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00084A -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084A
KR20140100084A KR1020130012884A KR20130012884A KR20140100084A KR 20140100084 A KR20140100084 A KR 20140100084A KR 1020130012884 A KR1020130012884 A KR 1020130012884A KR 20130012884 A KR20130012884 A KR 20130012884A KR 20140100084 A KR20140100084 A KR 20140100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attery pack
magnetic portion
slide
su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헌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084A/ko
Priority to US13/934,709 priority patent/US20140220403A1/en
Publication of KR2014010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08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제1 자성부를 구비한 배터리팩,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자성결합을 하는 제2 자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팩을 탈착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1 자성부와 제2 자성부의 자성결합을 이용하여 탈착부와 배터리팩을 결합시키는바 양자 간 결합을 견고히 하면서도, 배터리팩의 분리가 용이한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Battery pack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배터리팩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면서, 이에 따라 배터리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팩은 충방전하여 복수회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도 효과적이므로 그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한편,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배터리팩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팩을 전자기기에 견고하게 결합시켜야 한다. 또한, 배터리팩을 교환하거나 따로 보관할 때에는 배터리팩을 전자기기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즉, 배터리팩을 사용할 때에는 배터리팩과 전자기기를 강하게 고정해야 하면서도 분리할 때에는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래치 등을 사용할 뿐이어서 배터리팩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팩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는, 제1 자성부를 구비한 배터리팩,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자성결합을 하는 제2 자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팩을 탈착하는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위치된 상기 제2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를 일측으로 밀면 상기 제1 자성부와 자성결합된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의 자성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슬라이드부를 일측으로 미는 힘에 의한 전단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를 일측으로 미는 힘을 해제하였을 때 상기 슬라이드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양단이 각각 상기 슬라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의 자성결합 해제 방향과 상기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2 자성부의 대면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의 자성결합 해제 방향과 상기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2 자성부의 대면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부는 제1 극성을 갖고,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제1 극성을 갖는 제1 서브자성부, 및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갖는 제2 서브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서브자성부가 자성결합을 하되, 상기 슬라이드부를 일측으로 밀면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1 서브자성부가 상기 제1 자성부에 대면하여 상기 제2 자성부와 상기 제1 자성부의 자성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배터리팩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전동공구 또는 충전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팩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리브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배터리팩의 제1 자성부와 탈착부의 제2 자성부를 이용한 자성결합을 이용하므로,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배터리팩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서브자성부 및 제2 서브자성부를 포함하는 제2 자성부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의 착탈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팩 조립체의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배터리팩 조립체의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전자기기와 배터리팩 조립체를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전자기기와 배터리팩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a)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a)는 제1 자성부(111)를 구비한 배터리팩(110) 및 제2 자성부(123a)를 구비하되 배터리팩(110)을 탈착하는 탈착부(120a)를 포함하고,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의 자성결합 또는 해제에 의해 배터리팩(110)이 탈착될 수 있다.
배터리팩(110)은 이온 또는 전자의 이동에 의하여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발생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배터리팩(110)은 베어셀을 포함할 수 있는데, 베어셀은 전지 케이스에 양극판, 음극판 및 이들 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권취 또는 적층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이 함께 수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는 전해액과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에너지를 발생하고, 상기 에너지는 전극탭 등을 통하여 외부로 공급된다. 예컨대, 전지 케이스는 파우치형, 각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110)은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베어셀의 충전 및 방전시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회로모듈은 회로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보호회로모듈의 일면에는 여러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베어셀 내의 전극조립체를 제어하거나 전극조립체의 이상 작동시 회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팩(110)에는 보호회로모듈로부터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팩단자부(113; 도 8 및 도 9에 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팩단자부(113)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200; 도 8 및 도 9에 도시됨)와 배터리팩(1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배터리팩(110)에는 제1 자성부(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자성부(111)는 예를 들어 영구자석, 전자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자성부(111)는 배터리팩(110)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제1 안착부(115)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자성부(111)는 배터리팩(11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자성부(111)의 외표면과 배터리팩(110)의 외표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도 2 참조).
탈착부(120a)는 배터리팩(110)을 탈착하기 위한 부재로서, 고정부(121), 슬라이드부(122), 제2 자성부(123a)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탄성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21)는 슬라이드부(12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부재이고 슬라이드부(122)는 고정부(12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21)의 넓은 면에는 슬라이드홈(12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드홈(124)에 슬라이드부(122)가 삽입되어 슬라이드홈(12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122)의 두께는 슬라이드홈(124)의 깊이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122)의 외표면과 고정부(121)의 외표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자성부(123a)는 슬라이드부(122)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팩(110)의 제1 자성부(111)와 자성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2 자성부(123a)도 제1 자성부(111)와 마찬가지로 영구자석, 전자석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가 자성결합을 하는 경우 탈착부(120a)와 배터리팩(11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성부(123a)는 슬라이드부(122)에 함몰되도록 형성된 제2 안착부(128)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자성부(123a)는 슬라이드부(122)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 자성부(123a)의 외표면과 슬라이드부(122)의 외표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자성부(111) 및 제2 자성부(123a)가 각각 어느 하나의 자석 부재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수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제1 자성부(111) 및 제2 자성부(123a)가 서로 맞닿는 면의 극성은 서로 반대되도록 구현하여,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가 서로 강하게 당기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125)는 슬라이드부(122)를 탄성 복귀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예를 들어 슬라이드홈(124) 내에서 슬라이드부(122)와 고정부(121)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력에 의해 탄성부(125)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부(122)가 슬라이드 이동된 후 외력이 해제될 때 탄성부(125)는 연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부(122)를 밀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122)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25)는 예를 들어, 고무나 스프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팩 조립체(100a)의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a)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배터리팩(110)의 제1 자성부(111)와 탈착부(120a)의 제2 자성부(123a)가 자성결합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를 향하는 면에 있어서, 제1 자성부(111)가 N극성을 갖고 제2 자성부(123a)가 S극성을 가져 서로 맞닿아 자성결합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성부(111)는 제1 안착부(115)에 위치되고 제2 자성부(123a)는 제2 안착부(128)에 위치되는바,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가 자성 결합하는 경우 슬라이드부(122)의 외표면과 배터리팩(110)의 외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22)를 일측으로 밀면 슬라이드부(122)가 슬라이드홈(124)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제2 자성부(123a)가 슬라이드부(122)와 함께 이동되면서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의 자성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의 자성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탈착부(120a)와 배터리팩(110)도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122)를 밀어 제2 자성부(123a)를 밀어내면 제2 자성부(123a)는 전단력(shear force)을 받아 제1 자성부(111)로부터 분리되는데,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의 자성결합이 해제되는 방향, 즉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가 분리되는 방향(도 3에서 '↕' 방향)은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가 대면하고 있던 방향(도 3에서 '↔' 방향)과 다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가 분리되는 방향은 슬라이드부(122)가 이동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3에서 '↕' 방향)으로, 도 2에서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가 서로 대면한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이때,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과 같은 자성부재의 경우, 면대면 방향(도 3에서 '↔' 방향)에 대한 결합력이 면과 평행한 방향(전단 방향; 도 3에서 '↕' 방향)에 대한 결합력보다 크므로, 도 2와 같이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의 면이 서로 맞닿아 있는 경우 강한 결합력을 가지면서도, 도 3과 같이 슬라이드부(122)를 밀면 제2 자성부가 전단력을 받아 용이하게 자성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의 자성결합을 해제하여 배터리팩(110)과 탈착부(120a)를 분리시킨 후 슬라이드부(122)의 일측을 미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부(125)에 의해 슬라이드부(122)는 도 2와 같은 상태로 원위치 복귀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의 자성결합 상태에서 슬라이드부(122)가 고정부(121)로부터 돌출되고(도 2) 자성결합 해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122)가 고정부(121)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으로(도 3)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자성결합 상태에서 슬라이드부(122)가 고정부(121)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자성결합 해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122)가 돌출되거나, 자성결합 해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122)가 내측으로 함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드부(122)가 예기치 않게 눌리는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b)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배터리팩 조립체(100b)의 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b)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b)는 제1 자성부(111)를 구비한 배터리팩(110), 및 제2 자성부(123b)를 포함하는 탈착부(120b)를 포함하되, 제2 자성부(123b)가 제1 서브자성부(126) 및 제2 서브자성부(127)를 포함하여 배터리팩(11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자성부(123b)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서브자성부(126) 및 제2 서브자성부(127)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제1 서브자성부(126)는 제1 극성을 갖고 제2 서브자성부(127)는 이와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자성부(126) 및 제2 서브자성부(127)는 슬라이드부(122)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b)의 자성결합시에는 제1 극성을 갖는 제1 자성부(111)와 제2 극성을 갖는 제2 서브자성부(127)가 자성결합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122)를 일측으로 밀면 제2 서브자성부(127)도 슬라이드부(12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자성부(127)와 제1 자성부(111)의 자성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자성부(126)는 제2 서브자성부(127)와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바, 슬라이드부(122)를 일측으로 밀면 제1 서브자성부(126)가 제1 자성부(111)와 대면하게 되는데, 제1 서브자성부(126)와 제1 자성부(111)는 모두 제1 극성을 가지므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척력 발생). 따라서, 배터리팩(110)과 탈착부(120b)를 분리하려는 외력을 별도로 가하지 않고도 배터리팩(110)과 탈착부(120b)가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팩(110)의 탈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전자기기(200)와 배터리팩 조립체(100')를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전자기기(200)와 배터리팩 조립체(100')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1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팩(110')과 탈착부(120a)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조립체(100')는 예를 들어 전동공구 또는 충전기와 같은 전자기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탈착부(120a)는 전자기기(200)에 고정되며, 슬라이드부(122)의 이동에 따른 제1 자성부(111) 및 제2 자성부(123a)의 상호 결합 상태에 의해 배터리팩(110')은 전자기기(2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부재의 경우 면대면 결합에 대해서는 강한 결합력을 가지나 전단 결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팩(110')이 슬라이드부(122)의 이동 방향(전단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경우, 너무 쉽게 배터리팩(110')이 분리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중 부주의에 의해 배터리팩(110')이 슬라이드부(122)의 이동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제1 자성부(111) 및 제2 자성부(123a)는 전단력에 의해 쉽게 자성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팩(110')이 전자기기(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팩(110')의 분리 방향을 슬라이드부(122)의 이동 방향과는 다르게 하는 것이 안전상 중요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터리팩(110')의 분리방향을 가장 결합력이 강한 방향, 즉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가 대면하는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200)에 가이드부(210)를 형성하고 배터리팩(110')에 리브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리브부(112)는 가이드부(210)가 만드는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팩(110')은 가이드부(21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서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10)의 연장 방향을 제1 자성부(111)와 제2 자성부(123a)의 대면 방향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배터리팩(110')이 원치 않게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슬라이드부(122)를 밀면 제2 자성부(123a)가 전단력을 받아 이동되는바, 제1 자성부(111) 및 제2 자성부(123a)의 자성결합 해제는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배터리팩(11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자기기(200)와 배터리팩(110')의 전기적 결합은 기기단자부(220) 및 팩단자부(11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단자부(220)는 돌출된 형태로 구현되고 팩단자부(113)는 함몰된 홈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기단자부(220)가 팩단자부(113)에 삽입되어 배터리팩(110')의 전원이 전자기기(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팩단자부(113)는 배터리팩(110')의 탈착시 기기단자부(22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방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자성부(123a)가 하나의 극성을 갖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서브자성부(126) 및 제2 서브자성부(127)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a, 100b, 100' : 배터리팩 조립체 110, 110' : 배터리팩
111 : 제1 자성부 112 : 리브부
120a, 120b : 탈착부 121 : 고정부
122 : 슬라이드부 123a, 123b : 제2 자성부
125 : 탄성부 126 : 제1 서브자성부
127 : 제2 서브자성부 200 : 전자기기
210 : 가이드부

Claims (15)

  1. 제1 자성부를 구비한 배터리팩;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자성결합을 하는 제2 자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팩을 탈착하는 탈착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위치된 상기 제2 자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를 일측으로 밀면 상기 제1 자성부와 자성결합된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의 자성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슬라이드부를 일측으로 미는 힘에 의한 전단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슬라이드부를 일측으로 미는 힘을 해제하였을 때 상기 슬라이드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양단이 각각 상기 슬라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의 자성결합 해제 방향과 상기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2 자성부의 대면 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의 자성결합 해제 방향과 상기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2 자성부의 대면 방향은 서로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는 제1 극성을 갖고,
    상기 제2 자성부는 상기 제1 극성을 갖는 제1 서브자성부, 및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갖는 제2 서브자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서브자성부가 자성결합을 하되,
    상기 슬라이드부를 일측으로 밀면 상기 제2 자성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제1 서브자성부가 상기 제1 자성부에 대면하여 상기 제2 자성부와 상기 제1 자성부의 자성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팩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전동공구 또는 충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팩에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는 리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30012884A 2013-02-05 2013-02-05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ithdrawn KR20140100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884A KR20140100084A (ko) 2013-02-05 2013-02-05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13/934,709 US20140220403A1 (en) 2013-02-05 2013-07-03 Battery pack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884A KR20140100084A (ko) 2013-02-05 2013-02-05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084A true KR20140100084A (ko) 2014-08-14

Family

ID=5125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884A Withdrawn KR20140100084A (ko) 2013-02-05 2013-02-05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20403A1 (ko)
KR (1) KR201401000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2759B1 (en) 2014-09-30 2024-01-31 Shangrao Xinyuan YueDong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Solar cell panel
DE202015010043U1 (de) 2014-07-07 2024-12-12 Shangrao Xinyuan YueDong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Solarzellenmodu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6215A1 (en) * 2013-10-24 2016-01-28 JayBird LLC Wearable device with attachable expansion pack
WO2017189606A1 (en) * 2016-04-30 2017-11-02 Area Denial Systems, Llc Wearable power supply
WO2018068325A1 (en) * 2016-10-14 2018-04-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pack
USD960085S1 (en) 2020-03-03 2022-08-09 Fk Irons Inc. Tattoo machine battery power supply
DE102021210769A1 (de) 2021-09-27 2023-03-3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tterie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solchen sowie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8576A (en) * 1968-02-27 1969-09-23 Ford Motor Co Magnetic latch
US3802034A (en) * 1970-11-27 1974-04-09 Bell & Howell Co Quick release magnetic latch
US6018230A (en) * 1998-06-15 2000-01-25 Casey; John P.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rupting charging of self-charging electronic device
JP2000231910A (ja) * 1999-02-12 2000-08-22 Tookado:Kk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JP2000243367A (ja) * 1999-02-23 2000-09-08 Tookado:Kk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AU2002951242A0 (en) * 2002-09-05 2002-09-19 Adaps Pty Ltd A clip
CN2762964Y (zh) * 2005-01-10 2006-03-08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用电池供电的电动工具
US7775567B2 (en) * 2005-12-13 2010-08-17 Apple Inc. Magnetic latching mechanism
US20090246608A1 (en) * 2008-03-26 2009-10-01 Simon Wu Rechargeable Electric Tool with a Battery Pack Detaching Device
US9326812B2 (en) * 2012-01-25 2016-05-03 Covidien Lp Portable surgical instru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010043U1 (de) 2014-07-07 2024-12-12 Shangrao Xinyuan YueDong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Solarzellenmodul
DE202015010044U1 (de) 2014-07-07 2024-12-12 Shangrao Xinyuan YueDong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Solarzellenmodul
EP4092759B1 (en) 2014-09-30 2024-01-31 Shangrao Xinyuan YueDong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Solar cell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20403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0084A (ko) 배터리팩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205985178U (zh) 电池组
JP5185241B2 (ja) バッテリパック
US9577228B2 (en) Battery packs for electric tools
CN103988334B (zh) 电池组件用的连接器、以及具备该连接器的电池组件
KR101552435B1 (ko) 무정지 배터리 교환장치
CN108028346B (zh) 电池间连接装置及电池间连接装置组装体
EP1955827A2 (en) Adapter for a power tool battery
CN101268569A (zh) 蓄电池组以及手持电动工具
US11471018B2 (en) Method of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EP4030458A1 (en) Direct current contactor and automobile
CN110768320A (zh) 适配器及便携式电源
CN104134767A (zh) 电池组和电气装置
KR20180061775A (ko) 전기충전 접속장치 및 전기자동차
JP2013191288A (ja) 電池パック、電動工具、充電器、及び電動工具セット
WO2013027595A1 (ja) 電池ユニット
US8174236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battery with the same
KR20150106735A (ko) 전지팩
EP3382772B1 (en) Master battery, slave battery, and battery kit
KR102152884B1 (ko) 배터리 케이스
KR101525197B1 (ko) 배터리 모듈 세퍼레이터
KR10184064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배터리 팩
US20130224526A1 (en) Battery pack
JP5605133B2 (ja) 電池パック
CN220754395U (zh) 一种通用型电池包接口转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