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05550A -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550A
KR20140105550A KR1020147019002A KR20147019002A KR20140105550A KR 20140105550 A KR20140105550 A KR 20140105550A KR 1020147019002 A KR1020147019002 A KR 1020147019002A KR 20147019002 A KR20147019002 A KR 20147019002A KR 20140105550 A KR20140105550 A KR 20140105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oresin
resin
resin composition
aromatic polyether
polyether ket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히사 마스다
유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55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 C08G2650/3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ether group
    • C08G2650/4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polymer typ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ether group containing ketone groups, e.g. polyarylethylketones, PEEK or PE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값을 겸비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불소 수지 (Ⅱ)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하기 화학식 (1): CF2=CF-Rf1 (1)(화학식 중 Rf1은 -CF3 또는 -ORf2를 나타냄. Rf2는 탄소수 1 내지 5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이고,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의 질량비 (Ⅰ):(Ⅱ)가 95:5 내지 50:50이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의 용융 점도비 (Ⅰ)/(Ⅱ)가 0.3 내지 5.0이고, 불소 수지 (Ⅱ)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중에 입자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경량화나 저비용화를 목적으로 하여, 금속 부품을 수지화하는 검토가 활발하게 행해지고,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자동차 부품, 공업 부품 또는 전기 전자 부품이 실용화되고 있다. 기어, 베어링 리테이너 등의 미끄럼 이동 용도에 있어서도, 금속제 미끄럼 이동 부재로부터 수지제 미끄럼 이동 부재로의 치환이 진행되고 있지만, 고(高)가중·고온·고속 회전 등의 조건에서 사용되는 미끄럼 이동 부재에는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는 미끄럼 이동성이 불충분하고, 마모, 용융, 깨짐, 절결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불소 수지는, 미끄럼 이동성, 내열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후성, 유연성, 전기적 성질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산업 기계, OA 기기, 전기 전자 기기 등의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불소 수지는, 특히 미끄럼 이동성이 우수하며, 그 낮은 마찰 계수는 수지 중에서도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결정성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에 비하여, 기계적 특성이나 하중 굴곡 온도로 나타나는 물리적인 내열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또한 비정질성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에 비하여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 사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는 것이 실정이었다.
이러한 상황 하, 열가소성 수지의 미끄럼 이동성을 개량하여, 보다 광범위한 미끄럼 이동 부재에의 적용을 도모하기 위한 검토가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가열 변형 온도가 100℃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60 내지 99중량부와 탄소 섬유 40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불소 수지 및 흑연의 총량 1 내지 50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성형 온도가 300℃ 이상인 열가소성 내열 수지 (A)와, 특정한 구조를 갖는 α-플루오로아크릴산플루오로아크릴을 필수 성분으로서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A) 폴리아릴케톤 수지 70 내지 99질량% 및 (B) 불소 수지 30 내지 1질량%를 함유하고, 수지 조성물 중에 분산시킨, (B) 불소 수지의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30㎛인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불소 수지 이외의 수지(성분 (A)) 및 불소 수지(성분 (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로서, 해상(海相)의 불소 수지 이외의 수지(성분 (A)) 중에 도상(島相)의 불소 수지(성분 (B))가 분산되는 해도(海島) 구조를 갖고, 또한 도상의 불소 수지(성분 (B))의 평균 입자 직경이 2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특정한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이미드 수지 40 내지 95중량부와 폴리알릴에테르케톤 60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융 유속 지수의 400℃, 10㎏에서의 값이 4.0 내지 15.0g/10min인 불소 수지 1 내지 40중량부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6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불소 수지의 혼합체를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는, 불소 수지 분자쇄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적어도 일부가, 분자쇄를 구성하는 다른 탄소 원자와의 사이에 가교 구조를 가짐과 함께, 불소 수지 분자의 적어도 일부가 활성 말단기를 갖는 불소 수지 5 내지 40질량부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 95 내지 60질량부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성을 개선하는 목적 이외에도,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 불소 수지를 첨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8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성형 가공에 있어서, 압출 압력 및 압출 토크를 저하시키는 등의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불소 함유 중합체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질량 및 불소 함유 중합체의 질량의 합계의 0.005 내지 1질량% 첨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9에는, PFA 수지 수분산액 중에 PEEK 수지의 미세 분말을, PFA:PEEK 중량비로 75:25 내지 70:30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 분산액을 통상법에 따라 조면화한 금속 표면에 직접 도착하고 소성함으로써, 접착 내구성이 있는 PFA-PEEK 복합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0에는, 폴리아릴케톤 수지와 열가소성 불소계 수지의 혼합물을 함유하며, 상기 혼합물의 연속상이 상기 열가소성 불소계 수지이고, 분산상이 폴리아릴케톤 수지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1에는, 고(高)영률이고, 유전율이 작으며, 난연성, 내열성, 절연성이 우수하고, 또한 강성도 높은 필름 및, 그것을 기재로서 사용한 FPC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재료로서, 폴리아릴케톤 100중량부에 대하여 다른 열가소성 수지 3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으로서, 상기 필름의 쿠션율이 3 내지 30%이고, 또한 적어도 1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케톤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PEEK)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비교적 우수한 미끄럼 이동성을 나타내어, 기어, 베어링 리테이너 등의 미끄럼 이동 용도로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고하중 등의 혹독한 미끄럼 이동 조건 하에서는 아직 미끄럼 이동성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PEEK의 미끄럼 이동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PTFE 분말을 배합한 PEEK 조성물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상기 PTFE 분말 배합 PEEK 조성물은 확실히 동마찰 계수는 저감되어 있지만, 한계 PV값으로 대표되는 미끄럼 이동 특성은 낮은 수준이며, 그 이상의 미끄럼 이동성의 개량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4888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1953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740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50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875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620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37363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3/044093호 팸플릿 일본 특허 공개 평6-3166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95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2123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값을 겸비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값을 겸비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예의 검토하여,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와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특정한 불소 수지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중에 특정한 평균 분산 입자 직경으로 분산되어 있고,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와 불소 수지의 용융 점도비가 특정한 범위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얻어지는 성형품의 동마찰 계수나 한계 PV값에 따른 미끄럼 이동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불소 수지 (Ⅱ)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하기 화학식 (1):
CF2=CF-Rf1 (1)
(화학식 중 Rf1은, -CF3 또는 -ORf2를 나타냄. Rf2는 탄소수 1 내지 5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이고,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의 질량비 (Ⅰ):(Ⅱ)가 95:5 내지 50:50이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의 용융 점도비 (Ⅰ)/(Ⅱ)가 0.3 내지 5.0이고, 불소 수지 (Ⅱ)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중에 입자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불소 수지 (Ⅱ)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중에 입자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0.3㎛ 미만이고, 또한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이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 (Ⅱ)는 용융 유속이 0.1 내지 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미끄럼 이동 부재로서 사용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시일재, 기어, 액츄에이터, 피스톤, 베어링 또는 부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 특성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은 우수한 미끄럼 이동성을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로서는,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케톤 및 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테르케톤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은 60sec-1, 390℃에서의 용융 점도가 0.25 내지 1.50kNs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점도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하여, 가공 특성이 향상되고,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 특성을 더 갖는 성형품이 얻어진다. 용융 점도의 바람직한 하한은 0.80kNsm-2이다. 용융 점도의 바람직한 상한은 1.30kNsm-2이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의 용융 점도는 ASTM D3835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은 유리 전이 온도가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다. 상기 범위의 유리 전이 온도인 것에 의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장치에 의하여 측정된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은 융점이 3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 이상이다. 상기 범위의 융점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장치에 의하여 측정된다.
상기 불소 수지 (Ⅱ)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및 하기 화학식 (1):
CF2=CF-Rf1 (1)
(화학식 중 Rf1은 -CF3 또는 -ORf2를 나타냄. Rf2는 탄소수 1 내지 5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이다. 불소 수지 (Ⅱ)로서는 1종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Rf1이 -ORf2인 경우, 상기 Rf2는 탄소수가 1 내지 3인 퍼플루오로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 (Ⅱ)를 사용함으로써,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값을 겸비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용융 가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충분히 낮은 마모 특성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없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서는, 보다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값을 겸비한 성형품을 얻을 수 있으므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 및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 (Ⅱ)로서는, 낮은 동마찰 계수가 얻어지므로 퍼플루오로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 (Ⅱ)는 80 내지 99몰%의 TFE 및 1 내지 20몰%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 (Ⅱ)를 구성하는 TFE의 함유량의 하한은 85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87몰%가 더욱 바람직하며, 90몰%가 특히 바람직하고, 93몰%가 특별히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 (Ⅱ)를 구성하는 TFE의 함유량의 상한은 97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95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 수지 (Ⅱ)를 구성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함유량의 하한은 3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5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 (Ⅱ)를 구성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함유량의 상한은 15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13몰%가 더욱 바람직하며, 10몰%가 특히 바람직하고, 7몰%가 특별히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 (Ⅱ)는 60sec-1, 390℃에서의 용융 점도가 0.3 내지 3.0kNs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점도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하여, 가공 특성이 향상되고,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용융 점도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0.4kNsm-2이다. 용융 점도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2.5kNsm-2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kNsm-2이다.
상기 불소 수지 (Ⅱ)의 용융 점도는 ASTM D3835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상기 불소 수지 (Ⅱ)는 372℃, 5000g 하중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용융 유속(MFR)이 0.1 내지 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4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40g/10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FR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동마찰 계수를 낮게 할 수 있고, 한계 PV값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MFR의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12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하한은 15g/10분이다. 동마찰 계수의 저감의 관점에서, MFR의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8g/10분이며, 특히 바람직한 상한은 35g/10분이다.
상기 불소 수지 (Ⅱ)의 MFR은, ASTM D3307-01에 준거하여 멜트 인덱서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불소 수지 (Ⅱ)의 융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할 때 사용하는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이 용융되는 온도에서 이미 불소 수지 (Ⅱ)가 용융되어 있는 것이 성형에 있어서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의 융점 이하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불소 수지 (Ⅱ)의 융점은, 230 내지 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 (Ⅱ)의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장치를 사용하여 10℃/분의 속도로 승온했을 때의 융해열 곡선에 있어서의 극대값에 대응하는 온도로서 구한 것이다.
상기 불소 수지 (Ⅱ)는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불소 가스 처리한 것이어도 되고, 암모니아 처리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의 용융 점도비 (Ⅰ)/(Ⅱ)(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불소 수지 (Ⅱ))가 0.3 내지 5.0이다. 용융 점도비 (Ⅰ)/(Ⅱ)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 특성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용융 점도비 (Ⅰ)/(Ⅱ)는 0.4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피시 아이가 적은 박막을 얻을 수 있는 점 및,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가 보다 우수한 점,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용융 점도비 (Ⅰ)/(Ⅱ)는 0.5 내지 2.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의 질량비 (Ⅰ):(Ⅱ)가 95:5 내지 50:50이다. 질량비 (Ⅰ):(Ⅱ)가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하여,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 특성을 겸비하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불소 수지 (Ⅱ)의 함유량이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의 질량비로 50을 초과하면 강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5 미만이면 충분한 동마찰 계수가 얻어지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90:10 내지 60:40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불소 수지 (Ⅱ)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중에 입자상으로 분산되어 있고,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3.0㎛ 미만이다.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3.0㎛ 미만인 것에 의하여,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 특성을 겸비하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충분한 미끄럼 이동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종래부터, 미끄럼 이동 부재의 깨짐이나 절결을 해소하기 위하여, 내충격성이 개량된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이 요구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의 내충격성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고무 성분을 알로이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그러나,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은 고내열의 열가소성 수지이며, 그 성형 가공 온도는 350℃를 넘고, 통상은 400℃ 가까이에서 성형이 행해진다. 가령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에 고무 성분을 알로이했다고 하더라도, 성형 가공 시에 고무 성분이 열 열화되어 실용적이지 않다. 따라서,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의 내충격성을 개량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은 실질상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이러한 현실 하, 본 발명자들은 불소 수지 (Ⅱ)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중에 입자상으로 분산되어 있고,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3.0㎛ 미만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낮은 동마찰 계수 및 높은 한계 PV 특성을 갖는 성형품이 될 뿐만 아니라, 놀랍게도 성형품의 내충격성이 극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보다 높은 한계 PV 특성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필름 성형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되므로,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0.3㎛ 미만이고, 또한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이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0.3㎛ 미만이고, 또한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이 0.8㎛ 이하이면, 동마찰 계수나 한계 PV값의 미끄럼 이동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피시 아이가 적은 박막 필름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의 내충격성이 극적으로 향상된다.
필름 성형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되고, 피시 아이의 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점에서, 불소 수지 (Ⅱ)의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은 0.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현미경 관찰을 행하거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작되는 프레스 시트로부터 초박 절편을 잘라내고, 상기 초박 절편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현미경 관찰을 행하여 얻어진 화상을 광학 해석 장치로 2치화 처리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티타늄산칼륨 등의 위스커, 유리 섬유, 석면 섬유, 카본 섬유, 세라믹 섬유, 티타늄산칼륨 섬유, 아라미드 섬유, 기타 고강도 섬유 등의 섬유상 강화재; 탄산칼슘, 탈크, 운모, 클레이, 카본 분말, 그라파이트, 글래스 비즈 등의 무기 충전재; 착색제; 난연제 등 통상 사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 충전재; 미네랄, 플레이크 등의 안정제; 실리콘 오일,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윤활제; 안료; 카본 블랙 등의 도전제; 고무 등의 내충격성 향상제; 기타 첨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는, 예를 들어 성형용 조성물 등의 수지 조성물을 혼합하기 위하여 통상 사용되는 배합 밀, 밴버리 믹서, 가압 니이더, 압출기 등의 혼합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조건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혼합기로서는 2축 압출기가 바람직하며, 2축 압출기의 스크류 구성은 L/D=35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L/D=40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L/D=45 이상이다. 또한 L/D는, 스크류의 유효 길이(L)/스크류 직경(D)이다.
상술한 점에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L/D가 35 이상인 스크류 구성의 2축 압출기로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용융 상태에서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를 충분히 혼련함으로써, 원하는 분산 상태를 갖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분산 상태는 성형품의 동마찰 계수 및 한계 PV 특성 및, 박막 필름의 제작, 성형성에 영향을 주므로,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품에 있어서 원하는 분산 상태가 얻어지도록, 혼련 방법의 선택은 적절하게 행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기에 투입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상기 다른 성분을 첨가하여, 수지 (Ⅰ) 및 (Ⅱ)의 융점 이상에서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에 미리 첨가하여 혼합해 두어도 되고,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배합할 때 첨가해도 된다.
상기 용융 혼련 시의 온도로서는, 사용하는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불소 수지 (Ⅱ)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어 360 내지 4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 시간으로서는 통상, 1분 내지 1시간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의 동마찰 계수를 0.22 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동마찰 계수인 것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 부재용 성형품으로서 보다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동마찰 계수는 0.2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의 한계 PV값을 80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0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이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성형체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를 30kJ/㎡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kJ/㎡ 이상이다. 높은 아이조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을 0.3㎛ 미만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성형품의 깨짐이나 절결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얻어지는 성형체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가 60kJ/㎡ 이상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성형품도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성형품은, 미끄럼 이동성과 내충격성과 함께, 내열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강도, 강성, 약품 저투과성, 치수 안정성, 난연성, 전기 특성 및 내구성을 겸비하는 성형품이며, 전기 전자·반도체 분야에 있어서는, CMP 리테이너 링, 에칭 링, 실리콘 웨이퍼 캐리어, IC 칩 트레이 등의 반도체·액정 제조 장치 부품, 절연 필름, 소형 버튼 전지, 케이블 커넥터,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본체 케이스;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는, 스러스트 와셔, 오일 필터, 오토 에어컨 컨트롤 유닛의 기어, 스로틀 보디의 기어, ABS 부품, AT 시일 링, MT 시프트 포크 패드, 베어링, 시일, 클러치 링; 산업 분야에 있어서는, 압축기 부품, 대량 수송 시스템의 케이블, 컨베이어 벨트 체인, 유전 개발 기계용 커넥터, 수압 구동 시스템의 펌프 부품(베어링, 포트 플레이트, 피스톤의 볼 소켓 조인트); 항공 우주 분야에 있어서는, 항공기의 캐빈 내장 부품, 연료 파이프 보호재; 및 식품·음료 제조 설비 부품이나 의료 기구 부품(멸균 기구, 가스·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시트형; 필름형; 로드형; 파이프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피시 아이가 적은 박막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형, 필름형 성형품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끄럼 이동 부재용 성형품이기도 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성형된 미끄럼 이동 부재용 성형품은 동마찰 계수가 낮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 부재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불소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약품성, 내후성, 비점착성, 발수성, 전기 특성 등도 우수하다.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용 성형품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시일재, 기어, 액츄에이터, 피스톤, 베어링, 베어링 리테이너, 부시, 스위치, 벨트, 베어링, 캠, 롤러, 소켓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성형기에 관한 각종 조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종래 공지와 같이 행할 수 있다. 성형 온도는 통상, 사용하는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의 융점 이상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 온도는, 상기 불소 수지 (Ⅱ)의 분해 온도와 상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의 분해 온도 중 낮은 쪽의 온도 미만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형 온도로서는, 예를 들어 250 내지 400℃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목적으로 하는 성형품의 종류, 용도, 형상 등에 따라 사출 성형, 압출 성형, 프레스 성형, 블로우 성형, 캘린더 성형, 캐스팅 성형 등의,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성형 방법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 방법을 조합한 성형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과 다른 중합체를 복합 성형하여 성형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FR의 측정>
ASTM D3307-01에 따라, 멜트 인덱서(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제조)를 사용하여, 372℃, 5000g 하중 하에서 내경 2㎜, 길이 8㎜의 노즐로부터 10분당 유출되는 중합체의 질량(g/10분)을 구하였다.
<프레스 시트 성형품의 제작>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열 프레스기에 의하여 380℃, 5㎫의 조건 하에서 압축 성형하여, 두께 3㎜의 시트를 제작하였다.
<한계 PV값의 측정>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프레스 시트로부터, 세로 3㎝·가로 3㎝·두께 3㎜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JIS K7218의 A법에 준하여, 마찰 마모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 에이 앤드 디 제조)를 사용하여, 강재 S45C(#240 샌드 페이퍼 마감 처리)를 상대재로 하여, 속도 3m/초 일정, 면압을 20N으로부터 10분마다 20N씩 상승시킴으로써, 한계 PV값을 측정하였다.
<동마찰 계수의 측정>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프레스 시트를 사용하여, 볼 온 디스크형 SRV 마찰 마모 시험기(OPTIMOL사 제조)에 의하여, 실온, 50㎐의 조건에서 동마찰 계수를 구하였다.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
상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프레스 시트로부터, JIS K7110에 준하여,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 측정용 시험편을 잘라내고, 아이조드 충격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를 측정하였다.
<피시 아이 개수의 계측>
피시 아이 개수의 판정은, T다이 압출의 방법으로 제작한 12㎝×50㎝ 사각형, 두께 25㎛의 필름의 피시 아이 개수를 계측하였다.
○: 10개 미만
△: 10개 이상 30개 미만
×: 30개 이상
<평균 분산 입자 직경·최대 분산 입자 직경의 산출>
상술한 방법에서 제작한 프레스 시트를 사용하여, 선단 부분이 1㎜ 사각형으로 되도록 트리밍용 면도날로 트리밍을 행하고, 그 후, 울트라 마이크로톰(라이카사제 ULTRACUT S)의 시료 홀더에 고정, 챔버 내를 액체 질소로 -80℃까지 냉각하고, 두께 90㎚의 초박 절편을 잘라내었다.
얻어진 초박 절편을 20%에탄올 용액을 부착시킨 백금 링으로 회수하여, 구리제 시트 메쉬(오켄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200A, φ3.0㎜)에 부착시켰다.
그 후, 투과형 전자 현미경(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세이사쿠쇼 제조 H7100FA)을 사용하여, 구리제 시트 메쉬에 부착시킨 초박 절편의 관찰을 행하였다.
현미경 관찰에 의하여 얻어진 네거티브 필름을 스캐너(EPSON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GT-9400UF)로 전자 영상화하고, 광학 해석 장치(가부시키가이샤 니레코 제조 LUZEX AP)를 사용하여 전자상의 2치화 처리를 행하여, 분산상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구하였다.
<용융 점도의 측정 방법>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의 용융 점도는, 60sec-1, 390℃에 있어서 ASTM D3835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불소 수지의 용융 점도는, 60sec-1, 390℃에 있어서 ASTM D3835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 재료를 사용하였다.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1):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용융 점도; 1.48kNsm-2)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2):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용융 점도; 1.19kNsm-2)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3):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용융 점도; 0.31kNsm-2)
불소 수지 (1):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조성 중량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87.5/11.5/1.0, MFR; 23g/10분, 용융 점도; 0.55kNsm-2)
불소 수지 (2):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조성 중량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87.5/11.5/1.0, MFR; 60g/10분, 용융 점도; 0.28kNsm-2)
불소 수지 (3):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조성 중량비;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88.5/11.5, MFR; 6g/10분, 용융 점도; 2.23kNsm-2)
불소 수지 (4):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상품명: 루브론 L5, 다이킨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불소 수지 (5):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상품명: 네오프론 EP54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용융 점도; 2.27kNsm-2)
<실시예 1>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2) 및 불소 수지 (1)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300rpm의 조건 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편에서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2>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2) 및 불소 수지 (1)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500rpm의 조건 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편에서 불소 수지 (1)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3>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2) 및 불소 수지 (1)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300rpm의 조건 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편에서 불소 수지 (1)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4>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2) 및 불소 수지 (3)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500rpm의 조건 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편에서 불소 수지 (3)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5>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3) 및 불소 수지 (1)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500rpm의 조건 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상기 시험편에서 불소 수지 (1)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비교예 1>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1)만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시험편을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비교예 2 및 3>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1)과, 불소 수지 (4) 또는 불소 수지 (5)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300rpm의 조건 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프레스 시트를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프레스 시트로부터 초박 절편을 잘라내어, 불소 수지 (4) 또는 (5)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비교예 4>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3), 불소 수지 (3)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500rpm의 조건 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프레스 시트를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프레스 시트로부터 초박 절편을 잘라내어, 불소 수지 (3)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비교예 5>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1), 불소 수지 (2)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2축 압출기(φ15㎜, L/D=60)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300rpm의 조건 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프레스 시트를 제작하고, 한계 PV값, 동마찰 계수, 노치가 구비된 아이조드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프레스 시트로부터 초박 절편을 잘라내어, 불소 수지 (2)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비교예 6>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2), 불소 수지 (1)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부)로 예비 혼합을 행하고, 벤트식 압출기(φ50㎜, L/D=24)을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390℃, 스크류 회전수 25rpm의 조건 하에서 혼합하고, 폭 500㎜의 슬릿대로부터 압출하고, 130℃의 인출 롤로 연신하여, 25㎛로 연신한 필름을 제작하고, 불소 수지 (1)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 및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을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높은 미끄럼 이동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 공업 부품, 전기 전자 부품 등에 사용하는 성형 재료로서 적절하게 이용 가능하다.

Claims (7)

  1.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및 불소 수지 (Ⅱ)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며,
    불소 수지 (Ⅱ)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하기 화학식 (1):
    CF2=CF-Rf1 (1)
    (화학식 중, Rf1은 -CF3 또는 -ORf2를 나타냄. Rf2는 탄소수 1 내지 5의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퍼플루오로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이고,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의 질량비 (Ⅰ):(Ⅱ)가 95:5 내지 50:50이며,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과 불소 수지 (Ⅱ)의 용융 점도비 (Ⅰ)/(Ⅱ)가 0.3 내지 5.0이고,
    불소 수지 (Ⅱ)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중에 입자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 (Ⅱ)가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 중에 입자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불소 수지 (Ⅱ)의 평균 분산 입자 직경이 0.3㎛ 미만이고, 또한 최대 분산 입자 직경이 0.8㎛ 이하인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 (Ⅱ)는 용융 유속이 0.1 내지 100g/10분인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Ⅰ)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인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6. 제5항에 있어서,
    미끄럼 이동 부재로서 사용되는 성형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시일재, 기어, 액츄에이터, 피스톤, 베어링 또는 부시인 성형품.
KR1020147019002A 2011-12-13 2012-11-29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Withdrawn KR201401055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72464 2011-12-13
JPJP-P-2011-272464 2011-12-13
PCT/JP2012/080913 WO2013088964A1 (ja) 2011-12-13 2012-11-29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550A true KR20140105550A (ko) 2014-09-01

Family

ID=4861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002A Withdrawn KR20140105550A (ko) 2011-12-13 2012-11-29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329968A1 (ko)
EP (1) EP2778199B1 (ko)
JP (1) JPWO2013088964A1 (ko)
KR (1) KR20140105550A (ko)
CN (1) CN103958608B (ko)
TW (1) TW201336931A (ko)
WO (1) WO20130889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4721A (ko) * 2019-03-27 2021-11-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412A (ko) 2011-12-14 2014-09-04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전선
JP5854146B2 (ja) * 2012-08-06 2016-0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WO2014034493A1 (ja) * 2012-08-31 2014-03-06 ダイセル・エボニック株式会社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10964444B2 (en) 2013-07-25 2021-03-30 Daikin Industries,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6520707B2 (ja) * 2014-03-07 2019-05-29 東レ株式会社 複合摺動材およびoa機器用耐熱性複合摺動材
JP5904301B2 (ja) * 2014-07-18 2016-04-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6639775B2 (ja) * 2014-10-21 2020-02-05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プリント配線板用カバーレイ、プリント配線板用基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CN104683923A (zh) * 2015-03-17 2015-06-03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微型扬声器振膜
WO2017179542A1 (ja) * 2016-04-11 2017-10-19 旭硝子株式会社 積層体、プリント基板、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GB2580481B (en) * 2018-10-30 2022-02-23 Victrex Mfg Ltd Polymeric materials
CN109385090A (zh) * 2018-11-20 2019-02-26 浙江歌瑞新材料有限公司 一种涂油辊和集束轮的配方及其制造工艺
JP7347964B2 (ja) * 2019-05-30 2023-09-20 エドワーズ株式会社 真空ポンプ及び該真空ポンプに備えられた保護部
JP2021014834A (ja) 2019-07-12 2021-02-12 エドワーズ株式会社 真空ポンプ、ロータ及び座金
JP2019183175A (ja) * 2019-08-01 2019-10-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FR3106722B1 (fr) * 2020-01-31 2024-01-19 Ste Dapplication Des Silicones Alimentaires Revêtement pour la cuisson de produits issus du secteur de la boulangerie/viennoiserie/pâtisseri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5275A (ja) * 1984-01-24 1985-08-15 Sumitomo Chem Co Ltd 被覆用樹脂組成物
US4897439A (en) 1986-07-01 1990-01-30 Edlon Products, Inc. Polymer-metal bonded composit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6136255A (ja) * 1992-10-27 1994-05-17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エーテル芳香族ケトン樹脂組成物
JPH06316686A (ja) 1992-10-30 1994-11-15 Nikken Toso Kogyo Kk Pfa−peek複合塗膜
JP3620873B2 (ja) 1994-08-04 2005-02-16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H0971704A (ja) * 1995-06-28 1997-03-18 Ntn Corp 四フッ化エチレン樹脂組成物
JPH0987517A (ja) 1995-09-27 1997-03-31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イミド系樹脂組成物
JPH10195302A (ja) 1997-01-14 1998-07-28 Daikin Ind Ltd 耐熱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CN1283717C (zh) * 1999-08-16 2006-11-08 纳幕尔杜邦公司 可熔体成型的聚四氟乙烯
DE69932426T3 (de) * 1999-08-16 2011-03-1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Wilmington In der Schmelze verarbeitbares Polytetrafluorethylen
JP4044725B2 (ja) 2000-11-15 2008-02-06 日立電線株式会社 改質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
JP2002235011A (ja) 2000-12-06 2002-08-23 Mitsui Chemicals Inc ポリイミド系樹脂組成物
US6720071B2 (en) * 2001-02-21 2004-04-13 Ntn Corporation Tip seal and seal material for scroll type compressor
JP2003082123A (ja) 2001-09-14 2003-03-19 Du Pont Toray Co Ltd ポリアリールケト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撓性印刷回路基板
US20030109646A1 (en) 2001-11-21 2003-06-12 Daikin Institute Of Advanced Chemistry And Technology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haped articles
JP2004137363A (ja) 2002-10-17 2004-05-13 Nissan Motor Co Ltd 樹脂組成物、樹脂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摺動部材、内燃機関用チェーンシステム、車両用シールリング
JP2006274073A (ja) * 2005-03-29 2006-10-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樹脂組成物、その樹脂成形体、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GB0608560D0 (en) * 2006-05-02 2006-06-07 Victrex Mfg Ltd Polymeric materials
JP5115382B2 (ja) * 2007-08-02 2013-01-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5060223B2 (ja) * 2007-09-12 2012-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ピストン
JP5474371B2 (ja) 2009-02-20 2014-04-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並びに医療製品及び内視鏡操作部
CN101880436B (zh) * 2010-07-05 2012-05-30 清华大学 树脂组合物及其模塑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4721A (ko) * 2019-03-27 2021-11-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58608A (zh) 2014-07-30
US20140329968A1 (en) 2014-11-06
EP2778199A4 (en) 2015-05-20
CN103958608B (zh) 2016-08-17
EP2778199A1 (en) 2014-09-17
WO2013088964A1 (ja) 2013-06-20
JPWO2013088964A1 (ja) 2015-04-27
EP2778199B1 (en) 2017-05-17
TW201336931A (zh)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394B1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20140105550A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726097B1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940431B1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JP5772981B2 (ja) シールリング
EP2850127A1 (en) Tribological aromatic polyimide compositions
JP5751347B2 (ja) 歯車
JP2014129465A (ja) 組成物、成形体及び繊維
JPWO2014073682A1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50421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