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585A - Shaker tumbler for mixing of one touch type - Google Patents
Shaker tumbler for mixing of one touch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3585A KR20140083585A KR1020120153503A KR20120153503A KR20140083585A KR 20140083585 A KR20140083585 A KR 20140083585A KR 1020120153503 A KR1020120153503 A KR 1020120153503A KR 20120153503 A KR20120153503 A KR 20120153503A KR 20140083585 A KR20140083585 A KR 201400835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body
- tumbler
- storage means
- wall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내벽과,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내벽을 감싸는 외벽으로 이루어진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탈착되며, 그 내부의 공간은 상기 용기몸체의 공간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되는 저장수단과;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 또는 저장수단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부가 구비된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텀블러의 상부에 간단히 탈착시킬 수 있는 저장수단을 구성하여 텀블러와 저장수단에 각각 내용물과 혼입 대상물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혼입 대상물을 내용물에 혼입하여 혼합물로서 음용하고자 할 경우 저장수단을 한 동작으로 작동시켜 혼입 대상물을 내용물에 간단히 혼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과 텀블러의 이용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저장수단이 구비된 텀블러는 일반적인 음용뿐만 아니라 화장품, 혼합소주, 염색제, 접착제 및 각종 쉐이커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type shaker tumb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tumbler having a container body including an inner wall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for storing contents therein and an outer wall surrounding the inner wall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A storage means which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is opened / closed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body is disconnected from the space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ap having a coupling part at the bottom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storage means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tumbler so that the contents and the objects to be mixed can be separately stored in the tumbler and the storage means,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tumbler can be further improved. Thus, the tumbler having the storage means can be used not only for general drinking, but also for cosmetics, Soju, dyes, adhesives, various shakers, and the li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이종의 물질을 개별적으로 보관해두고 음용시에는 개별적으로 보관되어 있던 이종의 물질을 간단히 혼합시켜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type mixing shaker tumbl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ker tumbler for one-touch mixing, in which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are individually stored and mixed with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Tumbler.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굽과 손잡이가 없는 큰 잔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통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의 상단부에 마개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커피나 음료 등을 담아 마시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tumbler means a large cup without a heel and a handle. The tumbler is configured to close a cap at the upper end of a container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is used for drinking coffee or drinks.
이러한 텀블러는 일반적인 컵이나 일회성 용기에 비하여 보온성 및 휴대성이 용이하여 뜨거운 커피나 냉온수 및 기타 음료수를 담는 용기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se tumblers are easier to maintain their warmth and portability than ordinary cups and one-time containers, and are widely used as containers for hot coffee, cold water and other beverages.
한편, 식재료와 음료 등을 즉석에서 혼입하여 섭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식재료와 음료를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는 구조 및 간단하게 혼입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는데, 전술한 텀블러의 경우 식재료를 음료와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식재료의 보관 및 식재료와 음료의 혼입 등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gest food ingredients and beverages in an instant,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ing and storing these food materials and beverages, and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easily incorporated. In the case of the tumbler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storage of food ingredients and mixing of food ingredients and beverages ar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예컨대, 액상요거트에 시리얼 등의 건조된 과자류 등을 섞어서 섭취하는 경우, 미리 섞어서 유통하는 경우라면 시리얼의 바삭한 식감과 고유의 맛 내지 빛깔 등을 상실하게 되고, 즉석에서 혼합된 상태의 식감과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liquid yogurt is mixed with dried confectionery such as cereal or the like, if it is mixed and circulated in advance, the crisp texture of the cereal, inherent taste or color, and the like are lost, .
이처럼, 칵테일, 냉수와 아이스커피분말, 우유와 초콜릿, 미숫가루나 선식과 물, 각종 의약품 및 화학품을 포함한 혼입음료, 혼입주류 및 혼입약품 등의 제품의 경우 즉석 혼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였다.Thus, there wa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instantaneous incorporation of products such as cocktails, cold water and iced coffee powder, milk and chocolate, viscous lunisine and water, mixed drinks including various medicines and chemicals, mixed liquors and mixed medicine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423호는 병뚜껑에 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용기의 내용물 배출방향에 적용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인 병뚜껑은, 용기목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조립되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로 구성되고, 상기한 본체의 상부 지지부를 중심으로는 피작동부를 조립하되, 상기한 피작동부는 별도의 작동부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작동부의 하강용작동부가 피작동부에 결합되며, 상기한 구조의 피작동부 하단부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개폐공을 밀폐시키는 개폐부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04423 discloses an invention relating to a bottle cap. Specifically, a bottle cap, which is a heterogeneous material receiving device applied to the direction of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includes a body coupled to the container neck, And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to be assembl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operated portion is assembled around the upper support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operated portion can be downwardly moved by a separate operating portion. The lowering operation part is coupled to the operated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operated part of the structure ha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sealing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of the storage space.
그리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423호에 의하면, 본 발명의 내부저장공간에는 고순도의 액체나 분말을 별도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즉석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는바, 음용하는 것의 경우, 항상 신선한 내용물을 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고, 또한, 그 혼합된 내용물을 상방에 형성된 별도의 배출수단을 통해 병뚜껑을 용기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도 있는 것임을 기재하고 있다.According to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04423, high-purity liquid or powder is separately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ixture is used immediately when necessary. In case of drink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discharge the mixed contents without separating the bottle lid from the container through a separate discharging means formed on the upper part.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423호를 포함한 종래의 방식들은 뚜겅구조가 매우 복잡하거나 혼합하는 과정에서 병안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등의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사용이 불편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ystems including th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04423, problems such as a lid structure being very complicated or a foreign matter being injected into the bottle are frequently encountered during the mixing process,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So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몸체의 상부에 간단하게 탈착될 수 있는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그러한 저장수단과 용기몸체에 서로 다른 물질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저장수단에 저장된 물질을 용기몸체의 물질에 간단히 혼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와 관련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device capable of simply storing and dismoun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type mixing shaker tumbler which can be used by simply mixing the substanc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with the substance of the container body as nee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몸체와; 용기몸체의 상부에 탈착되며, 혼입 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이 용기몸체의 공간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되는 저장수단과; 용기몸체의 상부 또는 저장수단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부가 구비된 마개;와 관련된다.A container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store contents therein; A storage unit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opens and close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object to be mixed is stored is separated from the space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ap having a coupling portion at the bottom so as to be able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means.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용기몸체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 내측둘레에 마개의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구비된 내벽과,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내벽을 감싸는 외벽으로 이루어진 것과 관련된다.The container body is composed of an inner wall formed with a screw thread so as to be formed with a space for storing the contents therein and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lug at the upper inner periphery, and an outer wall surrounding the inner wall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저장수단의 개폐부재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치우쳐진 어느 한쪽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수용부의 하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부와; 내부에 저장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고정부의 수용부에 끼워지며, 저장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치우쳐진 어느 한쪽에는 구멍이 형성된 가동부와; 고정부의 삽입공을 통해 가동부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고정부로부터 가동부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켜주는 체결부재;와 관련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storage means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a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from the center, A movable part formed in the bottom part of the bottom part of the storage part and having a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bottom 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part;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movable part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fastening part to fix the movable part rotatably from the fastening part.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More preferably,
가동부의 저장부 상측 내측둘레에 마개의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것과 관련된다.And a screw thread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topper arou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storage portion of the movable por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Preferably,
고정부에는 결합부 내측둘레에 상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거름망이 구비된 것과 관련된다.
And 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ltering net so that the upper portion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은 텀블러의 상부에 간단히 탈착시킬 수 있는 저장수단을 구성하여 텀블러와 저장수단에 각각 내용물과 혼입 대상물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혼입 대상물을 내용물에 혼입하여 혼합물로서 음용하고자 할 경우 저장수단을 한 동작으로 작동시켜 혼입 대상물을 내용물에 간단히 혼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과 텀블러의 이용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저장수단이 구비된 텀블러는 일반적인 음용뿐만 아니라 화장품, 혼합소주, 염색제, 접착제 및 각종 쉐이커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torage means which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umbler so that the contents and the objects to be mixed can be separately stored in the tumbler and the storage means. The tumbler provided with the storage means can be used not only for general drinking but also for cosmetics and mixed shochu, , Dyes, adhesives, various shakers, and the lik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텀블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텀블러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텀블러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는 도 3a 의 A-A 선 요부 단면도이다.
도 4b 는 도 3b 의 B-B 선 요부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A.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B.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쉐이커 텀블러의 구성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몸체(100)와, 용기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혼입 대상물(400)이 저장된 후 필요에 따라 저장되어 있던 혼입 대상물(400)을 용기몸체(100)로 이동시켜 내용물(도면중 미도시)에 혼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저장수단(200)과, 용기몸체(100)의 상부 또는 저장수단(200)의 상부에 체결되는 마개(300)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 각 구성에 대해 도 1 과 도 2 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shaker tumb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용기몸체(100)는,The container body (100)
내용물이 저장되는 부분으로 그 구성을 보면, 일정한 깊이의 공간부(130)를 가지는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 재질의 내벽(110)과 그러한 내벽(110)의 외측둘레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감싸면서 설치되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외벽(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벽(120)과 내벽(110)은 상단과 하단이 연결수단(도면부호 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된 것이다.The
여기서 연결수단은 상단의 경우 내벽(110)의 상단이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끼움부를 형성하게 되고 그러한 끼움부에 외벽(120)의 상단이 끼워지게 되면서 내벽(110)과 외벽(120)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되도록 한 것이며, 이때 내벽(110)의 끼움부 안쪽에는 실링부재를 설치하여 내벽(110)과 외벽(120)의 밀폐력이 더욱 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또한 하단의 경우 별도의 받침부를 구성하여 받침부 상면의 단턱진 바깥둘레 안쪽에 외벽(120)의 하단이 고정되고, 받침부의 상면 중앙은 내벽(110)의 저면과 체결되도록 구성하며, 이때 받침부의 단턱진 바깥둘레 안쪽에도 실링부재를 설치하여 받침부와 외벽(120)간의 밀폐력이 더욱 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is formed as a separate support part,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내벽(110)의 상측 내면에는 나사선(111)을 형성한 것인데, 이는 후술 되는 마개(300)가 용기몸체(100)에 결합될 때 마개(300)의 결합부(310)가 내벽(110)의 나사선(111)과 결합되면서 용기몸체(100)에 마개(300)가 견고하면서 밀폐력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The connecting
저장수단(200)은,The storage means (200)
용기몸체(100)의 공간부(130)와 단절된 상태로 용기몸체(100)의 상부에 탈착되며, 그 내부공간에는 혼입 대상물(400)이 저장되는 수단으로서, 이때 저장수단(200)의 하부 외측둘레에는 결합부(211e)를 형성하여 용기몸체(100)의 상부 내벽에 구비된 나사선(111)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저장수단(200)의 상부 내측둘레에도 나사선(212e)을 형성하여 저장수단(200)의 상부로 마개(300)가 결합될 때 마개(300)의 결합부(310)가 저장수단(200)의 나사선(212e)에 체결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이러한 저장수단(200)의 사용은 저장수단(200)의 내부 공간에 혼입 대상물(400)이 저장한 상태에서 저장수단(200)의 하부로는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몸체(100)가 연결되고, 저장수단(200)의 상부에는 마개(300)를 체결하여 두고 사용시 내용물이 담겨져 있는 용기몸체(100)로부터 저장수단(200)을 분리한 후 용기몸체(100)의 공간부(130)로 저장수단(200)의 개구된 상부를 기울이거나 뒤집어 저장수단(200)의 혼입 대상물(400)을 용기몸체(100)의 내용물에 혼입시킨 다음 흔들어 음용 하거나 적절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use of the storage means 200 is such that the
한편, 이러한 저장수단(2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저장수단(200)의 혼입 대상물(400)을 용기몸체(100)의 내용물에 혼입시킬 때 원터치 방식으로 혼입시킬 수 있도록 저장수단(200)에 개폐부재(210)를 구비한 것이다.In order to mix the
즉, 개폐부재(210)는, 내부에 일정한 깊이의 수용부(211a)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211a) 바닥면(211b) 중앙에는 삽입공(211c)이 형성되며, 바닥면(211b) 중앙으로부터 치우쳐진 어느 한쪽에는 상하면을 서로 관통하는 통공(211d)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11a)의 하부에는 바닥면(211b)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11e)가 형성된 고정부(211)와,The insertion opening 211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내부에 일정한 깊이의 저장부(212a)가 형성되고, 하부는 고정부(211)의 수용부(211a) 내경과 상응하여 끼워지며, 저장부(212a)의 바닥면(212b) 중앙에는 체결홈(212c)이 형성되고, 바닥면(212b)의 중앙으로부터 치우쳐진 어느 한쪽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구멍(212d)이 형성된 가동부(212)와,And a lower portion is fit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고정부(211)의 삽입공(211c)을 통해 가동부(212)의 체결홈(212c)에 체결되어 고정부(211)로부터 가동부(212)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켜주는 체결부재(213)로 구성된 것이다.And a fastening
따라서 고정부(211)의 상부로 가동부(212)를 올려 고정부(211)의 수용부(211a)로 가동부(212)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한 후 체결부재(213)가 고정부(211)의 삽입공(211c)을 관통하여 가동부(212)의 체결홈(212c)에 체결되면 고정부(211)로부터 가동부(212)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체결부재(213)의 체결력에 따라 고정부(211)로부터 가동부(212)의 회전되는 정도가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
즉, 체결부재(213)의 체결력에 따라 고정부(211)로부터 가동부(212)가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거나 고정부(211)로부터 가동부(212)가 회전된 후 그 회전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depending on the fastening force of the
또한 고정부(211)로부터 가동부(212)가 회전될 때 고정부(211)의 통공(211d)과 가동부(212)의 구멍(212d)이 어느 한 회전지점에서 서로 일치되면 가동부(212)의 저장부(212a)에 저장되어 있던 혼입 대상물(400)이 가동부(212)의 구멍(212d)과 고정부(211)의 통공(211d)을 거쳐 그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때 혼입 대상물(40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가동부(212)의 구멍(212d)과 고정부(211)의 통공(211d)은 그 개수 및 크기 및 배열 등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through
본 발명에서는 구멍(212d)과 통공(211d)의 실시 예로서, 부채꼴 형태의 구멍(212d)과 통공(211d)을 바닥면(211b)(212b)의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세 곳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함으로써 가동부(212)를 고정부(211)로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부(211)의 통공(211d)과 가동부의 구멍(212d)은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어 가동부(212)의 저장부(212a)에 저장된 혼입 대상물(400)이 저장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가동부(212)를 고정부(211)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부(211)의 통공(211d)과 가동부(212)의 구멍(212d)이 서로 일치되면서 가동부(212)의 저장부(212a)에 저장된 혼입 대상물(400)이 구멍(212d)과 통공(211d)을 통해 저장수단(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mbodiment of the
아울러 고정부(211)의 하부, 즉 수용부(211a)의 바닥면(211b) 저면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결합부(211e)를 구성하여 고정부(211)가 용기몸체(100)에 결합될 때 고정부(211)의 결합부(211e)가 용기몸체(100)의 나사선(1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가동부(212)의 상측 내면에는 나사선(212e)을 구성하여 가동부(212)의 상부에 마개(300)가 체결될 때 마개(300)의 결합부(310)가 가동부(212)의 나사선(212e)과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몸체(100)와 저장수단(200)과 마개(300)를 일체 형태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fixing
마개(300)는,
The stopper (300)
용기몸체(100)의 상부에 직접 결합되거나, 용기몸체(100)에 저장수단(200)이 결합될 경우 그 저장수단(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마개(300)의 하부에는 용기몸체(100)의 상부 내면에 위치한 나사선(111) 또는 저장수단(200)의 상측에 위치한 나사선(212e)에 체결될 수 있도록 결합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결합부(310)의 상측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마개(300)와 용기몸체(100) 또는 마개(300)와 저장수단(200)간의 밀폐력이 더욱 커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또한 마개(300)의 상부에는 마개(300)가 용기몸체(100) 또는 저장수단(200)에 결합되어 있을 때 마개(30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몸체(100)의 내용물 또는 저장수단(200)의 혼입 대상물(400) 또는 내용물과 혼입 대상물(400)의 혼합물을 음용하기 위한 음용공(320)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기압조절공(340)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기압조절공(340)과 음용공(3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캡(330)이 구성된 것이다.
The contents of the
이러한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의 사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using the one-touch type shaker tumbler is as follows.
본 발명의 텀블러는 두 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나의 방법은 용기몸체(100)의 공간부(130)에 커피나, 냉온수, 우유, 음료수와 같은 액체성분의 내용물을 저장시켜두고 용기몸체(100)의 상부는 마개(300)를 체결하여 보관 또는 휴대하다가 저장된 내용물을 간단하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tumbl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wo forms. One method is to store contents of a liquid component such as coffee, cold / hot water, milk, and drinking water in the
그리고 다른 방법은 용기몸체(100)의 상부에 저장수단(200)을 설치하고, 그 저장수단(200)의 상부에는 마개(300)를 설치한 후 도 3a 및 도 4a 와 같이 저장수단(200)의 내부에는 미숫가루나 씨리얼과 같은 건조상태의 분말식품 또는 건조 또는 점도가 있는 액상형태의 과일이나 초콜릿 등의 혼입 대상물(400)을 저장해두고, 용기몸체(100)에는 액체성분의 내용물을 담아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혼입 대상물(400)을 내용물에 혼합시켜 음용하고자 할 경우 도 3b 및 도 4b 와 같이 저장수단의 가동부(212)를 회전시켜주게 되면 가동부(212)의 혼입 대상물(400)이 용기몸체(100)의 내용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As another method, the storage means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이후 용기몸체(100)를 흔들어 서로 혼합되도록 한 후 저장수단(200)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마개(300)의 음용공(320)을 통해 음용하거나 저장수단(200)을 용기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용기몸체(100)의 혼합물을 그대로 음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저장수단(200)에 체결된 마개(300)를 분리한 다음 용기몸체(100)에 그 마개(300)를 체결하여 마개(300)의 음용공(320)을 통해 혼합물을 안전하게 음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The
한편, 이와 같은 텀블러는 단순히 음용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혼합커피, 화장품, 혼합소주, 염색제, 접착제, 각종 쉐이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uch a tumbler is not limited to drinking, and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mixed coffee, cosmetics, mixed soju, dyes, adhesives, various shakers, and the like.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저장수단(200)의 고정부(211)에 형성된 결합부(211e) 내주면에 티필터와 같은 거름망(도면중 미도시)을 탈착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녹차와 같이 잎을 우려서 음용하거나 원두가루를 이용한 드립커피를 음용하는 용도로도 저장수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Not shown in the drawing) such as a tee filt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즉, 가동부(212)의 저장부(212a)에 녹차잎 또는 원두가루를 저장시켜 보관하다가 녹차 또는 드립커피를 마시고자 할 경우 가동부(212)를 회전시키면 녹차잎 또는 원두가루가 가동부(212)의 구멍(212d)과 고정부(211)의 통공(211d)을 거쳐 고정부(211)의 하부에 설치된 거름망에 놓여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온수를 저장수단(200)에 넣어주게 되면 온수가 거름망의 녹차잎 또는 원두가루를 거쳐 용기몸체(100)에 떨어지게 되어 녹차 및 원두커피를 즉석에서 간단하게 만들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green part or the ground bean is stored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용기몸체 110 : 내벽
111, 212e : 나사선 120 : 외벽
130 : 공간부 200 : 저장수단
210 : 개폐부재 211 : 고정부
211a : 수용부 211b : 바닥면
211c : 삽입공 211d : 통공
211e, 310 : 결합부 212 : 가동부
212a : 저장부 212b : 바닥면
212c : 체결홈 212d : 구멍
213 : 체결부재 300 : 마개
320 : 음용공 330 : 캡
340 : 기압조절공 400 : 혼입 대상물100: container body 110: inner wall
111, 212e: thread 120: outer wall
130: space unit 200: storage means
210: opening / closing member 211:
211a: receiving
211c:
211e, 310: coupling portion 212: movable portion
212a:
212c:
213: fastening member 300: stopper
320: drinking ball 330: cap
340: Pressure regulator 400: Entrained object
Claims (5)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에 탈착되며, 혼입 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이 상기 용기몸체의 공간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개폐부재를 통해 개폐되는 저장수단; 및
상기 용기몸체의 상부 또는 저장수단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결합부가 구비된 마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A container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store contents therein;
A storage means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opens and closes through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 a state where an internal space in which an object to be mixed is stored is separated from a space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ap having a coupling part at the bottom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means;
Shaped shimmer tumbler.
상기 용기몸체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 내측둘레에 마개의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구비된 내벽과, 상기 내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내벽을 감싸는 외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body includes:
Wherein the inner wall is formed with an inner wall having a screw thread so as to be coupled with a coupling portion of a cap at an inner periphery of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outer wall surrounding the inner wall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tumbler.
상기 저장수단의 개폐부재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치우쳐진 어느 한쪽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부;
내부에 저장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고정부의 수용부에 끼워지며,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 중앙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치우쳐진 어느 한쪽에는 구멍이 형성된 가동부; 및
상기 고정부의 삽입공을 통해 가동부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고정부로부터 가동부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시켜주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 movable part formed in the bottom part of the bottom part of the storage part and having a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bottom part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part;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of the movable part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fastening part to fix the movable part rotatably from the fastening part;
Shaped shimmer tumbler.
상기 가동부의 저장부 상측 내측둘레에 마개의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part of the movable par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art of the stopper.
상기 고정부에는
결합부 내측둘레에 상부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거름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 혼입용 쉐이커 텀블러.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tumbler is provided with a filtering net so that an upper portion thereof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upl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3503A KR20140083585A (en) | 2012-12-26 | 2012-12-26 | Shaker tumbler for mixing of one touch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3503A KR20140083585A (en) | 2012-12-26 | 2012-12-26 | Shaker tumbler for mixing of one touch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3585A true KR20140083585A (en) | 2014-07-04 |
Family
ID=5173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3503A Abandoned KR20140083585A (en) | 2012-12-26 | 2012-12-26 | Shaker tumbler for mixing of one touch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83585A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5180A (en) | 2015-01-07 | 2016-07-15 | 정충효 | TUMBlER |
KR101677211B1 (en) * | 2016-05-19 | 2016-11-17 | 주식회사 씨투 | Grinder tumbler |
WO2017143251A1 (en) * | 2016-02-18 | 2017-08-24 | John Cronin | Portable, pod-based smoothie maker |
KR20180037872A (en) * | 2016-10-05 | 2018-04-13 | 이강현 | Tea-tumbler |
KR200487322Y1 (en) * | 2017-03-06 | 2018-09-04 | 주식회사 유성스파랜드 | Steam supplying apparatus for medicinal herb in sauna |
CN109068879A (en) * | 2016-03-04 | 2018-12-21 | 酷吉尔国际有限公司 | Rocking cup |
WO2019078549A1 (en) * | 2017-10-20 | 2019-04-25 | 김인근 | Auxiliary holder for assisting coffee powder, dispensed from grinder-dispenser of coffee machine, to be accommodated in holder cup in uniform density |
US10641547B2 (en) | 2016-02-18 | 2020-05-05 | Vejo Ip Ag | Pod-based smoothie maker |
CN111703676A (en) * | 2020-07-26 | 2020-09-25 | 江苏金羚羊食品有限公司 | Bottom cover for ready-to-fit container and ready-to-fit container |
KR102220009B1 (en) | 2020-05-21 | 2021-02-24 | 정동근 | Cooling cocktail beverage-manufacturing device |
KR20210129914A (en) * | 2020-04-21 | 2021-10-29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Bottle cap with storage space for contents |
KR102456099B1 (en) * | 2021-12-31 | 2022-10-18 | 성도테크 주식회사 | The bottle container which can distribute water |
-
2012
- 2012-12-26 KR KR1020120153503A patent/KR20140083585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85180A (en) | 2015-01-07 | 2016-07-15 | 정충효 | TUMBlER |
US10641547B2 (en) | 2016-02-18 | 2020-05-05 | Vejo Ip Ag | Pod-based smoothie maker |
WO2017143251A1 (en) * | 2016-02-18 | 2017-08-24 | John Cronin | Portable, pod-based smoothie maker |
US10336598B2 (en) | 2016-02-18 | 2019-07-02 | Jooster IP AG | Portable, pod-based smoothie maker |
CN109068879A (en) * | 2016-03-04 | 2018-12-21 | 酷吉尔国际有限公司 | Rocking cup |
KR101677211B1 (en) * | 2016-05-19 | 2016-11-17 | 주식회사 씨투 | Grinder tumbler |
KR20180037872A (en) * | 2016-10-05 | 2018-04-13 | 이강현 | Tea-tumbler |
KR200487322Y1 (en) * | 2017-03-06 | 2018-09-04 | 주식회사 유성스파랜드 | Steam supplying apparatus for medicinal herb in sauna |
WO2019078549A1 (en) * | 2017-10-20 | 2019-04-25 | 김인근 | Auxiliary holder for assisting coffee powder, dispensed from grinder-dispenser of coffee machine, to be accommodated in holder cup in uniform density |
KR20210129914A (en) * | 2020-04-21 | 2021-10-29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Bottle cap with storage space for contents |
KR102220009B1 (en) | 2020-05-21 | 2021-02-24 | 정동근 | Cooling cocktail beverage-manufacturing device |
CN111703676A (en) * | 2020-07-26 | 2020-09-25 | 江苏金羚羊食品有限公司 | Bottom cover for ready-to-fit container and ready-to-fit container |
KR102456099B1 (en) * | 2021-12-31 | 2022-10-18 | 성도테크 주식회사 | The bottle container which can distribute wa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83585A (en) | Shaker tumbler for mixing of one touch type | |
US20170129665A1 (en) | Pod shaker bottle with lid | |
US9215953B2 (en) | Sealed filtering and mixing jar | |
US8147120B2 (en) | Disposable shaker | |
CN108349621A (en) | Sectional bottle and cup | |
US20180009590A1 (en) | Portable Feeding Bottle | |
KR20100085040A (en) | Safety sealed reservoir cap | |
US20160123786A1 (en) | Dual lid container-dispenser apparatus | |
US20130256307A1 (en) | Loose tea brewing lid | |
US20130163370A1 (en) | Mixing Device | |
KR101348415B1 (en) | 2-pack beverage container | |
WO2008020301A1 (en) | A drinking vessel | |
US8074915B2 (en) | Container with a grinder | |
CN201436243U (en) | Storage room cover with safe seal | |
CN110234256B (en) | Infusion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 |
US8287177B2 (en) | Cocktail mixer with rotatable top | |
US9902537B2 (en) |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JP2024502681A (en) | beverage container | |
US20090120892A1 (en) | Bottle delivery system and methods thereof | |
KR101919108B1 (en) | Tumbler for extracting tea | |
JP2021172368A (en) | Portable food storage container | |
KR101740663B1 (en) | The cap of beverage container for a built-in pill | |
KR100985208B1 (en) | Functional lid of container with health food | |
WO2005105612A1 (en) | Plastic vessel | |
KR200495854Y1 (en) | Beverage container stopper for pill intestines with separate pie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