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529A -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러한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러한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교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9529A KR20140089529A KR1020147011761A KR20147011761A KR20140089529A KR 20140089529 A KR20140089529 A KR 20140089529A KR 1020147011761 A KR1020147011761 A KR 1020147011761A KR 20147011761 A KR20147011761 A KR 20147011761A KR 20140089529 A KR20140089529 A KR 201400895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 plate
- passages
- fluid
- circu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0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varying the cross-section of the flow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conduits; with centrally arranged openings on th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2—Charged air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유체(C)와 제 2 유체(G)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플레이트(4, 12, 14)에 관한 것이며, 제 1 및 제 2 유체(C, G)는 플레이트(4, 12, 14)와 접촉하여 유동한다. 플레이트(4, 12, 14)는 복수의 연속적인 통로(71, 72, 73, 74)를 포함하는 회로(8)를 규정하도록 구성되며, 회로(8) 내에서, 제 1 유체(C)는 하나의 유동 방향으로 유동하고 하나의 통로로부터 다른 통로로 유동 방향을 변경하며, 상기 통로(71, 72, 73, 74) 각각은 제 1 유체를 위한 유동 섹션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류측 통로로 불리는 하나의 통로(71, 72, 73, 74)의 유동 섹션은, 회로(8)에 있어서의 제 1 유체의 유동 방향에서 상류측 통로의 하류측에 위치된 하류측 통로로 불리는 다른 통로(71, 72, 73, 74)의 유동 섹션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특히 차량용 플레이트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과급 공기 냉각기(charge air cooler)로서 알려지고, 차량의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과급 공기(charge air)와 액체 냉매(coolant liquid) 사이에서의 열의 교환을 허용하는 열교환기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과급 공기 및 액체 냉매를 위한 교호의 순환 채널을 사이에 허용하는 플레이트의 적층체로 구성되는 열교환 어레이를 포함한다.
전술된 것과 같은 적층된 플레이트를 갖는 과급 공기 냉각기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과급 공기 냉각기에 있어서의 각 플레이트는 동일한 단면의 복수의 통로를 형성하는 회로 내에서 액체 냉매를 안내하고, 복수의 통로의 내부에서 액체 냉매는 과급 공기의 유동에 수직인 방향으로 순환한다. 액체 냉매는 각 통로 내에서 그 순환 방향을 변경한다.
액체 냉매의 온도는 회로를 통해 유동에 따라 상승하여, 액체 냉매의 물리적 특성(특히, 밀도 및 점도)의 변화를 초래한다. 과급 공기의 물리적 특성이 변하면, 과급 손실도 또한 변동한다.
기존의 해결책에 있어서, 통로의 폭은 동일한 회로 내에서 동일하고, 전술한 과급 손실의 변동에 적합하지 않으며, 그 결과 교환기의 성능이 열화하게 된다.
과급 손실이 커질수록 스트림의 유동 모드가 더 급변할 수 있어, 적어도 일정한 한도 내에서는 열교환에 유리하다는 지식에 비추어, 과급 손실은 사실상 열교환기의 열 효율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액체 냉매의 순환에 사용되는 펌프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얻어진 에너지의 소비를 과도하게 저해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제한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열 성능을 과도하게 저해하지 않으면서 회로 내의 전체 과급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서 유체 냉매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에 있어서의 변동과 통로의 유동 섹션의 치수의 변화 사이에 유리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립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유체(C)와 제 2 유체(G)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플레이트로서, 제 1 및 제 2 유체가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순환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의 연속적인 통로를 포함하는 회로를 규정하도록 구성되며, 이 회로 내에서, 제 1 유체는 하나의 유동 방향으로 순환하고 하나의 통로로부터 다른 통로로 유동 방향을 변경하며, 통로 각각은 제 1 유체를 위한 유동 섹션을 갖는, 상기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류측 통로로 불리는 하나의 통로의 유동 섹션은, 회로에 있어서의 제 1 유체의 유동 방향에서 상류측 통로의 하류측에 위치된 하류측 통로로 불리는 다른 통로의 유동 섹션보다 크다.
따라서, 제 1 유체가 회로를 통해 유동함에 따라, 제 1 유체는 통로의 제 1 유동 섹션이 계속해서 감소하는 통로를 통해 유동하고, 이러한 통로의 효과는 온도의 증가에 기인하는 과급 손실의 변동을 견디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과급 손실의 계수는 회로의 길이를 따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과급 공기 냉각기의 경우에, 제 1 유체는 액체 냉매에 해당하고, 제 2 유체는 과급 공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최초 통로 및 최종 통로를 포함하며, 통로의 유동 섹션은 하나의 통로로부터 다른 통로로, 최초 통로로부터 최종 통로를 향해 감소한다. 이러한 유동 섹셕은 예를 들어 선형으로 또는 비례적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최초 통로의 유동 섹션은 최종 통로의 유동 섹션보다 40% 내지 60% 크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제 1 통로, 제 2 통로, 제 3 통로 및 제 4 통로로 불리는 4개의 통로를 포함하며, 제 1 통로는 회로 내로의 입구에 연결되고, 제 2 통로는 제 1 통로에 연결되고, 제 3 통로는 제 2 통로에 연결되며, 제 4 통로는 한쪽에서는 제 3 통로에 연결되고 다른쪽에서는 회로로부터의 출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유동 섹션은 제 1 통로로부터 제 4 통로까지 계속해서 감소한다.
유리하게, 제 1 통로의 유동 섹션은 제 2 통로의 유동 섹션보다 5% 내지 15% 크다. 또 유리하게, 제 2 통로의 유동 섹션은 제 3 통로의 유동 섹션보다 20% 내지 40% 크다. 특히, 제 3 통로의 유동 섹션은 제 4 통로의 유동 섹션보다 5% 내지 15% 크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통로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는 30㎜ 내지 35㎜이고, 제 2 통로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는 27㎜ 내지 32㎜이고, 제 3 통로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는 22㎜ 내지 25㎜이고, 그리고/또는 제 4 통로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는 20㎜ 내지 23㎜이다. 특히, 통로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는 서로 평행하여 하나의 통로의 유동 섹션이 일정하다. 유동 섹셕은 플레이트의 연장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통로는 유체의 유동에 대한 배플(baffle)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용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플레이트 중 적어도 2개는, 2개의 플레이트 중 하나의 플레이트의 회로가 2개의 플레이트 중 다른 플레이트의 회로의 거울상(mirror-image)이 되도록, 한쌍의 플레이트로 서로 적층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한쌍의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2개의 플레이트는 회로가 제 1 유체를 위한 순환 회로를 함께 형성하도록 서로 적층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제공된 구체적인 실시예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정독함으로써 훨씬더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4개의 통로를 갖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분해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통로의 유동 섹션의 차이를 도시하기 위한 4개의 통로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통로의 유동 섹션의 차이를 도시하기 위한 4개의 통로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될 유체, 특히 가스(G)와 액체 냉매(C) 사이의 열교환을 허용하는 열교환기(1)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내연 기관,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의 유동이 냉각 액체, 특히 물과 글리콜(glycol)의 혼합물에 의해 냉각되는 과급 공기 냉각기일 수 있다.
열교환기(1)는 냉각될 유체(G) 및 액체 냉매를 위한 교호의 회로(6, 8)를 사이에 결정하는 플레이트(4)의 적층체에 의해 구성된 열교환용 어레이(2)를 포함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의 어레이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냉각될 유체를 위한 출구면(10) 및 대향하는 입구면(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이러한 어레이는 상부 플레이트(12)로 불리는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14)로 불리는 플레이트에 의해 적층체의 양 측부 상에서 종단된다.
열교환기는 또한 어레이(2)를 내측에 수용하는 하우징(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어레이(2)의 입구면으로부터 출구면(10)까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냉각될 유체를 안내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하우징은 플레이트(4, 12, 14)의 측방향 에지(16, 16')에 각각 대면하는 2개의 측벽(18)과, 상부 플레이트(12)와 접촉하는 상부벽(20)과, 하부 플레이트(14)와 접촉하는 하부벽(22)으로 구성된다. 상부벽(20)에는, 어레이(2) 내로의 액체 냉매(C)의 유입 및 유출 통로를 허용하는 개구부(24, 26)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는 하우징에 제공된 상기 개구부(24, 26)와 연통하는 액체 냉매용 출구 및/또는 입구 파이프 연결부(28, 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열교환기의 다른 구성 부품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특히, 이들 구성 부품은 서로 납땜된다.
각 플레이트(4, 12, 14)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면인 바닥부(31)를 포함하고, 이 바닥부는 플레이트를 서로 납땜할 수 있게 하는 편평한 표면(34)에 의해 종단되는 주변 가장자리부(32)에 의해 둘러싸인다. 액체 냉매용 회로(8)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의 바닥부(31)의 재료로부터 융기되는, 한쪽에서는 상기 주변 가장자리부(32)에 의해, 그리고 다른쪽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앙 가장자리부(60, 60')에 의해 규정된다.
플레이트(4, 12, 14)는 쌍으로 함께 그룹지어 지고, 이러한 편평한 표면(34) 및/또는 중앙 가장자리부(60)를 통해 조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쌍의 플레이트 중 하나의 상부 플레이트(4) 및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4)의 회로는 액체 냉매(C)용 순환 채널을 구성하도록 서로 보충하여 완전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그에 따라 플레이트(4)는, 액체 냉매(C)용 순환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플레이트 중 하나의 플레이트의 액체 냉매(C)용 회로(8)가 동일한 쌍의 2개의 플레이트 중 다른 플레이트의 액체 냉매(C)용 회로(8)에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쌍으로 적층된다. 냉각될 유체의 순환을 위한 회로(6)는 2개의 인접하는 쌍의 플레이트(4)의 대향하는 2개의 플레이트(4) 사이에 제공된다.
도시된 예시에 있어서, 적층체의 상부 플레이트(12) 및 하부 플레이트(14)는 하우징의 상부벽(20) 및 하부벽(22)과 조립되어 액체 냉매용 순환 채널을 규정한다.
플레이트(4, 12, 14)는 예를 들어 2개의 장변(長邊) 및 2개의 단변(短邊)을 갖는 대체로 기다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각 플레이트는 2개의 보스(boss)(38)를 구비하고, 보스(38) 중 하나는 액체 냉매(C)용 순환 채널(8) 내로의 입구(42)를 갖고, 보스(38) 중 다른 하나는 액체 냉매(C)용 순환 채널(8)로부터의 출구(40)를 갖는다.
보스(38)는 플레이트(4, 12, 14)의 동일한 단변을 따라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스(38)는 액체 냉매(C)의 통로를 위한 개구부(50)에 의해 관통되고, 하나의 인접한 플레이트(4)의 보스(38)와 접촉하여 액체 냉매(C)용 입구 컬렉터(inlet collector)(44) 및 출구 컬렉터(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입구 컬렉터(44)는 예를 들어 하우징의 입구 개구부(26)를 거쳐서 입구 파이프 연결부(30) 내로 배출하고, 그리고/또는 출구 컬렉터는 예를 들어 하우징의 출구 개구부(24)를 거쳐서 출구 파이프 연결부(28) 내로 배출한다.
다시 말하면, 유체 냉매는 입구 파이프 연결부(30)를 거쳐서 어레이 내로 진입한 후에, 입구 컬렉터(44)를 거쳐서 액체 냉매의 순환을 위한 회로(8) 내의 플레이트(4) 사이로 분배된다. 다음에, 유체 냉매는 입구(42)로부터 액체 냉매(C)의 순환을 위한 회로(8) 내로 유입되어 출구 컬렉터 내로 관통하는 출구(40)까지 흐른다. 그리고 나서, 유체 냉매는 출구 파이프 연결부(28)를 통해 열교환기로부터 빠져나간다.
2 쌍의 플레이트(4)의 보스(38)는 그 사이에서 냉각될 유체를 위한 순환 회로(6)의 높이를 결정한다.
입구 컬렉션 박스(inlet collection box) 및 출구 컬렉션 박스(outlet collection box)(도시되지 않음)는 냉각될 유체를 이송 및 제거하기 위해 하우징의 주변부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는 냉각될 유체(G)의 순환을 위한 회로(6) 내측의 플레이트(4) 사이에 삽입된 파형 배플(corrugated baffle)과 같은 제 2 교환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플은 냉각될 액체(G)의 유동을 방해하여 2개의 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 플레이트(4, 12, 14)는 예를 들어 유체 냉매(C)의 순환을 위한 회로(8) 내에 배열된 파형부(corrugation)(52)를 포함한다. 이러한 파형부(52)는 액체 냉매(C)를 위한 입구 컬렉터 및 출구 컬렉터(44)를 구성하는 포켓(pocket)(38)과 플레이트(4, 12, 14)의 제 2 길이방향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파형부(52)는 특히 플레이트(4, 12, 14)를 딥-드로잉(deep-drawing)함으로써, 예를 들어 플레이트(4, 12, 14)의 바닥부(31)의 재료로부터 융기된다.
플레이트(4, 12, 14)에 의해 규정된 회로(8)는 액체 냉매(C)를 n개(본 경우에는, 4개)의 연속적인 통로 내로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액체 냉매는 입구(42)에서 회로(8) 내로 유입되고 출구(40)에서 회로(8)로부터 유출된다. 2개의 인접한 통로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4, 12, 14)의 가장자리부(32, 60, 60')에 의해 분리된다.
통로는 본 경우에 플레이트의 장변인 연장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통로는 차례로 직렬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장자리부(60, 60')는 플레이트(4)의 장변을 따라 배향되어 액체 냉매(C)의 순환을 위한 각 회로(8)의 각 통로 내에 액체 냉매의 구불구불한 순환로를 규정한다. 가장자리부 중 어떤 가장자리부(60)는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로부터 대향 에지(16')를 향해 연장되지만, 가장자리부(60)의 일측부 상에 존재하는 통로로부터 다른 통로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자유롭게 하여 두고 있다. 이러한 가장자리부(60)는,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에 대향하는 에지(16')로부터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를 향해 연장되지만, 가장자리부(60')의 일측부 상에 존재하는 통로로부터 다른 통로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자유롭게 하여 두고 있는 가장자리부(60')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트가 4개의 통로를 구비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입구(40)로부터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에 대향하는 에지(16')까지 연장되는 제 1 통로(71) 또는 최초 통로(71)와, 제 1 통로에 연결되고,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에 대향하는 에지(16')로부터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까지 연장되는 제 2 통로(72)와, 제 2 통로에 연결되고,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로부터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에 대향하는 에지(16')까지 연장되는 제 3 통로(73)와, 한쪽에서는 제 3 통로에 연결되고 다른쪽에서는 출구(42)에 연결되며,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에 대향하는 에지(16')로부터 보스(38)가 제공된 에지(16)까지 연장되는 제 4 통로(74)를 볼 수 있다.
따라서, 냉각될 유체의 순환을 위한 회로(6) 내에서의 냉각될 유체(D)의 순환은 액체 냉매의 유동 방향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일어나고, 액체 냉매는 하나의 통로부터 다른 통로로 유동 방향이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통로의 연장 방향으로 길이(L) 및 통로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D)으로 길이(l)를 갖는다. 따라서, 열교환기 내측에서, 방향(D)은 냉각될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응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n개의 통로를 포함하는 플레이트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는 이러한 통로를 규정하는 2개의 가장자리부(32, 60, 60') 사이에서 방향(D)으로의 거리에 대응하는 폭(ln)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 1 통로(71)는 폭(l1)을 갖고, 제 2 통로(72)는 폭(l2)을 갖고, 제 3 통로(73)는 폭(l3)을 갖고, 제 4 통로(74)는 폭(l4)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류측 통로로 불리는 통로의 유동 섹션은, 액체 냉매의 순환을 위한 회로(8)에 있어서의 유체 냉매의 유동 방향에서 상류측 통로의 하류측에 위치된 하류측 통로로 불리는 다른 통로의 유동 섹션보다 크다. 최초 통로로부터 최종 통로를 향해, 즉 본 경우에 있어서 제 1 통로(71)로부터 제 4 통로(74)를 향해 액체 냉매가 유동하는 것을 고려하면, 유동 섹션은 제 1 통로(71)로부터 제 4 통로(74)를 향해 감소한다. 따라서, 과급 손실/열 성능 비의 최적화가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통로의 유동 섹션은 통로의 폭과, 통로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32, 60, 60')의 높이의 곱으로 정의된다. 본 경우에 있어서, 가장자리부(32, 60, 60')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나머지의 설명 부분에서 통로 폭의 비교가 각 통로의 유동 섹션의 비교와 동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 1 통로(71)의 폭(l1)은 제 2 통로(72)의 폭(l2)보다 5% 내지 15% 크다.
본 경우에 있어서, 제 2 통로(72)의 폭(l2)은 제 3 통로(73)의 폭(l3)보다 20% 내지 40% 크다.
예를 들면, 제 3 통로(73)의 폭(l3)은 제 4 통로(74)의 폭(l4)보다 5% 내지 15% 크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최초 통로, 본 경우에는 제 1 통로(71)의 폭은 최종 통로, 본 경우에는 제 4 통로(74)의 폭보다 40% 내지 60% 크다.
도 2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플레이트(4, 12, 14)의 폭은 특히 120㎜와 동일하고, 그 길이(L)는 예를 들어 200㎜와 동일하다. 본 경우에 있어서, 제 1 통로(71)의 폭(l1)은 특히 30㎜ 내지 35㎜이고, 제 2 통로(72)의 폭(l2)은 예를 들어 27㎜ 내지 32㎜이고, 제 3 통로(73)의 폭(l3)은 특히 22㎜ 내지 25㎜이며, 제 4 통로(74)의 폭(l4)은 유리하게 20㎜ 내지 23㎜이다.
Claims (10)
- 제 1 유체(C)와 제 2 유체(G)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플레이트(4, 12, 14)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C, G)는 상기 플레이트(4, 12, 14)와 접촉하여 유동하며, 상기 플레이트(4, 12, 14)는 복수의 연속적인 통로(71, 72, 73, 74)를 포함하는 회로(8)를 규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로(8) 내측에서, 상기 제 1 유체(C)는 하나의 유동 방향으로 유동하고 하나의 통로로부터 다른 통로로 유동 방향을 변경하며, 상기 통로(71, 72, 73, 74) 각각은 제 1 유체(C)를 위한 유동 섹션을 갖는, 상기 플레이트(4, 12, 14)에 있어서,
상류측 통로로 불리는 하나의 통로(71, 72, 73, 74)의 유동 섹션은, 상기 회로(8)에 있어서의 제 1 유체의 유동 방향에서 상기 상류측 통로의 하류측에 위치된 하류측 통로로 불리는 다른 통로(71, 72, 73, 74)의 유동 섹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 12, 14)는 최초 통로(71) 및 최종 통로(74)를 포함하며, 통로(71, 72, 73, 74)의 유동 섹션은 하나의 통로로부터 다른 통로로, 상기 최초 통로(71)로부터 상기 최종 통로(74)를 향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통로(71)의 유동 섹션은 상기 최종 통로(74)의 유동 섹션보다 40% 내지 60%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 12, 14)는 제 1 통로(71), 제 2 통로(72), 제 3 통로(73) 및 제 4 통로(74)로 불리는 4개의 통로(71, 72, 73, 7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통로(71)는 상기 회로(8) 내로의 입구(42)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통로(72)는 제 1 통로(71)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통로(73)는 제 2 통로(72)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통로(74)는 한쪽에서는 제 3 통로(73)에 연결되고 다른쪽에서는 상기 회로로부터의 출구(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71)의 유동 섹션은 상기 제 2 통로(72)의 유동 섹션보다 5% 내지 15%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72)의 유동 섹션은 상기 제 3 통로(73)의 유동 섹션보다 20% 내지 40%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로(73)의 유동 섹션은 상기 제 4 통로(74)의 유동 섹션보다 5% 내지 15%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로(71)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38, 60) 사이의 거리는 30㎜ 내지 35㎜이고, 상기 제 2 통로(72)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60, 60') 사이의 거리는 27㎜ 내지 32㎜이고, 상기 제 3 통로(73)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60, 60') 사이의 거리는 22㎜ 내지 25㎜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 4 통로(74)를 규정하는 가장자리부(60, 38) 사이의 거리는 20㎜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71, 72, 73, 74)는 유체의 유동에 대한 배플(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레이트(4)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용의 열교환기(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 중 적어도 2개는, 2개의 플레이트(4) 중 하나의 플레이트의 회로(8)가 2개의 플레이트(4) 중 다른 플레이트의 회로(8)의 거울상이 되도록, 한쌍의 플레이트로 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158951A FR2980840A1 (fr) | 2011-10-04 | 2011-10-04 | Plaque pour echangeur de chaleur et echangeur de chaleur muni de telles plaques |
FR1158951 | 2011-10-04 | ||
PCT/EP2012/069504 WO2013050396A1 (fr) | 2011-10-04 | 2012-10-02 | Plaque pour échangeur de chaleur et échangeur de chaleur muni de telles plaqu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9529A true KR20140089529A (ko) | 2014-07-15 |
Family
ID=47002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1761A Withdrawn KR20140089529A (ko) | 2011-10-04 | 2012-10-02 |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러한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교환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246179A1 (ko) |
EP (1) | EP2764314A1 (ko) |
KR (1) | KR20140089529A (ko) |
CN (1) | CN103988042A (ko) |
FR (1) | FR2980840A1 (ko) |
WO (1) | WO201305039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09732B2 (en) | 2015-12-11 | 2019-06-04 | Hanon Systems | Internal degas feature for plate-fin heat exchanger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81467B2 (ja) * | 2014-01-14 | 2018-02-21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インタークーラ |
FR3024771B1 (fr) * | 2014-08-06 | 2019-03-22 | Valeo Systemes Thermiques | Faisceau d'echangeur de chaleur et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ledit faisceau |
FR3026834B1 (fr) * | 2014-10-02 | 2019-10-25 | Valeo Systemes Thermiques | Ensemble comprenant au moins une premiere et une deuxieme plaque permettant de former un faisceau d'echange d'un echangeur de chaleur et un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cet ensemble |
US20160138874A1 (en) * | 2014-11-14 | 2016-05-19 |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 Shear flow condenser |
US9920686B2 (en) * | 2015-09-28 | 2018-03-20 | Hanon Systems | Water-cooled charge air cooler with integrated multi-stage cooling |
EP3404710A1 (en) * | 2017-05-18 | 2018-11-21 | Diabatix BVBA | Heat sink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EP3809090A1 (en) * | 2019-10-18 | 2021-04-21 | Valeo Autosystemy SP. Z.O.O. | A connection assembly |
WO2021138307A1 (en) | 2020-01-03 | 2021-07-08 |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 Aircraft heat exchanger assembly |
US11448132B2 (en) | 2020-01-03 | 2022-09-20 |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 Aircraft bypass duct heat exchanger |
US12297775B2 (en) | 2020-01-03 | 2025-05-13 | Rtx Corporation | Aircraft heat exchanger panel array interconnection |
US11674758B2 (en) | 2020-01-19 | 2023-06-13 |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 Aircraft heat exchangers and plates |
US11525637B2 (en) | 2020-01-19 | 2022-12-13 |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 Aircraft heat exchanger finned plate manufacture |
EP4239273A1 (en) * | 2020-01-19 | 2023-09-06 |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 Aircraft heat exchanger |
US11585273B2 (en) | 2020-01-20 | 2023-02-21 |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 Aircraft heat exchangers |
US11585605B2 (en) | 2020-02-07 | 2023-02-21 |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 Aircraft heat exchanger panel attachment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70868A (en) * | 1981-01-05 | 1983-02-01 | Borg-Warner Corporation | Distributor for plate fin evaporator |
US5113844A (en) * | 1988-12-12 | 1992-05-19 | Vulcan Australia Limited | Heat exchanger |
JPH02171591A (ja) * | 1988-12-26 | 1990-07-03 | Hitachi Ltd | 積層形熱交換器 |
US5137082A (en) * | 1989-10-31 | 1992-08-11 | Nippondenso Co., Ltd. | Plate-type refrigerant evaporator |
US5099913A (en) * | 1990-02-05 | 1992-03-31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Tubular plate pass for heat exchanger with high volume gas expansion side |
GB9426208D0 (en) * | 1994-12-23 | 1995-02-22 | British Tech Group Usa | Plate heat exchanger |
JP2001041674A (ja) * | 1999-08-03 | 2001-02-16 | Mitsubishi Heavy Ind Ltd | 熱交換器 |
US6318455B1 (en) * | 1999-07-14 | 2001-11-20 |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 Heat exchanger |
JP2003194488A (ja) * | 2001-12-28 | 2003-07-09 | Calsonic Kansei Corp | 熱交換器 |
US6866955B2 (en) * | 2002-05-22 | 2005-03-15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Cooling system for a fuel cell stack |
FR2869680B1 (fr) * | 2004-04-29 | 2006-07-28 | Valeo Thermique Moteur Sas | Echangeur de chaleur a plaques |
WO2007026432A1 (ja) * | 2005-08-31 | 2007-03-08 | Hitachi, Ltd. | Egrガス発電装置 |
US7377308B2 (en) * | 2006-05-09 | 2008-05-27 |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 Dual two pass stacked plate heat exchanger |
FR2933176B1 (fr) * | 2008-06-26 | 2017-12-15 | Valeo Systemes Thermiques Branche Thermique Moteur | Echangeur de chaleur comportant un faisceau d'echange de chaleur et un boitier |
US8646442B2 (en) * | 2010-01-15 | 2014-02-11 | Lennox Industries Inc. | Clamshell heat exchanger |
-
2011
- 2011-10-04 FR FR1158951A patent/FR2980840A1/fr not_active Withdrawn
-
2012
- 2012-10-02 EP EP12769647.4A patent/EP2764314A1/fr not_active Withdrawn
- 2012-10-02 KR KR1020147011761A patent/KR20140089529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10-02 WO PCT/EP2012/069504 patent/WO2013050396A1/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0-02 CN CN201280059742.0A patent/CN103988042A/zh active Pending
- 2012-10-02 US US14/349,474 patent/US20140246179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09732B2 (en) | 2015-12-11 | 2019-06-04 | Hanon Systems | Internal degas feature for plate-fin heat exchangers |
US11486662B2 (en) | 2015-12-11 | 2022-11-01 | Hanon Systems | Internal degas feature for plate-fin heat exchang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50396A1 (fr) | 2013-04-11 |
US20140246179A1 (en) | 2014-09-04 |
CN103988042A (zh) | 2014-08-13 |
EP2764314A1 (fr) | 2014-08-13 |
FR2980840A1 (fr) | 2013-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89529A (ko) |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러한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교환기 | |
US20150241142A1 (en) | Heat Exchanger Insert | |
US9562466B2 (en) |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a first fluid and a second fluid, both having U-circulation | |
US9920686B2 (en) | Water-cooled charge air cooler with integrated multi-stage cooling | |
US10240515B2 (en) | Heat exchanger, particularly motor vehicle engine charge air cooler | |
US20140216700A1 (en) | Heat Exchanger Plate With Bypass Zone | |
JP2015534030A (ja) | 熱交換器 | |
KR20140088122A (ko) | 적층된 플레이트를 갖는 열교환기 | |
US20130284409A1 (en) | Heat Exchanger And Associated Method Of Forming Flow Perturbators | |
KR20140116419A (ko) | 컬렉터를 포함하는 적층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 |
US10279648B2 (en) | Heat exchanger,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 |
US20140345838A1 (en) | Heat Exchanger And Corresponding Flat Tube And Plate | |
CN115176120A (zh) | 热交换器 | |
JP6607151B2 (ja) | インタークーラ | |
KR102038213B1 (ko) | 적층 판을 갖는 열교환기 | |
KR20140088125A (ko) | 열 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러한 플레이트를 구비한 열 교환기 | |
JP6460281B2 (ja) | インタークーラ | |
JP2001041109A (ja) | 排気熱交換器 | |
KR102605321B1 (ko) | 열교환기 | |
CN222418692U (zh) | 板式换热器 | |
KR101639542B1 (ko) | 적층된 판을 구비한 열교환기 | |
CN215766636U (zh) | 一种换热器 | |
US20240326547A1 (en) | Heat exchange device and battery heat exchange system | |
CN219327579U (zh) | 废气再循环冷却器及废气再循环冷却系统 | |
JP2019021872A (ja) | 積層型熱交換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71017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