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098A - Angled implant - Google Patents
Angled impla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5098A KR20140105098A KR1020130018810A KR20130018810A KR20140105098A KR 20140105098 A KR20140105098 A KR 20140105098A KR 1020130018810 A KR1020130018810 A KR 1020130018810A KR 20130018810 A KR20130018810 A KR 20130018810A KR 20140105098 A KR20140105098 A KR 201401050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utment
- fixture
- implant
- thread
- central ax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3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65687 Bone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83 osseointeg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경사형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clined implant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dentistry.
임플란트는 소실된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방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법은 치아가 빠진 개수만큼 식립되는 것이 원칙이어서 많은 치아가 소실된 경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Implants are widely used as replacements for lost teeth. However, since such an implant treatment method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number of missing teeth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missing teeth,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nsiderable cost and time are required when many teeth are lost.
이로 인해, 최근에는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가 각광을 받고 있다.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는 일반적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2개 이상의 임플란트와, 이 임플란트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틀니로 구성된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an implant-supported overdental has been spotlighted. An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generally consists of two or more implant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a denture releasably secured to the implant.
여기서, 임플란트 지지형 오버덴쳐에 사용되는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거의 수직하게 식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의 경우에는 환자의 치조골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수직하게 식립할 수 없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 임플란트에는 틀니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어버트먼트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고정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의 식립을 어렵게 하고,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유착되는 동안 환자에게 이물감을 주어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lant used for the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be plac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alveolar bone. However, in actual cases, it often occurs that the implant can not be vertically placed on the alveolar bone depending on the alveolar bone condition of the patient. In addition, the implant is provided with a fixed abutment for fixing the denture. Such a fixed abutment makes it difficult for the implant to be implanted, and gives a foreign body feeling to the patient while the implant is attached to the alveolar bone, .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치조골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도 상부 어버트먼트가 손쉽게 교체될 수 있는, 경사형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clined implant in which an upper abutment can be easily replaced while forming a certain angle with a alveolar bone of a patien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경사형 임플란트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픽스쳐;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하부 어버트먼트;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와 상기 몸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나사; 및 상기 경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 어버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clined implant including: a body; a fixture having a hollow formed inside the body; A lower abutment having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at an acute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insertion portion; A fixing screw passing through the lower abutment to fix the lower abutment and the body to each other; And an upper abutment detachably fastened to the inclined portion.
여기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는,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와 교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 어버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pper abutment may include a healing abutment and a fixed abutment that is exchangeable with the healing abutment.
여기서, 상기 경사부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고정 어버트먼트는, 상기 수용부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결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clined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and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fixed abutment may each include a coupling portion having the same shape so as to be interchangeab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여기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곡면체의 외형을 갖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ling abut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having a contour of a curved surface.
여기서, 상기 고정 어버트먼트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의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 및 암나사산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ed abut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having one of a ball and a female thread portion to fix the denture.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그 외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수나사산과 체결되는 암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slope portion may include a female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fastened to the male thread.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the acute angle with the central axis.
여기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상기 경사부의 외면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abut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여기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portion may include a penetration portion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and through which the fixing screw passes.
여기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수용부와 소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그 내면이 상기 고정나사와 상호 비간섭되도록, 상기 고정나사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enetra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screw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not interfered with the fixing screw.
여기서, 상기 삽입부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the body may include a seating groov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여기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식립 나사산;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식립 나사산에 대응하는 리드 길이를 갖는 미세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xture may include: a mounting thread formed on the body; And a micro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having a lea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thread.
여기서, 상기 몸체는, 그 상단이 커지는 형태의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body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such that its upper end is enlarg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경사형 임플란트에 의하면, 상부 어버트먼트가 환자의 치조골과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치조골 상태에 따라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수직하게 식립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관련된 경사형 임플란트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butment can form an angle with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Therefore, even when the implant can not be vertically placed on the alveolar bone according to the alveolar bone condition of the patient, the inclined impla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사형 임플란트에 의하면, 상부 어버트먼트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어버트먼트 없이 픽스쳐의 식립이 이루어져 경사형 임플란트의 식립 시술이 간편해지며, 식립 후 픽스쳐가 치조골과 유착되는 기간 동안 힐링 어버트먼트를 사용함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골 유착이 완료된 후 힐링 어버트먼트를 고정 어버트먼트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힐링 어버트먼트를 재활용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butment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ly, the fixture can be placed without the fixed abutment, so that the placement of the inclined implant can be simplified, and the healing abutment can be reduc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fixture is attached to the alveolar bone after the implantation. In addition, after the osseointegration is completed, the healing abutmen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the fixed abutment, and the healing abutment can be recyc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사형 임플란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경사형 임플란트의 볼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의 스크류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의 픽스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clined implant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abutment of the inclined implant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rew abutment of an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ture of an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n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경사형 임플란트(100)는 픽스쳐(110), 하부 어버트먼트(130), 고정나사(150), 및 상부 어버트먼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픽스쳐(110)는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부분이다. 픽스쳐(1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하부 어버트먼트(130)가 삽입될 수 있다. 하부 어버트먼트(130)는 픽스쳐(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나사(150)에 의해 픽스쳐(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어버트먼트(130)에는 상부 어버트먼트(170)가 체결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경사형 임플란트(100)의 상부 어버트먼트(17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곡면체의 외형을 갖는 힐링 어버트먼트(170')(healing abut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힐링 어버트먼트(170')는 경사형 임플란트(100)가 식립된 후 픽스쳐(110)가 치조골에 유착되는 기간 동안, 잇몸의 모양이 적절하게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시켜 픽스쳐(110)의 유착을 돕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경사형 임플란트(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도 2는 도 1의 경사형 임플란트(100)의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경사형 임플란트(100)는 상술한 것과 같이, 픽스쳐(110), 하부 어버트먼트(130), 고정나사(150), 및 상부 어버트먼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픽스쳐(110)는 환자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요소이다. 픽스쳐(110)는 몸체(111), 중공부(113), 식립 나사산(119), 및 미세 요철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몸체(111)는 픽스쳐(11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요소이다. 몸체(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원통형의 몸체(111)는 그 횡단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중공부(113)는 후술하는 하부 어버트먼트(13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중공부(113)는 몸체(111)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13)는 원추형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13)에는 안착홈(115), 및 고정홈(117)이 형성될 수 있다.The
안착홈(115)은 후술하는 하부 어버트먼트(130)의 돌출부(135)가 안착되는 홈이다. 안착홈(115)은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고정홈(117)은 후술하는 고정나사(150)가 체결되는 홈이다. 이를 위해, 고정홈(117)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식립 나사산(119)은 몸체(111)를 치조골에 고정시키는 요소이다. 식립 나사산(119)은 몸체(111)의 외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미세 요철부(121)는 치조골 또는 잇몸에 대한 몸체(111)의 유착을 돕는 요소이다. 미세 요철부(121)는 몸체(1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식립 나사산(119)과 동일한 리드(lead)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fine concave-
하부 어버트먼트(130)는 상부 어버트먼트(170)를 지지하는 요소이다. 하부 어버트먼트(130)는 삽입부(131), 및 경사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삽입부(131)는 중공부(113)에 삽입되어 몸체(111)에 고정되는 요소이다. 삽입부(131)는 중공부(113)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원추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131)는 관통부(133), 및 돌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관통부(133)는 고정나사(150)가 삽입되는 홀이다. 관통부(133)는 삽입부(131)의 길이방향 축인 중심축(C)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penetrating
돌출부(135)는 픽스쳐(110)에 대한 하부 어버트먼트(1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돌출부(135)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35)는 전술한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안착홈(115)에 안착되어, 삽입부(131)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경사형 임플란트(100)의 장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경사부(141)는 상부 어버트먼트(170)가 체결되는 요소이다. 경사부(141)는 그 경사 방향축(S)이 삽입부(131)의 중심축(C)과 예각(α)을 이루면서 삽입부(131)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각(α)은 구체적으로 1°내지 45°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각도는 일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부(141)는 수용부(143), 및 암나사산(1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수용부(143)는 상부 어버트먼트(170)가 체결되는 공간이다. 수용부(143)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43)는 그 경사 방향축(S)이 중심축(C)과 예각(α)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각(α)은 상술한 경사부(141)가 중심축(C)과 이루는 예각(α)과 동일한 각도일 수 있다. The receiving
수용부(143)는 그 내면(144)이 고정나사(15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43)의 내면(144)은 경사부(141)의 중심축(C)에서 고정나사(150) 두께의 반지름 길이(r)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43)는 관통부(133)와 소통되어 하나의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암나사산(145)은 상부 어버트먼트(170)의 체결부(171)와 체결되는 요소이다. 암나사산(145)은 후술하는 체결부(171)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산(173)과 체결될 수 있다. The
고정나사(150)는 하부 어버트먼트(130)를 픽스쳐(110)에 고정시키는 요소이다. 고정나사(150)는 관통부(133)를 통해 삽입되어 중공부(113)의 고정홈(117)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xing
상부 어버트먼트(170)는, 픽스쳐(110)의 식립 후 치유 기간 중 임시로 사용될 수 있는 힐링 어버트먼트(170')와, 의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 어버트먼트(170'')(이하, 도 3, 도 4, 및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힐링 어버트먼트(17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어버트먼트(170)는 체결부(171), 및 지지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체결부(171)는 경사부(141)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요소이다. 체결부(171)는 원통형의 수용부(14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171)는 수나사산(173)을 포함할 수 있다.The
수나사산(173)은 경사부(141)의 암나사산(145)과 체결되는 요소이다. 수나사산(173)은 체결부(171)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지지부(175)는 픽스쳐(110)의 식립 후 잇몸의 모양을 적절하게 잡아주거나{힐링 어버트먼트(170')}, 의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고정 어버트먼트(170'')} 하는 요소이다. 지지부(175)는 체결부(171)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75)의 외면은 경사부(141)의 외면과 경계면 없이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부(175)와 경사부(141)의 사이에 음식물이 끼거나 환자의 구강내 조직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힐링 어버트먼트(170')의 경우, 지지부(175)는 환자의 구강내 조직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곡면체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75)의 중앙에는 힐링 어버트먼트(170')를 경사부(141)에 체결할 수 있도록 렌치홈(177)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healing abutment 170 ', the
이하에서는, 상술한 경사형 임플란트(100)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치조골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골조직으로 이루어지는 해면골과, 해면골을 덮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골조직으로 이루어지는 치밀골로 구성된다. 이러한 치밀골은 잇몸으로 덮혀져 있다.Hereinafter, the manner of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100)에 의하면, 먼저 픽스쳐(110)가 치조골에 식립될 수 있다. 픽스쳐(110)의 몸체(111)는 그 외면에 형성된 식립 나사산(119)에 의해 치조골의 해면질에 식립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1)는 몸체(111)의 상단에 형성된 미세 요철부(121)가 선택적으로 잇몸 또는 치조골의 치밀골과 맞닿게 되는 깊이까지 식립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미세 요철부(121)는 작은 미세홈(micro groove)으로 이루어져 넓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미세 요철부(121)는 잇몸 또는 치밀골과 견고하게 유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경사형 임플란트(100)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 요철부(121)는 연조직(soft tissue)이 잘 안착되도록 하여 그 흡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골 손실(bone loss)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몸체(111)의 횡단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큰 지름으로 갖도록 형성되므로, 미세 요철부(121)가 형성된 몸체(111)의 상단은 잇몸 또는 치밀골과 밀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유착될 수 있다.The fine concavities and
상술한 것과 같이, 이 미세 요철부(121)는 식립 나사산(119)과 동일한 리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픽스쳐(110)의 식립시 미세 요철부(121)와 식립 나사산(119)의 회전 궤도 상의 차이로 인해 치조골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ne
픽스쳐(110)가 치조골에 식립되면, 하부 어버트먼트(130)의 삽입부(131)가 픽스쳐(110)의 중공부(11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31)와 중공부(113)는 서로 동일한 원추형의 종단면을 가지므로, 삽입부(131)는 종방향 하중은 물론 횡방향 하중에 대해서도 몸체(111)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돌출부(135)는 이와 동일한 횡단면을 갖는 안착홈(115)에 고정되므로, 삽입부(131)는 몸체(111)와 상호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된다.When the
하부 어버트먼트(130)가 픽스쳐(110)에 삽입되면, 관통부(133)를 통해 고정나사(150)가 몸체(111)에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수용부(143)는 그 내면(144)이 경사부(141)의 중심축(C)에서 고정나사(150) 두께의 반지름 길이(r)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정나사(150)는 수용부(143)의 내면(144)에 걸리지 않고 수용부(143)를 통해 관통부(133)로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고정나사(150)가 체결되면, 하부 어버트먼트(130)의 경사부(141)에 상부 어버트먼트(170)가 체결될 수 있다. 상부 어버트먼트(170)는 체결부(171)의 수나사산(173)에 의해 경사부(141)의 암나사산(145)과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수용부(143)는 그 경사 방향축(S)이 중심축(C)과 예각(α)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예각(α)은 경사부(141)가 중심축(C)과 이루는 예각(α)과 동일한 각도일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43)에 체결되는 상부 어버트먼트(170)는 경사부(14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 어버트먼트(170)에 가해지는 하중은 경사부(141)의 경사 방향축(S)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다.When the fixin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100')를 설명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clined implan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inclined impla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도면을 참조하면, 경사형 임플란트(100')는 픽스쳐(110), 하부 어버트먼트(130), 고정나사(150), 및 고정 어버트먼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100')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고정 어버트먼트(170'')로 구성되는 상부 어버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an inclined implant 100 'may include a
경사형 임플란트(100')는 틀니와 함께 사용되어 오버덴쳐(overdenture)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버덴쳐의 시술은 경사형 임플란트(100)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픽스쳐(110)가 치조골에 유착되는 동안 힐링 어버트먼트(170')를 하부 어버트먼트(130)에 임시적으로 고정시켜 놓은 후, 픽스쳐(110)의 골 유착이 완료되면 힐링 어버트먼트(170')를 고정 어버트먼트(170'')와 교환하는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apered implant 100 'may be used with a denture to form an overdenture. This overdenture procedure is performed by temporarily placing the healing abutment 170 'on the
본 실시예에서, 고정 어버트먼트(170'')는 픽스쳐(110)의 골 유착 완료후 틀니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고정 어버트먼트(170'')는 픽스쳐(110)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에서 힐링 어버트먼트(170')와 교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힐링 어버트먼트(170')는 세척후 재활용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고정 어버트먼트(170'')는 상술한 것과 같이 틀니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크라운을 고정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 어버트먼트(170'')는 의치(틀니 및 크라운을 포함한다)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fixed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고정 어버트먼트(170'')의 일 형태에 따른 볼 어버트먼트(170a'')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4는 도 3의 경사형 임플란트(100')의 볼 어버트먼트(170a'')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볼 어버트먼트(170a'')는 체결부(171), 및 지지부(175a'')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체결부(171)는 경사형 임플란트(100')의 수용부(143)에 힐링 어버트먼트(170')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힐링 어버트먼트(170')의 체결부(171)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볼 어버트먼트(170a'')의 체결부(171)는 힐링 어버트먼트(170')의 체결부(171)의 수나사산(173)과 동일한 수나사산(173)을 포함할 수 있다.The
지지부(175a'')는 의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17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볼(177)에는 의치가 볼 어버트먼트(170a'')에 착탈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리세스(17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75a'')에는 볼 어버트먼트(170a'')를 회전시켜 경사부(141)의 수용부(143)에 체결할 수 있도록 반대편에 두 개의 홈(181)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볼 어버트먼트(170a'')는 픽스쳐(110)의 골 유착 완료후 힐링 어버트먼트(170')와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교환은 힐링 어버트먼트(170')를 분리한 후, 분리된 경사부(141)의 수용부(143) 자리에 두 개의 홈(181)을 이용하여 볼 어버트먼트(170a'')를 체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볼 어버트먼트(170a'')가 하부 어버트먼트(130)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의치를 경사형 임플란트(100')에서 착탈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고정 어버트먼트(170'')의 다른 형태에 따른 스크류 어버트먼트(170b'')에 대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의 스크류 어버트먼트(170b'')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류 어버트먼트(170b'')는 체결부(171), 및 지지부(175b'')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체결부(171)는 상술한 것과 같이 힐링 어버트먼트(170') 및 볼 어버트먼트(170a'')의 체결부(171)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교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75b'')는 볼 어버트먼트(170a'')와 달리 암나사산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의치는 암나사산부(183)에 의해 볼트 등으로 지지부(175b'')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방식은 주로 의사의 시술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의치가 경사형 임플란트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enture can be fixed to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의 픽스쳐(11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경사형 임플란트의 픽스쳐(110')를 설명한다.6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ture 110 'of an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fixture 110 'of an inclined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픽스쳐(110')는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몸체(111')를 가진다. 여기서, 몸체(111')는 그 상단이 커지는 형태의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11')는 지름이 큰 상단부(111a')와 지름이 작은 하단부(111b')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ixture 110 'has a body 111' tha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ere, the body 111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having a shape such that its upper end is enlarged. Specifically, the body 111 'may have a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픽스쳐(110')는 하단부(111b')의 지름이 작아, 치간 거리가 좁거나 릿지(ridge)가 좁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픽스쳐(110')는 지름이 큰 상단부(111a')를 구비하므로, 힘을 많이 받는 부위, 예컨대 구치부에서 릿지가 좁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fixture 110 'can be used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이러한 픽스쳐(11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중공부(113)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픽스쳐(110')는 상술한 실시예의 픽스쳐(110)와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fixture 110 'may have the same
상기와 같은 경사형 임플란트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inclined implant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경사형 임플란트 110: 픽스쳐
111: 몸체 113: 중공부
130: 하부 어버트먼트 131: 삽입부
141: 경사부 150: 고정나사
170: 상부 어버트먼트100: Inclined implant 110: Fixture
111: body 113: hollow
130: lower abutment 131:
141: slope part 150: set screw
170: upper abutment
Claims (13)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면서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하부 어버트먼트;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어버트먼트와 상기 몸체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나사; 및
상기 경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A fixture having a body and a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the body;
A lower abutment having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at an acute angl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insertion portion;
A fixing screw passing through the lower abutment to fix the lower abutment and the body to each other; And
And an upper abutment detachably fastened to the inclined portion.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는,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와 교환 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butment comprises:
A heel abutment, and a fixed abutment interchangeably formed with the heal abutment.
상기 경사부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고정 어버트먼트는,
상기 수용부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체결부를 각각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stationary abutment,
Each of which is formed in the same shape so as to be interchangeab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곡면체의 외형을 갖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healing abutment includes: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portion and having a contour of a curved surface.
상기 고정 어버트먼트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의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 및 암나사산부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ed abutment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portion and having one of a ball and a female thread portion to fix the denture.
상기 체결부는,
그 외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수나사산과 체결되는 암나사산을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fastening portion
And a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The inclined portion,
And a female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fastened to the male thread.
상기 수용부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nd is formed to form the acute angle with the central axis.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는,
상기 체결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외면은 상기 경사부의 외면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abutment comprises: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삽입부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가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insertion portion
And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along the central axis and through which the fixation screw is passed.
상기 관통부는, 상기 수용부와 소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그 내면이 상기 고정나사와 상호 비간섭되도록, 상기 고정나사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되는, 경사형 임플란트.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xation screw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not mutually non-interfering with the fixation screw.
상기 삽입부는,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ertion portion
A projection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The body,
And a seating groov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상기 픽스쳐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식립 나사산;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식립 나사산에 대응하는 리드 길이를 갖는 미세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경사형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xture,
A mounting thread formed on the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fine uneven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and having a lea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thread.
상기 몸체는,
그 상단이 커지는 형태의 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형 임플란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And an upper end of the cone is formed in a shape of a co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8810A KR20140105098A (en) | 2013-02-21 | 2013-02-21 | Angled impl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8810A KR20140105098A (en) | 2013-02-21 | 2013-02-21 | Angled impla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5098A true KR20140105098A (en) | 2014-09-01 |
Family
ID=5175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8810A Ceased KR20140105098A (en) | 2013-02-21 | 2013-02-21 | Angled impla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05098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0974A (en) * | 2017-07-24 | 2019-02-01 | 주식회사 디오 | angular abutment for denture |
KR101966407B1 (en) * | 2018-11-21 | 2019-04-05 | 주식회사 하이니스 | Abutment assembly |
SE2050602A1 (en) * | 2020-05-26 | 2021-04-06 | Wu Kuan Lin | One-piece formed abutment tooth arranged to be angled and locked by a photocurable resin |
DE102023101331A1 (en) * | 2023-01-19 | 2024-07-25 | Sivan Ates | Healing cap system for at least one implant or connector, in particular for the aforementioned healing cap system |
-
2013
- 2013-02-21 KR KR1020130018810A patent/KR2014010509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0974A (en) * | 2017-07-24 | 2019-02-01 | 주식회사 디오 | angular abutment for denture |
KR101966407B1 (en) * | 2018-11-21 | 2019-04-05 | 주식회사 하이니스 | Abutment assembly |
SE2050602A1 (en) * | 2020-05-26 | 2021-04-06 | Wu Kuan Lin | One-piece formed abutment tooth arranged to be angled and locked by a photocurable resin |
SE543584C2 (en) * | 2020-05-26 | 2021-04-06 | Wu Kuan Lin | One-piece formed abutment tooth arranged to be angled and locked by a photocurable resin |
DE102023101331A1 (en) * | 2023-01-19 | 2024-07-25 | Sivan Ates | Healing cap system for at least one implant or connector, in particular for the aforementioned healing cap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17493B2 (en) | Detachable implant-coupling prosthesis | |
KR100981719B1 (en) | Dental Implant Fixtures | |
KR101139962B1 (en) | Dental implant having plate | |
KR100594753B1 (en) | Mounting device for dental implants | |
KR100938991B1 (en) | Mini implants. | |
CA3050089C (en) | Dental implant | |
KR200456270Y1 (en) | Fixture for implant | |
KR20120027604A (en) | Temporary clamping member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implant theraphy | |
US20200315749A1 (en) | Dental implants | |
KR101446072B1 (en) |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 |
KR200470574Y1 (en) | Ball 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 | |
KR20140105098A (en) | Angled implant | |
KR101388185B1 (en) |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 |
KR101720605B1 (en) | Dental Flattening Drill | |
KR200383246Y1 (en) | Mount Device For Dental Implant | |
KR200456293Y1 (en) | Onebody solid abutment | |
KR20100090006A (en) | Fixture of dental implant | |
KR101571759B1 (en) | Dental Implant Apparatus | |
KR20150086699A (en) | Multiple Abutment | |
KR101037892B1 (en) | Implant Detector Cover Screw | |
KR100594752B1 (en) | Dental Implant Fixtures | |
KR200392276Y1 (en) | Dental Implant | |
KR101059741B1 (en) | Mini implant | |
WO2009075459A1 (en) | Dental implant fixture | |
KR101067752B1 (en) | Implant Fix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8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