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831A -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Google Patents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6831A KR20140076831A KR1020120145315A KR20120145315A KR20140076831A KR 20140076831 A KR20140076831 A KR 20140076831A KR 1020120145315 A KR1020120145315 A KR 1020120145315A KR 20120145315 A KR20120145315 A KR 20120145315A KR 20140076831 A KR20140076831 A KR 201400768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ge
- input button
- vehicle
- pop
- ge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가 적용된 차량의 실내를 나타낸다.
도 5는 변속단입력부의 팝업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의 차량 시동시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10)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변속단의 변경시의 사용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후진을 위한 R단 변속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전진을 위한 D단 변속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시동을 껐을 때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30: 팝업모터 40: 스프링부
100: 콘솔
Claims (9)
- 전자식 자동변속레버에 있어서,
차량의 전자식 자동변속기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차량 변속단의 갯수와 동일한 복수의 갯수로 구비되는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각각 차량 변속단 중 하나를 입력하도록 할당되고,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 중 하나가 입력되면 할당된 변속단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기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은 상하로 이동되도록 차량의 콘솔 내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기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팝업모터;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
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기 팝업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의 콘솔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스프링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차량의 콘솔 내측으로 실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모터는,
차량의 구동부와 연계하여 차량의 시동시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에 각각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D단에 해당하는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부에 배치되고,
R단에 해당하는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하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차량의 변속단인 P단, R단, N단, D단, M단, +단 및 -단에 각각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P단, R단, N단, D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원형으로 배치되되, 일측단에 배치된 상기 P단을 시작점으로 순차 배치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D단이 상단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M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P단, R단, N단, D단의 중심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단 및 -단에 할당된 변속단입력버튼부는 상기 M단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5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버튼이 상기 P단과 D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터치인식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변속단입력버튼부의 입력시 상기 표시부가 발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최종적으로 입력이 이루어진 변속단입력버튼부의 표시부만 발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5315A KR101439137B1 (ko) | 2012-12-13 | 2012-12-13 |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5315A KR101439137B1 (ko) | 2012-12-13 | 2012-12-13 |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6831A true KR20140076831A (ko) | 2014-06-23 |
KR101439137B1 KR101439137B1 (ko) | 2014-09-11 |
Family
ID=5112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53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9137B1 (ko) | 2012-12-13 | 2012-12-13 |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913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541B1 (ko) * | 2015-04-14 | 2016-10-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자식 컴팩트 변속 레버 |
KR101662548B1 (ko) * | 2015-05-08 | 2016-10-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2 웨이 전자식 변속레버 |
WO2017041852A1 (en) * | 2015-09-11 | 2017-03-16 | Kongsberg Automotive Ab | Shift-by-wire input unit for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
KR20220026072A (ko) | 2020-08-25 | 2022-03-04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로터리 타입 전자식 변속기의 변속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8334B1 (ko) | 2015-07-02 | 2017-04-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3373B2 (ja) * | 1993-08-20 | 2003-03-0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オートマチック車の操作器 |
JP2006160098A (ja) | 2004-12-08 | 2006-06-22 | Mazda Motor Corp |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
KR20120006422A (ko) * | 2010-07-12 | 2012-01-18 | 강용구 | 자동차용 버튼식 자동 변속기 |
JP2011230771A (ja) * | 2011-08-26 | 2011-11-17 | Tokai Rika Co Ltd | シフト装置 |
-
2012
- 2012-12-13 KR KR1020120145315A patent/KR10143913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541B1 (ko) * | 2015-04-14 | 2016-10-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자식 컴팩트 변속 레버 |
KR101662548B1 (ko) * | 2015-05-08 | 2016-10-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2 웨이 전자식 변속레버 |
WO2017041852A1 (en) * | 2015-09-11 | 2017-03-16 | Kongsberg Automotive Ab | Shift-by-wire input unit for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
KR20220026072A (ko) | 2020-08-25 | 2022-03-04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로터리 타입 전자식 변속기의 변속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39137B1 (ko) | 2014-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9137B1 (ko) | G형 변속패턴을 가지는 팝업타입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
JP5921234B2 (ja) | 車両用シフト装置 | |
KR101410664B1 (ko) | 스마트 터치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
US9772031B2 (en) | Shifter assembly including display and actuation for driver control | |
KR101488325B1 (ko) | 팝업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
CA2875921C (en) | Shift device for vehicle | |
US20160152258A1 (en) | Vehicle Having a Gearshift Element Arranged on the Steering Wheel | |
KR101511561B1 (ko) | 슬라이드 조작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
CN111306289B (zh) | 车辆用变速装置 | |
KR101499224B1 (ko) | 부채형 전자식 변속레버 | |
KR102238050B1 (ko) |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 |
KR101410663B1 (ko) | 전자식 변속장치 | |
KR101982859B1 (ko) | 회전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 |
CN107923518A (zh) | 用于切换车辆的变速器的线控换档单元 | |
KR101382694B1 (ko) | 슬라이딩 팝업타입 변속레버장치 | |
KR102418379B1 (ko) | 차량용 변속 장치 | |
KR101704253B1 (ko) |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 |
JP5943477B2 (ja) | 車両用シフト装置 | |
KR101499222B1 (ko) | 버튼형 전자식 변속레버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62533B1 (ko) | 위치 조절형 전자식 변속레버 | |
KR102091490B1 (ko) | 버튼식 변속 장치 | |
KR101906443B1 (ko) | 차량용 변속 장치 | |
KR101662542B1 (ko) | 양방향 분할형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 |
KR20120056028A (ko) | 변속 레인지 및 이를 이용한 주행 모드 변환 방법 | |
KR101500105B1 (ko) | 팝업 타입의 차량용 컨트롤 팬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