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86041A -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041A
KR20140086041A KR1020120156053A KR20120156053A KR20140086041A KR 20140086041 A KR20140086041 A KR 20140086041A KR 1020120156053 A KR1020120156053 A KR 1020120156053A KR 20120156053 A KR20120156053 A KR 20120156053A KR 20140086041 A KR20140086041 A KR 20140086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play area
area
functional film
film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041A/ko
Publication of KR2014008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4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수용하는 케이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부에 확장되어 펼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필름층 및 상기 케이스 일측단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감거나 펼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 롤 형태로 감겨 있는 다양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켜 구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면서도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MUTIFUCTIONAL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필름들을 선택하고,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동시켜 이용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통신, 네트워크 접속, 디지털 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송수신, 인터넷 웹 브라우징 등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가 이용된다.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전기적인 신호가 화면에 화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대부분 고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에 해를 미치게 됨은 물론 시각적인 효과를 반감시키거나 눈의 피로를 유발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표면에 편광필름, 보안필름, 저반사필름 등의 다양한 기능성 필름들을 부착시킨다. 그러나, 상기 기능성 필름들은 일체형으로 접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성 필름들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특히, 플렉시블한 소재의 디스플레이부 사용시, 그 표면에 일체형으로 접합된 기능성 필름들을 부착하게 되면 기능성 필름들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곡률반경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일체형의 기능성 필름들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플렉시블하게 만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내에서 플렉시블 하도록 구성하는 공간의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되어 있고 그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을 이용하기에는 시각적으로 많은 제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고자 넓은 영역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경우,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가 제한된다.
따라서,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원하는 기능성 필름들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고,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한 인터넷 웹 브라우징 기능 등이 가능하면서도,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롤에 감겨 있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들을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겨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필요에 따라 펼치도록 하여 구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 편이성을 만족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수용하는 케이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부에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필름층 및 상기 케이스 일측단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감거나 펼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시블한 소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제1 롤러부 대향측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시 구동되는 영역 A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영역 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영역 A의 삼면과 접하면서 상기 영역 A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되며, 필요시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영역 B가 펼쳐지도록 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편광필름, 보안필름 및 저반사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 A 또는 상기 영역 B는 플렉시블 LCD 또는 플렉시블 OLED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와 접합하지 않고, 각각 롤 형태로 감겨 있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층을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펼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휘도 및 시야각 조절 등의 원하는 기능을 선택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롤 형태로 감겨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필요에 따라 펼치도록 하여 구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터넷 웹 브라우징, 동영상 구동시,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해준다.
또한,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장되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장되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제2 케이스의 이동에 따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영역, 케이스, 기능성 필름층 및 제1 롤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는 디스플레이 영역(2),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수용하는 케이스(3),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부에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필름층(4) 및 상기 케이스 일측단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감거나 펼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의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음성통화, 단문메시지 송수신,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시 구동이 가능하여 현재의 작동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해 준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당해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시블한 소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는 화면 자체가 마치 종이와 같이 롤 형태로 감았다가 펼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는 수만 번 이상 열고 닫아도 디스플레이의 성능에 변화가 없을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플렉시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LCD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적인 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이다. 또한, 상기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전계발광 현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여기서 LCD 및 OLED가 플렉시블하다는 것은 기존의 LCD 및 OLED의 액정을 싸고 있는 유리로 된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만들어 감았다가 펼칠 수 있는 유연성을 부여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케이스가 수용한다. 상기 케이스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어, 디스플레이가 깨지거나 스크래치가 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필름층이 확장되어 펼쳐진다.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넓이와 부합되거나 또는 더 넓게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다.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단말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편광필름, 보안필름 및 저반사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은 특정 방향의 편광을 만들어 화소별로 디스플레이의 나열 방향을 전기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화소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안필름은 빛의 측면 출사를 억제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야각을 줄임으로써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반사 필름은 외광 등에 의한 반사를 감소시켜 화질을 선명하게 하고, 사용자의 눈에 피로감이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이루고 있는 편광필름, 보안필름 및 저반사 필름은 일체형으로 서로 접합 되어있지 않다.
상기 편광필름, 보안필름 및 저반사 필름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두께가 1배 이상 크다. 따라서, 상기 필름들을 일체형으로 접합시키면 곡률반경이 그 필름들 두께의 세제곱에 비례해서 증가하므로, 필름들이 잘 휘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플렉시블한 정도를 높이기 어렵다. 반면에, 상기 필름들을 접합시키지 않고 각각 후술할 제1 롤러부에 감기도록 하게 되면, 필름들의 선택 사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 사용시, 그 표면에 일체형이 아닌 원하는 필름만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어, 두께가 얇아진다. 따라서, 곡률 반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플렉시블한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초박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필요가 있는데, 이 때문에 기능성 필름들을 일체형으로 접합시키지 않고 각각 후술할 제1 롤러부에 감기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펼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성 필름층을 선택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 일측단 내부에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기능성 필름층의 일면을 따라 감겨져 필요시 곧게 확장되어 펼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기능성 필름층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장되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필름(6), 보안필름(7) 및 저반사 필름(8)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필름층은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접합하지 않고 그 상부에 편광필름, 보안필름 및 저반사 필름 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 개의 기능성 필름층을 각각 감거나 펼칠 수 있는 제1 롤러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상기 세 개의 기능성 필름층을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다.
즉, 외광이 강한 경우 편광필름을 같이 사용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실내에서는 편광필름을 사용하지 않아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기능성 필름층의 적층 순서는 일례 일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적층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되는 기능성 필름층의 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한 개, 복수 개 선택해서 사용하거나, 또는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부는 기능성 필름층 자체가 감겨져 있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부의 중심에는 자동 되감기 기능을 갖는 롤러 또는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하는 롤러가 형성되어, 롤러의 외주면으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이 감기거나 펼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롤러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필름층이 펼쳐지도록 하고, 그 이동을 보다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제1 롤러부 대향측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확장되어 펼쳐진 기능성 필름층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상기 제1 롤러부 대향측의 케이스 내부에,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적으로 기능성 필름층을 펼치고, 클램핑부에 걸어 고정시키거나 클램핑부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길이만큼 기능성 필름층을 펼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자동 고정 모드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기능성 필름층의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미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는 키패드(key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 키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키 입력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 또는 측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넓은 범위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필요할 경우, 도 3의 형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시 구동되는 영역A(9)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영역 B(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영역 A의 삼면과 접하면서 상기 영역 A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11)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되며, 필요시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영역 B가 펼쳐지도록 하는 제2 케이스(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2 롤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역 A 및 영역 B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평상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가 결합된 형상으로 단말기를 휴대할 수 있고, 상시 구동되는 영역 A를 통해 일반적인 통화, 메시지 확인, 메뉴 설정, 스케줄 확인 등의 단순한 서비스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접속, 동영상 재생 등을 위해 넓은 범위의 영역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이동시켜 상기 영역 B가 외부로 노출된 형상으로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가 이동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영역 B를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영역 B가 깨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은 단말기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영역 B가 펼쳐짐과 동시에 상기 제1케이스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2 롤러부가 제1 케이스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 자체가 감겨져 있는 원통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부의 중심에는 자동 되감기 기능을 갖는 롤러 또는 모터의 회전에 연동하여 구동하는 롤러가 형성되어, 롤러의 외주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감기거나 펼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롤러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펼쳐지도록 하고, 그 이동을 보다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롤러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감거나, 필요시 확장되어 영역 B가 펼쳐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상기 제2 케이스가 이동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프레임에, 홈 및 돌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케이스가 이동하면서 영역 B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프레임 내부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케이스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는 용수철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케이스가 결합되는 표면 내외부로의 이동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홈과 결합 시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결합되지 않은 시에는 돌기의 최고 돌출점이 적어도 표면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는 영역 B로의 확장 시, 사용자의 소정에 힘에 의해 결합된 홈으로부터 이격된 다른 홈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홈-돌기의 결합과 관련된 자동 모드를 설정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영역 B로의 확장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역 A 또는 영역 B는 각각 플렉시블 LCD 또는 플렉시블 OLED인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영역 A 및 영역 B는 동종의 디스플레이 또는 이종의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역 A는 항상 구동이 가능해야 하므로, 내구성이 좋은 플렉시블 LCD 인 것이 좋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확장되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B가 확장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제1 롤러부에 감겨 있는 다양한 상기 기능성 필름층도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역 B까지 확장되어 펼쳐진 기능성 필름층이 영역 A까지 펼쳐지도록 감길 수 있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영역 A에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제외하고,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과 동일하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제2 케이스의 이동에 따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제2 케이스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케이스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 환경 변화, 즉, 장소와 시간에 따라 제1 롤러부에 각각 감겨 있는 다양한 기능성 필름층을 선택적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영역 B를 선택적으로 펼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영역 B를 이용하여 와이드형 화면으로 텔레비전 시청이나 재생된 동영상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내부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여 휴대 단말기의 휴대 편이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 휴대용 단말기
2: 디스플레이 영역
3: 케이스
4: 기능성 필름층
5: 제1 롤러부
6: 편광필름
7: 보안필름
8: 저반사필름
9: 영역 A
10: 영역 B
11: 제1 케이스
12: 제2 케이스
13: 제2 롤러부
14: 프레임

Claims (7)

  1. 디스플레이 영역,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수용하는 케이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부에 확장되어 펼쳐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필름층 및
    상기 케이스 일측단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필름층을 감거나 펼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시블한 소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제1 롤러부 대향측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시 구동되는 영역A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영역 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영역 A의 삼면과 접하면서 상기 영역 A를 수용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과 결합되며, 필요시 상기 영역 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영역 B가 펼쳐지도록 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부를 감거나 펼치기 위한 제2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필름층은 편광필름, 보안필름 및 저반사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역 A 또는 상기 영역 B는 플렉시블 LCD 또는 플렉시블 OLED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KR1020120156053A 2012-12-28 2012-12-28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Ceased KR20140086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53A KR20140086041A (ko) 2012-12-28 2012-12-28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53A KR20140086041A (ko) 2012-12-28 2012-12-28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41A true KR20140086041A (ko) 2014-07-08

Family

ID=5173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053A Ceased KR20140086041A (ko) 2012-12-28 2012-12-28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0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2804A (zh) * 2019-04-29 2020-10-30 三星显示有限公司 折叠部件及包括该折叠部件的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51A (ko) * 2003-04-24 2004-11-04 주식회사 팬택 출몰식 보안필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45221B1 (ko) * 2007-03-08 2008-07-09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액정화면 보호장치
US20110176260A1 (en) * 2010-01-20 2011-07-21 Michael Johannes Anna Maria Walters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US20120050075A1 (en) * 2010-08-24 2012-03-01 Salmon Peter C Retractable device
KR20120093665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551A (ko) * 2003-04-24 2004-11-04 주식회사 팬택 출몰식 보안필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45221B1 (ko) * 2007-03-08 2008-07-09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액정화면 보호장치
US20110176260A1 (en) * 2010-01-20 2011-07-21 Michael Johannes Anna Maria Walters Electronic Device With At Least One Extendable Display Section
US20120050075A1 (en) * 2010-08-24 2012-03-01 Salmon Peter C Retractable device
KR20120093665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2804A (zh) * 2019-04-29 2020-10-30 三星显示有限公司 折叠部件及包括该折叠部件的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7320B2 (en) Display apparatus
KR2014007928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372173B1 (ko) 이동 단말기
US10158748B2 (en) Mobile terminal with multiple display modules
US8229522B2 (en)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JP5302027B2 (ja) 情報通信端末
CN105549682B (zh) 便携式电子设备
KR101606707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818170B1 (ko) 두루마리형 유연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US7599720B2 (en) Portable device
US8380327B2 (en) Flexible electronic product having a shape change characteristic and method thereof
KR101347949B1 (ko) 지능형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통신 시스템
US8271047B2 (en) Mobile terminal u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20090091512A1 (en) Dual display device and multi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50270A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10811A (ja) 表示装置
KR2005008541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자기기
US8902499B2 (en) Displa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90006606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3962418B2 (ja) 情報表示装置
KR20140086041A (ko)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
JP2011170341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80194299A1 (en) Portable terminal
US20060172761A1 (en) Mobile phone having dual outer liquid crystal displays
JP2007096991A (ja) 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