 방식에 의하여 맵핑 됨으로써 3차원 공간상의 정확한 위치에 투사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re projected on a three-dimensional space to project an image source hav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Each image layer is subjected to a warping process and a blending process, and is projected at an accurate position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y being mapped by a camera tracking method.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s used in this embodiment, the term " portion "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110: 영상 분할부
120: 맵핑부
130: 제어부
140: 워핑 처리부
150: 블렌딩 처리부
200: 프로젝터
100: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110:
120:
130:
140: Warping processor
150: Blending processor
200: Projector

Claims (8)

스크린이 배치된 3차원 공간을 투사하도록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영상 레이어를 투사하는 복수개의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소스를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로 분할하는 영상 분할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상기 3차원 공간상에 맵핑하는 맵핑부 및
타임라인에 연동하여 상기 맵핑된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가 상기 3차원 공간상에 투사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1. A multiple imag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projectors which are installed to project a three-dimensional space in which screens are arranged and project at least one image layer,
An image divider dividing an image source into a plurality of image layers;
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onto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projectors so that the plurality of mapped image layers are projected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association with a tim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은 큐시트(cue sheet)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meline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cue she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는 상기 큐시트에 대응하여 전환되는 상기 3차원 공간상의 배경을 구성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source constitutes the background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which is switched corresponding to the cue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상의 굴곡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영상 소스 또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워핑(warping)처리하는 워핑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rping processing unit for warping the image source or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간의 중첩 영역을 블렌딩(blending)처리하는 블렌딩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lending processor for blending the overlapping areas between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부는 상기 맵핑되는 공간에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의 위치, 기울기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pping unit adjusts at least one of a position, a slope, and a size of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so as to match the mapped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임라인에 연동하여 조명 장치 및 사운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at least one of a lighting device and a sound device in association with the time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부는 카메라 트래킹(camera tracking)방법을 통하여 실사 촬영된 상기 3차원 공간상에 상기 복수개의 영상 레이어를 맵핑하는 다중 영상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pping unit maps the plurality of image layers on the real spac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tracking method.
KR1020130022408A 2013-02-28 2013-02-28 Control system for multi-image Ceased KR2014010881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408A KR20140108819A (en) 2013-02-28 2013-02-28 Control system for multi-image
PCT/KR2013/001960 WO2014133213A1 (en) 2013-02-28 2013-03-12 Multi-image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408A KR20140108819A (en) 2013-02-28 2013-02-28 Control system for multi-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819A true KR20140108819A (en) 2014-09-15

Family

ID=5142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408A Ceased KR20140108819A (en) 2013-02-28 2013-02-28 Control system for multi-im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08819A (en)
WO (1) WO2014133213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068B1 (en) * 2004-05-26 2013-01-28 티버 발로그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3d images
CA2844683C (en) * 2005-04-26 2016-06-28 Imax Corporation Electronic proj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918874B1 (en) * 2006-12-06 2009-10-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ing video for dome screen
KR100863280B1 (en) * 2008-01-15 2008-10-15 (주)옴니레이저 Integrated control device of video, audio and special effects and its integrated control method
KR101240573B1 (en) * 2011-04-27 2013-03-11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2D and 3D curved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213A1 (en)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7491B (en) Combined visible and non-visible projection system
US7407297B2 (en) Image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187500B1 (en) Light projection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US9679369B2 (en) Depth key compositing for video and holographic projection
US9554105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3221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images on a marked surface
US20160249027A1 (en)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in an automated luminaire
US2016026654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source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WO2017073095A1 (en) Image projection device, stage installation, and image projection method
CN113692734A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and projecting images, and use of such a system
US10594995B2 (en) Image capture and display on a dome for chroma keying
KR20150123062A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Image Space Using Multiple Projectors
US200901679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dge Blending Using Production Switchers
US20240040077A1 (en) Image output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 par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79529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KR20140108819A (en) Control system for multi-image
CN114760451B (en) Projection image correction prompting method, projection image correction prompting device, projec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61579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20327313A1 (en) Wallpaper Projection System
JP2002108319A (en) Video switcher and video display control system
JP2018159774A (en) Display control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JP2020020986A (en) Projector,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JP2016144114A (en)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JP6403650B2 (en) Aerial image render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TWI492627B (en) A projection system and a method by photographic pos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9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2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