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073179A -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179A
KR20140073179A KR1020120141046A KR20120141046A KR20140073179A KR 20140073179 A KR20140073179 A KR 20140073179A KR 1020120141046 A KR1020120141046 A KR 1020120141046A KR 20120141046 A KR20120141046 A KR 20120141046A KR 20140073179 A KR20140073179 A KR 20140073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late
piece
plate
curved
pedes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규
김병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179A/ko
Publication of KR2014007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17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5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forming methods, e.g. manufacturing of curved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1/00Supports: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상방에 얹혀지는 조각곡판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10)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10) 양측으로 상기 조각곡판(20)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판받이빔(3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10) 상에 조각곡판(20)을 얹혀놓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10) 상에 얹혀진 조각곡판(20)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간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서로 연결된 각각의 조각곡판(20)의 연결부위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가용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접된 조각곡판(20)의 연결부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외곡판(40)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외곡판 제작이 각 단계를 따라 순차적으로 신속하고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안전구조물 설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 발생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 안전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Method for making of outer rounding panel for loading block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각곡판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 양측에 곡판받이빔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 상에 조각곡판을 얹혀놓는 단계와, 상기조각곡판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조각곡판의 연결부위를 가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접된 조각곡판의 연결부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외곡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외곡판 제작이 각 단계를 따라 순차적으로 신속하고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안전구조물 설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 발생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 안전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도면을 설계하고 그 설계 도면에 따라 건조 일정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그리고, 선박은 규모에 따라 수십에서 수백 개의 부위별 블록 단위로 나뉘어 설계되는데, 각 블록은 설계 도면에 의해 가장 적합한 장소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법의 블록 작업을 통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각 블록은 1차 도장된 후 일렉션 작업을 거쳐 도크 내에 탑재되어 선박의 일부로 조립된다.
이때, 각 블록은 도크 내에 탑재되기 이전에 PE(Pre-Election) 작업을 거쳐 2차 도장된 후 일렉션(Election) 작업을 거쳐 도크 내에 탑재 및 조립되어 3차 도장 작업을 거치기도 한다.
한편, 상기 블록을 포함한 시설물들은 선박의 외형에 해당되는 이른바 외곡판 상에 탑재되며, 이러한 외곡판은 그 규모가 대형이기 때문에, 이러한 대형 외곡판을 이루는 조각곡판들을 서로 용접 등으로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전체 외곡판 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완성된 외곡판 상에 다시 블록이나 시설물 등을 탑재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이러한 외곡판 제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여러 개의 조각곡판을 지상에서 소정 높이 상방으로 띄워 올린 상태에서 이들 조각곡판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외곡판 제작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외곡판 제작 방법은 별도의 제작 프로세스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제작 작업이 어렵게 되고 그 제작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능률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외곡판 제작 과정 중 별도의 안전시설물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 안전사고에 취약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조각곡판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 양측에 곡판받이빔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 상에 조각곡판을 얹혀놓는 단계와, 상기조각곡판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조각곡판의 연결부위를 가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접된 조각곡판의 연결부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외곡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외곡판 제작이 각 단계를 따라 순차적으로 신속하고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안전구조물 설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 발생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 안전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은 그 상방에 얹혀지는 조각곡판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부 양측으로 상기 조각곡판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판받이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부 상에 조각곡판을 얹혀놓는 단계; 상기 받침부 상에 얹혀진 조각곡판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간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서로 연결된 각각의 조각곡판의 연결부위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가용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접된 조각곡판의 연결부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외곡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서로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 고정 배치되는 복수개의 받침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는 상기 조각곡판의 저면 형상에 대응해서 각각의 높낮이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받침대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각곡판의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밴드로 연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곡판받이빔은 상기 조각곡판의 하단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바 구조로 되고, 상기 곡판받이빔의 소정부위에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곡판받이빔이 설치되지 않는 상기 조각곡판의 테두리부에 작업자가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전구조물은,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되는 직립바 및 상기 직립바들을 상하 방향에 대해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은 조각곡판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 양측에 곡판받이빔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 상에 조각곡판을 얹혀놓는 단계와, 상기조각곡판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조각곡판의 연결부위를 가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접된 조각곡판의 연결부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외곡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외곡판 제작이 각 단계를 따라 순차적으로 신속하고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안전구조물 설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 발생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 안전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중 받침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중 곡판받이빔을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중 조각곡판을 배열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중 조각곡판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중 안전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중 조각곡판 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중 조각곡판 간의 가용접을 실시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중 조각곡판 간의 용접을 실시하여 외곡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은 그 상방에 얹혀지는 조각곡판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10)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10) 양측으로 상기 조각곡판(20)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판받이빔(30)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10) 상에 조각곡판(20)을 얹혀놓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10) 상에 얹혀진 조각곡판(20)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간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서로 연결된 각각의 조각곡판(20)의 연결부위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가용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접된 조각곡판(20)의 연결부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외곡판(40)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는 서로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 고정 배치되는 복수개의 받침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11)는 상기 조각곡판(20)의 저면 형상에 대응해서 각각의 높낮이가 다르게 설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1)의 높낮이 조절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암지그(11a)의 상단부로 숫지그(11b)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출몰되면서 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11)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각곡판(20)의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밴드(15)로 연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받침대(11)들이 밴드(15)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각각의 받침대(11)들이 서로 독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받침대(11) 상방으로 조각곡판(20)의 하중이 집중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이 해당 받침대(11)가 휘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판받이빔(30)은 상기 조각곡판(20)의 하단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바 구조로 되고, 상기 곡판받이빔(30)의 소정부위에 스톱퍼(31)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곡판받이빔(3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직립대(30a)가 마련된 상태에서 이들 한 쌍의 직립대(30a) 상에 상기 곡판받이빔(30)이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곡판받이빔(30)이 설치되지 않는 상기 조각곡판(20)의 테두리부에는 작업자가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구조물(50)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구조물(50)은 상기 받침부(10)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되는 직립바(51) 및 상기 직립바(51)들을 상하 방향에 대해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 상에 조각곡판(20)을 얹혀놓는 단계에서는 이들 각각의 조각곡판(20)의 단부끼리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판받이치구(60)가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판받이치구(60)의 구조는, 도 3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중앙직립대(61)의 양측으로 각각 해당되는 조각곡판(20)의 단부가 얹혀지도록 하는 한 쌍의 얹힘대(62)가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0) 상에 얹혀진 조각곡판(20)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간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이른바 래싱피스(70)라는 기구를 통해 각각의 조각곡판(20)의 단부를 연결하여 서로 간의 벌어짐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래싱피스(70)는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조각곡판(20)의 각각의 상면에 접착부(71)가 서로 접속 고정된 상태에서 이들 각각이 접착부(71)를 별도의 연결대(72)로 서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로 연결된 각각의 조각곡판(20)의 연결부위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가용접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가용접하기 전에 상기 연결부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높낮이조절부재(80)를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조절부재(80)는 하방을 향하는 디귿자 형상의 기구를 말하며, 이 기구의 하방을 향하는 양단부를 상기 각각의 조각곡판(20)의 상면에 연결하여 상기 조각곡판(20) 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해당 작업장 지면에 받침부(1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10)는 복수의 받침대(11)를 각각 조각곡판(2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그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서로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배치한 후 이들 받침대(11)의 숫지그(11b) 상단부를 밴드(15)로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받침부(10)의 양측부 중 조각곡판(2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측부에 각각 곡판받이빔(30)을 배치한다.
그러고 나서, 상기 받침부(10)의 상방으로 조각곡판(20)들을 배열한다.
이때, 상기 조각곡판(2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가 밀접된 상태가 되도록 판받이치구(60)를 조각곡판(20)들 사이에 개재시켜 조각곡판(20)의 배열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밀접 배열된 조각곡판(20) 간의 벌어짐을 방지 및 조절하기 위해 래싱피스(70)로 각각의 조각곡판(20)을 연결시킨다.
그러고 나서, 상기 곡판받이빔(30)이 설치되지 않은 측의 조각곡판(20)의 테두리에 각각 안전구조물(50)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높낮이조절부재(80)를 이용하여 조각곡판(20) 간의 높낮이 조절을 수행한 후 가용접을 거쳐 조각곡판(20)간의 연결부위에 용접작업을 수행하고 나서 상기 안전구조물(50)과 래싱피스(70) 및 높낮이조절부재(80)를 모두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외곡판(40) 제작이 완성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은 조각곡판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 양측에 곡판받이빔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 상에 조각곡판을 얹혀놓는 단계와, 상기조각곡판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조각곡판의 연결부위를 가용접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접된 조각곡판의 연결부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외곡판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외곡판 제작이 각 단계를 따라 순차적으로 신속하고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안전구조물 설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전사고 발생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등 안전성 향상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부 11 : 받침대
11a : 암지그 11b : 숫지그
20 : 조각곡판 30 : 곡판받이빔
31 : 스톱퍼 40 : 외곡판
50 : 안전구조물 51 : 직립바
52 : 연결바 60 : 판받이치구
61 : 중앙직립대 62 : 얹힘대
70 : 래싱피스 71 : 접착부
72 : 연결대 80 : 높낮이조절부재

Claims (6)

  1. 그 상방에 얹혀지는 조각곡판의 저면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부 양측으로 상기 조각곡판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곡판받이빔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받침부 상에 조각곡판을 얹혀놓는 단계;
    상기 받침부 상에 얹혀진 조각곡판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간의 벌어짐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서로 연결된 각각의 조각곡판의 연결부위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가용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용접된 조각곡판의 연결부위에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외곡판을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서로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 고정 배치되는 복수개의 받침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받침대는 상기 조각곡판의 저면 형상에 대응해서 각각의 높낮이가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받침대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각곡판의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밴드로 연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받이빔은 상기 조각곡판의 하단부를 떠받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향해 상향 경사진 경사바 구조로 되고,
    상기 곡판받이빔의 소정부위에 스톱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판받이빔이 설치되지 않는 상기 조각곡판의 테두리부에 작업자가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구조물은,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부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직립되는 직립바; 및
    상기 직립바들을 상하 방향에 대해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KR1020120141046A 2012-12-06 2012-12-06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Withdrawn KR20140073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046A KR20140073179A (ko) 2012-12-06 2012-12-06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046A KR20140073179A (ko) 2012-12-06 2012-12-06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179A true KR20140073179A (ko) 2014-06-16

Family

ID=5112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046A Withdrawn KR20140073179A (ko) 2012-12-06 2012-12-06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1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4108A (zh) * 2016-06-08 2016-08-31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薄板激光切割夹具及其加工方法
CN111232154A (zh) * 2020-03-06 2020-06-05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液化气船液货单元一次性吊装定位安装工艺
KR20210034893A (ko) 2019-09-23 202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곡면 측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4108A (zh) * 2016-06-08 2016-08-31 沈阳飞机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大型薄板激光切割夹具及其加工方法
KR20210034893A (ko) 2019-09-23 202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곡면 측정장치
CN111232154A (zh) * 2020-03-06 2020-06-05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液化气船液货单元一次性吊装定位安装工艺
CN111232154B (zh) * 2020-03-06 2021-02-1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液化气船液货单元一次性吊装定位安装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9368A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장치
KR20140000310U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US10538415B2 (en) Ceiling unit and elevator car including ceiling unit
KR20140073179A (ko) 선박 블록 탑재용 외곡판 제작방법
CN107354874A (zh) T梁梁底钢板调坡装置
CN203256905U (zh) 空间网架焊接球定位及调节支座
KR101590789B1 (ko) 블록 턴오버 지그용 연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의 고정 방법
KR20150019914A (ko) 데크 지지 장치
JP6362571B2 (ja) 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用治具
KR100912248B1 (ko)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가변 지지장치
KR20150117347A (ko) 선박 블록 받침용 지그 조립체
KR20140006180U (ko) 조인트 파이프 지지 장치
KR102142305B1 (ko) 블럭 모듈 제작용 작업대
JP6439880B1 (ja) エレベーター用長尺物運搬治具、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撤去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設置方法
KR100496880B1 (ko) 용접 작업대를 활용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제작 방법 및장치
EP3168383B1 (en) Producing of a steel beam and a steel beam
JP6624812B2 (ja) パネルユニット取付け方法
CN204523928U (zh) 用于制作电梯盖板的装置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CN220697926U (zh) 一种弯扭箱体制造装置
KR20150019900A (ko) 대형 패널 곡직 작업용 보조 기구
JP2014101213A (ja) 乗客コンベアの脱落防止装置
JP2012180198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据付装置
CN104190077B (zh) 底板和麻将机及其制造方法
KR200373831Y1 (ko) 선박 블록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