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92598A - Education device using RFID - Google Patents

Education device using RF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598A
KR20140092598A KR1020130004830A KR20130004830A KR20140092598A KR 20140092598 A KR20140092598 A KR 20140092598A KR 1020130004830 A KR1020130004830 A KR 1020130004830A KR 20130004830 A KR20130004830 A KR 20130004830A KR 20140092598 A KR20140092598 A KR 2014009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quiz
tag information
contents
rea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충록
김선주
Original Assignee
오충록
김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김선주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102013000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2598A/en
Publication of KR2014009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598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RFID를 이용한 교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교육장치는 고유의 태그정보를 갖는 전자태그가 구비된 복수개의 답안인형들; 및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고, 답안인형들 중 구비된 리더기에 위치한 답안인형의 전자태그로부터 판독된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퀴즈콘텐츠에 따른 정답여부를 결정하는 메인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제시된 퀴즈에 대해 전자태그를 구비한 답안용 인형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능동적인 교육 참여를 유도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n educational device using RFID is disclosed. A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nswer doll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tag having unique tag information; And a main device for outputting the quiz contents through the provided display an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nswer is given according to the quiz contents by using the tag information read from the electronic tag of the answer doll located in the reader included in the answer pupp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 uses the answer doll having the electronic tag for the presented quiz, so that the learner can be actively engaged in the education so that more effective education can be performed.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교육장치{Education device using RFID}{Education device using RFID}

본 발명은 교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에 따른 태그가 내장된 답안용 인형을 이용하여 정답을 맞히도록 하는 형태의 학습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rning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correct answer is obtained by using an answer doll having a tag according to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어린이, 특히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기의 어린들이 주로 사용하는 완구에는 단순한 유희적인 목적의 완구에서부터, 각종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이나 언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용 완구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와 목적이 다양한 완구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In general, toys used mainly by children at home, especially children in infancy who begin to learn the language, range from simple amusing toys to cognitive abilities for various objects and educational toys for teaching language Various toys have been developed and released.

유아기의 어린이들이 언어 습득 능력을 비롯한 학습 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정에서 유아기의 어린이들에게도 사물 인식에 대한 일반적인 언어 교육뿐만 아니라, 특히 조기 교육의 일환으로 외국어까지 포함하는 언어 학습 교육이 유행하고 있다.It is known that children in early childhood have excellent learning abilities including language acquisition ability. Therefore, not only the general language education about child perception at home, but also the language learning education including foreign language as part of early education It is in fashion.

종래의 교육용 완구로는 사람이나 동물, 사물 등의 특징이 묘사되어 있는 그림이나 글자 카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교육시키는 경우, 통상적으로 부모나 선생님이 직접 어린이를 앉혀 두고, 그림 카드를 들어 어린이에게 보여준 다음, 카드에 묘사된 그림에 대한 명칭을 말하고 그 기능이나 의미 등을 설명한다.[0004] Conventional educational toys include pictures and character cards depicting characteristics of people, animals, objects, etc. When teaching using educational toys, parents or teachers usually sit the children directly, Listen to a picture card and show it to the child, then name the picture on the card and explain its function and meaning.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어린이를 교육시키는 경우, 부모는 어린이와 함께 교육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별도로 조성하여야 하며, 어린이는 부모가 선택한 그림 카드에 나타난 그림에 대해서만 수동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어린이에 대한 학습 교육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유아기 어린이의 특성상 자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학습의 효율이 높아진다. 하지만, 전술한 교육용 완구를 이용한 수동적인 교육 방식에 있어서는 부모가 어린이에 대하여 교육을 강요하게 되어, 이러한 수동적인 교육 방식에 의해 어린이는 쉽게 싫증을 내게 되어 학습에 대한 의욕을 상실하게 되고, 교육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educating a child using a conventional educational toy such as the one described above, the parent should separately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the child can be educated together with the child, and the child must passively learn . Learning education for children is more voluntary in the nature of children who are curious about things, so learning efficiency increases. However, in the passive education method using the above-mentioned educational toys, the parents are forced to educate the children, and by this passive education method, children are easily bored and lose their desire for lear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deteriora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6487 ((주)케이티), 공고일자(2007년01월11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66487 (KT Corporation), date of announcement (Jan. 11, 2007)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교육 참여를 유도하는 RFID를 이용한 교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ducation device using RFID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유의 태그정보를 갖는 전자태그가 구비된 복수개의 답안인형들; 및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답안인형들 중 구비된 리더기에 위치한 답안인형의 전자태그로부터 판독된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퀴즈콘텐츠에 따른 정답여부를 결정하는 메인장치를 포함하는 교육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tag comprising: a plurality of answer doll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tag having unique tag information; And a main device for outputting the quiz contents through the provided display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answer to the quiz contents is made using the tag information read from the electronic tag of the answer doll placed in the reader included in the answer dolls A training device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리더기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장치는 각 리더기의 식별정보 및 각 리더기에 의해 인식된 태그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정답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readers are provided, and the main apparatus can determine whether the correct answer is obtained by using bo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reader and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each reader.

또한, 상기 메인장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정답여부에 대한 결정이 정답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apparatus may output the quiz contents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may resume the reproduc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only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correct answer is determined to be correct.

그리고,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 본체의 외부 일측에 놓여진 답안인형의 전자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 및 상기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퀴즈콘텐츠에 따른 정답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교육장치가 제공된다.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quiz contents; A reader fo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of the answering doll plac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to answer the quiz contents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정답여부에 대한 결정이 정답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재개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module may output the quiz cont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ile reproducing the multimedia content, and may resume the reproduc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only 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correct answer is determined as a correct answer.

또한, 상기 출력모듈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에 따른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도중,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터치입력에 따른 객체에 상응하는 퀴즈콘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다.
When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input whil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s is being output to the touch screen, the control module displays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Quot; can be executed.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제시된 퀴즈에 대해 전자태그를 구비한 답안용 인형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능동적인 교육 참여를 유도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 uses the answer doll having the electronic tag for the presented quiz, so that the learner can be actively engaged in the education so that more effective educa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육용 문제 콘텐츠를 아이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by providing the problem contents for education together with various multimedia contents that children lik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퀴즈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teaching apparatus using RFI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using a quiz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교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ducational apparatus using RFI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장치는 복수개의 답안인형들(20-1, 20-2, 20-3, 20-4, 20-5, 이하 20으로 통칭) 및 메인장치(10)를 포함한다.1, the educatio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andidate dolls 20-1, 20-2, 20-3, 20-4, 20-5, 20, and a main apparatus 10 ).

답안인형(20)은 고유의 태그정보를 갖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에 따른 전자태그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 답안인형 (20-1)의 태그정보는 영문자 [A]일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뿐이며, 차후 설명하겠으나 태그정보로는 메인장치(10)가 어떠한 답안인형(20)의 전자태그가 판독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예를 들어 단순 식별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영문자의 모음에 해당하는 태그정보를 갖는 답안인형(2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nswer doll 20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tag according to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having unique ta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ag information of the first answer doll 20-1 may be alphabetic character [A]. Of course,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ag information includes all kinds of information (for example, si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reading of the electronic tag of the reading doll 20 by the main device 10, Can be used. In the drawing, only the answer doll 20 having ta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llection of alphabetic characters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메인장치(10)는 디스플레이(12), 스피커(미도시)와 같은 출력모듈, 전자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리더기(14)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메인장치(10)는 디스플레이(12)를 통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고, 리더기(14)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출력된 퀴즈콘텐츠에 따른 정답여부를 결정한다.The main device 10 includes a display 12, an output module such as a speaker (not shown), a reader 14 for reading tag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and a control module. The main device 10 outputs the quiz contents as shown in the figure via the display 12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quiz contents are correct according to the quiz contents output using the tag information read by the reader 14. [

쉽게 말해, 사용자(즉 학습자)는 디스플레이(12)를 통해 출력되는 퀴즈를 확인하고, 그 퀴즈에 따른 답안을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답안인형(20)을 리더기(14)에 올려놓는 것이다. 그러면, 메인장치(10)는 리더기(14)에 올려진 답안인형(20)의 전자태그를 판독하여 그 태그정보를 입력정보로서 처리하여, 해당 퀴즈의 정답여부를 판단한다.In other words, the user (i.e., the learner) places the answer doll 20 on the reader 14 as a method of confirming the quiz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12 and inputting the answer according to the quiz. Then, the main device 10 reads the electronic tag of the doll 20 placed on the reader 14, processes the tag information as input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quiz is the correct answer.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답안인형(20)은 학습자가 유아인 경우를 감안하여, 인형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가 단순히 교육용 콘텐츠를 시청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답안 입력을 위한 특정한 행동(답안인형(20)을 골라 리더기(14)에 올려놓는 것)을 취하게 함으로써 능동적인 교육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answer doll (20) may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doll in consideration of the case where the learner is an inf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arner does not merely watch the educational contents but takes a specific action for inputting the answer (picking up the answer doll 20 and putting it on the reader 14) .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 단어에 대한 퀴즈 콘텐츠가 예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글, 중국어 등의 다양한 언어 교육 콘텐츠뿐 아니라 수학 등의 다른 교육을 위한 콘텐츠도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quiz contents for English words are exemplifi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obvious that contents for various education such as mathematics as well as various language education contents such as Korean and Chinese can also be used something to do.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각 답안인형들(20-1, 20-2, 20-3, 20-4, 20-5)에는 복수개의 태그정보가 존재할 수 있는데, 쉬운 예를 들어 제1 답안인형(20-1)에는 영문자 [A], 한글 [ㄱ], 숫자 [1]에 대한 태그정보가 내장된 전자태그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메인장치(10)는 판독된 태그정보들 중 현재의 퀴즈콘텐츠에 맞는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면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xample, a plurality of pieces of tag information may be present in each of the answer dolls 20-1, 20-2, 20-3, 20-4, and 20-5. For example, the first answer doll 20 -1)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nic tag having tag information for alphabetic characters [A], Hangul [a], and numeral [1]. Of course, in this case, the main device 10 may use only one of the read tag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current quiz content.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인장치(10)에는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한 전원버튼,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ain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a keypad for user input, and the like.

그리고, 일례에 따르면, 메인장치(10)는 제출된 퀴즈에 대한 정답을 학습자가 쉽게 맞힐 수 있도록 하는 힌트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비된 디스플레이(12)에 정답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정답 자체 또는 관련 답안인형(20)의 이미지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힌트는 학습자가 일정 횟수 이상 정답을 맞히지 못할 때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정답에 따른 답안인형이 아닌 다른 답안인형들이 일정횟수 이상 리더기(14)에 올려지는 경우에만 힌트가 제공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xample, the main device 10 may provide a hint to allow a learner to easily guess the correct answer to the submitted quiz, for example, For example, an image of the correct answer itself or the related answer doll 20, etc.). These hints may only be provided if the learner fails to meet the correct answer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at is, the hint is provided only when the answer dolls other than the answer doll according to the correct answer are placed on the reader 14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more.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하면, 메인장치(10)에는 복수개의 리더기(14-1, 14-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학습자가 답안인형(20)을 복수개 골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퀴즈의 난이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ain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aders 14-1 and 14-2. In other words, the learner can select a plurality of answer dolls 20 to set various difficulty levels of the quizzes.

그리고, 답안인형(20)을 따로 관리하게 되면 분실의 위험이 있으므로, 메인장치(10)에는 답안인형(20)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홈(16)이 구비될 수도 있다.If the answer doll 20 is separately managed, there is a risk of loss of the doll. Therefore, the main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groove 16 for storing the doll 20.

또한, 메인장치(1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18)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모듈(18)이 USB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외부의 USB메모리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쉬운 예를 들자면,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저장된 USB메모리가 인터페이스 모듈(18)에 꽂히면, 메인장치(10)는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여 그에 따른 영상 및/또는 사운드를 디스플레이(12)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지금도 일반 컴퓨터뿐 아니라 스마트TV에서와 같이 외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전자기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main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module 18 for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as shown in the figure. For example, when the interface module 18 uses the USB communication method, an external USB memory may be connected. For example, when a USB memory having multimedia contents such as a moving picture is plugged into the interface module 18, the main device 10 reproduces the multimedia content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image and / or sound on the display 12 and / Or through a speaker. Electronic devices using data stored in external devices such as smart TVs are widely used as well as general computer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장치는 내부의 메모리 또는 연결된 외부장치에 저장된 동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 및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퀴즈콘텐츠의 제공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이에 대한 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ducatio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oduce and output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moving pictures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or a connected external device. Particularly, the reproduc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s may be used for providing the quiz contents. Hereinafter, a processing procedure for this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퀴즈를 이용한 동영상 재생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video playback using a quiz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장치는 동영상이 재생되면(S310), 일정한 시간인 K시간을 카운팅한다(S320). K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분이라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moving picture is played back (S310), the edu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unts a predetermined time K (S320). The K time can be set to various values, for example, one minute.

동영상의 재생이 K시간을 경과함을 인식하면, 교육장치는 동영상의 재생을 중단하고, 퀴즈콘텐츠를 출력한다(S330). 퀴즈콘텐츠는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것들 중 임의의 것이 추출되어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어떠한 기준에 의한 하나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례에 따르면, 재생중인 동영상과 미리 대응되도록 설정된 어느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 쉬운 예를 하나 들자면, 애니메이션 [뽀로로]가 재생되는 도중이었다면, 뽀로로에 나오는 동물들에 대한 영어단어들이 퀴즈콘텐츠로서 미리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reproduction of the moving picture has passed K hours, the education apparatus stops the reproduction of the moving picture and outputs the quiz contents (S330). The quiz content may be extracted from any of a plurality of things stored in the memory, or one by any criterion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is, any one set in advance to be in correspondence with a moving picture being played back may be used. As an easy example, if the animation [Pororo] was playing, the English words for the animals in Pororo could be set to correspond in advance as quiz content.

교육장치는 출력된 퀴즈콘텐츠에 대한 답안으로써 답안인형(20)에 구비된 전자태그가 인식되는지를 판단하고(S340), 인식되면 해당 전자태그의 태그정보에 따른 정답 여부를 판단한다(S350). 만일 정답으로 인식되면 교육장치는 다시 동영상의 재생을 재개하고, 이와 달리 오답인 경우엔 학습자가 오답인 것을 알 수 있도록 오답 처리(예를 들어, 오답 영상 출력 또는 오답 안내 음성메시지 출력 등)한다.The train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tag included in the answer doll 20 is recognized as an answer to the output quiz content at step S340. If the electronic tag is recognized, the education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according to the ta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at step S350. If it is recognized as a correct answer, the education apparatus resumes playing back the video again. Otherwise, if the answer is incorrect, the learner performs an incorrect answer process (e.g., outputting an incorrect answer image or outputting a wrong answer voice messag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린 학습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등에 따른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중간중간에 퀴즈를 풀도록 함으로써, 교육 참여 및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cipation of the education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can be enhanced by allowing the young learner to solve the quiz during the middle of playing the ani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imation or the like.

본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장치는 디스플레이(12)에 터치스크린(touch-screen) 기능이 구비된다. 교육장치는 구비된 저장수단에 저장되거나 외부 장치에 저장된 동영상, 플래시 등의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 도중,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 입력의 위치에 따른 퀴즈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쉬운 예로 멀티미디어의 재생에 따란 화면에 객체로서 [코끼리]가 등장한 경우, 학습자가 해당 객체를 터치하면 그 객체에 상응하는 퀴즈콘텐츠로서 [코끼리]의 영단어가 출제되는 것이다. The educatio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ouch-screen function on the display 12. When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input while the multimedia such as moving picture or flash stored in the external storage device is being reproduced, the education device can output the quiz cont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As an easy example, when the [elephant] appears as an object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layback of the multimedia, when the learner touches the object, the elephant word of the [elephant] is issued as the quiz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object.

물론 이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에는 객체정보와 퀴즈콘텐츠가 대응되어 있어야 하며, 교육장치는 그 정보들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에 따른 객체 및 퀴즈콘텐츠를 인식하는 것이다.
Of course, in this case, the object information and the quiz content must correspond to the multimedia, and the education device recognizes the object and the quiz contents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using the inform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 메인장치
12 : 디스플레이
14 : 리더기
16 : 보관홈
18 : 인터페이스 모듈
20-1, 20-2, 20-3, 20-4, 20-5 : 답안인형
10: Main device
12: Display
14: Reader
16: Storage home
18: Interface module
20-1, 20-2, 20-3, 20-4, 20-5: Answer doll

Claims (6)

고유의 태그정보를 갖는 전자태그가 구비된 복수개의 답안인형들; 및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답안인형들 중 구비된 리더기에 위치한 답안인형의 전자태그로부터 판독된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퀴즈콘텐츠에 따른 정답여부를 결정하는 메인장치를 포함하는 교육장치.
A plurality of answer doll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tag having unique tag information; And
And a main device for outputting the quiz contents through the provided display an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quiz contents are correct by using the tag information read from the electronic tag of the answer doll placed in the reader provided in the answer dolls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장치는 각 리더기의 식별정보 및 각 리더기에 의해 인식된 태그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상기 정답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readers are provided, and the main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correct answer is obtained by using bo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reader and the tag information recognized by each rea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정답여부에 대한 결정이 정답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device outputs the quiz contents according to a preset reference during reproduc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resumes the reproduc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only when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correct answer is determined as a correct answer.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
본체의 외부 일측에 놓여진 답안인형의 전자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판독하는 리더기; 및
상기 태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퀴즈콘텐츠에 따른 정답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교육장치.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quiz contents;
A reader fo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tag of the answering doll plac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deciding whether or not an answer based on the quiz contents using the tag inform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퀴즈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정답여부에 대한 결정이 정답으로 결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module outputs the quiz contents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while playing the multimedia content, and restarts the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 only when a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correct answer is determined as a correct answ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에 따른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도중, 상기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터치입력에 따른 객체에 상응하는 퀴즈콘텐츠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utput module comprises a touch screen,
When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is input whil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of the multimedia content is being output to the touch screen, the control module executes the quiz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Educational device.
KR1020130004830A 2013-01-16 2013-01-16 Education device using RFID Withdrawn KR201400925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30A KR20140092598A (en) 2013-01-16 2013-01-16 Education device using RF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830A KR20140092598A (en) 2013-01-16 2013-01-16 Education device using RF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598A true KR20140092598A (en) 2014-07-24

Family

ID=5173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830A Withdrawn KR20140092598A (en) 2013-01-16 2013-01-16 Education device using RF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259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78B1 (en) * 2019-06-11 2020-01-28 최인건 User participating hangul eduacation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 same
WO2021050579A1 (en) * 2019-09-10 2021-03-18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program content strea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78B1 (en) * 2019-06-11 2020-01-28 최인건 User participating hangul eduacation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 same
WO2021050579A1 (en) * 2019-09-10 2021-03-18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program content stream
US11800202B2 (en) 2019-09-10 2023-10-24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program content stre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llaghan et al. Are educational preschool apps designed to teach? An analysis of the app market
Geist Using tablet computers with toddlers and young preschoolers
Israel et al. Fifth graders as app designers: How diverse learners conceptualize educational apps
Horn et al. Translating Roberto to Omar: computational literacy, stickerbooks, and cultural forms
KR100940295B1 (en) Educational Toy Using Questions And Answers
US20130260886A1 (en) Multi-sensory Learning Game System
Gunter et al. Language learning apps or games: an investigation utilizing the RETAIN model
Gadiraju et al. Brailleblocks: computational braille toys for collaborative learning
KR102127093B1 (en) Smart block play learning device based on IoT modular complex education play furniture service
Lemos et al. Augmented reality musical app to support children’s musical education
Elkind Touchscreens and young children: Benefits and risks
Fachriyani et al. Using karuta game in teaching vocabulary to young learners
Fei et al. CollectiAR: Computer vision-based word hunt for children with dyslexia
Laidlaw et al. “Daddy, look at the video i made on my iPad!”: Reconceptualizing “readiness” in the digital age
KR20140092598A (en) Education device using RFID
Masduqi et al. Teaching Receptive and Productive Skills in an English Lesson Using Digital Learning Resources
Oakley Mobile technologies in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Innovative pedagogy in preschool and primary education
US20180165986A1 (en) Real Time Phonetic Learning System
KR20070050518A (en) Ubiquitous Multi-Purpose Home School Studio System
CN108427898B (en) Course selecting device and course selecting method
Potter Primary education in a digital age
KR20210093081A (en) Studying Tools for Learning Phonics
KR101317555B1 (en) App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hereof
Lauwers Aligning capabilities of interactive educational tools to learner goals
Ali Abdelhalem Zaitoun Digital graphic design systems for sustainability in teaching aids for the illite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