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584A -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3584A KR20140103584A KR1020130017137A KR20130017137A KR20140103584A KR 20140103584 A KR20140103584 A KR 20140103584A KR 1020130017137 A KR1020130017137 A KR 1020130017137A KR 20130017137 A KR20130017137 A KR 20130017137A KR 20140103584 A KR20140103584 A KR 201401035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screen
- screen area
- touched
- electronic device
- comm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기기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 및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전자 기기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컴퓨터 노트북, 텔레비전 등)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전자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면 확대/축소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에 있어, 멀티 터치 방식(즉, 터치스크린 상의 두 지점을 터치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의 두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두 지점 간의 거리를 길거나 짧게 함으로써 화면 확대/축소 등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 터치 방식은 사용자가 두 손이나 두 손가락을 이용해야만 하므로, 전자 기기의 사이즈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종래의 멀티 터치 방식보다 더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종래의 멀티 터치 방식보다 더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 기기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border)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flexible touch-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버튼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경계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화면 확대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화면 축소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잠금 실행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잠금 해제 명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flexible)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border)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경계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화면 확대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화면 축소 명령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잠금 실행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잠금 해제 명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flexible)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border)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상기 전자 기기로 하여금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기능, 및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상기 전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기능을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확대 명령 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축소 명령 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종래의 멀티 터치 방식보다 더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부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볼록한 형태를 가질 때, 도 3의 터치스크린부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때, 도 3의 터치스크린부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 방법이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동작 방법이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부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볼록한 형태를 가질 때, 도 3의 터치스크린부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때, 도 3의 터치스크린부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 방법이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동작 방법이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 기기가 구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터치스크린부(120) 및 터치스크린부(120)가 부착되는 몸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센싱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전자 기기(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전자 기기(100)의 종류는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텔레비전,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전자 기기(100)의 형상이 도 1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터치스크린부(120)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부(120)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됨으로써,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 비하여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전자 기기(100)의 전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 비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전자 기기(100)의 전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스크린부(120)는 어플리케이션(즉,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명령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모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00)에서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 뿐만 아니라, 볼록한 형태 또는 오목한 형태를 가진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고,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버튼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의 전면 버튼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위치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방향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방향은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는,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는 제 1 방향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으로 진행하는 방향이고, 제 2 방향이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 설명하였지만, 제 1 방향이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진행하는 방향이고, 제 2 방향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사용자 명령은 화면 확대 명령일 수 있고, 제 2 사용자 명령은 화면 축소 명령일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전자 기기(100)는 화면 확대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스크린부(12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전자 기기(100)는 화면 축소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스크린부(12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사용자 명령은 잠금 실행 명령일 수 있고, 제 2 사용자 명령은 잠금 해제 명령일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전자 기기(100)는 잠금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스크린부(120)에 대한 잠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전자 기기(100)는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스크린부(120)에 대한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는 제 1 사용자 명령과 제 2 사용자 명령이 각각 화면 확대 명령과 화면 축소 명령인 경우와 각각 잠금 설정 명령과 잠금 해제 명령인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제 1 사용자 명령과 제 2 사용자 명령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사용자 명령과 제 2 사용자 명령은 전자 기기(100)에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예를 들어, 파워-온(power-on) 명령, 파워-오프(power-off) 명령 등)될 수 있다.
몸체부(140)에는 터치스크린부(120)가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20)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터치 센싱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몸체부(140)는 컨트롤러(즉, 디스플레이 컨트롤러(display controller)와 터치 컨트롤러(touch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는 터치스크린부(120)의 표시 기능과 터치 기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4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다양한 센서들, 메모리 장치, 저장 장치, 기능 장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들은 전자 기기(100)의 다양한 센싱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들은 회전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속도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나침반 역할을 수행하는 지자계 센서, 고도를 측정하는 기압계 센서, 동작 인식, 접근 탐지, 광원 구별 등을 수행하는 제스처-근접-조도-RGB 센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습도 센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손에 쥐었는지를 판단하는 그립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모리 장치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PRAM(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RRAM(Resistance Random Access Memory),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 PoRAM(Polymer Random Access Memory),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모바일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기능 장치들은 전자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장치들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 RF(radio frequency) 모듈, UWB(ultra wideband) 모듈,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모듈 등),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마이크 장치, 스피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터치스크린부(120)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터치스크린부(120)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확대 명령, 화면 축소 명령 등)을 입력함에 있어서 터치스크린부(120)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종래의 멀티 터치 방식보다 더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에 해당하는 단차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명령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자 기기에 구비된 터치스크린부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볼록한 형태를 가질 때, 도 3의 터치스크린부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며, 도 5a 및 도 5b는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때, 도 3의 터치스크린부를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부(120)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을 가질 수 있고,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 비하여 볼록한 형태 또는 오목한 형태를 갖기 때문에, 도 1의 전자 기기(10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부(120)에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에 해당하는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 비하여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전자 기기(100)의 전면에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 비하여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전자 기기(100)의 전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에는 단차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상기 단차를 느낄 수 있어 사용자 명령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모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들일 수도 있고,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버튼을 표시하는 서브 터치스크린 영역일 수도 있다. 한편, 전자 기기(100)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형상과는 달리, 전자 기기(100)의 전면 버튼은 생략되거나, 전자 기기(100)의 전면 버튼이 복수 개이거나, 또는 전자 기기(100)의 전면 버튼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위치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3에서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상하 배치되어 있으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은 좌우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전자 기기(100)의 특정 형상으로만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으로 구성된 터치스크린부(120)를 갖는 전자 기기(100)의 모든 형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6a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1의 전자 기기에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에 제 1 사용자 명령과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기기(100)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에서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기기(100)는,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 동작이 수행(즉, 도 6a에서 TOUCH와 DRAG로 표시)되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은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에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기기(100)는,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 동작이 수행(즉, 도 6b에서 TOUCH와 DRAG로 표시)되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는 화면 확대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스크린부(12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는 화면 축소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스크린부(12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는 잠금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스크린부(120)에 대한 잠금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120a)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120b) 사이의 경계(BD)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도 1의 전자 기기(100)는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스크린부(120)에 대한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는 제 1 사용자 명령과 제 2 사용자 명령이 각각 화면 확대 명령과 화면 축소 명령인 경우와 각각 잠금 설정 명령과 잠금 해제 명령인 경우가 설명되었지만, 제 1 사용자 명령과 제 2 사용자 명령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사용자 명령과 제 2 사용자 명령은 도 1의 전자 기기(100)에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예를 들어, 파워-온 명령, 파워-오프 명령 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터치(Step S110)되면,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Step S120)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제 1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확대 명령, 잠금 실행 명령 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Step S130)할 수 있다. 반면에,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Step S140)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제 2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축소 명령, 잠금 해제 명령 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Step S150)할 수 있다. 반면에,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Step S160)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7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종래의 멀티 터치 방식보다 더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동작 방법이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Step S210)된 후, 터치스크린부의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Step S220)되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Step S230)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것이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Step S240)할 수 있다. 이에, 도 7의 동작 방법은 제 1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확대 명령, 잠금 실행 명령 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것이 아니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7의 동작 방법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인지 판단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동작 방법이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터치스크린부의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Step S310)된 후,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Step S320)되면,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과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Step S330)할 수 있다. 이 때,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과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것이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Step S340)할 수 있다. 이에, 도 7의 동작 방법은 제 2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축소 명령, 잠금 해제 명령 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과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것이 아니면, 도 7의 동작 방법은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과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7의 동작 방법은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 동작이 수행되면,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다만, 이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인지 판단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220)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200)는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전자 기기로 하여금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기능(221) 및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전자 기기로 하여금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기능(222)을 실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은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제 2 방향은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200)는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확대 명령, 잠금 실행 명령 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가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2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화면 축소 명령, 잠금 해제 명령 등)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종래의 멀티 터치 방식보다 더 나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디에이(PDA), 피엠피(PMP), MP3 플레이어,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자 기기 120: 터치스크린부
140: 몸체부 200: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220: 프로그램
140: 몸체부 200: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220: 프로그램
Claims (20)
-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을 갖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border)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플렉서블 터치스크린(flexible touch-screen)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볼록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은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비하여 오목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은 모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메인(main) 터치스크린 영역이고,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령 버튼을 표시하는 서브(sub) 터치스크린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경계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화면 확대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화면 축소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잠금 실행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잠금 해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플렉서블(flexible)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border)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이 터치되는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동작이 수행되면, 상기 경계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화면 확대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화면 축소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은 잠금 실행 명령이고, 상기 제 2 사용자 명령은 잠금 해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 플렉서블(flexible)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터치스크린부와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부착된 몸체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평면 터치스크린 영역과 굴곡 터치스크린 영역 사이의 경계(border)가 제 1 방향으로 터치되면, 상기 전자 기기로 하여금 제 1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기능; 및
상기 경계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터치되면, 상기 전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 1 사용자 명령과 상이한 제 2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7137A KR20140103584A (ko) | 2013-02-18 | 2013-02-18 |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
US14/156,283 US9372561B2 (en) | 2013-02-18 | 2014-01-15 | Electronic devic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at stores a program |
CN201410049895.8A CN103995664A (zh) | 2013-02-18 | 2014-02-13 | 电子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7137A KR20140103584A (ko) | 2013-02-18 | 2013-02-18 |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3584A true KR20140103584A (ko) | 2014-08-27 |
Family
ID=5130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7137A Withdrawn KR20140103584A (ko) | 2013-02-18 | 2013-02-18 |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372561B2 (ko) |
KR (1) | KR20140103584A (ko) |
CN (1) | CN103995664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6740B1 (ko) | 2014-11-13 | 2018-06-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CN105607772B (zh) * | 2014-11-13 | 2020-11-03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
KR102308645B1 (ko) * | 2014-12-29 | 2021-10-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US10481759B2 (en) * | 2014-12-29 | 2019-11-19 | Lg Electronics Inc. | Bended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 of application through image displayed on sub-reg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102423065B1 (ko) * | 2015-06-04 | 2022-07-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CN106959856B (zh) * | 2017-03-28 | 2020-03-24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屏幕锁定模式的切换方法和装置 |
KR102440291B1 (ko) * | 2017-11-15 | 2022-09-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47494A1 (fr) * | 2006-10-18 | 2008-04-24 | Sharp Kabushiki Kaisha | Dispositif d'entrée d'affichage |
KR20100008959A (ko) | 2008-07-17 | 2010-01-27 |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 이동통신 단말기의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이용한 프로그램실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KR20100027689A (ko) | 2008-09-03 | 2010-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KR101056088B1 (ko) | 2009-04-20 | 2011-08-10 | (주)빅트론닉스 | 터치패널 입력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
KR20100134339A (ko) | 2009-06-15 | 2010-12-23 |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정보통신단말기에서 화면의 확대축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담고 있는 정보기록매체 |
US8441460B2 (en) * | 2009-11-24 | 2013-05-14 | Mediatek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de touch panel as part of man-machine interface (MMI) |
KR101113457B1 (ko) * | 2010-05-10 | 2012-03-05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곡면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101782639B1 (ko) | 2010-06-16 | 2017-09-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
EP2407867B1 (en) * | 2010-07-16 | 2015-12-23 | BlackBerry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
US8854316B2 (en) * | 2010-07-16 | 2014-10-07 | Blackberry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
DE112011101203T5 (de) * | 2010-09-24 | 2013-01-17 | Qnx Software Systems Ltd. |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
WO2012123788A1 (en) * | 2011-03-16 | 2012-09-20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access to an application when unlock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
-
2013
- 2013-02-18 KR KR1020130017137A patent/KR20140103584A/ko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01-15 US US14/156,283 patent/US9372561B2/en active Active
- 2014-02-13 CN CN201410049895.8A patent/CN103995664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372561B2 (en) | 2016-06-21 |
CN103995664A (zh) | 2014-08-20 |
US20140232668A1 (en) | 2014-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0930B1 (ko) |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 |
KR20150011942A (ko) | 전자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
EP3736681B1 (en) | Electronic device with curv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150076568A (ko) | 전자 기기 | |
KR20140103584A (ko) |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 |
US20110285631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 |
US10928948B2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40016073A (ko) | 플렉서블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 |
US1048179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sing on-screen keyboard | |
KR102381051B1 (ko) | 키패드를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의 키패드 표시 방법 | |
JP2017058972A (ja) | 情報処理装置、その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 |
US9122457B2 (en) | Handheld device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 |
JP6304232B2 (ja) |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US8972889B2 (en) |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 |
KR20140103580A (ko) |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 |
US20220043517A1 (en) | Multi-modal touchpad | |
JP2014010780A (ja) |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US20140085340A1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ipulating scale or rotation of graphic on display | |
EP2654370A2 (en) | Mobile device | |
US9122331B2 (en) | Frame with sensing function and touch control method | |
WO2014122792A1 (ja) |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2044157B1 (ko) | 전자 기기, 이의 동작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 |
JP5624662B2 (ja) |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9870085B2 (en) | Pointe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JP5913005B2 (ja) |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