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04256A - 통기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기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256A
KR20140104256A KR1020130018216A KR20130018216A KR20140104256A KR 20140104256 A KR20140104256 A KR 20140104256A KR 1020130018216 A KR1020130018216 A KR 1020130018216A KR 20130018216 A KR20130018216 A KR 20130018216A KR 20140104256 A KR20140104256 A KR 20140104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weight
medical
nonwoven fabric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8287B1 (ko
Inventor
정성훈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
Priority to KR102013001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2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4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09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복, 환자복, 가운, 마스크, 병원용 침대 및 베개 카바와 같은 의료 직물의 통기성 및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S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S2) 항균사와 상기 항균사보다 융점이 낮은 섬유(LM 섬유)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섬한 다음, 상기 항균사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LM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융착시켜 항균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통기성 필름과 항균성 부직포를 라인패턴 또는 도트패턴으로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통기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시트는 수술복, 환자복, 가운, 마스크와 같은 인체에 직접 닿는 의료 직물의 통기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항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2차 감염의 위험이 방지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heet for medical having excellent permeabi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본 발명은 수술복, 환자복, 가운, 마스크, 병원용 침대 및 베개 카바와 같은 의료 직물의 통기성 및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기 입원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여의치 못하고, 환자복의 통기성 부족으로 인해 피부에 땀이 차거나 피부염증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에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있는 환자는 피부를 자극하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피부질환이 쉽게 발생하여 스트레스와 환경의 오염으로 각종 피부염이 합병증으로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나 간호사는 환자의 혈액이나 분비물 또는 이에 의해 오염된 수술복과 같은 가운으로부터 2차 감염될 우려가 있다.
최근 각종 바이러스나 각종 병원균의 내성 증가로 인한 위험성이 커지면서 무엇보다도 병원 수술실에서의 수술복(STERILE GOWN)과 수술포(DRAPES)를 중심으로 새로운 소재로의 대체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수술복은 거의 린넨으로 제조되어 한 번 사용한 후 세탁 및 멸균처리하여 다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새로운 소재, 예를 들어 고어텍스(coretex)나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일회용 수술복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술복, 환자복, 마스크, 붕대 등은 의료 분야에서 착용자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개인 보호용 장비의 요소로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의료용 고분자 재료가 갖추어야할 세부조건은 생화학적, 화학적, 물리적, 기계적, 멸균안정성, 성형가공에서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여러, 측면 중에서도 의료용 목적으로 사용될 재료인 관계로 사용기간 또는 사용 후에도 인체에 독성이 없고 안정하여야만 되는 특성이 제일 우선시 된다. 즉, 박테리아 이동의 차단을 목적으로 적절한 기공 크기의 다공성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미생물의 이동은 차단하며 피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기존 제품 대비 한 차원 업그레이드된 성능을 발현하며 수분 전이율 및 통기성 향상을 통한 쾌적한 피부표면의 형성을 위하여 의료용 통기성 박막형 필름 기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피부에서 발생되는 박테리아가 수술 절개부위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항미생물 환경의 조성을 위한 항균제의 복합 제조 기술이 요구되어 통기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환자복, 수술복에 사용되는 의료 시트의 통기성 및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S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S1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 내지 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내지 15 중량%, 탄산칼슘(CaCO3) 45 내지 50 중량%, 산화방지제 0.2 내지 0.4 중량%, 제습제 1 내지 2 중량%, 왁스 0.3 내지 1.5 중량% 및 항균제 4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통기성 항균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는 단계,
(S1b)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180 내지 260℃에서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시킨 후 6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 및
(S1c) 상기 가열된 조성물을 400% 이상의 연신비로 하여 연신한 다음 냉각하여 통기성 항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S2) 항균사와 상기 항균사보다 융점이 낮은 섬유(LM 섬유)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섬한 다음, 상기 항균사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LM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융착시켜 항균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통기성 필름과 항균성 부직포를 라인패턴 또는 도트패턴으로 합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기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통기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 및 이러한 시트를 구비한 의료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성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시트 전체의 투습도가 우수하여 통기도가 균일하면서 통기성이 좋으며, 항균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르면 통기성 필름과 항균 부직포를 라인패턴 또는 도트패턴으로 합지시켜 접착에 의해 통기도가 막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통기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시트는 수술복, 환자복, 가운, 마스크와 같은 인체에 직접 닿는 의료 직물의 통기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항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2차 감염의 위험이 방지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내에 통합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통기성 항균 필름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필름과 부직포를 합지하기 위한 그라비어 롤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그라비어 롤러 시스템의 그라비어 롤러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은 (S1)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S2) 항균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통기성 필름과 항균성 부직포를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기성 필름은 통기성 및 항균성을 부여한 의료용 필름으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S1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 내지 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내지 15 중량%, 탄산칼슘(CaCO3) 45 내지 50 중량%, 산화방지제 0.2 내지 0.4 중량%, 제습제 1 내지 2 중량%, 왁스 0.3 내지 1.5 중량% 및 항균제 4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통기성 항균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는 단계,
(S1b)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180 내지 260℃에서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시킨 후 6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 및
(S1c) 상기 가열된 조성물을 400% 이상의 연신비로 하여 연신한 다음 냉각하여 통기성 항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2:1 내지 3:1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컴파운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30 내지 40 중량% 및 10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이들의 함량의 합이 40중량% 미만일 경우 탄산칼슘을 비롯한 첨가제의 함량이 증가되어 필름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이들의 함량의 합이 5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통기성 필름 제조 시 통기도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보통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 비교해서 분자량 분포가 작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용이나 필름 성형용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분자량 분포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분자구조와 유사하며 가열할 때 용융점성도가 비교적 높다. 결정성은 보통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보다 좋기 때문에 강성이나 내스트레스크랙성도 좋고 인열저항이 크며 표면경도도 비교적 크므로 광택이 좋은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투명성은 분자량이 커지면 저하하는 경향이 있어 성형성도 나빠지므로 비교적 분자량이 적고 투명성이 좋은 성형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인열강도에 있어 보통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비교하면 약 2배 되며 필름원료로서 좋은 재료가 된다고 알려져 있다.
통기성이 향상되면서 기공 분포가 균일한 통기성 항균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무기 충전제로서 탄산칼슘을 사용하며, 이 때 탄산칼슘의 크기가 균일해야 하며,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산칼슘의 평균입경은 1.7 내지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1.7㎛ 보다 작으면 상기 조성물의 컴파운드 시 고르게 혼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평균입경이 2.1㎛ 보다 크면 기공의 크기가 너무 커져 공기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 등 세균이 침투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전체 컴파운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5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4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통기성 필름으로 제조가 어려우며,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의 물성이 약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에는 산화 방지를 위해 전체 컴파운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0.4 중량%의 양의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며, 이러한 산화방지제로는 당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Irganox 1010 및 Irgafos 168(바스프(Basf)사)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에는 필름 조성물의 압출시 압출을 보다 부드럽게 수행하기 위하여 왁스를 전체 컴파운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에는 필름의 항균 효과를 위하여 항균제를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이의 예로는 제올라이트와 메탈 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기성 항균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에는 필름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용화제, 활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가공조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이 사용 가능하며, 이들을 단독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들의 함량은 전체 컴파운드 조성물 함량 중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다른 성분들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고유의 물성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통기성 항균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을 용융 혼련한 후, T-다이를 통하여 180 내지 260℃에서 압출하고 냉각시킨 후 60 내지 90℃로 가열한다.
상기 가열된 조성물을 200% 이상의 연신비로 하여 연신한 다음 냉각하여 통기성 항균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신과정은 2차 이상, 바람직하게는 3차 연신을 통해 수행하여 총 200% 이상의 연신비로 연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신과정에 의해 필름 상에 내재된 탄산칼슘으로 인하여 그 주위에 기공이 형성됨으로서 통기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통기성 필름은 20 내지 35 ㎛의 두께를 가지며, 1 ㎛ 이내의 기공크기를 갖는 기공을 필름내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50 내지 100㎛ 크기의 세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투습도가 높아 시트에서 수분 증발이 잘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공기는 투과시킬 수 있어 우수한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의 (S2) 단계에서 제조되는 항균성 필름은 항균사와 상기 항균사보다 융점이 낮은 섬유(LM(low melting) 섬유)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섬한 다음, 상기 항균사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LM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융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항균사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한국 특허공개 제2010-0007443호(은 나노 입자가 증착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제조), 제2005-0073436호(항균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항균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항균사보다 융점이 낮은 섬유(LM 섬유)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사와 LM 섬유의 융착은 항균사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LM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항균사 단섬유와 LM 섬유를 열융착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니들 펀칭(needle punching)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항균사와 LM 섬유의 열융착 방법에 의해 융착시킬 경우 접착제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통기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상기 항균사와 LM 부직포 섬유는 9:1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특히 6:4 내지 8:2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 섬유에 대한 항균사를 상기 범위보다 많은 양으로 사용할 경우 부직포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부직포 섬유에 대한 항균사의 양을 상기 범위보다 적은 양으로 사용할 경우 항균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의 (S3) 단계에서는 상기 제조된 통기성 필름과 항균성 부직포를 그라비어 롤러 시스템(Gravure roller system)을 이용하여 라인패턴 또는 도트패턴으로 합지시킴으로써 통기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을 이용한 접착에 의해 통기도가 막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통기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시트는 의료용 수술복, 환자복, 가운, 마스크와 같은 의료 시트에 제조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의료 시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투습도가 2000 내지 6,000g/m324hr인 것이 바람직하며, 항균성은 80 내지 100%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의료용 시트
(단계 1) 통기성 필름 제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5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12 중량%, 2.1 ㎛의 평균입경을 갖는 탄산칼슘(CaCO3) 45중량%, 산화방지제 0.4 중량%, 제습제 1.1 중량%, 왁스 1.5 중량% 및 항균제 5 중량%를 혼합하여 용융 혼련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T-다이를 통하여 180 내지 260℃에서 압출하고 18℃에서 냉각시킨 후 80℃로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된 조성물을 15 내지 25 m/min로 1차 연신하고, 30 내지 40 m/min로 2차 연신시킨 후, 50 내지 70 m/min로 3차 연신한 다음 18℃에서 냉각시켜 20~35 ㎛의 두께의 의료용 통기성 항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통기성 필름의 S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통기성 항균 필름은 고른 통기도 분포를 가지며, 10 ㎛ 미만의 기공 크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2) 항균성 부직포 제조
한국 특허공개 제2010-0007443호에 따라 제조된 나노 입자가 증착된 항균사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이 혼합된 LM 섬유를 7:3의 중량비로 열융착시켜 항균성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 때 니들 펀칭을 수행하여 부직포를 이루는 섬유의 탈리를 방지하였다.
(단계 3) 의료용 시트 제조
상기 수득된 통기성 필름과 항균성 부직포를 도 2에 나타낸 그라비어 롤러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낸 그라비어 롤러 패턴으로 합지시켜 의료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의료용 시트의 투습도, 수분 저항성, 액체 방수성, 항균활성 및 생체적합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기준분석방법 단위 수치 세계최고수준
투습도
(Water Vapor Transmittance Ratio)
ASTM E 96
KS K 0594
ISO 11092
g/m3/24hr 5,000 500
수분 저항성
(Water Resistance)
KS K 0591(2)
ISO 811
JIS L 1092
mmH2O 1,000 500
액체 방수성
(Liquid repellent)
AATCC13
KS K 0610
4 4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ASTM E2149
AATCC TM
100
% 99.9 -
생체적합성 ISO 10993-5 적합 적합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통기성 필름과 항균성 부직포를 그라비어 롤러 시스템을 이용하여 합지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그라비어 롤러의 메시(Mesh)의 형태와 접착력(박리강도) 관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서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통기성 필름의 투습도는 8,000g/㎡/24h 이고, 합지시에 사용된 접착제의 점도는 3,000cps이고, 점착제의 도포 롤러의 수용홈의 깊이는 100㎛이고, 도포 롤러의 수용홈의 폭은 0.25mm이고, 통기성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시 조건은 40Dyne이었다.
그라비어 롤러의 메시(방) 점착제 점도(cps) 접착력(박리강도)
(g.f/inch)
투습도
(g/㎡/24hr)
50 3,000 600~700 4,500~4,800
60 3,000 500~600 5,000~5,200
100 3,000 100~180 5,800~6,100
150 3,000 합지 불가 합지 불가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그라비어 롤러의 메시가 커질수록 도포되는 점착제의 함량은 적어져서 의료용 시트의 박리 강도가 저하되고, 이때 투습도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그라비어 롤러의 메시가 150이 되면 도포되는 점착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작아져 합지 자체가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의 의료용 시트의 제조에 사용된 부직포의 발수 처리 여부와 접착력(박리강도) 관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통기성 필름의 투습도는 8,000g/㎡/24h 이고, 합지시에 사용된 접착제의 점도는 3,000cps이고, 점착제의 도포 롤러의 수용홈의 깊이는 100㎛이고, 도포 롤러의 수용홈의 폭은 0.25mm이고, 통기성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시 조건은 40Dyne이며, 사용된 그라비어 롤러의 메시는 60이었다.
발수 처리 접착력(박리강도)
(g.f/inch)
투습도(g/㎡/24hr)
발수 처리 전 500~600 5,000~5,200
발수 처리 후 520~640 5,500~5,700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의료용 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발수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기성 필름과 부직포의 합지시에 도포된 점착제가 부직포의 기공으로 스며들어 합지에 사용되는 점착제의 함량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그 결과, 부직포에 발수 처리를 함으로써 의료용 시트의 박리강도를 보다 더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성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시트 전체의 투습도가 우수하여 통기도가 균일하면서 통기성이 좋으며, 항균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르면 통기성 필름과 항균 부직포를 라인패턴 또는 도트패턴으로 합지시켜 접착에 의해 통기도가 막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통기성을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시트는 수술복, 환자복, 가운, 마스크와 같은 인체에 직접 닿는 의료 직물의 통기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항균성을 향상시킴으로써 2차 감염의 위험이 방지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S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통기성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S1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 내지 4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내지 15 중량%, 탄산칼슘(CaCO3) 45 내지 50 중량%, 산화방지제 0.2 내지 0.4 중량%, 제습제 1 내지 2 중량%, 왁스 0.3 내지 1.5 중량% 및 항균제 4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통기성 항균 필름용 컴파운드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는 단계,
    (S1b)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180 내지 260℃에서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냉각시킨 후 60 내지 90℃로 가열하는 단계, 및
    (S1c) 상기 가열된 조성물을 400% 이상의 연신비로 하여 연신한 다음 냉각하여 통기성 항균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S2) 항균사와 상기 항균사보다 융점이 낮은 섬유(LM 섬유)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섬한 다음, 상기 항균사의 융점보다 낮고 상기 LM 섬유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융착시켜 항균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통기성 필름과 항균성 부직포를 복합화된 패턴으로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기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2:1 내지 3:1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탄산칼슘의 평균입경이 1.7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항균제가 제올라이트와 메탈 이온을 포함하는 항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항균 부직포가 항균사와 LM 부직포 섬유를 6:4 내지 8:2의 중량비로 열융착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통기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
  7. 제 6 항에 따른 의료용 시트가 구비된 의료 직물.
KR1020130018216A 2013-02-20 2013-02-20 통기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Active KR10144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216A KR101448287B1 (ko) 2013-02-20 2013-02-20 통기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8216A KR101448287B1 (ko) 2013-02-20 2013-02-20 통기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256A true KR20140104256A (ko) 2014-08-28
KR101448287B1 KR101448287B1 (ko) 2014-10-22

Family

ID=5174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216A Active KR101448287B1 (ko) 2013-02-20 2013-02-20 통기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2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1445A1 (en) 2019-07-01 2021-01-07 Chemical Intelligence Limited Antimicrobial dyes for healthcare apparel
US20220056636A1 (en) * 2020-08-20 2022-02-24 Specialty Coating & Laminating, Llc Coated Antimicrobial Fabr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631B1 (ko) 2019-10-30 2021-06-10 (주)화인테크놀리지 방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의료용 접착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의료용 접착시트
KR102472100B1 (ko) 2022-03-10 2022-11-30 주식회사 라파 항균성이 향상된 수술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253A (ja) * 1992-08-03 1994-02-22 Mitsui Toatsu Chem Inc 抗菌性多孔質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HUP0300208A2 (en) * 2000-01-10 2003-09-29 Clopay Plastic Prod Co Antibacterial microporous film and method of making
WO2008139727A1 (ja) * 2007-05-07 2008-11-20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多孔性フィルム及び電池用セパレータ
KR100987728B1 (ko) * 2008-07-14 2010-10-13 성안합섬주식회사 은 나노입자가 증착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제조된항균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1445A1 (en) 2019-07-01 2021-01-07 Chemical Intelligence Limited Antimicrobial dyes for healthcare apparel
US20220056636A1 (en) * 2020-08-20 2022-02-24 Specialty Coating & Laminating, Llc Coated Antimicrobial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287B1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878B1 (ko) 통기성 탄성 필름 및 라미네이트
JP4848120B2 (ja) 通気性かつ弾性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2519402B1 (en) Apertured segmented films
KR101527146B1 (ko) 바이러스 방어용 합지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바이러스 방어 의류
CN101250820B (zh) 一种医用防护服材料及其制备方法
EP1695819A2 (en) Method for preparing a coated substrate
KR101448287B1 (ko) 통기성과 항균성이 향상된 의료용 시트의 제조방법
CN1839042A (zh) 微孔透气弹性膜
KR100574736B1 (ko) 개선된 차단용 필름 및 라미네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TW201428033A (zh) 透濕性薄膜及其製造方法
Cai et al. Autoclavable, breathable, and waterproof membranes tailored by ternary nanofibers for reusable medical protective applications
EP2456330B1 (en) Blood resistant and viral resistant composite fabrics
CN111760380A (zh) 一种用于口罩的ptfe复合过滤材料及制备工艺
KR20070120488A (ko) 보다 높은 가공성을 갖는 다층 필름 구조물
CN105876935A (zh) 一种手术室用防辐射抑菌杀毒防护服及其制造方法
CN112549717A (zh) 一种复合布及其制备方法与应用
Davies Healthcare textiles
EP1825047A1 (en) Antimicrobial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antimicrobial fabric
JP2017179656A (ja) マスク
KR102280101B1 (ko) 내구성이 개선된 방호복
KR20130097356A (ko) 의료용 통기성 항균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의료용 통기성 항균 필름
CN111155177B (zh) 静电纺丝抗病毒薄层及其在抗病毒领域的应用
KR102541369B1 (ko)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우수한 다층 나노통기성필름
WO2021159580A1 (zh) 带灭菌通道的医用防护烧结透气材料制作方法
KR102280102B1 (ko) 방호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3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5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8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5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