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90212A -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 Google Patents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212A
KR20140090212A KR1020147013287A KR20147013287A KR20140090212A KR 20140090212 A KR20140090212 A KR 20140090212A KR 1020147013287 A KR1020147013287 A KR 1020147013287A KR 20147013287 A KR20147013287 A KR 20147013287A KR 20140090212 A KR20140090212 A KR 2014009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
pawl
locking unit
stop
b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로버트 헌트
케이스 줄리엔
존 디데리치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9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212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40Lock elements covered by silencing layers, e.g. coat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록킹 유니트는 캐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열림 방향으로 록킹 유니트의 열림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스된 회전 가능한 캐치를 포함하며, 록킹 유니트에서 캐치의 제 1 요부는 차량의 스트라이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캐치는 열림 방향으로 제 1 요부 앞에 배치된 제 2 요부를 더 포함한다. 포올은 고정된 포올 선회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캐치를 향하여 바이어스되어 있다. 포올은 블록킹 아암을 포함하며, 이 블록킹 아암은 블록킹 유니트가 2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캐치의 제 2 요부 내로 연장된다. 블록킹 레버는 1차 래치 위치에서 캐치와 대하여 포올의 블록킹 아암에 인접하여 캐치로부터의 포올의 회전을 방지한다. 로커 레버는 캐치의 경로와 블록킹 레버의 경로를 가로지른다. 록킹 유니트가 2차 래치 위치에서 1차 래치 위치로 강제로 이동할 때, 로커는 캐치에 의하여 옮겨지고 블록킹 레버를 포올로부터 이동시킨다. The vehicle locking unit includes a rotatable catch biased toward an open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in an opening direction about a catch rotational axis and a first recess of the catch in the locking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 striker of the vehicle. Additionally, the catch further includes a second reces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recess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pawl is rotatable about a fixed pawl pivot and is biased towards the catch. The pawl includes a blocking arm that extends into the second recess of the catch when the blocking unit is in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he blocking lever prevents rotation of the pawl from the catch adjacent the blocking arm of the pawl with respect to the catch at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rocker lever traverses the path of the catch and the path of the blocking lever. When the locking unit is forced to move from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o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locker is moved by the catch and moves the blocking lever away from the pawl.

Description

다중-부품 포올을 갖는 록킹 장치{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0001]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0002]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도어 래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위치에서 캐치를 억제하기 위한 단일의 포올 및 블록킹 레버를 이용한 차량의 도어용 록킹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 door la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king unit for a door of a vehicle using a single pawl and blocking lever for restraining catching in a plurality of positions.

차량의 측면 도어를 위하여 관례적으로 사용된 록킹 유니트는 캐치로 알려진 래칭 메커니즘을 이용하며, 이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 프레임의 필라(pillar) 상에 배치된 캐치-볼트 또는 스트라이커를 수용한다. 캐치는 열림 위치로 바이어스되며, 여기서 래치 하우징의 슬롯은 캐치의 요부와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도어가 닫힘으로써 스트라이커는 슬롯을 통하여 요부 내로 진입하고 닫힘 위치로 캐치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닫힘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는 포올에 의하여 요부 내에서 유지되며, 포올은 캐치가 열림 위치를 향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포올은 큰 가속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다른 부 바이어스 각도(further negative biased angle)로 이루어진 2 부재의 접점을 갖고 캐치를 향하여 심하게 바이어스된다. 래치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슬롯의 영역 외측의 커버에 의하여 전면적으로 밀봉적으로 닫힐 수 있다. 이러한 록킹 유니트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릴리즈 레버(예를 들어, 내부 도어 핸들 또는 외부 도어 핸들) 및 변위 가능한 록킹 메커니즘(예를 들어, 외부 도어 핸들에 또는 외부 도어 핸들 내의 록킹 실린더 또는 도어의 창유리 영역 내에 배치된 슬라이드 버튼)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록킹 메커니즘이 언록킹됨에 따라 내부 도어 핸들 또는 외부 도어 핸들의 동작은 메커니즘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포올 바이어스 힘을 극복함으로써 이 동작은 포올과 캐치의 연결을 분리한다. 그로 인하여 스프링 부하를 받는 캐치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Locking units conventionally used for the side doors of vehicles utilize latching mechanisms known as catches, which generally accommodate catch-bolts or strikers disposed on the pillars of the vehicle door frame. The catch is biased to the open position, wherein the slot of the latch housing is aligned with the recess of the catch. As the door closes, the striker enters the recess through the slot and rotates the catch to the closed position. Here, in the closed position, the striker is held in the recess by the pawl, and the pawl prevents the catch from rotating towards the open position. Generally, the pawl is severely biased toward the catch with a two-piece contact made of a further negative biased angle to resist large acceleration forces. The latch housing is generally made of plastic and can be sealed closed all over by a cover outside the area of the slot. Such a locking unit typically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lease lever (e.g., an inner door handle or an outer door handle) and a displaceable locking mechanism (e.g., an outer door handle or a locking cylinder in an outer door handle,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s the locking mechanism is unlocked, the operation of the inner door handle or the outer door handle is interconnected through the mechanism, and this operation separates the connection of the pawl and the catch by overcoming the pull biasing force. Thereby allowing the spring-loaded catch to move to the open position.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해치 그리고 테일게이트를 위한 록킹 유니트는 또한 1차 래치 위치에 더하여 2차 래치 위치를 구비한다. 이 2차 래치 위치는 1차 래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속하여 캐치가 1차 래치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도어는 열림 위치로 줄곧 이동하기보다는 2차 래치 위치에서 닫힌 상태에 유지될 것이며, 이는 승객에게 명백하게 위험할 것이다. 차량 주행 동안에 차량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더하여, 사용자가 충분한 힘으로 차량 도어를 닫지 않을 때 2차 래치 위치는 또한 인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차 래치 위치에서, 차량 도어가 너무 작은 힘으로 닫혀 안전하게 래치되지 않았음을 알릴 때 도어는 분명히 약간 열린 상태로 남아 있다. 부가적인 힘을 가함으로써(예를 들어, 차량 도어에 기댐으로써) 래칭 메커니즘은 1차 래치 위치로 강제적으로 들어가며 도어는 완전하게 닫힌다. Generally, the locking unit for the door, hatch and tailgate of the vehicle also has a secondary latch position in addition to the primary latch position. If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is between the primary latch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and the catch does not reach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door will remain closed at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rather than moving all the way to the open position, It will obviously be dangerous.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vehicle door from opening during vehicle travel,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can also be perceived when the user does not close the vehicle door with sufficient force. Generally, at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he door remains clearly open slightly when the vehicle door is closed with too little force and notified that it has not been safely latched. By applying additional force (e.g., by tilting the vehicle door), the latching mechanism is forced into the primary latch position and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릴리즈 레버가 작동함으로 인하여 1차 래치 위치로부터 해제될 될 때, 포올은 캐치의 대응하는 록킹 표면으로부터 갑자기 이탈하며 스프링-부하가 걸린 캐치는 열림 위치로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 서로 대항하는 록킹 표면들의 갑작스러운 이동은 현저한 열림 딸깍거림(opening clack)을 야기하며, 캐치가 열림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제한 멈춤부와 충돌함에 의하여 야기되는 2차의 커다란 딸깍거림이 바로 뒤를 잇는다. 포올과 캐치의 록킹 표면을 서로에 대항하여 바이어싱시키는 (그리고 캐치를 제한 멈춤부를 향하여 바이어싱시키는) 큰 힘 때문에 차량 도어가 열림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소음이 상당히 시끄럽다. 부가적으로, 특히 대부분의 충격이 록킹 표면을 따라 일어나기 때문에 포올과 캐치 상의 큰 충격은 록킹 유니트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그 유효 수명을 심각하게 제한한다. When released from the primary latch position due to actuation of the release lever, the pawl suddenly disengages from the corresponding locking surface of the catch and the spring-loaded catch moves at a rapid rate to the open position. The sudden movement of the locking surfaces against each other results in a significant opening clack followed immediately by a second large click caused by collision with the limiting stop as the catch reaches the open position. The noise caused by the opening of the vehicle door is considerably loud due to the large force biasing the locking surfaces of the pawls and catches against each other (and biasing the catch towards the rest stops). Additionally, large impacts on the pawls and catches can cause damage to the locking unit and severely limit its useful life, especially since most impacts occur along the locking surface.

독일특허출원 DE 10 2007 003 948 A1는 열림 동안에 래칭 소음을 감소시키고 래칭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다중-폴 래칭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캐치와 제 1 포올의 록킹 표면은 서로 맞게 모따기 되어 있으며 경사져 있어 록킹 표면들이 서로로부터 해제될 때 부드럽고 점진적인 슬라이딩을 달성한다. 캐치가 해제되는 동안에 서로 밀어붙이는 록킹 표면들에 의하여 야기되는 합성 전단력(resultant shear force)을 감소시키도록 록킹 표면들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록킹 메커니즘을 작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 또한 대응적으로 감소된다. 더욱이, 래칭 메커니즘 상에 작용하는 힘의 감소로 인하여, 열림 동안에 생성되는 소음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German patent application DE 10 2007 003 948 A1 discloses a multi-pole latching mechanism that reduces the latching noise during opening and reduces the force required to operate the latching mechanism. The catch and the locking surface of the first pawl are chamfered and angled to one another to achieve a smooth, gradual sliding when the locking surfaces are released from each other. Since the locking surfaces are designed to reduce the resultant shear force caused by the locking surfaces that push against each other while the catch is released, the force required to actuate the locking mechanism is also correspondingly reduced. Moreover, due to the reduction in the force acting on the latching mechanism, the noise produced during opening is significantly reduced.

그러나, 록킹 표면들이 서로에 대하여 비교적 쉽게 슬라이딩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래칭 메커니즘은 자기 래칭(self-latching)이 아니며(즉, 록킹 표면들이 스스로 캐치를 제자리에 지지하지 않는다), 1차 래치 위치에서 캐치에 대항하여 제 1 포올을 유지하기 위한 포올 블록킹 레버를 필요로 한다. 부가적으로, 2차 래치 위치를 이루기 위하여, 제 2 포올이 또한 요구된다. 닫힘 동안에 2차 래치 위치에서 포올 블록킹 레버가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 포올이 캐치, 제 1 포올 그리고 블록킹 레버와는 별개의 평면 상에 배치된다. 캐치로부터 캐치의 열림 경로 내에서 제 2 포올의 블록킹 아암과 인접하는 제 2 포올의 평면으로 연장되는 볼트에 의하여 1차 래치 위치가 맞물리지 않는다면(예를 들어, 제 1 포올이 캐치를 미끄러지게 한다면), 2차 래치 위치는 달성된다. 그러나, 제조 관점에서 보면 다른 평면 상에 제 2 포올을 제공하는 것과 캐치 내로의 볼트의 진입은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다중-포올 설계는 열림 소음과 래치 작동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반면에, 록킹 메커니즘의 다수의 평면에 다수의 다른 요소를 필요로 하며, 그로 인하여 장치를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비싸게 한다. However, since the locking surfaces are designed to slide relatively easi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latching mechanism is not self-latching (i.e., the locking surfaces do not self-hold the catch in place) Lt; RTI ID = 0.0 > pawl < / RTI > Additionally, to achieve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a second pawl is also required. To prevent the pawl blocking lever from engaging in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during closure, the second pawl is disposed on a plane separate from the catch, the first pawl and the blocking lever. If the primary latch position is not engaged by the bolt extending in the plane of the second pawl adjacent to the blocking arm of the second pawl in the open path of the catch from the catch (for example, if the first pawl slides the catch) ,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is achieved. However, from a manufacturing standpoint, providing a second pawl on a different plane and entry of the bolt into the catch may be costly. Thus, the multi-pawl design effectively reduces the opening noise and latch actuation force, while requiring a number of other elements in multiple planes of the locking mechanism, thereby complicating the device and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s.

위의 설명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서 캐치와 블록킹 레버 중간에 배치된 포올을 갖는 록킹 유니트를 제공한다.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 one embodiment, a locking unit having a pawl disposed between the catch and the blocking lever.

캐치는 록킹 유니트의 열림 위치를 향하여 캐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열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바이어스되며, 록킹 유니트에서 캐치의 제 1 요부는 차량의 스트라이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캐치는 열림 방향으로 제 1 요부 앞에 배치된 제 2 요부를 포함한다. 포올은 캐치를 향하여 회전 가능하며 그리고 바이어스된다. 또한, 포올은 블록킹 아암을 포함하며, 록킹 유니트가 2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이 블록킹 아암은 캐치의 제 2 요부 내로 연장된다. 록킹 유니트의 1차 래치에서 블록킹 레버는 캐치에 대항하여 포올의 블록킹 아암에 인접한다. 로커 레버는 캐치와 블록킹 레버의 이동과 교차하도록 위치한다. 록킹 유니트가 2차 래치 위치에서 1차 래치 위치로 강제로 이동할 때, 캐치는 로커를 옮겨 놓으며, 이는 포올로부터의 블록킹 레버의 왕복 변위를 야기한다. The catch is rotatable and biased in the opening direction about the catch rotational axis toward the open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and the first recess of the catch in the locking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striker of the vehicle. Additionally, the catch includes a second reces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recess in the opening direction. The pawl is rotatable and biased toward the catch. The pawl also includes a blocking arm, which extends into the second recess of the catch when the locking unit is in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In the primary latch of the locking unit, the blocking lever is adjacent the blocking arm of the pawl against the catch. The rocker lever is positioned to intersect the catch and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lever. When the locking unit is forced to move from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o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catch transfers the locker, which causes a reciprocating displacement of the blocking lever from the pawl.

이 실시예에서, 1차 및 2차 래치 위치는 캐치와 동일 평면 상에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imary and secondary latch positions are flush with the catch.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단일 포올의 단일 블록킹 아암을 제공하여 1차 및 2차 래치 위치를 달성한다. 이는 설계를 더욱 단순화하는데 도움을 주며 일관된 작동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ngle blocking arm of a single pawl to achieve primary and secondary latch positions. This helps simplify the design further and helps ensure consistent operation.

이 실시예에서, 록킹 유니트는 록킹 표면의 부드러운 해제를 이용하여 소음과 작동력을 최소화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unit uses a soft release of the locking surface to minimize noise and operating forces.

이 실시예에서, 2차 포올은 제거되며, 이는 1차 및 2차 부하를 위한 일반적인 2차원적 캐치 스탬핑의 사용을 허용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ary foil is removed, which allows the use of conventional two-dimensional catch stamping for primary and secondary loads.

이 실시예에서, 강철의 2차 포올, 스프링 및 캐치 핀이 제거됨에 따라 본 발명은 보다 저렴하고 더욱 작고 그리고 더욱 가벼운 록킹 유니트를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as the secondary pawls, springs and catch pins of steel are remov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ss expensive, smaller and lighter locking unit.

또한, 설계는 제조 공차를 고려하며 따라서 최소한의 규격 변화가 록킹 유니트의 성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Also, the design considers manufacturing tolerances, and therefore minimal specification changes will not advers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locking unit.

이하,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1차 래치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의 정면도.
도 2는 1차 래치 위치로부터 해제된 캐치를 갖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의 정면도.
도 3은 열림 위치(블록킹 레버의 완전 이동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의 정면도.
도 4는 캐치 초과-이동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의 정면도.
도 5는 2차 래치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의 정면도.
도 6은 2차 래치 위치 너머의 캐치에 의한 로커의 변위 후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의 정면도.
도 7은 블록킹 레버의 방해(impedance) 없이 캐치에 의한 포올의 변위 동안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의 측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imary latch position;
2 is a front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atch released from the primary latch position;
3 is a front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position (full movement position of the blocking lever);
4 is a front view of a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ver-catch position;
5 is a front view of a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condary latch position;
6 is a front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splacement of the rocker by the catch beyond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7 is a front view of a lock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displacement of a paw by catches without impeding the blocking lever.
8 is a side view of a locking unit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1차 래치 위치 및 열림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니트(10)가 각각 도시된다. 록킹 유니트(10)는 차량의 도어, 해치 또는 테일게이트에 록킹 유니트(10)를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12)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2) 내의 슬롯(14)은 차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16)를 마주본다. 일반적으로, 스트라이커(16; 또한 캐치 볼트로서 언급된다)는 차량 도어 프레임의 후방부에서 파티션에 장착되고 도어 개구의 평면 내로 연장된 된 핀 또는 U형 브라켓트이다. 록킹 유니트(10)는 전형적으로 스트라이커(16)와 마주보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선단 에지(13)로 차량 도어 힌지 맞은 편에 장착되며, 록킹 유니트(10)의 구성 요소들은 차량 도어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차량 도어가 닫힘에 따라, 스트라이커(16)는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슬롯(14) 내로 그리고 캐치(20)의 제 1 요부(22) 내로 연장되어 캐치(20)를 (도 3에 도시된) 열림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1차 래치 위치로 회전시킨다. 1 and 3, a locking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imary latch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respectively, is shown. The locking unit 10 includes a base plate 12 for mounting the locking unit 10 to the door, hatch or tail gate of the vehicle, and the slot 14 in the base plate 12 is a striker 16) to face each other. In general, the striker 16 (also referred to as a catch bolt) is a pin or U-shaped bracket mounted to the partition at the rear of the vehicle door frame and extending into the plane of the door opening. The locking unit 10 is typically mounted opposite the vehicle door hinges at the leading edge 13 of the base plate 12 facing the striker 16 and the components of the locking unit 10 are disposed within the vehicle door . With this arrangement, as the vehicle door is closed, the striker 16 extends into the slot 14 of the base plate 12 and into the first recess 22 of the catch 20 to engage the catch 20 To the primary latch position (shown in FIG. 1) in the open position (shown in FIG.

스트라이커(16)가 차량 도어 상에 위치하는 경우, 록킹 유니트(10)는 차체에 장착되며, 그 배치와 관계없이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더하여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 대신에 하우징 또는 커버 또한 제공될 수 있어 록킹 유니트(10)의 구성 요소를 보호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When the striker 16 is located on the vehicle door, the locking unit 10 is mounted to the vehicle body, and a housing or cover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o or in addition to the base plate 12, It is noted that the components of the unit 10 are protected.

한 실시예에서, 캐치(20), 포올(40) 그리고 블록킹 레버(6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비교적 평평한 부품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 그리고 록킹 유니트(10)를 덮는 어떠한 하우징도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록킹 유니트(10)는 금속 요소 또는 금속 요소와 플라스틱 요소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In one embodiment, catch 20, pawl 40 and blocking lever 60 may be relatively flat parts made of metal or plastic. The base plate 12, and any housing that covers the locking unit 10 can be form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locking unit 10 comprises a metal element or a combination of a metal element and a plastic element.

도 1에서, 차량 도어가 완전하게 닫혀지고, 록킹 유니트(10)는 1차 래치 위치에 있다. 캐치 장착 구멍(26)을 통하여 캐치 회전축(24)에 장착된 캐치(20)는 제 1 요부(22) 내에서 스트라이커(16)를 유지한다. 캐치(20)는 스프링에 의하여 바이어스되어 열림 방향(S1)으로 캐치 회전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블록킹 레버(60)의 블록킹 아암(62)에 의하여 제자리에 유지되는 포올(40)의 블록킹 아암(48)에 의하여 이 캐치는 1차 래치 위치에서 유지된다. 블록킹 레버(60)는 블록킹 레버 장착 구멍(69)을 통하여 포올(40)에 인접하게 레버 회전축(68)에 장착된다. 제 1 요부(22)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는 또는 제 1 요부(22)와 제 2 요부(30) 사이의 캐치(20)의 주변에 위치될 수 있는 1차 캐치 멈춤부(32)는 포올(40)의 블록킹 아암(48)에 접촉한다. (예를 들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경사면의 양각 경사진 표면을 포함시킴에 따라) 따로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1차 캐치 멈춤부(32)의 접촉면(33)과 포올 블록킹 아암(48)의 접촉면(50)이 설계되기 때문에, 블록킹 레버 아암(62)은 포올(40)의 멈춤부(54)에 인접하게 제공된다.1, the vehicle door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locking unit 10 is in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catch 20 mounted on the catch rotary shaft 24 through the catch mounting hole 26 holds the striker 16 within the first recess 22. The catch 20 is biased by a spring and rotates about the catch rotational axis 24 in the opening direction S1. However, this catch is held in the primary latch position by the blocking arm 48 of the pawl 40 held in place by the blocking arm 62 of the blocking lever 60. The blocking lever 60 is mounted on the lever rotation shaft 68 adjacent to the pawl 40 via the blocking lever mounting hole 69. The primary catch stop 32, which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recess 22 or may be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catch 20 between the first recess 22 and the second recess 30, Contacts the blocking arm (48) of the arm (40). The contact surface 33 of the primary catch stop 32 and the contact surface 50 of the pawl blocking arm 48 are positioned so that they slide smoothly apart (e.g., by including a biased sloped surface of a gradually decreasing slope) The blocking lever arm 62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top portion 54 of the pawl 40. As shown in Fig.

블록킹 레버 아암(62)과 포올 멈춤부(54)의 상대적인 배치와 관계없이, 블록킹 레버(60)는 레버 회전축(68)을 통하여 나아가는 포올 멈춤부(54)로부터의 수직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레버 회전축(68)을 중심으로 하는 블록킹 레버(60)의 회전을 S2 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과정은 한 종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연결되고 다른 종단이 블록킹 레버(60)에 연결된 비틀림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포올 멈춤부(54)로부터의 힘이 블록킹 레버(60)에 모먼트가 가해지도록 할지라도 (즉, 수직력이 블록킹 레버 회전축(68)을 통하여 나아가지 않을지라도), 회전은 S2 방향으로의 바이어스에 의하여 방해를 받을 것이며 또한 블록킹 레버 아암(62)과 포올 멈춤부(54) 간의 접촉은 유지될 것이며, 그로 인하여 포올(40)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1차 캐치 멈춤부(32)가 포올 블록킹 아암(48)으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The blocking lever 60 is prevented from rotating due to the normal force from the pawl stop 54 passing through the lever rotation axis 68 regardless of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blocking lever arm 62 and the pawl stop 54 . It is preferable, however, to bias the rotation of the blocking lever 60 about the lever rotation axis 68 in the direction S2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1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lever 60, Can be used. Therefore, even though the force from the pawl stop 54 causes the blocking lever 60 to be momentarily applied (i.e., the normal force does not go through the blocking lever rotation axis 68), the rotation is biased in the S2 direction And the contact between the blocking lever arm 62 and the pawl stop 54 will be maintain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awl 40 is maintained and the primary catch pawl 32 is held by the pawl blocking arm 32. [ (48).

블록킹 레버(60)뿐만 아니라 캐치(20) 및 포올(40)의 회전을 설정된 움직임 범위로 제한하기 위하여 제한 멈춤부(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2)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1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레버 스프링에 의하여 그 위치로 S2 방향으로 바이어스될 때, 블록킹 레버(60)는 그 제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Restrictions (e. G.,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base plate 12) can also be us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catch 20 and the pawl 40, as well as the blocking lever 60, to a set motion range.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ocking lever 60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in its limit when in the primary latch position and biased in its S2 direction by the lever spring.

차량 도어를 열기 위하여, 블록킹 레버 아암(62)을 포올 멈춤부(54)로부터 블록킹 레버 해제 에지(64)를 지나 이동시킴으로써 록킹 유니트(10)는 도 1에 도시된 1차 래치 위치로부터 해제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올 멈춤부(54)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의 블록킹 레버 아암(62)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블록킹 레버(60)는 S5 방향으로 당기는 작동 링크에 연결된다. 록킹 유니트(10) 외부에서 작동 링크는 (예를 들어, 로드 어셈블리 또는 보덴 케이블(Bowden cable)로서 설계된) 내부 도어 핸들 및/또는 외부 도어 핸들에 연결되며, 이 핸들은 차량 도어를 여는 사용자에 의하여 가동된다. 대안적으로, 블록킹 레버(60)의 회전은 서보 모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스위치 또는 센서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The locking unit 10 is released from the primary latch position shown in Figure 1 by moving the blocking lever arm 62 from the pawl stop 54 past the blocking lever release edge 64 to open the vehicle door. Preferably, the blocking lever 60 is connected to the actuation link pulling in the direction S5 to enable rotation of the blocking lever arm 62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pawl stop 54, as shown in Fig. do. Outside the locking unit 10, the actuating link is connected to an inner door handle (e.g., designed as a rod assembly or Bowden cable) and / or to an outer door handle, . Alternatively, the rotation of the blocking lever 60 may be controlled by a servomotor and may also be actuated by a switch or sensor.

도 2를 참고하면, 1차 래치 위치로부터의 캐치(20)의 해제 직후의 록킹 유니트(10)가 도시된다. 캐치(20)를 해제하기 위하여 단지 하나의 레버가 작동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해제는 상당히 신속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이 주목된다. 블록킹 레버 아암(62)이 포올 멈춤부(54)와 닿지 않으면, 캐치(20)의 스프링 력은 캐치를 회전시키고, 1차 캐치 멈춤부(32)는 포올 블록킹 아암(48)을 따라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그로 인하여 포올(40)은 포올 선회축(42)을 중심으로 블록킹 레버(60)를 향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시점에서, 블록킹 레버 아암(62)은 포올 멈춤부(54)에 인접한 포올(40)의 요부(52) 내에 수용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locking unit 10 is shown immediately after release of the catch 20 from the primary latch position. It is noted that the disengagement is made very quickly because only one lever needs to be actuated to release the catch 20. If the blocking lever arm 62 does not touch the pawl stop 54 then the spring force of the catch 20 will rotate the catch and the primary catch stop 32 will glide smoothly along the pawl blocking arm 48 So that the pawl 40 rotates clockwise about the blocking lever 60 about the pawl pivot shaft 42. At this point, the blocking lever arm 62 is received in the recess 52 of the pawl 40 adjacent to the pawl stop 54.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1차 캐치 멈춤부(32)가 포올 블록킹 아암(48)과 닿지 않으면, 캐치(20)는 열림 방향(S1)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캐치(20)의 회전 속도 및 포올 블록킹 아암(48)과 2차 캐치 멈춤부(34)의 변천적인 만곡 표면(transitional curved surfaces)으로 인하여, 캐치(20)의 제 2 요부(30)와 2차 멈춤부(34)가 포올 블록킹 아암(48)을 지나 미끄러짐에 따라 록킹 유니트(10)는 도 5에 도시된 제 1 래치 위치를 건너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4)을 통한 베이스 플레이트(12)에 의하여, 스프링의 최대 신장에 의하여 또는 다른 제한 멈춤부에 의하여 캐치가 완전 이동 위치에서 멈출 때까지, 캐치(20)는 회전을 계속한다. 캐치(20)가 회전하는 동안, 열림 방향(S1)으로의 스프링 력은 슬롯(14)을 통하여 스트라이커(16)를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선단 에지(13)를 향하여 밀며, 그로 인하여 차량 도어는 차체로부터 분리된다. 이 방식에서, 캐치(20)의 해제 이후에 록킹 유니트가 외부 작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록킹 유니트(10)는 자체 개방된다. If the primary catch stop 32 does not touch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at the position shown in Figure 2, the catch 20 freely rotates in the opening direction S1. Due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atch 20 and the transitional curved surfaces of the pawl blocking arm 48 and the secondary catch stop 34 the second recess 30 of the catch 20 and the secondary As the stop 34 slides past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the locking unit 10 skips the first latch position shown in Fig. As shown in Figure 3, the catch 20, by means of the base plate 12 through the slot 14, by the maximum extension of the spring or by another rest stop, stops at the full travel position Continue to rotate. The spring force in the opening direction S1 pushes the striker 16 through the slot 14 toward the leading edge 13 of the base plate 12 while the catch 20 is rotating so that the vehicle door And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ody. In this way, after the release of the catch 20, the locking unit 10 is self-opening because the locking unit does not require an external actuation force.

사용자가 차량 도어를 닫을 때, 스트라이커(16)는 슬롯(14) 내로 진입하며 캐치(20)의 제 1 요부(22)의 타격 에지(38)에 부딪힌다.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의 힘은 스트라이커(16)를 제 1 요부(22)의 타격 에지(38)로 밀어붙이며, 그로 인하여 열림 방향(S1)과 반대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캐치(20)는 닫힘 방향(S4)으로 회전한다. 초기 회전 동안, 포올(40)의 블록킹 아암(48)은 캐치(20)의 슬라이딩 표면(36)을 따라 미끄러진다. 도어가 열릴 때 캐치(20)의 해제와 유사하게, 제 2 요부(30)와 1차 멈춤부(32)는 포올 블록킹 아암(48)을 지나 미끄러져 도어가 충분한 힘으로 닫히는 한 도 5에 도시된 2차 래치 위치는 바이패스된다. 이 경우에, 캐치(20)는 도 4에 도시된 초과 이동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캐치(20)의 1차 멈춤부(32)가 포올(40)의 블록킹 아암(48)에 닿지 않은 후에, 스프링은 블록킹 레버(60)로부터 충분하게 포올(40)을 방향(S3)으로 회전시켜 블록킹 레버 아암(62)은 포올(40)의 요부(52)에서 나오며, 이 점에서 스프링은 방향 (S2)으로 블록킹 레버 아암(62)을 포올 멈춤부(54) 아래의 그 위치로 뒤로 회전시킨다. When the user closes the vehicle door, the striker 16 enters the slot 14 and strikes the striking edge 38 of the first recess 22 of the catch 20. As the door is closed, the force of the door pushes the striker 16 against the striking edge 38 of the first recess 22, whereby the catch 20 against the spring force opposite the opening direction S1 And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S4. During initial rotation, the blocking arm 48 of the pawl 40 slides along the sliding surface 36 of the catch 20. Similar to the release of the catch 20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econd recess 30 and the primary stop 32 slip past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so long as the door is closed with sufficient force,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is bypassed. In this case, the catch 20 can reach the excess shifting position shown in Fig. After the primary stop 32 of the catch 20 has not contacted the blocking arm 48 of the pawl 40 the spring will sufficiently rotate the pawl 40 in the direction S3 from the blocking lever 60 The blocking lever arm 62 exits the recess 52 of the pawl 40 and at this point the spring rotates the blocking lever arm 62 in the direction S2 back to its position below the pawl stop 54 .

한 실시예에서, 블록킹 레버(60)는 둥근 팁을 갖고 있어 포올 요부 벽(52)을 따르는 부드러운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며, 블록킹 레버는 또한 비스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포올 멈춤부(54)에서 캐치(20)를 향하여 연장된다. In one embodiment, the blocking lever 60 has a rounded tip to facilitate smooth sliding along the pawl recess wall 52, and the blocking lever can also be angled, preferably at a pawl stop 54 Extends toward the catch 20.

그러나, 차량 도어가 충분한 힘으로 닫혀지지 않는 경우(즉, 지나치게 천천히 닫히는 경우), 록킹 유니트(10)는 도 5에 도시된 2차 래치 위치로 진입한다. 2차 래치 위치는 1차 래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 속하여 1차 래치 위치가 맞물려지지 않으면 록킹 유니트(10)는 열림 위치로 분리되지 않으며, 이는 주행 동안 차량 도어를 해제하고 차량 승객을 상당한 위험에 처하게 할 것이다. 차량 도어 압축 시일에 의하여 가해지는 밖으로 향하는 힘, 차량 진동 그리고 차량에 대한 충격 등으로 인하여 래칭 메커니즘은 1차 래치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일어날 때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칭 메커니즘은 2차 래치 위치를 가져야만 한다.  However, if the vehicle door is not closed with sufficient force (i.e., if it is closed too slowly), the locking unit 10 enters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shown in Fig.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is between the primary latch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and the locking unit 10 is not disengaged to the open position unless the primary latch position is engaged so that the vehicle door is released during travel and the passenger I will let you. The latching mechanism can be released from the primary latch position due to outward forces exerted by the vehicle door compression seals, vehicle vibrations and impacts on the vehicle, and the like; To prevent the door from opening when this happens, the latching mechanism must have a secondary latch position.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래치 위치가 도시된다. 사용자가 차량 도어를 매우 천천히 닫을 때, 캐치(20)의 제 2 요부(30)는 포올(40)의 블록킹 아암(48)을 지나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더 정확히 말하면, 슬라이딩 표면(36)이 포올 블록킹 아암(48)을 지나 슬라이딩한 후, 포올 블록킹 아암(48)은 캐치(20)의 제 2 요부(30) 내로 가압되며, 그로 인하여 2차 래치 위치를 취하게 된다. 차량 도어의 연속적인 닫힘에 응답하여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또는 서보 모터에 의하여 가해질 수 있는 부가적인 외력에 응답하여, 캐치(20)는 열림 방향(S1)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한다. 2차 캐치 멈춤부(34)가 포올 블록킹 아암(48)에서 떨어져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은 포올 블록킹 아암(48)을 캐치(20)의 제 2 요부(30) 내로 S3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포올 멈춤부(54)와 블록킹 레버 아암(62) 사이의 갭을 개방한다. 마찰의 부재(absence) 그리고 음의 경사 각도(negative slope angle)는 블록킹 레버(60)를 옮기기 위한 로커 레버(70)의 요구되는 노력을 더욱 감소시킨다. Referring to FIG. 5, there is shown a secondary latch positio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ss 30 of the catch 20 does not slide past the blocking arm 48 of the pawl 40 when the user closes the vehicle door very slowly; More precisely, after the sliding surface 36 slides past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is urged into the second recess 30 of the catch 20, .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closing of the vehicle door, or in response to an additional external force that may be applied by the user or by the servomotor, the catch 20 continue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pening direction S1. As the secondary catch stop 34 rotates away from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the spring rotates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into the second recess 30 of the catch 20 in the direction S3. This opens the gap between the pawl stop 54 and the blocking lever arm 62. The absence of friction and the negative slope angle further reduce the required effort of the rocker lever 70 to move the blocking lever 60.

도 6에는 2차 래치 위치에서 1차 래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록킹 유니트(10)가 도시된다. 캐치(20)는 로커 레버(74)의 접촉 표면에서 로커 레버(70; rocker lever)의 로커 아암(71)을 옮기는 국부적인 로커 액츄에이터 부분(37; local rocker actuator feature)을 갖는다. 이 액츄에이터 부분(37)은 바람직하게는 캐치(20)의 기존의 플라스틱 오버몰드 (overmold)내에서 제조된다. 이 액츄에이터 부분은 또한 강철, 플라스틱, 다이캐스트 또는 스탬핑 변형의 핀으로부터 생산된다. 고정된 선회 위치(73)를 갖는 이 실시예에서, 로커 레버(70)는 블록킹 레버 액츄에이터(72)에서 상호적인 힘(reciprocal force)을 제공하여 S2 방향으로의 스프링 력을 극복한다. 로커 레버(70)의 선회부(73)는 고정된 포인트 선회부(fixed point pivot) 또는 슬라이딩 포인트 선회부(sliding point pivot)일 수 있다. Figure 6 shows the locking unit 10 moving from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oward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catch 20 has a local rocker actuator feature 37 that moves the rocker arm 71 of the rocker lever 70 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rocker lever 74. [ The actuator portion 37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conventional plastic overmold of the catch 20. The actuator portion is also produced from a pin of steel, plastic, die-cast or stamped deformation. In this embodiment with the fixed pivot position 73, the rocker lever 70 provides a reciprocal force in the blocking lever actuator 72 to overcome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S2. The pivot portion 73 of the rocker lever 70 may be a fixed point pivot or a sliding point pivot.

로커 레버(70)는 캐치(20)와 평편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블록킹 레버(60)는 이용할 수 있는 포장 공간(package space)을 최대한 활용한다. 로커 선회부와 액츄에이터 부분의 관계는 포올 블록킹 아암(48)이 캐치의 출구 에지(31; exit edge)와 접촉하기 전에 블록킹 레버 아암(62)이 포올 멈춤부(54)의 경로로부터 옮겨진다는 것이다. 캐치 출구 에지(31)는 점차적으로 만곡되어 있어 포올 블록킹 아암(48)의 만곡진 에지에 대항하여 부드러운 슬라이딩을 달성한다. 그러나, 평평한, 만곡진, 모따기된(chamfered) 그리고 비스듬한 표면 등과 같은 많은 다른 상보적인 표면이 출구 에지(31)와 포올 블록킹 아암(48) 상에서 이용될 수 있다. The rocker lever 70 can be mounted comfortably with the catch 20 and the blocking lever 60 makes full use of the available package spa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cker pivot portion and the actuator portion is such that the blocking lever arm 62 is removed from the path of the pawl stop 54 before the pawl blocking arm 48 contacts the exit edge 31 of the catch. The catch exit edge 31 is progressively curved to achieve a smooth sliding against the curved edge of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However, many other complementary surfaces, such as flat, curved, chamfered, and angled surfaces, may be used on the exit edge 31 and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유니트(10)가 2차 래치 위치에서 1차 래치 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계속함에 따라 캐치(20)는 액츄에이터(37)로 로커 아암(70)을 작동시키며 동시에 출구 에지(31)는 포올 블록킹 아암(48)을 S3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옮긴다. 7, as the locking unit 10 continues to move from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oward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catch 20 actuates the rocker arm 70 with the actuator 37, The edge 31 moves the forehead blocking arm 48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S3.

포올 블록킹 아암(48)이 캐치 출구 에지(31)를 타고 오름으로써 블록킹 레버 아암(62)은 포올 요부 부분(52) 뒤에서 제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지점을 지나, 캐치(20)의 로커 액츄에이터 부분(37)은 로커 레버(70)의 로커 아암(71)의 맞물림 상태를 지나 이동한다. 로커 레버(70)로부터 풀려진 캐치(20)로부터의 작동 힘과 함께, S2 방향으로의 스프링 력은 폴 멈춤부(54)를 향하는 블록킹 레버 아암(62)을 위한 바이어스를 복원한다. 캐치(20)의 1차 멈춤부가 1차 위치에 인접함에 따라, 포올(40)의 블록킹 아암(48)은 천이 영역(39)을 넘어 캐치(20)의 출구 에지(31)에서 1차 멈춤부(32)로 부드럽게 슬라이딩한다. 포올 블록킹 아암(48)과 1차 캐치 멈춤부(32) 간의 순측 경사면(positive slope)은 포올(40)을 캐치(20) 내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기 충분하며 캐치(20)의 약간의 초과 이동 회전으로 블록킹 레버 아암(62)을 닿지 않게 하기에 충분하다. 이 점에서, 블록킹 아암이 해제되어 포올 멈춤부(54) 아래에 멈출 때까지 1차 캐치 멈춤부(32)는 포올 블록킹 아암(48)을 따라 아래로 부드럽게 슬라이딩하기 시작하고 록킹 레버 아암(62)의 팁은 포올 요부 벽(52)을 따라 아래로 부드럽게 슬라이딩하여 록킹 유니트(10)를 도 1의 1차 래치 위치로 복귀시킨다. The blocking lever arm 62 is restrained behind the pawl recessed portion 52 by pulling the pawl blocking arm 48 up the catch exit edge 31. [ 2, beyond this point, the rocker actuator portion 37 of the catch 20 moves past the engaged state of the rocker arm 71 of the rocker lever 70. As shown in FIG. Along with the actuating force from the catch 20 released from the rocker lever 70, the spring force in the direction S2 restores the bias for the blocking lever arm 62 towards the pawl portion 54. [ The blocking arm 48 of the pawl 40 is moved past the transition region 39 to the primary stop 32 at the exit edge 31 of the catch 20 as the primary stops of the catch 20 abut the primary position. (32). A positive slope between the pawl blocking arm 48 and the primary catch stop 32 is sufficient to allow the pawl 40 to rotate into the catch 20 and a slight over- So that it does not touch the blocking lever arm 62. At this point the primary catch stop 32 begins to smoothly slide down along the pawl blocking arm 48 until the blocking arm is released and stops below the pawl stop 54, The tip smoothly slides down along the pawl recess wall 52 to return the locking unit 10 to the primary latch position of FIG.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응용을 위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었다. 본 발명이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반면에, 도면, 상세한 설명 및 하기의 청구범위를 연구함으로써 다른 변형이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is intended to cover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embodiments for various application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as other variation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studying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claims.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공개 자료 및 특허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의 지식 수준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각각의 공개 자료 또는 특허출원이 특별하게 그리고 개별적으로 참고되는 것으로 지시되는 것과 동일한 범위까지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공개 자료 및 특허출원은 참고된다. All publications and patent applications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dicative of the level of knowledge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l publications and patent applications referred to herein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to the same extent as if each disclosure or patent application referred to herein was specifically and individually indicated to be incorporated by reference.

10 록킹 유니트
12 베이스 플레이트
13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 에지
14 슬롯
16 스트라이커 (캐치 볼트)
20 캐치
22 캐치의 제 1 요부
24 캐치 회전축
26 캐치 장착 구멍
30 캐치의 제 2 요부
31 캐치의 출구 에지(캐치 출구 에지)
32 캐치의 1차 멈춤부(1차 캐치 멈춤부)
33 캐치의 1차 멈춤부의 접촉면
34 캐치의 2차 멈춤부(2차 캐치 멈춤부)
36 캐치의 슬라이딩 표면
37 로커 액츄에이터 부분
38 캐치의 제 1 요부의 타격 에지
39 캐치의 출구 에지와 캐치의 1차 멈춤부 간의 천이 영역(transition region)
40 포올
42 포올 선회 축
48 포올의 블록킹 아암(포올 블록킹 아암)
50 포올의 블록킹 아암의 접촉면
52 포올의 요부(포올 요부, 포올 요부 벽, 요부, 요부형 간격)
54 포올의 멈춤부 (포올 멈춤부)
60 블록킹 레버
62 블록킹 레버의 블록킹 아암 (블록킹 레버 아암)
64 블록킹 레버의 해제 에지(블록킹 레버 해제 에지)
68 블록킹 레버 회전축 (레버 회전축)
69 블록킹 레버 장착 구멍
70 로커 레버
71 로커 레버의 로커 아암
72 블록킹 레버 액츄에이터
73 로커 레버의 선회부
74 로커 레버의 접촉 표면
S1 열림 방향
S2 블록킹 레버 바이어스 방향
S3 포올 바이어스 방향
S4 닫힘 방향
S5 작동 방향
10 locking unit
12 base plate
13 The tip edge of the base plate
14 slots
16 striker (catch bolt)
20 catch
22 First catch of catch
24 catch shaft
26 Catch mounting holes
30 second catch of catch
31 Catch's exit edge (catch exit edge)
32 Catch's primary stop (primary catch stop)
33 The contact surface of the primary stop of the catch
34 Second stop of catch (Second catch stop)
36 Sliding surface of the catch
37 Rocker actuator part
38 Striking edge of first lumbar part of catch
39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exit edge of the catch and the primary stop of the catch,
40 pills
42 Pawl pivot
48 pawl blocking arm (pawl blocking arm)
The contact surface of the blocking arm of 50 pawls
52 Lumbar region of the pawl (paw lumbar region, paw lumbar wall, lumbar region, lumbar region)
54 Stop of pawl (pawl stop)
60 blocking lever
62 Blocking arm of blocking lever (blocking lever arm)
64 Release edge of blocking lever (blocking lever release edge)
68 Blocking lever Rotation shaft (lever shaft)
69 Blocking lever mounting hole
70 rocker lever
71 Rocker lever rocker arm
72 blocking lever actuator
73 Turning part of rocker lever
74 Contact surface of rocker lever
S1 opening direction
S2 blocking lever bias direction
S3 Foil bias direction
S4 Closing direction
S5 direction of operation

Claims (17)

열림 위치, 1차 래치 위치 및 2차 래치 위치를 갖는, 차량용 록킹 유니트에 있어서,
제 1 요부, 제 2 요부를 포함하며, 캐치 회전축을 갖는 캐치;
포올 블록킹 아암을 포함하며, 포올 선회축을 갖는 포올;
블록킹 레버 회전축을 갖는 블록킹 레버; 및
선회부를 갖는 록커 레버를 포함하되,
캐치는 캐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열림 방향 그리고 닫힘 방향으로 제 1 경로를 따라 회전 가능하여, 록킹 유니트가 열림 위치, 1차 래치 위치 또는 2차 래치 위치를 취하며,
캐치는 캐치 회전축을 중심으로 열림 위치를 향하여 열림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며;
제 2 요부는 열림 방향으로 제 1 요부 앞에 배치되고;
포올은 캐치를 향하여 포올 선회축을 중심으로 바이어스되며;
제 1 요부는 열림 위치에서 차량의 스트라이커를 수용하도록 그리고 1차 래치 위치 및 2차 래치 위치에서 스트라이커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블록킹 레버는 제 2 경로를 따라 블록킹 레버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로커 레버는 선회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 1 경로와 제 2 경로를 가로지르며;
록킹 유니트가 1차 래치 위치 또는 2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블록킹 레버는 캐치에 대항하여 블록킹 아암에 인접하며,
록킹 유니트가 2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블록킹 레버는 제 2 요부 내로 연장되고,
록킹 유니트가 닫힘 방향으로 2차 래치 위치 뒤의 그리고 1차 래치 위치 앞의 지점에서 이동할 때, 캐치는 로커 레버를 작동시키는 록킹 유니트.
A locking unit for a vehicle having an open position, a primary latch position and a secondary latch position,
A catch comprising a first recess, a second recess, the catch having a catch rotational axis;
A pawl including a pawl blocking arm and having a pawl pivot axis;
A blocking lever having a blocking lever rotational axis; And
And a rocker lever having a swivel portion,
The catch is rotatable along a first path in an opening direction and a closing direction about a catch rotational axis so that the locking unit takes an open position, a primary latch position, or a secondary latch position,
The catch being biased in an open direction toward an open position about a catch rotational axis;
The second recess is disposed in the opening direction in front of the first recess;
The pawl is biased about the pawl pivot axis towards the catch;
The first recess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striker of the vehicle in an open position and to stably hold the striker in a first latch position and a second latch position,
The blocking lever being rotatable about a blocking lever rotational axis along a second path;
The rocker lever is rotatable about a turning point and traverses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When the locking unit is in the primary latch position or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he blocking lever is adjacent the blocking arm against the catch,
When the locking unit is in the second latched position, the blocking lever extends into the second recess,
The catch actuating the rocker lever when the locking unit moves in the closing direction behind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and at a point in front of the primary latch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포올은 블록킹 레버와 캐치 사이에 배치된 록킹 유니트.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wl is disposed between the blocking lever and the catch. 제2항에 있어서, 포올은 포올 멈춤부를 더 포함하며; 캐치는 1차 캐치 멈춤부를 더 포함하고; 록킹 유니트가 1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블록킹 레버는 포올 멈춤부에 인접하고 포올 블록킹 아암은 1차 캐치 멈춤부에 인접한 록킹 유니트.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pawl further comprises a pawl stop; The catch further comprises a primary catch stop; When the locking unit is in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locking lever is adjacent the pawl stop and the forehead blocking arm is adjacent the primary catch stop. 제2항에 있어서, 포올은 오목한 부분을 더 포함하며, 록킹 유니트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블록킹 레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한 부분 내에 배치된 록킹 유니트.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awl further comprises a concave portion, and when the locking unit is in the open position, the blocking lever is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the concave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블록킹 레버는 릴리즈 에지를 더 포함하며, 블록킹 레버는 적어도 포올 멈춤부로부터 요부 간극을 지난 위치까지 회전 가능한 록킹 유니트.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locking lever further comprises a release edge, and the blocking lever is rotatable from at least the pawl stop to a position beyond the recessed gap. 제3항에 있어서, 1차 캐치 멈춤부와 블록킹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만곡진 접촉면을 더 포함하는 록킹 유니트. 4. The locking unit of claim 3, wherein the primary catch stop and the blocking arm further comprise a curved contact surfac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캐치는 로커 액츄에이터 부분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로커 레버는 접촉 표면을 더 포함하되, 액츄에이터 부분은 접촉 표면과 교차하는 록킹 유니트. The locking unit of claim 1, wherein the catch further comprises a rocker actuator portion projection, the rocker lever further including a contact surface, wherein the actuator portion intersects the contact surface. 제7항에 있어서, 로커 레버의 변위는 레버 블록킹 아암을 포올 멈춤부와의 접촉 상태로부터 옮기는 록킹 유니트. 8.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isplacement of the rocker lever transfers the lever blocking arm from the contact with the pawl stop. 제3항에 있어서, 제 2 요부는 그 양 측부 상에 출구 에지와 2차 멈춤부를 포함하는 록킹 유니트. 4.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cond recess comprises an exit edge and a secondary stop on both sides thereof. 제9항에 있어서, 출구 에지는 출구 에지와 1차 멈춤부 사이의 천이 영역을 향하여 만곡지며; 2차 멈춤부는 캐치의 슬라이딩 표면을 향하여 만곡진 록킹 유니트.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exit edge curves toward a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exit edge and the primary stop; The secondary stop is curved toward the sliding surface of the catch. 제10항에 있어서, 출구 에지는 블록킹 아암에 밀어 붙여져 포올을 2차 래치 위치에서 1차 래치 위치로 회전시키는 록킹 유니트. 11. The locking unit of claim 10, wherein the exit edge is pushed against the blocking arm to rotate the pawl from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o the primary latch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포올 멈춤부로부터 회전 가능하여 록킹 유니트를 1차 래치 위치에서 해제하도록 블록킹 레버는 포올 멈춤부를 향하여 바이어스되고 블록킹 레버는 차량의 작동 링크에 연결된 록킹 유니트. The locking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locking lever is biased toward the pawl stop so that the blocking lever is rotatable from the pawl stop to release the locking unit from the primary latch position and the blocking lever is connected to the actuating link of the vehicle. 제12항에 있어서, 록킹 유니트가 1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블록킹 레버는 포올 멈춤부에 인접하며 블록킹 아암은 1차 캐치 멈춤부에 인접한 록킹 유니트. 13. The locking unit of claim 12, wherein when the locking unit is in the primary latch position, the blocking lever is adjacent the pawl stop and the blocking arm is adjacent the primary catch stop. 제12항에 있어서, 캐치는 2차 캐치 멈춤부를 더 포함하며, 록킹 유니트가 2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블록킹 레버는 포올 멈춤부에 인접하고 블록킹 아암은 2차 캐치 멈춤부에 인접하는 록킹 유니트. 13. The locking mechanism of claim 12, wherein the catch further comprises a secondary catch stop, wherein when the locking unit is in the secondary latch position, the blocking lever is adjacent to the pawl stop and the blocking arm comprises a locking unit . 제11항에 있어서, 1차 캐치 멈춤부와 블록킹 아암은 서로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만곡진 접촉면을 갖는 록킹 유니트. 12. The locking unit of claim 11, wherein the primary catch stop and the blocking arm have a curved contact surfac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제12항에 있어서, 제 2 요부는 그 양측 상의 출구 에지와 2차 멈춤부를 더 포함하며, 록킹 유니트가 2차 래치 위치에 있을 때 제 2 요부는 블록킹 아암을 유지하도록 맞추어진 록킹 유니트. 13. The locking unit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recess further comprises an exit edge and a second stop on both sides thereof, the second recess being adapted to retain the blocking arm when the locking unit is in the second latch position. 제16항에 있어서, 출구 에지는 출구 에지와 1차 멈춤부 사이의 천이 영역을 향하여 만곡지며; 2차 멈춤부는 캐치의 슬라이딩 표면을 향하여 만곡진 록킹 유니트. 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exit edge curves toward a transition region between the exit edge and the primary stop; The secondary stop is curved toward the sliding surface of the catch.
KR1020147013287A 2011-10-21 2012-10-17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Ceased KR2014009021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9901P 2011-10-21 2011-10-21
US61/549,901 2011-10-21
PCT/IB2012/002827 WO2013057590A2 (en) 2011-10-21 2012-10-17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212A true KR20140090212A (en) 2014-07-16

Family

ID=4799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287A Ceased KR20140090212A (en) 2011-10-21 2012-10-17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2776651B1 (en)
JP (1) JP6155488B2 (en)
KR (1) KR20140090212A (en)
CN (1) CN103998704B (en)
BR (1) BR112014009482A2 (en)
CA (1) CA2852852A1 (en)
IN (1) IN2014MN00716A (en)
MX (1) MX2014004649A (en)
RU (1) RU2624900C2 (en)
WO (1) WO2013057590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509B2 (en) * 2013-03-27 2015-12-15 Kiekert Ag Locking mechanism
DE102013207725A1 (en) * 2013-04-26 2014-11-13 Kiekert Ag Motor vehicle lock
DE102013209084A1 (en) * 2013-05-16 2014-11-20 Kiekert Ag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prevented occlusion
DE202013004589U1 (en) * 2013-05-17 2014-08-18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Motor vehicle lock
US10767396B2 (en) * 2016-08-15 2020-09-08 Magna Closures Inc. Vehicular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having pop-off sound reduction
KR102287273B1 (en) 2017-02-07 2021-08-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ocking device for vehicle tailgate
CN109198965B (en) * 2017-07-07 2020-12-29 苏世博(南京)减振系统有限公司 Mattress support-adjustment device
JP2019052501A (en) * 2017-09-19 2019-04-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Vehicle door lock device
CN107476684B (en) * 2017-10-09 2022-07-19 烟台三环锁业集团股份有限公司 Locking mechanism of automobile lock
CN107642284A (en) * 2017-10-31 2018-01-30 无锡瑞林控制软件有限公司 Automobile side door lock transmission device
US20190301212A1 (en) * 2018-03-27 2019-10-03 Magna BOCO GmbH Closure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having a dual-pawl configuration
DE102018120435A1 (en) * 2018-08-22 2020-02-27 Kiekert Ag Motor vehicle lock
CN109798032B (en) * 2018-12-25 2021-04-27 湖北航宇精工科技有限公司 Emergency escape safety door lock mechanism for passenger car door
JP7215153B2 (en) 2018-12-26 2023-01-31 株式会社アイシン Vehicle door lock device
CN110644865B (en) * 2019-10-09 2021-06-04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Automobile door lock mechanism
CN111520008B (en) * 2020-04-22 2025-04-18 上海恩井汽车科技有限公司 Lock device and vehicle door
CN113963966B (en) * 2020-07-20 2022-09-06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An opening switch and remote circuit breaker
DE102020215931A1 (en) * 2020-12-15 2022-06-15 Witte Automotive Gmbh locking device
CN113494218B (en) * 2021-07-26 2022-08-16 上海恩井汽车科技有限公司 Lock device and motor vehicle
US20230313573A1 (en) * 2022-03-31 2023-10-05 Rivian Ip Holdings, Llc Vehicle compartment latch
CN115306237B (en) * 2022-08-15 2024-05-17 上海恩井汽车科技有限公司 Locking device of motor vehicle lock, motor vehicle lock and motor vehicle
CN115596299A (en) * 2022-10-24 2023-01-13 芜湖瑞智安汽车科技有限公司(Cn) Double-pawl mechanism for automobile door lock
DE102023102064A1 (en) * 2023-01-27 2024-08-0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otor vehicle lock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4704A (en) * 1980-03-31 1982-06-15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bile door locking mechanism
JP2504946Y2 (en) * 1990-05-29 1996-07-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Door lock device
DE20104625U1 (en) * 2001-03-17 2002-08-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809 München Motor vehicle door lock
CN1987028B (en) * 2005-12-21 2010-11-0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Automobile door lock
DE102007003948A1 (en) * 2006-11-22 2008-05-29 Kiekert Ag Locking unit with multipart pawl
DE202008012706U1 (en) * 2008-09-24 2008-12-18 Kiekert Ag Lock unit with multipart pawl and spring-loaded locking pawl
DE102008048712A1 (en) * 2008-09-24 2010-03-25 Kiekert Ag Locking unit with multi-ratchet lock
DE102008057961A1 (en) * 2008-11-19 2010-05-20 Kiekert Ag Locking unit with multi-ratchet lock
DE102010003483B4 (en) * 2009-06-12 2019-08-01 Kiekert Ag Lock with positive guide for pawl
DE102009026919A1 (en) * 2009-06-12 2010-12-16 Kiekert Ag Lock for motor vehicle, has blocking lever blocking pawl when pawl locks rotary latch in closing position, where blocking lever moves pawl into locking position by pre-loading that is controlled by moving preliminary pawl
DE102009026921A1 (en) * 2009-06-12 2010-12-16 Kiekert Ag Motor vehicle lock with closing aid
US8235428B2 (en) * 2009-07-14 2012-08-07 Kiekert Ag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DE102011012370A1 (en) * 2010-02-24 2011-08-25 Magna Closures S.P.A. Vehicle lock with pawl with single no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7590A3 (en) 2013-07-11
BR112014009482A2 (en) 2017-06-13
WO2013057590A2 (en) 2013-04-25
RU2624900C2 (en) 2017-07-07
RU2014118877A (en) 2015-11-27
EP2776651A2 (en) 2014-09-17
CA2852852A1 (en) 2013-04-25
JP2015511669A (en) 2015-04-20
IN2014MN00716A (en) 2015-07-03
JP6155488B2 (en) 2017-07-05
MX2014004649A (en) 2014-12-11
CN103998704B (en) 2017-02-22
EP2776651B1 (en) 2017-06-28
CN103998704A (en)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0212A (en) Lock device having a multi-part pawl
US8235428B2 (en) Lock unit having a slotted pawl
EP2113048B1 (en) Latch assembly
US8894106B2 (en) Vehicle latch
US7481468B2 (en) Apparatus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an inertially activated component
EP3075929B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US10151126B2 (en) Latch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US20060261602A1 (en) Inertia catch for door latches
US20140084603A1 (en) Deformation driven blocking mechanism for an automobile
US9637952B2 (en) Motor vehicle lock
US20150240536A1 (en) Latch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US103165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ndesired latch release
US10465424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US20160160537A1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US20060237973A1 (en) Momentary inertial latching device
EP3012390B1 (en) Vehicle door outer handle structure
EP3575522A1 (en) Vehicular door latch device
WO2018118281A1 (en) Frameless door handle assembly with modular inertia locking mechanism
US6805387B1 (en) Latch
KR20220031419A (en) Door opening prevention structure in vehicle collision
JP6089299B2 (en) Door latch device for automobile
JP5965623B2 (en) Door lock device
JP2573540B2 (en) One motion lock device for vehicles
JP6197199B2 (en) Door latch device for automobile
US20230313576A1 (en) Door lat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