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534A - 불연성 재료를 갖는 케이블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불연성 재료를 갖는 케이블 구성요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00534A KR20140100534A KR1020147016813A KR20147016813A KR20140100534A KR 20140100534 A KR20140100534 A KR 20140100534A KR 1020147016813 A KR1020147016813 A KR 1020147016813A KR 20147016813 A KR20147016813 A KR 20147016813A KR 20140100534 A KR20140100534 A KR 201401005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parator
- nonflammable
- fiberglass
- portions
- arm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748 Basalt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3
- -1 flame retardant halogen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313 fluor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811 fluoro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31 less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8 molte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01B11/08—Screens specially adapted for reducing cross-tal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의 절연 재료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을 포함하는 케이블 구성요소. 불연성 부분은 케이블 구성요소의 적어도 약 25 체적%를 형성하고, 유연하고, 본체의 절연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 상기 케이블 구성요소 내의 연료 로드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관련 출원들에 대한 참조
본 발명은 2011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1/567,428 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이로써, 위에서 언급한 출원의 개시내용은 본 출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불꽃 및 연소 저항을 위해, 불연성 재료, 예컨대 파이버글라스를 구비하는 케이블들, 예컨대 라이저(riser) 및 플레넘(plenum) 케이블들에 대한 구성요소들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도 1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라이저 및 플레넘 응용들 모두를 위한 통상의 통신 케이블들은 쌍들(100)로 함께 꼬이고 외부 재킷(102)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절연된 도체들을 구비한다. 종종 케이블 내의 트위스트 쌍들(twisted pairs) 또는 케이블 내의 다른 구성요소들 간의 전자기 결합 때문에 누화 또는 간섭이 일어나서, 케이블의 전기 성능을 열화시킨다. 또한, 네트워크들이 더 복잡해지고 더 높은 대역폭 케이블링(higher bandwidth cabling)에 대한 요구를 가지기 때문에, 케이블 대 케이블 누화(이질 누화(alien crosstalk))의 감소는 점점 더 중요하게 된다.
배리어들 또는 분리기들,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분리기(110)는 도체들의 쌍들을 분리 및 절연시키기 위해 종종 특히 플레넘 응용들에 사용되어, 누화 간섭(crosstalk interference)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배리어들 및 분리기들은 보통 난연성 절연 재료 또는 케이블 연소 시험들을 만족시키는 절연 재료들, 예컨대 NFPA 262의 요건들에 따라 시험되는 플레넘 케이블들의 경우에 FEP와 같은 불소폴리머들 및 UL 1666에 따라 시험되는 라이저 케이블들(riser cables)의 경우에 난연성 폴리올레핀들로 만들어진다. 다른 응용들에서, 이와 같은 배리어들은 또한 표준들 예컨대 낮은-연기(Low-Smoke), 제로-할로겐(Zero-Halogen)에 대한 시험들 또는 UL 1666 또는 NFPA 262와 유사한 다른 연소 시험들에 대한 요건들을 만족시킬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난연성 절연 재료들은 전형적으로 할로겐화되고 연소될 때 독성 할로겐들을 방출한다. 불소폴리머들은 특히 연소될 때 용융하고 드립(drip)한다. 또한, 불소폴리머들은 높은 수요로 인해 전형적으로 더 고가이다.
그러므로, 산업 표준 연소 요건들을 만족시키고 독성이 덜하고 덜 비싼 케이블 구성요소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구성요소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이 본체의 절연 재료 내에 배치된다. 불연성 부분은 케이블 구성요소의 적어도 약 25 체적%를 형성하고, 유연하고, 본체의 절연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 케이블 구성요소 중의 연료 로드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 및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기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분리기는 각각이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 중 하나를 각각 고정하는 채널들을 가지는 본체를 구비한다. 본체는 난연성인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본체의 절연 재료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본체의 절연 재료의 양을 감소시겨, 분리기의 연료 로드를 감소시킨다. 외부 재킷은 분리기 및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둘러싼다.
본 발명은 또한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기 및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제공한다. 분리기는 채널들을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고, 채널들 각각은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 중 하나를 고정한다. 본체는 고도의 난연성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복수의 유연한 파이버글라스 부분들은 본체의 절연 재료 내에 배치된다. 복수의 유연한 파이버글라스 부분들은 본체의 절연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 분리기의 연료 로드를 감소시킨다. 외부 재킷은 분리기 및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둘러싸고, 그 결과 유연한 파이버글라스 부분들은 분리기의 적어도 약 25 체적%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져서,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개시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더 완전한 이해 및 그것의 수반되는 이점들 중 많은 것이 용이하게 얻어질 것인데 그 이유는 동일한 것이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케이블과 분리기의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케이블 구성요소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케이블 구성요소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의 횡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 2, 3, 4a, 4b, 및 5-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 예컨대 분리기는 케이블 구성요소에 개선된 연소 특성들 및 내열성을 제공하기 위해 불연성 재료, 예컨대 파이버글라스를 포함한다. 불연성 재료는 함께 묶인 개개의 글라스 파이버들, 파이버글라스 얀들(yarns), 파이버글라스 로빙들(rovings), 쵸핑된(chopped) 파이버글라스, 직조된 파이버글라스 테이프들 또는 시트들 등일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또한 케이블 구성요소가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최적의 연소 특성들을 가지기 때문이다. 다른 적합한 불연성 재료들 예컨대 현무암 섬유들, 얀들, 직조된 테이프들, 고온 세라믹 산화물 파이버들, 다른 세라믹 마이카 테이프들 등이 또한 채용될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은 케이블 응용들에서 이들의 고온 성능 때문에 바람직하다. 불연성 재료가 대체되어 분리기의 연료 연소 재료들, 예컨대 FEP 또는 폴리올레핀의 양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분리기의 연소 성능을 개선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분리기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5 체적%의 불연성 재료이다.
특히 플레넘 응용들의 경우에, 케이블 구성요소의 할로겐화 불소폴리머들은 연소 성능의 희생(sacrificing burn performance) 없이 불연성 재료에 의해 치환된다. 그것은 케이블 중의 고가의 잠재적으로 위험한 할로겐화 물질들의 함량을 크게 감소시킨다. 또한, 많은 불소폴리머들은 극히 높은 온도 하에 있을 때 용융되어 이들이 깨끗하게 연소하기보다는 오히려 연기를 계속 내뿜는 표면들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불소폴리머들의 적어도 일부를 대체하는 불연성 재료, 예컨대 파이버글라스는 케이블로부터 드립하고 가열된 때 연기를 내뿜을 수 있는 용융 재료의 양을 제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선된 연소 특성들 및 내열성을 제공하기 위해 난연성 폴리올레핀 분리기에 불연성 재료를 포함시켜 플레넘 응용들에 난연성 폴리올레핀 분리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난연성 폴리올레핀들은 표준 요건들을 만족시키는 플레넘 응용들에 사용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전형적으로 불소폴리머들보다 더 화염 전파(flame spread)를 허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연성 재료가 케이블 구성요소에 요구될 수 있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의 양을 크게 감소시키기 때문에, 저가의 비-불소폴리머 재료들, 예컨대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NFPA 262 시험들을 만족시키는데 요구되는 연기 및 화염 전파 성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또한 낮은 연기(low-smoke), 제로-할로겐(zero-halogen) 플레넘 등급 쌍 분리기를 구성하고 또한 NFPA 262 시험의 요건들을 만족시키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하다.
요건들이 제한된 수직 화염 전파를 요구하는 라이저 응용들(riser applications)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 구성요소의 연소 성능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재료의 추가에 의해 크게 개선될 수 있고, 파이버글라스의 우수한 연소 특성들 때문에, 예를 들어 라이저 응용들에 대한 요건들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내연제의 양이 크게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파이버글라스의 우수한 연소 특성들은 또한 난연성 폴리올레핀들의 것들을 넘고, 그렇게 함으로써 라이저 연소 시험에서 전체 성능을 개선시킨다. 또한, 파이버글라스와 같은 불연성 재료에 의한 분리기 중의 폴리머 재료의 치환으로부터 생기는 연료 로드(fuel load)의 감소 때문에, 케이블 내의 다른 곳에서의 내연제들은 감소될 수 있다. 그것은 외부 재킷(outer jacket)에 내연제들 및 절연 재료들 및 다른 케이블 구성요소들, 예컨대 차폐 케이블들 내의 배리어 테이프들의 양의 감소를 허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 또는 분리기(210)를 도시한다. 분리기(210)는 케이블에서 쌍들(100)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하나 이상의 쌍들(100)은 분리기(210)의 일 측면(214) 상에 인접하여 케이블에 위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쌍들(110)은 분리기(210)의 다른 측면(216)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분리기(21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본체(212)를 가진다. 예를 들어, 분리기의 본체(212)는 테이프일 수 있다. 본체(212)는 바람직하게는 절연 재료, 예컨대 FEP와 같은 난연성 폴리머 또는 고도의 난연성의 할로겐이 없는 폴리올레핀으로 만들어진다. 본체(212)에는 불연성 재료 또는 바람직하게는 분리기의 길이에 대해 연장하는 부분(220)이 포함된다. 불연성 부분(220)은 바람직하게는 유연하다. 예를 들어, 불연성 재료(220)는 분리기(210)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본체(212)의 절연 재료의 일부를 치환하는 복수의 스트랜드들, 예컨대 파이버글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불연성 부분(220)은 분리기(210)의 약 80%이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 또는 분리기(310)는 도 1의 분리기(110)와 유사하게 케이블의 쌍들(100)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분리기(310)는 복수의 아암들(314)을 구비하는 단면이 대략 크로스-웹 형상(cross-web shape)을 갖는 본체(312)를 가진다. 아암들(314)은 분리기(310)의 중심(322)으로부터 연장하고 테이퍼(taper)질 수 있다. 채널들(318)은 쌍들(100)을 수용하기 위한 아암들(314) 사이에 규정된다. 제 1 실시예의 분리기와 같이, 본체(312)는 바람직하게는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분리기(310)의 중심(322)에는 바람직하게는 분리기의 길이에 대해 연장하는 불연성 부분(320)이 제공된다. 불연성 부분(320)은 예를 들어, 복수의 스트랜드들의 번들들, 예컨대 파이버글라스 스트랜드들일 수 있다. 불연성 부분(320)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분리기(310)의 약 50 체적%를 형성한다.
도 4a 및 4b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 또는 분리기(410)는 복수의 아암들(414)을 구비하는 단면이 대략 크로스-웹 형상인 본체(412)를 가진다. 본체(412)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실시예들과 유사한 난연성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분리기(410)의 각각의 아암(414)은 바람직하게는 확대 단부 섹션(416)을 가진다. 확대 단부 섹션들(416)은 도 4a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임의의 횡단면 형상, 예컨대 삼각형을 가질 수 있다. 채널들(418)은 확대 단부 섹션들(416)과, 쌍들(100)을 개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아암들(414) 사이에 규정된다. 각각의 단부 섹션(416)에는 불연성 부분(420)이 배치될 수 있다. 불연성 부분들(420)은 도 4b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분리기(210)의 길이를 따라 연장한다. 각각의 불연성 부분(420)은 임의의 횡단면 형상, 예컨대 실질적으로 원형(도 4a) 또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도 4b)을 가질 수 있다. 비록 아암들(414)의 각각의 단부 섹션(416)이 불연성 부분(42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부 섹션들(416)의 임의의 수는 단지 하나의 단부 섹션(416)을 포함하는 불연성 부분(420)을 가질 수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510)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크로스-웹 형상인 본체(512)를 구비하는 분리기이다. 본체(512)는 바람직하게는 이전의 실시예들과 같이 난연성 폴리머로 만들어지고 복수의 아암들(514)을 구비한다. 아암들(514)은 분리기의 중심(522)으로부터 연장하고 테이퍼질 수 있다. 채널들(518)은 쌍들(100)을 수용하기 위한 아암들(514) 사이에 규정된다.
분리기(510)의 각각의 아암(514)은 제 1 실시예의 불연성 부분들(220)과 유사하게, 분리기의 길이에 대해 연장하는 불연성 부분(520)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불연성 부분(520)은 바람직하게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단면이 대략 선형인 대략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 각각의 불연성 부분(520)은 바람직하게는 불연성 재료가 없는 분리기의 중심(522)을 남기고, 대략 각각의 아암(514)의 폭에 대해 연장한다. 그러나, 아암들(514)의 어떠한 부분도 불연성 부분(520)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으로, 불연성 부분(520)은 또한 분리기의 중심(522)에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불연성 부분(520)은 2개의 아암들(514)에 걸쳐 그리고 중심(522)을 통해 걸쳐 있을 수 있다. 비록 각각의 아암(514)이 그 자신의 불연성 부분(5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임의의 수의 아암들(514)은 단지 하나의 아암(514)을 구비하는 불연성 부분(5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구성요소 또는 분리기(610)는 불연성 부분들(620)이 분리기(610)의 하나 이상의 아암(614)에 걸쳐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 4 실시예의 분리기(510)와 유사하다. 제 4 실시예의 분리기(510)와 같이, 제 5 실시예의 분리기(610)는 복수의 아암들(614)을 구비하는, 크로스-웹 형상을 갖는 본체(612)를 가진다. 불연성 부분들(620)이 각각 아암들(614)의 2개 및 분리기의 중심(622)에 배치되어, 각각의 부분(620)은 도 6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단면이 실질적으로 L-형상이다. 각각의 불연성 부분(620)은 바람직하게는 분리기(610)의 길이에 대해 연장한다. 비록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2개의 불연성 부분들(62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불연성 부분(620)만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분리기(710) 또는 케이블 구성요소는 이전의 실시예들의 양상들을 결합한다. 특히, 분리기(710)는 제 2, 제 4 및 제 5 실시예들과 유사한 대략 크로스-웹 형상을 가진다. 분리기(710)는 불연성 부분들(720, 722)을 포함하는 본체(712)를 가진다. 불연성 부분(720)은, 예를 들어, 본체(712)의 2개의 아암들(714)에 걸쳐 있는 대략 선형의 단면을 갖는 대략 평평할 수 있다. 평평한 불연성 부분(720)의 양측 상에는 바람직하게는 파이버들 또는 평평한 직물로 직조되고 L형상으로 폴딩된 다음 분리기(710)의 다른 2개의 아암들에 배치되는 스트랜드들의 번들들을 형성하는 불연성 부분들(722)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로서, 불연성 부분들(720, 722)은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고 경성이 아니다.
이상 특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었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은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첨부 청구항들에 규정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거기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떠한 분리기도 본 발명에 의해 시사된 부분들 또는 불연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위에 기재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위의 불연성 부분들의 임의의 조합이 분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케이블 구성요소들, 예컨대 배리어들, 랩들(wraps) 및 필러들(fillers)은 본 발명에 의해 시사된 것과 같이 파이버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6)
- 케이블 구성요소로서,
본체로서,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으로서, 상기 불연성 부분은 상기 케이블 구성요소의 적어도 약 25 체적%를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유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 상기 케이블 구성요소 중의 연료 로드(fuel load)를 감소시키는, 케이블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파이버글라스, 다심(bunched) 파이버글라스 파이버들, 파이버글라스 얀(fiberglass yarn), 파이버글라스 로빙들(rovings), 쵸핑된(chopped) 파이버글라스, 직조된(woven) 파이버글라스, 현무암 섬유들, 얀(yarn), 직조된 테이프, 및 세라믹 산화물 파이버들 중 하나인, 케이블 구성요소.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의 아암들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non-flammable)은 상기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케이블 구성요소.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의 아암들을 구비하고, 상기 불연성 부분은 상기 아암들 중 2개의 아암에 배치되는, 케이블 구성요소.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에 배치되는 복수의 불연성 부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불연성 부분들은 상기 케이블 구성요소의 적어도 약 30%를 형성하는, 케이블 구성요소. -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불연성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선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케이블 구성요소.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부분들 중 하나는 실질적으로 선형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불연성 부분들의 다른 하나는 파이버들의 번들(bundle)인, 케이블 구성요소. -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불연성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정사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케이블 구성요소.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의 아암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아암들은 확대 단부 섹션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불연성 부분들은 각각의 상기 단부 섹션들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 구성요소.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부분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L 형상인, 케이블 구성요소.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재료는 고도의 난연성의 할로겐이 없는 폴리올레핀인(highly flame retardant halogen free polyolefin), 케이블 구성요소.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테이프(tape)인, 케이블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부분은 상기 본체의 중심 근방에 배치된 파이버글라스 파이버들의 번들(bundle)인, 케이블 구성요소. - 케이블로서,
절연된 도체들(insulated conductors)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twisted pairs);
상기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기로서, 상기 분리기는,
절연된 도체들의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채널들을 가지는 본체로서, 상기 본체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 재료는 난연성(flame retardant)인,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 상기 분리기의 연료 로드를 감소시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분리기; 및
상기 분리기 및 절연된 도체들의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둘러싸는 외부 재킷(outer jacket)을 포함하는, 케이블.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파이버글라스, 다심(bunched) 파이버글라스 파이버들, 파이버글라스 얀, 파이버글라스 로빙들, 쵸핑된 파이버글라스, 직조된 파이버글라스, 현무암 섬유들, 얀(yarn), 직조된 테이프, 및 세라믹 산화물 파이버들 중 하나인, 케이블.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상기 분리기의 적어도 약 30%를 형성하는, 케이블.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의 아암들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성 부분은 상기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케이블.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불연성 부분들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 제 1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불연성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선형의 횡단면 형상이거나 파이버들의 번들인, 케이블. - 제 1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불연성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원형 또는 정사각형 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케이블.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의 아암들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아암들은 확대 단부 섹션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불연성 부분들은 각각의 상기 단부 섹션들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부분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L 형상인, 케이블.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재료는 고도의 난연성의 할로겐이 없는 폴리올레핀인, 케이블.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테이프인, 케이블.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의 상기 본체는 상기 채널들을 규정하는 4개의 아암들을 갖는 크로스-웹(cross-web)이고;
복수의 불연성 부분들은 상기 복수의 불연성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의 상기 4개의 아암들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분리기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 내에 배치되는, 케이블. - 케이블로서,
절연된 도체들의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
절연된 도체들의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기로서, 상기 분리기는,
절연된 도체들의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채널들을 가지는 본체로서, 상기 본체는 고도의 난연성 절연 재료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연한 파이버글라스 부분들로서, 상기 복수의 유연한 파이버글라스 부분들은 상기 본체의 상기 절연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 상기 분리기의 상기 연료 로드를 감소시키는, 상기 복수의 유연한 파이버글라스 부분
을 구비하는, 상기 분리기; 및
상기 분리기 및 절연된 도체들의 상기 복수의 트위스트 쌍들을 둘러싸는 외부 재킷을 포함하고,
상기 유연한 파이버글라스 부분들은 상기 분리기의 적어도 약 25 체적%를 형성하는,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161567428P | 2011-12-06 | 2011-12-06 | |
US61/567,428 | 2011-12-06 | ||
PCT/US2012/067975 WO2013086013A1 (en) | 2011-12-06 | 2012-12-05 | Cable component with non-flammable materi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0534A true KR20140100534A (ko) | 2014-08-14 |
Family
ID=4857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6813A Withdrawn KR20140100534A (ko) | 2011-12-06 | 2012-12-05 | 불연성 재료를 갖는 케이블 구성요소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9202610B2 (ko) |
EP (1) | EP2788990B1 (ko) |
JP (1) | JP2015505126A (ko) |
KR (1) | KR20140100534A (ko) |
AR (1) | AR089102A1 (ko) |
AU (1) | AU2012347924A1 (ko) |
BR (1) | BR112014013822A2 (ko) |
CA (1) | CA2857179C (ko) |
CL (1) | CL2014001468A1 (ko) |
DK (1) | DK2788990T3 (ko) |
MX (1) | MX2014006782A (ko) |
PT (1) | PT2788990T (ko) |
WO (1) | WO201308601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2448B1 (ko) * | 2015-09-02 | 2019-07-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팩 |
US10186350B2 (en) | 2016-07-26 | 2019-01-22 | General Cable Technologies Corporation | Cable having shielding tape with conductive shielding segments |
ES2970292T3 (es) | 2018-06-14 | 2024-05-27 | Gen Cable Technologies Corp | Cable con cinta de blindaje con segmentos de blindaje conductor |
WO2020027962A1 (en) | 2018-07-31 | 2020-02-06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High strength dielectric member for a communications cable |
US11410800B2 (en) | 2018-07-31 | 2022-08-09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Low cost extrudable isolator from slit-tape |
US10748677B1 (en) * | 2019-07-09 | 2020-08-18 | Chris Lee Nelson | Signal transmission cable configurable for variable electromagnetic field emission |
US12322942B2 (en) * | 2021-07-12 | 2025-06-03 | Martin Cox | Rigid bus ducts |
US11935670B1 (en) * | 2021-09-02 | 2024-03-19 | Southwire Company, Llc | Conductor assembly separator |
GB2613409A (en) * | 2021-11-30 | 2023-06-07 | Airbus Operations Ltd | Cable structure for use in aircraft wheel brakes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79446A (en) | 1968-06-27 | 1969-11-18 | Anaconda Wire & Cable Co | Strand shielded cable and method of making |
US3634311A (en) * | 1969-03-21 | 1972-01-11 | Hooker Chemical Corp | Ammonium hexafluoroferrate as a fire retardant additive |
US5180890A (en) * | 1991-03-03 | 1993-01-19 | Independent Cable, Inc. | Communications transmission cable |
US5744757A (en) * | 1995-03-28 | 1998-04-28 | Belden Wire & Cable Company | Plenum cable |
JPH08298032A (ja) | 1995-04-25 | 1996-11-12 | Nippon Unicar Co Ltd | 架橋ポリエチレン絶縁電力ケーブルの製造方法 |
US6222130B1 (en) * | 1996-04-09 | 2001-04-24 | Belden Wire & Cable Company | High performance data cable |
NZ336984A (en) | 1997-03-13 | 2001-05-25 | Pirelli Cavi E Sistemi Spa | Electrical cable with fire-resistant, moisture-resistant coating |
US6818832B2 (en) | 2002-02-26 | 2004-11-16 | Commscope Solutions Properties, Llc | Network cable with elliptical crossweb fin structure |
US7015398B2 (en) * | 2003-03-10 | 2006-03-21 | Gavriel Vexler | Communications cable |
US7244893B2 (en) * | 2003-06-11 | 2007-07-17 | Belden Technologies, Inc. | Cable including non-flammable micro-particles |
KR100603087B1 (ko) | 2004-07-22 | 2006-07-20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크로스토크 방지수단을 구비한 utp 케이블 어셈블리 |
US20070102188A1 (en) * | 2005-11-01 | 2007-05-10 | Cable Components Group, Llc | High performance support-separators for communications cable supporting low voltage and wireless fidelity applications and providing conductive shielding for alien crosstalk |
US20060131053A1 (en) * | 2004-12-17 | 2006-06-22 | Hiroshi Kubo | Flame retardant electrical wire |
US7208683B2 (en) * | 2005-01-28 | 2007-04-24 | Belden Technologies, Inc. | Data cable for mechanically dynamic environments |
WO2006132716A2 (en) * | 2005-04-25 | 2006-12-14 | Leyendecker Robert R | Electrical signal cable |
US7390971B2 (en) * | 2005-04-29 | 2008-06-24 | Nexans | Unsheilded twisted pair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MX2008007444A (es) | 2005-12-09 | 2008-11-19 | Belden Technologies Inc | Cable de par trenzado que tiene aislamiento de interferencia extraña mejorado. |
US7271342B2 (en) * | 2005-12-22 | 2007-09-18 | Adc Telecommunications, Inc. | Cable with twisted pair centering arrangement |
US20070230879A1 (en) | 2006-03-31 | 2007-10-04 | Mcalpine Warren W | Armored fiber optic cable having a centering element and methods of making |
CA2788365A1 (en) * | 2010-02-01 | 2011-08-04 | Douglas E. Johnson | Strande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e cabl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
-
2012
- 2012-12-05 MX MX2014006782A patent/MX2014006782A/es unknown
- 2012-12-05 DK DK12856542.1T patent/DK2788990T3/da active
- 2012-12-05 BR BR112014013822A patent/BR112014013822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12-05 WO PCT/US2012/067975 patent/WO201308601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2-05 JP JP2014546026A patent/JP2015505126A/ja active Pending
- 2012-12-05 AU AU2012347924A patent/AU201234792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2-05 CA CA2857179A patent/CA2857179C/en active Active
- 2012-12-05 EP EP12856542.1A patent/EP2788990B1/en active Active
- 2012-12-05 PT PT128565421T patent/PT2788990T/pt unknown
- 2012-12-05 KR KR1020147016813A patent/KR20140100534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12-06 US US13/707,077 patent/US9202610B2/en active Active
- 2012-12-06 AR ARP120104581A patent/AR089102A1/es unknown
-
2014
- 2014-06-05 CL CL2014001468A patent/CL2014001468A1/es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161063A1 (en) | 2013-06-27 |
EP2788990A4 (en) | 2015-11-04 |
JP2015505126A (ja) | 2015-02-16 |
WO2013086013A1 (en) | 2013-06-13 |
BR112014013822A2 (pt) | 2017-06-27 |
EP2788990A1 (en) | 2014-10-15 |
AR089102A1 (es) | 2014-07-30 |
US9202610B2 (en) | 2015-12-01 |
CA2857179A1 (en) | 2013-06-13 |
EP2788990B1 (en) | 2019-09-25 |
CL2014001468A1 (es) | 2014-11-07 |
MX2014006782A (es) | 2014-07-30 |
CA2857179C (en) | 2018-04-10 |
DK2788990T3 (da) | 2019-12-16 |
PT2788990T (pt) | 2019-12-18 |
AU2012347924A1 (en) | 2014-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100534A (ko) | 불연성 재료를 갖는 케이블 구성요소 | |
US20130161058A1 (en) | Cable with non-flammable barrier layer | |
US4969706A (en) | Plenum cable which includes halogenated and non-halogenated plastic materials | |
US7202418B2 (en) | Flame retardant and smoke suppressant composite high performance support-separators and conduit tubes | |
US6049647A (en) | Composite fiber optic cable | |
KR0139069B1 (ko) | 비 할로겐화된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 | |
CN109477944B (zh) | 耐燃光纤线缆 | |
KR0148366B1 (ko) | 비 할로겐화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는 플리넘 케이블 | |
US20060169479A1 (en) | Jacket construction having increased flame resistance | |
TW200406790A (en) | Insulated conductor and communication wire | |
ES2912661T3 (es) | Cable de comunicación de datos pirorresistente | |
US20150221416A1 (en) | Cable Jacket For An Electrical Or Optical Conductor | |
CN210467374U (zh) | 一种高阻燃低释放无卤低烟b1级控制电缆 | |
CN213241972U (zh) | 一种环保型本安仪表电缆 | |
CN214588152U (zh) | 一种高强度耐腐蚀不燃电缆 | |
CN210865690U (zh) | 一种防鼠防白蚁耐火型城市轨道交通用电力电缆 | |
CA3158021A1 (en) | Twisted-pair cable using xlpe insulation | |
US20130284491A1 (en) | Zero halogen cable | |
CN220041445U (zh) | 一种阻燃耐热型6-35kV无卤低烟耐火电力电缆 | |
CN204577151U (zh) | 一种改良的阻燃电缆 | |
CN213752099U (zh) | 一种交联聚乙烯绝缘无卤低烟a类阻燃电力电缆 | |
CN110880384A (zh) | 一种高阻燃低释放无卤低烟b1级控制电缆 | |
CN219642598U (zh) | 一种耐高温聚烯烃护套防火电力电缆 | |
CN215183178U (zh) | 一种耐冲击燃烧等级b1级电缆 | |
CN206225058U (zh) | 一种阻燃电力电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6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