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917A - Coupl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upl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7917A KR20140107917A KR1020130022118A KR20130022118A KR20140107917A KR 20140107917 A KR20140107917 A KR 20140107917A KR 1020130022118 A KR1020130022118 A KR 1020130022118A KR 20130022118 A KR20130022118 A KR 20130022118A KR 20140107917 A KR20140107917 A KR 201401079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connector
- connecting member
- bent
- secondary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6 mem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ELJHCBNGDEXLD-UHFFFAOYSA-N nickel zinc Chemical compound [Ni].[Zn] QELJHCBNGDEX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더링 방식에 의하지 않고 센싱 와이어와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의 이차 전지; 삽입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센싱 와이어; 및 둘 이상의 이차 전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Disclosed herein are a connection member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sensing wire without depending on a soldering method.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 sensing wire having a connector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a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ary batteries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is b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이차 전지를 연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내에서 이차 전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근래에 들어서,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notebook computers, video cameras, and portable telephones has been rapidly increased, and development of batteries, robots, and satellites for energy storage has been accelerated. Thus, a high performance rechargeable battery Research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The secondary rechargeable batteries ar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nickel-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 The self-discharge rate is very low and the energy density is high.
한편, 최근에는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 구동력을 얻기 때문에, 엔진만을 이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연비가 뛰어나고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핵심적 부품인 차량용 배터리에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carbon energy is gradually depleted and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s increasing, demand for hybrid cars and electric vehicles is gradually increasing worldwide, including the United States, Europe, Japan, and Korea. Since such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use the charge / discharge energy of the battery pack to obtain the vehicle driving power, they are more fuel-efficient than the vehicles using only the engine and can not discharge or reduce pollutants. . Therefore, more attention and research are focused on automotive batteries, which are key components of hybrid cars and electric vehicles.
하나의 배터리 팩에 하나의 이차 전지만 포함되는 경우도 없지는 않으나, 대체로는 출력 및 용량 등의 증가를 위해 하나의 배터리 팩에 복수의 이차 전지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이차 전지는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처럼, 복수의 이차 전지가 연결되는 경우, 각 이차 전지 사이는 버스 바(bus bar)와 같은 연결 부재로 연결된다. 즉, 하나의 연결 부재가 둘 이상의 이차 전지에 대한 양극 단자나 음극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둘 이상의 이차 전지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되어 이차 전지 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one battery pack may include only one secondary battery,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included in one battery pack in order to increase output and capacity.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In this way, when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each secondary battery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us bar. That is, on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for two or more secondary batteries, so that current can flow between the two or more secondary batteries, so that serial or parallel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can be achieved.
한편, 이처럼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이차 전지가 배터리 팩 내에 포함된 경우, 각 이차 전지들에 대해서는 상태가 정확하게 검출되어야 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팩 내에 포함된 이차 전지에 대해서는 셀 밸런싱이나 만방전 확인, SOC 추정 등을 위해 전압이 검출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배터리 팩에 포함된 복수의 이차 전지에 대한 상태 검출은, 대표적으로 이차 전지 사이에 구비된 연결 부재에 검출용 센싱 와이어를 접속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are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the state of each secondary battery needs to be accurately detected. For example,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ed in a battery pack, a voltage needs to be detected for cell balancing, full discharge confirmation, SOC estimation,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detection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can be typically performed by connecting a sensing wire for detection to a connec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ary batteries.
그런데, 이처럼 센싱 와이어를 연결 부재에 접속시키는 방식으로, 종래에는 솔더링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는, 버스 바와 같은 연결 부재가 통상적으로 두께가 얇고 양면이 넓은 판 형태, 즉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센싱 와이어를 접속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necting the sensing wire to the connecting member, a soldering method is widely used. This is because the connecting member such as the bus bar is usually thin in thickness and is formed in a wide plate shape, i.e., in the form of a plate on both sides, and no separate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sensing wire is formed.
하지만, 이처럼, 솔더링 방식에 의해 센싱 와이어를 연결 부재에 접속시키는 경우, 공정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솔더링을 위한 별도의 기구 및 자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배터리 팩이나 파워 툴 등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와 같이 진동에 많이 노출되는 이차 전지의 경우, 이러한 센싱 와이어와 연결 부재의 솔더링 부분이 떨어질 염려가 있고, 배터리 팩 불량시 분리나 교체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However, when the sensing wir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by the soldering method, a long process time is required, and a separate mechanism and material for soldering are required. In addition, in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secondary battery used for an automobile battery pack or a power tool, which is exposed to a large amount of vibra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soldering portion of the sensing wire and the connecting member may fall off.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솔더링 방식에 의하지 않고 센싱 와이어와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ion member for a secondary battery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connection member, which are impro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can be stably connected to a sensing wire without depending on a soldering method The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의 이차 전지; 삽입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센싱 와이어; 및 둘 이상의 이차 전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 sensing wire having a connector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a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ary batteries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is b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홀이 형성된다.Preferably,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의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아치 형태로 벤딩된다.Also preferably,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at least partially bent in an arch shap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Also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t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벤딩된다.Also preferably, the projections are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jecting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2회 이상 벤딩된다.Also preferably, the projections are bent twice or mor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벤딩된 부분의 두께가 0.5mm 이상이다.Also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bent portion is 0.5 mm or mor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Also,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 metal.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차 전지는, 원통형 이차 전지이다.Preferably, the secondary battery i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는, 복수의 이차 전지 및 삽입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센싱 와이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서 둘 이상의 이차 전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연결 부재로서, 적어도 일측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되게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ondary battery connecting memb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nd a sensing wire having a connector with an inserting portion formed at an end thereof, As a connecting member, at least one sid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sion is b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홀이 형성된다.Preferably,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아치 형태로 벤딩된다.Also preferably, the protrusions are at least partially bent in an arch shap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Also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protruding portion protrud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t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벤딩된다.Also preferably, the projections are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jecting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2회 이상 벤딩된다.Also preferably, the projections are bent twice or mor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벤딩된 부분의 두께가 0.5mm 이상이다.Also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bent portion is 0.5 mm or mor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Also,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 metal.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차 전지는, 원통형 이차 전지이다.Preferably, the secondary battery i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 전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와이어가 안정적이면서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ion member in which a sensing wire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secondary battery can be stably and easily combined,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센싱 와이어의 단부에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커넥터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가 연결 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와 돌출부의 결합으로 센싱 와이어와 커넥터가 쉽고 빠르며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or is provided at the end portion of the sensing wire, and the protrusion capable of being fitted to the connector is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the sensing wire and the connector are easily and fast And can be stably connected.
특히,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연결 부재의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에 벤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인 얇은 두께의 연결 부재라 하더라도 상용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nding portion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commercial connector can be stably fastened even with a usual thin-walled connecting member.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의 경우 센싱 와이어의 커넥터에 돌출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센싱 와이어와 연결 부재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커넥터를 돌출부에서 빼내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센싱 와이어와 연결 부재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팩의 불량과 같은 상황에서 센싱 와이어와 연결 부재의 전기적 연결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nsing wire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protrusion into the connector of the sensing wire, the sensing wire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You can disconnec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leas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wire and the connecting member in a situation such as a failure of the battery pack.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하여 센싱 와이어와 연결 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센싱 와이어와 연결 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만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와이어의 커넥터에 연결 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에 형성된 돌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에 형성된 돌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nsing wire and a connection member are not coupled to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nsing wire and a connecting member are combin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a sens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connecting membe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Fig. 5 is a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viewed from the side. Fig.
6 and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rotrusion of a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nd coupled to a connector of a sens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trusion formed on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otrusion formed on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하여 센싱 와이어(200)와 연결 부재(1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에서 센싱 와이어(200)와 연결 부재(100)가 결합된 상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이차 전지(300), 센싱 와이어(200) 및 연결 부재(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이차 전지(300)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전극 조립체, 전해액 및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차 전지(300)의 전극 조립체에는 양극 탭 및 음극 탭이 부착되어 케이스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는 이차 전지(300)가 둘 이상 포함될 수 있다.The
상기 센싱 와이어(200)는,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선으로서, 이차 전지(300)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용 와이어이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센싱 와이어(200)는 일단이 이차 전지(300)의 전극 단자 측에 연결되어 각 이차 전지(300)의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감지된 이차 전지(300)의 상태 정보는, 배터리 팩에 구비된 제어 장치, 이를테면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BMS란 배터리 팩의 충방전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관리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센싱 와이어(200)의 타단은, 이러한 BMS와 같은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각 센싱 와이어(200)의 좌측 단부는 배터리 팩에 구비된 BMS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nsed state information of the
이러한 센싱 와이어(200)는, 하나의 배터리 팩에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센싱 와이어(200)는 이차 전지(300)의 서로 다른 전극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센싱 와이어(200)는, 이차 전지(300)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단부에 커넥터(210)가 구비되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와이어(200)의 단부에 구비된 커넥터(2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3을 참조하면, 센싱 와이어(200)의 단부에 커넥터(2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210)는, 센싱 와이어(200)에 대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일측에 와이어 본체(201)가 결합된다. 그리고, 커넥터(210)는 와이어 본체(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211)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센싱 와이어(200)의 커넥터(210)에는, 도면에서 I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210)의 삽입부에 소정의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 있다.Further, in the
상기 연결 부재(100)는, 배터리 팩에 포함된 복수의 이차 전지(300)에 있어서, 둘 이상의 이차 전지(3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부재(100)는 둘 이상의 이차 전지(300)에 대한 양극 단자 사이나 음극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이차 전지(300)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100)는 둘 이상의 이차 전지(300)에 대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이차 전지(300)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한편, 여기서 연결 부재(100)는 배터리 팩 내에서 이차 전지(3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버스 바와 같은 다양한 용어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connecting
이처럼, 연결 부재(100)는 이차 전지(300)의 전극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므로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100)는,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도 성형이 용이하고 전기적 전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connecting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100)는 적어도 일측에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는 센싱 와이어(200)에 구비된 커넥터(210)의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The
도 4는 도 1의 구성에서 연결 부재(100)만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도면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only the connectin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100)는 플레이트 형태, 즉 넓은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10)는 이러한 플레이트 형태의 연결 부재(100)의 일측에, 플레이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태의 연결 부재(1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있을 때, 돌출부(110) 역시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connecting
여기서, 돌출부(110)는, 이차 전지(300)의 전극 단자가 접촉되는 연결 부재(100) 본체(101)의 일부로서, 연결 부재(100) 본체(10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0)는, 금속과 같이 전기 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이러한 돌출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벤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B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돌출부(110)는 연결 부재(100)의 두께 방향(도 5의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벤딩될 수 있다. Also, at least a portion of these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벤딩되어 있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워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5에서 t1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태의 연결 부재(100)에 형성된 돌출부(110)의 두께가 t1이라 하더라도, 벤딩부로 인해 돌출부(110)의 두께는 t2인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돌출부(110)를 포함한 연결 부재(100)의 두께(t1)가 커넥터(210)의 삽입부 두께보다 작다 하더라도 돌출부(110)의 벤딩부에 의해 형성된 두께(t2)로 인해 커넥터(210)의 삽입부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jecting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 와이어(200)의 커넥터(210)에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먼저, 도 6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10)의 삽입부로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210)의 삽입부 측에는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와 접촉하는 접속 단자(2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속 단자(211)는 센싱 와이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6, the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10)의 삽입부에 대한 돌출부(1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커넥터(210)의 접속 단자(211)와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는 서로 접촉하게 되어, 연결 부재(100)와 센싱 와이어(200) 간 전기적인 연결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에 벤딩 부위(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110)와 커넥터(21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00)의 원 두께가 커넥터(210)의 삽입부 크기보다 작다 하더라도, 벤딩 부위로 인해 돌출부(110)의 두께가 연결 부재(100)의 삽입부 크기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가 커넥터(210)의 삽입부에 삽입되었을 때, 접속 단자(211)와 돌출부(110)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돌출부(110)가 커넥터(210)로부터 잘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7, when the insertion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110)는, 벤딩된 부분의 두께가 0.5 mm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도 5에서 t2로 표시된 벤딩 부위의 상하 두께는 0.5 mm 이상이 되는 것이 좋다. 플레이트 형태의 연결 부재(100)에 널리 사용되는 금속판의 두께는 0.15 mm ~ 0.20 mm인 반면, 상용 커넥터의 삽입부 크기는 대체로 0.5 mm 이상이다. 따라서, 벤딩된 부분의 두께가 0.5 mm 이상이 되도록 돌출부(110)를 구성하면, 종래의 두께 정도로 구성된 연결 부재(100)에 대해서도, 센싱 와이어(200)의 단부에 0.5 mm 이상의 삽입부 크기를 가지는 상용 커넥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Preferably, the project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 와이어(200)의 단부에 구비되는 커넥터(210)는, 삽입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도 3, 도 6 및 도 7에서 P로 표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10)는 삽입부 하부에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와 접촉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접속 단자(211)가 구비되고 이러한 접속 단자(211)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 경우, 상기 연결 부재(100)는, 돌출부(110)에 이러한 커넥터(210)의 돌기(P)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H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가 커넥터(210)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210)의 삽입부에 형성된 돌기(P)가 이처럼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에 형성된 홀(H)에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210)의 돌기와 연결 부재(100)의 홀이 끼움 결합에 의해 상호 체결되므로, 이러한 끼움 결합에 의해 커넥터(210)에 대한 돌출부(110)의 삽입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와이어(200)와 연결 부재(100)의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projections of the
여기서, 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의 벤딩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210)의 돌기가 벤딩된 부분에 끼워지면서, 그러한 벤딩 부분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므로, 커넥터(210)와 돌출부(110)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210)의 돌기가 돌출부(110)의 홀과 벤딩부를 모두 빠져나와야 커넥터(210)로부터 돌출부(110)가 이탈될 수 있으므로, 돌출부(110)가 커넥터(210)로부터 잘 빠져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hole may be formed in the bent portion of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는, 적어도 일부가 아치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에 대한 벤딩 형태는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벤딩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벤딩 형태가 잘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부(110)가 커넥터(210)의 삽입부로 삽입되고 분리되는 과정에서, 커넥터(210)와 접촉하는 벤딩 부위가 곡선 형태이므로, 이러한 벤딩 부위로 인해 커넥터(210)가 손상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ojecting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는,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돌출부(110)는 연결 부재(100)에서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되, 이러한 돌출부(110)에 대하여 벤딩 방향은 가로 방향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jecting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는,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the projectin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100)에 형성된 돌출부(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도 8을 참조하면, 돌출부(110)가 연결 부재(100)에서 상부 방향, 즉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돌출부(110)의 일부가 벤딩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110)의 벤딩 형태는, 도 4의 벤딩 형태와 달리,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벤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돌출부(110)는,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한편,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돌출부(110)에 벤딩 부위가 하나만 형성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돌출부(110)에 벤딩 부위가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only one bending portion is formed on on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100)에 형성된 돌출부(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도 9를 참조하면, 하나의 돌출부(110)에 대하여 벤딩된 부분은 둘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벤딩 부위가 둘 이상 형성되므로 벤딩 부위로 인해 형성된 두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센싱 와이어(200)의 커넥터(210)에 대하여 삽입과 이탈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돌출부(110)의 벤딩 부위에는 힘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처럼 벤딩 부위가 둘 이상 돌출부(110)에 형성된 경우에는, 각 벤딩 부위에 인가되는 힘이 감소하므로, 벤딩 부위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re may be more than one portion bent with respect to one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00)의 돌출부(110)에 형성된 홀(H)은, 벤딩된 부분이 아닌 부분, 이를테면 벤딩된 부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일례에 불과할 뿐, 홀(H)이 돌출부(110)의 벤딩된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9, the holes H formed in the protruding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된 이차 전지(300)는 원통형일 수 있다. 원통형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경우, 이차 전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00)의 두께가 커넥터(210)에 통상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삽입부 크기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부재(100)는, 원통형 이차 전지가 포함된 배터리 팩에 적용되어 원통형 이차 전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 이를테면 커넥터(210)나 연결 부재의 형태는 일례에 불과할 뿐,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such as the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관측자의 보는 위치나 대상의 놓여져 있는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to refer to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viewing position of the observer or the position of the object. It is obvious.
100: 연결 부재
110: 돌출부
200: 센싱 와이어
210: 커넥터
300: 이차 전지100: connecting member
110: protrusion
200: sensing wire
210: Connector
300: secondary battery
Claims (20)
삽입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단부에 구비된 센싱 와이어; 및
둘 이상의 이차 전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 sensing wire having a connector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bending connection member
And the battery pack (100).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protrusion o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홀은, 상기 돌출부의 벤딩된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le is formed in a bent portion of the protrusion.
상기 연결 부재의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아치 형태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rotrusions of the connecting members are at least partially bent in an arch shape.
상기 연결 부재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protrusion is protru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te.
상기 돌출부는,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roject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jecting direction.
상기 돌출부는, 2회 이상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bent at least two times.
상기 돌출부는, 벤딩된 부분의 두께가 0.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has a thickness of 0.5 mm or more at the bent portion.
상기 연결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 metal.
상기 이차 전지는, 원통형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i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적어도 일측에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A connecting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secondary batteries in a battery pack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nd a sensing wire having a connector formed with an inserting portion at an end thereof,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and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sion is bent.
상기 커넥터의 삽입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2. The method of claim 11,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홀은, 상기 돌출부의 벤딩된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hole is formed in a bent portion of the protrusion.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아치 형태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trusion is at least partially bent in an arch shape.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projecting portion is protru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te.
상기 돌출부는, 돌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direction.
상기 돌출부는, 2회 이상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bent at least two times.
상기 돌출부는, 벤딩된 부분의 두께가 0.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has a thickness of 0.5 mm or more at the bent portion.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a metal.
상기 이차 전지는, 원통형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연결 부재.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ary battery is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118A KR20140107917A (en) | 2013-02-28 | 2013-02-28 | Coupl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2118A KR20140107917A (en) | 2013-02-28 | 2013-02-28 | Coupl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7917A true KR20140107917A (en) | 2014-09-05 |
Family
ID=5175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2118A Ceased KR20140107917A (en) | 2013-02-28 | 2013-02-28 | Coupl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07917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8658A (en) * | 2014-10-24 | 2016-05-04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Sensing module assembly and battery module assembly comprising thereof |
KR20170028069A (en) * | 2015-09-03 | 2017-03-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20220149345A (en) | 2021-04-30 | 2022-11-08 |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Battery packs and how they are manufactured |
WO2023167472A1 (en) * | 2022-03-03 | 2023-09-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cell pressing jig |
US20240128594A1 (en) * | 2022-10-12 | 2024-04-18 | Lunar Energy, Inc. | Wiring harness for energy storage system |
-
2013
- 2013-02-28 KR KR1020130022118A patent/KR2014010791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8658A (en) * | 2014-10-24 | 2016-05-04 |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 Sensing module assembly and battery module assembly comprising thereof |
KR20170028069A (en) * | 2015-09-03 | 2017-03-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KR20220149345A (en) | 2021-04-30 | 2022-11-08 |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Battery packs and how they are manufactured |
WO2023167472A1 (en) * | 2022-03-03 | 2023-09-0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cell pressing jig |
US20240128594A1 (en) * | 2022-10-12 | 2024-04-18 | Lunar Energy, Inc. | Wiring harness for energy storage system |
US12080913B2 (en) * | 2022-10-12 | 2024-09-03 | Lunar Energy, Inc. | Wiring harness for energy storage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58912B2 (en) | Bus bar assembly for electrode lead bonding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 |
EP3240062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CN110114932B (en) |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and vehicles including battery modules | |
CN110710027B (en) |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1841801B1 (en) | Battery pack having bushing for coupling end plate | |
CN204067465U (en) | Electrical storage device | |
EP3076456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KR20190056013A (en) | Battery Module Having Sensing Assembly and Busbar Assembly | |
KR20180135701A (en) | Battery module | |
KR20150113758A (en)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EP3154108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20170050508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CN105706272B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sensing module having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 |
CN110612617B (en) | Electrical component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KR20170098966A (en) | Battery cell | |
US11094987B2 (en) | Battery pack to support and fix battery module | |
KR20170083311A (en) | Battery pack | |
KR20140107917A (en) | Coupl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CN106953039A (en) | Battery Modules and Packs | |
CN113661613B (en) | Connector, battery management unit and battery pack | |
US20230282899A1 (en) |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 |
KR101821377B1 (en) | Battery module array having 2-cell with center case type module | |
KR20130061840A (en) | Battery pack | |
CN106328876A (en) | Prismatic accumulator cell and accumulator pack | |
CN113661606A (en) | Connectors, Battery Management Units and Battery Pa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8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