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302A -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1302A KR20140091302A KR1020130003402A KR20130003402A KR20140091302A KR 20140091302 A KR20140091302 A KR 20140091302A KR 1020130003402 A KR1020130003402 A KR 1020130003402A KR 20130003402 A KR20130003402 A KR 20130003402A KR 20140091302 A KR20140091302 A KR 201400913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ument
- screen
- displaying
- scroll bar
- percent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은,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제1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이동거리에 대응되도록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페이지의 내용이 상기 웹페이지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환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해야 할 정보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작은 화면 크기로 인해 한 화면에 표시 가능한 정보의 양은 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정보를 보기 위하여 이동키를 여러 번 입력하거나, 스크롤을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방식(이하, 스크롤링 동작이라 칭함)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스크롤링 동작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상하 혹은 좌우로 움직여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았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위로 스크롤링 하는 동작은 화면의 전체 내용이 위로 이동하여 화면의 윗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는 지워지고, 화면의 아랫부분에 새로운 데이터가 나타나게 한다. 이러한 스크롤링 방식은 사용자가 전체 데이터 량을 가늠하고, 전체 데이터 중에서 현재 데이터가 정렬된 순서상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의 (a) 내지 (c)는 종래기술에서,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a)는 초기 웹페이지 화면 또는 문서 열기 후 초기 화면으로써, 디스플레이하려는 웹페이지의 크기 또는 문서의 크기가 화면크기보다 클 경우, 화면의 특정 영역에 스크롤바(100)가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초기 스크롤바(100)의 위치는 화면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며, 스크롤바의 크기는 웹페이지 크기 또는 문서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의 크기 또는 문서의 크기가 작은 경우 스크롤바(100)의 크기는 크고, 웹페이지의 크기 또는 문서의 크기가 큰 경우 스크롤바(100)의 크기는 작다. 초기 스크롤바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대략 웹페이지의 크기 또는 문서 크기를 예측할 수 있다. 즉, 초기 스크롤바(100)의 크기가 큰 경우, 스크롤링할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내용이 적고, 초기 스크롤바(100)의 크기가 작은 경우, 스크롤링할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내용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의 (b)는 도 1의 (a)에서 스크롤바(100)가 아래 방향으로 30% 정도 내려갈 때, 화면의 윗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는 위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화면의 아랫부분의 데이터가 윗부분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크롤바의 위치(110)는 대략 스크롤바(100)가 이동하는 영역(이하 스크롤 영역이라 칭함)의 30% 영역에 위치한다.
도 1의 (c)는 도 1의 (b)에서 스크롤바(100)가 아래 방향으로 70% 정도 더 내려갈 때(즉, 맨 아래쪽까지 이동할 때), 화면의 윗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는 위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화면의 아랫부분의 데이터가 윗부분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크롤바(100)의 위치는 스크롤 영역의 맨 아래쪽(120)에 위치한다.
반대로, 스크롤바(100)가 도 1의 (c)와 같이 아래쪽에서, 도 1의 (b)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할 때, 아랫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는 아래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화면의 윗부분의 데이터가 아랫부분으로 이동한다.
상술하 바와 같이, 웹페이지 또는 문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종래에는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크기가 화면 크기보다 클 경우, 스크롤바를 화면에 표시하여 이를 이용하여 상하 혹은 좌우로 스크롤링 하거나 클릭 후 스크롤바의 드래그(Drag) 혹은 스크롤 영역의 특정 영역을 클릭하여 웹페이지 또는 문서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
하지만, 화면에 표시할 내용이 많아, 초기 스크롤바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사용자가, 스크롤 영역에서의 작은 스크롤바의 위치를 참조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스크롤 영역에서의 스크롤바의 위치를 참조하여, 대략적으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을 뿐,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동작 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동작 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은,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제1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늘려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은,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제1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늘려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과정 이후, 백분율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산출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고, 제1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웹페이지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늘려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를 검출하고, 제1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을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늘려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정과정 이후, 백분율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산출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롤링 동작 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스크롤바의 크기조절 및 백분율 표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의 (a) 내지 (c)는 종래기술에서,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스크롤링 정보 표시를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스크롤링 정보 표시를 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도.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스크롤링 정보 표시를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스크롤링 정보 표시를 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동작 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터치(Touch)"라는 용어는 터치스크린 상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이 접촉된 상태를 의미한다. "터치 해제"라는 용어는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을 해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드래그(Drag)"라는 용어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터치 지점을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그리고 "드래그 해제"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드래그 후 터치스크린 상에 접촉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접촉을 해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a)는 초기 웹페이지 화면 또는 문서 열기 후 초기 화면으로써, 디스플레이하려는 웹페이지의 크기 또는 문서의 크기가 화면크기보다 클 경우, 화면의 특정 영역에 스크롤바(200)가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초기 스크롤바(100)의 위치는 화면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며, 스크롤바(100)의 길이는 웹페이지 길이 또는 문서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의 길이 또는 문서의 길이가 작은 경우 스크롤바(200)의 길이는 길고, 웹페이지의 길이 또는 문서의 길이가 긴 경우 스크롤바(200)의 길이는 짧다. 초기 스크롤바의 길이에 따라 사용자가 대략 웹페이지의 길이 또는 문서 길이를 예측할 수 있다. 즉, 초기 스크롤바(200)의 길이가 길 경우, 스크롤링할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내용이 적고, 초기 스크롤바(200)의 길이가 짧은 경우, 스크롤링할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내용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의 (b)는 도 2의 (a)에서 문서가 윗 방향으로 50% 정도 내려갈 때, 화면의 윗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는 위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화면의 아랫부분의 데이터가 윗부분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크롤바(200)는 이동되지 않고, 문서의 드래그 거리 또는 이동 거리에 따라 스크롤바(200)의 길이가 길어진다(210). 커진 스크롤바의 길이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낸다.
도 2의 (c)는 도 2의 (b)에서 문서가 윗 방향으로 50% 정도 더 내려갈 때(즉, 맨 아래쪽까지 이동할 때), 화면의 윗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는 위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화면의 아랫부분의 데이터가 윗부분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크롤바(200)의 길이는 스크롤 영역의 길이와 동일하며(220),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전체 내용 중 마지막 부분을 나타내고 더 이상 스크롤바(200)의 길이는 길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문서가 도 2의 (c)와 같이 위쪽에서, 도 2의 (b)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아랫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는 아래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화면의 윗부분의 데이터가 아랫부분으로 이동한다. 이때, 문서의 드래그 거리 또는 이동 거리에 따라, 스크롤바(200)의 길이가 짧아진다(210). 여기서, 스크롤바의 길이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낸다.
상술하 바와 같이, 문서의 드래그 거리 또는 이동 거리에 따라 스크롤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크롤바의 길이를 참조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라, 도 2의 (a) 내지 (c)에 더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백분율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링 동작에 따른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는 도 2의 (a)의 화면에 더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백분율(0%)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백분율 정보는 스크롤바의 바로 아랫부분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백분율 0%을 참조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처음 부분임을 알 수 있다.
도 3의 (b)는 도 2의 (b)의 화면에 더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백분율(50%)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백분율 정보는 스크롤바의 바로 아랫부분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백분율 50%을 참조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중간 부분임을 알 수 있다.
도 3의 (c)는 도 3의 (c)의 화면에 더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백분율(100%)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백분율 정보는 스크롤바의 바로 아랫부분에 위치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백분율 100%을 참조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마지막 부분임을 알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c)에서처럼 백분율 정보가 스크롤바의 바로 아랫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지만, 그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화면의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 내지 (c)에서처럼 백분율 정보는 우측 상단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의 (a) 내지 (c)는 스크롤바의 길이 조절과 함께 백분율 정보가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스크롤링 정보 표시를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500단계에서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위에 해당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502단계에서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내용이 화면크기보다 많을 경우, 특정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초기 스크롤바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내용이 처음임을 알려준다. 또한, 초기 스크롤바의 길이는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504단계에서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아랫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드래그 방향이 윗방향으로 향하고, 웹페이지의 윗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드래그 방향이 아래 방향으로 향한다. 여기서, 문서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표시된 내용의 일부가 터치되어 해당 방향으로 드래그됨으로써 수행된다.
또 따른 구현에 있어서, 전자장치는 사용자의 스크롤바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여, 감지결과에 따라,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내용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아랫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스크롤바가 스크롤 영역 내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크롤바가 스크롤영역 내에서 드래그 방향이 윗방향으로 향하고, 웹페이지의 윗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스크롤바가 스크롤 영역 내에서 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후, 전자장치는 506단계에서 문서의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스크롤바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윗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스크롤바의 길이는 길어지며, 스크로바의 길이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내용이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비례한다. 실질적으로, 스크롤링 동작 시, 스크롤바는 이동되지 않으며, 스크롤바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스크롤링 정보 표시를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600단계에서 웹브라우저(또는 문서 뷰어)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위에 해당 웹페이지(또는 문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전자장치는 602단계에서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내용이 화면크기보다 많을 경우,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초기 스크롤바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내용이 처음을 알려준다. 또한, 초기 스크롤바의 길이는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정확히는 문서의 전체 길이에 반비례하여 표시된다.
이후, 전자장치는 604단계에서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아랫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드래그 입력이 위 방향으로 향하고,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윗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드래그 입력 아래 방향으로 향한다. 여기서, 문서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문서의 일부분이 터치되어 상/하 해당 방향으로 드래그됨으로써 수행된다.
이후, 전자장치는 606단계에서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스크롤바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문서가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스크롤바의 길이는 짧아지며, 스크롤바의 길이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내용이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비례한다. 실질적으로, 스크롤링 동작 시, 스크롤바는 이동되지 않으며, 스크롤바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후, 전자장치는 608단계에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율 정보를 표시할지를 판단하여, 백분율 정보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61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율 정보를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본 발명의 절차를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제어기(700), 스피커/마이크로폰(710), 카메라(720), GPS 수신기(730), RF 처리기(740), 센서모듈(750), 터치스크린(760), 터치스크린 제어기(765), 확장 메모리(7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기(700)는, 인터페이스(70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02, 703) 그리고 내부 메모리(70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기(700) 전체를 프로세서로 칭하기도 한다. 인터페이스(7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2), 통신 프로세서(703), 내부 메모리(704)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장치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 프로세서(703)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702, 703)는 확장 메모리(770) 혹은 내부 메모리(704)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즉, 프로세서(702, 703)는 확장 메모리(770) 혹은 내부 메모리(70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스크롤링 정보 표시를 위한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2)가, 웹브라우저(또는 문서 뷰어)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위에 해당 웹페이지(또는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내용이 화면크기보다 많을 경우,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초기 스크롤바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내용이 처음임을 알려준다. 또한, 초기 스크롤바의 길이는 전체 웹페이지 또는 전체 문서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2)가,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이동을,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스크롤바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아랫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드래그 방향은 위 방향을 향하고,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윗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드래그 방향은 아래 방향으로 향한다. 여기서,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웹페이지 또는 문서 내용의 일부가 터치되어 해당 방향으로 드래그됨으로써 수행된다. 한편, 문서가 위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스크롤바의 길이는 길어지며, 스크로바의 길이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내용이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비례한다. 실질적으로, 스크롤링 동작 시, 스크롤바는 이동되지 않으며, 스크롤바의 길이가 조절된다.
더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702)가,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율 정보를 표시할지를 판단하여, 백분율 정보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율 정보를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스크롤바의 모양은 통상적인 막대기 바(bar)의 형태일 수 있으나 동일한 속성을 가진 일정 길이의 바의 연속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혹은 다른 컬러 등의 속성을 가진 일정 길이의 바의 연속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스크롤바의 표시 또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이 종료되거나 입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될 경우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다른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은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701)는 전자장치의 터치 스크린 제어기(765) 및 확장 메모리(770)에 연결시킨다.
센서모듈(750)은 인터페이스(701)에 결합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움직임 센서 및 광센서가 인터페이스(701)에 결합되어 각각 전자 장치의 움직임 감지 및 외부로부터의 빛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위치측정 시스템, 온도센서 또는 생체 센서 등과 같은 기타 센서들이 인터페이스(750)에 연결되어 관련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720)는 인터페이스(701)를 통해 센서모듈(750)과 결합하여,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과 같은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F 처리기(740)는 통신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통신 프로세서(703)의 제어하에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프로세서(703)로 제공하거나 통신 프로세서(703)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 프로세서(703)는 다양한 통신방식에 기저대역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통신방식은,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통신방식,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통신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방식,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방식, Wi-Fi(Wireless Fidelity) 통신방식, WiMax 통신방식 또는/및 Bluetooth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마이크로폰(710)은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즉, 스피커/마이크로폰(710)은 음성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이 외부포트를 통해 전자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제어기(765)는 터치스크린(7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스처 스크린(760) 및 터치 스크린 제어기(765)는, 이하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제스처 스크린(760)과의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들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접촉 및 움직임 또는 이들의 중단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760)은 전자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760)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전자 장치에 전달한다. 또한 전자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즉,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터치스크린(760)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GPS 수신기(73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받은 신호를 위치, 속도, 시간 등의 정보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위성과 GPS 수신기간 거리는 빛의 속도와 신호도달 시간을 곱하면 계산되며, 3개 위성의 정확한 위치와 거리를 구하여 공지된 삼각측량의 원리로 전자장치의 위치가 측정된다.
확장 메모리(770) 혹은 내부 메모리(704)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메모리(770) 혹은 내부 메모리(704)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및 MPEG 모듈,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인 모듈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모듈을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모듈은 또한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인 시스템 동작(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RF 처리기(74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구조로 구성된다.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터치스크린(76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렌더링 엔진을 포함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770, 704)는 위에서 기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모듈(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스크롤링 정보 표시를 하기 위한 명령어들(도 5 내지 도 6 참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웹브라우저 또는 문서 뷰어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위에 해당 웹페이지 또는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내용이 화면크기보다 많을 경우,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초기 스크롤바는 우측 상단에 위치하여,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내용이 처음임을 알려준다. 또한, 초기 스크롤바의 길이는 전체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고.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스크롤바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아랫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드래그 방향이 위로 향하고, 웹페이지(또는 문서)의 윗부분에 있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드래그 방향이 아래로 향한다. 여기서, 웹페이지 또는 문서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어 해당 방향으로 드래그됨으로써 수행된다. 한편, 문서가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스크롤바의 길이는 짧아지며, 스크롤바의 길이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내용이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비례한다. 실질적으로, 스크롤링 동작 시, 스크롤바는 이동되지 않으며, 스크롤바의 길이가 조절된다.
더하여,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율 정보를 표시할지를 판단하여, 백분율 정보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전제 내용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백분율 정보를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및/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제어기: 700
인터페이스: 7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702
통신 프로세서: 703
RF 처리기: 740
확장 메모리: 770
인터페이스: 701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702
통신 프로세서: 703
RF 처리기: 740
확장 메모리: 770
Claims (23)
-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제1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이동 거리에 대응되도록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늘려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아래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백분율을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은, 상기 스크롤바의 하단부분 또는 상기 화면의 우측 상단부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제2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대응되는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줄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위쪽 방향 또는 좌측 방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문서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를 검출하는 과정과,
제1 방향으로, 상기 검출된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이동거리에 대응되도록 문서의 다른 일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늘려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과정 이후, 백분율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웹페이지의 내용이 상기 웹페이지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산출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아래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은, 상기 스크롤바의 하단부분 또는 상기 화면의 우측 상단부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제2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이동거리에 대응되도록 문서의 다른 일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줄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과정 이후, 백분율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산출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위쪽 방향 또는 좌측 방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고,
제1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이동 거리에 대응되도록 문서의 웹페이지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늘려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아래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계산하고,
상기 백분율을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은, 상기 스크롤바의 하단부분 또는 상기 화면의 우측 상단부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2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이동거리에 대응되도록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줄여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위쪽 방향 또는 좌측 방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계산하고,
상기 백분율을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서의 길이가 화면 크기보다 클 시, 화면의 제1 영역에 스크롤바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서의 이동을 위한, 터치 및 드래그 입력을 검출하고,
제1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이동거리에 대응되도록 상기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늘려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정과정 이후, 백분율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산출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아래 방향 또는 우측 방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은, 상기 스크롤바의 하단부분 또는 상기 화면의 우측 상단부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2 방향으로, 상기 터치 및 드래그된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화면에 이동거리에 대응되도록 상기 문서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결정하여,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스크롤바의 길이를 줄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정과정 이후, 백분율 표시가 활성화되어 있을 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문서의 내용이 상기 문서의 전체 내용 중 어느 부분에 속하는지 백분율로 산출하여 상기 화면의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위쪽 방향 또는 좌측 방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402A KR20140091302A (ko) | 2013-01-11 | 2013-01-11 |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JP2014000950A JP2014135053A (ja) | 2013-01-11 | 2014-01-07 | 電子装置のスクロール情報の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
US14/150,341 US20140201677A1 (en) | 2013-01-11 | 2014-01-08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croll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
EP14150836.6A EP2755126A3 (en) | 2013-01-11 | 2014-01-10 |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croll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
CN201410012355.2A CN103927111A (zh) | 2013-01-11 | 2014-01-10 | 用于在电子设备中显示滚动信息的方法和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402A KR20140091302A (ko) | 2013-01-11 | 2013-01-11 |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1302A true KR20140091302A (ko) | 2014-07-21 |
Family
ID=4998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3402A Withdrawn KR20140091302A (ko) | 2013-01-11 | 2013-01-11 |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201677A1 (ko) |
EP (1) | EP2755126A3 (ko) |
JP (1) | JP2014135053A (ko) |
KR (1) | KR20140091302A (ko) |
CN (1) | CN103927111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12386A1 (ko) * | 2017-05-19 | 2018-11-22 | (주)씨앤피에스 | 애니메이션 오브젝트를 활용한 스크롤 제공 방법 및 장치 |
JP2019061673A (ja) * | 2017-09-26 | 2019-04-18 | 株式会社トゥービーソフトTobesoft Co., Ltd. |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構成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0880B1 (ko) * | 2014-08-12 | 2016-04-08 | 네이버 주식회사 |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351317B1 (ko) * | 2015-01-07 | 2022-01-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문서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
CN106201234A (zh) * | 2015-04-29 | 2016-12-07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页面内容的查看方法及装置 |
KR20170058051A (ko) | 2015-11-18 | 2017-05-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
US10423699B1 (en) * | 2015-12-21 | 2019-09-24 | Amazon Technologies, Inc. | Displaying the position of a message within a conversation |
US10303352B2 (en) * | 2016-06-30 | 2019-05-28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Navigating long distances on navigable surfaces |
US11200071B2 (en) | 2017-02-27 | 2021-12-1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ognitive scrollbar |
CN108491143B (zh) * | 2018-03-23 | 2020-06-3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对象移动控制方法和移动终端 |
CN109947341A (zh) * | 2019-04-15 | 2019-06-28 | 重庆天蓬网络有限公司 | 一种网页滚动交互系统、方法和终端 |
CN111208928B (zh) * | 2019-12-27 | 2021-05-18 | 广东金赋科技股份有限公司 | 页面滚动的控制方法 |
CN111949129B (zh) * | 2020-08-07 | 2024-12-27 | 合肥讯飞读写科技有限公司 | 显示内容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808364A (zh) * | 2005-12-20 | 2006-07-26 | 无锡永中科技有限公司 | 在计算机上显示电子幻灯导航信息的方法 |
US8564544B2 (en) * | 2006-09-06 | 2013-10-22 | Apple Inc. |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
US8689132B2 (en) * | 2007-01-07 | 2014-04-01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s and lists |
KR101496451B1 (ko) * | 2007-01-19 | 2015-03-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롤 바의 표시방법 |
KR20080101484A (ko) * | 2007-05-18 | 2008-1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JP5137188B2 (ja) * | 2008-02-08 | 2013-02-06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情報検索方法及び装置 |
US20110258577A1 (en) * | 2010-04-20 | 2011-10-20 | Ryan Steelberg | High Volume Scrollbar and Method for Using Same |
US20120042278A1 (en) * | 2010-08-11 | 2012-02-16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with selective control over scrolling functions |
KR101780491B1 (ko) * | 2011-05-02 | 2017-09-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JP2012252642A (ja) * | 2011-06-06 | 2012-12-20 | Sony Corp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2013
- 2013-01-11 KR KR1020130003402A patent/KR20140091302A/ko not_active Withdrawn
-
2014
- 2014-01-07 JP JP2014000950A patent/JP2014135053A/ja active Pending
- 2014-01-08 US US14/150,341 patent/US2014020167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1-10 CN CN201410012355.2A patent/CN103927111A/zh active Pending
- 2014-01-10 EP EP14150836.6A patent/EP2755126A3/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12386A1 (ko) * | 2017-05-19 | 2018-11-22 | (주)씨앤피에스 | 애니메이션 오브젝트를 활용한 스크롤 제공 방법 및 장치 |
JP2019061673A (ja) * | 2017-09-26 | 2019-04-18 | 株式会社トゥービーソフトTobesoft Co., Ltd. |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構成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927111A (zh) | 2014-07-16 |
US20140201677A1 (en) | 2014-07-17 |
EP2755126A2 (en) | 2014-07-16 |
JP2014135053A (ja) | 2014-07-24 |
EP2755126A3 (en) | 2015-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91302A (ko) | 전자장치에서 스크롤링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
US20220075474A1 (en)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 |
KR102113272B1 (ko) | 전자장치에서 복사/붙여넣기 방법 및 장치 | |
US10452333B2 (en) |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 |
KR101892567B1 (ko) | 단말기에서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장치 | |
US9990902B2 (en) |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brightness of screen and method thereof | |
US9201521B2 (en) | Storing trace information | |
KR102021048B1 (ko) |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9223406B2 (en) |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therefor | |
KR20140097820A (ko) | 전자장치에서 웹페이지 내의 특정 객체의 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166924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and using a trackpad at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no force sensors | |
KR102039688B1 (ko) |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
US967194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by using objects at a distance from a device without touching | |
KR102234400B1 (ko) | 컨텐츠의 순서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US20150346973A1 (en) | Seamlessly enabling larger ui | |
KR20140082434A (ko) | 전자장치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20140025940A (ko) | 터치 시간에 따라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KR101999749B1 (ko) | 전자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입력과 출력을 매칭시키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매칭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40021896A (ko) |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101485791B1 (ko) |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 |
KR20140125232A (ko) | 터치 오 입력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US8698772B2 (en) | Visual object manipulation | |
KR102027548B1 (ko) | 전자장치에서 화면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102097696B1 (ko) | 터치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101928837B1 (ko) |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