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81351A - 인휠 모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인휠 모터 어셈블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351A
KR20140081351A KR1020120151003A KR20120151003A KR20140081351A KR 20140081351 A KR20140081351 A KR 20140081351A KR 1020120151003 A KR1020120151003 A KR 1020120151003A KR 20120151003 A KR20120151003 A KR 20120151003A KR 20140081351 A KR20140081351 A KR 20140081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assembly
motor assembly
driving force
r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351A/ko
Priority to CN201310293571.4A priority patent/CN103879275B/zh
Publication of KR20140081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35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60K17/046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with planetary gearing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인휠 모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테이터 및 로터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력을 1차 감속 또는 토크 증대시키는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력을 2차 감속시키는 카운터기어세트를 구비하는 감속기 어셈블리;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에서 감속 또는 토크 증대된 회전 구동력을 차량의 휠로 전달하되, 상기 로터와 상이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허브내륜과, 상기 허브내륜을 내측에 수용하고 고정 지지되는 허브외륜을 구비하는 허브 어셈블리;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 및 상기 허브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며, 스트럿 및 로어아암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너클부재;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휠 모터 어셈블리 {IN-WHEEL MOTOR ASSEMBLY}
본 발명은 인휠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 내부에 내설된 모터를 통해 차량을 구동시킬 수 있는 인휠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인휠 모터 시스템(In-wheel motor system)은 전기에너지를 주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Plug-in hybrid car), 연료 전지차 등에서 대형의 단일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차륜에 각각 모터를 내설하여 분산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휠 내부에 구동모터, 제동장치, 베어링, 감속기 등이 일체화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휠 모터 시스템은 하나의 대용량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시스템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고, 전기식 4륜 구동 시스템의 구성이 용이하며, 좌우측의 휠을 독립 구동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등의 기술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휠 모터 시스템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모터의 구동력을 휠로 전달하는 감속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장치, 차량의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 휠을 차량에 지지하는 서스펜션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다수의 구성 부품이 휠 내부에 유기적으로 통합 배치되게 된다. 통상 상기와 같은 인휠 모터 시스템은 모터의 스테이터 및 로터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회전 구동력으로 변환하며, 이 회전 구동력을 감속기를 통해 감속 또는 토크 증대시킨 후, 허브로 전달하여 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순으로 동력전달이 이뤄지게 된다.
이때,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는 카운터기어 및 유성기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1차로 카운터기어를 통해 감속 후, 유성기어를 통해 2차 감속하여 허브에 전달하는 구조로 이뤄지게 된다. 따라서 통상 2차 감속을 위한 유성기어는 허브 베어링의 내부에 수납되게 되는데, 이는 복잡한 유성기어를 허브 내부에 두도록 하여 휠 구동이나 하중 지지를 위해서 허브 케이스를 유성기어 외곽에 둘 수 밖에 없게 한다. 이는 인휠 모터 시스템에 맞춤된 특별한 허브의 제작 및 설계를 요구하며, 기존의 휠을 인휠 모터 시스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유성기어의 2차 감속에 의해 토크를 증대시키므로 복잡한 구조의 유성기어를 용량 증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충분한 구조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폭, 외경 등을 크게 설계하여야 하므로, 원가 상승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치공간의 여유를 확보하고,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며, 기존의 휠에도 적용 가능한 인휠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테이터 및 로터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력을 1차 감속 또는 토크 증대시키는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력을 2차 감속시키는 카운터기어세트를 구비하는 감속기 어셈블리;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에서 감속 또는 토크 증대된 회전 구동력을 차량의 휠로 전달하되, 상기 로터와 상이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허브내륜과, 상기 허브내륜을 내측에 수용하고 고정 지지되는 허브외륜을 구비하는 허브 어셈블리;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 및 상기 허브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며, 스트럿 및 로어아암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너클부재;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는 컴팩트한 2단 감속 구조를 통해 구동력을 배가시키면서도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어셈블리의 회전축을 차축의 회전축에 대해 전방 상향 편심시켜 스트럿에 장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휠 내부에 컴팩트한 설계로 인해 기존 샤시 부품과의 조립이 유리하며, 소형화로 인해 차량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는 전륜에의 인휠모터시스템 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디스크 브레이크 등의 회생제동을 통해 연비 향상 등의 효과 등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휠 모터 어셈블리의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모터 어셈블리(110)의 회전축(C2)과, 휠(170) 또는 차축의 회전축(C1)이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모터 어셈블리(110)의 회전축(C2)은 휠(170)의 회전축(C1)에 대해 전방 상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 어셈블리(110)의 배치는 주행중 서스펜션(151)에 의해 휠(170)이 상하로 바운스(bounce) 되거나, 선회시 휠(170)이 소정 조향각으로 회전되더라도 샤시 부품 등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배치공간의 여유를 확보하여 모터의 사이즈를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110)가 휠(170) 내 상측방에 배치됨으로 인해 하부측에 배치 공간이 생성되며, 이로 인해, 휠(170) 하부측에 서스펜션 등을 배치할 수 있는 자유도가 커지게 된다. 한편, 모터 어셈블리(110)의 우측 공간에는 브레이크 캘리퍼(180)가 배치될 수 있다. 브레이크 캘리퍼(180)는 너클부재(140)에 장착 지지될 수 있으며, 휠(170)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171)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제동을 수행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휠(170) 또는 차축의 회전축(C1) 상방에 모터 어셈블리(110)의 회전축(C2)이 배치되며, 모터 어셈블리(110)의 반대측에는 브레이크 캘리퍼(180)가 위치하고, 차축의 회전축(C1) 상방에는 스트럿(150)이, 하방에는 로어아암 장착부(190)가, 로어아암 장착부(190) 후방에는 타이로드(160)가 배치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모터 어셈블리(110), 감속기 어셈블리(120), 허브 어셈블리(130) 및 너클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1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감속기 어셈블리(120)는 생성된 회전 구동력을 감속 또는 토크 증대시켜 허브 어셈블리(130)에 전달하며, 허브 어셈블리(130)는 이를 통해 휠(170)을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너클부재(140)는 스트럿(150) 및 로어아암(190)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어 차량을 지지하게 된다. 제동시에는 휠(170)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171)에 브레이크 캘리퍼(180)가 마찰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조향시에는 휠(170)에 조향각을 발생시키는 타이로드(160)가 너클부재(140)에 연결되어 조향이 이뤄지게 된다(도 1 참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휠 모터 어셈블리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모터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1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 하우징(113) 내에 고정 설치되는 스테이터(112)와 스테이터(112)의 중심축 부근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터(111)를 구비할 수 있다. 스테이터(112)는 스테이터 코어 및 이에 권취된 스테이터 코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코일로의 전류공급에 의해 회전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로터(111)는 스테이터(112)의 중심축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계 내에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로터(111)는 모터 하우징(113) 또는 모터 커버(114)에 지지될 수 있으며, 모터 하우징(113) 내에 마련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모터 어셈블리(110)에는 레졸버(115)가 구비될 수 있다. 레졸버(115)는 모터 하우징(113) 등에 고정 설치되는 레졸버 스테이터(115a)와, 로터(111)와 함께 회전되는 레졸버 로터(115b)를 구비할 수 있다. 레졸버 스테이터(115a) 및 레졸버 로터(115b)는 각각 2 상(phase)의 권선을 가지고, 출력 전압값의 변화를 통해 로터(111)의 회전 속도, 회전 위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감속기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 어셈블리(120)는 모터 어셈블리(110)에서 생성된 회전 구동력의 토크를 증대시켜 허브 어셈블리(130)로 전달하게 된다. 감속기 어셈블리(120)는 1차 감속을 위한 유성기어세트와 2차 감속을 위한 카운터기어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유성기어세트는, 모터 어셈블리(110)의 로터(111)와 일체로 회전되는 선기어(121)와, 선기어(121)의 외주에 치합되는 유성기어(122)와, 유성기어(122)의 외주에 치합되는 링기어(123)와, 감속 또는 토크 증대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캐리어(124)를 구비할 수 있다.
선기어(121)는 로터(111)의 단부에 장착되어 로터(11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선기어(121)는 로터(111)와 스플라인(spline) 결합될 수 있다. 유성기어(122)는 선기어(121)의 외주에 배치되어 선기어(121)와 치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링기어(123)는 유성기어(122)의 외주에 배치되어 내주가 유성기어(122)에 치합될 수 있으며, 너클부재(140)에 장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캐리어(124)는 링기어(123)의 내주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캐리어(124)는 핀에 의해 유성기어(122)와 링크 결합될 수 있으며, 링기어(123)가 너클부재(140)에 고정 지지됨에 따라 반력으로 인해 링기어(123)의 내측에 회전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선기어(121)의 회전 구동력은 유성기어(122) 및 링기어(123)를 거쳐 캐리어(124)를 회전시키면서 기어비에 따라 감속 또는 토크 증대가 이뤄질 수 있다.
캐리어(124)의 전단은 감속기 커버(126)에 지지될 수 있으며, 감속기 커버(126)와의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124)의 전단은 후술할 소기어(125)의 장착을 위해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이를 캐리어샤프트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캐리어(124)의 중단은 링기어(123)와의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캐리어(124)의 후단은 로터(111)와의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카운터기어세트는, 캐리어샤프트에 장착되는 소기어(125)와, 소기어(125)에 치합되는 카운터 기어(126)를 구비할 수 있다.
소기어(125)는 캐리어(124) 전단에 돌출된 캐리어샤프트에 장착될 수 있으며, 캐리어(124)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소기어(125)는 캐리어샤프트에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카운터 기어(126)는 소기어(125)의 하측에 배치되어 소기어(125)와 치합될 수 있다. 전술한 모터 어셈블리(110)의 로터(111), 유성기어세트의 캐리어(124), 소기어(125) 등이 로터(111)의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반해, 본 카운터 기어(126)는 로터(111) 회전축(C2) 하단의 차축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운터 기어(126)는 로터(111)의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한 회전 구동력을 차축의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허브 어셈블리(130)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카운터 기어(126)는 소기어(125)와 함께 2차 감속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소기어(125)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기어(125)와 카운터 기어(126)의 기어비는 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운터 기어(126)는 차축의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허브 어셈블리(130)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허브 어셈블리(130)로의 회전 구동력 전달을 위해 카운터 기어(126)는 회전 중심부가 회전축(C1) 방향으로 소정정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를 카운터기어샤프트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카운터 기어(126)는 카운터기어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너클부재(140)과의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허브 어셈블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 어셈블리(130)는 감속기 어셈블리(120)에서 감속 또는 토크 증대된 회전 구동력을 차량의 휠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카운터기어샤프트와 체결되는 허브내륜(131)과, 허브내륜(131)의 외주에 배치되어 허브내륜(1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허브외륜(132)을 구비할 수 있다.
허브내륜(131)은 카운터기어샤프트에 장착되어 카운터기어샤프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허브내륜(131)은 카운터기어샤프트와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허브내륜(131)은 허브외륜(132)과의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을 통해 허브외륜(13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허브내륜(131)은 카운터기어샤프트에 의해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회전축(C1)은 모터 어셈블리(110)의 로터(111)가 회전되는 회전축(C2)과는 상이한 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휠이 회전되는 중심축과 동일한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허브내륜(131)은 허브볼트(133)를 통해 디스크와 체결될 수 있으며, 디스크를 통해 허브내륜(131)의 회전 구동력이 차량의 휠로 전달될 수 있다(도 1 및 2 참고).
허브외륜(132)은 허브내륜(131)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어링을 통해 내측의 허브내륜(1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허브외륜(132)은 후술할 너클부재(140)에 결합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허브외륜(132)은 감속기 커버(12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허브외륜(132)을 통한 감속기 커버(126)의 대체로, 부품수 절감, 조립성 향상, 구조강도 증대 등의 기술적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너클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너클부재(140)는, 감속기 커버(126)와 일체화된 허브외륜(132), 모터 하우징(113) 등이 체결되어 고정 지지되기 위한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너클부재(140)는 베어링을 통해 카운터 기어(126)를 지지하거나, 링기어(123)가 장착되는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너클부재(140)는 스트럿(150) 및 로어아암(190)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어 차량을 지지하게 된다.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캘리퍼(180)나 조향을 위한 타이로드(160)가 장착 또는 연결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컴팩트한 2단 감속 구조를 통해 구동력을 배가시키면서도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 어셈블리(110)의 회전축(C2)을 차축의 회전축(C1)에 대해 전방 상향 편심시켜 스트럿(150)에 장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휠(170) 내부에 컴팩트한 설계로 인해 기존 샤시부품과의 조립이 유리하며, 소형화로 인해 차량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휠 모터 어셈블리(100)는 전륜에의 인휠모터시스템 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디스크 브레이크 등의 회생제동을 통해 연비 향상 등의 효과 등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인휠 모터 어셈블리 110: 모터 어셈블리
120: 감속기 어셈블리 130: 허브 어셈블리
140: 너클부재 150: 스트럿
160: 타이로드 170: 휠
180: 브레이크 캘리퍼 190: 로어아암

Claims (5)

  1. 스테이터 및 로터를 구비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력을 1차 감속 또는 토크 증대시키는 유성기어세트와, 상기 유성기어세트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회전 구동력을 2차 감속시키는 카운터기어세트를 구비하는 감속기 어셈블리;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에서 감속 또는 토크 증대된 회전 구동력을 차량의 휠로 전달하되, 상기 로터와 상이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허브내륜과, 상기 허브내륜을 내측에 수용하고 고정 지지되는 허브외륜을 구비하는 허브 어셈블리;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 및 상기 허브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며, 스트럿 및 로어아암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너클부재;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로터에 장착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에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성기어;
    상기 유성기어의 외주에 치합되며 상기 너클부재에 고정 지지되는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감속 또는 토크 증대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카운터기어세트로 전달하는 캐리어;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기어세트는,
    상기 유성기어세트의 캐리어에 장착되어 상기 캐리어와 함께 회전되는 소기어; 및
    상기 소기어보다 소정정도 큰 반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허브내륜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너클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 중심축에 상기 허브내륜이 장착되어 상기 허브 어셈블리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카운터 기어;를 포함하는 인휠 모터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브외륜은,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의 감속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축은, 상기 휠의 측방을 기준으로, 상기 허브내륜의 회전축보다 전방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휠 모터 어셈블리.
KR1020120151003A 2012-12-21 2012-12-21 인휠 모터 어셈블리 Ceased KR20140081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003A KR20140081351A (ko) 2012-12-21 2012-12-21 인휠 모터 어셈블리
CN201310293571.4A CN103879275B (zh) 2012-12-21 2013-07-12 轮内马达总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003A KR20140081351A (ko) 2012-12-21 2012-12-21 인휠 모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351A true KR20140081351A (ko) 2014-07-01

Family

ID=5094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003A Ceased KR20140081351A (ko) 2012-12-21 2012-12-21 인휠 모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81351A (ko)
CN (1) CN103879275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525A (ko) * 2017-02-09 2018-08-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인휠 구동장치
KR20180124466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만도 회전식 조향장치
CN111098697A (zh) * 2020-01-09 2020-05-05 清华大学 一种采用全盘式制动器的两级减速电动轮
DE102019219170A1 (de) 2018-12-27 2020-07-02 Hyundai Transys Inc. Radnabenmotor-Antriebsstrang
KR20200120295A (ko) 2019-04-12 2020-10-21 ( 주 ) 화신 전기버스 인휠모터 하우징의 커넥터 접속구멍 절삭공구
DE102019218440A1 (de) * 2019-11-28 2021-06-02 Zf Friedrichshafen Ag Planetenträger mit verschweißtem Stützring
CN118893965A (zh) * 2024-10-09 2024-11-05 万向钱潮股份公司 一种轮边驱动总成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8581B (zh) * 2015-05-31 2018-04-27 简式国际汽车设计(北京)有限公司 一种轮边电机驱动系统、及一种轮边电机驱动桥
KR102334659B1 (ko) * 2017-06-29 2021-1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휠 구동 시스템의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8146221B (zh) * 2017-08-28 2019-11-22 泰安航天特种车有限公司 一种具有一体化转向节端盖的电动轮及车辆
EP3826870B1 (en) * 2018-07-24 2023-07-19 Volvo Truck Corporation A powertrain system for driving at least one wheel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0208B2 (ja) * 2005-01-19 2010-04-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
EP2332760B1 (en) * 2009-12-09 2012-09-12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Electric transaxle unit
DE102010007638B4 (de) * 2010-02-05 2022-03-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ntriebsstrang
KR101707160B1 (ko) * 2011-03-03 201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휠 구동장치
KR101655402B1 (ko) * 2011-04-26 2016-09-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휠 구동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525A (ko) * 2017-02-09 2018-08-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인휠 구동장치
KR20180124466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만도 회전식 조향장치
DE102019219170A1 (de) 2018-12-27 2020-07-02 Hyundai Transys Inc. Radnabenmotor-Antriebsstrang
KR20200080659A (ko) 2018-12-27 2020-07-0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인휠 모터 파워트레인
US10988021B2 (en) 2018-12-27 2021-04-27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In-wheel motor powertrain
KR20200120295A (ko) 2019-04-12 2020-10-21 ( 주 ) 화신 전기버스 인휠모터 하우징의 커넥터 접속구멍 절삭공구
DE102019218440A1 (de) * 2019-11-28 2021-06-02 Zf Friedrichshafen Ag Planetenträger mit verschweißtem Stützring
CN111098697A (zh) * 2020-01-09 2020-05-05 清华大学 一种采用全盘式制动器的两级减速电动轮
CN118893965A (zh) * 2024-10-09 2024-11-05 万向钱潮股份公司 一种轮边驱动总成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79275B (zh) 2017-06-30
CN103879275A (zh)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1351A (ko) 인휠 모터 어셈블리
KR101552982B1 (ko) 인휠 구동장치
JP3960553B1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車のホイール回転装置
JP5677142B2 (ja) インホイール型の車輪駆動装置
KR102708798B1 (ko) 인휠 구동장치
US9636999B2 (en) In-wheel assembly and vehicle with the in-wheel assembly
JP3394771B2 (ja) 二入力無段変速一体型モータ及び伝動装置
US9306430B2 (en) In-wheel actuator and in-whee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1004598B1 (ko) 인휠 모터 장착용 휠 구조체
JP5066924B2 (ja) 車輪駆動装置
KR101841009B1 (ko) 인휠 구동장치
CN101370679A (zh) 车轮驱动设备
JP4433504B2 (ja) 電動車両
CN106799960A (zh) 轮毂电机驱动装置、电动汽车及电动汽车工作方法
JP2008273406A (ja) 車輪駆動装置
JP2018070030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2013163401A (ja) 駆動ユニット
KR101682248B1 (ko) 인휠 구동시스템
JP5130780B2 (ja) 車輪駆動装置
EP4397518A1 (en) In-wheel motor
JP2013147177A (ja) 駆動装置、及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2007153266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
CN207241414U (zh) 一种采用多连杆独立悬架的底盘电动化结构
KR20190063700A (ko) 인휠 구동장치
CN208646589U (zh) 与独立悬架匹配的电动汽车轮毂电驱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