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751A - 고온 음료 제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고온 음료 제조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2751A KR20140082751A KR1020147011282A KR20147011282A KR20140082751A KR 20140082751 A KR20140082751 A KR 20140082751A KR 1020147011282 A KR1020147011282 A KR 1020147011282A KR 20147011282 A KR20147011282 A KR 20147011282A KR 20140082751 A KR20140082751 A KR 201400827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liquid
- heater
- outlet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료 제조 디바이스는: - 음료 원료와 상호작용하는 액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 챔버 (1), - 액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 (2), - 펌핑된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3)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 액체의 도입을 위한 액체 입구 (32) 및 액체의 배출을 위한 액체 출구 (33) 를 갖는 히터 챔버 (31), - 상기 챔버 내에 포함된 가열 보디 (34) 를 구비하고, 액체 출구 (33) 는 히터 챔버 (31) 의 상부측 (310) 에 위치되고, 히터의 챔버는 공기의 방출을 위한 공기 출구 (35)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구는 수평면에 대해 액체 출구 (33)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 원료와 고온의 물로부터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물이 가열되어 음료 제조 챔버 내의 음료 원료와 상호작용하게 되는 이러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기 음료 원료는 폐쇄된 캡슐 내에 미리 분배된 형태로 포함된다.
예컨대, 가압된 유체를 캡슐에 주입시킴으로써 음료를 준비하는 디바이스는 특히 차, 커피 또는 커피 유형의 음료를 제조하는 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다. 게다가, 초콜릿 또는 우유 제품과 같은 다른 물질은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추출되거나 용해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시스템의 이점은, 음료를 제조하는 때에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가능성뿐만 아니라 원료의 보관 및 신선미이다.
예를 들어 캡슐 내의 원료와 액체 사이의 상호작용은, 캡슐 내에 제공된 원료에 의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예컨대 용해, 추출, 브루잉 (brewing) 또는 임의의 다른 상호작용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캡슐은 특허 문헌 WO 2007/042414 A1 및 WO 2008/025730 A1 로부터 추가로 공지되어 있고 필터링 수단 및 셀 (shell) 또는 하우징에 의해 규정된 인클로저를 주로 포함한다.
예컨대, 이러한 디바이스에서 차를 준비하는 때에, 캡슐로 전달되는 액체 (예컨대, 물) 에서의 공기의 존재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다. 이 공기는 디바이스의 음료 제조 챔버에 액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에 제공된 히터에 의해 실시되는 물의 가열로부터 주로 비롯된다. 공기 또는 기포는 액체 (물) 온도가 약 70℃ 에 도달하자마자 나타난다. 따라서, 공기는 액체와 함께 캡슐에 도입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캡슐 내측에 위치되는 필터 수단 (일반적으로 종이 필터) 을 가로지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차를 준비하는 때에 나타나는 낮은 압력의 물의 유동에서와 같이, 물의 그리고 브루잉될 제품 (분말과 같은 음료 원료) 의 교반은 중요하지 않고, 기포는 액체로부터 분리되고, 예컨대 캡슐과 같은 음료 제조 챔버의 상부로 천천히 올라가, 캡슐 내측의 필터 뒤에 머무를 수 있다. 이들의 부피는 물이 캡슐 내측에 주입되는 한 커지게 된다. 하지만, 이 부피는 너무 중요해질 수 있어서, 예컨대 찻잎이 액체 (물) 내에서 더 이상 적절히 담겨 지지 않고, 따라서 차가 충분하게 추출될 수 없다.
또한, 유체 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의 제거는 펌프의 프라이밍 (priming) 을 개선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WO 2009/135899 는, 히터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물을 처리하고 캡슐 내에 고온의 물을 도입시키기 이전에 공기 분리 디바이스에 공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한다. 공기 분리 디바이스는, 고온의 물의 운동 에너지가 파괴되어 물로부터 공기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미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해결책이 효과적이지만, 이 공기 분리 디바이스는 특정 비용을 나타내고 최종 음료 기계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이는 기계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적은 비용이 드는 고온의 물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대안의 해결책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음료 제조 디바이스는:
- 음료 원료와 상호작용하는 액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 챔버,
- 액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
- 펌핑된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 액체의 도입을 위한 액체 입구 및 액체의 방출을 위한 액체 출구를 갖는 히터 챔버,
. 챔버 내에 포함된 가열 보디
를 구비하고,
- 액체 출구는 히터 챔버의 상부측에 또는 상부측 근처에 위치되고, 그리고
- 히터의 챔버는 공기의 방출을 위한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출구는 수평면에 대해 액체 출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음료 제조 디바이스는 탱크와 같은 액체 소스로부터 냉온 액체, 바람직하게는 냉온의 물을 일반적으로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펌프는 펌핑된 물을 액체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에 제공한다.
히터는, 액체가 가열을 위해 도입되는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펌핑된 냉온 액체의 도입을 위한 입구를 포함한다. 챔버는 펌핑된 고온 액체의 방출을 위한 출구를 포함한다. 액체 출구는 음료 제조 챔버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액체 출구는 히터 챔버의 상부측에 또는 상부측 근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출구는 히터 챔버 상부측의 외부 주변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입구는 챔버의 임의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히터 챔버의 공기 출구 및 액체 출구는, 공기가 물의 출구를 통한 물의 유동에 의해 흡입될 수 없도록 충분히 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히터는 또한 공기를 방출하기 위한 출구를 포함한다. 이 공기 출구는 폐기물 구획 또는 통기구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 출구는 수평면에 대하여 액체 출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히터 챔버에 위치된다. 펌핑된 액체에 포함된 공기는 액체 (예컨대, 물) 보다 더 가벼워져 챔버의 상부 부분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챔버로부터 쉽게 방출될 수 있고, 액체는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 액체 출구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기는 액체 출구에 도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음료 제조 챔버로 보내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공기 출구는 챔버의 최고 수직 지점에 위치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히터 챔버는, 공기 출구가 수평면에 대해 액체 출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히터 챔버는, 히터 챔버가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 고정되는 때에 공기 출구가 히터 챔버의 최고 위치에 있거나 최고 위치 근처에 있도록 경사진다. 히터 챔버는, 히터 챔버의 길이방향 축선이 수직 축선과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그리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내지 20°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도록 경사진다. 일반적으로, 히터 챔버는 본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공기 출구 및 액체 출구는 챔버의 동일 측에, 바람직하게는 동일 측에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챔버는 실린더의 형상을 본질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실린더는 적어도 그의 상부 베이스에서 절두되며, 공기 출구는 챔버 실린더의 절두된 상기 상부 베이스에 위치된다. 실린더는, 실린더의 길이방향 축선이 수직이 도록 기계 내에 바람직하게는 위치된다. 히터 챔버 실린더는 챔버의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한 면과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그리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내지 20°사이의 각도 α를 나타내는 면에 의해 절두될 수 있다.
두 개의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이점은, 가열된 액체의 모든 기포는 자동적으로 위로 유동하여 챔버의 두 개의 벽들 사이에 있는 코너일 수 있는 챔버의 최고 지점인 일 지점으로 모여든다는 것이다.
챔버 내의 액체의 잔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냉온 액체의 가열 및 액체로부터의 공기의 분리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길다. 이 잔류 시간은 히터 챔버에서 액체 경로의 길이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그 결과 히터 챔버의 액체 입구 및 액체 출구는 챔버의 대향 부분들에, 바람직하게는 챔버의 대향 측들에 일반적으로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액체 입구는 히터 챔버의 바닥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히터는 히터가 상부측 및 하부측을 나타내도록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 위치되고, 액체 입구는 히터 챔버의 하부측에 있고, 액체 출구는 히터 챔버의 상부측에 있다. 또한, 액체의 잔류 시간은 히터 챔버의 내부 부피의 크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챔버 내에 진입하는 액체의 유동의 값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가열 보디는 펌핑된 액체와 접촉하여 가열 보디의 열을 액체로 전달하기 위하여 챔버 내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가열 보디는 저항성 요소이고, 바람직하게는 열 전도 매트릭스에 매설된 나선 또는 헬리코이드 (helicoid) 형태로 놓인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가열 보디는 나선의 형상을 가지고, 히터 챔버는 나선이 끼워맞춤하는 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히터 챔버의 중심 축선을 따라 도려내진다 (hollowed).
바람직하게는, 히터를 사용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스팀이 아닌 최대 90℃ 의 온도를 제공하는 고온의 물만을 제조하기 위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히터 챔버의 액체 출구는 액체 밸브에 연결되고 히터 챔버의 공기 출구에는 공기 밸브가 제공된다. 액체 밸브에 의해, 밸브가 개방되는 압력의 값은 음료 제조 챔버에 공급될 액체를 위해 그리고 음료 제조를 위해 필요한 액체 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밸브는 음료 제조 챔버로부터 가까운 하류 또는 히터 챔버의 출구에 직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공기 밸브에 의해, 액체의 충분한 탈기는 어떠한 액체도 상기 밸브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압력의 값이 공기 밸브의 압력의 값보다 더 크다. 그 후 탈기는 액체가 히터 챔버로부터 빠져나오기 전에 이미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공기가 무기 (airless) 액체와 다시 혼합될 기회가 줄어들고, 따라서 음료 제조 챔버에 공급되는 액체는 최소의 공기 또는 다른 가스를 주로 포함한다. 제 1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압력의 값은 적어도 0.2 bar,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4 bar 일 수 있다. 따라서, 액체는 음료 제조를 위해 적절한 압력으로 음료 제조 챔버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히터에는 온도 센서가 제공된다. 상기 온도 센서는 히터 챔버의 출구 튜브 근처에 또는 히터 챔버의 출구 챔버에 위치될 수 있다. 그 후, 액체 히터의 밖으로 유동하는 액체의 온도는 센서에 의해 직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센서는 액체 유동에 담그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챔버의 가열 보디는 온도 센서에 작동 연결된다. 또한, 펌프는 온도 센서에 작동 연결될 수 있다: 작동 연결은, 히터 챔버의 출구에서 액체의 온도가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것을 온도 센서가 나타내는 때에만 펌프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의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 공기 출구에는 공기 밸브가 제공되고,
- 히터에는 온도 센서가 제공되고,
- 가열 보디는 나선의 형상을 가지고 히터 챔버는 나선이 끼움작착하는 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히터 챔버의 중심 축선을 따라 도려내지고, 그리고
히터는 음료 챔버에 출구 커넥터를 부착하고 또한 히터 챔버에 공기 밸브 및 온도 센서를 부착시키기 위한 공통 브라켓 (bracket)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음료 제조 챔버는, 일반적으로, 우려낼 수 있는 (infusable) 식품 원료 및 고온의 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브루잉 챔버이다. 브루잉 프로세스에서, 가열된 물은 우려내 브루잉 물질로부터 맛을 추출한다. 브루잉 챔버는 음료가 우려낼 수 있는 식품 원료와 물의 혼합물로부터 비워질 수 있도록 필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압력 하에서 희석액을 수용하고 홀딩시키기 위해 그리고 우려낼 수 있는 식품 원료를 함유하기 위해 밀폐식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려낼 수 있는 식품 원료는 구운 그리고 분쇄된 커피, 찻잎, 허브, 식물뿐만 아니라 다른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찻잎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음료 제조 챔버는 음료 원료를 함유하는 캡슐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되고, 캡슐은 인클로저 및 필터링 벽을 포함하며, 필터링 벽은 수직으로 배향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부" 및 "하부", "상부측" 및 "하부측" 은 본 발명의 특징부들의 관계적 위치결정을 설명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 삽입되는 때에 그의 정상 배향에 있는 히터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훨씬 더 이해될 것이다.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유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 도 2 는 대안예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유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히터의 수직 단면이다.
- 도 4 는 도 3 의 히터의 사시도이다.
- 도 5 는 도 4 의 히터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 도 6 은 도 5 의 브라켓과 히터의 다른 요소들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 도 2 는 대안예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유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된 히터의 수직 단면이다.
- 도 4 는 도 3 의 히터의 사시도이다.
- 도 5 는 도 4 의 히터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 도 6 은 도 5 의 브라켓과 히터의 다른 요소들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 은, 주입 부재 (9), 바람직하게는 니들 (needle) 이 고온 액체를 도입시키는 음료 제조 챔버 (1)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음료 제조 디바이스 (12) 는 물 탱크와 같은 액체 저장소 (7), 액체 펌프 (2), 히터 (3), 및 이러한 상이한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액체 공급 라인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음료 제조 디바이스 (1) 는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음료 제조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한 컨트롤러 (8) 를 포함한다. 펌프 (2) 는 저장소 (7) 로부터 액체를 펌핑하고, 펌핑된 액체를 챔버의 하부측 (31b) 에 있는 입구 (32) 를 통해 히터 (3) 의 챔버 (31) 내에 도입시킨다. 히터 챔버는 나선의 형상을 나타내는 저항성 요소인 가열 보디 (34)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보디의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형상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저항성 요소는 가열 보디의 각각의 말단 (extremity) 에 위치된 전기 공급부 (34a, 34b) 를 통해 전력원에 연결된다. 챔버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1) 에 연결된 챔버의 상부측 (31a) 에 있는 액체 출구 (33) 를 포함한다. 또한, 챔버는 챔버의 상부측 (31a) 에 있는 공기 출구 (35) 를 포함한다. 히터는 공기 출구 (35) 가 수평면에 대하여 액체 출구 (33) 위에 위치되도록 배향된다. 이러한 배향은, 보일러의 길이방향 축선 (XX') 이 수직 축선과 각도 (α) 를 나타내도록 음료 제조 디바이스 내에 보일러를 기울임으로써 얻어진다. 길이방향 축선은 히터 챔버의 하부측과 히터 챔버의 상부측을 통과하는 축선에 해당한다. 실제로, 보일러의 특정 배향은, 이러한 특정 배향에 이르기 위해 구성된 지지 요소 (10) 에 의해 히터 (3) 를 음료 제조 디바이스의 하우징 (11) 에 고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12) 의 하우징 (11) 에 부착된 부분 및 히터 (3) 의 보디에 부착된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브라켓 (10) 일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부분들은 히터를 기울리게하고 액체 출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 공기 출구를 구비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배향된다.
액체 출구 (33) 에는 제 1 밸브 (4) 가 제공된다. 이 밸브는 예컨대 체크 밸브로서 이러한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공지된 밸브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가 미리 정해진 임계 압력의 값에서 개방하도록 바람직하게는 구성된다. 예컨대, 제 1 밸브 (4) 를 개방하기 위한 상기 임계 압력의 값은 적어도 0.2 bar,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4 bar 일 수 있다. 따라서, 액체는 음료 제조를 위한 적절한 압력으로 음료 제조 챔버 (1) 에 공급된다.
공기 출구 (35) 에는 히터 챔버로부터 폐기물 구획 및/또는 통기구 수단으로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제 2 밸브 (5) 가 제공된다. 용어 "공기" 는 공기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가스에 대해 실질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제 2 밸브 (5) 는, 공기가 밸브의 전방에 존재하는 때에 계속해서 개방되지만 액체가 나타나는 경우에 즉시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밸브 유형은 종래 기술 (WO 02/088580 A1 참고) 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어떠한 액체도 상기 밸브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충분한 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밸브 (4) 를 개방하기 위한 압력의 값은, 액체가 챔버 (31) 로부터 빠져나오기 이전에 탈기가 이미 달성될 수 있도록 제 2 밸브 (5) 를 개방하기 위한 압력의 값보다 더 크다. 따라서, 분리된 공기가 무기 (airless) 액체와 다시 혼합되는 기회는 감소되고, 따라서, 음료 제조 챔버 (1) 에 공급되는 액체는 최소 공기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밸브에는, 물 탱크가 갑자기 비워지는 경우 펌프가 처음으로 또는 펌프의 언프라이밍 (unpriming) 에 더하여 사용되는 때에 음료 제조 디바이스의 펌프의 프라이밍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존재한다. 펌프 내의 그리고 유체 파이프 내의 공기는 이 밸브를 통해 빠져나온다.
히터 챔버 출구 (33) 에서 액체의 온도는 액체 출구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 (6) 를 통해 제어 유닛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제어 유닛은 따라서 히터 보디 명령 (36) 을 작동시킨다. 또한, 온도 센서는 펌프에 작동 연결되고; 온도가 음료를 제조하기에 충분해지면, 컨트롤러는 고온 액체가 챔버 출구에서 유동하도록 펌프를 작동시키고: 제 1 밸브 (4) 를 개방하는 압력이 도달되어 밸브가 개방하는 때까지 챔버 출구의 압력은 올라간다.
바람직하게는, 챔버에는 챔버 내에 진입하는 액체의 유동을 완화시키기에 충분한 내부 부피가 존재한다. 따라서, 공기 또는 가스가 액체의 속도에 의해 액체 내측을 따라 운반되지 않도록 액체 유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공기는 공기 출구에 의해 빠져나오도록 상승할 수 있고, 가열된 액체로부터의 공기의 분리가 실현된다.
음료 제조 챔버 (1) 는 음료 원료 (14) 를 포함하는 캡슐 (13) 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챔버 (1) 는 캡슐을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은 잎차 등과 같은 음료 원료 (14) 를 함유하는 인클로저 (131) 를 주로 포함한다. 인클로저 (131) 는 컵 형상의 하우징 및 필터링 벽 (132) 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경계지어진다. 음료 제조 챔버 (1) 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향된 필터 (132) 와 함께 존재하는 수직 배향의 캡슐을 홀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구성된다. 캡슐은 필터링 벽을 포개는 시일링 벽 (133) 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시일링 벽 (133) 에는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 위치에 음료 출구 (134) 가 존재할 수 있고, 또는 챔버에는 바람직하게는 인클로저 (131) 의 오버플로 위치에서 시일링 벽의 출구 (134) 를 개방시키기 위한 천공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히터에서의 액체로부터의 공기 및 가스의 제거로 인해, 공기는 캡슐 내에 진입하지 않고, 우수한 음료 제조를 회피하는, 기포가 출구 (134) 로부터 근접하는 캡슐의 상부 부분에서 침체되는 것을 회피한다. 전술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캡슐 (20) 은 어떠한 크기나 디자인에 제한되지 않고, 가열된 액체,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저압 액체로 음료 원료의 추출에 의해 음료의 준비를 위한 필터 요소를 또한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공지된 음료 원료 저장 수단 또는 음료 제조 챔버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체는 예컨대 물로서 음료 제조 디바이스에 사용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액체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기계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 의 기계와의 유일한 차이는, 히터 챔버가, 절두된 상부 베이스 (31a) 를 갖는 실린더라는 것이다. 히터 챔버 실린더는 기계에서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 (XX') 을 갖고서 위치되고, 절두된 상부 베이스 (31a) 의 면 (P) 은 도 2 의 수평면인, 길이방향 축선 (XX') 에 수직한 면과 각도 (α) 를 제공한다. 이 각도는 수평면과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내지 20°사이의 각도를 가진다. 공기 출구 (35) 는 절두된 상부 베이스 (31a) 의 최고 위치에 위치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히터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도 1 및 도 2 에서 동일한 부분들에 대해 사용된다. 히터 챔버는 나선의 형상을 나타내는 저항성 요소인 가열 보디 (34) 를 포함한다. 히터 챔버 (31) 는 가열 보디의 나선이 끼워맞춤되는 링을 형성하기 위하여 히터 챔버의 중심 축선을 따라 도려내어진다. 히터 챔버 (31) 는 도려내어진 상부 부분 (31a) 과 도려내어진 하부 부분 (31b) 에 의해 도려내어진다.
챔버의 액체 출구 (33) 에서, 온도 센서 (6) 는, 물의 온도가 히터로부터 전달되기 전에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또한, 챔버는 챔버의 상부측 (31a) 에 공기 출구 (35) 를 포함한다. 공기 출구 (35) 에는 히터 챔버로부터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제 2 밸브 (5) 가 제공된다. 캡 (351) 은 하류 공기 튜브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제 2 밸브 (5) 의 제조 동안 신속한 연결을 위해, 온도 센서 (6) 는 공통 브라켓 (14) 에 의해 히터 챔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세 개의 구멍들, 즉 공기 밸브 (5) 가 끼워맞춤할 수 있는 제 1 구멍 (14a), 온도 센서 (6) 가 끼워맞춤할 수 있는 제 2 구멍 (14b), 및 브라켓 (14) 을 예를 들어 스크류 (16) 로 챔버 (31) 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 3 구멍 (14c)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는 히터 챔버 (31), 공기 밸브 (5), 온도 센서 (6) 및 음료 제조 챔버로의 고온 액체 연결부 (331) 와의 브라켓 (14) 의 상호작용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 3 의 히터를 위에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 의 이 특정 실시형태에서, 고온 액체 커넥터 (311) 는 브라켓 (14) 의 부분이다. 이는 물을 챔버 출구 (33) 로부터 유체 시스템의 나머지로 안내한다. 제 1 밸브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의 바로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 는 온도 센서, 공기 밸브 및 히터 챔버로의 부착을 위한 스크류를 각각 도입시키는 상이한 구멍들 (14b, 14a, 14c) 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 (14) 의 단독 사시도이다.
도 6 은 구멍 (14b) 내측에 위치된 온도 센서 (6), 및 상기 밸브를 커버링하고 하류 파이프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캡 (51) 을 구비하는 구멍 (14c) 내에 위치된 공기 밸브 (5) 를 구비하는 브라켓 (14) 의 사시도이다. 제조 동안 이 상이한 요소들이 우선 함께 부착될 수 있고, 그 후 이러한 요소들의 조립체가 스크류 (16) 에 의해 히터 챔버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비이스에는 단일 히터 내측에서 공기 방출 및 액체 가열의 기능을 조합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음료 제조 디바이스 내측에서 공간이 절약되고, 제조 비용이 낮아진다.
1 음료 제조 챔버
2 펌프
3 히터
31 히터 챔버
31a 히터 챔버의 상부측
31b 히터 챔버의 하부측
32 히터의 액체 입구
33 히터의 액체 출구
331 액체 출구 커넥터
34 가열 보디
35 히터의 공기 출구
36 히터 명령
4, 5 밸브
6 온도 센서
7 탱크
8 컨트롤러
9 니들
10 지지 요소
11 하우징
12 음료 제조 디바이스
13 캡슐
131 캡슐 인클로저
132 필터링 벽
133 시일링 벽
134 음료 출구
14 브라켓
14a, 14b , 14c 브라켓 구멍들
15a, 15b 히터 챔버의 도려내어진 부분
16 스크류
2 펌프
3 히터
31 히터 챔버
31a 히터 챔버의 상부측
31b 히터 챔버의 하부측
32 히터의 액체 입구
33 히터의 액체 출구
331 액체 출구 커넥터
34 가열 보디
35 히터의 공기 출구
36 히터 명령
4, 5 밸브
6 온도 센서
7 탱크
8 컨트롤러
9 니들
10 지지 요소
11 하우징
12 음료 제조 디바이스
13 캡슐
131 캡슐 인클로저
132 필터링 벽
133 시일링 벽
134 음료 출구
14 브라켓
14a, 14b , 14c 브라켓 구멍들
15a, 15b 히터 챔버의 도려내어진 부분
16 스크류
Claims (15)
- 음료 제조 디바이스 (12) 로서,
상기 음료 제조 디바이스 (12) 는:
- 음료 원료 (14) 와 상호작용하는 액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 챔버 (1),
- 상기 액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 (2),
- 펌핑된 상기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3)
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 상기 액체의 도입을 위한 액체 입구 (32) 및 상기 액체의 방출을 위한 액체 출구 (33) 를 갖는 히터 챔버 (31),
. 상기 챔버 내에 포함된 가열 보디 (34)
를 구비하고,
- 상기 액체 출구 (33) 는 상기 히터 챔버의 상부측 (31a) 에 위치되고,
- 상기 히터 챔버는 공기의 방출을 위한 공기 출구 (35)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출구는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액체 출구 (33)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출구는 상기 챔버의 최고 수직 지점에 위치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챔버의 상기 공기 출구 (35) 및 상기 액체 출구 (33) 는, 공기가 물의 출구 (33) 를 통한 물의 유동에 의해 흡입되지 않도록 충분히 떨어져 있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챔버는 상기 공기 출구 (35) 가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액체 출구 (33)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기울어지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챔버는 상기 공기 출구 (35) 가 상기 히터 챔버의 최고 위치에 있거나 최고 위치 근방에 있도록 기울어지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챔버는 상기 히터 챔버의 길이방향 축선 (XX') 이 수직 축선과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그리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내지 20°사이의 각도 (α) 를 갖도록 기울어지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챔버는 실린더의 형상을 본질적으로 갖고, 상기 실린더는 적어도 그의 상부 베이스 (31a) 에서 절두되고, 상기 히터 챔버의 상기 공기 출구 (35) 는 챔버 실린더의 절두된 상기 상부 베이스 (31b) 에 위치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챔버의 실린더는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 축선 (XX') 에 수직한 면과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그리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5°내지 20°사이의 각도 (α) 를 갖는 면 (P) 에 의해 절두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챔버의 상기 액체 입구 (32) 및 상기 액체 출구 (33) 는 상기 챔버의 대향 부분들 (31a, 31b) 에 위치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출구 (33) 에는 액체 밸브 (4) 가 제공되고, 상기 공기 출구 (35) 에는 공기 밸브 (5) 가 제공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액체 밸브 (4) 를 개방하기 위한 압력의 값은 공기 밸브 (5) 의 압력의 값보다 더 큰,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는 온도 센서 (6) 가 제공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보디 (34) 는 상기 온도 센서 (6) 에 작동 연결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보디 (34) 는 나선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히터 챔버 (31) 는 상기 나선이 끼워맞춤 (fit) 되는 링을 형성하도록 상기 히터 챔버의 중앙 축선을 따라 도려내지는 (hollowed), 음료 제조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공기 출구 (35) 에는 공기 밸브 (5) 가 제공되고,
- 상기 히터에는 온도 센서 (6) 가 제공되고,
상기 가열 보디 (34) 는 나선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히터 챔버 (31) 는 상기 나선이 끼워맞춤하는 링을 형성하도록 상기 히터 챔버의 중앙 축선을 따라 도려내지고,
상기 히터는 음료 제조 챔버 (331) 에 출구 커텍터를 부착하고 또한 상기 히터 챔버 (31) 에 상기 공기 밸브 (5) 및 상기 온도 센서 (6) 를 부착하기 위해 공통 브라켓 (bracket) 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1182702.8 | 2011-09-26 | ||
EP11182702 | 2011-09-26 | ||
PCT/EP2012/068988 WO2013045507A1 (en) | 2011-09-26 | 2012-09-26 | Hot beverage produc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2751A true KR20140082751A (ko) | 2014-07-02 |
Family
ID=4688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11282A Withdrawn KR20140082751A (ko) | 2011-09-26 | 2012-09-26 | 고온 음료 제조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230658A1 (ko) |
EP (1) | EP2760321B1 (ko) |
JP (1) | JP2014526360A (ko) |
KR (1) | KR20140082751A (ko) |
CN (1) | CN103826511A (ko) |
AU (1) | AU2012314489A1 (ko) |
CA (1) | CA2849950A1 (ko) |
RU (1) | RU2014116898A (ko) |
SG (1) | SG11201400766VA (ko) |
WO (1) | WO201304550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67892B2 (en) * | 2012-02-09 | 2014-03-11 | Keurig, Incorporated | Beverage forming system having liquid delivery tank with expansion chamber |
GB2567213B (en) * | 2017-10-06 | 2020-09-16 | Strix Ltd | Liquid heating appliances and flow heaters |
GB2567272A (en) * | 2017-10-06 | 2019-04-10 | Strix Ltd | Liquid heating appliances and flow heaters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9306254D0 (en) * | 1993-03-25 | 1993-05-19 | Dolphin Water Shops Ltd | Instant hot water dispenser |
WO2002074684A1 (en) * | 2001-03-19 | 2002-09-26 | Pepsico, Inc. | Brewed iced tea or non-carbonated drink dispense with quiet operation |
ITTO20010404A1 (it) | 2001-04-27 | 2002-10-27 | Pres Block Spa | Valvola di tipo perfezionato. |
WO2002087399A1 (en) * | 2001-04-30 | 2002-11-07 | Bunn-O-Matic Corporation | Variable flow spray system |
AU2002951413A0 (en) * | 2002-09-16 | 2002-10-03 | Ollin Sustainable Technologies Pty. Ltd. | Gas appliances |
NL1023023C2 (nl) * | 2003-03-26 | 2004-09-30 | Bravilor Holding Bv |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heet water. |
US7523695B2 (en) * | 2003-12-12 | 2009-04-28 | Keurig, Incorporated | System for dispensing metered volumes of heated water to the brew chamber of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
CN100569156C (zh) * | 2003-12-12 | 2009-12-16 | 库里格股份有限公司 | 向单杯供应调饮料机的调饮料容器配送水量经计量的热水的系统 |
WO2006052969A2 (en) * | 2004-11-10 | 2006-05-18 | Bunn-O-Matic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ank overheating |
WO2006074170A1 (en) * | 2005-01-06 | 2006-07-13 | Bunn-O-Matic Corporation | Line pressure brewer |
ES2311931T3 (es) | 2005-10-14 | 2009-02-16 | Nestec S.A. | Capsula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
CN101073475B (zh) * | 2006-05-15 | 2010-11-03 | 元山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 饮料加热方法及其装置 |
PL1894853T3 (pl) | 2006-08-30 | 2013-04-30 | Nestec Sa | Kapsułka do wytwarzania napoju |
NZ588984A (en) | 2008-05-08 | 2013-04-26 | Nestec Sa | An air separator with a flow diverting baffle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fluid flow at least twice |
US8151694B2 (en) * | 2008-08-01 | 2012-04-10 | Keurig, Incorporated | Beverage forming apparatus with centrifugal pump |
-
2012
- 2012-09-26 AU AU2012314489A patent/AU201231448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9-26 SG SG11201400766VA patent/SG11201400766VA/en unknown
- 2012-09-26 JP JP2014531278A patent/JP2014526360A/ja active Pending
- 2012-09-26 EP EP12762314.8A patent/EP2760321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2-09-26 KR KR1020147011282A patent/KR2014008275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2-09-26 RU RU2014116898/12A patent/RU2014116898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9-26 CA CA2849950A patent/CA284995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9-26 CN CN201280046971.9A patent/CN103826511A/zh active Pending
- 2012-09-26 WO PCT/EP2012/068988 patent/WO201304550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9-26 US US14/347,144 patent/US2014023065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760321B1 (en) | 2015-04-08 |
AU2012314489A1 (en) | 2014-04-03 |
EP2760321A1 (en) | 2014-08-06 |
JP2014526360A (ja) | 2014-10-06 |
RU2014116898A (ru) | 2015-11-10 |
SG11201400766VA (en) | 2014-04-28 |
CA2849950A1 (en) | 2013-04-04 |
WO2013045507A1 (en) | 2013-04-04 |
CN103826511A (zh) | 2014-05-28 |
US20140230658A1 (en) | 2014-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95695B2 (ja) | 膨張チャンバを有する液体供給タンク | |
CN104718141B (zh) | 一种具有防喷射装置的饮料胶囊 | |
US8460440B2 (en) | Beverage production device | |
EP3166456B1 (en) | Accessory for supplying automatically a beverage machine with liquid from a distribution network | |
US10595670B2 (en) | Coupling of a device for connecting a beverage machine to a distribution network | |
EP4233647B1 (en) | Built-in coffee maker | |
US20160183717A1 (en) | Improve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one or a plurality of beverages | |
EP2793663B1 (en) | A heating unit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KR20140082751A (ko) | 고온 음료 제조 디바이스 | |
US20200390271A1 (en) | Beverage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cartridge | |
EP3207836B1 (en) | Infusing unit for preparing bevera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4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