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82972A - 승강기 - Google Patents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972A
KR20140082972A KR1020147009561A KR20147009561A KR20140082972A KR 20140082972 A KR20140082972 A KR 20140082972A KR 1020147009561 A KR1020147009561 A KR 1020147009561A KR 20147009561 A KR20147009561 A KR 20147009561A KR 20140082972 A KR20140082972 A KR 20140082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ar
roof
drive
receiving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슈페터 브로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8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97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승강기용 승강실 (3) 이 승강로 (2) 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승강실 지붕 (5) 을 가지며, 승강실 지붕 위에서 구동 유닛 (4) 이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보호 디바이스 (6) 가 구동 유닛의 근방의 측의 영역에서 승강실 지붕 (5) 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디바이스는 중앙의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 중단되는 난간 (7) 을 갖는다. 보호 디바이스 (6) 는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 비임 (8) 을 갖고, 상기 비임은 난간 (7) 에 대해 아래쪽으로 그리고 안쪽으로 오프셋된다.

Description

승강기{ELEVATOR}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는 예컨대 지지 케이블 또는 지지 벨트 형태의 지지 수단에 의하여 구동 유닛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상하 이동가능한 승강실을 포함한다. 얼마 전부터, 이른바 무-기관실 (engine-room-less) 승강기가 점점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구동 유닛이 더 이상 별개의 기관실이 아니라 승강로 내에 배치되는 승강기 설비이다. 그 경우, 구동 유닛은 상부, 즉 승강로의 승강로 헤드의 영역에 통상적으로 위치된다.
예컨대 유지 작업 또는 검사와 같은 특정 상황의 경우, 사람이 승강실 지붕에 서 있을 필요가 있다. 승강실과 인접하는 승강로 벽 사이의 갭의 폭이 너무 넓다면, 추락에 대한 보호를 위한 보호 디바이스가 승강실 지붕에 설치되어야 한다. 예컨대, 유럽 표준 EN 81-1 (1998 년) 은 승강실 지붕 및 필요한 보호 디바이스의 설계 및 치수결정에 대한 상세한 사양과 함께 지시를 담고 있다.
기관실을 갖지 않고 승강실을 넘어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구동 유닛을 갖는 승강기는, EP 926 093 A1 으로부터 알려졌고, 이 문헌에서 EN 81-1 (1998 년) 의 본질에 따른 사양이 실현되었다. 중첩 영역 또는 돌출된 섀도우 (projected shadow) 와는 별개로, 드라이브와 승강실 지붕 사이에 배치되는 정도로 지붕 에지로부터 안쪽으로 오프셋되도록 승강실 지붕에 보호 디바이스 (레일링) 가 배치된다. 보호 디바이스의 이러한 배치는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WO 03/09530 A1, JP 2008 110863 및 JP 2011 037580 은 에지에서 승강실 지붕에 각각 배치된 보호 디바이스를 갖는 승강실을 보여준다. WO 03/09530 A1 은 전체 승강실 측에 걸쳐 직선의 수평방향 바아 (bar) 의 형태로 연장되는 난간 (handrail) 을 개시한다. 바아를 지지하는 포스트들이 변위 가능하도록 수직방향 가이드에 설치되므로, 난간은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JP 2008 110863 에서, 보호 디바이스의 수직방향 섹션들은 신축가능하도록 (telescopic)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JP 2011 037586 은 역전된 U 의 형태로 설계된 간단한 개별 레일링으로 구성되는 세그먼트화된 (segmented) 보호 디바이스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하는 것과, 특히, 승강실 지붕의 공간의 유용성을 최적화한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들을 갖는 승강기에 의해 실현된다. 보호 디바이스는 구동 유닛을 마주보는 측의 영역에서 지붕 에지에 인접하게 승강실 지붕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가 바람직하게는 대략 중앙에서 중단되는 난간을 갖는다는 사실 때문에, 승강로 높이의 최적 활용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디바이스의 설계로, 구동 유닛의 하단부가 난간보다 더 깊게 놓이는 승강실의 상측 이동 위치 (upper travel positions) 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한 극단 위치에서, 구동 유닛은 측면도에 있어서 난간의 아래쪽으로 돌출할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는 지붕 가장자리에 바로 인접하게 승강실 지붕에 배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개별 보호 디바이스가 구동 유닛과 승강실 지붕 사이의 중첩 영역에서 승강실 지붕에 배치된다면, 유리한 공간 조건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중첩 영역은 승강실 지붕에서 구동 유닛의 돌출된 섀도우 또는 수직방향 돌출부 (vertical projection) 에 해당한다. 승강기는, 구동 유닛의 수용을 위해 난간의 중단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 난간에 대해 아래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바아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아는 승강실 지붕에 있는 사람을 위한 추락에 대한 최소 보호를 보장한다.
안전공학 면에서, 바아가 난간에 대해 안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승강실 지붕에 있는 사람과 승강실이 승강로 헤드의 영역으로 상향 이동하는 동안에 구동 유닛으로부터 걸어 나오는 사람의 부상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경우, 구동 유닛과 승강실 지붕 사이의 중첩 영역에 더 이상 놓이지 않을 정도로 안쪽으로 오프셋되도록 적어도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 바아가 배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경우, "안쪽으로" 는 승강실 지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또는 구동 유닛과 관련된 승강실 벽에 반대편의 승강실 벽의 방향을 의미한다.
실시형태의 다른 형태에서, 보호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난간의 높이의 대략 절반 높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아는 중간 로드에 평행한 직선을 따르는 적어도 섹션에서 (in a section) 연장될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는 강화 디바이스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거나 연속적인 중간 로드를 가질 수 있다. 그렇지만, 중간 로드가 (난간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모드와 방식에서) 바람직하게는 중앙에서 중단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디바이스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 수용 영역의 각 측에 개별 중간 로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아는 중간 로드로부터 이격된 직선을 따르는 적어도 섹션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 경우, 바아는 중간 로드로부터 또는 중간 로드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직선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는 드라이브 수용 영역 근방의 각 측에 개별 내측 및 외측 포스트를 가질 수 있다. 그 경우, 난간의 개별 난간 섹션이 하나의 내측 포스트로부터 다른 하나의 외측 포스트까지 연장되거나 또는 포스트들을 함께 연결할 수 있다. 외측 포스트들은 유리하게는, 코너 영역에서 승강실 지붕에 배치될 수 있다. 2 개의 내측 포스트들 사이의 공간이 드라이브 수용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바아는 외측 포스트들에 고정될 수 있다. 내재적으로, 바아를 유사하게 내측 포스트들에 고정하는 것을 또한 부가적으로 생각할 수 있고, 이로써 추락에 대한 보호를 위한 더 안정적이고 부가적으로 보강된 구조가 획득될 것이다. 그렇지만, 본질적으로, 더 짧은 바아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가 단지, 2 개의 내측 포스트들을 함께 연결한다.
바아는 바아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에 의해 외측 및/또는 내측 포스트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바아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난간에 대해 안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승강기가 승강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구동 유닛과 작동 연결 (operative connection) 되고, 구동 유닛과 관련된 승강로 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안내됨) 을 포함한다면, 드라이브 수용 영역이 난간에 대해 아래쪽으로 오프셋된 바아에 의해 지지 수단을 마주보고, (보호 디바이스의 정면도에서) 지지 수단을 덮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모델로 행한 시험 및 실험은, 바와 함께 지지 수단이 심지어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도 추락에 대한 충분한 보호를 보장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승강기가 승강실 및/또는 평형추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 (구동 유닛과 관련된 승강로 벽에 배치됨) 을 포함하는 경우, 드라이브 수용 유닛이 드라이브 측에서 가이드 레일을 덮는다면, 관리인의 안전이 더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설명에 따른 승강기를 위한 승강실에 관한 것이다. 승강실은 승강실 지붕을 갖고, 승강실 지붕은 승강실 지붕의 일 측에, 바람직하게는 대략 중앙에서 중단된 난간을 갖는 보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그 경우, 난간의 중단은 구동 유닛의 적어도 부분적인 수용을 위한 영역을 미리 결정하고, 보호 디바이스는 적어도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 난간에 대해 아래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된 바아를 갖는다. 상기 유닛의 부분적인 수용은 승강실이 승강로의 최상단 위치에 있는 때에 일어날 수 있다. 그렇지만, 난간의 특별한 설계가 구동 유닛과 보호 디바이스 사이에 그러한 종류의 수용 위치를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 유닛이 상기한 드라이브 수용 구역에 수용될 수 있거나 또는 수용가능하다면, 그 자체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른 개별적인 특징 및 이점은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하다.
도 1 은 승강실의 매우 간략화된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실의 승강실 지붕의 간략화된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승강실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승강실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1 은 기관실이 없는 건물용 승강기 (1) 를 보여준다. 승강기 (1) 는사람 또는 물품의 수송을 위한 상하 이동가능한 승강실 (3) 을 포함한다. 승강실의 이동은 예컨대 언더루핑 (under-looping) 형태의 승강실 (3) 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 (13) 을 통해 그리고 2:1 서스펜션에 의해 일어난다. 지지 수단 (13) 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지지 케이블 또는 지지 벨트일 수 있다. 그렇지만, 분명히 다른 서스펜션 구성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승강로 헤드 (17) 의 영역에서 승강로 벽 (14) 에, 승강실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4) 이 위치된다. 그 경우, 구동 유닛 (4) 이 승강로 벽 (14) 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유닛 (4) 은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한 구동 풀리를 포함한다. 지지 수단 (13) 은, 명확한 바와 같이, 승강실 (3) 주위에서 편향 롤러 (18) 에 걸쳐 안내된다. 도 1 에는, 지지 수단 (13) 에 의해 승강실 (3) 과 연결된 평형추 (16) 가 부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평형추와 승강실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드라이브를 작동 또는 조절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같은 승강기의 다른 부품의 도시는 명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생략하였다.
드라이브 측에 있는 승강실 측벽 (22) 과 드라이브 측에 있는 승강로 벽 (14) 사이에 비교적 큰 갭 공간이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추락에 대한 보호로서, 구동 유닛 (4) 과 관련된 측의 영역에서 승강실 지붕 (5) 에 보호 디바이스 (6) 가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명확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 (4) 은 승강실 (3) 을 넘어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승강실을 넘어 돌출하는 구동 유닛 (4) 의 부분이 승강실 지붕 (5) 에서 중첩 영역 (또는 수직 방향에서의 섀도우 돌출부 (shadow projection)) 를 형성한다. 이 중첩 영역 내에, 보호 디바이스 (6) 가 배치되고, 보호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지붕 에지 (19) 에 가능한 한 가까이 위치된다. 보호 디바이스 (6) 는 구동 유닛 (4) 의 수용을 위한 수용 영역 (도 1 에서는 보이지 않음) 의 대략 중앙에서 중단된 난간을 포함한다. 보호 디바이스 (6) 는, 중단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한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 난간에 대해 아래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된 바아를 갖는다. 도 1 에 따른 묘사에서, 승강실 (3) 은 승강로 헤드 (17) 근방의 최상단 위치에 위치된다. 아래쪽으로 오프셋된 바아를 통해, 구동 유닛의 부분적인 수용을 위한, 보호 디바이스에서의 오목부의 형태가 형성된다. 단지 이하에서 계속 설명하는 보호 디바이스 (6) 의 특별한 설계 덕분에, 그러한 종류의 높은 승강실 위치가 가능하다.
보호 디바이스 (6) 근방의 내측에 있는 승강실 지붕 (5) 의 영역은 유지 작업이나 점검을 위해 사람이 걸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반대측 승강로 벽 (20) 의 경우에는 비교적 작은 갭 폭으로 인해, 이 측에서는 보호 디바이스가 요구되지 않는다. 승강로와 승강실의 개별 치수결정에 따라, 필요하다면 다른 승강실 에지의 영역에서 승강실 지붕에, 예컨대 반대 측에,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보호 디바이스 (예컨대, EN 81-1 (1998) 에 따른 보호 디바이스) 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2 에 따른 간략화된 사시도에서 볼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의 개별 포스트 및 로드는 간략화를 위해 점선으로 나타낸다. 실제로, 보호 디바이스의 개별 요소, 즉 포스트 및 로드는 예컨대 금속 (예컨대, 강) 또는 다른 재료의 중공 섹션 (예컨대, 4면 (four-sided) 튜브) 에 의해 형성된다.
드라이브 측에서 지붕 에지 (19) 를 따라 연장되는 보호 디바이스는 난간 섹션 (7', 7") 으로 구성된 난간 (7) 을 포함한다. 개별 난간 섹션 (7', 7") 은 내측 및 외측 포스트 (10', 11' 또는 10", 11") 에 고정되고, 포스트들 사이의 간격을 가교한다. 난간 (7) 은 구동 유닛 (4) 의 수용을 위한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 중단되므로, 적어도 최상단 위치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구동 유닛 (4) 은 난간의 중단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최상단 위치로의 승강실의 상향 이동 동안 구동 유닛 (4) 은 난간 (7) 을 지나 이동할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는 드라이브 수용 섹션의 각 측에 2 개의 개별 수직 포스트를 포함한다. 개별 포스트는 드라이브 수용 섹션 근방의 일 측에서 도면부호 10' 및 11' 로, 그리고 다른 측에서 도면부호 10" 및 11" 으로 표시되어 있다. 개별 부분 보호 디바이스는 상측 난간 섹션 (7', 7") 을 포함한다. 각 포스트들 사이에는 대략 중간 높이에 개별 중간 로드 (9) 가 배치된다.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아 (8) 가 외측 포스트 (11', 11") 에 고정되고, 난간 (7) 에 대해 간격 a 만큼 안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직각으로 연결된 스페이서 (12) 가 바아 (8) 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수평방향 중간 로드 (9) 가 바아 (8) 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아 (8) 는 스페이서 (12) 를 갖고, 스페이서는 바아에 대해 직각으로 바아까지 연장되고, 스페이서에 의해 바아는 다른 포스트 (11', 11") 와 연결된다. 바아 (8) 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또는 나사에 의해 포스트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에 따른 보호 디바이스 (6) 는 바아 (8) 가 스페이서 (12) 에 의해 난간 (7) 에 대해 안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 에 따른 보호 디바이스와 상이하다. 이론적으로, 바아 (8) 는, 도 1 에서처럼, 포스트 및 난간과 동일한 수직면에서 연장되거나, 또는 중간 부재의 사용없이 직접 포스트에 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안쪽으로 오프셋된 바아 (8) 에도 불구하고, 사람은 승강실 지붕 (5) 에서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승강실 지붕은 특정 작업을 위해 바아 아래에서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다. 이는 바아 (8) 와 난간 (7) 사이의 승강실 지붕 (5) 에 있는 영역에 특히 적용된다. 기술자는 이 영역에 예컨대 공구상자 등을 놓을 수 있다. 개별 요건에 따라, 보호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난간 (7) 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수직면에서, 승강실 지붕에 놓이는 풋 스트립 (foot strip) 을 부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풋 스트립 (여기서는 도시 안 됨) 은 대략 난간 바로 아래에 놓인다. 그렇지만, 바아와 동일한 방식으로 난간에 대해 안쪽으로 오프셋되도록 풋 스트립을 배치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실을 갖는 승강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승강기는 구동 유닛 (4) 과 관련된 승강로 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는 승강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13) 을 포함한다. 그리고, 예컨대, 승강실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15) 을 볼 수 있다. 예컨대 존재하는 2 개의 지지 수단 (13) 및 가이드 레일 (15) 은 드라이브 수용 영역을 마주보고, 이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 의해 덮인다. 지지 수단 (13) 및 가이드 레일 (15) 이 정면도에 있어서 구동 유닛 (4) 을 수용하기 위한 드라이브 수용 영역 내에 놓이므로, 승강로와 관련된 이들 부품 (13, 15) 은 추락에 대한 보호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보호 디바이스 (6) 의 전체 높이, 즉 승강실 지붕 (5) 으로부터 난간 (7) 까지 측정된 높이를 H 로 나타낸다. 중간 로드 (9) 는 대략 중간 높이 (H/2) 에 놓인다. 승강실 지붕 (5) 으로부터 간격 h 만큼 이격되어 있는 바아 (8) 는, 명확한 것처럼, 중간 로드 (9) 보다 더 높게 (h > H/2) 배치된다.
도 4 는, 상기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비해 수정되고 중간 로드 (9) 가 전체 폭에 걸쳐 완전히 연장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상이한 승강기를 보여준다. 도 4 에 도시된 3 개의 중간 로드 (9) (외측 중간 로드들이 외측 포스트들을 내측 포스트들과 연결시키고, 중앙 중간 로드가 2 개의 내측 포스트들을 함께 연결시킴) 대신에, 연속적인 중간 로드를 제공하는 것을 또한 생각할 수 있다.

Claims (8)

  1. 승강기로서,
    승강로 (2) 내에서 이동가능하고, 승강실 지붕 (5) 을 갖는 승강실 (3);
    상기 승강실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4) 으로서, 상기 승강로 (2) 의 승강로 헤드 (17) 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실 (3) 을 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상기 구동 유닛 (4); 및
    상기 구동 유닛을 마주보는 측의 영역에서 상기 승강실 지붕 (5) 에 배치되는 보호 디바이스 (protection device; 6)
    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디바이스 (6) 는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대략 중앙에서 중단되는 난간 (7)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디바이스 (6) 는, 적어도 상기 드라이브 수용 영역에서, 상기 난간 (7) 에 대해 아래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바아 (8)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8) 는 상기 난간 (7) 에 대해 안쪽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디바이스 (6)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간 (7) 의 높이의 대략 절반 높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로드 (9) 를 포함하고,
    상기 바아 (8) 는 상기 중간 로드 또는 중간 로드들 (9) 에 대해 평행한 직선을 따르는 적어도 섹션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디바이스 (6) 는 상기 드라이브 수용 영역 근방의 각 측에 개별 내측 및 외측 포스트 (10', 11'; 10", 11") 를 갖고, 상기 난간 (7) 의 개별 난간 섹션 (7', 7") 이 내측 포스트 (10', 10") 로부터 외측 포스트 (11', 11") 까지 연장되고, 상기 드라이브 수용 영역은 2 개의 상기 내측 포스트 (10', 10") 사이에 놓이고,
    상기 바아 (8) 는 상기 외측 포스트 (11', 11") 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8) 는 상기 바아에 대해 직각으로 바람직하게 연장되는 개별 스페이서 부재 (12) 에 의해 상기 외측 포스트 (11', 11") 의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상기 구동 유닛과 작동 연결 (operative connection) 되는, 상기 승강실 (3) 지지용의 지지 수단 (13)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구동 유닛 (4) 과 관련된 승강로 벽 (14) 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고, 상기 드라이브 수용 영역은 상기 지지 수단 (13) 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는, 상기 구동 유닛 (4) 과 관련된 승강로 벽 (14) 에 배치되는, 승강실 (3) 및/또는 평형추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 (15)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 수용 영역은 드라이브 측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 (15) 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승강기를 위한 승강실.
KR1020147009561A 2011-10-13 2012-09-27 승강기 Withdrawn KR201400829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4983.2 2011-10-13
EP11184983 2011-10-13
PCT/EP2012/069131 WO2013053606A1 (de) 2011-10-13 2012-09-27 Aufz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972A true KR20140082972A (ko) 2014-07-03

Family

ID=4692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561A Withdrawn KR20140082972A (ko) 2011-10-13 2012-09-27 승강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74825B2 (ko)
EP (1) EP2766292B1 (ko)
KR (1) KR20140082972A (ko)
CN (1) CN103857615B (ko)
BR (1) BR112014008542A2 (ko)
CA (1) CA2850574A1 (ko)
ES (1) ES2583803T3 (ko)
IN (1) IN2014CN02620A (ko)
MX (1) MX343195B (ko)
PT (1) PT2766292T (ko)
WO (1) WO20130536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329B1 (ko) 2015-11-05 2016-08-30 김기만 초고속 승강기의 벽체 모듈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766292T (pt) * 2011-10-13 2016-07-29 Inventio Ag Elevador
CA2946083C (en) 2014-05-23 2019-09-24 Inventio Ag Configuring terminal devices
ES2754272T3 (es) * 2015-01-20 2020-04-16 Inventio Ag Ascensor
WO2016174710A1 (ja) * 2015-04-27 2016-11-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7848755B (zh) * 2015-07-23 2019-07-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上扶手装置
US10843899B2 (en) * 2015-09-30 2020-11-24 Inventio Ag Safety element of an elevator system
WO2017103994A1 (ja) * 2015-12-15 2017-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把持装置
WO2017102966A1 (de) * 2015-12-18 2017-06-22 Inventio Ag Aufzugskabine mit einer klappbaren balustrade sowie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e aufzuganlage mit einer solchen aufzugskabine
WO2018095741A1 (en) 2016-11-24 2018-05-31 Inventio Ag Balustrade for a roof of an elevator car, elevator car with a balustrad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balustrade
CN114829282B (zh) 2019-12-20 2025-03-21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轿厢可枢转栏杆及电梯的维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022A (en) * 1972-02-14 1973-06-19 Giovanni S Di Loading dock safety guard
US3776521A (en) * 1972-03-27 1973-12-04 R Weinert Portable safety railing
FR2421247A1 (fr) * 1978-03-31 1979-10-26 Campenon Bernard Cetra Garde-corps, notamment pour chantiers
US4856761A (en) * 1988-07-18 1989-08-15 Berner John M Position adjustable handrail for use along stairways
US4989689A (en) * 1989-01-26 1991-02-05 Berlin Evan H Yard guard
US5188342A (en) * 1992-01-15 1993-02-23 Sinco Incorporated Portable safety rail system
US5263550A (en) * 1992-06-15 1993-11-23 Wenger Corporation Railing for portable staging
US5237932A (en) * 1992-06-16 1993-08-24 Futrex, Inc. Collapsible railing
DE4232800C2 (de) * 1992-09-30 1996-05-23 Wilfried Hamm Geländer aus vorgefertigten Normbauteilen
US6039150A (en) * 1995-05-03 2000-03-21 Palmer; Theodore R. Building guard rail scaffold assembly
EP0926093B2 (de) 1997-11-28 2008-04-23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 insbesondere Treibscheibenaufzug
JP4245209B2 (ja) * 1998-09-03 2009-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べーター
US6823964B2 (en) * 2001-05-17 2004-11-30 Jlg Industries, Inc. Fall arrest platform
FR2827450A1 (fr) 2001-07-13 2003-01-17 France Telecom Procede de diffusion d'un contenu a partir d'une source vers des terminaux recepteurs a travers un reseau informatique, avec mesure de l'audience, et serveur de collecte associe
JP2003321174A (ja) * 2002-05-09 2003-11-11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乗り籠の作業用柵
DE10297757T5 (de) * 2002-06-20 2005-06-30 Otis Elevator Co., Farmington Sicherheitsaufbaubalustrade für eine Kabine eines Maschinenraum-losen Aufzugs
CN101137571B (zh) * 2003-09-15 2012-06-20 奥蒂斯电梯公司 电梯检查安全装置
WO2006087598A1 (en) * 2005-02-18 2006-08-24 Otis Elevator Company Roof railing for an elevator car adapted to be collapsed with a handle actuating all sides at the same time
WO2007032080A1 (ja) * 2005-09-16 2007-03-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ES2527745T3 (es) * 2006-06-26 2015-01-29 Otis Elevator Company Parada retráctil para mantener un espacio libre por arriba sobre una cabina de elevador
US8162108B2 (en) * 2006-06-30 2012-04-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aving a limit switch for controlling power to the drive system as an elevator car approaches a shallow pit or a low overhead
JP2008110863A (ja) 2006-10-31 2008-05-1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上安全柵装置
JP4415025B2 (ja) * 2007-02-28 2010-02-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上手摺り装置
US8070137B2 (en) * 2009-04-03 2011-12-06 Inpro Corporation Handrail assembly
JP2011037586A (ja) 2009-08-11 2011-02-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IT1397582B1 (it) * 2009-12-14 2013-01-16 Opacmare Spa Balcone con ringhiera a scomparsa, in particolare per imbarcazioni.
WO2012016919A1 (de) * 2010-08-05 2012-02-09 Inventio Ag Feuerwehraufzug
US8827037B2 (en) * 2011-01-25 2014-09-09 National Trench Safety, Llc Safety rai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2175394A1 (de) * 2011-06-22 2012-12-27 Inventio Ag Feuerwehraufzug
PT2766292T (pt) * 2011-10-13 2016-07-29 Inventio Ag Elevad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329B1 (ko) 2015-11-05 2016-08-30 김기만 초고속 승강기의 벽체 모듈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50574A1 (en) 2013-04-18
WO2013053606A1 (de) 2013-04-18
MX343195B (es) 2016-10-27
US20130092479A1 (en) 2013-04-18
EP2766292A1 (de) 2014-08-20
EP2766292B1 (de) 2016-04-20
IN2014CN02620A (ko) 2015-08-07
ES2583803T3 (es) 2016-09-22
US9174825B2 (en) 2015-11-03
HK1198986A1 (zh) 2015-06-19
MX2014004188A (es) 2014-08-01
CN103857615A (zh) 2014-06-11
PT2766292T (pt) 2016-07-29
BR112014008542A2 (pt) 2017-04-18
CN103857615B (zh)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2972A (ko) 승강기
RU2721376C2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и и адаптируемая к возрастающей высоте здания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US9604820B2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US20200277158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n elevator system having increasing usable lifting height
JP5081751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時安全装置
US9511978B2 (en) Integrated roof structure of an elevator car
CN105658562B (zh) 升降机设施
CN108840210A (zh) 一种无机房电梯的曳引悬挂系统
US11198594B2 (en) Elevator car apron
US12330912B2 (en) Apron device, elevator car and method for protecting from falling into elevator shaft
KR102438764B1 (ko) Mrl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CN109963803B (zh) 用于电梯系统的轿厢
WO2015159319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出入り装置
JP201502082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7441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8137269A (zh) 电梯设备
JPWO2005077806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7374022B2 (en) Elevator with a cable-driven car
JP2018034943A (ja) 乗客コンベア
HK1198986B (zh) 電梯
US20170210598A1 (en) Elevator system
JP459093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151578A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8932757U (zh) 一种无机房电梯的曳引悬挂系统
JP486167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