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3086A -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3086A KR20140103086A KR1020140017701A KR20140017701A KR20140103086A KR 20140103086 A KR20140103086 A KR 20140103086A KR 1020140017701 A KR1020140017701 A KR 1020140017701A KR 20140017701 A KR20140017701 A KR 20140017701A KR 20140103086 A KR20140103086 A KR 201401030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basic unit
- separation membrane
- unit
- sepa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83 overcharg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3—Cells or batterie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72—Vertically superposed cells with vertically disposed pl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전극 조립체의 폴딩 구조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1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2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기본 단위체의 적층으로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3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의 제4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7은 도 5의 기본 단위체와 도 6의 기본 단위체의 적층으로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는 공정도
도 9는 다른 크기를 가지는 기본 단위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1은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기본 단위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위체 스택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1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2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3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4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5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6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7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8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1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9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 제1 보조 단위체 및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10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단위체와 제2 보조 단위체를 포함한 단위체 스택부의 제11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23은 도 2에 도시된 기본 단위체의 제1 구조의 상부에 분리막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도 2에 도시된 기본 단위체의 제1 구조를 두 번 적층하고, 최상층을 이루고 있는 전극 상에 분리막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5는 도 23에서 분리막 가장자리가 부착되어 씰링부가 형성된 단위체 스택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6은 도 23에서 분리막의 가장자리가 부착되어 씰링부가 형성된 단위체 스택부를 나타낸 단면도
111: 제1 전극 112: 제1 분리막
113: 제2 전극 114: 제2 분리막
116: 말단 전극 117: 말단 분리막
121: 제1 전극 재료 122: 제1 분리막 재료
123: 제2 전극 재료 124: 제2 분리막 재료
130a ~ 130f: 제1 보조 단위체 140a ~ 140f: 제2 보조 단위체
A : 씰링부
Claims (32)
- (a)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1종의 기본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나, 또는 (b)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단위체 스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b)의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배치하면, 상기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은 가장자리가 상기 전극과 분리막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극보다 더 큰 사이즈를 가지며,
하나의 기본 단위체에 포함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가 서로 부착되어 씰링부를 이루거나 상기 단위체 스택부에 포함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가 서로 부착되어 씰링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의 최상층 또는 최하층을 이루고 있는 전극 상에 추가로 적층된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분리막들의 가장자리를 서로 맞닿게 하여 가열 및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에 열과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은 3~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압력은, 각각의 기본 단위체 내에서 상기 전극을 상기 분리막에 부착하는 압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 내에서 상기 기본 단위체는 인접한 기본 단위체와 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기본 단위체 내에서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이 서로 결합된 결합력과 다른 결합력으로 인접한 기본 단위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상기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제1 기본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상기 제1 기본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의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제2 분리막, 제1 전극 및 제1 분리막이 차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제2 기본 단위체와,
제2 전극, 제2 분리막,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차례로 배치되어 일체로 결합된 제3 기본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상기 제2 기본 단위체와 상기 제3 기본 단위체가 교호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들이 크기에 따라 적층되어 복수 단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그룹으로 나뉘며,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상기 (a)의 1종의 기본 단위체들이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적층되어 복수 단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각각의 기본 단위체 내에서 인접한 분리막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인접한 분리막을 바라보는 면에서 전체적으로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상기 분리막간의 접착은, 상기 전극과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한 접착, 또는 상기 전극과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압력과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한 접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단위체 내에서 상기 전극과 상기 인접한 분리막간의 접착력은 상기 단위체 스택부 내에서 상기 기본 단위체간의 접착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의 분리막 기재, 및 상기 분리막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체적으로 코팅되는 다공성의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들과 상기 무기물 입자들을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은 상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인접한 분리막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들은 충전 구조(densely packed structure)를 이루어 상기 코팅층에서 전체적으로 무기물 입자들간의 인터스티셜 볼륨(interstitial volumes)을 형성하고, 상기 무기물 입자들이 한정하는 인터스티셜 볼륨에 의해 상기 코팅층에 기공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전극인 말단 전극에 적층되는 제1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말단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전극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말단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전극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단위체의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차례로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양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단위체의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전극인 말단 전극에 적층되는 제1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말단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전극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막 및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말단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전극으로부터 차례로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단위체는 상기 음극의 외측에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음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차례로 양극, 분리막 및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음극의 외측에 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음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차례로 제1 양극, 분리막, 음극, 분리막 및 제2 양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단위체의 제2 양극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양면 중에 상기 기본 단위체를 바라보는 일면에만 코팅되는 활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체 스택부는 가장 위쪽 또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분리막인 말단 분리막에 적층되는 제2 보조 단위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본 단위체에서 상기 말단 분리막에 접한 전극이 양극일 때 상기 제2 보조 단위체는 상기 말단 분리막으로부터 차례로 제1 음극, 분리막, 양극, 분리막 및 제2 음극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1종의 기본 단위체나, 또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는 단계(S10);
하나의 기본 단위체에 포함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를 서로 맞댄 채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씰링부를 형성하는 단계(S20); 및
상기 S10단계 및 S20단계가 수행된 상기 1종의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거나, 상기 S10단계 및 S20단계가 수행된 상기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제조하는 단계(S22);를 포함하며,
상기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면, 상기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1종의 기본 단위체나, 또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전극과 분리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제조하는 단계(S10);
상기 1종의 기본 단위체를 반복적으로 적층하거나, 상기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여 단위체 스택부를 제조하는 단계(S14); 및
상기 단위체 스택부에 포함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를 서로 맞댄 채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씰링부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며,
상기 1종의 기본 단위체는 제1 전극, 제1 분리막, 제2 전극 및 제2 분리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2종 이상의 기본 단위체를 각각 1개씩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적층하면, 상기 4층 구조나 상기 4층 구조가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는 서로 인접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에 50℃~100℃의 열과, 10gf/㎠~20gf/㎠의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는 서로 인접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에 3~5초간 열과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에서 서로 인접한 분리막들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압력은, 상기 양극 및 음극을 상기 분리막들에 부착하는 압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3105168A TWI520405B (zh) | 2013-02-15 | 2014-02-17 | 提升穩定性之電極組及其製造方法 |
PCT/KR2014/001268 WO2014126432A1 (ko) | 2013-02-15 | 2014-02-17 |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JP2015529706A JP6232069B2 (ja) | 2013-02-15 | 2014-02-17 | 安定性が向上した電極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
CN201480003373.2A CN104854752B (zh) | 2013-02-15 | 2014-02-17 | 具有改善的稳定性的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
US14/468,786 US10084200B2 (en) | 2013-02-15 | 2014-08-26 |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5/972,983 US10811722B2 (en) | 2013-02-15 | 2018-05-07 |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6/999,811 US11171353B2 (en) | 2013-02-15 | 2020-08-21 | Electrode assembly with improved sta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16512 | 2013-02-15 | ||
KR1020130016512 | 2013-02-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3086A true KR20140103086A (ko) | 2014-08-25 |
KR101595644B1 KR101595644B1 (ko) | 2016-02-26 |
Family
ID=5174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7701A Active KR101595644B1 (ko) | 2013-02-15 | 2014-02-17 |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3) | US10084200B2 (ko) |
EP (1) | EP2958179B1 (ko) |
JP (1) | JP6232069B2 (ko) |
KR (1) | KR101595644B1 (ko) |
CN (1) | CN104854752B (ko) |
TW (1) | TWI520405B (ko) |
WO (1) | WO2014126432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9306A (ko) * | 2015-09-07 | 2017-03-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70061622A (ko) * | 2015-11-26 | 2017-06-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KR20190058574A (ko) * | 2016-09-27 | 2019-05-29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배터리 셀용 전극 스택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배터리 셀 |
CN110265731A (zh) * | 2019-07-15 | 2019-09-20 | 东莞市超鸿自动化设备有限公司 | 摇摆式切叠一体机 |
WO2024117477A1 (ko) * | 2022-12-01 | 2024-06-0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조립체 및 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1735B1 (ko) | 2013-09-25 | 2015-10-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
KR101609424B1 (ko) * | 2013-09-26 | 2016-04-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
KR101619604B1 (ko) * | 2013-09-26 | 2016-05-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 및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KR101826142B1 (ko) * | 2015-08-27 | 2018-02-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차 전지 |
DE102016218496A1 (de) | 2016-09-27 | 2018-03-29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deneinheit für eine Batteriezelle und Elektrodeneinheit |
JP6787241B2 (ja) | 2017-04-28 | 2020-11-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極積層体及び電池の製造方法 |
CN107482163A (zh) * | 2017-07-11 | 2017-12-15 | 多氟多(焦作)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极组件单元、电极组件的制造方法及电池单体 |
EP3454404B1 (en) * | 2017-09-12 | 2021-06-23 | Robert Bosch GmbH | Method for joining an electrode stack |
DE102017216138A1 (de) | 2017-09-13 | 2019-03-14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denstapels für eine Batteriezelle und Batteriezelle |
KR101837724B1 (ko) * | 2017-11-15 | 2018-03-12 | 이소라 | 적층식 이차전지 제조방법 |
EP3486989A1 (en) * | 2017-11-15 | 2019-05-22 | Lee, Sora | Manufacturing method for laminated secondary battery |
KR102254264B1 (ko) * | 2018-02-01 | 2021-05-2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JP7037992B2 (ja) * | 2018-04-09 | 2022-03-17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池の製造方法 |
DE102018215070A1 (de) | 2018-09-05 | 2020-03-05 | Gs Yuasa International Ltd. | Verfahren zur Bildung eines Elektrodenstapels |
KR102314631B1 (ko) * | 2018-09-19 | 2021-10-2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조립체 |
JP7156046B2 (ja) | 2019-01-14 | 2022-10-1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積層体プレス装置、プレス済み帯状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型電極体の製造方法、及び、電池の製造方法 |
CN109888360B (zh) * | 2019-01-26 | 2021-08-27 | 温在东 | 叠片电芯结构及适于其分体式叠片、贴胶的生产方法 |
KR20200113822A (ko) * | 2019-03-26 | 2020-10-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 및 그 전극조립체 제조용 라미네이션 장치 및 그 전극조립체의 제조 방법 |
CN110277590B (zh) * | 2019-06-28 | 2022-04-12 |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 用于电芯制造的叠片方法和电芯极组制造装备 |
KR20210064831A (ko) * | 2019-11-26 | 2021-06-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FR3109673B1 (fr) * | 2020-04-22 | 2022-08-12 | Pellenc Energy | Composant à reliefs de rétention de matière active pour accumulateur d’énergie électrique, accumulateur d’énergie électrique utilisant le composant et procédé de fabrication |
KR102666729B1 (ko) * | 2021-03-22 | 2024-05-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WO2022224596A1 (ja) * | 2021-04-23 | 2022-10-27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25662A1 (en) * | 2004-09-02 | 2006-03-09 | Lg Chem, Ltd. |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film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
KR20110112241A (ko) * | 2010-04-06 | 2011-10-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스택 타입 셀, 개선된 바이-셀, 이들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
KR20120046091A (ko) * | 2010-11-01 | 2012-05-09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그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516708A (ja) * | 1996-08-08 | 2000-12-12 | ウィリアム・マーシュ・ライス・ユニバーシティ | ナノチューブ組立体から作製された巨視的操作可能なナノ規模の装置 |
JP2001028275A (ja) * | 1999-06-25 | 2001-01-30 | Mitsubishi Chemicals Corp | 立体自由形状バッテリー装置 |
JP3611765B2 (ja) * | 1999-12-09 | 2005-01-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KR100515571B1 (ko) | 2000-02-08 | 2005-09-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첩 전기 화학 셀 |
KR100515572B1 (ko) * | 2000-02-08 | 2005-09-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0497147B1 (ko) | 2000-02-08 | 2005-06-2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중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방법 |
JP4644899B2 (ja) | 2000-02-23 | 2011-03-09 | ソニー株式会社 | 電極及び電池、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
JP2002208442A (ja) * | 2001-01-11 | 2002-07-26 | Tdk Corp | 電気化学デバイス |
KR100440934B1 (ko) | 2002-02-06 | 2004-07-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US20060115718A1 (en) * | 2004-11-30 | 2006-06-01 | Delphi Technologies, Inc. | Lithium ion polymer multi-cell and method of making |
KR100853619B1 (ko) * | 2006-01-04 | 2008-08-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분리막 상단이 밀봉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이차전지 |
TW200743245A (en) | 2006-05-01 | 2007-11-16 | Antig Tech Co Ltd | Assembly method used in the assembly of flat-plate type membrane electrode assembled layer and its structure |
KR100874387B1 (ko) | 2006-06-13 | 2008-12-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둘 이상의 작동 전압을 제공하는 중첩식 이차전지 |
WO2008002024A1 (en) | 2006-06-26 | 2008-01-03 | Lg Chem, Ltd. | Electrode plate for battery cell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
KR100894408B1 (ko) * | 2006-07-10 | 2009-04-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향상된 안전성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전기화학 셀 |
TW200812138A (en) | 2006-08-18 | 2008-03-01 | Antig Technology Corp | Flat type membrane electrode layer structure |
CN101755362A (zh) * | 2007-07-25 | 2010-06-23 | 株式会社Lg化学 | 电化学装置及其制造方法 |
KR101014817B1 (ko) * | 2007-12-14 | 2011-02-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그것의 제조방법 |
JP5334162B2 (ja) | 2008-09-08 | 2013-11-06 |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 積層型二次電池 |
KR101016650B1 (ko) | 2008-10-17 | 2011-02-25 | 주식회사 케이티 | 데이터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장치 |
CN102341948B (zh) * | 2009-03-05 | 2014-04-16 | 日产自动车株式会社 | 双极型二次电池及其生产方法 |
KR101024927B1 (ko) | 2009-07-30 | 2011-03-31 | 노바테크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에칭 공정에서의 세정 방법 |
KR101103499B1 (ko) | 2009-10-07 | 2012-01-06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KR101084909B1 (ko) * | 2009-12-07 | 2011-11-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극조립체블록 및 그 제조 방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US8486160B2 (en) | 2009-12-17 | 2013-07-16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JP2011210524A (ja) * | 2010-03-30 | 2011-10-20 | Sanyo Electric Co Ltd | 積層式電池 |
KR101217780B1 (ko) * | 2010-10-19 | 2013-01-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케이블형 이차전지 |
US20120189894A1 (en) * | 2011-01-26 | 2012-07-26 | Samsung Sdi Co., Ltd.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US9318733B2 (en) * | 2012-12-27 | 2016-04-19 | Lg Chem, Ltd. | Electrode assembly of stair-like structure |
-
2014
- 2014-02-17 CN CN201480003373.2A patent/CN104854752B/zh active Active
- 2014-02-17 WO PCT/KR2014/001268 patent/WO201412643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2-17 JP JP2015529706A patent/JP6232069B2/ja active Active
- 2014-02-17 TW TW103105168A patent/TWI520405B/zh active
- 2014-02-17 EP EP14751378.2A patent/EP2958179B1/en active Active
- 2014-02-17 KR KR1020140017701A patent/KR101595644B1/ko active Active
- 2014-08-26 US US14/468,786 patent/US10084200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5-07 US US15/972,983 patent/US10811722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8-21 US US16/999,811 patent/US1117135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6025662A1 (en) * | 2004-09-02 | 2006-03-09 | Lg Chem, Ltd. |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film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
KR20110112241A (ko) * | 2010-04-06 | 2011-10-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스택 타입 셀, 개선된 바이-셀, 이들을 이용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
KR20120046091A (ko) * | 2010-11-01 | 2012-05-09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그의 제조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9306A (ko) * | 2015-09-07 | 2017-03-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그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KR20170061622A (ko) * | 2015-11-26 | 2017-06-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KR20190058574A (ko) * | 2016-09-27 | 2019-05-29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배터리 셀용 전극 스택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배터리 셀 |
CN110265731A (zh) * | 2019-07-15 | 2019-09-20 | 东莞市超鸿自动化设备有限公司 | 摇摆式切叠一体机 |
WO2024117477A1 (ko) * | 2022-12-01 | 2024-06-0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극조립체 및 그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58179B1 (en) | 2017-06-21 |
EP2958179A4 (en) | 2016-09-07 |
US20200381763A1 (en) | 2020-12-03 |
US11171353B2 (en) | 2021-11-09 |
JP2015531155A (ja) | 2015-10-29 |
US10084200B2 (en) | 2018-09-25 |
TWI520405B (zh) | 2016-02-01 |
EP2958179A1 (en) | 2015-12-23 |
US10811722B2 (en) | 2020-10-20 |
JP6232069B2 (ja) | 2017-11-15 |
TW201501387A (zh) | 2015-01-01 |
KR101595644B1 (ko) | 2016-02-26 |
CN104854752A (zh) | 2015-08-19 |
WO2014126432A1 (ko) | 2014-08-21 |
CN104854752B (zh) | 2018-07-06 |
US20180254504A1 (en) | 2018-09-06 |
US20140363727A1 (en) | 2014-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5644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
CN104685690B (zh) | 利用胶带的电极组件的固定方法 | |
CN104718656B (zh) | 电极组件的制造方法 | |
KR101729815B1 (ko)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위한 기본 단위체 | |
JP6024070B2 (ja) | 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電池セルの製造方法 | |
KR101595645B1 (ko) | 전극 조립체 | |
KR101598682B1 (ko) | 전극조립체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 |
KR101624386B1 (ko) | 테이프를 이용한 전극조립체의 고정방법 | |
KR20140103084A (ko) |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머 이차전지 셀 | |
KR101807354B1 (ko) | 전극 조립체 | |
KR101795830B1 (ko) | 배터리 라미네이션 및 적층 장치, 그리고 그 방법 | |
KR20140103085A (ko) |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머 이차전지 셀 | |
KR101817399B1 (ko) | 전극 조립체 | |
KR101810281B1 (ko) | 2차 전지 및 그 2차 전지의 제작 방법 | |
KR101549337B1 (ko) |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 |
KR101747514B1 (ko) | 전극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