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77768A -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768A
KR20140077768A KR1020120146890A KR20120146890A KR20140077768A KR 20140077768 A KR20140077768 A KR 20140077768A KR 1020120146890 A KR1020120146890 A KR 1020120146890A KR 20120146890 A KR20120146890 A KR 20120146890A KR 20140077768 A KR20140077768 A KR 20140077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nit
viewer
information
view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문
현은희
한경수
오천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768A/en
Publication of KR2014007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768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1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자의 선호도 분석에 기반한 타깃팅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광고를 접한 시청자의 시청 행태를 기반한 광고 효과를 측정하여, 효율적인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기회에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주 니즈를 분석하고, 광고를 접할 시청자의 시청 행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광고주 니즈와 광고 기회 정보에 기반하여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기회를 추천하고, 상기 분석된 광고주 니즈와 상기 분석된 시청자의 시청 행태 정보에 기반하여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그룹을 추천하는 광고 제공부와 상기 광고를 접한 상기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된 광고의 효과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광고 효과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효과 측정부에서 상기 광고 제공부로 상기 효과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여 광고주로 하여금 제공된 광고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rgeting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 targeted advertisement service based on analysis of a viewer's preference and measuring an advertisement effect based on a viewing behavior of a viewer who has presented the advertisement to provide an efficient customized advertise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ized targeting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to a candidate audience group for each advertisement content targeted by a content-based candidate viewing opportunity, comprising: analyzing an advertiser's needs; analyzing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a viewer who receives the advertisement; And an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for recommending a candidate viewing opportunity for each of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the analyzed advertisement requirement and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the analyzed viewer based on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And the viewer's viewing line The advertisement effect measurement unit may provide the effect measurement data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so that the advertiser is provided with feedback on the provided advertisement .

Description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0002]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 [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방송 서비스 환경에서 맞춤형 광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ized targeting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ustomized advertisement service in a hybrid broadcast service environment.

전통적인 광고는 TV, 라디오, 케이블,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대상으로 매스형, 노출형, 일방향, 매체에 기반한 독립적 속성의 광고로 집행된다. 반면에 스마트광고는 인터넷, 모바일, 스마트TV 등과 같이 디지털 기기를 통해 지능화된 광고플랫폼으로 전달되며 양방향, 맞춤형, 융합적(광고-정보-커머스) 속성의 광고 형태가 된다. 또한 전통적 광고는 광고 기획 및 제작(광고광고 대행사), 광고 구매 및 판매(미디어렙), 광고 전송, 효과 측정(시청률 조사업체)별로 이루어졌으나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광고는 이러한 각각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Traditionally, advertising is carried out on media such as TV, radio, cable, newspapers, magazines, etc. as independent advertisements based on mass, exposure, one way, and media. Smart advertising, on the other hand, is delivered to the intelligent advertising platform through digital devices such as the Internet, mobile, and smart TV, and becomes a form of interactive, customized, and convergent (advertising - information - commerce) advertising. In addition, traditional advertisements are classified into advertising planning and production (advertising agency), advertisement purchase and sale (media rep), advertisement transmission and effect measurement (audience rating survey company) The need for a system that can provide it.

디지털 양방향 TV를 통한 광고시스템은 광고주의 요청에 따라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매체사의 광고 스케줄에 따라 편성된 순서에 의해 광고 콘텐츠를 송출하여 광고를 집행하게 된다.The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the digital two-way TV broadcasts the advertisement conte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schedule of the media company, and executes the advertisement.

멀티미디어 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피드백이 요구되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광고는 투입된 광고비 대비 광고 효과 측면이나 광고기회 측면에서 효율적인 광고를 통해 매출을 증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광고 플랫폼이 요구된다. In the smart media environment, which requires viewer feedback on the multimedia advertisement, a new type of advertisement platform that can increase the sales through the efficient advertisement in terms of the advertisement effect compared to the input advertisement cost or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is required.

또한 TV를 통한 대형광고주 위주의 광고뿐만 아니라 급속하게 다양해지는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개인 광고주나 중소형 광고주도 손쉽게 광고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dvertisers to easily participate in advertisements by individual advertisers or small and medium advertisers in a rapidly diversifying smart media environment as well as advertisements centering on large advertisers via TV.

종래의 방송광고는 불특정 다수에게 광고를 노출하고, 프로그램 장르 및 시청지역 맞춤형 광고가 제공되고는 있지만 타깃팅 범위가 넓어 광고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Conventional broadcasting advertising exposes advertisements to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offers a program genre and a viewing area customized advertisement.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10-2011-0013967, 2011년02월10일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13967, published on February 10, 20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청자의 선호도 분석에 기반한 타깃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공된 광고의 피드백을 통해 광고 효과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rget advertisement service based on analyzing the preference of a viewer and to enhance advertisement effect through feedback of the provided advertisement.

본 발명에 의한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은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 광고 기회 정보, 광고주 니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광고를 타깃팅하고, 상기 타깃팅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와 상기 타깃팅된 광고를 접한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타깃팅된 광고를 접한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에 기반한 효과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광고 효과 측정부를 포함한다.
A customized targeting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targeting an advertisement based on at least one of viewer's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and advertiser's needs information, And an advertisement effect measuring unit for collecting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the viewer and generating effect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the viewer who has contacted the targeted advertisement.

본 발명은 본 발명을 통해 매체사 위주의 개별 광고 플랫폼 운영에서 탈피하여 광고자원 관리 및 집행에 있어서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함에 따라 개인 광고주 및 중소형 광고주도 손쉽게 광고에 참여할 수 있고, 맞춤형 광고 타깃팅에 의해 광고기회 수급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광고 매매시장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operated in the management and execution of advertisement resources by avoiding the operation of the individual advertisement platform based on the media company, the individual advertiser and the small and medium advertiser can easily participate in the advertisement, It is advantageous that direct advertisement market can be formed between recipients and consumers.

또한 본 발명은 제공된 광고에 대한 광고 효과를 측정하고 광고주에게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광고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 및 분석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objective measurement and analysis data on the advertisement effect by measuring the advertisement effect on the provided advertisement and presenting the result to the adverti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부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부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의 기능 순서도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효과 측정부의 기능 순서도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방송 광고 서비스 흐름을 도시한 도.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ustomized targeting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n advertising effect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unctional flowchart of a customized targeting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unctional flowchart of an advertisement effect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broadcast advertisement service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서술되어 있는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으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중간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서술되어 있는 경우, 해당 구성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구성 요소가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Where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be intermediate. In addition, when describing a specific element as " compri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dditional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r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용어 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at i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us, the first component can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and likewise the second component can be named as the first compon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 요소는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될 뿐, 각 구성 요소가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구성 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복수의 구성 요소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 요소로 동작하거나, 하나의 구성 요소가 복수의 구성 요소로 나뉘어져 동작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 포함된다.In addition, the ele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separately to indicate that they perform different characteristic functions, but it does not mean that each element can not be implemented as one hardware or software. That is, each component is divide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combined to operate as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operat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일부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닌 성능의 향상을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하고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ptional components for enhancing performance, not essential components that perform 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cluding only essential components except for optional components, and a structure including only essential components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ustomized targeting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제공부(100), 광고 효과 측정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ustomized targeting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and an advertisement effect measuring unit 200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부(100)는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 광고 기회 정보, 광고주 니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를 타깃팅하고, 상기 타깃팅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arget an advertisement based on at least one of viewer's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and advertiser's need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광고 기회를 제공하는 미디어 유통사업자와 광고 기회를 구입하여 특정 상품에 관한 광고를 실시하고자 하는 광고주 또는 광고주를 대행하는 광고 대행사는 상기 광고 제공부(100)를 이용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100)는 미디어 유통 사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광고기회의 가치를 향상시켜 광고 매출 증대를 통해 광고판매에 대한 수익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며, 광고주가 자신이 생산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광고를 노출시켜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판매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An advertiser who wants to purchase an advertisement opportunity and an advertisement about a specific product, or an advertisement agency that acts as an advertiser, can use the advertisement provider 100. The advertisement provider 100 can maximize the profit of the advertisement sales by increasing the value of the advertisement opportunities possessed by the media distributors and increase the advertisement revenue by maximizing the advertisement revenue To provide a variety of control functions to help maximize sales revenue for a given product or service.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부(100)는 광고의뢰 관리부(110), 시청행태 관리부(130), 광고 타깃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order management unit 110, a viewing behavior management unit 130, and an advertisement targeting unit 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의뢰 관리부(110)는 광고 의뢰 관리부(110)의 주요 사용자인 광고주 혹은 광고 대행사와의 인터렉션을 담당한다. 상기 광고 의뢰 관리부(110)를 통해 광고주는 광고 집행 및 계약을 위해 광고 유형별 광고 콘텐츠 저작을 포함한 필요한 모든 정보들을 제공하게 되고, 실제 광고가 집행된 후 그 광고를 접한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고주는 수행되는 광고 판매 대행 업무 절차 중 자신이 요청한 광고가 노출된 시청자 그룹이나 콘텐츠 등을 추천 받는 등, 광고가 집행되는 동안 광고 기회 정보, 광고 편성 정보, 광고 타깃팅 정보 등 자신이 알고자 하는 모든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request management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onsible for an interaction with an advertiser or an advertisement agency which is a main user of the advertisement request management unit 110. [ Through the advertisement request management unit 110, the advertiser provides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including advertisement contents for each advertisement type for execution and contract, and after the actual advertisement is executed,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viewer . In addition, the advertiser may receive a recommendation of a group of viewers or content in which the advertisement requested by the user is exposed during the advertisement sales agency operation process, etc., and then, during the execution of the advertisement, the advertiser may know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You can get all the information you ne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부(1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dvertisement provi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의뢰 관리부(110)는 광고 계약 관리부(111), 광고주 니즈 분석부(112), 광고 컨텐츠 관리부(113), 시청행태 정보 관리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2, an advertisement request management unit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vertisement contract management unit 111, an advertiser needs analysis unit 112, an advertisement content management unit 113, a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4, .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계약 관리부(111)는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로부터 의뢰받은 광고 계약 정보와 미디어 유통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기회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광고 계약 정보는 예컨대, 광고가 특정 기간 동안 지정된 노출 목표치를 가지고 어떤 주기로 노출되며 얼마의 비용을 지불하게 되는지, 또한 어떤 광고기회를 통해 인지 등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contract management unit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nd manage the advertisement contrac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advertiser or the advertisement agency and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edia distribution company. The advertisement contrac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ing, for example, how long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with a specified exposure target for a specific period, how much it will be paid for, a certain advertisement opportunity, and the like.

입력된 상기 광고 계약 정보 중 해당 광고를 어느 광고기회에 삽입해야 하는 지와 어떤 시청 그룹에게 노출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시한 광고주의 요구사항과 같은 광고주 니즈 정보는 상기 광고 계약 관리부(111)에 입력되어 광고주 니즈 분석부(112)로 제공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requirement information such as the requirements of the advertiser presented to determine which advertising opportunity the advertisement should be inserted into and which viewing group among the advertisement contrac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advertisement contract management unit 111 And can be provided to the advertiser needs analysis unit 1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주 니즈 분석부(112)에서는 광고 계약 관리부(111)로부터 제공된 광고주 니즈 정보를 분석하여, 후술할 광고 타깃팅부(120)로 전송한다. The advertiser needs analyzing unit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advertiser need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dvertisement contract managing unit 111 and transmits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advertisement targeting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컨텐츠 관리부(113)는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가 직접 광고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제작하고 실제 시청자에게 노출되는 상황을 모사 할 수 있다. 즉, 광고 컨텐츠 관리부(113)에서는 광고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며 서비스 운영 환경에 따라 광고 콘텐츠는 별도의 광고 정보 관리부로 제공되어 관리되거나, 광고 콘텐츠 관리부(113)에서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콘텐츠 메타데이터는 광고 콘텐츠와 함께 광고 정보 관리부(300)로 전송되거나 광고 제공부(100)에 포함될 수 있는 메타데이터 관리부(14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content management unit 1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ate the situation where an advertiser or an advertisement agency directly produces advertisement contents online and is exposed to an actual viewer. That is, the advertisement content management unit 113 generates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metadata about the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managed or provided as a separat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service operating environment, or the advertisement content management unit 113 itself . Also, the advertisement content metadata may be stored in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40, which may be transmitted to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00 together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or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and mana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청행태 정보 관리부(114)는 광고 효과 측정부(200)로부터 광고 제공부(100)에서 제공된 광고를 접한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는 시청자수, 시청 여부 등의 단순한 시청자 행태 인식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시청자 행태 인식 정보에 기반한 효과 측정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효과 측정 데이터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a viewer who has contacted the advertisement provided from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from the advertisement effect measurement unit 200. [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the viewer may be simple viewer behavior recognition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viewers and whether or not the viewer is watching. Or effect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viewer behavior recognition information. The effect measurement data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청행태 관리부(130)는 시청행태 분석부(131)와 클러스트링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시청행태 분석부(131)에서는 제공하고자 하는 광고를 접하는 시청자의 시청행태 기반 광고 타깃팅 기능을 위해 콘텐츠 및 광고를 접하는 시청자에 대한 성향을 분석한다. 또한 분석된 시청행태는 클러스트링부(132)에서 클러스트링하여 보다 향상된 시청행태 기반 타깃팅 정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청행태는 광고 효과 측정부(200)에 포함된 효과 측정 서버(2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시청행태라 함은 광고주가 광고를 의뢰하기 전에 이미 제공되었던 광고(기존 광고)를 접했던 시청자의 시청행태를 의미한다. 2, the viewing behavior management unit 1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ewing behavior analysis unit 131 and a clustering unit 132. [ The viewing behavior analyzing unit 131 analyzes the tendency of the viewer who receives the content and the advertisement for the viewer watching function based on the viewing behavior of the viewer who is interested in the advertisement to be provided. Also, the analyzed viewing behavior can be clustered by the clustering unit 132 to provide more improved viewing behavior based targeting information. The viewing behavior may be provided from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effect measurement unit 200. Here, the viewing behavior refers to a viewing behavior of a viewer who has already been exposed to an advertisement (an existing advertisement) that has been provided before an advertiser requests an advertisement.

광고주의 니즈 중 노출 대상이 되는 시청자 그룹에 대한 추천 및 타깃팅을 위해 시청행태 관리부(130)에서는 효과분석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시청자들의 선호도를 추론하고 추론된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분포에 대한 성향들을 분석하여 시청자 그룹을 할 수 있다.In order to recommend and target the audience group to be exposed among the advertiser's needs, the viewing behavior management unit 130 receives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all viewers received from the effect analysis server, deduces the preferences of the viewers based on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group viewers by analyzing the tendency of demographic distribution.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타깃팅부(120)는 광고주 니즈 분석부(112)로부터 제공된 광고주 니즈 분석 정보와, 시청행태 관리부(130)로부터 제공된 시청행태 정보, 미디어 유통 사업자로부터 제공된 광고 기회 정보를 기반으로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과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를 선정하여 광고주에게 추천할 수 있다. 2, an advertisement target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dvertiser needs analysi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dvertiser needs analysis unit 112,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iewing behavior management unit 130, Based on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istributor, candidate advertisement groups may be selected for each of the targeted audience groups and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s according to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s to be recommended to the advertiser.

도 2를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타깃팅부(120)는 광고 추천부(122), 광고 편성부(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광고 기회 관리부(1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2, the advertisement target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unit 122 and an advertisement organization unit 123,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opportunity management unit 121 You may.

상기 광고 기회 관리부(121)는 미디어 유통 사업자로부터 광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광고 기회라 함은 콘텐츠 의존 광고 기회뿐만 아니라 콘텐츠와 무관한 광고 기회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광고 기회 관리부(121)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광고 기회는 미디어 유통 사업자로부터 광고 추천부(122)로 바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management unit 121 may receive an advertisement opportunity from the media distribution company. Here, the term "advertisement opportunity" refers not only to a content dependent advertisement opportunity but also to an advertisement opportunity independent of contents. However,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management unit 121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and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may be directly provided to th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unit 122 from the media distribution compan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추천부(122)는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주 니즈와 미디어 유통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기회에 기반하여, 광고 콘텐츠별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주 니즈와 시청행태 관리부(130)로부터 제공받은 시청행태 기반 정보에 기반하여 타깃팅된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unit 1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candidate advertisement opportunity for each advertisement content based on the advertisement requirement provided by the advertiser and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provided from the media distribution company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andidate audience group for each of the targetted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the advertiser needs received from the advertiser and the audience behavior bas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udience behavior management unit 130.

생성된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와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 정보는 광고 의뢰 관리부(110)에 포함된 광고 계약 관리부(111)로 제공된다. 광고 계약 관리부(111)로 제공된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와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은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에 추천되며,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는 상기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와 상기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The generated candidate advertisement opportunity for each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 group candidate information for each advertisement content are provided to the advertisement contract management unit 111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request management unit 110. The candidate audience for each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target audience group for each advertisement content targeted by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 provided by the advertisement contract management unit 111 are recommended to the advertiser or the advertisement agency, It is possible to select a candidate watching group by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s.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가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와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을 선택하면, 선택 된 콘텐츠별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와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 정보는 광고 계약 관리부(111)를 통해 광고 편성부(123)로 제공될 수 있다.If the advertiser or the advertising agency selects a candidate advertisement opportunity by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 and a candidate viewing group by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 the candidate advertisement opportunity by the selected content-based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candidate- And may be provided to the advertisement organizing unit 123 through the contract management unit 111. [

광고 편성부(123)에서는 콘텐츠별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와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 정보에 따라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에 광고를 편성하여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organizing unit 123 arranges the advertisement in the candidate advertisement opportunities according to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s according to the candidate advertisement opportunity for each content-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candidate-viewing-group information for each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제공부(100)는 메타 데이터 관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 관리부(140)는 광고 제공부(100)에 포함된 광고 의뢰 관리부(110), 광고 타깃팅부(120), 시청행태 관리부(130)와 각각 연동될 수 있으며, 광고 의뢰 관리부(110), 광고 타깃팅부(120), 시청행태 관리부(130)에서 생성된 각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정보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tadata management unit 140. [ The metadata management unit 140 can be linked to the advertisement request management unit 110, the advertisement targeting unit 120 and the viewing behavior management unit 130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The advertisement targeting unit 120, and the viewing behavior management unit 130, and performs an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to store and manage the information.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고 효과 측정부(200)는 타깃팅된 광고를 접한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에 기반한 효과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측정 데이터는 제공된 광고 효과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advertisement effect measur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effect measurement data based on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a viewer who has viewed the targeted advertisement. The effect measurement data may be data on the provided advertisement eff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고 효과 측정부(200)는 크게 단말 측에서 시청행태를 수집하는 효과 측정 클라이언트(210)와 시청률 및 광고 효과를 분석하고 제공하는 효과 측정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 측정 클라이언트(210)는 시청 행태 인식부(211)와 효과 측정 에이전트(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효과 측정 서버(220)는 효과 측정 데이터 수집 및 가공부(221)와 효과 측정 데이터 분석 및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effect measur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ffect measurement client 210 that collects viewing behavior on a terminal side and an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that analyzes and provides viewer ratings and advertisement effects . The effect measurement client 210 may include a viewing behavior recognition unit 211 and an effect measurement agent 212.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may include an effect measuremen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nit 221 and an effect measurement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section.

효과 측정 서버(220)와 효과 측정 클라이언트(2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and the effect measurement client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효과 측정 서버(220)는 광고 의뢰 관리부(110)에 포함된 시청행태정보 관리부와 연동되어 광고주가 의뢰한 광고를 시청한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된 광고에 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receives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a viewer who has viewed the advertisement requested by the advertiser in cooperation with the audience behavio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management unit 110, and obtains feedback on the provided advertisement .

또한, 상기 효과 측정 서버(220)는 광고 제공부(100)에 포함된 시청행태 관리부(130)와 연동되어 광고주가 의뢰하기 이전에 제공되었던 광고를 접했던 시청자의 시청행태를 정보를 제공하여 타깃팅된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viewing behavior of a viewer who has interacted with the viewing behavior management unit 130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Thereby allowing a candidate audience group for each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 to be provided with the advertisement.

도 3을 참조하면, 효과 측정 클라이언트(210)는 효과 측정 에이전트(212)와 시청 행태 인식부(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효과 측정 서버(220)는 효과 측정 데이터 수집 및 가공부(221)와 효과 측정 데이터 분석 및 관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effect measurement client 210 may include an effect measurement agent 212 and a viewing behavior recognition unit 211.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may include an effect measuremen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nit 221, And an effect measurement data analysis and management unit 222.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효과 측정 클라이언트(210)부에 포함된 시청 행태 인식부(211)는 초기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용자 등록 및 캘리브레이션부(211c)와 시청자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는 카메라 영상 분석부(211b), 상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청자의 행태를 인식하는 시청 행태 검출부(211a)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viewing behavior recognition unit 211 included in the effect measurement client 210 includes a user registration and calibration unit 211c for collecting initial environment data, and a camera image analysis unit And a viewing behavior detecting unit 211a for recognizing the behavior of the view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효과 측정 클라이언트(210)에 포함된 효과 측정 에이전트(212)는 데이터 생성 및 전송부(212a)와 단말 제어부(212b)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 및 전송부(212a)는 시청 행태 인식부(211)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효과 측정 서버(220)에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로 생성 변환하고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 (212b)는 시청자의 시청 이력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시청 행태 인식부(211)에 분석을 위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3, the effect measurement agent 212 included in the effect measurement client 210 may include a data generation and transmission unit 212a and a terminal control unit 212b. The data generating and transmitting unit 212a may generate data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viewing behavior recognizing unit 211 to the effect measuring server 220 and transmit the generated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212b may control an interface for collecting viewing history information of a viewer and a camera interface, and may provide a viewing behavior recognition unit 211 with an image for analysis.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효과 측정 서버(220)에 포함된 효과 측정 데이터 수집 및 가공부(221)는 효과 측정 클라이언트(210)로부터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효과 측정 수집부(221a)와 수집 데이터를 1차 가공하는 효과 측정 데이터 가공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과 측정 데이터 분석 및 관리부(222)는 시청률 지표 및 광고 효과 측정 지표를 생성하는 효과 측정 데이터 분석부(222a)와 분석 결과 데이터를 관리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광고주, 광고 대행사를 포함하는 광고 유통 참여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효과 측정 데이터 관리부(222b)를 포함한다. 3, the effect measuremen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nit 221 included in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includes an effect measurement collection unit 221a for collecting data received according to a protocol from the effect measurement client 210, And an effect measurement data processing unit 221b for first processing the collected data. The effect measurement data analyzing and managing unit 222 manages the analysis result data for generating an audience index and an advertisement effect measurement index, and manages the analysis result data and transmits the result data to an advertiser, an advertisement distribution participant And an effect measurement data management unit 222b.

도 3은 광고 효과 측정부(200)의 블록 간의 기능 순서도를 도식화한 것으로, 각 블록을 라이프라인에 배치하였고, 블록간 전달되는 데이터는 메시지로 나타내었다. 블록 외에 시청자와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를 액터로 추가하였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flowchart between blocks of the advertisement effect measuring unit 200. Each block is arranged in a lifeline, and data transmitted between blocks is represented by a message. In addition to blocks, we added viewers, advertisers, or ad agencies as actors.

시청자가 단말 (예컨대, 텔레비전)을 켜면 시청 행태 인식부에서 시청자를 인식하고 카메라의 시청자 영상을 분석하여 시청자 수, 시청 여부 등의 시청 행태를 검출한다. 검출된 시청 행태 데이터는 데이터 요청에 따라 효과 측정 에이전트(212)로 제공된다. 효과 측정 에이전트(212)는 단말과 카메라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카메라 영상 분석부(211b)를 제어하고 수집한 시청 행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효과 측정 서버(220)의 효과 측정 데이터 수집 및 가공부(221)로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를 형식에 맞게 생성하고 저장한다.When a viewer turns on a terminal (e.g., a television), the viewer behavior recognizing unit recognizes the viewer and analyzes the viewer image of the camera to detect the viewing behavior such as the number of viewers and whether or not the viewer is watching. The detected viewing behavior data is provided to the effect measurement agent 212 in response to a data request. The effect measurement agent 212 controls the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amera and the camera image analysis unit 211b and transmits the collected viewing behavior data to the effect measuremen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nit 221 of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data is formatted and stored for forwarding to the server.

효과 측정 데이터 수집 및 가공부(221)는 효과 측정 에이전트(212)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시청자 행태 인식 정보를 수집한 뒤 효과 측정 지표 산출을 위한 입력 데이터로 가공한다. 예를 들어 시청자 행태 인식 정보는 단위 시간 별 시청자 수라고 가정한다면 가공 데이터는 프로그램 별 시청 시간이 될 수 있다. 가공된 데이터는 효과 측정 데이터 분석 및 관리부에 전달되고 효과 측정 지표 산출을 위한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된 결과 데이터는 DB 형태로 관리되며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를 포함하는 사용자들에게 쿼리 또는 보고서 형태로 제공된다.The effect measuremen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nit 221 requests data transmission to the effect measurement agent 212, collects viewer behavior recogn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transmission protocol, and processes the input data to calculate an effect measurement index.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viewer behavior recognition information is the number of viewers per unit time, the processed data may be viewed by program. The process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analysis and management of effect measurement data and performs analysis for calculating effect measurement indexes. The analyzed result data is managed in DB form and is provided to users including an advertiser or an advertisement agency in the form of a query or a report.

도 4는 기능 구조도에 포함된 기능들이 모두 광고 제공부(100)에 해당되는 하나의 플랫폼에 탑재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이들간의 상관관계 및 관련 정보의 흐름을 도식화 한 도면으로, 광고주가 광고를 미디어 유통 사업자에서 제공하는 광고 기회를 통해 시청자에게 노출하고자 할 때 광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광고 의뢰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correl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assuming that all the functions included in the functional structure diagram are mounted on one platform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When the advertiser wants to expose to the viewer through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provided by the distribution company, the advertisement request procedure is performed using the advertisement platform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주 니즈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10); 광고주가 제작한 광고 콘텐츠를 제공받는 단계(S20); 상기 광고주 니즈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30); 미디어 사업자로부터 제공된 광고 기회 정보를 입력하는 광고 기회 관리 단계(S40); 효과 측정 서버(220)로부터 이미 제공된 광고에 관한 시청자의 시청 행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50); 상기 시청 행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60); 상기 분석된 시청행태 정보를 클러스팅 하는 단계(S70); 상기 분석된 광고주 니즈, 상기 광고 기회 정보, 상기 분석되고 클러스팅된 시청 행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한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 및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여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광고 추천 단계(S80); 상기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 및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광고 기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타깃팅된 광고를 편성하는 단계(S90); 상기 편성된 타깃팅된 광고를 집행하고 송출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S 10) advertiser needs information; Receiving advertisement contents produced by the advertiser (S20); Analyzing the advertiser needs information (S30); An advertisement opportunity management step (S40) of inputting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provided from a media provider; (S50) of receiving viewer's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n an advertisement already provided from the effect measurement server 220; Analyzing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S60); Clustering the analyzed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S70); Selecting at least one of a candidate audience for each of the targeted advertising conten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analyzed advertiser needs,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and the analyzed and clustered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and a candidate advertisement opportunity for each of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s, A recommendation step (S80) of providing advertisement; Organizing an advertisement targeted by at least one of the candidate viewing opportunities by the targeted advertising content and the candidate advertising opportunities by the targeted advertising content (S90); And executing and dispatching the organized targeted advertisements (SlOO).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은 상기 편성된 광고를 집행하고 송출하는 단계 이후에 아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ustomized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steps after the step of executing and delivering the organized advertisement.

상기 송출된 광고를 접한 시청자를 인식하고 카메라의 시청자 영상을 분석하는 단계(S110); 상기 분석된 시청자 영상에 기반하여 시청행태를 검출하는 단계(S120); 단말과 카메라 사이의 인터페이스와 영상 분석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S130); 상기 검출된 시청 행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단계(S140); 상기 시청 행태 정보를 데이터 형식에 맞도록 가공하는 단계(S150); 데이터 형식에 맞도록 가공된 시청 행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160); 상기 분석된 시청 행태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S170); 상기 관리된 시청 행태 정보를 광고주 또는 광고 대행사에 제공하는 단계(S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step S110 of recognizing a viewer who has touched the transmitted advertisement and analyzing a viewer image of the camera; Detecting a viewing behavior based on the analyzed viewer image (S120); Controll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amera and the image analysis module (S130); Collecting and storing the detected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S140); Processing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to conform to a data format (S150); Analyzing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processed to fit the data format (S160); Managing the analyzed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S170); And providing the managed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to the advertiser or the advertisement agency (S180).

또한, 상기의 각 단계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모든 데이터는 광고 정보 관리부를 통해 관리되며 광고 제공부(100)에 탑재된 모든 기능부는 통합 관리되는 데이터들을 참조하여 상호 연동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ll the data generated in the respective steps or externally inputted are managed through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all the functional units installed in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100 can perform the interworking procedure with reference to the data to be integrally managed .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The same contents as thos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re omitt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도 6은 방송 광고 서비스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서비스 참여자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광고 대행사(410)는 광고 제공부(100)에 포함되는 스마트 TV 방송 광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광고주 정보와 광고 계약 관리 및 광고 대행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렙(440)은 스마트 방송광고 플랫폼을 이용하여 광고 청약 및 편성, 타깃 시청자 그룹 및 광고 기회를 도출하고 관리한다. 스마트TV 방송 매체사(430)는 미디어렙에서 편성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송출, 제어한다. 시청자(470)는 스마트 TV와 개인 N-스크린 단말을 이용하여 광고를 소비할 수 있다.  FIG. 6 shows a flow of a broadcast advertisement service, which is based on a service participant. The advertisement agency 410 can perform advertiser information, advertisement contract management, and advertisement agency service using the smart TV broadcasting advertisement platform included in the advertisement provider 100. The media representative 440 derives and manages advertising subscription and organization, target audience groups, and advertisement opportunities using a smart broadcast advertisement platform. The smart TV broadcast media company 430 sends and controls the advertisement using information organized in the media representative. The viewer 470 may consume advertisements using a smart TV and a personal N-screen terminal.

광고 플랫폼은 시청가구의 시청행태를 분석하여 시청가구의 시청패턴을 분석하여 가구 구성원의 성별/연령대 등을 추정하고, 선호 장르를 추론하여 광고를 타깃팅 한다. 효과 측정 서버(460)는 시청행태 분석을 통해 광고의 효과를 분석하고, 광고주/광고 대행사 에게 광고효과 보고서를 제공한다.
The advertising platform analyzes the viewing behavior of the viewing furniture, analyzes the viewing patterns of the viewing furniture, estimates the gender / age range of the household members, and targets the advertisement by deducing the preferred genre.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 server 460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advertisement through the viewing behavior analysis and provides the advertisement effect report to the advertiser / advertisement agency.

100: 광고 제공부
110: 광고 의뢰 관리부
111: 광고 계약 관리부
112: 광고주 니즈 분석부(112)
113: 광고 콘텐츠 관리부
114: 시청행태 정보 관리부
120: 광고 타깃팅부
121: 광고 기회 관리부
122: 광고 추천부
123: 광고 편성부
130: 시청행태 관리부
131: 시청행태 분석부
132: 클러스트링부
140: 메타데이터 관리부
200: 광고 효과 측정부
210: 효과 측정 클라이언트
211: 시청 행태 인식부
211a: 시청 행태 검출부
211b: 카메라 영상 분석부
211c: 사용자등록 및 캘리브레이션부
212: 효과 측정 에이전트
212a: 데이터 생성 및 전송부
212b: 단말 제어부
220: 효과 측정 서버
221: 효과 측정 데이터 수집 및 가공부
221a: 효과 측정 데이터 수집부
221b: 효과 측정 데이터 가공부
222: 효과 측정 데이터 분석 및 관리부
222a: 효과 측정 데이터 분석부
222b: 효과 측정 데이터 관리부
100: Ad serving
110:
111: Ad Contract Management Division
112: Advertiser needs analysis unit 112
113:
114: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0: Ad targeting unit
121: Ad Opportunity Management Department
122: Ad recommendation section
123:
130:
131: Viewing Behavior Analysis Unit
132: Clustering section
140: Metadata manager
200: advertisement effect measurement unit
210: Effect measurement client
211: Viewing Behavior Recognition Unit
211a: Viewing Behavior Detection Unit
211b: camera image analysis unit
211c: User registration and calibration section
212: Effectiveness Measuring Agent
212a: Data generation and transmission unit
212b:
220: Effect measurement server
221: Effect measuremen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nit
221a: effect measurement data collection unit
221b: effect measurement data processing unit
222: Analysis and management of effect measurement data
222a: effect measurement data analysis unit
222b: effect measurement data management unit

Claims (1)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기회에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그룹으로 타깃팅된 광고를 제공하는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광고주 니즈를 분석하고, 광고를 접할 시청자의 시청 행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광고주 니즈와 광고 기회 정보에 기반하여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 기회를 추천하고, 상기 분석된 광고주 니즈와 상기 분석된 시청자의 시청 행태 정보에 기반하여 타깃팅된 광고 콘텐츠별 후보 시청그룹을 추천하는 광고 제공부와
상기 광고를 접한 상기 시청자의 시청행태 정보에 기반하여 효과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광고 효과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효과 측정부에서 상기 광고 제공부로 상기 효과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타깃팅 광고 제공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targeted ad serving to an ad targeted to a candidate viewing group per ad content targeted by a candidate viewing opportunity by the targeted ad content,
Analyzing the advertiser's needs, analyzing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the viewer who will be exposed to the advertisement,
A candidate viewing opportunity for each of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s is recommended based on the analyzed advertiser needs and the advertisement opportunity information, and a candidate viewing group for each of the targeted advertisement contents based on the analyzed advertiser needs and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the analyzed viewer Recommended ad serving and
And an advertisement effect measuring unit for generating effect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viewing behavior information of the viewer who has contacted the advertisement,
And the advertisement effect measuring unit provides the effect measurement data to the advertisement providing unit.
KR1020120146890A 2012-12-14 2012-12-14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 Withdrawn KR201400777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890A KR20140077768A (en) 2012-12-14 2012-12-14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6890A KR20140077768A (en) 2012-12-14 2012-12-14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768A true KR20140077768A (en) 2014-06-24

Family

ID=5112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890A Withdrawn KR20140077768A (en) 2012-12-14 2012-12-14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76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82801A1 (en) Universally interactive request for information
US83218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and localized TV ad delivery
US79798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filing iTV users and for providing selective content delivery
JP6584608B1 (en) Advertisement space transaction support device and advertisement space transaction support method
TWI591557B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advertisements
JP6034481B1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CN108702531A (en) Utilize the media channel identification and action of the more matching detections compared based on reference stream
US20110078001A1 (en) Feedback system for television advertisements
US20120323675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measure comparative performance of internet and television ad campaigns
CN101311955A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multimedia advertisement putting
KR20080086946A (en) How to determine the arrangement order of contents linking information provided in the network reflecting the intentions of related parties
US92885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viewership activity data to customize a user interface
JP2003067629A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video distribution method, program of thi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of this method
KR20130103237A (en) Method for providing on-line advertisement and the advertisement server thereof
KR101252366B1 (e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broadcasting program and method thereof
WO2014200472A1 (en) Privacy-preserving recommendation system
JP7162262B2 (en) How to serve ads for TV shows
KR20120112296A (en)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broadcasting program
JP6910613B2 (en) How to provide advertisements for TV programs
KR20140077768A (en)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sponding User's Taste
JP7162261B2 (en) How to serve ads for TV programs
JP6831543B2 (en) How to provide advertisements for TV programs
KR2011001229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rand profiling information of celebrities online
JP2002298014A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center server, home server,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 using these
JP4795705B2 (en) Data broadcasting content utilization results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